KR20070066309A - Pvr 장치의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Pvr 장치의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309A
KR20070066309A KR1020050127333A KR20050127333A KR20070066309A KR 20070066309 A KR20070066309 A KR 20070066309A KR 1020050127333 A KR1020050127333 A KR 1020050127333A KR 20050127333 A KR20050127333 A KR 20050127333A KR 20070066309 A KR20070066309 A KR 2007006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editing
information
recorded
e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663B1 (ko
Inventor
이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6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R 장치의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VR 장치에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해 향후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편집정보에 따라 녹화된 프로그램을 편집함으로써 방송사고 장면 등 문제되는 영상을 편집하여 삭제하거나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문제되는 방송사고 장면을 미성년자가 재생하여 볼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녹화된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통해 간단하게 녹화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VR, 편집, 녹화, 방송사고, 요약, 프로그램

Description

PVR 장치의 편집 방법{EDITING METHOD OF PERSONAL VIDEO RECORDER}
도 1은 일반적인 PVR 장치가 설치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PVR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VR 장치의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TV 20 : PVR 장치
21 : 안테나 22 : 외부기기 제어포트
23 : 외부기기 AV 신호 입력단자
24 : 튜너부 25 : MPEG 인코더
26 : 하드디스크 27 : MPEG 디코더
28 : 비디오 프로세서 29 : A/V절환부
30 : CPU 31 : 롬
32 : 램 33 : 모뎀
34 : 신호처리부 35 : 비디오 입력처리부
36 : 오디오 입력처리부 40 : 케이블 변환기
41 : 유선방송국 50 : IR 송신부
본 발명은 PVR 장치의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VR 장치에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해 향후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편집정보에 따라 녹화된 프로그램을 편집함으로써 방송사고 장면 등 문제되는 영상을 편집하여 삭제하거나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문제되는 방송사고 장면을 미성년자가 재생하여 볼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녹화된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통해 간단하게 녹화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PVR 장치의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PVR(Personal Video Recorder; 개인용 비디오 녹화재생장치)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나 텔레비전 등의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에 아날로그 신호를 저장하는 것과는 달리, 실시간으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데이터를 장치 내에 내장된 대용량 저장장치인 하드디스크(Hard Disk)에 MPEG2방식으로 압축하여 저장시켜둔 후 저장된 녹화정보를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디코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출하는 개인용 비디오 녹화·재생 장치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PVR장치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PVR 장치가 설치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R 장치(20)는 공중 안테나(21)를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공중파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요구시 이를 녹화한 후 나중에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화선을 통한 통신 연결선을 이용하여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스케줄에 관한 각종 PPP(Point-to-point)정보를 전송 받는다. 또한, PVR장치(20)는 케이블 변환기(40)와 연결되어 유선방송국(41)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케이블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PVR 장치(20)와 연결되는 케이블 변환기(40)의 종류는 PVR 장치(20)의 셋업모드에서 설정하게 된다. 케이블 변환기(40)는 유선방송국(41)으로부터 인가되는 케이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고, 이로 인하여 얻어진 AV(Audio/video)신호를 PVR 장치(20)로 인가한다. 또한, PVR장치(20)는 안테나(21)를 통해 인가되는 AV신호나 케이블 변환기(40)로부터 인가되는 AV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구시 방송 정보를 녹화하게 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케이블 방송 시청 중에 이를 녹화하고자 할 경우, PVR 장치(20)에 구비된 조작패널(미도시)을 통해 녹화하기 원하는 방송 채널의 번호 및 녹화버튼을 누르게 된다. 또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을 예약녹화 하고자 할 경우 PVR 장치(20)의 조작패널을 통해 녹화하기 원하는 방송 채널의 번호와 방송시간을 누르게 된다. 이때, PVR장치(20)는 녹화버튼이 입력되거나 예약된 방송시간이 되면 IR송신부(50)로 사용자가 입력한 방송 녹화요구정보를 송신한다. IR송신부(50)는 리모트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 녹화요구정보를 케이블 변환기(Cable converter;40)로 전송하게 되고 케이블 변환기(40)는 리모트콘 트롤러 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하여 IR송신부(50)를 통해 수신된 채널의 케이블방송 신호를 PVR 장치(20)로 출력하게 된다. PVR 장치(20)는 케이블 변환기(40)로부터 인가되는 AV신호를 통하여 선택된 채널의 케이블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녹화 및 재생하게 되고, 일반 방송국 채널이 선택된 경우에는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는 AV신호를 실시간으로 녹화 및 재생하게 된다. PVR장치(2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TV(10)로 입력되어 사용자가 TV(10)를 통해 재생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PVR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R장치(20)의 기능을 크게 구분하자면, 제 1기능으로서 공중 안테나(21)를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공중파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요구시 이를 녹화한 후, 나중에 재생하는 것이 있고, 제 2기능으로서 유선 방송국(41)에서 케이블 변환기(40)를 통해 수신되는 AV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있다.
우선, 공중파 방송신호를 재생하고 녹화하는 제 1기능과 관련된 구성요소로서, 공중 안테나(21), 튜너부(24)와, 신호처리부(34)인 MPEG인코더(25), MPEG디코더(27), 비디오 프로세서(28)와, A/V 절환부(29), CPU(30), 하드디스크(26), 롬(31), 램(32), 및 모뎀(33)이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인 CPU(30)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 선들과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롬(ROM:31)은 구동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부분으로 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튜너부(Tuner:24)는 안테나(21)를 통해 입력된 방송신호를 선국하고 시스템 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원하는 특정 주파수로 동조시켜 비디오 입력처리부(35)와 오디오 입력처리부(36)를 통해 AV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AV신호는 신호처리부(34)인 MPEG인코더(25) 및 A/V절환부(29)로 입력되는데, MPEG인코더(25)로 입력되는 경우는 녹화 후 재생을 위한 경로이고, A/V절환부(29)로 바로 입력되는 경우는 직접 재생을 위한 경로이다.
이때 비디오 입력처리부(35)는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조정하여 화면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오디오 입력처리부(36)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여 입력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게 해준다.
그리고, 녹화 후 재생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신호처리부(34)인 MPEG인코더(25)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를 내장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즉, MPEG인코더(25)는 튜너부(24)로부터 AV신호를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디지털화하고, 압축된 MPEG데이터로 코딩하여 MPEG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소인 하드디스크(26)로 출력한다.
또한, MPEG디코더(27)는 하드디스크(26)에 저장된 MPEG데이터를 입력받아 화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신호를 디코딩한다. 즉, MPEG디코더(27)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를 내장하여 하드디스크(26)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MPEG디코더(27)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A/V절환부(29)로 출력된다.
한편, 신호처리부(34)인 비디오 프로세서(video processor;28)는 예약 녹화 기능 등 방송화면 외의 화면을 구성하여 A/V절환부(29)로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28)는 PIP(Picture-in-picture) 기능을 구비하여 2개의 화면을 TV의 한 화면상에 동시에 출력하거나, 알파-블렌딩(Aipha-blending)기능을 구비하여 영상과 함께 반투명 자막을 TV(10)의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A/V 절환부(29)는 MPEG디코더(27)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와 비디오 프로세서(28)로부터의 방송화면 외의 화면을 합성하여 이를 TV(10)의 입력단으로 출력한다.
PVR장치(20)는 일반적으로 녹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방송 편성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데, 모뎀(MODEM;33)이나 랜(LAN)과 같은 통신포트를 구비하여 전화선을 통한 통신 연결선과 연결되어 방송국으로부터 예약 녹화에 필요한 방송 편성 정보를 전송받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송된 방송 편성 정보는 램(3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다가, CPU(30)의 제어에 의해 저장된 방송 정보를 비디오 프로세서(28)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램(RAM:32)은 프로그램 실행 중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 저장 장소의 기능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유선방송국(41)으로부터 케이블 변환기(40)를 통해 수신되는 AV신호를 재생하는 PVR장치(20)의 제 2기능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외부기기 AV신호 입력단자(23)는 케이블변환기(40)로부터 AV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단자로서, 케이블변환기(40)로부터 인가되는 AV신호를 비디오 입력처리부(35)와 오디오 입력처리부(36)를 통해 입력받아 A/V절환부(29)로 출력한다. A/V절환부 (29)는 CPU(30)의 제어에 의해 외부기기 AV신호 입력단자(2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선택하고, TV(10)로 선택된 케이블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V절환부(29)는 튜너부(24)로부터 인가되는 직접 재생을 위한 AV신호, MPEG디코더(27)로부터 인가되는 녹화된 아날로그 방송신호, 외부기기 AV신호 입력단자(23)를 통해 케이블 변환기(40)로부터 인가되는 AV신호 중에 하나를 선택적으로 처리한다. 즉, A/V절환부(29)는 입력되는 3개의 영상신호 중 CPU(Central processing unit;30)의 제어에 의해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외부기기 제어포트(22)는 IR송신부(50)와 접속되는 포트로서, CPU(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녹화 요구정보를 IR송신부(5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과 동작을 하는 종래의 PVR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채널의 공중파 방송 및 유선방송국(41)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채널의 케이블방송을 녹화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PVR 장치의 기능에는 타임시프트 기능이 있어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26)에 저장하는 동시에 디코딩하여 재생함으로써 생방송 중에도 일시정지하여 잠깐 멈췄다가 다시 이어볼 수 있어 중요한 장면을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방송 중에도 녹화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앞부분부터 재생하여 시청할 수도 있다.
또한, PVR 장치에는 녹화된 프로그램에서 편집구간들을 선택할 경우 해당 편집구간들을 삭제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해당 편집구간들만 연결하여 저장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녹화된 프로그램을 선택할 경우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결합하여 저장하는 편집기능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녹화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면서 어린이들이 보기에 좋지 않은 구간이 있을 경우 편집구간을 설정하여 녹화된 프로그램을 편집할 수도 있으며, 요약편을 만들기 위해 재생중 선택된 편집구간들을 저장하여 요약편을 제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편집기능을 사용하여 방송사고 장면을 삭제하거나 요약편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편집구간을 설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편집기능이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이와 같은 기능을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VR 장치에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해 향후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편집정보에 따라 녹화된 프로그램을 편집함으로써 방송사고 장면 등 문제되는 영상을 편집하여 삭제하거나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문제되는 방송사고 장면을 미성년자가 재생하여 볼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녹화된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통해 간단하게 녹화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PVR 장치의 편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방송신호 및 AV신호를 입력받아 시청하도록 함과 동시에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내장된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녹화정보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PVR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코드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단계와, PVR 장치의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되지는 판단하는 단계와,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될 경우 송신되는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편집정보에 따라 편집할 프로그램이 녹화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녹화된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 편집정보에 따라 녹화된 원본 프로그램을 편집하여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편집정보는 편집할 프로그램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램코드와, 편집구간을 나타내기 위한 편집타이밍 정보와, 편집 사유를 나타내기 위한 편집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집정보에 따라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원본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집정보에 따라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원본 프로그램에 암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편집정보는 PVR 장치의 통신포트를 통해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신호 및 AV신호를 입력받아 시청하도록 함과 동시에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내장된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녹화정보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PVR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코드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단계와, PVR 장치의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되지는 판단하는 단계와,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될 경우 송신되는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편집정보에서 프로그램코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프로그램코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녹화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녹화된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 편집정보에서 편집타이밍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편집타이밍 정보에 따라 녹화된 원본 프로그램을 편집하여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집정보에 따라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원본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집정보에 따라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원본 프로그램에 암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편집정보는 PVR 장치의 통신포트를 통해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프로그램을 녹화할 때 프로그램코드와 타이밍 정보가 포함되어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해 논란이 되는 방송사고 장면 등 문제되는 영상을 편집하거나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제작할 수 있도록 편집정보가 전송될 경우 자동으로 녹화된 원본 프로그램을 편집하여 문제의 방송사고 장면을 삭제하여 미성년자를 보호하거나 방송된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하게 녹화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VR 장치의 편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프로그램의 녹화를 위해 PVR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채널의 공중파 방송 및 유선방송국(41)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정해진 시간동안에 입력되는 AV신호를 실시간으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녹화하고자 할 때 그 디지털 데이터를 장치 내에 내장된 대용량 저장장치인 하드디스크(Hard Disk)(26)에 MPEG2방식으로 압축하여 저장시키게 된다(S10)(S14).
이때 방송 프로그램을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코드와 프로그램의 특정위치 를 찾기 위한 타이밍정보를 함께 녹화한다(S12). 즉, 프로그램코드는 G코드와 같은 코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타이밍정보는 프로그램의 영상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녹화시점에서의 절대시간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방송될 때의 절대시간과의 관계를 통해 통정위치를 찾을 수 있는 타이밍정보이다.
이와 같이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녹화된 상태에서 PVR 장치의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되고 있을 경우 PVR 장치의 통신포트나 방송신호를 통해 제공되는 편집정보를 수신한다(S16)(S18).
즉, 방송이 된 후 방송사고 장면에 대해 논란이 발생하거나 생방송 중 발생된 사고장면 등 청소년에게 불건전한 장면이 이미 방송되어 버린 경우 녹화된 프로그램에서 이 장면을 삭제하기 위한 사고편집을 위한 편집정보나,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한 요약편을 제작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요약편집 등의 편집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편집정보에는 편집할 프로그램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램코드와, 편집구간을 나타내기 위한 편집타이밍 정보와, 편집 사유 즉, 사고편집을 위한 것인가 아님 요약편집을 위한 것인가를 나타내기 위한 편집코드 등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편집정보는 방송신호나 PVR 장치의 모뎀(33)이나 랜(LAN)과 같은 통신포트를 통해 방송국이나 방송프로그램 심의위원회 등 공신력이 있는 인증기관에 의해 사고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전자프로그램가이드(EPG)등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통해 요약편을 제작할 수 있는 요약정보에 대한 편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되어 수신된 편집정보에서 프로그램코드를 추출하여 녹화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코드와 비교하여 해당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가 판단한다(S20)(S22).
그래서, 편집정보에 의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면 편집정보에서 편집타이밍 정보를 추출한다(S24). 그래서, 추출된 편집타이밍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타이밍정보와 비교하여 편집하기 위한 구간을 설정하여 편집구간을 삭제하거나 편집구간간 서로 연결하는 등 해당 프로그램을 편집하여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S26)(S32).
이때 편집정보에 포함된 편집코드에 따라 사고편집인가 요약편집인가 판단한다(S28). 즉, 원본 프로그램의 처리를 위해 사고편집일 경우 방송사고 등 불건전한 장면이 포함된 원본 프로그램을 삭제할 수도 있으며, 암호를 설정하여 청소년 등 암호를 모를 경우 원본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S30).
한편, 요약편집일 경우 원본 프로그램을 그대로 존속시킨 상태에서 요약된 편집 프로그램을 추가로 저장하게 된다(S3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VR 장치에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해 향후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편집정보에 따라 녹화된 프로그램을 편집함으로써 방송사고 장면 등 문제되는 영상을 편집하여 삭제하거나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문제되는 방송사고 장면을 미성년자가 재생하여 볼 수 없도록 할 뿐 만 아니라 녹화된 프로그램의 요약편을 통해 간단하게 녹화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방송신호 및 AV신호를 입력받아 시청하도록 함과 동시에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내장된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녹화정보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PVR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코드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단계와,
    상기 PVR 장치의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되지는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될 경우 송신되는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신된 편집정보에 따라 편집할 프로그램이 녹화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녹화된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 상기 편집정보에 따라 녹화된 원본 프로그램을 편집하여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정보는
    편집할 프로그램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램코드와,
    편집구간을 나타내기 위한 편집타이밍 정보와,
    편집 사유를 나타내기 위한 편집코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정보에 따라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원본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정보에 따라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원본 프로그램에 암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PVR 장치의 통신포트를 통해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6. 방송신호 및 AV신호를 입력받아 시청하도록 함과 동시에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내장된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녹화정보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PVR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코드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단계와,
    상기 PVR 장치의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되지는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 편집기능이 동작될 경우 송신되는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신된 편집정보에서 프로그램코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추출된 프로그램코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녹화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녹화된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 상기 편집정보에서 편집타이밍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추출된 편집타이밍 정보에 따라 녹화된 원본 프로그램을 편집하여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정보에 따라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상기 원본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정보에 따라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상기 원본 프로그램에 암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9.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PVR 장치의 통신포트를 통해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R 장치의 편집 방법.
KR1020050127333A 2005-12-21 2005-12-21 Pvr 장치의 편집 방법 KR10073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333A KR100738663B1 (ko) 2005-12-21 2005-12-21 Pvr 장치의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333A KR100738663B1 (ko) 2005-12-21 2005-12-21 Pvr 장치의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309A true KR20070066309A (ko) 2007-06-27
KR100738663B1 KR100738663B1 (ko) 2007-07-11

Family

ID=3836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333A KR100738663B1 (ko) 2005-12-21 2005-12-21 Pvr 장치의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47B1 (ko) * 2007-02-01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녹화장치의 타이틀 관리방법
KR101218921B1 (ko) * 2006-02-17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의 방송 프로그램 하이라이트 구간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293A (ko)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921B1 (ko) * 2006-02-17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의 방송 프로그램 하이라이트 구간 처리 방법
KR100861947B1 (ko) * 2007-02-01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녹화장치의 타이틀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663B1 (ko)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344B2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including the same therein
JP2007528655A (ja) 遠隔記録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55018B1 (ko) 기록 재생 장치, 재생 처리 방법
KR10038712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웹 pvr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29359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therefor
KR100738663B1 (ko) Pvr 장치의 편집 방법
KR100937690B1 (ko) 가상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7208307A (ja) 放送受信装置、放送記録装置、放送受信方法及び放送記録方法
KR100731534B1 (ko) Pvr 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20040066594A (ko) Pvr장치 및 pvr장치에서의 vbi로부터 추출한epg에 의한 예약 녹화 방법
JP3877539B2 (ja) 放送受信装置
US20130046545A1 (e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JP4826484B2 (ja) 放送録画再生装置
JP4592443B2 (ja) 映像記録再生機器
KR100210486B1 (ko) 통합 수신기겸 디코더와 디지탈 저장매체사이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3796203B2 (ja) 録画装置制御機能付き放送受信装置
KR101386820B1 (ko) 방송수신기에서의 방송녹화 및 재생 제어 방법
KR20040066593A (ko) Pvr장치의 채널별 음량 및 화질 설정값 자동 조정방법
JP2004221662A (ja) デジタル放送録画装置
JPH0865588A (ja) いつでもニュースが見られるテレビ受信装置
KR20090097585A (ko) 방송수신기의 프로그램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441539B1 (ko) 영상녹화재생장치 및 영상녹화방법
JP2009105940A (ja) 映像信号記録装置、及び映像信号記録方法
KR20040097521A (ko) 서로 다른 디지털 방송에 대하여 동시에 녹화와 시청이가능한 장치
KR20070071843A (ko) 텔레비전의 방송 컨텐츠 녹화 및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