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293A -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293A
KR20050076293A KR1020040004222A KR20040004222A KR20050076293A KR 20050076293 A KR20050076293 A KR 20050076293A KR 1020040004222 A KR1020040004222 A KR 1020040004222A KR 20040004222 A KR20040004222 A KR 20040004222A KR 20050076293 A KR20050076293 A KR 2005007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d
editing
stream file
program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6293A/ko
Publication of KR2005007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VR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구간을 설정하여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 있어서, 원본 스트림 파일 중 소정 구간 또는 지점을 나타내는 지시수단이 구비되고, 사용자가 저장 프로그램의 선택된 구간을 저장 또는 삭제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구간을 나타내는 지시수단이 저장 또는 삭제됨으로써 저장 프로그램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METHOD FOR EDITING RECORDED PROGRAM I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VR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구간을 설정하여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송이 활성화되면서 PVR(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을 가진 셋톱 박스가 개발, 시판되고 있다.
PVR은 방송 스트림 또는 MPEG 스트림을 셋톱 박스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현재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저장, 예약 녹화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하드 디스크의 용량이 유한한 관계로 저장할 수 있는 스트림 파일의 길이에 제한이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PVR 시스템은 저장된 스트림 파일의 편집을 통해 원하는 부분만 저장하고 필요없는 부분은 삭제할 수 있는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종래의 PVR 시스템의 편집기능으로서 원하는 부분을 저장하는 경우 나머지 부분은 삭제되며,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는 하드 디스크의 공간적 제약 및 작업 속도를 고려한 것이다.
즉, 원본 스트림 파일의 삭제를 통해 디스크의 공간을 확보하여 새로운 스트림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시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저장된 스트림 파일에 원하는 영역을 설정하고 이 영역을 저장하는 경우 나머지 부분을 삭제하는 것은 편집의 의미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은 편집기능으로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편집을 수행할 수 없다.
PVR 시스템에 있어서 저장된 스트림 파일의 자유로운 편집은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고, 향후 편집 기능에 따라 PVR 시스템의 성능이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스트림 파일에서 설정된 영역에 대한 효율적인 저장과 삭제 기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VR 시스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해 효율적인 저장 및 삭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 있어서, 원본 스트림 파일 중 소정 구간 또는 지점을 나타내는 지시수단이 구비되고, 사용자가 저장 프로그램의 선택된 구간을 저장 또는 삭제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구간을 나타내는 지시수단이 저장 또는 삭제됨으로써 저장 프로그램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시수단은 상기 원본 스트림 파일에서 선택된 구간의 시작지점 및 끝 지점과, 선택에 의해 구분된 구간들의 파일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프로그램의 선택된 구간의 삭제는 선택된 구간 중 지시수단에 의해 저장된 구간외의 구간에 대해서 원본 스트림 파일의 삭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저장된 프로그램의 삭제는 지시수단을 삭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PVR에 저장된 원본 스트림 파일은 하나의 파일로서 존재하며, PVR을 구동하는 Embeded OS는 각 파일에 대해 파일 디스크립터를 만들어 파일에 대한 각종 정보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을 위해 상기 파일 디스크립터와 함께 다음 자료 구조가 생성된다.
[Segment Link]
Segment Link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원본 스트림 파일 내의 위치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로서 다음과 같은 필드로 구성된다.
-StartPos : 원본 스트림 파일 내에서 설정 영역(구간)의 시작 위치.
-EndPos : 원본 스트림 파일 내에서 설정 영역(구간)의 끝 위치.
-FD : 영역(구간)이 설정되어 있는 원본 스트림 파일의 파일 디스크립터 포인터.
-CBP : Continuous Block Pointer, 설정 영역(구간)을 삭제한 경우 연속된 파일을 나타내기 위한 포인터.
[Segment Descriptor]
상기 Segment Link들을 관리하기 위한 자료 구조로서 다음과 같은 필드로 구성된다.
-Segment Link Table : Segment Link에 대한 포인터들을 저장하는 테이블로서 테이블의 크기는 하나의 테이블에 저장하고자 하는 포인터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임.
-FD : 상기 Segment Descriptor와 연관된 원본 스트림 파일의 파일 디스크립터 포인터.
-Type : 상기 Segment Descriptor와 연관된 원본 스트림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필드. 하나의 스트림 파일에 여러개의 Segment Link가 존재하는 경우, 만약 원본 스트림 파일을 삭제할 경우 연결된 Segment Link들을 유지하기 위해 원본 스트림 파일에 재조정 작업이 필요한데 재조정 후 원본 파일과 조정 전 파일의 구분을 위한 필드.
-SC : Segment Counter. 상기 Segment Descriptor에 저장된 Segment의 개수.
-CBP : Continuous Block Pointer, 설정 영역을 삭제한 경우 연속된 파일을 나타내기 위한 포인터.
-Next : Segment Link Table의 포인터
[Continuous Block]
원본 스트림 파일내의 연속된 다음 위치를 나타내는 자료 구조로서 다음과 같은 필드로 구성된다.
-JSP : Jump Start Position. 연속된 다음 위치로 점프(jump)해야 할 시작위치.
-JEP : Jump End Position. 점프한 후의 위치
-Next : 다음 Continuous Block의 포인터.
상기와 같은 자료 구조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원본 스트림 파일"은 PVR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스트림 파일을 의미하고, "저장 프로그램"이라 함은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 따른 편집방법에 의하면, PVR에 저장된 영화 "신라의 달밤"에 대한 "원본 스트림 파일"은 오직 하나가 존재하지만, 사용자가 영화 "신라의 달밤" 중 일부 구간을 상기 자료 구조를 이용하여 별도의 이름이나 하드 디스크의 다른 파티션에 저장하는 경우 "저장 프로그램"은 다수가 될 수 있다.
즉, 저장 프로그램이란 파일 디스크립터와 함께 Segment Link, Segment Descriptor, Continuous Block 등의 지시수단을 이용하여 원본 스트림 파일의 전부 또는 일부 구간을 저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서 일부 영역(구간)이 삭제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편집방법과 달리 삭제하고자 하는 영역(구간)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구간)만 삭제가 가능하다.
도 1에서 원본 스트림 파일의 일부 영역이 삭제되었고, Continuous Block이 생성된다. 생성된 Continuous Block 에는 다음 Continuous Block을 나타내는 "next"와, 점프해야 할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JSP, 점프한 후 위치를 나타내는 JEP가 자료 구조로서 포함되고, 원본 스트림 파일의 일부가 삭제되는 경우 연속된 다음 위치를 나타내는 CBP가 포함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서 일부 영역(구간)을 따로 저장하는 경우의 자료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원본 스트림 파일의 FD가 0x40이라 가정하고, 사용자가 원본 스트림 파일의 특정 위치 a, b를 설정하고 구간을 만들어 저장한다. 그러면, Segment Descriptor와 Segment Link를 생성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가 설정된다.
Segment Link Table은 12개의 Segment Link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선언되었고, Segment Link가 1개 저장되어 있다. (SC:1)
Segment Link를 보면, 저장된 영역의 시작위치(StartPos)는 a이고, 영역의 끝 위치(EndPos)는 b로 설정된다. 그리고 FD와 TYPE값을 나타내는 필드가 설정된다.
그리고, 도 2는 일부 영역을 삭제하는 경우가 아니라, 저장하는 경우의 예이기 때문에, NEXT, CBP의 값은 NULL값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일부 영역(구간)을 삭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은 원본 스트림 파일내에 Segment Link가 존재하고, Segment Link를 포함하는 영역을 삭제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는 Segment Link로서 Link A, Link B, Link C 가 도시되어 있으며, 삭제영역 1 및 삭제영역 2는 상기 Segment Link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삭제 영역내에 존재하는 Segment Link들 중 서로 범위가 겹치는 Link 중 가장 빠른 StartPos로부터 가장 늦은 EndPos까지의 범위를 새로운 파일로 만들고, 이 파일의 Segment Descriptor를 생성하여 서로 겹치는 Segment Link들을 저장한다.
도면에서 Link A와 Link B는 서로 영역이 겹치고 있으며, 이 경우 Link A의 StartPos에서 Link B의 EndPos까지의 범위를 새로운 파일로 저장한다.
그리고, Link C와 같이 다른 Segment Link와 겹침이 없는 경우 새로운 Segment Descriptor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 후 새로운 파일이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Segment Link(Link A, Link B, Link C)는 원본 스트림 파일의 영역으로 편집을 통해 별도의 파일로 저장된 영역을 의미하고, 사용자가 원본 스크림 파일에서 삭제 영역 1과 삭제 영역 2로 각각 삭제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파일로 저장된 각각의 Segment Link들은 삭제되면 안되기 때문에, 삭제 영역 중 Segment Link가 없는 영역만 삭제를 수행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스트림 파일의 삭제 후 남는 부분은 Continous Block을 설정하여 Segment Descriptor에 등록하거나 재조정될 수 있으며 기존 Segment Link들의 정보 갱신이 필요하다.
즉, 원본 스트림 파일의 삭제 후 남는 영역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Link A의 StartPos에서 Link B의 EndPos까지의 영역 및 Link C영역은 별도로 저장된다.
도 5에는 원본 스트림 파일에서 Segment Link들이 겹치지 않는 영역(구간)을 삭제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삭제 영역을 삭제하는 경우, 삭제 영역의 시작 및 끝 지점(JSP, JEP)을 이용하여 Continuous Block을 구성한 다음 파일의 Segment Descriptor의 CBP에 연결한다.
만약, 삭제 영역의 일부가 Segment Link와 겹치는 경우에 겹치는 부분은 실제로 삭제는 하지 않으며, Continuous Block을 구성한다.
만약, 원본 스트림 파일에 Segment Link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Segment Link의 영역 사이(시작과 끝 사이)의 일부분을 삭제하는 경우, 실제 삭제는 하지 않으며 Continuous Block 생성에 따른 Segment Link의 CBP의 연결만 필요하다.
만약, Segment Link 를 전체 삭제하는 경우 단순히 Segment link 자료 구조만 삭제하고 해당 원본 스트림 파일의 Segment Descriptor를 갱신한다.
만약, 원본 스트림 파일을 전체 삭제하는 경우 실제 삭제되는 부분은 Segment Link가 설정되지 않은 부분이고, 나머지 부분은 Segment Descriptor를 갱신함으로써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PVR 시스템에 있어서 저장 프로그램의 일부 구간을 편집하여 저장하는 경우, 실제로 원본 스트림 파일의 일부 구간을 중복하여 저장하지 않고 해당 구간을 나타내는 지시수단을 저장함으로써, 해당 구간의 원본 스트림 파일을 별도로 편집하여 저장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본 스트림 파일의 일부 구간을 삭제하는 경우에 삭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집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본 스트림 파일을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하는 경우, 지시수단을 이용하여 별도로 저장된 구간은 삭제되지 않기 때문에 편집에 의해 별도로 저장된 프로그램이 손상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PVR 시스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해 효율적인 저장 및 삭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서 일부 영역이 삭제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일부 영역을 별도로 저장하는 경우의 자료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원본 스트림 파일내에 Segment Link가 존재하고, Segment Link를 포함하는 영역을 삭제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원본 스트림 파일에서 일부가 삭제되고 남은 원본 스트림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원본 스트림 파일에서 Segment Link들이 겹치지 않는 영역을 삭제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Claims (4)

  1.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에 있어서,
    원본 스트림 파일 중 소정 구간 또는 지점을 나타내는 지시수단이 구비되고, 사용자가 저장 프로그램의 선택된 구간을 저장 또는 삭제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구간을 나타내는 지시수단이 저장 또는 삭제됨으로써 저장 프로그램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은 상기 원본 스트림 파일에서 선택된 구간의 시작지점 및 끝 지점과, 선택에 의해 구분된 구간들의 파일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프로그램의 선택된 구간의 삭제는 선택된 구간 중 지시수단에 의해 저장된 구간외의 구간에 대해서 원본 스트림 파일의 삭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저장된 프로그램의 삭제는 지시수단을 삭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KR1020040004222A 2004-01-20 2004-01-20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KR20050076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222A KR20050076293A (ko) 2004-01-20 2004-01-20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222A KR20050076293A (ko) 2004-01-20 2004-01-20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293A true KR20050076293A (ko) 2005-07-26

Family

ID=3726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222A KR20050076293A (ko) 2004-01-20 2004-01-20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62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63B1 (ko) * 2005-12-21 2007-07-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vr 장치의 편집 방법
KR100781360B1 (ko) * 2006-09-08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편집방법 및 그 영상 편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63B1 (ko) * 2005-12-21 2007-07-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vr 장치의 편집 방법
KR100781360B1 (ko) * 2006-09-08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편집방법 및 그 영상 편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3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ontent
US7599906B2 (en) File management device, file management method, file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 file management method program
JP4908849B2 (ja) ファイル削除方法、ファイル・オープン方法、ファイル削除プログラム、および、ファイル・オープン・プログラム
US5956453A (en) Method of editing moving image and apparatus of editing the same
JP4335492B2 (ja) 動画像管理方法及び装置
BR0212417A (pt) Extensão de formato de arquivo m3u para suportar tarefas de interface e de navegação do usuário em um executor de áudio digital
JP2002055995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EP4351150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EP1921626A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050076293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 프로그램 편집방법
KR100585668B1 (ko) 가상 미디어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및 장치와 멀티미디어 파일 구조
KR19990037244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제공 매체 및 기록 매체
JP3787827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US6339572B1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recording/playback apparatus, recording/playback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esentation medium
CN114979743A (zh) 视听作品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040255250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060239656A1 (en)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video file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file
KR100825775B1 (ko) 비디오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비디오 데이터 저장 방법
JP4021449B2 (ja) 動画像編集方法および動画像編集装置
KR20060031750A (ko) 동영상 재생 및 프로그래밍 기능을 위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기록한 저장매체, 그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20030069067A (ko) 파일 재생장치 및 파일 재생방법
JP4255796B2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S58114149A (ja) 電子フアイリングシステム
KR20080002088A (ko) 재생 제어 방법, 재생 제어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
KR200305789Y1 (ko) 브이씨알의 비디오 테이프 디렉토리 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