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727A -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727A
KR20070065727A KR1020050126465A KR20050126465A KR20070065727A KR 20070065727 A KR20070065727 A KR 20070065727A KR 1020050126465 A KR1020050126465 A KR 1020050126465A KR 20050126465 A KR20050126465 A KR 20050126465A KR 20070065727 A KR20070065727 A KR 2007006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ce
defect
defect location
defect position
f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트론
Priority to KR102005012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5727A/ko
Publication of KR2007006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1Semiconductor waf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8Marking def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은, (a) 제작된 반도체 소자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파악을 실시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에서 실시한 시험 파악 결과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BV(Breakdown Voltage)를 측정하여 웨이퍼 관련 여부를 1차 평가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BV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하여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에 의한 결함 위치 찾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찾은 결함 위치를 마킹 작업하는 단계와; (e) 페일 형태 및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결함 위치를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로 찾은 영역을 정밀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디바이스 수율(Yields) 향상을 저해하는 정확한 결함 위치를 찾음으로써 결함의 성형 분석 또는 결함 생성 원인에 대해서 차원 높은 결함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도체 디바이스, 포토 루미네센스, 로컬 스캔

Description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METHOD OF VERIFYING DEVICE DEFECT POSITION USING PHOTOLUMINESC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
도 2a 및 도 2b는 제1원과 제2원 상에 페일 영역이 관찰된 것을 나타내 보인 웨이퍼 평면도.
도 3은 로컬 스캔을 통한 페일 영역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페일 위치를 레이저 마킹한 것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FIB 장비를 이용한 페일 형태를 분석한 것을 나타내 보인 도면.
본 발명은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 페일(Failure) 분석 시 정확한 결함 위치를 찾기 위한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사가 제공하는 베어 폴리시드 웨이퍼(Bare polished wafer)를 이용하여 반도체 제조사에서 소자를 형성 한 후, 고객측 소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고객측 시험(Test) 장비를 이용하여 시험 시, 소자가 정상적인 작동이 되지 않아 페일 레이트(Failure rate)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고객측사에서 원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당사가 제공한 베어 폴리시드 웨이퍼(Bare polished wafer)가 원인이라는 통보를 받아 당사 페일 분석(Failure analysis)을 실시하고자 하나, 정확한 페일 위치 확인이 불가능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는 당사가 제공한 베어 폴리시드 웨이퍼는, 소자 제조 과정이 전혀 안된 미러(mirror) 상태의 웨이퍼이나, 문제되는 웨이퍼는 고객측에서 여러 가지 프로세스(process)가 완료된 상황에서 분석이 들어와 웨이퍼 관련 여부를 파악하는 데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존의 정확한 페일 위치를 고객측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수동(Manual) 방식으로 현미경(microscope)에 의한 검사(inspection) 방법과 EMMI(Emission Microscope Multilayer Inspection) 장비에 의한 방법이 있으나, 둘 다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실패율이 높다.
그러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를 이용하는 경우 정확한 결함 위치를 찾는데 있어서 대단히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객측에서 제공한 불량 웨이퍼를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를 이용하여 고객 측 공정상의 문제인지 당사가 제공한 베어 폴리시드 웨이퍼가 문제인지 확인 가능하도록 한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은, (a) 제작된 반도체 소자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파악을 실시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에서 실시한 시험 파악 결과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BV(Breakdown Voltage)를 측정하여 웨이퍼 관련 여부를 1차 평가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BV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하여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에 의한 결함 위치 찾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찾은 결함 위치를 마킹 작업하는 단계와; (e) 페일 형태 및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결함 위치를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로 찾은 영역을 정밀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폴리시드 웨이퍼(Polished wafer)는 고객측에 제공한 당사의 웨이퍼이고, 디바이스 프로세스(Device process)는 당사가 제공된 웨이퍼를 이용하 여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고객측의 공정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은, 우선, 고객사의 반도체 소자를 제작한 후 시험 시 불량이 있을 경우, 제작된 반도체 소자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파악을 실시한다.(단계 110)
이어서, BV(Breakdown Voltage)를 측정한다.(단계 120) 즉, 상기 단계 110에서 시험 파악 결과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를 발견하면,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BV를 측정하여 웨이퍼와 관련이 있는지 그 여부를 1차적으로 평가한다.
도 2a 및 도 도 2b는 BV 페일 맵(Map)으로, 웨이퍼(10) 상에 제1원(11)과 제2원(12) 주위에 페일 영역이 관찰되고 있다.
이때, 사이퍼(Sipher)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BV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하여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에 의한 결함 위치를 찾는다.
그리고 페일(Failure) 영역에 대하여 풀 맵핑을 실시한다.(단계 130)
또한 페일 영역이 확인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스캔(Local Scan)을 통해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다.(단계 140)
이때 풀 맵핑을 통하여 페일 전극을 선택하고, 페일 영역을 찾을 때까지 해상도를 높여가며 로컬 스캔을 반복한다.
상기한 로컬 스캔을 통하여 결함 위치를 탐색 확인 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laser)를 이용 마킹(marking) 작업을 실시한다.(단계 150)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페일 위치를 확인 한 후에는 페일 형태 및 성분을 알아내기 위해서 FIB(Focused Ion Beam) 장비나,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한다.(단계 160) 즉, 성형/성분 분석을 위해 결함 위치를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로 찾은 영역을 정밀 분석한다.
반도체 디바이스 프로세스(device process) 과정에서 발생 또는 웨이퍼에 기인한 결함 검출과 관련하여 기존의 여러 가지 툴(tool)에 의한 디바이스 페일 분석에 의한 검출 방법이 있으나, 반도체 제조 시 다양한 필름(film)에 의해 정확한 결함 위치를 찾는 것은 어려운 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은, 이와 같은 결함의 위치를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서 결함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객측에서 제공한 불량 웨이퍼를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를 이용하여 고객측 공정상의 문제인지, 아니면 당사가 제공 베어 상태의 웨이퍼가 문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반도체 디바이스 수율(Yields) 향상을 저해하는 정확한 결함 위치를 찾음으로써 결함의 성형 분석 또는 결함 생성 원인에 대해서 차원 높은 결함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a) 제작된 반도체 소자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파악을 실시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에서 실시한 시험 파악 결과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BV(Breakdown Voltage)를 측정하여 웨이퍼 관련 여부를 1차 평가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BV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하여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에 의한 결함 위치 찾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찾은 결함 위치를 마킹 작업하는 단계와;
    (e) 페일 형태 및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결함 위치를 포토 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로 찾은 영역을 정밀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결함 위치는 사이퍼(Sipher) 측정기를 이용하여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결함 위치 마킹 작업은 레이저(laser)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의 분석 시에는 FIB(Focused Ion Beam) 장비나,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KR1020050126465A 2005-12-20 2005-12-20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KR20070065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465A KR20070065727A (ko) 2005-12-20 2005-12-20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465A KR20070065727A (ko) 2005-12-20 2005-12-20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727A true KR20070065727A (ko) 2007-06-25

Family

ID=3836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465A KR20070065727A (ko) 2005-12-20 2005-12-20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5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3792B2 (en) 2008-03-31 2015-08-11 Bt Imaging Pty Ltd. Wafer imag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3792B2 (en) 2008-03-31 2015-08-11 Bt Imaging Pty Ltd. Wafer imag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546955B2 (en) 2008-03-31 2017-01-17 Bt Imaging Pty Ltd Wafer imag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1293A (en) Method of failure analysis with CAD layout navigation and FIB/SEM inspection
CN100465612C (zh) 缺陷检测方法
JP4898139B2 (ja) プローブパッド、半導体素子の搭載された基板及び半導体素子検査方法
CN104425302A (zh) 半导体器件的缺陷检测方法和装置
CN103839771A (zh) 半导体器件失效分析样品制作方法以及分析方法
JP6244307B2 (ja) 表面下欠陥検査用のサンプル作製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22609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z-pat defect-guided statistical outlier detection of semiconductor reliability failures
US7715997B2 (en) Intelligent inspection based on test chip probe failure maps
KR20180010307A (ko) 설계를 사용한 사전 층 결함 사이트 검토
US20210239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latent reliability defects in semiconductor devices
CN109216220B (zh) 半导体器件的缺陷结构定位方法
KR20070065727A (ko) 포토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결함위치 확인방법
US7089138B1 (en) Canary device for failure analysis
US72430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obing locations on IC
CN114530179A (zh) 三维存储器的确定失效沟道孔的方法及测试样品
TWI276818B (en) Defect detection method
CN111370343B (zh) 失效分析方法及结构
KR20090070235A (ko) 웨이퍼 맵 동일 불량 유형 분류 방법
KR20070069810A (ko) 집속 이온비임장비를 이용한 결함 위치 인식시스템
US2008015318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s by guardbanding die regions
WO2008053524A1 (fr) Appareil d'inspection de semi-conducteur et procédé d'inspection de semi-conducteur
WO2002031877A1 (fr) Procede d"analyse de specimen
Patterson et al. Automated SEM Offset using programmed defects
Wilson et al. Automatic in-line to end-of-line defect correlation using FSRAM test structure for quick killer defect identification
Wilson et al. Automatic in-line measure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killer de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