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296A - 보행 자세 교정기 - Google Patents

보행 자세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296A
KR20070063296A KR1020050123375A KR20050123375A KR20070063296A KR 20070063296 A KR20070063296 A KR 20070063296A KR 1020050123375 A KR1020050123375 A KR 1020050123375A KR 20050123375 A KR20050123375 A KR 20050123375A KR 20070063296 A KR20070063296 A KR 20070063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layer
posture corrector
walking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쎄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쎄비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쎄비오
Priority to KR102005012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3296A/ko
Publication of KR2007006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와, 갑피의 하단에 결합되는 밑창을 포함하는 보행 자세 교정기로서, 밑창은 갑피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밑창층과, 제1 밑창층의 하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열되어 가압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쿠션기능을 하는 제2 밑창층과, 제2 밑창층의 하면에 배열되며 임의로 볼록하거나 궁형 또는 호형의 형상을 갖는 제3 밑창층, 및 제1 내지 제3 밑창층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밑창 외피층을 포함한다. 이 발명의 보행 자세 교정기는 가압함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손쉽게 유동하여 쿠션기능을 하는 제2 밑창층으로 인해 보다 향상된 신축감을 주는 능동적 도보를 통해 자세를 똑바로 세워줌으로써, 척추, 관절, 혈관 등 신체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행 자세 교정기{AMBULATION POSE CORREC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능동적으로 굴러가는 도보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행 자세 교정기의 일부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보행 자세 교정기를 착용하고 도보함에 따른 밑창의 변형형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의 일부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행 자세 교정기를 높이방향으로 절취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한 발목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목지지대를 펼쳐 전개한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보행 자세 교정기 210 : 갑피
220 : 밑창 221 : 제1 밑창층
222 : 제2 밑창층 223 : 제3 밑창층
224 : 밑창 외피층
이 발명은 보행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능동적 도보를 통해 자세를 똑바로 세워줌으로써, 척추, 관절, 혈관 등 신체질환을 개선하는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인대, 근육, 힘줄로 이어지는 매우 복잡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민감하고 곧은 척추를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 적응할 수 있다. 수 천년 동안 인간은 이와 같은 자연 조건에 따라 자신의 신체를 사용하고 유지해 왔다.
인류는 불과 지난 몇 백년 전에야 비로소 우리가 사는 지면들을 만들어 오기 시작하였고 인위적으로 그 땅을 평탄하고 견고하게 다듬은 후에 보행하거나 이용하였다. 이렇게 자연에 의도되지 않은 지면을 인간이 보행함에 따라 짧은 역사의 기간 동안 척추, 관절, 혈관 등과 관련된 문제들이 유행병과 같이 만연하기 시작하였다.
사람이 평탄한 지표면 위를 걸어간다는 것은 쉬운 일이라고 누구나 수긍할 것이며, 사실상 그것은 쉬운 일이기 때문에 이동 시스템의 일부만 요구되는 수동적인 도보를 하게 되며, 실제로 사람이 수동적 도보를 하는 쪽으로 유인해왔다. 사람이 거동함에 따라 작용하는 스트레스, 즉 응력이 불균등하다는 것은 특정 일부분은 응력을 받지 않는 반면 다른 쪽은 과다하게 응력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의 수동적 도보로 인해 야기되는 결과로는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 근육, 힘줄 및 인대에 작용하는 응력으로 인해 등허리, 관절, 혈관, 하지 및 발에 이르기 까지 무수히 많다.
상술한 수동적 도보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0033호에 공지된 '능동적으로 굴러가는 도보 장치'가 있다. 이 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0033호에 공지된 능동적으로 굴러가는 도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적으로 굴러가는 도보 장치(100)는 갑피(110)와 밑창(120)으로 구성된다. 갑피(110)는 통상적인 신발의 갑피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가죽, 직물 또는 천연 소재나 합성 소재로 제작된다. 밑창(120)은 중간 밑창(121), 속 밑창(123) 및 바닥 밑창(124)으로 구성하되, 중간 밑창(121)은 강하고 딱딱하며 탄성이 있고, 속 밑창(123)은 부드럽고 탄성이 있으며, 바닥 밑창(124)은 딱딱하고 탄성이 있다. 그리고 중간 밑창(121)과 속 밑창(123)의 사이에는 중간 바닥 밑창(122)이 위치하는데, 이러한 중간 바닥 밑창(122)과 바닥 밑창(124)은 임의로 볼록하거나 궁형 또는 호형의 형상을 갖는 다.
이렇게 구성된 도보 장치(100)는 속 밑창(123) 부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착용자가 도보함에 있어 모래 위에서 맨발로 걸을 때 느끼는 느낌과 같은 신축감을 줄 수 있도록, 속 밑창(123)을 변형이 매우 쉽고 유연한 소재로 제작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중간 바닥 밑창(122)과 속 밑창(123)의 사이에 경화 삽입물(125)을 삽입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밑창구조가 주는 신축감은 속 밑창(123)을 이루는 단일물질의 물성에만 의존하는 것으로서, 속 밑창(123)의 물성에 의한 한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밑창구조의 신축감을 어느 한 부분의 물성에 의존하지 않고 상이한 물성을 갖는 구성요소, 특히 유동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신축감을 갖는 능동적 도보를 통해 자세를 똑바로 세워주고, 척추, 관절, 혈관 등 신체질환을 개선하는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와, 갑피의 하단에 결합되는 밑창을 포함하는 보행 자세 교정기로서, 밑창은 갑피에 부착되는 제1 밑창층과, 제1 밑창층 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 밑창층과, 제1 밑창층과 제3 밑창층의 사이에 삽입되는 유동성 재료로 형성된 제2 밑창층, 및 제1 밑창층, 제2 밑창층 및 제3 밑창층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밑창 외피층을 포함한다.
이 발명의 제2 밑창층은 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은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행 자세 교정기의 뒤축부분의 상단 너머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행 자세 교정기의 일부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200)는 갑피(210)와 밑창(220)으로 구성된다. 갑피(210)는 통상적인 신발의 갑피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가죽, 직물 또는 천연 소재나 합성 소재로 제작된다. 밑창(220)은 그 상단부터 제1 밑창층(221), 제2 밑창층(222), 제3 밑창층(223) 및 밑창 외피층(224)으로 구성된다.
제1 밑창층(221)은 현재 신발의 밑창을 구성하는 재료 중에서 EVA(Ethylene Vinyl Acetate)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EVA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를 공중 합체(Copolymers)시킨 소재로서, 탄성과 투명성과 신장률, 인장강도 등이 일반 호모 폴리머(Homopolymers) 인 LDPE 에 비하여 우수한 특징이 있다. 즉, EVA는 그 탄성 및 인장강도를 이용하여 보행 자세 교정기의 밑창을 제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제1 밑창층(221)은 EVA 이외에 통상적으로 신발의 밑창을 구성하는 다른 재료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EVA 소재로 제작되는 제1 밑창층(221)은 갑피(210)의 하단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또한 일정 두께를 갖는 평탄한 형태를 갖는다. 이 때, 제1 밑창층(221)의 테두리 부위는 일정 경사각 또는 라운드진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제1 밑창층(221)은 일정 두께를 갖되, 균일하게 평탄하지 않고 특정 및/또는 불특정 파형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밑창층(222)은 이 발명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제1 밑창층(221)의 하부면 전체에 걸쳐 일정 높이로 균일하게 배열되어 가압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쿠션기능을 하는 쿠션수단의 역할을 한다. 즉, 제2 밑창층(222)은 가압함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손쉽게 유동하여 쿠션기능을 하는 소재로 제작되어 착용자가 착용하고 도보할 때에 모래 위에서 맨발로 걸을 때 느끼는 느낌과 같은 매우 효과적인 신축감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제2 밑창층(222)은 통상적인 젤(Jell)을 이용하여 가압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쿠션기능을 하는 쿠션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때, 제2 밑창층(222)을 구성하는 젤이 상하층에 위치하는 제1 밑창층(221) 및 제3 밑창층(223)에 흡수되지 않도록 표층 처리해야 한다. 예를 들 어, 젤을 유연한 밀폐봉지에 저장함으로써 제2 밑창층(222)을 구성하거나, 제1 밑창층(221)과 제3 밑창층(223)의 사이에 일정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젤을 충진함으로써 제2 밑창층(222)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밑창층(22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에 걸쳐 일정 두께를 갖는 평탄한 형태로 배열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두께를 갖되 균일하게 평탄하지 않고 특정 및/또는 불특정 파형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밑창층(222)의 테두리 부위는 일정 경사각 또는 라운드진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밑창층(223)은 제2 밑창층(222)의 하부면에 위치하되, 임의로 볼록하거나 궁형 또는 호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3 밑창층(223)은 상기 제1 밑창층(221)과 동일하게 현재 신발의 밑창을 구성하는 재료 중에서 EVA(Ethylene Vinyl Acetate) 소재로 제작하거나, EVA 이외에 통상적으로 신발의 밑창을 구성하는 다른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갑피(210)의 하면으로부터 제1 내지 제3 밑창층(221 ~ 223)을 순차적으로 배열할 경우, 전체적인 하부 윤곽은 임의로 볼록하거나 궁형 또는 호형의 형상을 갖는다.
밑창 외피층(224)은 제1 내지 제3 밑창층(221 ~ 223)을 순차적으로 배열함에 따라 임의로 볼록하거나 궁형 또는 호형의 형상을 갖는 하부 윤곽선을 따라 설치되어 제1 내지 제3 밑창층(221 ~ 223)의 구성요소들 전부 또는 대부분을 감싸 보호하고 미끄럼 저항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밑창 외피층(224)은 일정 두께를 갖 는 고무재질로 구성하거나, 통상적으로 신발의 밑창을 구성하는 다른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밑창(220)은 용도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징 등이 부착된 밑창 외피층(224)을 채택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를 착용하고 도보함에 따른 밑창의 변형형태를 살펴보겠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보행 자세 교정기를 착용하고 도보함에 따른 밑창의 변형형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착용자가 보행 자세 교정기를 착용하고 도보할 경우 먼저, 도 4a와 같이 발뒤꿈치에 의해 밑창 외피층(224)의 뒤축부분이 가압되고, 그로 인해 제2 밑창층(222)을 구성하는 젤이 자연스럽게 보행 자세 교정기의 전방 쪽으로 유동하여 쿠션기능을 한다. 그러다가 도 4b와 같이 발바닥에 의해 밑창 외피층(224)의 중간부분이 가압되고, 그로 인해 제2 밑창층(222)을 구성하는 젤이 자연스럽게 보행 자세 교정기의 전방 및 후방 쪽으로 양분되어 유동하여 쿠션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도 4c와 같이 발가락 부위에 의해 밑창 외피층(224)의 앞축부분이 가압되고, 그로 인해 제2 밑창층(222)을 구성하는 젤이 자연스럽게 보행 자세 교정기의 후방 쪽으로 유동하여 쿠션기능을 한다. 이렇듯, 이 실시예의 보행 자세 교정기(200)는 가압함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손쉽게 유동하여 쿠션기능을 하는 제2 밑창층(222)을 통해 착용자가 착용하고 도보할 때에 모래 위에서 맨발로 걸을 때 느끼는 느낌과 같은 매우 효과적인 신축감을 준다.
<제2 실시예>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의 일부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300)는 별도의 발목지지대를 더 구비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보행 자세 교정기(2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발목지지대를 위주로 설명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유사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0)는 그 하부가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갑피(310)의 뒤축부분(311)의 상단으로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성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행 자세 교정기를 높이방향으로 절취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한 발목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목지지대를 펼쳐 전개한 전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0)는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행 자세 교정기의 뒤축부분의 상단 너머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감싸서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발목지지대(400)는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 예를 들어, 중창의 상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발목지지대(400)의 하부는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410)을 갖는다.
도 6은 부착수단(410)을 안창(312)과 중창(313) 사이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부착수단(410)은 보행 자세 교정기의 뒤축부분(311)이나 갑피(310)에 부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부착수단(410)은 보행 자세 교정기의 바닥에 고정될 수만 있다면 어떻게 구성하든 무방하다. 부착수단(410)을 이루는 바닥은 일부분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모든 부분이 폐쇄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부착수단(410)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발목지지대(400)는 부착수단(410)이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311)의 상단 너머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함으로써 발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수단(420)의 상측에는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에서 다리를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착용수단(4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400)의 착용수단(430)은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431)가 그 상단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이 편리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방에 절개부(432)가 형성된다. 즉, 착용수단(430)은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정강이뼈를 따라 배치될 위치까지 절개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 때, 절개된 착용수단(430)의 제1 단이 한 쪽의 갑피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고, 제2 단이 다른 쪽의 갑피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400)는 착용수단(430)의 절개부(432)의 양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겨 착용자의 발목에 밀착시키도록 끈으로 조일 수 있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임수단이 지지수단(420)의 양 측을 따라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과 통상적인 신발을 조이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지지수단(420)의 양 측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벨크로 파스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임수단을 지지수단(420)의 양 단을 따라 각각 재봉 결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로 구성하거나, 지지수단(420)의 양 측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잠금부 및 잠금기능을 갖는 벨트로 구성된 벨트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조합하여 조임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수단(420) 및 착용수단(430)은 착용상태에서 외부의 이물질 등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수단(420)이 그 일측 내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절개부(432)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설편(도시안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지지수단(420)의 설편은 그 하부가 제1 실시예의 보행 자세 교정기에 형성된 설편과 어느 정도 중첩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수단(420)의 설편에는 제1 실시예의 보행 자세 교정기의 설편과 부착 결합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혹은, 보행 자세 교정기의 설편을 연장하여 절개부(432)를 덮을 수 있는 정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수단(420)을 외부의 이물질 등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착용자의 발목 사이즈보다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지지수단(420)을 제1 실시예의 보행 자세 교정기에 채용하여 사용할 경우, 착용자의 발목을 감싼 지지수단(420)이 서로 겹쳐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0)는 절개부(432)가 없는 폐쇄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착용수단(430)을 신축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양호하며, 지지수단(420)도 탄성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0)는 절개부(432)를 갖되, 절개부(432)를 탄성부재로 폐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0)는 종래기술과 달리 하부가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 부착되어 보행 자세 교정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지만, 보행 자세 교정기의 뒤축부분과 발목지지대(400)의 지지수단(420)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0)를 채용한 보행 자세 교정기는 착용자의 발목관절이 보행 자세 교정기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400)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0)를 채용한 보행 자세 교정기는 발목지지대(400)의 하부가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 고정되기 때문에,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보행 자세 교정기와 발목지지대(400)가 동시에 지지하기 때문에 발목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0)는 지지수단(420)을 이종 재질로 구성하되 이들을 서로 재봉하여 결합하고, 조임수단을 관통구멍(427)과 끈(428)으로 구성하였다. 즉, 지지수단(420)의 상측에는 착용수단(430)이 형성되고, 이 착용수단(430)은 삽입구(431) 및 절개부(432)가 그 상단 및 전방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착용수단(430)을 착용자의 다리에 감싸서 착용하면, 발목지지대(400)는 착용자의 발이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다리에 대해 적절한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관절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착용수단(430)은 지지수단(4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의 다리를 감싸게 구성된 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수단(420)은 보행 자세 교정기의 뒤축부분에 내외부로의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통기부(421)와, 발목을 부분적으로 보강하는 보강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기부(421)는 보행 자세 교정기를 신고 도보함에 따라 그 내부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통기부(421)는 통풍이 원활한 구조를 갖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되, 하부에서 일정 높이의 상부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스트립은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따라 배치되어 착용수단(430)의 스트립과 부착수단(4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1 보강스트립(422)과, 착용자의 내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430)의 스트립과 부착수단(4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2 보강스트립(423), 및 착용자의 외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430)의 스트립과 부착수단(4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3 보강스트립(424)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보강스트립(422, 423, 424)을 포함하고 있지만, 그 중의 하나 이상을 생략해도 무방하다. 보강스트립은 도보(운동 포함)에 임하기 전 발의 근육 신경이 급격히 이완되거나 수축되지 않도록 근육 신경을 따라 행하는 테이핑(Taping)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보강스트립은 보행 자세 교정기의 재질과 동일하게 천연가죽, 인조가죽 중에서 아주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 가죽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착용수단(430)상의 스트립과 지지수단(420)상의 제1 내지 제3 보강스트립(422 ~ 424)의 전개된 형상이 엠(m)자를 이루게 된다. 이렇듯, 지지수단(420)은 발목을 감싸 지지함과 동시에, 보강스트립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발목과 발을 연결하는 발목관절 및 각종 인대(아킬레스건 포함)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지지수단(420)은 착용자가 앞으로 발목을 구부릴 경우 자연스럽게 접혀 착용자의 발목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다수의 접힘부(425)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수단(420)은 그 양측이 요철 형태로 구성되어 다수의 접힘부(425)를 갖는다. 이 때, 지지수단(420)은 그 상단에 돌출되는 형태의 발목 조임부(426)가 형성되어 발목을 효율적으로 조일 수 있다. 이러한 발목 조임부(426)는 착용수단(430)의 스트립의 양단과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수단(420)에는 절개부(432)의 양측을 연결하는 끈(428)이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구멍(427)이 각각 형성된다.
도 5의 미설명 부호 320은 밑창, 321은 제1 밑창층, 322는 제2 밑창층, 323은 제3 밑창층, 324는 밑창 외피층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목지지대(400)가 부착된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300)는 가압함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손쉽게 유동하여 쿠션기능을 하는 제2 밑창층(322)을 통해 착용자가 착용하고 도보할 때에 모래 위에서 맨발로 걸 을 때 느끼는 느낌과 같은 매우 효과적인 신축감을 준다. 또한, 이 실시예의 보행 자세 교정기(300)를 착용한 착용자는 발목관절이 보행 자세 교정기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 발명의 보행 자세 교정기는 가압함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손쉽게 유동하여 쿠션기능을 하는 제2 밑창층으로 인해 보다 향상된 신축감을 갖는 능동적 도보를 통해 자세를 똑바로 세워줌으로써, 척추, 관절, 혈관 등 신체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보행 자세 교정기를 착용한 착용자는 발목관절이 보행 자세 교정기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은 발목지지대의 하부가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어서,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보행 자세 교정기와 발목지지대가 동시에 지지하여 발목의 꺾임을 예방함에 따라 발목과 발을 연결하는 발목관절 및 각종 인대(아킬레스건 포함)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착용자의 자유로운 발목 움직임이 가능하다.

Claims (3)

  1.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하단에 결합되는 밑창을 포함하는 보행 자세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상기 갑피에 부착되는 제1 밑창층과,
    상기 제1 밑창층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 밑창층과,
    상기 제1 밑창층과 상기 제3 밑창층의 사이에 삽입되는 유동성 재료로 형성된 제2 밑창층, 및
    상기 제1 밑창층, 제2 밑창층 및 제3 밑창층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밑창 외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밑창층은 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보행 자세 교정기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행 자세 교정기의 뒤축부분의 상단 너머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도보가 가능한 보행 자세 교정기.
KR1020050123375A 2005-12-14 2005-12-14 보행 자세 교정기 KR20070063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375A KR20070063296A (ko) 2005-12-14 2005-12-14 보행 자세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375A KR20070063296A (ko) 2005-12-14 2005-12-14 보행 자세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296A true KR20070063296A (ko) 2007-06-19

Family

ID=3836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375A KR20070063296A (ko) 2005-12-14 2005-12-14 보행 자세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32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8710T3 (es) Calzado que tiene porciones de dedos del pie articulables independientemente
US4974343A (en) Foot support and cushioning device
AU2006234773B2 (en) A shoe
US8156665B2 (en) Padded shoe
AU2009266936B2 (en) Padded shoe
US8156664B2 (en) Padded shoe
AU2007319507B2 (en) Padded shoe
US20180055139A1 (en) Ballet shoe
JP2006081797A (ja) 靴構造の履物
BRPI0618001B1 (pt) Calçados semelhantes a meias-curtas acolchoadas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JP4047871B2 (ja) 甲留めベルトで係合する靴
KR20070063296A (ko) 보행 자세 교정기
KR200341150Y1 (ko) 헬스 신발
JP2004057582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サンダル
RU206419U1 (ru) Ботинки защитные ортопедические
KR100872309B1 (ko) 마사이워킹용 양말
RU2795494C2 (ru) Адаптивная обувь для игры в футбол
JP3111460U (ja) 履物
US8512270B2 (en) Dynamic foot-arch support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s
KR100575138B1 (ko) 건강신발
JPH11196902A (ja) 運動機能補助構造
JPH11169205A (ja) 健康靴およびその中敷
JP2007014670A (ja) 靴構造の履物
JP3462837B2 (ja) 履 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