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976A - 두 구조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밀봉하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를 가진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두 구조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밀봉하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를 가진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976A
KR20070062976A KR1020077005159A KR20077005159A KR20070062976A KR 20070062976 A KR20070062976 A KR 20070062976A KR 1020077005159 A KR1020077005159 A KR 1020077005159A KR 20077005159 A KR20077005159 A KR 20077005159A KR 20070062976 A KR20070062976 A KR 2007006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rofile
duct
sealing device
seal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르네 피. 슈미드
Original Assignee
아그라르 케미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403760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4037604A1/de
Application filed by 아그라르 케미에 아게 filed Critical 아그라르 케미에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6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3Compressable seals of hollow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7Expansion elements for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2001/6818Joints with swellabl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구조 몸체(5, 6) 사이, 특히 콘크리트 몸체 사이의 조인트(4)를 주입 덕트(3)가 제공되는 조인트(4)의 영역에서 밀봉하고, 주입 덕트(3)는 조인트(4)와 이 조인트(4) 내에 존재하는 보이드(void)를 밀봉하기 위하여 밀봉제로 채워지거나 채워질 수 있으며, 주입 덕트(3)는 그 내부에 배열되며 이 주입 덕트(3)를 채우는 압출 스페이서 몸체를 가지고, 주입 덕트(3)는 구조 몸체(5, 6)의 벽들에 의해서만 형성되며, 압출 스페이서 몸체는, 그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hollow profile duct)를 가지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hollow profile extrusion)인 밀봉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가 제2 구조 몸체를 붓는 동안 습윤 콘크리트의 정수압을 견디고 주입 덕트(3)의 내부로 밀봉제가 프레스될 때 프레스 되며 단면이 좁아지고 주입 덕트(3)의 벽들로부터 멀어지는,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영역까지 멀어지는 3차원 형상을 가지도록,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3차원 형상 및 물질, 또는 내부 압력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덧붙여 밀봉 장치용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 및 밀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 압출 스페이서 몸체, 밀봉 장치, 주입 덕트

Description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를 가지며 두 구조 몸체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장치{Sealing device witha hollow profile extrudate for sealing a joing between two structural bodies}
본 발명은 두 개의 구조 몸체들 사이의 워킹 조인트(working joint) 내에 배열되며 주입 덕트를 가지는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제 2 구조 몸체를 콘크리팅하는 동안 주입 덕트를 비어있게 유지하는 압출된 스페이서 몸체(extruded spacer body)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구조 몸체들 사이, 예를 들어, 평판 형상의 바닥과 그곳에 배열된 콘크리트 벽 사이, 두 개의 바닥 평판 사이, 또는 파이프와 콘크리트 몸체 또는 파이프를 둘러싸는 것 사이의 파이프 리드스루(leadthrough) 내의 워킹 조인트에서 압축수(pressing water)에 대항하여 현재 사용되는 밀봉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의 구조 몸체의 표면에 놓이며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튜브 모양의 덕트 몸체를 가진다. 이 덕트 몸체는 밀봉제(sealing medium)를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밀봉제가 덕트 외부로 나와 밀봉될 조인트 영역 내로 이동하는 출구 오르피스(orifice)을 가진다.
이러한 밀봉 덕트 몸체는 다양한 3차원 모양을 가진다. 예를 들어 원형(G 89 15 525), 삼각형(DE 197 02 248 A1, 도 2), 타원형(DE 41 40 616 A1, 도 2), 후드형(DE 200 08 203 U1, 도 1, EP 0418 669 A1, G 94 02 078, 도 1) 또는 사각형(G 94 02 078, 도 5 내지 도 10)의 단면을 가진다.
많은 경우에, 제2 구조 몸체를 콘크리팅하는 동안에 콘크리트 물질이 출구 오르피스로 들어가거나 오르피스 및/또는 통과 덕트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구 오르피스는 밸브 몸체에 덮힌다.(예를 들어 G 94 02 078, G 89 15 525, DE 200 08 203 U1, DE 414 40 616 A1, DE 197 02 248 A1, 도2)
게다가 이러한 밀봉 장치 중 몇몇은, 물의 진입에서, 조인트 영역을 팽창하고 밀봉하는 팽창 스트립(swelling strip)이 외부에 장치된다.(예를 들어, DE 197 02 248 A1, 도 2, DE 41 40 616 A1)
제2 구조 몸체를 콘크리팅 하는 동안 상기 3차원 형상이 변형 없이 습윤 콘크리트의 정수압(hydrostatic wet concrete pressure)을 견딜 수 있도록 덕트 몸체의 물질 및 3차원 형상이 설계되어, 통과 덕트가 개방되도록 한다. 액체 밀봉 물질은 외부로부터 통과 덕트로 프레스(press) 되고, 덕트 몸체의 출구 오르피스 통하여 워킹 조인트의 영역 내에서 밀봉되는 여유 공간으로 관통하여 워킹 조인트를 밀봉한다.
알려진 밀봉 장치는 덕트 몸체의 벽이 구조 몸체 표면 그리고 덕트 몸체를 둘러싸는 조인트 영역 면적을 상대적으로 큰 부분으로 덮어 구조 몸체의 보이드(void) 안으로 밀봉 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제2 구조 몸체를 콘크리팅 하는 동안, 덕트 몸체의 출구 오르피스가 적어도 부 분적으로 차단되지 않거나 덕트 몸체가 붕괴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는 충분한 신뢰성을 주지 못했다. 게다가 대부분의 덕트 몸체에서 밀봉제의 유동 경로는 너무 길거나 및/또는 많은 저항을 견뎌야 했다.
제2 구조 몸체가 콘크리팅 하는 동안 주입 덕트를 비어 있게 유지하는 스페이서 물질이 밀봉 장치에 반드시 사용되는 방법이 이미 기술되었다(DE 34 29 815 C2). 이 경우에, 다음 부분을 콘크리팅 하기 전에, 제1 액상 플라스틱이 압출부의 형태로 제1 콘크리트 부분의 홈 내로 콘크리트된 부분에 인접하고 워킹 조인트의 면을 형성하는 자유면에 가해져야 하고, 상기 액상 플라스틱은 그 후에 팽창된다. 제1 액상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는 폼(foam)을 양생(curing)한 후에, 폼이 주입 덕트를 채우고 주입 덕트를 콘크리트로부터 자유롭게 유지하는 동안, 워킹 조인트에 인접한 다음 부분이 콘크리트 되어야 한다. 폼으로 채워진 주입 덕트를 함께 프레스하기 위해서는, 워킹 조인트 영역을 이동할 수 있는 높은 압력의 제2 액상 플라스틱이, 특히 홈의 체적보다 작은 체적으로 도입되어야 하며, 이에 의해 제2 액상 플라스틱이 워킹 조인트의 영역에서 이동할 수 있다(도 3). 포밍 압출부(foaming extrusion)는 일정한 3차원 형상을 할 수 없고, 폼드 압출부(formed extrusion)는 제2 구조 몸체의 습윤 콘크리트에서 상당한 리프트(lift)을 경험하여 제1 구조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헐거워지거나 뜰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이러한 복잡한 밀봉 방법은 제어하기 힘들며 또는 비실용적이다. 게다가 에이징(ageing)에 의해, 폼은 상대적으로 빨리 3차원 형상을 잃으며 결과적으로 또한 워킹 조인트에서 잠정적인 밀봉 기능을 잃는다. 게다가, 함께 프레싱하는 동안, 제2 액상 플라스 틱이 워킹 조인트 영역에서 밀봉되어야 할 보이드 앞 또는 내의 제1 양생 플라스틱 폼의 물질을 프레스하고, 제1 플라스틱이 보이드의 덕트 측면 출구를 막아, 제2 액상 플라스틱이 보이드를 통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이러한 알려진 방법은 어떠한 실용적인 적용도 없었다. 대신, 비록 덕트 몸체 복잡성과 이에 따른 주입 방법 비용의 상당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체 덕트 몸체에 증명된 원칙은 추구되어 왔고 그 기능은 최적화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수단에 의해 단순한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고 최적의 밀봉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구조 몸체들의 워킹 조인트 사이의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발전은 종속항에서 특징 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구조 몸체의 주입 덕트를 비어 있게 유지하기 위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로 구성되고 제2 구조 몸체의 정수압을 흡수하는 지지 벽으로 설계된 압출된 스페이서 몸체가 사용된다. 압출 몸체가 콘크리팅하는 동안 최소한으로 압축되는 반면 외부로부터 압출 몸체에 대항하여 가해지는 밀봉제에 의해 주로 압축되도록, 3차원 프레임워크(framework)와 물질이 선택되어, 주입 덕트의 부분 영역은 밀봉제의 관통 흐름(throughflow)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경우에 3차원 형상과 압출 몸체의 물질은, 압력 매체의 일면의 압축 로드 하에서 압출 몸체의 포장이 덴트(dent)되고 이에 의해 인접한 포장 영역은 주입 덕트 내부 벽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밀봉제의 관통 유동 공간은 주입 덕트의 길이 방향 뿐만 아니라 주입 덕트 공간의 횡단 방향에서 해제되어야 하고 그리하여 밀봉제가 워킹 조인트 평면과 나아가 그 보이드의 측면으로 전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공동(cavity) 및 챔버(chamber)는 제2 구조 몸체를 콘크리팅 하기 전에 습윤 콘크리트의 정수압을 방해하는 내부 압력하에서 놓여야 한다. 이 내부 압력은 예를 들어, 압축 공기 또는 액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정수압의 감소 후에 다시 없어질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세팅 후에 내부 압력은 지속되거나 적당하게 증가하여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에 의해 의도된 워킹 조인트의 잠정적인 밀봉 효과가 더 증가된다. 상기 내부 압력은 밀봉제의 프레싱이 일어날 때에만 없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에서, 함께 압축되기 전에 진공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챔버에 생성되어, 함께 압축되는 동안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되거나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가 붕괴되고 주입 덕트 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 영역이 헐거워진다.
챔버를 액체로 채우는 것 및/또는 챔버를 비우기 위해서는, 그 자체가 알려진 대응하는 밸브 장치를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에 배열하거나 및/또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한쪽 단부에서 폐쇄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낮은 밀봉제 압력에 의해 덴트(dent)될 수 있는 더 유연한 물질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로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내부 압력은 변화할 수 있으며 기대되는 정수압에 적응할 수 있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물질 선택 및/또는 3차원 구조가 기대된 정수압에 의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립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특히 측면 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래버린스 밀봉(labyrinth seal) 방식에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 주위의 워킹 조인트를 통하여 통과하는 압축수(pressing water)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립의 결합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워킹 조인트 영역에서, 물의 진입에서 팽창하는 물질로 구성된 팽창 스트립을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 위에서 배열하는 설비가 있다. 적절하게, 팽창 스트립은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구조 몸체의 워킹 조인트 면에서 베어링 벽을 구성할 수 있다. 팽창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양 측면 위에 엣지 웹(edge web)을 가지면서 돌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를 밀봉제에 의하여 프레스(press)하는 것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한쪽 단부에서 통상의 방식으로 발생할 것이다. 밀봉제는 다른 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움푹 파인 중공 프로파일 몸체 압출부로 덴트(dent)하며 주입 덕트에 대응하는 여유 공간을 형성한다. 그 후 밀봉제는 여유 공간으로부터 워킹 조인트 영역의 보이드(void)를 통과하며 이 보이드를 밀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주입 덕트가 제2 구조 몸체의 외부로부터 접근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밀봉제를 함께 압축하는 데 있어서 워킹 조인트 영역에서만 실제 누설 공간(leaky place)이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단순한 가능성이 있다.
하나의 가능성에 따르면, 밀봉 물질로부터 피드 홀을 자유롭게 유지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인, 프레싱 튜브(pressing tube) 또는 이동 가능한 원통형 막대가, 제2 구조 몸체를 통하여 주입 덕트로부터 외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를 설치하는 동안 소정의 구간에 놓인다. 제1 구조 몸체의 표면에 중공 프로파일 몸체를 설치하는 경우에, 콘크리트 하는 동안의 습윱 콘크리트 물질 및/또는 함께 프레스되는 동안의 밀봉 물질이 상기 중공 챔버 내부로 관통하는 방식에 따른 중공 프로파일 몸체 압출부의 중공 챔버의 누설을 일으키지 않는 통상적인 안착(laying) 수단이 사용된다.
누설되는 워킹 조인트 영역의 근처 또는 이 주입 덕트에 직접 위치하는 주입 덕트 위의 특정 위치에서 오르피스(orifice)을 통하여 밀봉 물질은 주입 덕트로 언제든지 프레스 될 수 있다.
두 번째 가능성에 따르면 구멍(bore)이 가능한 제2 구조 몸체를 통하여 한 누설 워킹 조인트 위치 영역에서의 주입 덕트까지 형성되며, 밀봉 물질은 이 구멍을 통하여 또는 구멍에 삽입된 파이프를 통하여 프레스된다.
워킹 조인트의 누설 영역은 함께 프레스될 필요가 있고 주입 덕트는 전체 길이에 걸쳐 함께 압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밀봉 물질이 이러한 프레스 가능성들 모두에 의해 안전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된 스페이서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이고 외부로부터 밀봉매체가 접근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를 가진 관형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이며, 액상 경화 밀봉 물질이 주입 덕트 안으로 프레스 될 때 내부 압축 압력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외부로부터 작용하며 중공 프로파일 덕트의 구멍 내의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 영역으로 옮겨지도록 한다. 밀봉제의 통과 공간은 그에 의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3차원 형상, 특히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의 배열과, 중공 프로파일 덕트의 3차원 형상은, 밀봉제의 통과 공간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외부에 제공되고 조인트 영역까지 측면적으로 해방시킬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에 따라 밀봉 물질이 조인트 영역 안으로 프레스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형상과 물질 선택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가 제 2 콘크리트 부분의 습윤 콘크리트 질량이 정수압을 견디는 3차원 비 변형성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는, 이 중공 프로파일 덕트 또는 중공 프로파일 덕트들이 공동(cavity) 내에서 덴트(dent) 또는 이동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밀봉제의 프레스 압력(pressing pressure)이 요구된다.
낮은 프레스 압력의 적용에서, 본 발명은 주입 전 또는 주입 중에 중공 프로파일 덕트 내에서 소정의 덴트를 생성하거나 이를 보조하기 위하여 진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3차원 비 변형성은 습윤 콘크리트 압력을 쉽게 견딜 수 있는지 그리고 습윤 콘크리트를 붓기 전에 중공 프로파일 덕트의 내부 압력이 요구된 3차원 비 변형성을 보장하도록 발생되는지에 따라 선택된다. 콘크리트를 보강 및/또는 설치한 후에, 가스 또는 액상 매체에 의해 생성되는 내부 압력이 파괴되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3차원 비 변형성이 감소되고,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덴트(dent)가 프레스된 밀봉제의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스 압력에서 이행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역시 다른 덴트를 돕기 위해서는 밀봉 물질이 프레스될 때 중공 프로파일 덕트에 진공이 가해져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측면적으로 옆으로 배열되거나 및/또는 하나가 그 위로 배열되는 복수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를 가진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가 사용된다. 그리고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특정 영역의 덴트를 직접적으로 보조하기 위하여, 진공 하에 놓여지는 인접한 덕트 또는 덕트들만이 진공이어서, 직접 방식에서의 밀봉제를 위한 통과 덕트가 미리 결정되어 밀봉제를 이 특정된 방향을 따라 직접 방식에 의해 조인트 영역으로 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3차원 형상은 덴트가 소정의 영역에서 발생하도록 선택되어, 밀봉제를 위한 소정의 관통 통과 덕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지지 벽,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중공 프로파일 덕트의 구멍을 분리하는 측면 벽 또한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고 덴트가 진행되는 동안 정의된 물질의 변형을 보장하는 소정의 굽힘 영역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와 함께 워킹 조인트(working joint)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구조 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절단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 몸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압축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밀봉 장치(1)는, 두 개의 구조 몸체(5, 6) 사이의 조인트(4) 영역 내에 위치하는 주입 덕트(3) 및 이 내부에 배열되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로서 설계되는 압출 스페이서 몸체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구조 몸체(5, 6)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콘크리트 몸체이다. 이는 하나의 밑바닥과 하나의 벽, 두 개의 밑바닥 콘크리트 평판, 두 개의 콘크리트 벽, 또는 파이프와 콘크리트 몸체 사이의 조인트 영역이다.
주입 덕트(3)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가 제1 콘크리트 몸체(5) 위에 배열되고, 예를 들어 놓여지고, 나사로 조여져서 제조된다. 이어서, 스페이서 몸체로서의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가 주입 덕트(3)에 콘크리트 물질이 없는(free)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인트(4)를 형성하도록 제2 구조 몸체(6)가 제1 구조 몸체(5)에 콘크리팅 된다.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은 콘크리트 물질이 여전히 액상인 습윤 콘크리트에서 위치가 변하거나 떠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는,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폴리비닐콜로라이드(polyvinylchloride)와 같은 탄성 중합체 물질(elastomeric material)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부에 특히 유리한 3차원 형상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밀봉제가 프레스될 때 3차원 형상의 유리한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따른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는 콘크리트 몸체(5)의 평면 콘크리트 표면(7) 위에 고정되는 평면 바닥면(8), 직각으로 위로 향한 두 개의 평면 측면(9, 10), 배럴-볼티드(barrel-vaulted) 상부면(11)을 가진다.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내부에는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가 서로의 옆에 측면으로 도입된다. 이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는 측면(9, 10)과 수직 또는 평행한 지지 벽(12)에 의해 횡단 중앙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고,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확장된다. 덕트들(13, 14)의 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에 수직하는 횡단 중앙 평면(15)에 대칭으로 적절하게 배열된다. 게다가, 덕트들(13, 14)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이며 평면 지지 벽면(16)을 제공한다. 이 평면 지지 벽면(16)은, 바닥면과 측면 측에 위치한 실린더형의 아치 형태의 오목 덕트면(17)과 상부면 측에 위치한 실린더 형의 아치 형태의 볼록 덕트면(18)과 병합한다. 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형상은 수평으로 렌즈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상부 벽(19)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덕트(13, 14)는 양쪽 측면이 폐쇄 또는 개방되게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한쪽 측면이 개방 상태로 설계되고, 이 개방 단부에는 바람직하게 덕트(13, 14)의 압력 초과를 지배하는 밸브 장치와 진공이 제공된다. 밀봉제는 바람직하게는 덕트(13, 14)의 폐쇄 단부가 존재하는 주입 덕트(3)의 단부에 프레스된다. 예를 들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일 단부면으로부터, 도 10의 화살 표(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11)과 주입 덕트(3)의 벽 사이로 밀봉제가 주입 덕트(3)에 프레스될 때,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은 콘크리트 표면(7)으로 프레스된다(도 10). 주입 덕트(3)의 일부 영역으로서의 통과 덕트(20)가 상부면(11)에 형성되도록 상부면(11)이 콘트리트 표면(7)의 방향으로 프레스된다.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가 압축되고 측면 벽(9, 10)이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의 공동(cavity)으로 프레스되는 것에 의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단면 형상이 변한다. 이 경우에, 측면(9, 10)은 주입 덕트(3)의 벽으로부터 뒤로 이동하여, 그 결과 통과 덕트(20)가 조인트 영역(4)까지 측면적으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도 10의 화살표(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제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를 지나 조인트 영역 안으로 측면적으로 관통할 수 있어,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제가 조인트 영역, 그리고 크랙(4a) 및 공동(cavity) 또는 기공(pore)(4b)와 같은 보이드(void)를 채울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구조 몸체(5, 6)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드 홀(21)이 제공된다(도 1 및 도 2). 이 피드 홀(21)은, 예를 들어 주입 덕트(3)에 대하여 횡단 방향으로 향하고, 외부로부터 주입 덕트(3)로 안내되며, 구조 몸체를 통하고, 이를 통하여 밀봉제가 조인트 영역의 특정 또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직접 주입 덕트(3)로 주입될 수 있다. 상부면(11)의 천정 영역에 생긴 통로 구멍(21)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상부면(11)과 주입 덕트 벽 사이에서 주입 덕트(3)의 한쪽 단부에서 주입되는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위로부터 압축된다. 피드 홀(21)이 주 입 덕트(3)의 천장 영역으로부터 측면적으로 생기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비대칭적 변형을 초래하며(도시되지 않음),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주입 덕트(3) 인접 벽에 대하여 두 측면(9, 10)의 하나에 압력을 가한다. 반대 측면에서 통과 덕트(20)는 조인트 영역까지 확장된다. 통과 구멍(21)은 콘크리팅하는 동안 유리하게 형성되거나 콘크리트가 설치된 후 구멍(bore)으로서 직접적 방식으로 도입된다.
밀봉 장치의 일 예에서, 바람직하게 한 조각의 팽창 스트립(swelling strip)(30)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바닥면(8) 위에 배열되며(도 7) 콘크리트 표면(7) 위에 베어링 벽을 형성한다(도 2). 팽창 스트립(30)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양쪽 측면 위에 돌출된 두 개의 엣지 웹(edge web)(31)을 가지며 둔각의 각도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로부터 적절하게 굽은 평판 스트립으로 설계된다. 콘크리트 표면(7) 위에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를 놓기 위해서는, 팽창 스트립(30)이 콘크리트 표면(7)의 그 면적 위에 놓이도록 약간의 압축력이 가해져야 한다. 팽창 스트립(30)은 팽창 고무 또는 팽창 플라스틱, 특히 팽창 가능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같이 물의 진입에서 팽창하는 물질로 구성된다. 만약 조인트 영역에 조인트 영역 내로 물이 통과하는 것을 초래하는 미세한 누설되는 부분(leak)이 있다면, 팽창 스트립(30)은, 전술한 것처럼 필요한 밀봉제의 주입 없이도 단순히 팽창함으로써 물의 통과를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특히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두 측면(9, 10) 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립(32)이 일체로 형성된다(도 7). 이 립(32)은 래버린 스(labyrinth) 방식에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주위에서 조인트(4)를 통하여 통과하는 압축수의 흐름을 방해한다. 특히 서로의 결합에서, 팽창 스트립(30)과 립(32)은 압축수에 대항하여 조인트(4)를 효과적으로 밀봉하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 주위의 흐름이 팽창 스트립(30)에 의해 바닥면(8)을 따라 방지되고 상부면(7)을 따라 립(32)에 의해 방지된다.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상부 벽(11a)은, 주입 덕트가 밀봉제와 함께 프레스될 때 필요한 변형 힘의 감소를 보장하는 렌즈 모양 단면(도 4)을 가진 다른 덕트(28)를 가지고 있다. 도 5에 따른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3차원 형상은 변형 압력에서 더 많은 감소를 보장하는 형상으로, 특히 실린더형의 채널 형상의 상부면(11)을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일 예에서는 바닥 측에 렌즈 단면의 덕트(28)를 배열하고 이 위로 거꾸로 덕트(13, 14)를 위치시키는 설비가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고 지지 벽(22, 23)에 의해 분리된 세 개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33)를 가진다(도 8). 측면(9, 10)에 인접한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33)의 단면 형상은 둔각이므로, 이들은 애로우 팁(arrow tip)을 닮게 된다. 여기서 후자는 각 측면(9, 10)의 외부를 가리킨다. 이는 둔각으로 굽기 위해 설계된 지지벽(22, 23)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다시 애로우 팁을 닮기 위해, 외부를 가리키고 위쪽으로부터 프레스될 수 있는 소정의 굽힘점(24, 25)에 기인한다. 유리하게 측면(9, 10)은 지지 벽(22, 23)의 굽힘 방향으로 둥글게 설계되며, 그것들은 지지 벽(22, 23)과 유사한 방식으로 위로부터 둥글게 된다. 유리하게 측면(9, 10)의 굽힘은, 측면(9, 10)의 외부에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 위의 풋(foot)(27)을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소정의 굽힙점(29, 34)을 형성하는 플루트(flute)(26)에 의해, 강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굽힘점(29, 34)은 소정의 굽힘 포인트(24, 25)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중간 높이 영역에서 유리하게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따른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평으로 렌즈 모양의 덕트(28)가 덕트(13, 14, 33) 위에 제공되어, 주입 덕트(3)가 밀봉제와 함께 프레스될 때 필요한 변형 힘의 감소를 보장한다.
유리하게는, 덕트(13, 14, 38, 33)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 체적의 15 내지 50%, 되도록이며 20 내지 40%를 차지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따른 유리한 구조 형상은 물론 팽창 스트립(30) 및/또는 립(32)과 함께 설계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구조 몸체들의 워킹 조인트 사이의 밀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 주입 덕트로 구성되어 단순한 수단에 의해 단순한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고 최적의 밀봉을 가능하게 밀봉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43)

  1. 제 1 및 제 2 구조 몸체(5, 6) 사이, 특히 콘크리트 몸체 사이의 조인트(4)를 주입 덕트(3)가 제공되는 조인트(4)의 영역에서 밀봉하고,
    상기 주입 덕트(3)는 조인트(4)와 이 조인트(4) 내에 존재하는 보이드(void)(4a, 4b)를 밀봉하기 위하여 밀봉제로 채워지거나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주입 덕트(3)는 그 내부에 배열되며 이 주입 덕트(3)를 채우는 압출 스페이서 몸체를 가지고,
    상기 주입 덕트(3)는 구조 몸체(5, 6)의 벽들에 의해서만 형성되며,
    상기 압출 스페이서 몸체는, 그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hollow profile duct)를 가지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hollow profile extrusion)인 밀봉 장치(1)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가, 제2 구조 몸체를 붓는 동안 습윤 콘크리트의 정수압(hydrostatic pressure)을 견디고 상기 주입 덕트(3)의 내부로 밀봉제가 프레스될 때 프레스 되고 단면이 좁아지며 주입 덕트(3)의 벽들로부터 멀어지는,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영역까지 멀어지는 3차원 형상을 가지도록,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의 3차원 형상 및 물질, 또는 내부 압력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내부에는, 서로의 옆에 측면적으로 도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들(13, 14)과, 이 덕트들 사이에서 습윤 콘크리트 압력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벽(12)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 제 1 항 및/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평면 콘크리트 표면(7) 위에 고정되는 평면 바닥면(8), 직각으로 위로 향한 두 개의 평면 측면(9, 1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배럴-볼티드(barrel-vaulted) 상부면(1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내부에는, 측면(9, 10)과 수직 또는 평행한 지지 벽(12)에 의해 횡단 중앙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고,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중공 프로파일 덕트들(13, 14)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덕트들(13, 14)의 단면 형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덕트들(13, 14)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에 수직하는 횡단 중앙 평면(15)에 대칭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덕트들(13, 14)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이며,
    상기 덕트들(13, 14)의 단면 형상은, 바닥면과 측면 측에 위치한 실린더형의 아치 형태의 오목 덕트면(17)과 상부면 측에 위치한 실린더 형의 아치 형태의 볼록 덕트면(18)과 병합하는 평면 지지 벽면(16)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9.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은 수평으로 렌즈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상부 벽(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0.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19)은, 수평으로 렌즈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다른 덕트(28)를 구비하며,
    상기 덕트(28)의 그 길이 방향으로의 축(28a)이 상기 덕트들(13, 14)의 길이 방향으로의 축과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11.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11)은 채널 형상, 특히 실린더형 채널 형상 디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2.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렌즈 단면을 가진 상기 덕트(28)는 바닥 측에 배열되고 상기 덕트(13, 14)는 그 위로 거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3.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은, 서로 옆 측면적으로 옆에 배열되고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며 최소한 두 개의 지지 벽(22,23)에 의해 분리되는 세 개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 3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9, 10)에 인접한 상기 두 개의 덕트(13, 33)의 단면 형상은 애로 우 팁(arrow tip)과 유사하게 둔각으로 설계되며, 상기 애로우 팁은 측면(9, 10)의 외부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벽(22, 23)은 소정의 굽힘점(24, 2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굽힘점(24, 25)은 지지 벽(22, 23) 위에 형성되고,
    상부 단부로부터 출발하는 상기 지지벽(22, 23)은 먼저 외부로 형성되어 굽힙 팁(tip)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지지벽의 하부 단부까지 다시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7. 제 15 항 및/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9, 10)은 상기 지지 벽(22, 23)의 소정의 굽힘 점(24, 25)의 굽힘 방향으로 볼록하게 둥글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측면(9, 10)은, 특히 상기 소정의 굽힘 점(24, 25)의 레벨의, 소정의 굽힙점(29, 3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9.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굽힘 지점(24, 25,29, 34)은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중간 높이 영역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0.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측면(9, 10)이 바닥면(8)에 인접한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영역에서 풋(foot)(27)을 형성하고 바닥면(8)에 접하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루트(26)가 측면(9, 1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1.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덕트(13, 14, 28, 33)의 공동(cavity)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 체적의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2.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바닥면(8) 위에, 물의 진입에서 팽창하는 물질로 구성된 평판 스트립 형태의 팽창 스트립(30)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스트립(30)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양쪽 측면 위에 엣지 웹(edge web)(31)과 함께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4. 제 22 항 및/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스트립(30)은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에 한 조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립(32)이 특히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측면 벽면(9, 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탄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탄성 중합체 물질(elastomeric materia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구조 몸체(5, 6) 중 적어도 하나에서, 주입 덕트(3) 내로 밀봉제를 프레스하기 위하여, 주입 덕트(3)에 대하여 예를 들어 횡단 방향으로 향하고 외부로부터 주입 덕트(3)로 안내되며 구조 몸체를 지나가는 통로가 적어도 하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9.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통로 구멍(21), 예를 들어 구멍(bore) 또는 관 형태인 통로 구멍(21)이 상기 두 개의 구조 몸체(5, 6) 중 하나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주입 덕트(3)까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밀봉 장치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을 가지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
  31. 제1 및 제2 구조 몸체(5, 6) 사이, 특히 콘크리트 몸체들 사이의 조인트(4)를 밀봉하고,
    주입 덕트(3)는 상기 조인트(4)의 영역 내에 도입되는 밀봉제로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조 몸체(6)를 콘크리팅 하기 전에, 상기 주입 덕트(3)를 콘크리 트 중에 비어 있게 유지하고 밀봉제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압출 스페이서 몸체가 제자리에 놓이는 밀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압출 스페이서 몸체는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의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콘크리팅 전, 큰크리팅 하는 동안, 응고한 후, 또는 제 2 구조 몸체를 설치한 후에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 내에 상기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 28, 33) 중 적어도 하나가 압력 매체(pressure medium) 하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3. 제 31 항 및/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매체의 압력은 콘크리트의 경화 또는 설치 후에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 몸체(6)의 콘크리트를 설치한 후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압력 하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5. 제 3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영역에서 상기 조인트(4) 및/또는 보이드(4a, 4b)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에 구멍을 덴트(dent) 및/또는 붕괴할 수 있는 압력을 가진 밀봉제가 상기 주입 덕트(3)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6.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사용되는 밀봉제는 양생 액상 플라스틱(curing liquid plastic), 특히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7. 제 3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는 상기 주입 덕트(3)의 한쪽 단부면로부터, 특히 밸브 장치에 의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8. 제 3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의 주입 전 및/또는 주입 동안,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의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 28, 33) 중 적어도 하나는 진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9. 제 3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2)는 진공에 의해 덴트(dent)되거나 붕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0. 제 3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 28, 33)와 상기 다른 중공 프로파일 덕트(13, 14, 28, 33)에서, 전자는 진공, 후자는 압력을 초과하는 상황에 동시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1. 제 3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조인트 영역에 밀봉제를 직접 주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로 구멍(21)이 상기 제2 구조 몸체(6)로부터 상기 주입 덕트(3)까지 향하기 위해 뚫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2. 제 31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 몸체(6)를 콘크리팅 하는 동안, 상기 주입 덕트(3)로부터 상기 제2 구조 몸체(6)의 외부까지 유도되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또는 관형 막대가 놓여져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21)가 소정의 지점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3. 제 31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가 상기 통로(21)를 통하여 조인트 영역 및 상기 보이 드(void)(4a, 4b) 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KR1020077005159A 2004-08-03 2005-08-03 두 구조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밀봉하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를 가진 밀봉장치 KR20070062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7604.2 2004-08-03
DE102004037604A DE102004037604A1 (de) 2003-08-07 2004-08-03 Dichtungseinrichtung zwischen zwei Baukörpe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976A true KR20070062976A (ko) 2007-06-18

Family

ID=3524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159A KR20070062976A (ko) 2004-08-03 2005-08-03 두 구조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밀봉하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를 가진 밀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90055A1 (ko)
EP (1) EP1774112A1 (ko)
KR (1) KR20070062976A (ko)
CN (1) CN101048557A (ko)
AU (1) AU2005268852A1 (ko)
RU (1) RU2007107955A (ko)
WO (1) WO2006013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2869A (en) * 2009-08-22 2011-02-23 Expansion Joints Ltd An infill expansion strip for a concrete slab
WO2011143588A2 (en) 2010-05-13 2011-11-17 Structural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US9015919B2 (en) * 2013-05-03 2015-04-28 Covidien Lp Method for sealing a reusable electrical surgical instrument
CN105780939A (zh) * 2016-04-20 2016-07-20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后装式可更换主动压力密封止水带及施工方法
CN105780726B (zh) * 2016-05-18 2018-10-23 周进 一种砖及使用该砖在水上建堤的方法
US10247310B2 (en) * 2016-09-22 2019-04-02 Pawling Engineered Products Inc. Self-retaining, easily removable pneumatic seal
US10794064B2 (en) * 2017-03-06 2020-10-06 Jehbco Manufacturing Pty Ltd Seal and gaps and joints sealing method
NL2023031B1 (en) 2019-04-30 2020-11-23 Trelleborg Ridderkerk B V Waterstop joint and method of installing a waterstop joint
KR102404173B1 (ko) * 2021-08-19 2022-06-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대차 처리 시스템
CN114086762B (zh) * 2021-11-30 2023-01-31 中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楼面混凝土浇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462A (en) * 1975-07-21 1976-06-01 Acme Highway Products Corporation Sealing member
DE8910744U1 (ko) * 1989-09-08 1991-01-17 Schmidt, Rene P., Oberweningen, Ch
DE4116267A1 (de) * 1991-05-17 1992-11-19 Rene P Schmid Verfahren und mittel zum abdichten einer fuge in einem baukoerper
NO178636C (no) * 1993-10-22 1996-05-02 Bjarne Sem Slange for kjemisk injeksjon i betong
US6026622A (en) * 1995-06-23 2000-02-22 Rascor Spezialbau Gmbh Predetermined crack-joint
DE29515160U1 (de) * 1995-09-22 1997-02-13 Betomax Kunststoff Metall Verpreßschlauch und Verpreßsystem zur Herstellung von wasserundurchlässigen, gasdichten bzw. kraftschlüssigen Bauwerksfugen
AT403822B (de) * 1996-05-22 1998-05-25 Daetwyler Ag Vorrichtung zum abdichten von fugen zwischen zwei bauteilen
DE29712401U1 (de) * 1997-07-14 1997-10-02 Contec Bauwerksabdichtungen Gm Abdichtungsformkörper aus flexiblem Material für die Arbeitsfugen zwischen Beton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4112A1 (de) 2007-04-18
US20080190055A1 (en) 2008-08-14
WO2006013102A1 (de) 2006-02-09
CN101048557A (zh) 2007-10-03
RU2007107955A (ru) 2008-09-10
AU2005268852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2976A (ko) 두 구조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밀봉하는 중공 프로파일 압출부를 가진 밀봉장치
US8683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JP2911148B2 (ja) パイプとマンホールのシール装置及び方法
US4884381A (en) Structural joint system
JP3035355B2 (ja) コンクリートジョイント用シール装置
KR101050947B1 (ko)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RU2347868C2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соединений (варианты) и полая профильная полоса для него
JP6286234B2 (ja) スラブ式軌道の補修用型枠およびスラブ式軌道の填充層補修工法
EP0501004B1 (en) Seal for joint,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seal
HU219075B (hu) Hézagsín vakhézaghoz és eljárás a vakhézag előállítására
JP3801346B2 (ja) 接続部のシール方法及びシール手段
DK2467541T3 (en) Seal for sealing a mold cavity between at least two components
CN209875185U (zh) 一种隧道防水结构
JP2020037803A (ja) プレキャストパネルにおける目地部の封止構造
KR200241139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5039490B2 (ja) 止水材の後入れ施工方法及び装置
US6871461B2 (en) Manufa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notably construction panels formed in a closed mold
KR0181437B1 (ko) 콘크리트 중력식 댐의 오리피스 수문용 앵카매설물 신축수밀장치
CN219808509U (zh) 一种具有密封功能的止水条
JP2018031250A (ja) 外壁材の目地部用ガスケットとそれを備えた外壁材の防水構造
KR200292646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연결용 지수 구조
DE102004037604A1 (de) Dichtungseinrichtung zwischen zwei Baukörpern
KR10049767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연결용 지수 구조
JP2007046390A (ja) 隙間閉塞装置
JP2897945B2 (ja) 打込み式型枠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