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571A - 개구 내 설치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개구 내 설치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571A
KR20070062571A KR1020077009104A KR20077009104A KR20070062571A KR 20070062571 A KR20070062571 A KR 20070062571A KR 1020077009104 A KR1020077009104 A KR 1020077009104A KR 20077009104 A KR20077009104 A KR 20077009104A KR 20070062571 A KR20070062571 A KR 2007006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ring
support
opening
th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터 람사우어
Original Assignee
디터 람사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터 람사우어 filed Critical 디터 람사우어
Publication of KR2007006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Miscellaneous hardware, e.g. bushing, carpet fastener, caster, door closer, panel hanger, attachable or adjunct handle, hinge, window sash balance
    • Y10S16/41Coupling, e.g. handle, rod, shaft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손잡이(10)는 금속판 캐비닛 문과 같은 얇은 벽(14) 내 개구(12)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판(16)과, 외측 (26)에서 상기 얇은 벽(14)의 상기 개구(12)의 테두리(24)를 덮는 플랜지 또는 회전 손잡이 같은 머리부(28)와, 상기 머리부(28)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얇은 벽(14) 내의 상기 개구(12)를 통해 밀어넣어 질 수 있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얇은 벽(14)의 다른 후위측(32) 상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지지부(34)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몸체부(30)로부터 외측면으 방향으로 가요하게 돌출하는 지지 요소들(36)에 의해 구성되고 지지 요소들(36)의 자유단부는 상기 개구(12)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40) 상에 유격이 없이 상기 몸체부(30)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면(38)을 가진다.
손잡이, 핸들, 금속판 캐비닛 문, 지지 판, 개구, 얇은 벽, 머리부, 몸체부, 지지부

Description

개구 내 설치용 손잡이{A HANDLE FOR MOUNTING IN AN OPENING}
본 발명은 얇은 금속재 캐비닛(cabinet) 문(door)과 같은 얇은 벽 내의 개구(opening)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과, 상기 얇은 벽의 개구의 테두리를 (외측) 면에서 복개하는 플랜지(flange) 또는 회전 손잡이와 같은 머리부와, 상기 얇은 벽 내의 개구를 통해서 밀어넣을 수 있고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얇은 벽의 상기 다른 (후위 측) 면 상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류의 손잡이는 사우스코(Southco)가 발간한 "핸드북 2000"이라는 제목의 브로셔(brochure)에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후위 측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상응 나사 구멍부들 내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얇은 금속 스위치 캐비닛의 상기 개구 내에 고정시켜주는 나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의 설치는 진동에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또한, 설치가 복잡하고, 특히 부품을 망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을 개선하는 것으로 특히 진동에 영향이 없고 설치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또한, 스위치 캐비닛 내로 떨어졌을 때 단락(short-circuiting)을 야기할 수 있는 부품이 헐거워지는 것을 가능한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 지지부가 몸체부로부터 그의 외측면의 방향으로 가요성 있게 돌출하는 지지 요소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자유단이 상기 얇은 벽 내의 개구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 상에 유격(play)이 없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설정되는 대부분의 과제는 이미 이러한 단계에 의해서 충족된다. 특히, 고정은 진동에 대해서 보호되고, 설치는 대단히 간단하여 또한 매우 얇은 금속 판도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금속 판의 두께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을 때 금속 판에 유격이 없이 지지된다. 헐거운 구성부품들이 통상 요구되지 않는다. 매우 얇은 금속판은 추가적 금속 부품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패널(panels)로서 작용하는 금속 판 부품들은 동시에 상기 손잡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보여진 형태의 상기 손잡이용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류의 클립(clip) 형 고정은 알려져 있지 않고 그 이점이 기술되어 있지도 않다. 금구 하우징(lock housing)의 빠른 설치를 위한 스냅-인(snap-in) 고정은 미국 특허 제5,435,159호를 참고하면 잘 알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이러한 종류의 금구 하우징은 예컨대 얇은 벽 상의 둥근 개구 내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은 새시 금구(sash lock) 용으로서 머리부 즉, 상기 얇은 벽의 외 측 면상에 배치되어야 하고 상기 개구의 상기 외측 테두리에 겹쳐지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한다. 설치 위치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 돌출하는 몸체부가 이러한 머리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얇은 벽의 다른 내측의 상기 개구의 테두리상에 유격이 없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상기 자유단에서 경사면을 가지는 외측면 방향으로 탄성 설 요소(tongue element)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한다. 이것은 상기 몸체부와 일체인 지지 요소들 또는 설 요소들의 지지력이 그들의 탄성 장력에 의지하다가 결국에는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지하므로 상기 지지력의 크기가 원하는 만큼 크게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때때로 손잡이를 사용할 때 아주 큰 힘이 흡수되어야 할 수가 있고,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스냅-인 고정은 손잡이 부품에 쉽게 적용될 수 없다.
유럽 특허 공보 EP0258491호에는 미국 특허 제5,435,159에 의해 알려진 것과 유사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에 따르면 금구 실린더(lock cylinder)가 금구 실린더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 설들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하우징에 의해서 얇은 벽의 문, 서랍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되어야할 구성 부품들의 다양성이 상기 설 요소의 끝에서 경사면에 의해서 원하는 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참조 문헌인 유럽 특허 공보의 단락 9에는 상기 금구 실린더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고정된 후에는 상기 탄성 설 요소들이 더 이상 내측으로 변형될 수 없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아주 특별한 디자인 즉, 설치 후 이러한 식으로 상기 설 요소들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려면 금구 실린더가 내부에 삽입되는 둥근 하우징이 필히 마련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설 요소 고정구조를 손잡이에 전용하는 것이 쉬워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는 두 개의 분리된 부품들이고 상기 두 인용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부터 일체로 사출성형(injection molded)되지 않고, 하중 용량이 실질적으로 더욱 큰데 왜냐하면 필요하다면 내구성이 적고 쉽게 사출 성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를 더 강한 재료 예컨대 금속과 같은 재료와 혼합하여 재료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손잡이의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에 따르면,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지 요소들이 마련되며 이들은 스프링 장치 같은 가압 요소, 특히 상기 2개의 지지 요소들에 공통적인 하나의 코일 스프링 또는 2개의 코일 스프링이나 원추형 나사들과 같은 쐐기 장치들에 의해서 작용을 받는다. 스프링 장치는 본래 자유로히 선택될 수 있는 탄성력이 구비될 수 있고, 구속력(locking force)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플라스틱 재료에 의지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구속력은 핀(pin)이 사용되지 않을 때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재료 특성에 너무 의지하지만, 이것은 특히 블라인드 장착(blind mounting)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설치가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에 대한 추가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 요소들은 상기 얇은 벽면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일정 방식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얇은 벽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레버(lever)들이다. 이러한 실시 예는 지지력은 증가시키는 한편 스프링 힘은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요소들은 상기 얇은 벽의 후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일정 방식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얇은 벽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레버들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력은 증가되는 반면 상기 스프링 장력은 변화없이 유지되도록 2개의 레버들에 의해 4개의 지지점들이 동시에 얻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 요소들은 상기 얇은 벽면에 평행하게 놓이는 실린더 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드들(slides)이며, 단면이 사각형이고, 상기 실린더 내에서 또는 상기 슬라이들 자체들 사이에서 구속하는 후크 장치(hook arrangement)에 의해서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이점은 상기 도어 리프(door leaf)의 후위측 높이가 비교적 작은 데 있다. 상기 지지 요소들이 금속과 같은 강성 재료로 된 슬라이드들이고 상기 얇은 벽면에 평행한 실린더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단면이 사각형이고 슬라이드들 사이에 배치되는 핀 장치(pin arrangement)에 의해서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지지되는 경우, 유사한 구조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내구성이 있는 손잡이 장치이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슬라이드가 어깨(shoulder) 또는 후크(hook)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는 부분 분할 벽 또는 언더컷(undercut) 또는 개구 모서리(opening edge)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유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가변성을 나타낸다.
상기 지지 요소가 그 직경의 적어도 일 부분에 의해 나선 가압 스프링을 수용하는 개구를 가질 때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에 따라서 구조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들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요소를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 내로 돌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 요소들은 연이어 위치하는 2개의 평평한 금속 편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평평한 금속 편들은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이러한 2개의 개구들은 함께 직경의 적어도 일 부분에 의해서 나선형 가압 스프링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이러한 3개의 부품들이 상기 손잡이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게 조종될 수 있는 식으로 상기 스프링 요소에 의해 서로 지지되도록 사전 장착(pre-mounting)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상기 지지 요소들이 연이어 위치하며 서로를 향해 요철부들을 구성하고 서로에 상대적인 축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2개의 금속 편들로 구성될 때도 적용된다. 이것은 상기 실린더에 대해서 추가적 처리 공정이 없이 운동 경로가 제한되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 구성의 추가적 특징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은 연이어 위치하고 서로를 향한 요철부들을 구성하며 공구 또는 키(key)를 돌렸을 때 상기 탄성력에 대항해서 서로에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식으로 회전가능한 공구 또는 키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는 2개의 플라스틱 편 또는 금속 편들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큰 파지력이 필요없이 이러한 경우에 작동하는 상기 2개의 지지 요소들을 잡아 뽑는 것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상기 얇은 벽의 개구로부터 필요시 상기 지지판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또한 모든 사람에게 이용가능하지 않은 특별한 공구로만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요소들은 3개의 부품들이 자체로 안정적인 제어가 쉬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식으로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는 서로 연이어 위치하는 하나의 금속 편 또는 2개의 금속 편들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또 다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핀 장치 대신에, 상기 핀 장치를 더욱 개량하여, 상기 지지 판이 상기 개구 내에 설치된 연후에 상기 지지 요소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핀 또는 고정 플러그(plug) 또는 고정 나사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나사는, 경우에 따라서, 진동에 대해서 보호하기 위해서 수동으로 조여야한다.
상기 머리부가 상기 지지 요소들의 부위에 요홈을 갖는 구성은 이제까지 상기 개구의 테두리가 불룩(bulging)해지는 것으로서 이점이 입증되고 있으며 과도하지 않을 경우 무해하다. 상기 테두리가 불룩한 것이 미소하기만 하면,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한층 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요소는 적절한 방식으로 구부릴 수 있는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 개량에 따라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몸체부에 의해 구성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동(cavity)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작동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의 요철부가 그 후위부를 구속하는 슬롯(slot) 또는 요홈을 구성할 수 있다. 반면에, 판 스프링은 상기 몸체부에 의해 구성되는 나사 구 내로 나사삽입되는 머리 나사(head screw) 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판 스프링은 스폿 용접되거나(spot-welded) 상기 몸체부에 의해 구성된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판은 상기 얇은 벽과 같은 개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는 자신의 머리부를 가진다. 상기 머리부와 몸체부는 또한 서로 나사 접속되는 2개의 부분들일 수 있거나 서로 접착되는 부분들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방식으로 서로 영구히 또는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부분들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축방향으로 다수의 지지 요소들을 연이어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지지 판에 유지대(retaining brace)에 의해서 접속되는 제 2 지지 판이 상기 제 1 지지 판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특별한 구조로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 요소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내로 침입시키거나 선회 삽입하거나 회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가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다면, 상기 손잡이가 양 단부에서 지지 판을 구성하고 지지 요소들이 이러한 지지 판으로부터 연장할 때 이점이 있다. 상기 지지 요소들은 손잡이 축 방향 또는 선택적으로 손잡이 축에 수직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요구될 수 있다.
추가적 실시 형태에 따라서, 스프링은 평평한 구성부품으로서 위에서 봤을 때 U자 형상이고 처음에는 U자의 바(bar)로부터 평행하게 연장하는 U자형 다리를 가지고, 상기 U자형 다리는 상기 돌출부들의 부위에서 제 1의 작은 폭을 가지고 시작하여 서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제 2의 폭을 가지게 연장하고 단부에서 거의 직각으로 잘려서 설치되었을 때 상기 얇은 벽면에 대해서 미소 경사를 가지고 상기 개구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 상에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은 0.5 mm 내지 0.8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은 극히 작은 공간 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이점 외에도,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한층 더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른 추가적 이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부는 대향하게 배치되는 홈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홈들은 상기 요홈을 구성하고 설치 공정 중에 적어도 한 스프링의 U자형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진다.
그러나 특히 이로운 점은 상기 홈이 서로 연이어 배치되는 다수의 평스프링들의 묶음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지지력은 일정량의 평스프링들을 묶음 또는 묶음들로 할당함으로써 이러한 묶음에 의해서 필요한 대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부품 예컨대 손잡이가 설치될 상기 금속 판의 두께 범위도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평스프링들이 다른 협지 영역(clamping area)에 대해서 간단히 묶임으로서 상기 금속 판 두께 공차 또는 금속 두께 범위를 배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 평스프링이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거나 (측면으로부터) 장착될 수 있는 상기 몸체부가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삽입용으로 마련되는 상기 몸체부는 양 측면에 플랜지 내로 개구가 마련되어서, 양측에서 또는 적어도 일 측에서, 바람직하게 외 측으로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측은 예컨대 상응 개구의 크기가 제한되거나 상기 최종 스프링 요소를 적어도 상기 몸체부에 접착하거나 용접하는 것과 같은 적절한 공정을 통해서 내측 상에서도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상기 삽입 스프링과 함께 상기 몸체부의 외측 단면과 상기 얇은 벽 내의 상기 관련 개구의 외측 단면은 바람직하게 사각형이다.
상기 몸체부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일 수 있고 손가락 그립(finger grip) 또는 손 그립(hand grip)이 구비된 헤드(head)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가늘고 길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등변 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상기 플랜지 형 머리부의 지지면과 상기 스프링의 단부의 지지면사이의 거리는 2개의 얇은 벽들이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식으로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가 가늘고 긴 형상을 갖거나 실질적으로 등변 사각형이고 대응 머리부가 손잡이의 일 단부용 지지점인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설치되는 개구가 구비된 얇은 벽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손잡이의 배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변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손잡이용으로 적당한 상기 얇은 벽 상의 개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연관 지지부의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따른 상기 지지부의 2개 축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도 4A와 같은 실시 예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도 4A와 같은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도 5A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도 4A와 같은 실시 예의 저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부분 단면 및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를 참조하여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A는 금속 판을 불룩하게 하기에 적당한 손잡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다른 구성의 손잡이 배면도이다.
도 7C는 관련 금속 판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B를 참조하는 측면도이다.
도 8B, 8C는 고정 공정 중 도 8A에 따른 손잡이를 각기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8D는 플러그(plug)의 각진 형상의 머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E는 도 8A에 보인 상기 장치의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F, 8G 및 8H는 상기 관련 지지요소를 3곳의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손잡이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를 참조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A를 참조한 상기 손잡이의 관련 개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11B, 11C, 11D는 키에 의해서 잠금 해제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각기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E 및 11F는 키에 의해서 잠금 해제될 수 있는 손잡이의 변형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 12B 및 12C는 키에 의해서 잠금 해제될 수 있는 다른 손잡이를 각기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D는 상기 얇은 벽 내의 상기 관련 개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E와 12F는 2곳의 다른 위치에서 본 관련 지지 요소의 도면이다.
도 12G, 12H 및 12I는 작동중 상기 지지 요소의 추가적 동작 상태도이다.
도 12J, 12K, 12L은 적당한 지지 요소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M, 12N, 12O, 12P는 각각 상기 지지 요소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 13B, 13C는 상기 지지 판에 용접되는 몸체부에 대한 일 실시 예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D 및 13E는 상기 몸체부에 용접되는 지지 스프링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A와 14B는 삽입가능한 지지 스프링을 가진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A, 15B, 15C 및 15D는 지지 스프링이 몸체부에 나사 접속되는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A, 16B, 16C 및 16D는 상기 지지 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지지 요소를 각기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A, 17B 및 17C는 상기 몸체부가 나사 장착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A, 18B 및 18C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가진 다른 손잡이를 각기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D, 18E, 18F, 18G는 관련 가압 스프링과 상기 관련 지지 요소를 각각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H, 18I는 상기 지지 요소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A, 19B, 19C 및 19D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가진 다른 지지 판을 각각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9E, 19F, 19G는 일 부품으로서 관련 지지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H는 T형의 상기 지지 요소를 전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0A, 20B, 20C, 20D, 20E 및 20F는 본 발명에 따라 장착되는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른 손잡이를 각기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20G, 20H, 20I, 20J는 관련 지지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K 및 20L은 실린더 상에 나사 설치되는 관련 도면이다.
도 21은 쐐기 나사가 구비된 일 실시 예에 대한 평 단면도이다.
도 22A는 둥근 개구가 구비된 일 실시 예에 대한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22B는 2개의 둥근 개구가 필요한 지지 판의 도 22A에 따른 저면도이다.
도 22C는 하나의 둥근 개구와 2개의 안내 공이 구비된 지지 판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원뿔형 머리부를 가진 캐비닛의 형태로 쐐기 장치를 보여주는 도 2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4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들에 의해서 하우징이 개구 내에서 지지되는 것으로, 하우징 내로 수용될 수 있는 손잡이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4B는 도 24A에 따른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24C는 도 24C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5A는 2개의 둥근 구멍들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보여주는 길이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B는 얇은 벽 내의 관련 둥근 구멍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C는 도 25A에 따른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5D는 도 25A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5E는 도 25A중 지지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25F는 도 25A중 지지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A에 따른 손잡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A는 도 25A에 따른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B는 도 27A의 실시 예의 측면도이다.
도 27C는 도 27A에 따른 손잡이의 지지 요소들 중 하나를 보여주는 도면이 다.
도 28A는 도 28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경사 단부면 모서리를 가진 개구를 돌출부들이 관통한 후에 상기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쐐기 판들 내에서 스냅-인(snap-in) 장치들을 구비하고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을 가지는 단부 지지부들에 의해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A에 대해서 90도 만큼 회전한 상기 손잡이의 평면도이다.
도 28C는 도 28B를 좌측에서 본 손잡이의 도면이다.
도 28D는 도 28A에 대해서 180도 회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E는 도 28A에 따른 상기 손잡이의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8F는 도 28A부터 도 28F까지 모두에 있어서 금속 판 캐비닛과 같은 비스듬한 얇은 벽 내에 상기 핸들이 고정되는 도 28A에 따른 상기 손잡이의 위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9A는 도 29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경사 단부면 모서리를 가진 개구를 돌출부들이 관통한 후에 상기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쐐기 판들 내에서 스냅-인(snap-in) 장치들을 구비하는 손잡이의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에 의해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9B는 도 29A에 대해서 90도만큼 회전시킨 상기 손잡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9C는 도 29B에 따른 손잡이를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9D는 도 29A에 대해서 180도 만큼 회전시킨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E는 도 29A에 따른 손잡이의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9F는 도 29A에 따른 손잡이를 위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로서, 상기 손잡이는 도 29A에서 도 29F까지 모두에서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경사진 얇은 벽 내에서 고정됨.
도 30A는 도 30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경사 단부면 모서리를 가진 개구를 돌출부들이 관통한 후에 상기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쐐기 판들 내에서 스냅-인(snap-in) 장치들을 구비하는 손잡이의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을 구비하고 단부 지지부들에 의해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0B는 도 30A에 대해 90도 만큼 회전시킨 손잡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0C는 도 30B에 따른 손잡이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0D는 도 30A에 대해서 180도 만큼 회전시킨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30E는 도 30A에 따른 손잡이를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30F는 도 30A에 따른 손잡이를 위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로서,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도 A 에서 F까지 모두에서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비스듬한 얇은 벽 내에 고정됨.
도 31A는 도 31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경사 단부면 모서리를 가진 개구들을 돌출부들이 관통한 후에 상기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쐐기 판들 내에서 스냅-인(snap-in) 장치들을 구비하는 손잡이의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을 구비하고 단부 지지부들에 의해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1B는 도 31A에 대해서 90도 만큼 회전한 손잡이의 평면도이다.
도 31C는 도 31B에 따른 손잡이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1D는 도 31A에 대해서 180도 만큼 회전시킨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31E는 도 31A에 따른 손잡이의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F는 도 31A에 따른 손잡이를 위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로서,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도 A 에서 F까지 모두에서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비스듬한 얇은 벽 내에 고정됨.
도 32A는 도 32G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경사 단부면 모서리를 가진 개구들을 돌출부들이 관통한 후에 상기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쐐기 판들 내에서 스냅-인(snap-in) 장치들을 구비하는 손잡이의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을 구비하고 중심 지지부들과 단부 지지부들에 의해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2B는 도 32A에 대해 90도 만큼 회전시킨 손잡이의 평면도이다.
도 32C는 도 32B에 따른 손잡이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2D는 도 32A에 대해 180도 만큼 회전시킨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32E는 도 32A에 따른 손잡이를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2F는 도 32A에 따른 손잡이를 위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2G는 상세 단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도 A 에서 F까지 모두에서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경사진 얇은 벽 내에서 고정되고,
도 33A는 도 33E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경사 단부면 모서리를 가진 개구들을 돌출부들이 관통한 후에 상기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쐐기 판들 내에서 스냅-인(snap-in) 장치들을 구비하는 손잡이의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을 구비하고 중심 지지부들과 단부 지지부들에 의해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 바(handle bar)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지지부들의 고정은 상기 손잡이 바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됨.
도 33B는 도 33A에 대해서 90도 만큼 회전한 손잡이 바에 대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3C는 도 33A에 따른 손잡이를 얇은 벽 내에 설치한 후에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3D는 도 33C에 대해서 상기 지지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3E는 도 33C에 대해서 상기 지지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4A 및 3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인 고정장치가 장착되는 손잡이에 대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이다.
도 35A 및 35B는 다수가 묶음으로서 연이어 삽입될 수 있는 관련 평스프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5A에 따른 상기 평스프링용으로 적당한 손잡이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7은 2개의 개구용 손잡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8은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작동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9는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작동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은 슬라이드 장착되기에 적합한 스프링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1A 및 41B는 평스프링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A 및 42B는 손잡이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610, 2210, 2510, 3210: 손잡이
12, 112, 212, 2012, 2212, 2312: 사각형 또는 둥근 구멍
14, 514, 614, 714, 1014, 1614, 2314: 얇은 벽, 문짝
16: 지지 판(문에 접속되는) 18: 하우징(housing)
19: 플랜지(flange) 20: 핀(pin)
22: 가지들(webs) 23: 손잡이 축
24: 개구의 테두리 125, 225: 몸체부
26: 상기 얇은 벽(14)의 정면 또는 외측면
27: 단부
28, 428, 1228, 1328, 1528, 1628, 1728, 1828, 3228: 머리부
29, 529: U자형 스프링, 평스프링
30, 530, 630, 830, 1130, 1530, 1630, 1730, 1830, 3230: 몸체부
31: 다리의 단부 32: 상기 얇은 벽(14)의 후위 측 또는 내 측
34, 1234, 1634: 지지부 35, 1536: U자형 다리, 판 스프링
36, 36-1, 36-2, 236, 436, 536, 636, 736, 836, 1136, 1436, 1736,
1836, 1936, 2036, 2136, 2236, 2326, 2436, 2536, 2636, 2736, 2836,
2936, 3036, 3136: 지지 요소
37: 공동(cavity) 38: 경사면
39: 돌출부들 40: 모서리
41: 요홈 42, 242, 542, 742, 842: 스프링 장치
43: U자형 가지(web) 44: 레버(lever)
45: 절단 단부 46, 446: 핀, 축 방향 핀
47: 홈 48: 정지 장치
49: 홈 50: 사각형 실린더
51: 홈 기저부(groove base)(groove base)
52: 슬라이드(slide) 53: 넓은 스프링 묶음
54: 구속 후크 장치(locking hook arrangement)
55: 묶음 56: 쐐기(wedge)
57: 지지면 58: 축
59: 선 60: 개구의 모서리
61: 축 62: 경사부(bevel)
64: 협지 면(clamping surface) 66: 고정 플러그(fixing plug)
368: 스프링 공간 70: 파생 부(offset)
71: 플랜지(flange) 72: 파생 부(offset)
73: 설치 측(slip-on side) 74: 지지부(support)
75: 스프링 부분 76: 돌출부
77: 채널(channel) 78: 홈
79: 돌출부, 핀 80: 바 록(bar lock)
82: 공구, 키(key), 레버 84: 개구, 피니언(pinion)
86: 돌부, 치(teeth) 88, 2388: 지지 요소용 요홈
90: 스프링용 요홈 92, 1192: 노브(knobs)
94: 강화 판 96: 강화 판
98, 1398: 스폿 용접 100: 공동(cavity)
101: 스프링 102: 슬롯(slot), 요홈
104: 요홈, 돌출부 106: 나사 구멍
18107: 나사 108, 17108: 머리 나사
111: 커버(cover) 113: 요홈
115: 정지 면 117: 정지 면
119: 개구 123: 홈
125: 링 시일(ring seal) 126, 226: 몸체부
127: 경사면 129: 채널 벽
131: 고정 플러그 133: 잠금 해제 키(key)
135: 개구 137: 채널 커버(channel cover)
139: 파생 영역 141: 날개
143: 표면 145: 구멍
147: 원뿔형 베이스를 가진 나사 149: 원뿔형 베이스를 가진 나사
151: 핀(pin)
도 1A, 1B, 1C 및 약간 변형된 형태로서 도 1D는,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얇은 벽(14) 내의 개구(12) 내에 설치 가능하고 도 2에 보이듯이 본 경우 사각형인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판(16)을 가진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손잡이(10)가 각기 다른 위치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상기 얇은 벽(14)에 설치될 수 있는 지지 판(16)은, 플랜지 같은 또는 본 경우에, 일 (외측) 측부 (26)상에 상기 얇은 벽(14) 내의 상기 개구(12)의 테두리(24)에 겹쳐지는 손잡이의 작은 고리(eyelet) 같은 머리부(28)와, 머리부(28)로부터 연장하고 얇은 벽(14) 내의 개구(12)를 통해 슬라이드 될 수 있는 몸체부(30)와, 얇은 벽(14)의 타 측(외 측)(32) 상에 지지되고 상기 몸체부에 의해 수용되는 지지부(34)를 포함한다. 지지부(34)는 몸체부(30)로부터 외 측면의 방향으로 가요하게(flexibly) 돌출하는 지지 요소(36)에 의해 구성되며 그 자유단부는 얇은 벽(14) 내 개구(12)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40) 상에 유격이 없이 몸체부(30)를 지지하는 경사면(38)을 가진다. 힘의 대칭으로 인해서, 도 1A, 1B에 따라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지 요소(36-1 및 36-2)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들 지지 요소들(36-1 및 36-2)은 이들에 공통인 예컨대 코일 스프링(42) 또는 코일 스프링들(42-1, 42-2, 도 27A 참조)에 의해서 개구(12)의 테두리(40)의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들(36-1 및 36-2)은 얇은 벽(14)의 면에 평행한 축(46)을 중심으로 얇은 벽(14)의 (후)면(32)으로부터 거리(A)를 두고 배치되는 레버(44)일 수 있다. 레버(44)의 회전 각도는 스톱 장치(stop arrangement)(48)에 의해 제한되나, 도 4B에 있어서 지지 요소(36)는 상기 얇은 벽의 (후)면으로부터 거리(A)만큼을 두고 축(46)을 중심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도 3A에 있어서, 지지 요소들(136-1, 136-2)의 구성은 단면이 사각형이고 상기 얇은 벽(14 또는 22)의 면에 평행한 실린더(50) 내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드(slides)(52)로서 구성되고, 슬라이드(52)는 도 3B에서 보이듯이 슬라이드(52) 자체 사이에서 구속하거나 실린더(50) 내에서 구속하는 후크 장치(54)에 의해서, 또는 (도 6B에 있어서) 쐐기(56) 또는 핀(156)에 지지되는 후크(154)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42)의 가압 탄성력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도 5A, 5B 및 5C에 있어서, 도면들에 도시된 지지 요소들(236)은 얇은 벽(214)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58)을 중심으로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레버들(236)이다.
실린더(50)는 상기 슬라이드(52)가 어깨(shoulder) 또는 후크(hook)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는 부분 분할 벽 또는 일명 언더 컷(undercut) 또는 개구 모서리(6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A는 몸체부(330)를 가진 지지 판(316)을 도시하고 있으며, 몸체부(330) 내에서 슬라이드(352)는 경사부(62)(도 8A 참조)의 결과로서 눌려졌을 때 상기 개구의 모서리들을 통하여 상기 모서리가 클램프 면(clamp surface)(64)에 도달할 때까지 스프링(342)의 힘에 대항하여 후퇴할 수 있고, 이 위치에서 스프링(342)은 상기 개구의 모서리들에 대해서 2개의 고정 요소(352)를 가압하고 확고히 지지 판(316)을 얇은 벽(14)에 접속시킨다. 개구 내 설치 전 지지 요소들(352)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들 지지 요소들(352)은 후크(354, 도 8C참조)에 의해서 서로 후크 고정(hooked)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눌러져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도달할 때 서로에 대해서 빗겨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도 8D는 밖으로 빠져나온(moved out) 상태에서 고정 플러그(plug)에 의해 중간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러그(66)는 지지 요소들(352)을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로 다시 후퇴시킬 수 없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의 제거를 방지한다(도 8D 참조). 도 8F, 8G 및 8H에 도시된 지지 요소는 개별 부품으로서 가압 스프링(342)용의 공간부(368)도 도시하고 있다. 파생 통 로(offset path) (70)는 고정 플러그(66)의 끝(tip)을 수용하여, 상기 지지 요소들이 제한된 승강 운동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파생 통로(72)는 2개의 지지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서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연달아 슬라이드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7C는 개구 테두리 부위가 고 부하로 인해 불룩해지는 금속 판의 얇은 벽(14)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 불룩해지는 테두리 부위(24) 가 수용될 수 있는 지지 요소의 부위에 상기 머리부가 요홈(74)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9A와 도 9B는 서로 연이어 놓이는 4쌍의 지지 요소들로 구성되는 지지 판(434)을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구조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공유된 핀(446)이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는 지지 요소들(436)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축 핀인 상기 핀(446)은 3개의 지지부(74)에 의해서 지지되며, 이들 중 한 지지부는 상기 핀(446)의 단부의 주름 면을 가압하기 위해서 수용한다.
상기 지지 요소들(436)은 이들의 단부에서 상기 머리부(428)과 조합되어 탄성력(242)으로 인한 상기 회전 통로의 제한을 야기하는 돌출부(76)를 가진다. 비록 통상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사출 성형 틀을 필요로 하는 밀폐용 홈(78)이 본 경우에 마련되기는 하지만, 상기 머리부(428)와 상기 지지부(74)에 의해 구성되는 몸체부가 간단히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특히 이점이 있다.
도 11A, 11B, 11C, 11D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지지 요소들(536)은 서로 연이어 위치하는 2개의 금속 편 또는 플라스틱 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지지 요소들(536-1, 536-2)이 회전가능한 공구 또는 키(82)에 의해서 스프링(542)의 힘 에 대항하여 끌어 당겨질 수 있고 공구(82)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손잡이가 문 짝과 같은 얇은 벽(51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지지 요소들(536)은 서로를 향한 요철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공구(82)를 개방위치로 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다수의 손잡이가 있을 때 이들이 모두 동시에 개방 위치로 되고 따라서 모든 손잡이가 동시에 상기 문짝(door leaf)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E 및 11F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공구에는 2개의 지지 요소들(636-1, 636-2)의 상응하는 치(teeh)(86)와 접속할 수 있는 피니언(pinion)(84)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얇은 벽 내의 상기 개구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상기 공구와 피니언(84)을 돌렸을 때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2개의 지지 요소들을 끌어 당겨오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식으로 상기 손잡이의 양 측면으로부터 즉 문 짝의 외 측면으로부터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블라인드 설치(blind mounting)한 것도 다시 분해될 수 있다.
한편, 도 12A, 12B, 12C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공구에 의한 잠금 해제는 내측으로부터만 가능하다.
45도로 연장하는 상기 지지 요소들(736)의 경사면(127)으로 인해(특히도 12C 및 도 12G 참조), 이들 지지 요소들(736)은 스프링(742)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서 채널 벽(channel walls)(129)의 방향으로 외측으로 힘을 받으며, 따라서 상기 채널 벽(129)에서 마찰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 요소(736)가 충분히 고정되므로, 도 12A에 도시된 고정 플러그(131)는 불필요하다.
상기 2개의 지지 요소들(736)에 의해 구성되는 파생 부위(139) 내의 채널 커버(channel cover)(137) 내 개구(135)를 통해 잠금 해제하는 키(133)를 삽입할 때, 상기 고정 플러그(131)가 상기 지지 요소들(736)의 고정을 위해 불필요하므로 고정 플러그(131)를 제거할 필요도 없어진다. 키(133)를 도 12A를 참조했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키(133)의 날개(141)가 파생 부위(139)의 단부 면(143)에 대하여 압박하여 상기 지지 요소(736)를 도 12I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채널 내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키는 90도 만큼 돌리고 자체적으로 지지된다. 도 12A에 도시된 전체 유닛(unit)은 상응하는 키로 인출 위치로 가져온 추가적 손잡이 요소들을 포함하여 얇은 벽(714) 내의 상기 개구(도 12D의 도시 참조)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12J, 12K, 12L, 12M, 12N, 12O 및 12P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스프링(42)을 수용할 개구(84)와 고정을 위해서 스프링(842)을 수용하는 2개의 대향 배치된 돌출부(86)를 구비하는 평평한 금속 편에 의해 구성되어, 손잡이 유닛은 상기 지지 요소와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손잡이 유닛은 상기 몸체부(830)(도 12K 참조)내의 상응하게 성형된 개구(88)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을 위해 마련된 홈(cutout)(90)은 상기 지지 요소(836)용 상응 홈(90) 보다 짧아서, 스프링(842)은 지지 요소(836)가 도 12J에 도시된 위치로 밀려졌을 때 접촉 면을 얻는다.
노브(knob)(92)가 상기 스프링용 홈(90)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거기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요소(836)는 스프링(842)과 이탈되는 것이 방 지된다. 도 18A, 18B, 18C에 따른 실시 예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18D의 고정 요소 및 도 18E의 스프링은 도 18F 및 18G에서 고정적으로 조립된 부품들로서 도시되었다. 도 18H와 같이 지지 돌출부들이 마련된다. 추가하여, 본 경우에 상기 지지 요소는 안정성의 이유로 평평한 형태와는 다른 형태(도 18I 참조)를 갖는다.
도 19A, 19B, 19C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관련 지지 요소(36)내로 수평적으로 삽입되는 2개의 스프링이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 요소의 다른 반은 상기 몸체부(1030)에 의해서 수용된다. 도 19A는 상기 벽 재료가 매우 얇고 상기 얇은 문 짝(1014)을 고정하기도 하고 지지하는 상기 지지 요소들에 의해 협지(clamped)되는 경우에 강화 판(94, 96)이 양측에 마련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장식 판들 또는 장식 패널들(panels)도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9D, 19E, 19F, 19G 및 19H에 따른 실시 예는 서로 연이어 배치되고 스프링(1144)에 의해서 결속되어 지지되는 2개의 금속 편(1136)들을 보여주며, 상기 결속되어 지지되는 방법은 이들 3개의 구성품들이 자체적으로 안정적인 손잡이 유닛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즉 이들은 결속된 것으로 취급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도 1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30)내의 상응 요홈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위에 배치되는 노브(1192)에 의해서, 상기 구조는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9H에 따라서, 상기 2개의 금 속 편(1136)들이 더욱 두꺼우면 함께 상기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3A, 13B, 13C는 지지부(1234)가 스폿 용접부(98)에 의해서 머리부(1228) 에 고정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3E, 13D에 있어서, 지지 요소로서 작용하는 적절히 구성된 판 스프링은 몸체부(1328)에서 스폿 용접된다(스폿용접부 1398 참조).
도 14A 및 14B는 상기 몸체부에 의해 구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동(cavity)(100)내로 판 스프링(1436)이 삽입되는 손잡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공동(100)은 스프링(101)의 요철부(104)가 고정식으로 위치 구속하는 슬롯(slot)(102) 또는 요철부를 구성한다.
도 15A, 15B, 15C 및 15D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몸체부(1530)에 의해 구성된 나사 구멍(106) 내로 나사삽입되는 머리 나사(108)에 의해 상기 판 스프링(1536)이 지지된다. 커버(cover)(111)는 개선된 안내를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11)는 U자형으로서 머리부(1528) 내 요홈(113) 내 다리의 단부들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이들 요홈들(113)은 스프링(1536)의 단부들을 위한 정지 면(stop surface)(115 및 117)을 구성한다.
도 16A, 16B, 16C 및 16D는 얇은 벽(1614) 같은 지지 판이 개구(119)를 갖는 손잡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서 지지부(1634)와 몸체부(1630)는 각각 머리부(1628)를 갖는다. 또한, 도 16D에 도시된 지지 판은 머리 나사들에 의해서 선택적 고정을 위한 구멍들을 가진다.
도 17A, 17B, 17C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머리부(1728) 및 몸체부(1730)는 서로 나사접속되는 2개의 부분이며, 여기서 2개의 나사들(17108)이 사용되었다.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지 요소들(1736)의 쌍이 2배로 되며, 나 사들(17108)의 좌우 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20A 내지 20L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머리부(1828)와 몸체부(1830)는 서로 나사(18107)로 접속되는 2개의 다른 구성부품들이다. 지지 요소들(1836)은 가늘고 긴 구멍(121)을 가지며 가늘고 긴 구멍(121)을 통해 나사(18107)가 안내되고 지지 요소(1836)의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손잡이를 구성하는 머리부(1828)는 원주 링 시일(circumferential ring seal)(125)용 홈(123)을 가진다.
도 21은 지지 요소(1936)가 원뿔형 베이스(conical base)를 가진 나사(147)에 의해서 벌려지는 지지 판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나사(149)의 머리는 원뿔형이고 2개의 지지 요소들(2136)을 서로 떨어지게 가압한다.
스프링이 2개의 지지 요소들(2036)을 벌리는 도 22A에 따른 구조와 비교해서, 원뿔형 나사를 가지는 실시 예는 금속 판 모서리들이 부하에 의해서 둥글게 되거나 이어서 불룩하게 나올 때 상기 원뿔형 나사를 다시 조여야만 하는 단점을 가진다. 스프링이 자동적으로 재조정하고 자동적으로 보상한다.
상기 얇은 벽 내의 개구는 필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사각형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여타 다른 형태 예컨대 타원형 또는 둥근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둥근 실시 예는 도 22B에서 볼 수 있는 데, 그러나 이 경우에, 개구가 사각형일 때 마련되고 개구가 둥근 형태일 때 마련되지 않은 회전 방지용 수단이 마련되어야 할 수도 있다. 제 1 지지 판(도 25A의 최상부 참조)는 예컨대 이들 지지 판들이 서로 접속되는 경우에 바닥에서 제 2 지지 판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원형 개구(2012)의 배치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고 또 핀들을 받는 문짝 내 대응 구멍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힌지 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회전을 방지하는 추가적 핀들(pins)(151)(도 22C 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4A는 가늘고 긴 사각 구멍(2212)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2236-1, 2236-2)에 의해서 지지되는 하우징(18) 내로 하강시킬 수 있는 손잡이(2210)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다.
손잡이가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완전히 수용될 때까지 손잡이(2210)는 상기 하우징(18)에 의해 지지되는 축 핀(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손잡이(2210)의 후위부는 상기 하우징(18)을 외측 상에서 닫으며 부드러운 표면이 구성된다.
도 24B는 도 24A에 따른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24C는 도 24A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5A는 2개의 원형 구멍들(2312-1, 2312-2) 내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부분 종단면도로서 그 2개의 단부들은 손잡이 축의 방향으로 놓인 하나의 지지 요소를 각각 지지한다. 도 25B는 얇은 벽(2314) 내 관련된 원형 구멍들(2312-1, 2312-2)을 보여주고 있고, 도 25C는 도 25A에 따른 장치의 후면을 보여주고 있다. 손잡이 축(23)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지들(웨브들)(webs)은 손잡이 축(23)에 수직인 이 방향으로 원형 구멍(2312) 내 고정을 위해서 마련되었다.
도 25E는 구속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의 요홈(2388)(도 25A의 최상 부 참조)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지지 요소(2336)의 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5A의 바닥 부는 이러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5F는 도 25A의 지지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손잡이 축(23)의 방향으로 가요한(flexible) 협지(clamping)을 제공하는 2개의 서로 대향 배치되는 지지 요소들(2536-1, 2536-2)을 갖는 도 25A에 따른 손잡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27A는 지지 요소들(2536-1, 2536-2)이 손잡이 축(23)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요홈 내에 수용되는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종류의 요홈들은 사출 성형 다이(injection molding die) 내에 슬라이더들(sliders)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다이가 이 방향으로 열리므로, 즉 상기 핸들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열리므로) 사출 성형에 의해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지지 요소들(2536-1, 2536-2)은 서로에 대해서 동축이 아니고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지지 요소들이 너무 짧아지고 축 방향 안내가 충분히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도 27B는 도 27A의 실시 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7C는 도 27A에 따른 손잡이의 지지 요소들의 하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8A 내지 28F, 도 29A 내지 29F, 도 30A 내지 30F 및 도 31A 내지 도 31F에 있어서, A로 지시된 도면들은,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을 가진 단부 지지부들에 의해서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 고정될 수 있고 경사 단부면 모서 리를 가진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돌출부들이 안내된 후에 그의 쐐기 판들(2636,2736, 2836 및 2936)이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스냅-인(snap-in) 장치를 갖는 손잡이를 측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28A 내지 28F, 도 29A 내지 29F, 도 30A 내지 30F 및 도 31A 내지 도 31F에 있어서, B로 지시된 도면들은, A로 지시된 도면에 대해서 90도 만큼 회전시킨 각각의 손잡이의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C로 지시된 도면들은 B로 지시된 도면들에 대해서 좌측에서 본 각각의 손잡이에 대한 좌측면도이며; D로 지시된 도면들은 A로 지시된 도면들에 대해서 180도 만큼 회전시킨 부분 단면도이고; E로 지시된 도면들은 A로 지시된 도면들에 따른 각각의 손잡이의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올려다본 사시도이며; F로 지시된 도면들은 A로 지시된 도면들에 따른 각각의 손잡이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각각의 손잡이는 모든 도면들에 있어서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경사진 얇은 벽 내에 고정된다.
손잡이들은 형태만 다르고 고정구조는 동일하다.
도 32A는 도 3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단부면 모서리를 가진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돌출부들이 관통한 후에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그의 쐐기 판들(3036) 내에서 스냅-인(snap-in) 장치를 갖는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을 가진 단부 지지부들과 중심 지지부들에 의해서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를 측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32B는 도 32A에 대해서 90도 만큼 회전시킨 손잡이의 평면도이고; 도 32C는 도 32B에 따른 손잡이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32D는 도 32A에 대해서 180도 만큼 회전시킨 축 방향 단면도이고; 도 32E는 도 32A에 따른 손잡이를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올려다본 사시도이며; 도 32F는 도 32A에 따른 손잡이를 위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32G는 상세 단면도이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도 32A 내지 32G의 전 도면에 있어서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경사진 얇은 벽 내에서 고정된다.
여기서 도시된 고정 방식은 특히 비교적 긴 손잡이들에 적합하며 그 이유는 긴 손잡이들이 그의 단부들에서 지지될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그 손잡이의 중간에서 적어도 한번 더 지지되기 때문이다.
도 33A는 손잡이 바(handle bar)을 포함하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상기 손잡이는 도 3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단부면 모서리를 가진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돌출부들이 관통한 후에 개구의 테두리 뒤에서 접속하는 상기 돌출부들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한 그의 쐐기 판들(3036) 내에서 스냅-인(snap-in) 장치를 갖는 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을 가진 단부 지지부들과 중심 지지부들에 의해서 얇은 벽 내의 적절한 개구 내에 고정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지지부들의 고정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손잡이 바에서 이루어진다. 도 33B는 도 33A에 대해서 90도 만큼 회전시킨 손잡이 바의 부분에 대한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3C는 얇은 벽 내에 설치된 후에 도 33A에 따른 손잡이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3D는 도 33A에 대한 상기 지지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3E는 도 33C에 대한 상기 지지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특히 가요한(flexible)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4A 및 34B는 설치 개구로서 개구(12)가 마련된, 금속 판 캐비닛 문과 같은 얇은 벽(14) 내에 손잡이(3210)를 고정하기 위한 스냅-인 고정장치가 구비된 손잡이(3210)을 보여주는 90도 만큼 회전한 2개의 측면도들이다. 상기 스냅-인 고정장치는 설치후 개구(12)의 외측 테두리 또는 모서리(40)을 덮는 플랜지(flange)(19)가 구비된 머리부(3228)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머리부(3228)로부터 연장하며 설치 후 상기 개구(12)를 통해 연장하는 몸체부(30)도 포함한다. 그 단부(27)에서, 위에서 볼 때 U자형인 스프링(29)을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29)은 그 다리들의 단부들(31)에 의해서 개구(12)의 내측 모서리(40)상에 지지된다. U자형 스프링(29)은 U자형 다리들(35)로부터 U자형 다리들(35)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멍(37) 내로 돌출하는 탄성 가요 돌출부들(39)을 구비한다.
특히 도 35A 및 35B로부터 볼 수 있듯이, 스프링(29)은 위로부터 볼 때 U자형 윤곽을 가지는 평평한 구성품으로서, U자형 다리들(35)을 가지고, 이들 U자형 다리들(35)은 초기 제 1의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U자형 다리들(35)의 바(43)로부터 평행하게 연장하다가 그 다음 돌출부들(39)의 부위 내에서 시작해서, 제 2의 큰 폭을 가지고 서로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하게 연장하고 연장할수록 거의 직각을 이루면서 단부에서 잘려서(도 35A 의 부호 45 참조),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었을 때 이들 U자형 다리들(35)은 얇은 벽(14)의 면에 대해서 약간 경사각을 가지고 개구 테두리(40) 상에 지지된다.
도 3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몸체부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는 홈들(47, 49)을 가지며, 이들 홈들(47, 49)은 홈 기저부(groove base)(groove base)(51)의 변형을 통해 요부(41)를 구성하여 적어도 설치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9)의 U자형 다리들(35)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홈들(49)은 서로 연이어 배치된 다수의 평스프링(29)의 묶음(55)이 도 3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될 수 있는 폭(53)을 가지고, 여기서 전체 일렬의 평스프링들(29)이 공통 고정 및 지지면(57)을 구성한다. 각각의 상기 스프링들의 각각의 다리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상기 개구의 테두리는 이들 테두리가 불균일할 때도 특히 탁월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비해서 전체 면적 압력은 감소되지만 특히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얇은 벽용으로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비 금속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묶음(53)이 구비된 몸체부(3230)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될 수도 있어, 도 34C에서 점선(59)으로 표시된 2개의 몸체부들(126, 226) 사이에 축(61) 또는 여타 장치들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각각은 일 묶음의 평스프링들(29)(미 도시)이 삽입될 수 있는 실제 홈을 구성한다. 손잡이(3210)의 2개의 몸체부들(126, 226)을 수용하기 위한 가늘고 긴 개구(12) 대신에, 몸체부들(126, 226)을 수용하는 데 충분한 2개의 실질적으로 더욱 좁은 설치 개구들(112, 212)이 마련될 수도 있다.
몸체부는 실질적으로 등변 사각형일 수 있고, 플랜지 같은 머리부의 지지면과 상기 스프링 묶음의 단부의 지지면사이의 거리는 2개의 얇은 벽들이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확대될 수 있다.
지지력은 일정량만의 평스프링들을 묶음 또는 묶음들로 할당함으로써 이러한 묶음에 의해서 존재하는 요구에 정확히 필요한 만큼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가 설치될 금속 판의 두께 범위도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기 다른 협지 영역들(clamping areas)에 대해서 단지 0.5 mm 내지 0.6 mm 두께의 평스프링들을 간단히 묶기만 하면 금속 판 두께 공차 또는 금속 판 두께 범위는 배가(multiplying)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평스프링(529) (도 40)이 삽입될 수 있거나(도 39의 위로부터) (도 38의 측면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는 몸체부(530)가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삽입용으로 마련된 몸체부(530)는 양측이 플랜지(71) 내로 개방되어 있어 양측에서 스프링(들)(529)의 측 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며(도 39 참조) 또는 적어도 일측에서, 바람직하게 외측에서(도 38 참조)미끄러짐이 설치 측(73) 상에서 방지되고, 여기서 다른 적절한 수단 예컨대 관련 개구(112)의 수치 제한, 일 묶음 중 적어도 최종 스프링 요소를 상기 몸체부에 접착이나 용접하는 것 또는 상기 몸체부로 상기 스프링을 협지(clamping)하기 위해서 가지(web)(43)의 부위 또는 인근에서 가압하여 스프링(29)의 부분(75)을 넓히는 것과 같은 수단에 의해서 플랜지(71)는 없다.
상기 몸체부는 또한 사용되는 사출 다이들에 슬라이드(slides)가 없고 하나 의 분할 주형이면 충분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쉽게 제조된다.
도 34A 내지 40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U자형 가지가 실질적으로 직선을 구성하지만, U자형이 V자형이 되도록 가지가 짧은 실시 예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현될 수 있다.
한편, U자형 가지는 M자형 또는 V자형일 수 있고 V자형은 도 41A 내지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다리를 설치함으로써 M자형(거꾸로 하면 W자형)을 구성하게 확장될 수 있다.
V자형 또는 M자형의 가지은 상기 평스프링 또는 평스프링의 묶음이 삽입될 수 있는 채널(channel)(77)이 구비된 몸체부(63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수평 고정은 상기 채널 내로 연장하는 돌출부들(79) 또는 상기 채널을 가로지르는 핀 구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면들을 가진 상기 다리들은 상기 V자형 또는 M자형의 가지의 단부들로부터 연장한다.
본 발명은 스위치 캐비닛 제작분야에 상업적으로 적용가능하다.

Claims (43)

  1. 금속 판 캐비닛(cabinet) 문 같은 얇은 벽(14) 내의 개구(12)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판(16)과, 외측(26)에서 상기 얇은 벽(14)의 개구(12)의 테두리(24)에 겹쳐지는 플랜지(flange) 또는 회전 손잡이 같은 머리부(28)와, 상기 머리부(28)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얇은 벽(14) 내의 개구(12)를 통해 밀어 넣어질 수 있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얇은 벽914)의 다른 측(후위 측)(32) 상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지지부(34)를 갖는 손잡이(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몸체부(30)로부터 가요하게 외측 면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요소들(36)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의 자유단부는 상기 개구(12)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40) 상에 유격이 없이 상기 몸체부(30)를 지지하는 경사면(3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지 요소들(36-1, 36-2)이 마련되고 이들 2개의 지지 요소들(36-1, 36-2)은 스프링 장치(42), 특히 2개의 지지 요소들(36-1, 36-2)에 공통적인 코일 스프링 또는 2개의 코일 스프링들(42-1, 42-2)과 같은 가압 요소들 또는 원뿔형 나사들(147, 149)과 같은 쐐기 장치(wedge arrangements)에 의한 작용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36)은 상기 얇은 벽(14)의 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46)을 중심으로 설정된 방식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얇은 벽(14)의 후면으로부터 거리(A)를 두고 배치되는 레버들(levers)(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236)은 상기 얇은 벽의 표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5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레버들(2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36)은 상기 얇은 벽의 면에 평행하게 놓이는 실린더(50) 내에서 변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드들(52)이며, 슬라이드들(52)은 단면이 사각형이고 슬라이드들 자체 사이 또는 상기 실린더 내에서 구속하는 후크(hook) 장치에 의해 가압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36)은, 상기 얇은 벽의 면에 평행하게 놓이는 실린더 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단면이 사각형이고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핀 장치(56, 156)에 의해 가압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된 슬라이드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50)는, 상기 슬라이더들이 어깨(shoulder) 또는 후크(hook)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부분 분할 벽 또는 언더컷(undercut) 또는 개구 모서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그의 직경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나선 가압 스프링을 수용하는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를 지지하는 돌출부들이 상기 개구 내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0.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은 서로 연이어 배치되는 2개의 평평한 금속 편들에 의해 구성되며, 각각의 금속 편들은 개구를 가지고, 이들 2개의 개구들은 그 직경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서 나선 가압 스프링을 수용할 공간을 함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1.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은 서로 연이어 배치되는 2개의 금속 편들에 의해 구성되며 이들 금속 편들은 서로를 향하는 요철부들을 구성하고 서로에 대해서 축 방향 미끄러짐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2.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은 서로 연이어 배치되는 2개의 플라스틱 편들 또는 금속 편들로 구성되며 이들 플라스틱 편들 또는 금속 편들은 서로를 향하는 요철부들을 구성하고 공구 또는 키(key)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 힘에 대항해서 서로에 대해서 변위되도록 회전가능한 공구 또는 키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은, 하나의 금속 편 또는 서로 연이어 배치되는 2개의 금속 편들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금속 편 또는 2개의 금속 편들은 스프링에 의해서 결속 지지되어 이들 2개 또는 3개의 부품들이 자체적으로 안정하게 조종가능한(manageable) 유닛(unit)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판이 상기 개구 내에 설치된 후에 상기 지지 요소들을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 핀 또는 고정 플러그(plug) 또는 고정 나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지지 요소들의 부위 내에 요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은 적절한 방법으로 구부려진 판 스프링으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몸체부에 의해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동(cavity)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스프링의 요철부가 동작 위치에서 후위부를 고정적으로 구속하는 슬롯(slot) 또는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몸체부에 의해 형성되는 나사 구멍 내로 나사삽입되는 머리 나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몸체부에 의해 형성된 표면에 스폿 용접되거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판은 상기 얇은 벽과 같이 개구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는 그들 자체의 머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와 몸체부는 서로 나사접속되는 2개의 부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지지 요소들은 상기 손잡이의 축 방향으로 연이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 바(bar)에 의해서 상기 제1지지 판에 접속되는 제2 지지 판은 제1 지지 판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5.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10)는 상기 지지 요소들(2136-1, 2136-2)를 수용하는 하우징(2230) 내로 침입하거나 선회 삽입되거나 회전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6.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가늘고 긴 형태를 가지며 양 단부에서 지지 판(2316-1, 2316-2)을 구성하고 지지 요소들(2336, 2436-1, 2436-2)은 그 후위부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2336, 2436-1, 2436-2)은 상기 손잡이 축(23)의 방향으로 가요하게 프리텐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2536-1, 2536-2)은 상기 손잡이 축(23) 의 방향에 수직으로 가요하게 프리텐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9. 설치 후 개구(12)의 외측 테두리 또는 모서리(40)를 덮는 플랜지를 가지는 머리부(3228)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머리부(28)로부터 연장하고 설치 후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하며 다리의 단부들에 의해 상기 개구(12)의 내측 모서리(40) 상에 지지되는 실질적으로 U자형인 스프링을 그 단부에서 지지하는 몸체부(30)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236)은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단부에서 잘린 U자형 다리들(35)를 가진 평평한 구조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U자의 바닥 바(bar)는 실질적으로 직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U자의 바닥 바(bar)는 U자형이 실질적으로 V자형을 형성할 정도로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U자의 바닥 바(bar)는 U자형이 실질적으로 M자형 또는 W자형 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3. 제30항에 따라서, 위에서 볼 때 U자형인 상기 평스프링은 상기 다리들에 의 해 둘러싸인 구멍 내로 상기 U자형 다리들(34)로부터 돌출하고 설치될 때 상기 몸체부(24)내 대응 요부(40)에 의해 포지티브(positive) 접속으로 수용될 수 있는 탄성적으로 가요한 돌부들(38)을 가지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스프링은 상기 다리들에 의해 둘러싸인 구멍(36) 내로 상기 U자형 다리들로부터 돌출하고 설치될 때 상기 몸체부(24)내 대응 요부(40)에 의해 포지티브(positive) 접속으로 수용될 수 있는 탄성적으로 가요한 돌부들(3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U의 바닥 바(42)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다리들은 처음 제1의 작은 폭을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다음 상기 돌출부들(38)의 부위에서 시작하여, 제2의 더욱 큰 폭을 가지고 서로로부터 거리가 증가하게 연장하고 설치되었을 때 상기 얇은 벽(16)의 면에 대해 작은 경사를 가지게 상기 개구 테두리(20)상에 지지되도록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잘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홈 기저부(groove base)의 깊이의 변화를 통해 요부(40)를 형성하고 적어도 설치공정 중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8)의 U자형 다리들(34)을 수용할 수 있도록 깊이를 가지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는 홈들(46, 48)을 상기 몸체부(24)가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6. 제30항,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28)은 상기 몸체부(624)에 의해 지지되는 채널(76)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U의 바닥 바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 또는 핀(7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8. 제29항 내지 제3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 또는 채널들(46, 48)은 연이어 배치되는 한 묶음(54)의 다수의 평스프링들이 수용될 수 있는 폭(5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9. 제29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4)의 외측 단면과 상기 얇은 벽 내의 상응 개구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40. 제29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4)는 가늘고 긴 사각형이고 손가락 그립(grip)과 손 그립을 가진 머리부(1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41. 제29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가늘고 길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등변 사각형을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 형 머리부(418)의 지지면과 상기 스프링 단부(444)의 지지면 사이의 거리는 2개의 얇은 벽들(416,16)이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42. 제29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가늘고 길거나 실질적으로 등변 사각형을 구성하고, 상기 대응 머리부는 손잡이(12, 112)의 일 단부용 지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43. 제2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0.5 mm 내지 0.8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KR1020077009104A 2004-09-20 2005-09-15 개구 내 설치용 손잡이 KR20070062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4014766.1 2004-09-20
DE202004014766U DE202004014766U1 (de) 2004-09-20 2004-09-20 Griff zur Montage in einem Durchbr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571A true KR20070062571A (ko) 2007-06-15

Family

ID=3546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104A KR20070062571A (ko) 2004-09-20 2005-09-15 개구 내 설치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882594B2 (ko)
EP (3) EP1799941A1 (ko)
JP (1) JP4783791B2 (ko)
KR (1) KR20070062571A (ko)
CN (1) CN101065551B (ko)
AU (1) AU2005287608B2 (ko)
BR (1) BRPI0515497A (ko)
DE (2) DE202004014766U1 (ko)
MX (1) MX2007003291A (ko)
PL (1) PL1916361T3 (ko)
RU (1) RU2395660C2 (ko)
TW (1) TWI363830B (ko)
UA (1) UA90689C2 (ko)
WO (1) WO20060324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73B1 (ko) 2019-03-06 2020-04-24 김태호 신축이음장치
KR102186237B1 (ko) 2020-03-04 2020-12-03 김태호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KR20210112198A (ko) 2020-03-04 2021-09-14 김태호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8844U1 (de) * 2005-06-03 2006-10-12 Dieter Ramsauer Schnappverschluß für einen dünnwandigen Schrank
DE102006019209B4 (de) * 2006-04-21 2009-10-22 Kaiser + Kraft Europa Gmbh Griff zur Befestigung in einer hintergreifbaren Öffnung eines Bauteils
DE202006012797U1 (de) * 2006-08-19 2007-12-20 Ramsauer, Dieter Griffschale zum Einklipsen in einem Durchbruch in einer dünnen Wand
DE202007014728U1 (de) * 2007-10-19 2009-02-26 Ramsauer, Dieter Griff, Öse oder Kleiderhaken mit Befestigungsplatte und Drehlager
JP4958858B2 (ja) * 2008-08-06 2012-06-20 株式会社栃木屋 埋め込み式取っ手
US8365360B2 (en) * 2008-12-16 2013-02-05 Dana Louise Kunnath Removable handle
JP2011041632A (ja) * 2009-08-20 2011-03-03 Hochiki Corp トンネル用防災装置のハンドル取付構造
US20110225778A1 (en) * 2010-03-18 2011-09-22 Newfrey Llc Interior trim sealing fastener
US8506027B2 (en) * 2010-09-29 2013-08-13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refrigeration appliance handle with overmolded inserts
CN102367711A (zh) * 2011-09-28 2012-03-07 苏州苏鼎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带钥匙的把手
US8732910B1 (en) 2013-02-28 2014-05-27 General Electric Companmy Appliance handle assembly
US10407943B2 (en) 2013-04-11 2019-09-10 Peter Luizzi Temporary door hardware system and door
US9963914B2 (en) 2013-04-11 2018-05-08 Peter Luizzi Temporary door hardware system and door
RU2538525C1 (ru) * 2013-12-04 2015-01-10 Михаил Юрьевич Рылеев Ручка створки
DE202017001165U1 (de) * 2017-03-06 2018-06-08 Dieter Ramsauer Snapverbinder
CN110857711A (zh) * 2018-08-24 2020-03-03 泷源制造株式会社 面板固定件
KR20210076003A (ko) * 2018-10-18 2021-06-23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 장치
US20200154950A1 (en) 2018-11-21 2020-05-21 Chet Millerd Hideable grab bars
CN109348662B (zh) * 2018-11-22 2023-11-24 武汉银桥南海光电有限公司 一种通信柜柜门的可启闭锁紧密封结构
DE102019109763A1 (de) * 2019-04-12 2020-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Clip und ein mit dem Clip versehenes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9044A (en) 1926-06-10 1928-10-23 Harry A Elflein Lifting and carrying device
US2501940A (en) * 1946-11-12 1950-03-28 Hibbard Hurl Detachable utensil handle
US3310929A (en) * 1964-07-13 1967-03-28 Gen Motors Corp Molding and clip assembly
US3842709A (en) * 1973-08-20 1974-10-22 Gen Motors Corp Push-in fastener
CA1019366A (en) * 1974-08-02 1977-10-18 Ronald J. Mimier Hardware assembly with attaching clamp
US3939752A (en) * 1974-12-23 1976-02-24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structure
US3932010A (en) * 1975-01-23 1976-01-13 All-Steel, Inc. Flush pull arrangement for office furniture
US3969009A (en) * 1975-05-21 1976-07-13 Ready Metal Manufacturing Co. Handle
GB1520021A (en) * 1976-06-16 1978-08-02 Healey Mouldings Ltd Fitting of handles to articles
US4153314A (en) * 1978-03-06 1979-05-08 The Birtcher Corporation Handle assembly
DE8622709U1 (de) 1986-08-23 1986-10-23 Huwil-Werke GmbH Möbelschloß- und Beschlagfabriken, 5207 Ruppichterot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chließzylinder
US4834433A (en) 1987-12-28 1989-05-30 Saturn Corporation Plastic door handle
US5435159A (en) 1989-10-03 1995-07-25 Ramsauer; Dieter Lock housing with flange for fitting in an aperture in a thin wall like a sheet metal cupboard door or sheet metal casing cover
US5158329A (en) * 1991-09-20 1992-10-27 Southco, Inc. Slam latch
US5251467A (en) * 1992-09-08 1993-10-12 Loctec Corporation Front-installed cam lock
US5248175A (en) * 1992-12-21 1993-09-28 Chrysler Corporation Pre-assembled handle attaching arrangement
US5560575A (en) * 1995-02-21 1996-10-01 Trw Inc. Support and releasable fastener assembly
US5758987A (en) * 1995-09-18 1998-06-02 Southco, Inc. Snap-in fastener for flush-mounted panels
FR2761720B1 (fr) 1997-04-03 1999-06-18 Ferco Int Usine Ferrures Ferrure de verrouillage pour ouvrant coulissant
US6039366A (en) * 1998-03-13 2000-03-21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CN2345632Y (zh) * 1998-09-02 1999-10-27 李俊曾 防撬门中锁自锁机构
US6527471B2 (en) * 2000-01-19 2003-03-04 Termax Corporation Sealing spring fastener with closed cavity
US7168138B2 (en) * 2000-03-27 2007-01-30 Newfrey Llc Resilient clip fastener
DE20006876U1 (de) * 2000-04-14 2001-08-23 Ramsauer Dieter Verschluß zur Montage in einem Durchbruch in einer dünnen Wand
CN2500770Y (zh) * 2001-08-30 2002-07-17 隐多企业股份有限公司 玻璃门自动归位铰链的定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73B1 (ko) 2019-03-06 2020-04-24 김태호 신축이음장치
KR102186237B1 (ko) 2020-03-04 2020-12-03 김태호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KR20210112198A (ko) 2020-03-04 2021-09-14 김태호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04014766U1 (de) 2006-02-02
JP2008513636A (ja) 2008-05-01
CN101065551A (zh) 2007-10-31
RU2395660C2 (ru) 2010-07-27
UA90689C2 (ru) 2010-05-25
BRPI0515497A (pt) 2008-07-29
EP1916361A1 (de) 2008-04-30
AU2005287608B2 (en) 2010-04-22
TWI363830B (en) 2012-05-11
RU2007114625A (ru) 2008-10-27
TW200622073A (en) 2006-07-01
EP1916361B1 (de) 2013-03-13
US7882594B2 (en) 2011-02-08
EP1916362A1 (de) 2008-04-30
AU2005287608A1 (en) 2006-03-30
WO2006032403A1 (de) 2006-03-30
PL1916361T3 (pl) 2013-08-30
US20080127458A1 (en) 2008-06-05
DE112005002110A5 (de) 2007-08-02
JP4783791B2 (ja) 2011-09-28
MX2007003291A (es) 2007-07-05
CN101065551B (zh) 2013-01-02
EP1799941A1 (de)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2571A (ko) 개구 내 설치용 손잡이
AU2005217741B2 (en) Handle to be mounted in an opening
KR100883684B1 (ko) 개구부 내에 장착되는 힌지
KR100984564B1 (ko) 박벽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장착되는 잠금체
US7690083B2 (en) Clip fixture for the fast assembly of fittings, such as swiveling lever-type closures and hinge parts, in breakthroughs of a thin wall
JP5032991B2 (ja) U字型クランプピース
EP0699262B1 (en) Handle assembly
US6457791B1 (en) Fastening arrangement
US5303965A (en) Vandalism-proof lever handle system for locking or latching device
US4813726A (en) Panel retaining arrangement
US4611841A (en) Panel retaining arrangement
CN109690003A (zh) 用于门的可调节配件
US6904645B1 (en) Furniture hinge
MXPA06009731A (en) Handle to be mounted in an opening
CN215889606U (zh) 用于诸如窗、门等结构元件的操纵手柄
EP1411197B1 (en) Bolt
DK179526B1 (en) Shelf system with locking mechanism
KR200252525Y1 (ko) 가구용 손잡이
KR19990035594U (ko) 허리벨트용 버클
KR200215754Y1 (ko) 창문용 잠금 장치
KR200165815Y1 (ko) 셔터용 잠금장치의 안전장치
KR200313891Y1 (ko) 경첩
KR200306846Y1 (ko) 머리핀의 구조
KR950006045Y1 (ko) 도어용 실내 자물쇠
RU205787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