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630A -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630A
KR20070061630A KR1020050121258A KR20050121258A KR20070061630A KR 20070061630 A KR20070061630 A KR 20070061630A KR 1020050121258 A KR1020050121258 A KR 1020050121258A KR 20050121258 A KR20050121258 A KR 20050121258A KR 20070061630 A KR20070061630 A KR 20070061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airbag
sens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1630A/ko
Publication of KR2007006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 전방 차체의 범퍼 오버 라이드의 상황 발생시 이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정확하게 검출하고 이를 통한 에어백의 전개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행중 차량의 충돌 상황을 검출하는 충돌 센서와; 주행중 차량의 범퍼 오버 라이드 상황을 검출하는 보조 센서; 상기 충돌 센서를 매개로 주행중 충돌을 판단하는 경우와, 상기 보조 센서를 매개로 주행중 범퍼 오버 라이드를 판단하는 경우에 각각 에어백 모듈에 대한 전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개 신호를 받아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동작하는 에어백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air ba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충돌 센서 12-보조 센서
14-제어부 16-에어백 작동부
18-스위칭부 20-후드
22-장식물 24-부도체
26-도체 28-제1도선
30-제2도선 32-이그니션 전원 검출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중 충돌 상황은 물론 전방 차체에 대한 범퍼 오버 라이드 상황을 각각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고, 이 를 통해 에어백의 전개 작용을 유도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부분의 차량에 에어백이 기본 사양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대형 사고의 발생시 반드시 에어백이 전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승용 차량과 같이 전방 차체의 지상고가 낮은 차량이 대형 화물차와 같이 지상고가 높은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승용 차량의 전방 차체가 대형 화물차의 차체 하부로 들어가게 되는 이른 바 범퍼 오버 라이드의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때 기존의 에어백에 있어 충돌 센서가 동작하지 않게 되면 에어백의 전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이는 기존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 충돌 센서가 주로 차체의 프레임 부재상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충돌에 따른 차체의 프레임 부재에 직접적인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면, 충돌의 상황을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인하는 현상인 것이다.
즉, 기존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센서가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다. 따라서 차량이 극심하게 파손될 정도의 사고라 할지라도 범퍼 오버 라이드의 상황시에는 차체의 프레임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충돌 센서로부터 검출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은 미약하고, 그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어 에어백의 미전개에 따라 운전자는 치명적인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행중 전방 차체의 범퍼 오버 라이드의 상황 발생시 이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정확하게 검출하고 이를 통한 에어백의 전개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중 차량의 충돌 상황을 검출하는 충돌 센서와;
주행중 차량의 범퍼 오버 라이드 상황을 검출하는 보조 센서;
상기 충돌 센서를 매개로 주행중 충돌을 판단하는 경우와, 상기 보조 센서를 매개로 주행중 범퍼 오버 라이드를 판단하는 경우에 각각 에어백 모듈에 대한 전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개 신호를 받아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동작하는 에어백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센서(10)는 주행중 차량의 충돌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보조 센서(12)는 주행중 차량의 범퍼 오버 라이드 상황을 검출하는 바, 바람 직하기로는 전방 차체의 전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어부(14)는 상기 충돌 센서(10)를 매개로 주행중 충돌의 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와, 상기 보조 센서(12)를 매개로 주행중 범퍼 오버 라이드의 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에 각각 에어백 모듈에 대한 전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백 작동부(16)는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출력되는 전개 신호를 받아 에어백 모듈을 전개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인 바, 상기 에어백 작동부(16)는 통상의 에어백 장치와 동일하게 충돌시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출력되는 점화 신호에 따라 에어백 모듈을 전개시키도록 하는 인플레이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 센서(12)는 전방 차체의 상측 표면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충돌에 따른 전방 차체의 범퍼 오버 라이드 상황 발생시 외력에 의한 접점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스위칭부(18)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위칭부(18)는 일단이 이그니션 전원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어부(14)의 입력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바, 예컨대 상기 스위칭부(18)는 전방 차체의 후드(20)와 상기 후드(20)의 표면에 설치된 장식물(22) 사이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칭부(18)는 상기 후드(20)와 상기 장식물(22) 사이를 연결하는 부도체(24) 및 도체(26)와, 상기 부도체(24)를 관통하여 배선되는 제1도선(28) 및, 상기 제1도선(28)과 상기 도체(26)를 매개로 통전되도록 배선되는 제2도선(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선(28)은 이그니션 전원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도선(30)은 상기 제어부(14)의 입력 단자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보조 센서(12)를 통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범퍼 오버 라이드를 판단한 경우에, 상기 충돌 센서(10)로부터 검출되는 충돌 신호의 출력을 보정하여 상기 에어백 작동부(16)에 전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14)는 범퍼 오버 라이드 상황 발생시 상기 에어백 작동부(16)에 직접 전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상기 충돌 센서(10)로부터 검출되는 미약한 충돌 신호의 출력을 증폭시키도록 보정하여, 이를 통해 상기 에어백 작동부(16)가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을 위한 이그니션 전원의 온 상태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전원 검출부(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바, 상기 제어부(14)는 차량의 시동후 대략 10초간의 전압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이그니션 전원 검출부(32)를 매개로 시동의 온 상태를 검출한 다음, 상기 보조 센서(12)에 대한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 한해 주행중 상기 보조 센서(12)로부터 검출된 범퍼 오버 라이드 신호를 매개로 상기 에어백 작동부(16)에 전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정차 상태에서 상기 보조 센서(12)의 파손된 경우에 있어, 상기 제어부(14)가 오판정에 따라 에어백 작동부(16)에 전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시동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4)는 이그니션 전원 검출부(32)를 매개로 시동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보조 센서(12)를 통해 검출되는 이그니션 전원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매개로 주행전에 상기 보조 센서(12)가 정상 상태인지 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행중 범퍼 오버 라이드 상황의 발생시 상기 보조 센서(12)의 스위칭부(18)는 접점이 오프되고, 이를 상기 제어부(14)가 검출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작동부(16)에 전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에어백의 작동에 따른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시동시 상기 제어부(14)는 이그니션 전원 검출부(32)를 매개로 상기 보조 센서(12)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고, 상기 보조 센서(12)가 정상 상태임을 인지하면, 주행중 상기 보조 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 작동부(16)에 전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차량의 시동시 상기 보조 센서(12)의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충돌 센서(10)를 매개로 하는 충돌 상황의 검출시에 국한되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제어를 실시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주행중 충돌에 따른 범퍼 오버 라이드의 상황 발생시 보조 센서를 매개로 범퍼 오버 라이드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백 작동부에 전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범퍼 오버 라이드를 검출하는 보조 센서가 전방 차체의 전단부에 위치 함에 따라 충돌에 따른 범퍼 오버 라이드의 발생시 이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검출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에어백 작동부의 구동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에어백의 조기 전개에 따른 운전자의 상해치를 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충돌시 범퍼 오버 라이드에 따른 상황에 대해 보다 빠른 시간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 대한 안전의 확보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주행중 차량의 충돌 상황을 검출하는 충돌 센서와;
    주행중 차량의 범퍼 오버 라이드 상황을 검출하는 보조 센서;
    상기 충돌 센서를 매개로 주행중 충돌을 판단하는 경우와, 상기 보조 센서를 매개로 주행중 범퍼 오버 라이드를 판단하는 경우에 각각 에어백 모듈에 대한 전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개 신호를 받아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동작하는 에어백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센서는 전방 차체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충돌에 따른 전방 차체의 범퍼 오버 라이드시 외력에 의한 접점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스위칭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칭부는 일단이 이그니션 전원과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후드와 상기 장식물 사이를 연결하는 부도체 및 도체와;
    상기 부도체를 관통하여 배선되는 제1도선 및;
    상기 제1도선과 상기 도체를 매개로 배선되는 제2도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선은 이그니션 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2도선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을 위한 이그니션 전원의 온 상태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전원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시 상기 이그니션 전원 검출부를 매개로 시동의 온 상태를 검출한 다음, 상기 보조 센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 한해 주행중 상기 보조 센서로부터 검출된 범퍼 오버 라이드 신호를 매개로 상기 에어백 작동부에 전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센서에 대한 이상 유무의 판단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그니션 전원 검출부를 매개로 전압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의 경과후, 상기 보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이그니션 전원에 해당하는 지의 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050121258A 2005-12-10 2005-12-1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070061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58A KR20070061630A (ko) 2005-12-10 2005-12-1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58A KR20070061630A (ko) 2005-12-10 2005-12-1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630A true KR20070061630A (ko) 2007-06-14

Family

ID=3835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258A KR20070061630A (ko) 2005-12-10 2005-12-10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16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7430B2 (ja) 自動車
JP5251905B2 (ja) 車両用側面衝突判定装置および高電圧電源遮断装置
US20080046148A1 (en) Control Apparatus for Occupant Restraint Device
US7359780B2 (en) Occupant protection activation device
US6209910B1 (en) Ignition control system for a passive safety device
JP3348697B2 (ja) 車両用側突エアバッグ装置の起動制御システム
KR10104000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에어백 장치를 이용한 고전압 릴레이제어 시스템
JP2009220784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エアバッグ制御方法
JP4465767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制御装置
JP4916099B2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
KR20070061630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JP4030990B2 (ja) 乗員保護装置の通信制御装置
KR102557187B1 (ko) 차량용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25478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4614087B2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US5990569A (en) System for triggering a protecting device
US20100292885A1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Trigger Passenger Protection Means
KR100558407B1 (ko) 저속 충돌시 에어백의 전개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07320462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および乗員保護システム
JP2009012549A (ja) 車両の安全装置
KR20100066911A (ko) 에어백 전개신호 재발생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603710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상대방 속도에 따른 에어백 전개제어 장치 및 방법
JP5315921B2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駆動方法
KR100551823B1 (ko) 자동차의 충돌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199572B1 (ko) 에어백 전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