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117A -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117A
KR20070061117A KR20060048044A KR20060048044A KR20070061117A KR 20070061117 A KR20070061117 A KR 20070061117A KR 20060048044 A KR20060048044 A KR 20060048044A KR 20060048044 A KR20060048044 A KR 20060048044A KR 20070061117 A KR20070061117 A KR 2007006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user
service platform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4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869B1 (ko
Inventor
강숙양
배정숙
김경숙
박현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869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사이에서 연동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황 정보 관리부, 서비스 관리부 및 이동성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황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의 상황을 감지 및 추론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개시 요구를 수행한다. 서비스 관리부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별로 서비스 프로파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부합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수행한다. 이동성 관리부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이동에 따른 세션 정보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한다.
이로써, 개인을 중심으로 개인의 상황 및 선호도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를 동적으로 제어해 줄 수 있고, 서비스 플랫폼간을 이동하여도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정보 교환, 상황 정보 교환, 세션 정보 교환

Description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Device of service platform for providing service mobility and method of interlock between service platform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장치가 구현된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장치 내부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장치 간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이동성의 제공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장치 간의 연동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세부적으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나 네트워크를 이동하여도 세션을 연속적으로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네트워크 내에서 제공하던 서비스에 벗어나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가 출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망은 개인을 중심으로 개인의 상황 및 선호도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를 동적으로 제어해 줄 수 있는 기능을 요구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였으며, 네트워크 내의 물리적인 서버간에는 연속적인 서비스 이동을 위해 핸드오버 기술 등을 이용하였다. 즉, 사용자는 한 네트워크에 종속되어 있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한 사용자에 대한 하나의 디바이스만을 관리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차세대 이동통신의 망 구조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에 목표를 두며, 사용자는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디바이스 간을 자유자재로 이동하면서 세션을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연구되는 가운데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전 추세에 따르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는 별개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들이 출현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 타입의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도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 가능한 형태로 융합 발전될 전망이다.
따라서 망보다는 상위의 구조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여러 디바이스,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별 프로화일과 서비스 별 프로화일 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상황 정보 등을 계속적으로 추적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를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간에 두고, 다수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간에 정보 교환에 의해 서비스 이동성을 구현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서비스 플랫폼 장치 간의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사이에서 연동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황을 감지 및 추론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개시 요구를 수행하는 상황 정보 관리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별로 서비스 프로파일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 부합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이동에 따른 세션 정보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연동 방법은,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사이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간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에 따른 상황 정보의 수집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변경에 따른 상황 정보가 발생한 경우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게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세션을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이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망은 서비스 제공자(100),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 네트워크(300) 및 사용자(400)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자(100)는 네트워크(300)가 제공해오던 제한된 서비스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여러 개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과 다양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400)와 인터페이스 한다.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여러 디바이스,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관리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별 프로파일 및 서비스 별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상황 정보 등을 계속적으로 추적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400)에게 상황 정보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화 서비스는 서비스 별 사용자의 선호도, 네트워크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 등을 이용한 서비스이다. 또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간의 서비스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 정보 및 상황 정보, 세션 정보 등을 포함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 간에 교환한다.
그리고 하나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에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도 여러 서비스 플랫폼 장치와 연계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여러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과 연동하고 하나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도 여러 네트워크(300)와 연동할 수 있다.
사용자(400)는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때, 디 바이스 마다 연결된 네트워크가 다를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특성 또한 다르다. 이러한 사용자(400)는 다양한 망 사이를 이동하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400)는 하나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서비스 제공자(100)와 연동할 수 있지만, 확장하여 여러 개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다른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으로 이동하여 계속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200)는 상황 정보 관리부(CMF)(210), 서비스 관리부(SMF)(220) 및 이동성 관리부(MMF)(230)를 포함한다.
상황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상황을 감지하고 수집하며 추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상황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개시 요구를 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220)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소에 보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서비스 프로화일을 참조하여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필요 시 서비스를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동성 관리부(230)는 서비스 이동이 발생 시, 즉 디바이스나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여 원활한 서비스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장치 내부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상황 정보 관리부(210)는 제1 상황 정보 관리 모듈(212), 제 2 상황 정보 관리 모듈(214) 및 제3 상황 정보 관리 모듈(216)을 포함한다.
제1 상황 정보 관리 모듈(212)은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변경 여부를 감지한다.
제2 상황 정보 관리 모듈(214)은 제1 상황 정보 관리 모듈(212)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관리부의 상황 정보 형성 요구에 따른 상황 정보 통보를 수행한다.
제3 상황 정보 관리 모듈(216)은 제1 상황 정보 관리 모듈(212)로부터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 플랫폼 장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서비스 개시를 요구한다. 이때,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선택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서비스 플랫폼 장치 선택을 요청하여 수신한 정보 및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220)는 제1 서비스 관리 모듈(222) 및 제2 서비스 관리 모듈(224)을 포함한다.
제1 서비스 관리 모듈(222)은 상황 정보 관리부(21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 형성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서비스 관리 모듈(224)은 이동성 관리부(23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세션 정보를 요구하여 수신하고, 사용자의 세션 연결 및 해제를 제어한다.
이동성 관리부(230)는 세션 연결 관리 모듈(232), 세션 정보 관리 모듈(234) 및 세션 해제 관리 모듈(236)을 포함한다.
세션 연결 관리 모듈(232)은 서비스 관리부(220)의 세션 설정 요구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세션 정보 관리 모듈(234)은 서비스 관리부(220)의 세션 정보 요청에 따른 세션 설정 정보를 제공한다.
세션 해제 관리 모듈(236)은 서비스 관리부(220)의 세션 해제 요구에 따른 세션에 대한 해제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간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이동성의 제공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바꾸거나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203)으로 진입하여 서비스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전 서비스 플랫폼(201)과 서비스 관련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203)에 진입하면 이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발생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 플랫폼 선택에 대한 질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플랫폼선택은 자동이나 수동으로 가능하며, 자동으로 옮겨질 경우 우선 순위에 의해 처리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장치 간의 연동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먼저 서비스 등록이 이루어진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 장치(700)의 서비스 관리부(740)는 상황 정보 관리부(720)에게 상황이 변경되거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서비스 통보를 하도록 상황 정보 형성 요구를 한다(S101).
그러면, 상황 정보 관리부(720)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이를 알리는 상황 정보 통보를 서비스 관리부(740)로 보낸다(S103).
그러면, 서비스 관리부(740)는 서비스 중인 세션이 있다면 그에 대한 정보 즉 사용자 서비스 정보를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800)에 질의한다(S105).
그러면, 사용자 서비스 정보를 질의받은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800)는 상황 정보 관리부(820)에게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요구하여 받는다(S107, S109).
그러면, 이동성 관리부(860)는 이전 세션에 대한 데이터를 요구하여 받는다(S111, S113).
그러면,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800)의 서비스 관리부(820)는 상황 정보와 세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 장치(700)에게 응답한다(S115).
그러면,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800)의 서비스 관리부(820)는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 장치(700)에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 후 이동성 관리부(860)에게 세션 해제를 요구한다(S117).
그러면, 이동성 관리부(860)는 서비스 제공자(900) 및 단말(1100) 각각과 세션 중단 요구 및 세션 중단 응답을 수행한다(S119, S121, S123, S125).
그러면, 이동성 관리부(860)는 서비스 관리부(840)에게 상기 단계(S117)에서의 세션 해제 요구에 대해 응답한다(S127).
이후,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 장치(700)의 서비스 관리부(740)는 상기 단계(S115)에서 사용자 서비스 정보를 응답받은 후, 새로운 세션 설정 요구를 이동성 관리부(760)에게 보낸다(S129).
그러면, 서비스 관리부(740)의 세션 설정 요구(S131)에 따라 이동성 관리부(760)는 서비스 제공자(900)와의 세션 연결 요구 및 세션 연결 응답에 따라 세션 연결이 이루어진다(S133, S135).
그러면, 이동성 관리부(760)는 단말(1000) 과의 세션 연결 요구 및 세션 연결 응답에 따라 세션 연결이 이루어진다(S137, S139).
이후, 서비스 관리부(740)는 이동성 관리부(760)로부터 세션 설정 응답을 수신(S141)하고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 장치(700)를 통해 디바이스와 서비스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서비스 플랫폼은 지역마다, 또는 박물관, 도서관과 같은 서비스 영역별로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런 여러 공공기관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영역에 진입하였을 때 이전 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던 서비스를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에서도 연속적으로 받고자 한다면, 이전 서비스 정보가 필요하다. 이때 서비스 플랫폼간의 컨텍스트(context) 정보나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연속적인 서비스 이동성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 장치로 이동하거나 디바이스, 네트워크가 바뀌어도 계속적인 서비스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이전 세션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서 가져옴으로써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변경된 사용자의 선호도나 상황 정보 등이 그대로 반영이 되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사이에서 연동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황을 감지 및 추론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개시 요구를 수행하는상황 정보 관리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별로 서비스 프로파일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 부합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이동에 따른 세션 정보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변경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상황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상황 정보 관리 모듈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 관리부의 상황 정보 형성 요구에 따른 상황 정보 통보를 수행하는 제2 상황 정보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의 세션 설정 요구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관리 모듈;
    상기 서비스 관리부의 세션 정보 요청에 따른 세션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세션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서비스 관리부의 세션 해제 요구에 따른 세션에 대한 해제를 수행하는 세션 해제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상황 정보 관리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 형성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서비스 관리 모듈; 및
    상기 이동성 관리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세션 정보를 요구하여 수신하고, 사용자의 세션 연결 및 해제를 제어하는 제2 서비스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제1 상황 정보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특정 서비스 플랫폼 장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서비스 개시를 요구하는 제3 상황 정보 관리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선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서비스 플랫폼 장치 선택을 요청하여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른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7.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사이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장치 간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에 따른 상황 정보의 수집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변경에 따른 상황 정보가 발생한 경우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게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세션을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사용자 서비스 정보, 세션 정보 및 상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ⅰ) 특정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진입한 사용자의 서비스 플랫폼 장치 선택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사용자의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의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ⅰ) 상기 이전 서비스 플랫폼 장치와 세션 해제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방법.
KR20060048044A 2005-12-08 2006-05-29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KR100754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926 2005-12-08
KR20050119926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117A true KR20070061117A (ko) 2007-06-13
KR100754869B1 KR100754869B1 (ko) 2007-09-04

Family

ID=3835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48044A KR100754869B1 (ko) 2005-12-08 2006-05-29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8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581A1 (en) * 2007-07-10 2009-01-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ofile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20140104097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45761A (ko) * 2018-10-23 2020-05-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3자 측에서의 개인정보 위험 식별 방법 및 시스템
US11144674B2 (en) 2018-10-23 2021-10-12 Inje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risk 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91B1 (ko) * 2004-03-19 2011-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581A1 (en) * 2007-07-10 2009-01-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ofile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380192B2 (en) 2007-07-10 2013-02-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ofile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20140104097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45761A (ko) * 2018-10-23 2020-05-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3자 측에서의 개인정보 위험 식별 방법 및 시스템
US11144674B2 (en) 2018-10-23 2021-10-12 Inje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risk 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869B1 (ko) 200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3132B2 (en) Dynamic carrier selection
JP5335810B2 (ja) Wwan装置の自動プロビジョニング
US8369845B2 (en) Method and system to subscribe, configure and move mobile telephone software service conveniently
CN100558064C (zh) 用于呼叫中心的方法和系统
US8655329B2 (en) Downloadable profiles for mobile terminals
CN101341710A (zh) 对于集成wlan热点客户端的支持
KR20050054539A (ko) Sip 기반의 개인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40056257A1 (en) Utilization of multiple access points to support multiple applications and services
KR100754869B1 (ko)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CN106027377B (zh) 建立社交关系的方法及装置
JP2004312605A (ja) 携帯電話への動画情報のプッシュ型配信方法
US87617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mobile node decision based on service usage history information
KR20070072853A (ko) 이종 환경에서의 투명한 서비스 적합화
US7532878B2 (en) Communication method
KR100795558B1 (ko) 상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0141497A (ja) サービスサー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20130295891A1 (en) Method an apparatus of providing service mobility among user equipments
KR100716043B1 (ko)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90711B1 (ko) 모바일 고객상담에서의 무선인터넷 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JP2004310458A (ja) 個人情報流通方法および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並びにポリシー判定システム
KR20040073334A (ko) Sms를 이용한 정보 검색·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8219B1 (ko) 서비스 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795960A (zh) 视频通信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0631597B1 (ko) 휴대단말기 망 핸드오버의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
WO2009015436A1 (en) Least cost routing over separat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Year of fee payment: 4

Payment date: 2010080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