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891B1 -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891B1
KR101040891B1 KR1020040019045A KR20040019045A KR101040891B1 KR 101040891 B1 KR101040891 B1 KR 101040891B1 KR 1020040019045 A KR1020040019045 A KR 1020040019045A KR 20040019045 A KR20040019045 A KR 20040019045A KR 101040891 B1 KR101040891 B1 KR 10104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nit
information
composite
provid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561A (ko
Inventor
권범준
한호선
지창우
김효선
엄봉수
설원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8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각각의 단위 기능으로 관리하고 단위 기능을 결합하여 쉽고 빠르게 복합 서비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대한 인증, 권한, 등록 가입을 수행하고 응용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을 지원하며, 응용 서비스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단위 기능의 등록, 변경 및 삭제를 수행하는 프레임워크부, 상태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조회 및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상태 관리부 및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기능을 조합하여 복합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하기 위한 복합 서비스 제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서비스 기능인 단위 기능을 조합하여 복합 서비스를 빠르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복합 서비스, 단위 기능

Description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of Complex Service in Wireless Interne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구축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응용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응용 서비스 플랫폼 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상태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응용 서비스 플랫폼의 모듈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 응용 서비스 플랫폼
30 : 고객 관리 시스템 40 : 이동통신 시스템
50 :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110 : 프레임워크부
120 : 상태 관리부 130 : 복합 서비스 제작부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각각의 단위 기능으로 관리하고 단위 기능을 결합하여 쉽고 빠르게 복합 서비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하나의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가 복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의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주된 서비스로 하여 모바일 상거래, 메시징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면서 인증, 정산 기능을 구비하여야 하며, 모바일 상거래와 메시징 서비스의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 정산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현재는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인증, 정산 등의 기능이 각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연동 구조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 별개로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이 중복 개발되게 되고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는 유행에 민감하고 다양화되 고 있으며, 특히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정보, 통신, 방송 등의 산업이 점차 통합됨에 따라 다양하고 고부가가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플랫폼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시장 적시성, 상용 플랫폼 부하 가중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런데, 현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각 서비스 시나리오에 적합한 내/외부 인터페이스 규격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서비스마다 상이한 프로토콜과 메시지를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공통적인 활용이나 단위 기능을 조합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단위 기능으로 관리하고, 플랫폼 내외부의 종속성을 단순화하며, 서비스 내외부 인터페이스를 단순화 및 표준화함은 물론, 단위 기능의 재사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신규 서비스 개발시 단위 기능을 결합시켜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산되어 있는 서비스 관련 개인정보를 통합 관리 및 분석하여 부가가치를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적이고 핵심적인 서비스 기능을 모듈화하고, 시스템간의 연동기능을 단순화하여 서비스 개발 비용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복수의 단위 기능을 포함하는 응용 서비스 플랫폼,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부가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고객 관리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단위 기능의 조합에 의해 복합 서비스를 제작하도록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대한 인증, 권한, 등록 가입을 수행하고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을 지원하며,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단위 기능의 등록, 변경 및 삭제를 수행하는 프레임워크부;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조회 및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상태 관리부;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단위 기능을 조합하여 복합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하기 위한 복합 서비스 제작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구축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정보, 통신, 방송 산업간의 향후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이러한 의미에서 차세대 통합 플랫폼(Next Generation Convergence Platform; NGcP)라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단위 기능(Platform Service Capability Feature; PSCF)으로 칭할 것이며, 이러한 단위 기능은 개방형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인 오픈(Open) API 형식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오픈 API는 복합 서비스가 응용 서비스 플랫폼의 단위 기능 및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국제 표준 규격과 호환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오픈 API는 XML을 사용하여 설계하며, 향후 지원될 서비스를 고려하여 확장성 있게 설계하여야 한다. API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은 향후 웹 서비스의 도입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SOAP을 지원하여야 하며, 국제 표준을 준수하는 다른 전송 프로토콜의 적용이 가능하다.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은 분산 환경에서 분산 객체를 위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텍스트 기반, XML 기반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SOAP은 IP나 HTTP와 같은 낮은 수준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응용 프로그램은 특정 클라이언트와 특정 서버 간에 사용하는 높은 수준의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WSD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필요한 API 카테고리는 인증, 권한, 등록, 가입을 위한 API 세트,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API 세트,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API 세트, 복합 서비스를 제작하기 위해 응용 서비스 플랫폼이 제공하는 단위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API 세트, 관리 정보 요청을 위한 API 세트,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API 세트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API 카테고리는 후술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세 설명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응용 서비스 플랫폼(20), 고객 관리 시스템(30), 이동통신 시스템(40) 및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와 상호 연동하여, 단위 기능과 정보들을 관리하며, 복합 서비스 제공자가 단위 기능을 이용하여 복합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복합 서비스는 복수의 단위 기능 및 정보들을 복합하여 생성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보(콘텐츠) 자체의 조합이나 번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위 기능을 복합하여 생성되는 또 다른 형식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복합 서비스 제공자는 이동통신망 사업자 또는 이동통신망 사업자와 독립적인 콘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서 생성되는 복합 서비스는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및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성되며,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은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단위 기능의 등록, 변경,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이 갖고 있는 다양한 정보(고객, 단말, 서비스 프로파일 등) 및 가입자의 이동성에 관한 정보(Presence 정보) 등은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내에서 상태 정보로서 통합 관리(Presence and Availability Management; PAM)된다.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변경된 정보를 반영하여 저장된 상태 정보를 갱신하여야 한다.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의 요청에 따라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으로 단위 기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은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인 오픈(Open) API 방식에 의해 전송된다. 이를 위하여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의 요청을 분석하여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이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요청 메시지로 변경하고 이를 전달하여야 한다. 또한,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다양한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이러한 요청을 오픈 API에 맞게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으로 전달한다. 아울러,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저장된 상태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를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으로 전달하여 변경된 상태 정보를 반영하도록 한다.
고객 관리 시스템(30)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고객 관리 시스템(30)의 고객, 단말,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 및 이동성 정보 등은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서 상태 정보로 통합 관리된다. 아울러, 고객 관리 시스템(30)에서 고객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전달하여 상태 정보에 변경 정보가 반영되도록 한다.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오픈 API 형식으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경우에 따라 고객 관리 시스템(30)으로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서 관리하고 있는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고객 관리 시스템(30)으로 전달하여 변경 정보를 반영하도록 한다.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는 이동통신 시스템(40)에서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단위 기능(PSCF)과 구분하여 네트워크 단위 기능(NSCF)으로 칭한다.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네트워크 단위 기능의 등록, 변경,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이동통신 시스템(40)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고객, 단말,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 및 이동성 정보들을 상태 정보로서 관리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40)에서 관리하는 고객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이를 반영하여 상태 정보가 갱신되도록 한다.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오픈 API 형식으로 네트워크 단위 기능을 요청하는 경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40)에서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요청 메시지로 변경하여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달한다. 또한,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오픈 API 형식으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경우에 따라 이러한 요청을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는 오픈 API를 사용하여 다양한 단위 기능 및 상태 정보를 활용하며, 이를 위한 합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권한의 신청, 변경,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단위 기 능 및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에 대한 권한 검증을 선행하여야 한다.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복합 서비스의 빠른 개발 및 안정적인 테스트,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하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필요로 하는 단위 기능 및 상태 정보 목록, 사용법 등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은 도 3과 같이 서비스 계층(210), 서비스 관리 계층(220), 응용 계층(230), 액세스 계층(240) 등 다양한 서비스 계층 및 단위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로서, 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인증, 권한, 등록 가입 등을 담당하고 응용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부(110), 다양한 서비스 데이터와 고객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고객이 자신의 기호 정보를 조회 및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상태 관리부(120) 및 복합 서비스 개발자가 복합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복합 서비스 제작부(130)를 포함한다.
프레임워크부(110)
프레임워크부(110)는 복합 서비스 제작을 위해 필요한 인증, 권한, 등록, 가입 기능을 담당하고, 응용 서비스 플랫폼(20)과의 연동을 지원하며 다양한 제어 정 보를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워크플로우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한다.
인증 및 권한 관리 기능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워크부(110)는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단위 기능을 요청할 때 적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가입 여부, 요청한 단위 기능에 대한 권한 여부를 확인하여 적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해당 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입되어 있지 않은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로부터의 요청인 경우나 권한이 없는 단위 기능에 대한 요청인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와 함께 요청을 거절하여야 한다. 또한, 악의적인 공격이나 해킹에 대한 대비책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 오픈 API 형식으로 제공되는 모든 단위 기능은 프레임워크부(110)에 등록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위 기능은 추가, 변경, 삭제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시 프레임워크부(110)에도 변경 사항이 반영되게 된다. 예를 들어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에서 단위 기능이 설치되거나 업그레이드된 경우 자동적으로 프레임워크부(110)에 추가, 변경, 삭제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다. 단위 기능의 등록시에는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사용하게 될 인터페이스(API) 형식(API명, 테마 리스트, 테마 타입, 리턴 타입 등), 응용 서비스 플랫폼(2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정보(인터페이스명, 테마 리스트, 테마 타입, 리턴 타입 등) 및 이들간의 매칭 규칙 등이 등록되어야 한다. 아울러, 프레임워크부(110)는 등록되는 인터페이스(API)에 대하여 형식 검증 등을 통하여 무결성을 보장하여야 하며, 기존의 시스템뿐 아니라 이동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야 한다.
한편, 프레임워크부(110)는 단위 기능의 활용을 원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의 가입 절차를 지원한다. 가입 절차는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의 가입과 해당 제공자가 제공하는 복합 서비스의 등록,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사용하고자 하는 단위 기능의 신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부(110)는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를 등급을 나누어 관리하며, 제공자 서버(50)의 등급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단위 기능의 범위가 결정된다.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의 가입을 지원하기 위해 프레임워크부(110)는 기존의 제휴사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야 하고, 가입 절차 수행시 해당 제공자 서버(50)가 사용할 수 있는 단위 기능 리스트를 보여주고, 이 중 필요한 단위 기능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서비스 가입 후 사용을 원하는 단위 기능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용이하게 추가, 변경 및 삭제할 수 있게 한다.
프레임워크부(110)는 또한, 특정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해 단위 기능간의 결합을 자동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워크플로우 관리 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프레임워크부(110)는 단위 기능 관련 정보,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관련 정보, 복합 서비스 정보 등과 같이 프레임워크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단위 기능 관련 정보는 단위 기능의 서술자(생성자, 생성/변경 날짜, 카테고리 정보 등), 단위 기능을 등록/변경/삭제한 시스템 정보(시스템 이름, IP, OS 등), 단위 기능을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 리스트, 카테고리 서술자(단위 기능 리스트, 생성/변경 날짜 등), 카테고리별 사용 권한 정보 및 단위 기능 리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관련 정보는 서술자(업체명/담당 부서명, 담당자, 연락처 등), 제공자가 등록한 복합 서비스 리스트, 제공자의 그룹 정보(권한 정보) 및 제공자 리스트를 포함하며, 복합 서비스 관련 정보는 복합 서비스 서술자(생성자, 생성/변경 날짜 등), 단위 기능 리스트, 복합 서비스를 등록한 제공자 정보 및 복합 서비스 리스트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프레임워크부(110)는 관리자가 복합 서비스 관련 요청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편한 인터페이스 환경 및 이벤트 발생시의 통지 기능을 갖는다. 프레임워크 관리 기능을 사용하여 프레임워크 관리자는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가입 요청 처리, 단위 기능 사용 요청 처리, 단위 기능의 등록/변경/삭제 요청 처리, 단위 기능 변경/삭제 등에 따른 버전 관리 및 예외 처리 등을 수행한다. 단위 기능의 변경/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단위 기능을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해당 단위 기능을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변경/삭제가 가능하다. 만약, 변경/삭제 요청된 단위 기능을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요청을 거절하는 것 또한 프레임워크부 관리자의 역할이 된다. 아울러, 관리자는 단위 기능의 변경/삭제를 강제로 처리할 수 있다.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 응용 서비스 플랫폼(20) 간의 보장된 접속을 위하여, 프레임워크부(110)는 다양한 접속 방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 버, 응용 서비스 플랫폼 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레임워크부(110)과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는 오픈 API를 사용하여 접속되고, 프레임워크부(110)와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은 미들웨어 API, 오픈 API 또는 기존의 API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미들웨어 API 방식은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이 미들웨어 API를 제공하는 경우 오픈 API를 미들웨어 기반의 API로 래핑(Wrapping)하여 전달하는 방식이고, SOAP 기반의 오픈 API 방식은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이 SOAP 기반의 오픈 API를 제공하는 경우 API 어댑터가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으로 요청을 그대로 전달하는 방식이며, 기존 API를 이용하는 방식은 기존의 응용 서비스 플랫폼(20)이 사용하는 API를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 API 어댑터는 단순히 래퍼(Wrapper) 기능을 제공한다.
상태 관리부(120)
이어서, 본 발명의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상태 관리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태 관리부(12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산재되어 있는 다양한 서비스 데이터와 고객 정보를 상태 정보로서 통합 관리(Presence and Availability Management; PAM)하며, 고객이 자신의 정보를 조회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능, 제어 정보 저장 기능, 이벤트 관리 기능을 포함한다.
상태 정보는 고객 식별값(Identity), 그룹, 이동성 정보(위치, 전력 상태 등), 자격 정보(단말 정보 등), 개인정보(위치 정보 공개 여부, 단문 수신 여부, 개인정보 공개 여부 등), 기호 정보(관심분야, 접속 리스트 등)를 포함하며 제어 정보 저장소에 저장된다.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는 상태 관리부(120)에서 관리하는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레임워크부(110)가 상태 관리부(120)를 조회한 후 그 결과를 제공하며, 이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상태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방법(1)은 프레임워크부(110)의 제어 하에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상태 관리부(120)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방법(2)는 기존 시스템을 통해 상태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LBS), 모바일 상거래 시스템,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과 같은 기존 시스템으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2-1), 기존 시스템이 상태 관리부(120)를 조회하여 정보를 획득한 후(2-2)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방법(3)은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50)가 직접 상태 관리부(120)를 조회하여 원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개별 응용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응용 서비스 플랫폼은 이를 상태 관리부(120)에 실시간으로 반영해 주어야 하며, 상태 관리부(120)의 이와 같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응용 서비스 플랫폼의 각 계층(서비스 계층, 응용 계층, 액세스 계층, 서비스 관리 계층)에서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정보는 인터페이스 어댑터를 통해 메시지 처리부(100)로 전송되고, 메시지 처리부는 전송된 메시지를 큐(Queue) 방식에 의해 상태 관리부(120)로 전송한다.
아울러, 고개 관리 시스템(30)에서 관리하는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도 이를 메시지 처리부를 통해 상태 관리부(120)로 전달하여 변경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태 관리부(120)의 이벤트 관리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벤트 관리 기능이란 상태 정보 변경이 발생한 경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로 통보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통보받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상태 관리부(120)에 등록해 둘 수 있으며, 등록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이를 통보한다.
복합 서비스 제작부(130)
복합 서비스 제작부(130)는 복합 서비스 개발자가 복합 서비스 및 워크플로우를 용이하게 개발 및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필요한 편집 기능, 시뮬레이션 기능, 테스팅 기능, 서비스 요청/관리/분석 기능을 포함한다.
복합 서비스 개발자는 복합 서비스 제작부(130)를 통해 사용 가능한 단위 기 능 리스트를 확인하고 드래그/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단위 기능을 수집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를 디자인한다. 이후, 수집한 단위 기능을 집적하여 새로운 복합 서비스를 생성하며, 개발된 복합 서비스를 실제 상용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테스트하도록 한다.
아울러, 개발 및 테스팅이 완료된 복합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데, 테스트 결과에 문제가 있을 경우 서비스 요청이 불가능하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져 서비스가 개시되면 통계, 서비스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등 해당 복합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관리하며, 서비스 형태를 분석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여 서비스 분석 결과를 로그, 그래프 등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서비스를 개선,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상술한 것과 같이 응용 서비스 플랫폼(20)과 연동하는데, 응용 서비스 플랫폼은 다양한 계층 및 다수의 단위 기능을 포함하며, 각 단위 기능은 단위 플랫폼에서 실행된다(도 3 참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위 플랫폼들간을 인터페이스를 미들웨어로 마이그레이션(migration)함으로써 플랫폼간의 연동이 단순화되도록 하고, 신규 시스템과의 연동을 빠르고 용이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응용 서비스 플랫폼의 모듈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응용 서비스 플랫폼의 서비스 계층, 응용 계층, 액세스 계층 및 서비스 관리 계층은 각각 다수의 단위 플랫폼을 가지며, 각 단위 플랫폼은 미들웨어 어댑터를 통해 접속됨을 알 수 있다.
각 계층간의 연동은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연식 결합된(Loosely Coupled) 미들웨어 연동하도록 해야 하며, 계층 내부의 모듈간 연동 역시 유연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모듈 내부의 구성요소는 상호 서비스 로직이 묶여 있기 때문에 경식 결합(Tightly Coupled)된 미들웨어 연동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미들웨어 기반으로 플랫폼을 통합 구성하기 위해서는 시스템간 데이터 전송 속도에 근접하는 메시징 성능을 보장하여야 하고, 기존의 연동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단순화하도록 해야 하며, 한번 전송된 메시지를 삭제하지 않고 재사용하게 함으로써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응용 계층 및 서비스 관리 계층 내의 지정된 시스템을 대상으로 필요한 단위 기능을 모듈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인 외부 인터페이스와 내부 비즈니스 로직을 독립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복합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응용 서비스 플랫폼간의 연동은 동일한 방식의 오픈 API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복합 서비스 개발자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부를 통하여 원하는 API를 조회할 수 있다. 아울러, 워크플로우 기능을 활용하면 응용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단위 기능 뿐 아니라 이미 개발되어진 단위 기능 조합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오픈 API를 사용하여 단 위 기능을 동일한 형태로 사용 가능한 것처럼 서비스 데이터의 사용도 동일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반복적이고 핵심적인 서비스 기능인 단위 기능을 조합하여 복합 서비스를 빠르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워크플로우 관리 기능에 의해 단위 기능의 조합을 재활용하여 또 다른 복합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어 서비스 개발 비용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분산되어 있는 서비스 관련 정보 및 개인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분석하여 부가가치를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대인화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복수의 단위 기능을 포함하는 응용 서비스 플랫폼,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고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고객 관리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단위 기능의 조합에 의해 복합 서비스를 제작하도록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대한 인증, 권한, 등록 가입을 수행하고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을 지원하며,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단위 기능의 등록, 변경 및 삭제를 수행하는 프레임워크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조회 및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상태 관리부;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단위 기능을 조합하여 복합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하기 위한 복합 서비스 제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관리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산재되어 있는 서비스 데이터 및 고객 정보를 수집하여 상태 정보로서 통합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수단;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에서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상태 관리부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상태 정보 변경이 발생한 경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로 통보하기 위한 이벤트 관리 수단; 및
    상기 상태 정보 관련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을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가입 절차를 지원하고,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를 등급별로 관리하기 위한 가입 수단;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단위 기능을 요청하는 경우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등급 정보를 참조하여 요청한 단위 기능에 대한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및 권한 관리 수단;
    상기 단위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수단;
    상기 단위 기능으로부터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해 단위 기능간의 결합을 자동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 관리 수단;
    상기 단위 기능 관련 정보,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관련 정보, 복합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 정보 저장 수단; 및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통지하고,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가입 요청 처리, 단위 기능 사용 요청 처리, 단위 기능의 등록/변경/삭제 요청 처리, 단위 기능 변경/삭제 등에 따른 버전 관리 및 예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관리 수단;
    을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저장 수단은 상기 단위 정보의 등록시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사용할 인터페이스,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정보 및 매칭 규칙을 함께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능 관련 정보는 단위 기능 생성자, 생성/변경 날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단위 기능의 서술자 정보, 단위 기능을 등록/변경/삭제한 시스템의 이름, IP, OS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단위 기능을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 리스트 정보, 단위 기능 리스트, 생성/변경 날짜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서술자, 카테고리별 사용 권한 정보 및 단위 기능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관련 정보는 업체명, 담당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서술자 정보,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등록한 복합 서비스 리스트,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그룹 정보 및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 서비스 관련 정보는 복합 서비스 생성자, 생성/변경 날짜를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서술자 정보, 단위 기능 리스트, 복합 서비스를 등록한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정보 및 복합 서비스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 관리 수단은 상기 단위 기능의 변경 또는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위 기능을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단위 기능을 사용하는 복합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위 기능의 변경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고객 식별값, 그룹, 이동성 정보, 자격 정보, 개인정보, 기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상태 정보 요청을 수신한 프레임워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프레임워크부를 통해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건,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기타 시스템을 통해 상기 상태 관리부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기타 시스템이 상기 상태 관리부를 조회하여 상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직접 상태 관리부를 조회하여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 제작부는 상기 서비스 개발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위 기능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단위 기능을 드래그/그롭 방식에 의해 수집하도록 하는 편집 수단;
    상기 수집한 단위 기능을 집적하여 복합 서비스를 생성하도록 하는 집적 수단;
    상기 생성된 복합 서비스를 실제 상용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테스트하도록 하는 테스팅 수단; 및
    상기 테스팅 완료된 복합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승인 요청 수단;
    을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 제작부는 상기 승인된 복합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 통계, 서비스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관리 수단; 및
    상기 복합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서비스 형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분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SOAP 기반의 개방형 API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은 미들웨어 API, SOAP 기반의 개방형 API 또는 일반 API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은 복수의 단위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단위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서비스 플랫폼은 미들웨어 기반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비스 플랫폼은 복수의 단위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단위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단위 기능의 카테고리에 따라 모듈화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40019045A 2004-03-19 2004-03-19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04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45A KR101040891B1 (ko) 2004-03-19 2004-03-19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45A KR101040891B1 (ko) 2004-03-19 2004-03-19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61A KR20050093561A (ko) 2005-09-23
KR101040891B1 true KR101040891B1 (ko) 2011-06-16

Family

ID=3727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045A KR101040891B1 (ko) 2004-03-19 2004-03-19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792B1 (ko) * 2004-03-19 2011-06-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위 기능 api 셋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정의시스템
KR100754869B1 (ko) * 2005-12-08 2007-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이동성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KR100826554B1 (ko) * 2006-11-01 2008-04-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9702B1 (ko) * 2007-03-12 2008-06-10 (주)투이컨설팅 융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54A (ko) * 2001-09-06 2003-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파지토리 기반의 응용프로그램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6739A (ko) * 2001-09-28 2003-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파지토리를 이용한 컴포넌트 정보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54737A (ko) * 2001-12-26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동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자바플랫폼구조
JP2003256223A (ja) * 2002-03-06 2003-09-10 Ntt Docomo Inc オープンapi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54A (ko) * 2001-09-06 2003-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파지토리 기반의 응용프로그램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6739A (ko) * 2001-09-28 2003-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파지토리를 이용한 컴포넌트 정보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54737A (ko) * 2001-12-26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동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자바플랫폼구조
JP2003256223A (ja) * 2002-03-06 2003-09-10 Ntt Docomo Inc オープンapi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61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4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 service billing
DE60101911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griff und zur adressierung von diensten in einer verteilten rechnerumgebung
US8756126B2 (en) Bill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US7769877B2 (en) Mobile gateway device
CN101471961B (zh) 展示过程流以及作为万维网服务的安排控制器
US9110711B2 (en) Dynamic display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6917976B1 (en) Message-based leasing of resour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802007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connections to services in a network environment
US6898618B1 (en) Client-specified display servi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1882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message-based leasing of resour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260543B1 (en) Automatic lease renewal with message gat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3700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pace advertisements
KR20080038140A (ko) 컨텍스트-기반 규칙들을 이용하여 비신뢰적인 네트워크들상에서 트랜잭션들과 데이터를 스위칭하기 위한 적응적게이트웨이
CN101854351A (zh) 用于基于标准的消息传输的系统和/或方法
CN109413040A (zh) 消息鉴权方法、设备、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30225124A1 (en) Application store syste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application store system
CN100591056C (zh) 用于处理消息的方法和系统
CN101174983B (zh) 用于管理多个网络服务的系统和方法
US20040230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technology resources
KR101040891B1 (ko) 무선 인터넷을 통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364837B2 (en) Virtual web service
KR101481161B1 (ko) 통화전 광고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N109040161B (zh) 云制造服务管理系统及装置、方法
CN114202297A (zh) 业务集成系统及方法
KR100829702B1 (ko) 융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