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233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233A
KR20070060233A KR1020050119355A KR20050119355A KR20070060233A KR 20070060233 A KR20070060233 A KR 20070060233A KR 1020050119355 A KR1020050119355 A KR 1020050119355A KR 20050119355 A KR20050119355 A KR 20050119355A KR 20070060233 A KR20070060233 A KR 2007006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request
communication method
image forming
communic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0233A/ko
Publication of KR2007006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9Restricting the usage of resources, e.g. usage or user levels, credit limit, consumables, special fo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3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ased on job priority, e.g. re-arranging the order of jobs, e.g. the printing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06F3/1271Job submission at the printing node, e.g. creating a job from a data stored locally or remote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복수의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 중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통신 요청에 대해 우선적으로 응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의 통신 요청에 대해 우선적인 처리가 필요한 경우 우선권을 부여하여 처리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와 다수의 외부장치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 우선순위, 통신방식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화상형성장치 2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20 : 메모리 230 : 제어부
240 : 패널조작부 250 : 프린터 엔진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하고자 하는 외부장치에 대한 통신 응답 순서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는 프린터,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와 PC, 주 변장치, 지능형 가전제품, 무선 장비 등 각종 외부장치를 직렬 또는 병렬 라인을 통해 연결하고 네트워크화하여 사용자 편의성, 업무처리 능률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한다.
또한, 홈네트워크의 개념의 도입에 따라 사용자는 각종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광범위 네트워크를 통해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와 접속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PC, 주변장치, 지능형 가전제품, 무선 장비와 같은 외부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와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인쇄를 요청하며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여 인쇄한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외부장치와의 통신시 통신방식과는 무관하게 접속을 요청하는 순서에 따라 요청에 응답하고 먼저 수신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와 통신하고 인쇄를 요청하는 외부장치가 다양화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와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 역시 다양화되어, 화상형성장치는 각 외부장치와의 통신시 동일하지 않은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동일하지 않은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통신 환경 역시 동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각 외부장치로부터의 통신 요청을 동일하게 취급하여 시간 순서에 따라 처리하는 것은 어느 일 통신 방식에 제약 사항이 있는 경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의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 요청에 대한 짧은 응답 시간 에 대한 제한이 있어 소정 시간 동안 응답을 받지 못하면 통신은 실패하고 추후 새로운 통신 요청을 전송하여 다시 통신을 요청해야 하는 등 각종 제약사항이 있는 경우 이러한 제약 사항이 없는 통신 방식과 동일하게 시간 순서로 처리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계속적인 통신 시도를 요구하므로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소정의 제약사항이 있는 통신방식을 사용하고자하는 외부장치로부터의 통신 요청과 같이 우선적으로 처리해야할 통신 요청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하여 처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 중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상기 통신 요청에 대해 우선적으로 응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의 목록 및 통신방식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을 입력받는 패널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작업이 수행 중인 경우 상기 통신 요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 요청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면 즉시 상기 통신 요청에 응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선처리 대상은 통신방식에 있어서 소정의 제약사항이 있는 통신방식으로 설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 중 기설정된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이 상기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통신 요청에 대해 우선적으로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장치1(10) 및 외부장치2(20)가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두 개의 외부장치를 표시하였으나 외부장치의 개수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1(10)과 외부장치2(20)는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와 통신한다. 여기서, 외부장치1(10)은 화상형성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해 소정의 제약사항이 있는 통신 방식, 예를 들면 UPnP(Universal Plug and Play)와 같이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시간에 제한이 있는 통신 방식을 사용한 다. 그리고, 외부장치2(20)는 화상형성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제약사항이 없는 통신방식이나 비교적 긴 응답시간 조건을 가진 통신방식을 사용한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는 PC, 주변장치, 지능형 가전제품, 무선 장비 등과 같은 외부장치 간에 인터넷과 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D-TV에서 프린터를 통해 사진을 출력하고자 할 때, D-TV의 해당 버튼를 누르면 D-TV가 통신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통신 요청 신호를 받은 프린터는 D-TV의 요청 신호에 응답하고, 사용할 프로토콜을 협상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요청에 대해 프린터에서 소정의 제한시간 내에 응답이 없으면 프린터를 쓸 수 없는 상태로 D-TV는 판단해 통신 시도는 실패로 돌아가고 사용자는 이후 다시 버튼을 눌러 프린터에 통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제어부(230), 패널조작부(OPE)(240) 및 프린터 엔진(250)을 포함한다.
네크워크 인터페이스(210)는 제어부(230)와 외부장치(10 및 20) 사이를 인터페이싱하여 외부장치(10 및 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30)로 전송하고,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장치(10 또는 20)로 전송한다.
메모리(22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 수행을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데이터에 대한 세부정보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 요청 및 인쇄 데이터 등을 임시 저장한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는 특정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외부장치와의 통신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통신방식에 대해 우선처리가 요구되는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을 표시하여 파일로서 저장한다.
한편,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 간에는 제약사항에 따라 처리 순서를 목록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목록을 파일로 저장하는 등 우선 처리 대상 통신방식 및 그 처리 순서를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한 파일을 저장하여 우선 처리 대상 통신방식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외부장치1(10)이 사용하는 UPnP에 대해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으로 분류하고, 외부장치2(20)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등 우선 처리 대상 통신방식으로 관리한다. 한편,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 및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 간의 처리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메모리(220)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외부장치(10 또는 20)로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외부장치(10 또는 20)로부터 통신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하는 통신방식을 확인하고 메모리(220)에 저 장된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이 저장된 파일을 참조하여, 수신된 요청 중 우선 처리 대상 통신 방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해당 통신 요청에 대한 응답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제어부(230)에서 인쇄 작업 또는 이미지 처리 작업과 같이 현재 처리하고 있는 작업이 있는 경우에는, 수신된 통신 요청은 메모리(220)의 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되고,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이 정지되거나 완료되는 등 제어부(230)에 의한 처리가 가능해지는 시점에 통신 요청 중 우선 처리 대상 요청 또는 최상위에 있는 요청에 대해 즉시 처리하여 응답을 송신한다.
그러나, 제어부(230)는 통신 요청 중 우선 처리 대상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수신된 통신 요청들에 대해 그 수신 시각의 선후에 따라 처리하여 응답을 송신한다.
패널조작부(OPE)(240)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230)로 인가한다. 또한, 패널조작부(OPE)(24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작부(240)는 현재 화상형성장치(200)에 접속된 외부장치(10 또는 20)의 목록과 통신 방식 정보를 LCD(미도시)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 및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 간의 처리 순서을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프린터엔진(250)은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된 인쇄 명령에 따라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외부장치(10 또는 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요청이 수신되면(S310), 외부장치에서 송신한 통신 요청에 해당하는 통신방식을 확인하고 메모리(220)에 저장된 우선처리 대상 파일을 참조하여, 수신된 요청 중 우선 처리 대상 통신방식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320).
제어부(230)는 수신된 통신 요청 중 우선 처리 대상 통신 방식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이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해당 통신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320), 통신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외부장치(10)로부터의 통신 요청에 대한 응답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해당 외부장치(10)로 송신하여 해당 요청을 우선적으로 처리한다(S350).
한편, 제어부(230)에서 현재 처리하고 있는 작업이 있는 경우에는 수신된 통신 요청을 메모리(220)의 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고,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S340),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이 정지되거나 완료되는 등 제어부(230)에 의한 처리가 가능해지는 시점에 해당하는 통신 요청에 대해 즉시 처리하여 응답을 송신한다(S350).
그러나, 제어부(230)는 통신 요청 중 우선 처리 대상이 없는 경우에는 수신된 통신 요청들에 대해 그 요청이 도착한 시간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응답을 송신한다(S36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하고자 하는 외부장치로부터의 통신 요청에 대해 통신방식에 제약사항이 있어 우선적인 처리가 필요한 경우 우선권을 부여하여 처리함으로써 제약사항과 무관하게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우선처리가 필요한 통신방식을 미리 설정하여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외부장치와의 다양한 통신방식에 대해 적응적으로 대처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각종 기기간의 호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 중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상기 통신 요청에 대해 우선적으로 응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의 목록 및 통신방식 정보를 표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을 입력받는 패널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작업이 수행 중인 경우 상기 통신 요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 요청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면 즉시 상기 통신 요청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처리 대상은 통신방식에 있어서 소정의 제약사항이 있는 통신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 중 기설정된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방식이 상기 우선처리 대상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통신 요청에 대해 우선적으로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119355A 2005-12-08 2005-12-0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60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355A KR20070060233A (ko) 2005-12-08 2005-12-0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355A KR20070060233A (ko) 2005-12-08 2005-12-0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233A true KR20070060233A (ko) 2007-06-13

Family

ID=3835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355A KR20070060233A (ko) 2005-12-08 2005-12-0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02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5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operat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devices connected to a network provided with plug-and-play function
US10620691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769064B2 (en) System using wired interface to configur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host and image forming device
JP550540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15456B1 (ko)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장치의 배경화면 변경방법
JP2005018781A (ja) 有線/無線データ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有線/無線データ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007193407A (ja)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
CN103218188A (zh)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和图像形成系统
EP2369463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20110132847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KR100299972B1 (ko) 프린터에서의 인쇄작업 순서 제어방법
JP5293462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80059207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JP483619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622669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552815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の制御ソフトウェアの更新
KR20070060233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117369A1 (en) Network system to manage network printers and local printers and method thereof
KR10156256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447688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7933973B2 (en) Obje network devic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in UPnP network system
JP719189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12723B1 (ko) 네트웍 프린터의 명칭 표시 방법
US2012007262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 via a plurality of logical lin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device storing data processing program, and device driver
JP202218616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