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120A - 습식 야금 공정 및 건식 야금 공정의 조합에 의한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 Google Patents

습식 야금 공정 및 건식 야금 공정의 조합에 의한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120A
KR20070060120A KR1020077008760A KR20077008760A KR20070060120A KR 20070060120 A KR20070060120 A KR 20070060120A KR 1020077008760 A KR1020077008760 A KR 1020077008760A KR 20077008760 A KR20077008760 A KR 20077008760A KR 20070060120 A KR20070060120 A KR 2007006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kel
cobalt
iron
leaching
raff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유안 리우
알렉시 듀아트
울프 메이핵
이반 피. 랫체브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피 빌리톤 에스에스엠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4905392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4905392A0/en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피 빌리톤 에스에스엠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비에이치피 빌리톤 에스에스엠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6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2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dry processes
    • C22B23/021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dry processes by reduction in solid state, e.g. by segreg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07Leaching processes
    • C22B23/0415Leaching processes with acids or salt solutions except ammonium salts solutions
    • C22B23/043Sulfurated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53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53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23/0461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76Separation of nickel from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6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ion-exchange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 C22B5/10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by solid carbonaceous reducing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Spark Plu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적어도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으로부터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7)과 라피네이트(9) 내에 코발트와 산 용해성 불순물을 남기면서 상기 용액으로부터 니켈과 철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이온 교환 수지(8)와 접촉하는 단계; b) 니켈과 철을 함유하는 용출액(11)을 제조하기 위해 황산 용액으로 상기 수지로부터 니켈과 철을 스트리핑하는 단계; c)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13)을 침전하기 위해 상기 용출액을 중화하는 단계; 및 d) 페로-니켈(29) 또는 니켈 매트(24)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을 환원 및 정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니켈, 코발트, 페로-니켈, 더미 침출

Description

습식 야금 공정 및 건식 야금 공정의 조합에 의한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PRODUCTION FERRO-NICKEL OR NICKEL MATTE BY A COMBINED HYDROMETALLURGICAL AND PYROMETALLURGICAL PROCESS}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습식 야금 공정 및 건식 야금 공정의 조합에 의해 라테라이트 광석으로부터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광석을 더미 침출하고, 그 다음에 이온교환법에 의해 니켈과 코발트를 회수하고 불순물을 제거하고 중화에 의해 니켈과 수산화철의 혼합 생성물을 생성한 후에, 상기 니켈과 수산화철의 혼합 생성물을 정련(smelting) 및 환원하여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이온 교환 공정에 의해 코발트는 수산화코발트 또는 황화코발트로 침전되어 회수될 수 있다.
라테라이트 니켈 및 코발트 광상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광상 내에서 전이 구역에 의해 분리되어 2개의 층으로 되어있는 산화물 형태의 광석인 갈철광 및 규산염 형태의 광석인 새프롤라이트를 함유한다.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공법에 의해 새프롤라이트 또는 갈철광을 처리하는 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고품위의 갈철광과 새프롤라이트가 선호된다. 이는 많은 광상 및 전이 광석이 현재의 공정 루트 에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고 니켈 성분 새프롤라이트는 페로-니켈을 제조하기 위해 배소 및 전기 정련 기술을 포함하는 건식야금 공정에 의해 처리되는 경향이 있다. 필요한 전력과 전이 구역 내의 저 니켈 성분 갈철광, 새프롤라이트 및 갈철광/새프롤라이트 혼합물과 같이 니켈에 대한 철 비율이 높은 광석은 이러한 공정 루트를 매우 고 비용이 들게 한다.
고 니켈 및 코발트 성분 갈철광은 상업적으로는 통상 고압 산 침출법(HPAL: high pressure acid leach)에 의한 습식 야금 공정 또는 탄소 환원 배소-암모늄 침출 공정과 같은 습식 야금 공정 및 건식 야금 공정의 조합에 의해 처리된다.
전술한 공정에 의하여 저-니켈 함량 광석을 채광하는 많은 경우에, 광석을 선광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광석 처리를 필요로 한다. 금속의 함유량이 적을 수도 있는 광석의 광물 비율은 처리된 전체 광석의 품질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고 회수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새프롤라이트를 처리하여 페로-니켈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건조 단계, 니켈 산화물을 니켈로 일부 변환하기 위한 환원 배소 단계 및 전기로 내에서의 정련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고 에너지가 요구되는 공정이며 상기 방법이 경제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고품위의 새프롤라이트 공급원(source)이 필요하다. 또한 페로-니켈로 회수되는 광석 내의 어떠한 코발트의 재정적 가치도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공정에 대한 개량은, 상기 공정에서 주요 비용 중의 하나인 전력 소비를 대폭 감소시키기 위해 니켈 철 정광(concentrate)을 정련 단계에 제공 하는 것이다.
더미 침출은 저품위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경제적으로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동, 금, 우라늄 및 은과 같은 물질의 회수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더미 침출은, 원광석을 광상으로부터 가변적인 높이의 더미로 직접 적재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침출 용액이 더미의 상부에 도입되어 더미를 통해 아래로 침투한다. 유출 액체는 더미의 기부로부터 배출되고 금속 유가물이 회수되는 처리 설비를 통과한다.
미국 특허공보 제5,571,308호[비에이치피 미네랄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BHP Minerals International, Inc)]에는 새프롤라이트와 같은 고-Mg 함유 라테라이트 광석의 더미 침출을 위한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공보 제6,312,500호(비에치피 미네랄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에도 니켈을 회수하는 라테라이트의 더미 침출을 위한 공정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공정은 상당한 점토 성분(중량으로 10% 초과)을 함유하는 광석에 특히 유효하다.
더미 침출 공정의 가장 큰 문제점은 목적으로 하는 니켈과 코발트 외에도 대량의 철 및 다양한 종류의 기타 불순물을 함유하는 침출물(leachate)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상업적 라테라이트 산 침출 공정으로부터의 유사한 니켈 용액 정화는 산 성분의 중화, 철의 침전, 니켈 코발트 중간 생성물의 제조, 재용해 단계 및 판매 가능한 니켈 및 코발트를 제조하는 합성물 용매 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정화 단계는 일반적으로 철과 기타 불순물의 완전한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라피네이트(raffinate) 내에 주요 불순물을 남기면서 니켈 침출물로부터 니켈과 코발트 양자를 추출하기 위한 이온 교환(IX)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95/16118호(비에치피 미네랄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에는 가압 산 침출 공정에 의해 라피네이트 처리에 의한 침출물로부터 니켈을 분리하는 이온 교환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니켈은 pH2 이하에서 수지에 의해 추출되고, 그 다음 공정인 전해 추출(electrowinning)을 위해 황산으로 스트립된다. 코발트는 기타 불순물과 함께 라피네이트 내에 잔류하며 용액 중화 후에 황화물로 침전된다.
특허 WO 00/053820호(비에치피 미네랄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에는 수지 상에서 산 황산염 침출 용액으로부터 니켈과 코발트의 이온 교환 추출한 후, 상기 수지로부터 상기 금속들을 산 스트리핑하고 용매 추출에 의해 분리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350420 B1호(비에치피 미네랄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에도 수지 상에서 산 침출 슬러리로부터 니켈과 코발트를 추출하기 위해 펄프 공정에서 수지 내에 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특허들은 모두 상대적으로 순수한 니켈 용액 또는 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니켈 및 코발트 스트립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헌, 논문 등의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배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사항들의 일부 또는 모두가, 본 출원의 우선권 주장일 이전에 종래 기술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제안된 바 없거나,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에서의 일반적인 상식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도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경감시키는 새로운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라테라이트 광석으로부터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및 코발트-함유 수산화물 또는 황화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라테라이트 광석이, 니켈과 코발트가 황산과 함께 침출되어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product liquor solution)을 형성하는 더미 침출 처리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특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으로부터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정은,
a)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과, 라피네이트 내에 코발트와 산 용해성 불순물을 남기면서 상기 용액으로부터 니켈과 철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는 단계;
b) 니켈과 철을 함유하는 용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황산 용액으로 상기 수지로부터 니켈과 철을 스트리핑(stripping)하는 단계;
c)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을 침전하기 위해 상기 용출액을 중화하는 단계; 및
d)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을 환원 및 정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정은 니켈 및 코발트 회수를 위한 전체 공정의 일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생성 침출 용액은, 적어도 하나의 광석 더미가 있고, 황산 보충 침출류(liquor stream)로 침출되는 더미 침출 공정으로 침출되어 생성되며, 상기 더미를 통해 여과되는 생성 침출 용액은 적어도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더미 침출 공정은,
a) 주 더미 및 부 더미가 형성되고,
b) 부 더미는 황산이 보충된 이온 교환 공정으로부터 재순환된 라피네이트를 포함하는 침출류로 처리되어 중간 생성 침출 용액을 생성하고, 및
c) 주 더미를 상기 중간 생성 침출 용액으로 처리하여 적어도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을 생성하는 향류 시스템(counter current system)으로 구성된다.
생성 침출 용액은 더미 침출 공정, 바람직하게는 향류 더미 침출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반면에, 이온 교환 공정이 또한 황산으로 가압 산 침출 공정, 대기압 침출 공정 또는 가압 산 침출 공정과 대기압 침출 공정의 조합된 공정 또는 니켈 황화물 광석의 산화적 침출로부터 라테라이트 니켈 광석을 침출한 후에, 일부 중화되어 pH가 약 1.0 내지 2.5인 침출물(leachate) 같은 적어도 니켈, 코발트 및 철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공정으로부터의 생성 침출 용액은 이온 교환 단계로 직접 투입되거나 더미 침출 공정에서 침출류와 조합될 수 있다.
약 1.0 내지 2.5의 pH에서, 이온 교환 수지는 공정에서 코발트와 존재할 수 있는 제1철(ferrous iron), 망간,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같은 산 용해성 불순물 보다 니켈과 제2철 이온(ferric iron ion)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온 교환 수지는 도웩스 엠4195(Dowex M4195) 같은 비스-피코리라민(bis-picolylamine) 기능성 그룹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발트는, 지금까지는 실질적으로 니켈과 제2철 이온이 존재하지 않는 라피네이트가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는 이온 교환 공정에 의해 분리되어 회수될 수 있다. 여기에서도 이온 교환 수지로는 도웩스 엠4195(Dowex M4195) 같은 비스-피코리라민(bis-picolylamine) 기능성 그룹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기 전에 라피네이트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으로 중화되어 잔류하는 제2철을 침철광, 적철광 또는 수산화물로 침전시킨다. 그리고 나서 코발트 및 산 용해성 불순물로 구성된 일부 중화된 라피네이트는 pH 2.0 내지 3.0의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코발트를 선택적으로 흡착하여 코발트 고갈 라피네이트로 된다. 그리고 나서, 코발트가 황산을 사용하여 상기 수지로부터 용출되고, 상기 용출물(eluate)을 중화시켜 수산화코발트 또는 황화코발트 산물로 코발트를 침전시켜 상기 용출물로부터 코발트가 회수된다.
도 1은 향류 더미 침출 공정, 건식 야금적 수단에 의해 페로-니켈 생성물의 생성에 이르는 습식 야금적 니켈 및 철 이온 교환 공정과 이온 교환 및 침전 기법에 의한 코발트의 회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각 단면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흐름도.
도 2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정련 공정에서의 석고 첨가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침출 전에 이산화황을 첨가하여 침출 단계에서 제2철(ferric iron)을 제1철(ferrous iron)로 변환하여 코발트 회수를 향상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니켈 이온 교환 라피네이트에 가해지는 저압 침출 단계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니켈 이온 교환 라피네이트의 일부분에만 가해지는 저압 침출 단계를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침출 단계에서 산화제2철을 산화제1철로 변환하기 위해 이산화황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침출 단계에서 제2철을 제1철로 변환하기 위해 이산화황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Fe3 +/Fe2 + 변환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철과 니켈의 농도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제조된 페로-니켈 너겟(nugget)을 나타내는 도면.
산 더미 침출 공정을 통해 생성 침출 용액이 얻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라테라이트 광석은 미립,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으로 분쇄되고 물, 황산 또는 기타 점결제를 사용하여 응집되어 더미 투과성이 개선된다.
응집된 광석은 하나의 더미로 배열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향류 더미 침출 시스템(counter current heap leach system)에 의해 처리되도록 적어도 2개의 더미, 주 더미 및 부 더미로 배열된다. 향류 더미 침출 시스템은 산(acid) 소모량이 적고 단일 더미 시스템에 비해 청정한 생성 용액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니켈 고갈 재순환 라피네이트(2)를 기원으로 하는 침출류(1)에 황산(3)이 보충되고 부 더미 침출(4)에 부가되어 중간 생성 침출 용액(5)을 생성한다. 그 후, 향류 공정에서 중간 생성 침출 용액은 주 더미 침출(6)에 부가된다. 이를 통해 니켈 및 코발트가 풍부하며 산성도가 낮은 생성 침출 용액(PLS)(7)이 생성되는데, 상기 용액에는 철과 여러 종류의 기타 불순물도 또한 함유되어 있다. 부 더미에서 니켈이 고갈될때, 부 더미는 폐기되고, 주 더미가 부 더미로 되고, 새로운 광석 더미가 주 더미가 된다.
생성 침출 용액(7)은 다량의 니켈과 약간의 철이 수지 베드 위에 고정되고, 철의 대부분과 기타 불순물 및 코발트는 라피네이트 용액(9) 내에 잔류하여 통과하는 이온 교환 단계(8)에서 처리된다. 상기 수지는 예를 들면, 비스-피코리라민(bis-picolylamine) 기능 그룹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웩스 엠4195이다. pH 2에서 수지의 선택도를 나타내는 흡착 상수의 순서는 Ni+2>Fe+3>Co+2>Fe+2>Mn+2>Mg+2>Al+3이다. 따라서 수지는 약 pH 1.0 내지 pH 2.5에서 니켈과 제2철을 회수할 수 있고 코발트와 산 용해성 불순물은 라피네이트 내에 잔류한다. 고정된 니켈과 철은 황산 용액(10)을 사용하여 용출되어 니켈과 철을 함유하는 용출액(11)을 생성한다. 상기 용출액의 일부와 약간의 물은 재순환될 수 있으며 용출 공정의 일부로서 황산이 부가된다.
니켈 처리를 위해 수행된 이전의 작업은 이온 교환 시스템을 사용하여 순수한 니켈 용출액 또는 니켈과 코발트 유가물(value)을 함유하는 용출액을 생성한다. 그러나 본 공정에서 이온 교환 단계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로 추가 처리하기에 적합한 니켈과 철이 혼합되어 있는 용출액을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용출액 내에서 철에 대한 니켈의 비율은 약 0.5:4 내지 4:0.5이어야 하는데, 페로-니켈 산물의 생성에 가장 적합한 비율은 1:1이다. 용출액 내에 철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또한 중화되어 폐기될 철의 양을 감소시켜서 하류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니켈 및 철을 함유하는 이온 교환 용출액(11)은 바람직하게는 산화마그네슘(12)으로 중화되어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MHP)(13)이 침전되는데, 이는 고체/액체 분리(L/S), 여과 및 건조된다.
상기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은 환원되고, 정련용 전기 아크로에 공급되어 페로-니켈 산물(29)을 생성한다.
철을 폐기하기 위해, 니켈 이온 교환 단계로부터의 라피네이트는 일부 중화,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14)을 사용하여 일부 중화되어 철의 대부분이 폐기용 침철광(15)으로 석출된다. 침철광으로서의 철의 침전은 시스템 내에서 철의 축적 또는 포화를 방지하는데, 이는 이온 교환에 의한 코발트 회수에 도움이 된다. 상기 철은 또한 적철광 또는 수산화물로도 침전된다.
코발트를 회수하기 위해, 니켈과 제2철의 대부분이 고갈되어 있는 일부 중화된 라피네이트는 코발트 이온 교환 단계(16)에서 처리되어 코발트 고갈 라피네이트를 남기면서 코발트를 수지 위에 추출한다. 상기 수지는 또한 도웩스 M4195같은 비스-피코리라민 기능 그룹의 수지이다. 원한다면, 상기 코발트 이온 교환 라피네이트의 전부 또는 일부는 산성화, 바람직하게는 황산으로 산성화되고 부 더미 침출 단계로 고갈 생성 침출 용액으로서 재순환(17)된다.
코발트는 황산(18)을 사용하여 코발트 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용출될 수 있다. 소량의 물과 함께 코발트를 함유하는 용출액의 일부분은 용출 공정의 일부로서 황산을 사용하여 수지 베드를 통해 재순환될 수 있다. 코발트는, 예를 들면 산화마그네슘(20)으로 중화되어 코발트/니켈 수산화 침전물(CHP)(19)로 또는 예를 들면 황화나트륨 용액(22) 또는 이황화나트륨으로 침전시킨 코발트/니켈 황화물(21) 침전물로서 용출액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또한, 부 더미는 재순환된 니켈 고갈 라피네이트로 처리되거나 코발트 이온 교환 공정 후 황산이 보충된 코발트 고갈 라피네이트로 처리될 수도 있는 반면에, 침출류는 또한 가압 산성 침출 공정, 대기압 침출 공정 또는 가압 라테라이트 광석 침출과 대기압 라테라이트 광석 침출의 조합 또한 니켈 황화물 광석의 산성적 침출 공정으로부터 나온 적어도 니켈, 코발트 및 철을 함유하는 침출물로 보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온 교환 공정용의 생성 침출 용액은 더미 침출 공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침출 공정의 침출물로부터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2는 석고(황산칼슘)(23) 또는 다른 황원(sulfur source)이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에 첨가되고, 추후 처리되어 정련된 니켈로 될 수 있는 니켈 매트(24)(니켈 철 황화물)를 혼합 정련으로 생성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페로-니켈의 제조와 니켈 매트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공정으로 도시하고 있는 다른 실시예(도 3)에서, 이산화황(25)은 재순환 고갈 생성 침출 용액 및/또는 부 더미(4)로부터의 중간 생성 침출 용액(5)에 첨가될 수 있다. 이산화황의 첨가는 용액 내에서 제2철을 제1철로 변환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Mn,Co)O2의 균형을 깨고 용액 내로 코발트를 유리시켜 코발트의 회수를 개량하는 데에 기여한다. 대부분의 종래의 수지는 제2철 보다는 제1철에 대한 선택도가 작기 때문에 제2철의 제1철로의 변환은 또한 수지의 선택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제2철의 제1철로의 변환은 산을 방출하여 광석 내에서의 침출에 도움을 준다. 이산화황은 가스의 이산화황, 불안정이황화나트륨(sodium metabisulfide) 또는 기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4)에서, 페로-니켈의 제조와 니켈 매트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온 교환 단계로부터 나온 니켈 고갈 라피네이트(9)는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약 16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약 180℃에 서 저압 침출 단계(LPAL)(26)를 거칠 수 있다. 이는 철을 산의 일부를 재순환 고갈 생성 침출 용액(1)에 방출하는 적철광(27)으로 침전시켜 시스템으로부터 철을 방출하는 동안에 전반적인 산의 소모량을 감소시킨다.
LPAL 단계로부터 나온 방출류(29)(discharge stream)는 적철광(27) 형태의 철 석출에 의한 산 방출에 의해 산도가 높다. 적철광은 추후의 고체/액체 분리에 의해 폐기된다. 이러한 산도의 방출류의 일부(30)는 더미 침출 공정에 사용되는 침출 용액(1)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방출류(30)는 이온 교환 공정에 의해 회수될 수 있을 정도로 코발트의 레벨이 충분하게 축적되도록 수 차례 재순환될 수 있다. 일단 충분한 코발트 레벨이 되면, 방출류의 일부(31)는 코발트 회수를 위해 배출된다.
코발트용 이온 교환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출류(31)의 pH는 약 2~3이어야 한다. 따라서 코발트 이온 교환 단계(16) 전에 pH를 조절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32)으로 중화한다.
LPAL의 추가적인 이유는 철 레벨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철의 일부를 적철광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시스템 내의 철의 축적 또는 포화를 방지한다. 이는 이온 교환에 의한 코발트의 회수에 도움이 된다.
페로-니켈(도시) 및 니켈 매트 양자의 제조에 적용 가능한 저압 침출 단계를 사용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저압 침출 단계(26)는 니켈 고갈 라피네이트(9)의 이온 교환의 일부로서만 적용된다. 니켈 고갈 라피네이트(9) 일부만의 처리는 적은 류(stream)에 대한 소형 오토클레이브만을 필 요로 한다. LPAL 단계를 거치는 니켈 고갈 라피네이트 부분은 이온 교환 단계에서 코발트 회수를 위해 처리되는 반면에, 나머지 부분은 더미 침출 공정을 위해 액류(1)로 재순환된다.
LPAL 공정으로부터의 방출류(29)는 또한 코발트 이온 교환 공정(16)에서 코발트 회수를 위해 pH를 2~3으로 유지하도록 pH를 2~3으로 조절하기 위해 탄산칼슘(30)으로 중화된다. 상기 중화 단계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LPAL 단계로부터 배출된 부분으로 액류(1)로 재순환되지 않는 적철광(27)의 고체/액체 분리 전에 적철광을 함유하는 슬러리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페로-니켈의 제조와 니켈 매트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2개의 실시예(도 6 및 도 7)는, 니켈 이온 교환 단계(도 6) 및 라피네이트(9) 부분으로부터의 모든 라피네이트(9)를 처리하는 저압 침출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를 위한 중간 생성 침출 용액(5)에 이산화황(28)의 첨가를 포함한다.
도면에 기술되어 있는 각 실시예는 다양한 선택적인 공정과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적인 공정의 조합을 설명하고 있다.
기술된 공정의 이점은, 전에 설명한 건식야금적 루트 또는 습식야금적 루트에 의한 처리에 있어서 경제적이지 못한 라테라이트 광석에 대해 적합하다는 것이다. 페로-니켈 제조를 위한 전통적인 새프롤라이트 정련 공정에 대한 본 공정의 주요 이점은, 정련될 니켈 수산화철 생산물 재료의 양이 동일한 양의 새프롤라이트 광석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양의 1/50에 불과하여 사용 전력이 저감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페로-니켈 정련 공정에 대한 새로운 본 공정의 두 번째 이점은, 새프롤라이트 정련에 있어서 코발트는 페로-니켈의 일부가 됨으로써 생산자 입장에서는 그 가치는 없는 반면에 본 공정에서는 판매 가능한 가치 있는 금속 코발트를 별도로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공정의 추가적인 이점은, 니켈과 철에 대한 니켈 이온 교환 공정 단계의 높은 선택도의 결과로 생산되는 페로-니켈 내의 불순물 레벨이 현재 대다수의 상업적인 생산자에 의해 달성되는 것보다 상당히 낮다는 것이고, 심지어는 "초고순도"(super pure) 페로-니켈 등급에 속한다.
또한 본 공정은 새프롤라이트의 거대 광상 및/또는 고품위 광석으로부터 페로-니켈을 생산하는 새프롤라이트 채광과 정련 공정으로 확립된 갈철광에 대해 특히 매력적이다. 본 공정은 통상 기존의 정련기에의 철 수산화물 혼합 생성물의 공급용으로 퇴짜 맞는 현재 비경제적 등급의 광석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생산되는 니켈 톤당 단위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판매용 코발트를 생산하며 광상 전체의 채광 및 처리를 전반적으로 경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현재의 습식야금적 루트에 대한 새로운 공정의 추가적인 이점은, 광석을 페로-니켈의 완제품 금속 생산품으로 변환하는 단계가 적다는 것이고, 바람직한 더미 침출 공정이 일반적으로 다른 침출 공정에 비해 경제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원광석 내의 철 성분의 일부는 최종 페로-니켈 생성물의 구성물이 되어 철 제거를 위해 필요로 하는 설비 용량이 현재의 습식야금적 루트의 철 제거 설비에 비해 작다는 것 이다.
또한 페로-니켈 정련기의 공급용으로 적합한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이 라테라이트 광상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내에서 본 공정의 제1 부분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만약 경제적 선호도에 따라 페로-니켈 정련기가 먼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니켈 함량이 높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 최종 제품으로 니켈 매트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전략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 오로지 황산에 의한 단일 칼럼 침출
오로지 황산에 의한 더미 침출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수분 함량이 20.1%인 새프롤라이트 광석 65.6㎏을 98% 황산으로 응집하여 입자 크기 3.35㎜ 내지 25.4㎜ 크기의 재료로 펠릿화 하였다. 응집을 위한 산 소모량은 건조 광석 톤당 20㎏ 이었다. 칼럼 크기는 직경 15㎝ × 높이 262㎝이다. 산성도 50g/L인 황산 용액이 40리터/hr·㎡의 유속으로 칼럼에 공급되었다. 니켈 추출은 52일 경과 후에 94%이었다. 표 1은 그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1
실시예 2 : 갈철광 산 침출물 공급에 의한 단일 칼럼 침출
예를 들어, 가압 침출 또는 대기압 침출 생성 침출 용액과 같은 용액을 함유하는 산성, 니켈 및 코발트의 더미 침출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수분 함량이 24.0%인 새프롤라이트 광석 80.4㎏을 98% 황산으로 응집하여 입자 크기 3.35㎜ 내지 25.4㎜ 크기의 펠릿으로 만들었다. 응집을 위한 산 소모량은 건조 광석 톤당 25㎏ 이었다. 칼럼 크기는 직경 15㎝ × 높이 386㎝이다. 갈철광 가압 침출로부터 용액 내에 니켈, 코발트 및 철을 함유하는 산성 침출액이 10리터/hr·㎡의 유속으로 칼럼에 공급되었다. 상기 공급 용액의 성분을 표 2에 도시하였다. 니켈 추출은 197일 경과 후에 76%이었다. 표 3은 그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2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3
실시예 3 : 향류 침출(counter-current leaching)
향류 침출 공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황산 670㎏/광석톤의 일정한 산 소비량으로 일 그룹의 향류 칼럼 침출을 수행하였다. 상기 그룹은 A, B, C, D 및 E로 명명된 5개의 칼럼으로 구성되어 있다. 칼럼 A에는 먼저 전의 칼럼 침출(부 침출 풍부 침출액 시험)로부터 획득한 산성 중간 생성 침출 용액(IPLS)이 공급되고, 부 침출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블랭크 황산 용액 100g/ℓ를 공급하고 마지막으로 pH 2의 희석된 황산 용액으로 세정한다. 주 침출로부터의 생성 침출 용액(PLS)은 이온 교환에 의해 니켈 회수용으로 저장된다. 부 침출 및 세정된 IPLS는 주 침출로서 칼럼 B에 공급 용액으로 사용된다. 칼럼 B, C, D 및 E 칼럼의 초기 조건이 동일하기 때문에 칼럼 B, C, D 및 E의 결과에 대해서만 인용하였다. 각 칼럼의 작업 시간은 약 30일이다.
수분 함량이 23.1%인 새프롤라이트 광석 26㎏을 98% 황산으로 응집하여 입자 크기 3.35㎜ 내지 25.4㎜ 크기의 펠릿으로 만들었다. 응집을 위한 산 소모량은 건조 광석 톤당 25㎏ 이었다. 칼럼 크기는 직경 10㎝ × 높이 305㎝이다. 공급 유속은 40리터/hr·㎡이다. 니켈 추출은 80%를 초과하였다. 공급 광석의 조성을 표 4에 도시하였다. Ni, Fe 및 Mg의 추출량을 3가지 다른 방법으로 계산하였고, 이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주 침출로부터의 성분(표 6)은 생성 침출 용액이 저 산성도 레벨을 함유하고 고체를 동반하며 니켈 회수를 위해 이온 교환 단계에 직접 공급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4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5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6
실시예 4 : 이온 교환에 의한 니켈 회수
암반 새프롤라이트의 향류 칼럼 더미 침출로 획득한 생성 침출 용액은 유속 25㎖/분으로 도웩스 엠4195 250㎖ 수지 칼럼을 통해 처리되었다. 니켈과 철 약간이 수지 위에 적재되어 적재된 니켈과 철이 라피네이트에서 관통하면서 기타 불순물과 나머지 철과 분리된다. 이온 교환 칼럼을 황산 150g/ℓ로 스트리핑하여 상기 니켈 및 철 함유 용출액이 얻어진다. 표 7은 공급, 라피네이트 및 Ni 용출액의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용출액 내에서 철에 대한 니켈의 비는, 페로-니켈 생산에 우수한 공급 재료가 될 수 있기에 적합하다.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7
실시예 5 : 향류 이온 교환에 의한 니켈 회수
30 리터의 더미 침출 생성 침출 용액이 석회석으로 중화되어 pH 2로 된다. 고체/액체 분리 후에, 생성 침출 용액은 향류 형태의 조작으로 니켈 회수 및 불순물 분리를 위해 도웩스 엠4195수지로 채워져 있는 이온 교환 칼럼으로 처리된다. 수지의 베드 부피는 2리터이다. 생성 침출 용액의 4개의 베드 부피(8 리터)가 중간 라피네이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칼럼에 공급되었다. 중간 라피네이트는 석회석으로 중화되어 pH 2로 된 후에 코발트 회수를 위한 최종 라피네이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제2 칼럼에 공급되었다. 중화된 중간 라피네이트가 공급된 직후에, 다른 생성 침출 용액 4개 베드 부피(8 리터)가 중간 라피네이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이온 교환 칼럼에 공급된다. 완전히 적재된 이온 교환 칼럼은 1 베드 부피의 물로 세정되고, 1 베드 부피의 150g/ℓ 또는 200g/ℓ 황산으로 스트립되고 2 베드 부피의 물로 세척된다. 고 농도 니켈 및 저 농도 산을 함유하는 약 절반 베드 부피의 용출액이 페로-니켈 제조를 위한 생산물로 포집된다. 저 농도 니켈 및 고 농도 산을 함유하는 약 1 베드 부피의 용출액이 산성화에 의한 다음 단계의 이온 교환 사이클용 스트리핑 용액 제조를 위해 포집된다. 표 8은 공급, 중간 라피네이트, 최종 라피네이트 및 니켈 용출액(생성물)의 평균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8
실시예 6 : Fe3 +/Fe2 + 변환의 이온 교환에의 영향
칼럼 침출 생성 침출 용액은 살포되는 이산화황으로 처리되거나 불안정 이황화나트륨을 첨가하여, 도웩스 엠4195 수지가 제2철보다 제1철에 대해 덜 선택적이기 때문에 모든 제2철을 제1철로 변환된다. 니켈 용출액 내의 철 성분은 80%로 감소한다. 도 8은 Fe3 +/Fe2 + 변환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철과 니켈의 농도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x축 상의 라벨은 다음과 같다:
L은 수지 적재 단계,
LW는 물로 적재물 세척 단계,
ST는 산으로 수지를세척하는 단계,
SW는 물로 스트리핑 세척하는 단계.
각 문자 뒤의 숫자는 샘플이 취해진 때의 베드를 통과한 침출액의 베드 부피의 수이다.
실시예 7 : 니켈 수산화철 생성물과 페로-니켈의 제조
이온 교환 Ni 용출액은 pH 9 내지 pH 14에서 MgO와 중화되어 니켈과 수산화철이 혼합된 생성물(MHP)로 철과 니켈이 침전된다. 건조된 니켈 수산환철 생성물은 탄소 및 슬래그-생성 재료와 혼합되고 1575℃ 근방에서 로 내에서 정련되어 페로-니켈이 생성된다. 표 9는 Ni 용출액, 중화 후의 빈액(barren solution), 니켈 수산화철 생성물 및 페로-니켈의 성분을 요약한 것이다. 도 9는 제조된 페로-니켈 너겟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페로-니켈이 제조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Figure 112007029253619-PCT00009
실시예 8 : Ni-IX 라피네이트로 철의 침철광으로의 침전
코발트 회수를 위한 침전에서 잉여 철 분리 단계가 본 실시예에서 기술된다. 고 Fe/Ni 및 Fe/Co 농도비로 인해, 니켈 이온 교환 단계로부터의 라피네이트는 코발트 이온 교환 단계로 공급되기 전에 침철광 침전으로 사전 처리된다. 상기 라피네이트는 80 내지 90℃로 가열되고 pH 2에서 석회석과 중화된다. 용액과 고상 분석은 상기 처리 중에 Ni와 Co의 손실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표 10은 액상과 고상의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29253619-PCT00010
실시예 9 : 이온 교환에 의한 코발트 회수
실시예 8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pH 2에서 침철광 침전으로부터 획득한 용액은 25㎖/분의 유속으로 도웩스 엠4195 250㎖ 수지 칼럼을 통해 처리된다. 코발트와 잔류 니켈은 수지 위에 적재되고, 기타 불순물들은 라피네이트로 추출된다. 코발트/니켈 함유 용출액은 150g/ℓ 황산으로 이온 교환 칼럼으로 스트리핑하여 얻어진다. 표 11은 공급, 라피네이트 및 Co/Ni 용출액의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29253619-PCT00011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많은 변형 실시예와 변경 실시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31)

  1. 적어도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으로부터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과, 라피네이트 내에 코발트와 산 용해성 불순물을 남기면서 상기 용액으로부터 니켈과 철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이온 교환 수지가 접촉하는 단계;
    b) 니켈과 철을 함유하는 용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황산 용액으로 상기 수지로부터 니켈과 철을 스트리핑하는 단계;
    c)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을 침전하기 위해 상기 용출액을 중화하는 단계; 및
    d)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을 환원 및 정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침출 용액이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할 때에 니켈 및 제2철이 선택적으로 흡착되기 위해서,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의 pH는 약 1.0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출액 내의 철에 대한 니켈의 비율은 0.5 대 4 내지 4: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탄산마그네슘 및/또는 산화마그네슘의 첨가에 의해 용출액이 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이 정련용 전기 아크로 내에서 환원 및 처리되어 페로-니켈 생성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에 황 공급원이 첨가되고, 상기 혼합물은 정련되어 니켈 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코발트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라피네이트는 코발트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코발트가 고갈된 라피네이트 내에 산 용해성 불순물을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코발트의 선택적 흡착을 위해 라피네이트가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할 때, 라피네이트의 pH는 약 2~3d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라피네이트가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기 전에, 라피네이트 내에 잔류하는 제2철을 침철광, 적철광 및/또는 수산화물로 침전시키기 위해 라피네이트가 일부 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피네이트는 탄산칼슘의 첨가에 의해 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코발트가 황산으로 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용출되어 코발트를 함유하는 용출 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액을 중화 처리하여 수산화코발트로 코발트를 침전하거나, 상기 용출액을 황화 처리하여 코발트 황화물 산물을 침전시킴으로써 상기 용출액으로부터 코발트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코발트는 산화마그네슘의 첨가에 의해 수산화코발트로 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코발트는 황화나트륨 용액의 첨가에 의해 코발트 황화물로 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5.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비스-피코리라민(bis-picolylamine) 기능성 그룹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도웩스 엠4195(Dowex M41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7.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생성 침출 용액은 라테라이트 광석의 산(acid) 더미 침출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산 더미 침출 공정은,
    a) 주 더미 및 부 더미가 형성되고,
    b) 부 더미는 황산이 보충된 이온 교환 공정으로부터 재순환된 라피네이트를 포함하는 침출류로 처리되어 중간 생성 침출 용액을 생성하고, 및
    c) 주 더미를 상기 중간 생성 침출 용액으로 처리하여 적어도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을 생성하는 향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더미 침투성을 개선하기 위해, 광석은 먼저 분쇄되고 물, 황산 또는 기타 점결 재료를 사용하여 응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광석은 25mm 이하의 크기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재순환된 라피네이트는 니켈/철 이온 교환 단계로부터 나온 니켈 고갈 라피네이트 및/또는 코발트 이온 교환 단계로부터 나온 코발트 고갈 라피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부 더미는 실질적으로 니켈이 고갈되었을 때에 폐기되고, 주 더미가 부 더미로 되며, 새로운 라테라이트 광석 더미가 주 더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부 더미를 처리하는 침출류에는 가압 산 침출 공정 또는 라테라이트 광석의 대기압 침출 공정 또는 니켈 황화물 광석의 산화적 침출의 침출물로부터 적어도 니켈, 코발트 및 철을 함유하는 침출물이 보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니켈/철 이온 교환 단계로부터 나온 라피네이트는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약 160℃ 내지 200℃에서 저압 침출되어 적철광 같은 철로 침전되고, 침출류에 약간의 산(acid)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저압 산 침출 단계는 작은 오토클레이브를 필요로 하는 라피네이트의 일부에 대해서만 행해지는 반면에 상기 라피네이트의 나머지 부분은 부 더미 침출 단계로 직접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6. 제18항,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재순환되는 라피네이트 및/또는 중간 생성 침출 용액에 이산화황이 첨가되어 생성 침출 용액 내에서 제2철이 제1철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황산으로 가압 산 침출 공정, 대기압 침출 공정 또는 가압 산 침출 공정과 대기압 침출 공정의 조합된 공정으로 라테라이트 니켈 광석을 침출한 후에, 일부 중화되어 pH가 약 1.0 내지 2.5인 생성 침출 용액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니켈 황화물을 산화 침출한 후에, 일부 중화되어 pH가 약 1.0 내지 2.5인 생성 침출 용액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방법.
  29. 라테라이트 광석으로부터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로 니켈을, 수산화물 또는 황화물 산물로 코발트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a) 적어도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광석을 더미 침출 공정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생성 침출 용액과, 라피네이트 내에 코발트와 산 용해성 불순물을 남기면서 상기 용액으로부터 니켈과 철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pH가 약 1.0 내지 2.5인 이온 교환 수지가 접촉하는 단계;
    c) 니켈과 철을 함유하는 용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황산 용액으로 상기 수지로부터 니켈과 철을 스트리핑하는 단계;
    d) 니켈 수산화철 혼합 중간 생성물을 침전하기 위해 니켈과 철을 함유하는 상기 용출액을 중화하는 단계;
    e)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니켈 수산화철 혼합 생성물을 환원 및 정련하는 단계;
    f) 제2철 이온을 침철광, 적철광 또는 수산화물로 침전하기 위해 코발트와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라피네이트를 일부 중화하는 단계;
    g) 코발트를 선택적으로 흡착하기 위해 코발트와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일부 중화된 라피네이트와 pH 약 2.0 내지 3.0의 이온 교환 수지가 접촉하는 단계;
    h) 코발트를 함유하는 용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황산으로 코발트 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코발트를 용출하는 단계; 및
    i) 수산화코발트 또는 황화코발트 산물로 코발트를 침전하기 위해 코발트를 함유하는 용출액을 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및 코발트 회수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침출 공정은,
    a) 주 더미 및 부 더미가 형성되고,
    b) 중간 생성 침출 용액을 생성하기 위해 부 더미는 황산이 보충된 재순환된 라피네이트를 포함하는 침출류로 처리되고, 및
    c) 니켈, 코발트, 철 및 산 용해성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 침출 용액을 생성하기 위해 주 더미를 상기 중간 생성 침출 용액으로 처리하는 향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및 코발트 회수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니켈이 고갈되었을 때에 상기 부 더미는 폐기되고, 주 더미가 부 더미로 되고, 새로운 라테라이트 광석 더미가 주 더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 및 코발트 회수 방법.
KR1020077008760A 2004-09-17 2005-09-14 습식 야금 공정 및 건식 야금 공정의 조합에 의한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KR200700601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4905392A AU2004905392A0 (en) 2004-09-17 Production of Ferro Nickel or Nickel Matte by a combined Hydrometallurgical and Pyrometallurgical Process
AU2004905392 2004-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120A true KR20070060120A (ko) 2007-06-12

Family

ID=3605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760A KR20070060120A (ko) 2004-09-17 2005-09-14 습식 야금 공정 및 건식 야금 공정의 조합에 의한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597738B2 (ko)
EP (1) EP1794331A4 (ko)
JP (1) JP2008513597A (ko)
KR (1) KR20070060120A (ko)
CN (1) CN100516251C (ko)
BR (1) BRPI0515434A (ko)
CA (1) CA2580542A1 (ko)
EA (1) EA012644B1 (ko)
EC (1) ECSP077373A (ko)
GT (1) GT200500259A (ko)
WO (1) WO2006029443A1 (ko)
ZA (1) ZA2007026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138A (ko) * 2014-10-24 2016-05-09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WO2020166735A1 (ko) * 2019-02-13 2020-08-20 고려아연 주식회사 니켈 황화광으로부터 습식 및 건식 공정을 조합한 경제적 니켈 제련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236085C1 (en) 2005-11-28 2014-02-27 Vale S.A. Process for extraction of nickel, cobalt, and other base metals from laterite ores by using heap leaching and product containing nickel, cobalt, and other metals from laterite ores
BRPI0600901B1 (pt) * 2006-02-02 2018-04-03 Vale S.A. Processo híbrido de resinas de troca iônica na recuperação seletiva de níquel e cobalto de efluentes de lixiviação
CA2659449A1 (en) * 2006-08-23 2008-02-28 Murrin Murrin Operations Pty Ltd. Improved hydrometallurgical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nickel from laterite ores
AU2007288109B2 (en) * 2006-08-23 2011-09-15 Bhp Billiton Ssm Development Pty Ltd Production of metallic nickel with low iron content
WO2008034189A1 (en) * 2006-09-21 2008-03-27 Metallica Minerals Ltd Improved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nickel
BRPI0604853B1 (pt) * 2006-10-27 2016-03-08 Vale Do Rio Doce Co método para produção de cobalto metálico a partir de refinado de extração por solventes de níquel
WO2008138038A1 (en) * 2007-05-14 2008-11-20 Bhp Billiton Ssm Development Pty Ltd LOW Eh LEACH WITH SULFUR RECYCLE
WO2008138039A1 (en) * 2007-05-14 2008-11-20 Bhp Billiton Ssm Development Pty Ltd Nickel recovery from a high ferrous content laterite ore
US7901484B2 (en) * 2007-08-28 2011-03-08 Vale Inco Limited Resin-in-leach process to recover nickel and/or cobalt in ore leaching pulps
US20090056502A1 (en) * 2007-08-29 2009-03-05 Vale Inco Limited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recovery of nickel and cobalt
AU2008299587B2 (en) * 2007-09-13 2013-02-07 Bhp Billiton Ssm Development Pty Ltd Limonite and saprolite heap leach process
US8016912B2 (en) 2007-09-14 2011-09-13 Barrick Gold Corp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platinum group metals using reductants
WO2009079715A1 (en) 2007-12-24 2009-07-02 Bhp Billiton Ssm Development Pty Ltd Selectively leaching cobalt from lateritic ores
US8197575B2 (en) 2007-12-24 2012-06-12 Bhp Billiton Ssm Development Pty Ltd. Laterite heap leaching with ferrous lixiviants
US8574540B2 (en) * 2008-02-08 2013-11-05 Vale S.A. Process for manufacturing prefluxed metal oxide from metal hydroxide and metal carbonate precursors
US8460429B2 (en) * 2008-02-12 2013-06-11 Bhp Billiton Innovation Pty Ltd Production of nickel
FI122030B (fi) * 2009-09-24 2011-07-29 Norilsk Nickel Finland Oy Menetelmä nikkelin ja koboltin talteen ottamiseksi lateriitista
TW201245455A (en) * 2011-02-04 2012-11-16 Vale Sa Process to produce rough ferro-nickel product
CN103348026A (zh) * 2012-02-07 2013-10-09 淡水河谷公司 生产粗镍铁产品的方法
WO2013120131A1 (en) * 2012-02-14 2013-08-22 Bhp Billiton Ssm Development Pty Ltd Production of high grade nickel product
WO2013165735A1 (en) 2012-05-01 2013-11-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Nickel and cobalt recovery using continuous ion exchange
CN102703730A (zh) * 2012-06-18 2012-10-03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红土型镍矿熔炼镍锍的方法
JP5622061B2 (ja) * 2013-03-26 2014-11-1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製鉄用ヘマタイトの製造方法
DE102013214981A1 (de) * 2013-07-31 2015-02-05 Kron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ertstofforientierten Wasseraufbereitung für Minen
DE102015116476A1 (de) * 2015-09-29 2017-04-13 Outotec (Finland) Oy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Uran oder einem Seltenen-Erden-Element
CN108285976A (zh) * 2018-01-31 2018-07-17 眉山顺应动力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可实现洗铁酸循环利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8103A (en) * 1946-03-04 1949-04-26 George W Pawel Production of ferronickel
JPS51149117A (en) * 1975-06-17 1976-12-21 Katsutoshi Ono Treatment of ni ores
JPH083657A (ja) * 1994-06-23 1996-01-0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含ニッケル物からのニッケル製錬用原料の製造方法
FI110190B (fi) * 1994-08-01 2002-12-13 Billiton Intellectual Pty Nikkelin talteenotto kasauuttoa käyttämällä
FI108047B (fi) * 1994-08-01 2001-11-15 Billiton Intellectual Pty Menetelmä nikkelin valmistamiseksi nikkelisulfidikonsentraatista
US5443619A (en) * 1994-10-04 1995-08-22 North American Palladium Ltd. Process for extracting metals from solution
AU701811B2 (en) * 1994-10-05 1999-02-04 Billiton Intellectual Property B.V. Recovery of nickel
JPH11335821A (ja) * 1998-05-20 1999-12-07 Japan Energy Corp 磁性薄膜形成用Ni−Fe合金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磁性薄膜および磁性薄膜形成用Ni−Fe合金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US20010001650A1 (en) * 1999-03-09 2001-05-24 William P.C. Duyvesteyn Recovery of nickel and cobalt from ore
JP2001049362A (ja) * 1999-08-06 2001-02-20 Matsushita Sangyo Kk 重金属スラッジ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および装置
US6350420B1 (en) * 1999-10-15 2002-02-26 Bhp Minerals International, Inc. Resin-in-pulp method for recovery of nickel and cobalt
US6261527B1 (en) * 1999-11-03 2001-07-17 Bhp Minerals International Inc. Atmospheric leach process for the recovery of nickel and cobalt from limonite and saprolite ores
US6387239B1 (en) * 1999-11-17 2002-05-14 Bhp Minerals International, Inc. Recovery of metals from ore
WO2002008477A1 (en) * 2000-07-21 2002-01-31 Nichromet Extraction Inc. Method for recovering nickel and cobalt from laterite ores
US6514414B1 (en) * 2000-09-08 2003-02-04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Process for separation and removal of iron ions from basic zinc solution
US6790919B2 (en) * 2000-10-06 2004-09-14 Carnegie Mellon University Catalyst system for controlled polymerization
US6451088B1 (en) * 2001-07-25 2002-09-17 Phelps Dodge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metals recovery using high temperature leaching
CA2378721A1 (en) * 2002-03-22 2003-09-22 Nichromet Extraction Inc. Metals recovery from serpentine ores
AU2003900387A0 (en) * 2003-01-30 2003-02-27 Qni Technology Pty Ltd Process for nickel and cobalt extraction from laterite o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138A (ko) * 2014-10-24 2016-05-09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WO2020166735A1 (ko) * 2019-02-13 2020-08-20 고려아연 주식회사 니켈 황화광으로부터 습식 및 건식 공정을 조합한 경제적 니켈 제련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12644B1 (ru) 2009-12-30
CA2580542A1 (en) 2006-03-23
US20080016986A1 (en) 2008-01-24
ZA200702600B (en) 2008-07-30
EP1794331A4 (en) 2009-07-29
US7597738B2 (en) 2009-10-06
BRPI0515434A (pt) 2008-07-22
GT200500259A (es) 2007-08-27
CN101068940A (zh) 2007-11-07
EP1794331A1 (en) 2007-06-13
ECSP077373A (es) 2007-05-30
WO2006029443A1 (en) 2006-03-23
EA200700655A1 (ru) 2007-10-26
CN100516251C (zh) 2009-07-22
JP2008513597A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0120A (ko) 습식 야금 공정 및 건식 야금 공정의 조합에 의한 페로-니켈 또는 니켈 매트 제조
US7585350B2 (en) Production of ferronickel
US7758669B2 (en) Process for recovery of nickel and cobalt by heap leaching of low grade nickel or cobalt containing material
US8758479B2 (en) Nickel recovery from a high ferrous content laterite ore
US7935171B2 (en) Production of metallic nickel with low iron content
CA2593706A1 (en) Extraction of nickel and cobalt from a resin eluate stream
US20110150729A1 (en) Process for Heap Leaching of Nickeliferous Oxidic Ores
US20070297960A1 (en) Extraction of Nickel and Cobalt from a Resin Eluate Stream
AU2005284665B2 (en) Production of ferro-nickel or nickel matte by a combined hydrometallurgical and pyrometallurgical process
AU2005321748A1 (en) Extraction of nickel and cobalt from a resin eluate stream
AU2007211831B2 (en) Improved base metal recovery process from heap leaching
AU2006216114A1 (en) Production of ferronick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