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571A -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571A
KR20070059571A KR1020050118562A KR20050118562A KR20070059571A KR 20070059571 A KR20070059571 A KR 20070059571A KR 1020050118562 A KR1020050118562 A KR 1020050118562A KR 20050118562 A KR20050118562 A KR 20050118562A KR 20070059571 A KR20070059571 A KR 20070059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intensity data
data
seismic intensity
vide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1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9571A/ko
Publication of KR2007005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2Transforming one recording into another or one representation into an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4Displaying seismic recordings or visualisation of seismic data or attrib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영상기기 내에 마련되는 지진 감지 센서를 통해 지진이 감지되면 감지되는 지진 데이터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를 로딩하면서 영상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영상기기의 전원을 강제 온시키며, 지진 강도 데이터와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을 영상기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영상기기를 통해 일정 알람을 발생시킨 후 사용자 확인이 입력되면 알람 및 디스플레이 과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가정에서 흔히 접하는 영상기기 내에 지진 감시 센서를 마련하고 감지되는 지진 데이터를 표시함과 함께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지진 발생시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가의 비용으로 지진 감지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지진 감지 센서, A/D 변환

Description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EARTHQUAKE MONITORING SCHEME IN IMAGE PROCES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구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진 감지 센서 102 : A/D 변환부
104 : 제어부 106 : 지진 강도 테이블
108 : 디스플레이부 110 : 알람 발생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가정에서 흔히 접하는 영상기기에서 지진을 감지하고 이를 알리는데 적합한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이란, 지구 내부 어딘가에서 급격한 지각변동이 생겨 그 충 격으로 생긴 파동, 즉 지진파가 지표면까지 전해져 지반을 흔드는 것을 말하며, 학술적으로는 "탄성 에너지원으로부터 지진파가 전파됨으로써 발생하는 지구의 진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진은 넓은 지역에서 거의 동시에 감지되는데, 이때 각 지역의 흔들림의 정도, 즉 진도를 조사해보면 어느 좁은 범위 내에서 가장 세고 그 곳으로부터 멀어지면 흔들림이 약하게 되어 먼 곳에서는 흔들림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지진이 마치 종을 쳤을 때 사방으로 울려 퍼지는 음파와 같은 성질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진의 원인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유력한 학설은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판구조운동론(Plate tectonics)이다. 이 학설에 의하면, 지구의 표층은 수십 km 혹은 그 이상의 두께를 가진 암석권(lithosphere)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태평양판, 북미판, 유라시아판 등 10여개의 판으로 나뉘어져 있어 각각 매년 수 cm 정도의 속도로 제각기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상대운동으로 인해 지진은 판경계 부근에서 주로 발생하며, 경계부근의 판내부(intraplate earthquake)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한편, 지진의 측정 방법으로는 무거운 추를 실에 매단 후 실의 끝을 잡고 좌우로 빠르게 움직여 보면 추는 정지된 채 그대로 있게 되는데, 최초의 지진계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지진이 발생하면 땅이 흔들리고 땅에 박혀 있는 지진계도 흔들리게 되지만 지진계의 추만은 관성에 의해 정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원통 기록지에 땅의 흔들림을 기록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진의 크기를 살펴보면, 지진의 크기, 즉 진도는 지진의 규모와 진앙거리, 그리고 진원의 깊이에 따라 크게 좌우되며, 아울러 그 지역의 지질구조와 구조물의 형태 및 인구 현황에 따라 달리 평가될 수 있다. 진도는 여러 등급으로 나뉘어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상청은 일본 기상청에서 분류한 등급(JMA scale)을 사용하며, 이러한 JMA 스케일은 8등급인 반면, 미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가 사용하는 MM 스케일과 진도 등급의 국제적 통일을 시도한 MSK 스케일은 12등급을 갖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진이 그다지 빈번하지 않기 때문에 지진 피해에 대해서 체감하는 정도가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 국지적으로 지진 사례가 늘어가고 있고, 해외에서의 지진 건수도 해마다 증가하며 그 규모면에서도 자연 재해 중 가장 큰 것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지진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추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지진 감지 기능은 일반적으로 기상청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몇몇의 대형건물이나 공공건물에서만 지진 측정 장비가 도입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 지진 측정 장비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지진 감지 센서뿐만 아니라 별도의 회전원통 기록지, 모니터 장비 등을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면에서 많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영상기기 내에 지진 감시 센서를 마련하고 감지되는 지진 데이터를 표시함과 함께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지진 발생시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가정에서 흔히 접하는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지진 데이터를 표시하고 이를 알림으로써 저가의 비용으로 지진 감지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수의 등급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범위 별로 저장되는 지진 강도 테이블과, 지표면의 진동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지진 감지 센서와, 상기 지진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의 감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와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을 상기 영상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수의 등급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범위 별로 저장되는 지진 감지 센서 내장형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방법으로서, 상기 지진 감지 센서를 통해 지진이 감지되면 감지되는 지진 데이터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데 이터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와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을 상기 영상기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를 통해 일정 알람을 발생시킨 후 사용자 확인이 입력되면 알람 및 디스플레이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지진 감지 센서(100), A/D 변환부(102), 제어부(104), 지진 강도 테이블(106), 디스플레이부(108), 알람 발생부(11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진 감지 센서(100)는 영상기기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지표면의 진동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D 변환부(102)는 상기 지진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104)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04)는 상기 A/D 변환부(102)의 감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를 후술하는 지진 강도 테이블(106)로부터 로딩하고, 지진 강도 데이터와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을 디스플레이부(108)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지진 강도 테이블(106)에는 기 설정된 수의 등급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 터가 기 설정된 범위 별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지진 강도 테이블(106)에 설정되는 지진 등급 및 지진 강도 정보는, 예를 들면 하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등급 강도 설명
1 0∼4.3 기계에 의해 진동이 기록되는 정도
2 위층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사람이 느낄만한 정도
3 실내에서 흔들림을 느낄 수 있으며, 걸려 있는 물건들이 움직이는 정도
4 4.3∼4.8 접시가 흔들리는 정도
5 문이 움직이고, 잔에서 물이 넘칠 정도, 잠자던 사람이 깨어난다.
6 4.8∼6.2 걸음걸이가 안정되지 못하고 창문이 흔들리며 벽에 걸려있는 그림들이 떨어진다.
7 서 있기기 힘들고 벽돌이나 타일 등이 떨어지는 정도
8 6.2∼7.3 자동차 운행이 힘들다. 굴뚝이 무너지고 나뭇가지가 꺾이며, 젖은 땅에 균열이 생긴다.
9 공포감이 생긴다. 건축물들이 손상을 입는다. 모래바람이 일어난다.
10 대부분의 건물들이 파괴된다. 산사태와 해일이 일어난다.
11 7.3∼8.9 철로가 구부러지고 도로가 무너진다. 땅에 큰 균열이 생기며 바위들이 무너진다.
12 모든 것이 파괴된다. 지표면이 요동치고 강줄기의 방향이 바뀐다.
디스플레이부(108)는 상술한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라 지진 강도 데이터와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구현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200)에서는 지진 감지 센서(100)가 활성화되면서 지표면의 진동을 감지한다.
단계(S202)에서는 이와 같은 지진 감지 센서(100)를 통해 지진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고, 지진이 감지되면 단계(S204)로 진행하여 감지되는 지진 데이터가 A/D 변환부(102)를 통해 디지털 정보로 변환된다.
디지털 변환된 지진 데이터는 제어부(104)로 인가되고, 제어부(104)에서는 단계(S206)에서와 같이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를 지진 강도 테이블(106)로부터 로딩한다.
이때, 제어부(104)는 현재 영상기기의 전원이 온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영상기기의 전원이 온되었으면 제어부(104)는 단계(S212)로 진행하여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지진 강도 데이터와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을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부(108)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만일, 전원이 온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04)는 단계(S212)의 진행에 앞서 단계(S210)로 진행하여 영상기기의 전원을 강제 온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104)는 단계(S214)로 진행하여 영상기기를 통해 일정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알람 발생은 일정 음량의 오디오 신호를 영상기기의 자체 스피커를 통해 일정 시간동안 송출한다거나, 디스플레이부(108) 상에 경고 문구를 OSD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알람이 발생된 후, 제어부(104)는 사용자 확인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확인이 입력되면 상기 알람 및 디스플레이 과정을 종료한다(S216)(S21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영상기기 내에 지진 감지 센서를 마련하고, 지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지진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동시에 지진 데이터에 따른 경고 메시지(또는 경고음)를 송출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가정에서 흔히 접하는 영상기기 내에 지진 감시 센서를 마련하고 감지되는 지진 데이터를 표시함과 함께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지진 발생시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가의 비용으로 지진 감지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5)

  1. 기 설정된 수의 등급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범위 별로 저장되는 지진 강도 테이블과,
    지표면의 진동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지진 감지 센서와,
    상기 지진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의 감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를 상기 지진 강도 테이블로부터 로딩하고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와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을 상기 영상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진 감지 센서를 통해 지진이 감지되고 난 후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을 강제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와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을 상기 영상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 후 소정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 람 발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4. 기 설정된 수의 등급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범위 별로 저장되는 지진 감지 센서 내장형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방법으로서,
    상기 지진 감지 센서를 통해 지진이 감지되면 감지되는 지진 데이터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와 상기 지진 강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급을 상기 영상기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를 통해 일정 알람을 발생시킨 후 사용자 확인이 입력되면 알람 및 디스플레이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진 강도 데이터를 로딩한 후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을 강제 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방법.
KR1020050118562A 2005-12-07 2005-12-07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 KR20070059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562A KR20070059571A (ko) 2005-12-07 2005-12-07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562A KR20070059571A (ko) 2005-12-07 2005-12-07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571A true KR20070059571A (ko) 2007-06-12

Family

ID=3835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562A KR20070059571A (ko) 2005-12-07 2005-12-07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95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192B1 (ko) 2018-05-24 2019-11-04 이현주 지진감지모듈을 포함한 지진예보시스템 및 지진예보방법
KR20230073017A (ko) 2021-11-18 2023-05-25 라미랩 주식회사 대용량 지진파 데이터의 웹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192B1 (ko) 2018-05-24 2019-11-04 이현주 지진감지모듈을 포함한 지진예보시스템 및 지진예보방법
KR20230073017A (ko) 2021-11-18 2023-05-25 라미랩 주식회사 대용량 지진파 데이터의 웹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3804B (zh) 用于建筑的地震感测报警系统
KR101767343B1 (ko) 지진 예경보 및 대피 방송 시스템
KR101742783B1 (ko) 시설물 안전용 진동/기울기/지진 감지 장치
JP4914162B2 (ja) 地震被害判定装置、地震被害判定方法及び地震被害判定プログラム
US5001466A (en) Earthquake detector
JP4324126B2 (ja) 地中内観測システムおよび地中内観測方法
CN201126614Y (zh) 监控系统
WO2013190973A1 (ja) 構造物の状態判定装置および構造物の状態判定方法
CN106297196A (zh) 一种开关、智能主机和地震预警系统
JP2011044037A (ja) 防犯装置、プログラム
JP4506625B2 (ja) リアルタイム地震情報を利用した地震動の予測システム
KR20070059571A (ko) 영상기기에서의 지진 감지 시스템 및 구현 방법
JP2009293934A (ja) 地震被害判定装置、地震被害判定方法、及び地震判定プログラム
KR102183039B1 (ko) 무지향성 진동검출 기능과 진동분석 기능을 갖는 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난간
JP4459066B2 (ja) 環境振動監視方法と装置
WO2013190728A1 (ja) 構造物の状態判定装置および構造物の状態判定方法
Li et al. Strong earthquakes can be predicted: a multidisciplinary method for strong earthquake prediction
CN106595772A (zh) 地震救援结构安全监测机器人
JP3754602B2 (ja) 斜面崩壊予測装置および斜面崩壊予測方法
JP2013092488A (ja) 地震計及びこれを用いる加速度検出方法
KR101328462B1 (ko) 무게센서를 구비한 알람침대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발생방법
Uenishi Overlooked mechanisms behind seismic damage
JP2005227005A (ja) リアルタイム地震情報利用による地震情報表示装置および方法
Galang et al. Solar Power-Operated Microcontroller-Based Earthquake Detector with Automatic Alarm System
JP2000193753A (ja) 地震早期検知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