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641A -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641A
KR20070057641A KR1020060069954A KR20060069954A KR20070057641A KR 20070057641 A KR20070057641 A KR 20070057641A KR 1020060069954 A KR1020060069954 A KR 1020060069954A KR 20060069954 A KR20060069954 A KR 20060069954A KR 20070057641 A KR20070057641 A KR 2007005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hannel
mismatch
error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302B1 (ko
Inventor
송윤정
오덕길
이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6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302B1/ko
Priority to US11/605,646 priority patent/US20070127599A1/en
Publication of KR2007005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7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converting the oscillations into two quadrature related signals
    • H03D3/009Compensating quadrature phase or amplitude imbal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3845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 - coherent demodulation, i.e. not using a phase synchronous carrier
    • H04L27/385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 - coherent demodulation, i.e. not using a phase synchronous carrier using a non - coherent carrier, including systems with baseband correction for phase or frequency offset
    • H04L27/3863Compensation for quadrature error in the receive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먼저 어느 한 채널(예: I 채널)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고 그 보상된 I채널을 기준으로 나머지 다른 채널(예: Q 채널)의 위상불일치를 보상할 수 있도록 반송파 위상 복원 기능과 I/Q 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기능을 통합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시스템 구성으로 반송파 위상복원 및 I/Q 채널간 위상 불일치 보상을 하고 이로 인하여 무선통신에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반송파 위상 복원 및 동위상(I)/직교(Q) 채널 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에 있어서, I 채널과 Q 채널 중 어느 한 채널(기준채널)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오차 보상 수단; 및 상기 위상오차 보상 수단에서 위상 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을 기준으로, 다른 한 채널(대상채널)에 대하여 상기 기준채널과 상기 대상채널 간의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불일치 보상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 등에 이용됨.
고속무선통신시스템,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 I 채널, Q 채널, 반송파 위상 복원, 위상 불일치

Description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hase Recovery and I/Q Imbalance Compensation in a quadrature demodulating receiv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I채널과 Q채널 간 위상/이득 불일치 보상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I 채널과 Q 채널 간 불일치를 포함하는 I/Q 성상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115: I 채널 위상오차 검출기 116: 위상 불일치 검출기
본 발명은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먼저 어느 한 채널(예: I 채널)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고 그 보상된 I채널을 기준으로 나머지 다른 채널(예: Q 채널)의 위상불일치를 보상할 수 있도록 반송파 위상 복원 기능과 I/Q 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기능을 통합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시스템 구성으로 반송파 위상복원 및 I/Q 채널간 위상 불일치 보상을 하고 이로 인하여 무선통신에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RF 단과 IF 단을 거쳐 복조한 후,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각 단에서는 희망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주파수 하향 기능과 신호 크기 증폭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F(Radio Frequency) 및 IF(Intermidiate Frequency) 단에서는 믹서와 증폭기를 포함한 여러 가지 아날로그 소자를 사용하는데, 이들 소자는 어느 정도의 규격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게 되나 그 규격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소자간의 절연성과 직교성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입력신호의 열화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신호 열화의 원인 중 하나가 I 채널과 Q 채널 간의 불일치이다. I 채널과 Q 채널 간의 불일치는 각 소자의 절연 상태 및 신호 생성이 I/Q 채널 간에 완벽하게 90˚ 위상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I 채널과 Q 채널 간의 불일치는 신호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모뎀의 복조기 성능 열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I 채널과 Q 채널 간의 불일치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I 채널과 Q 채널 간의 불일치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는 RF 직접 변환 수신기(RF Direct Conversion Receiver)에서 몇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먼저, Johua L. Koslov가 제안한 미국특허 제6,044,112호(발명의 명칭: Methods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mplitude and phase imbalances in demodulators/발명자: Johua L. Koslov/출원인: Hitachi America, Ltd/ 등록일: 2000년 03월 28일)에는 복조기에서 몇 개의 복소수 덧셈기, 곱셈기 및 카운터를 이용하여 이득과 위상의 불일치를 보정해 주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복소수의 곱셈기를 사용함으로써 구현상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단순한 카운터를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잡음을 동반한 복조기에서는 잡음에 민감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I 채널과 Q 채널 간의 불일치 되는 양을 카운트 증감에 따라 설정하기 때문에 그 응답 속도는 변화하는 형태를 갖는데, 이는 실제 수신신호의 형태가 그대로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카운트의 증감 간격에 따라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외에도 Shahriar Emami 가 제안한 미국특허 제5,949,821호(발명의 명칭: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phase and gain imbalances between in-phase(I) and Quadrature(Q) components of a received signal based on a determination of peak amplitudes/ 발명자: Shahriar Emami 등 /출원인: Motorola, Inc. /등록일: 1999년 09월 07일)에는 복조된 I 채널과 Q 채널의 진폭 피크치(peak)를 검출하여 I 채널과 Q 채널 간의 불일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기준 I/Q 채널 중 하나를 기준 채널로 설정하고 다른 채널을 불일치 채널로 설정 후 각 채널의 진폭 피크치를 구하고 위상 불일치를 사인(sine) 함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Shahriar Emami가 제안한 미국특허 제5,949,821호에는 I 채널과 Q 채널 간의 위상 불일치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arc sine 함수를 사용하였는데, 이 함수를 실제 디지털 회로를 통하여 구현하는 경우, 회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정밀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는 위상 오차 보상 회로와 I/Q 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회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복잡도 및 시스템 구현 비용이 높고, 또한 이로 인하여 고속 무선 통신에서의 활용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먼저 어느 한 채널(예: I 채널)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고 그 보상된 I채널을 기준으로 나머지 다른 채널(예: Q 채널)의 위상불일치를 보상할 수 있도록 반송파 위상 복원 기능과 I/Q 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기능을 통합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시스템 구성으로 반송파 위상복원 및 I/Q 채널간 위상 불일치 보상을 하고 이로 인하여 무선통신에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반송파 위상 복원 및 동위상(I)/직교(Q) 채널 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에 있어서, I 채널과 Q 채널 중 어느 한 채널(기준채널)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오차 보상 수단; 및 상기 위상오차 보상 수단에서 위상 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을 기준으로, 다른 한 채널(대상채널)에 대하여 상기 기준채널과 상기 대상채널 간의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불일치 보상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반송파 위상 복원 및 동위상(I)/직교(Q) 채널 간 위상불일치 보상 방법에 있어서, I 채널과 Q 채널 중 어느 한 채널(기준채널)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위상오차 보상 단계; 및 상기 위상오차 보상 단계에서 위상 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을 기준으로, 다른 한 채널(대상채널)에 대하여 상기 기준채널과 상기 대상채널 간의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 위상불일치 보상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동위상채널과 직교채널 간 위상/이득 불일치 보상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QPSK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아날로그 회로(10)와, 디지털 회로로 구성된 I/Q 채널 간 위상 및 이득 불일치 보상 장치(11)로 구성된다. 그리고, I/Q 채널 간 위상 및 이득 불일치 보상 장치(11)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12), I/Q채널간 이득불일치 보상 장치(13), 및 QPSK 신호 복원 및 신호검출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위상(I: In-phase)채널과 직교(Q: Quadrature phase)채널은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복소신호(complex signal)인 수신신호의 I신호성분(I signal component)과 Q신호성분(Q signal component)을 나타낸다.
안테나를 통하여 RF(Radio Frequency)로 입력된 신호는 신호 분리기(101)를 거친 후, 믹서(104)에서 반송파 주파수 발생기(102)의 출력 신호와 곱해져서 아날로그 I 채널 신호가 된다.
또한, 신호분리기(101)를 거친 RF(Radio Frequency) 신호는, 주파수 발생 기(102)의 출력 신호가 위상 변위기(103)를 거쳐 위상 천이된 신호와, 다른 믹서(106)에서 곱해져서 아날로그 Q 채널 신호가 된다.
위와 같이 생성된 아날로그 I 채널 신호와 Q 채널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105, 107)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QPSK 직교 수신시스템에서 A/D 변환기(105, 107)의 출력인 샘플된 데이터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6053449702-PAT00001
여기서, r(k)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의 출력인 복소 수신신호를 나타내고, I(k)와 Q(k)는 샘플된 I 채널 및 Q 채널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wI(k)와 wQ(k)는 I 채널과 Q 채널의 잡음 함수를 나타내고, γ는 이득 불일치(I 채널에 대한 Q 채널의 상대적인 값)를 나타내며, φ는 위상 불일치(I 채널과 Q채널간 위상 차이), θ는 신호위상오차를 나타낸다. 따라서, 위상오차 및 위상/이득 불일치를 보상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반송파 위상 복원 회로(위상오차 보상 회로)와 I/Q 채널 불일치 보상 회로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형태를 가지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회로를 통합하여 위상오차 보상 기능(반송파 위상 복원 기능)을 I 채널에 대해 수행한 후 보상 된 I 채널 값을 기준으로 Q 채널의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위상오차 보상 기능은 I 채널의 신호 크기를 희망 크기로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위상오차 보상은 I 채널과 그 I 채널에 대하여 희망하는 심볼결정값(1 또는 - 1)과의 차이(위상 오차)를 보상하고, 그 보상된 I 채널을 기준으로 Q채널에 대하여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위상오차 보상 기능은 I 채널 및 Q 채널의 위상 오차를 동일하게 수정하나, 본 발명에서는 I 채널에 대해서는 위상오차 신호를 검출하고 Q 채널에 대해서는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위상 오차 보상을 위해 I 채널의 검출기는 다음의 [수학식 2]로 주어진다.
Figure 112006053449702-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06053449702-PAT00003
는 희망하는 I 채널 신호를 나타내고,
Figure 112006053449702-PAT00004
는 I 채널 신호로 결정한 값(1 혹은 -1)을 나타낸다. b(k)는 I채널 신호의 위상오차를 나타낸다.
A/D 변환기(105)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I채널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I 채널 위상오차 검출기(115)는 I채널 신호의 희망신호(1 또는 -1)와의 차이(즉, I채널 위상오차)를 검출한다.
이렇게 검출된 I채널 위상오차(I 채널 위상오차 검출기(115)의 출력)는 곱셈 기(113)에서 'A/D 변환기(105)의 출력신호에서 I 채널 신호값을 결정하는 결정기(112)의 출력'과 곱해진다. 그러면, 감산기(114)에서는, 'A/D 변환기(105)에서 출력되는 I 채널 신호를 한 심볼 만큼 지연시키는 지연기(111)의 출력'에서 곱셈기(113)의 출력을 감산하게 되며, 그 결과는 다시 I 채널 위상오차 검출기(115)로 입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I채널 위상오차를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위상불일치 검출기(116)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위상오차가 보상된 I채널 신호와 Q 채널 신호간의 위상 불일치를 검출한다. 그러면, 위상불일치 보상기(117, 118)는 검출된 I/Q 채널간의 위상불일치를 보상한다.
다음으로, 이득불일치 검출기(121)가 위상 불일치가 보상된 I/Q 채널간의 이득불일치를 검출하면, 이득불일치 보상기(122)는 Q 채널신호값에서 이득불일치를 제거함으로써 I/Q 채널간의 이득불일치를 보상하고, QPSK 신호 복원 및 신호 검출부(14)는 그 보상된 신호로부터 희망신호를 복원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I 채널과 Q 채널 간 불일치를 포함하는 I/Q 성상도로서, 위상 오차와 I/Q 채널간 위상 및 이득 불일치가 존재하는 신호의 QPSK 신호 성상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도트(●)는 희망하는 신호의 성상도를 나타내고, 원(○)은 I 채널 및 Q 채널간 위상오차 및 위상/이득 불일치가 존재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원(Circle)신호와 도트 신호의 간격을 측정하여 측정된 만큼을 옮겨놓는 것이 위상 오차 및 위상/이득 불일치를 보상하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로서, 특히 도 1의 I 채널 위상 오차 검출기 및 위상 불일치 검출기(115, 116)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에서 수행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방법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는 크게 위상오차 보상부(111, 112, 113, 114, 115)와 위상불일치 보상부(116, 117, 118)로 구성되고, 여기서 '위상오차 보상부'는 위상오차 검출부(301, 302), 루프 필터(303, 304, 305), 오차 보상부(111, 112, 113, 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상불일치 보상부'는 위상불일치값을 검출하는 위상불일치 검출기(116)와 검출된 위상불일치값을 제거하는 위상불일치 보상기(117, 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감산기(302)에서는 I 채널 입력 신호(114의 출력신호)에서 결정기(301)의 출력을 감산함으로써 I 채널의 위상오차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I 채널 위상오차는 루프 필터(303, 304, 305)를 통하여 누적된다. 여기서, 곱셈기(303)에서는 루프필터(303, 304, 305)의 이득(루프이득)(
Figure 112006053449702-PAT00005
)을 곱하여 루프필터의 동작 범위를 정한다.
그리고, 가산기(304)에서는 '이전 샘플의 위상 오차'를 저장하고 있는 지연기(305)의 출력과, 곱셈기(303)의 출력인 '이번 샘플의 위상 오차'를 가산한다.
곱셈기(113)는 루프 필터(303, 304, 305)를 통하여 구한 누적 위상오차를, 입력 I채널 신호의 결정기(112) 출력과 곱하며, 감산기(114)에서는 결정기(112)에 입력된 I채널신호를 한 샘플만큼 지연시킨 샘플 지연기(111)의 출력에서 곱셈기(113)의 출력을 감산함으로써 I채널의 위상오차를 제거(보상)한다.
다음은, 위상 오차를 보상한 후, I/Q 채널간의 위상불일치(I 채널에 대한 Q 채널의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311" 내지 "314"는 위상불일치 검출기, "117" 및 "118"은 검출된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 위상불일치 보상기를 나타낸다.
e(k)는 I채널과 Q채널 신호를 곱한 결과, 즉 오차 신호를 나타내고, β는 필터의 루프이득을 나타낸다. 여기서, 루프이득은 오차신호에 관계없이 고정된 값을 갖는다.
"311" 곱셈기는 입력 신호 I2(k)(위상오차가 보상된 감산기(114)의 출력신호)와 Q1(k) 신호(감산기(118)의 출력신호)를 곱하여 오차신호 e(k)를 생성하고, "312" 곱셈기는 오차신호 e(k)와 루프이득값
Figure 112006053449702-PAT00006
를 곱하며, 적분기(313, 314)는 곱셈기 "312"의 출력으로부터 I 채널과 Q 채널간의 위상 불일치 g(k-1)을 검출한다.
즉, 곱셈기(311)의 출력인 오차신호 e(k)는 곱셈기(312)에서
Figure 112006053449702-PAT00007
와 곱해진 후, 가산기(313)에서 '이전에 구한 위상 불일치 오차'와 가산된 다음, 지연기(314)를 통하여 한 샘플만큼 지연된다. 이렇게 지연된 값은 곱셈기(117)에서 감산기(114) 출력(I 채널 입력값)과 곱해지게 되며, 곱셈기(117)의 출력이 위상 불일치가 되는 것이다.
감산기(118)는 Q채널신호에서 곱셈기(117)에서 출력되는 위상불일치값을 감산함으로써 I 채널에 대한 Q 채널의 위상 불일치를 제거한다.
이상, 도 1 및 도 3에서는 I채널을 기준채널로 하고 Q채널을 위상/이득 불일치의 보상 대상(즉, 대상채널)으로 하여 위상/이득 불일치를 검출하고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Q채널을 기준채널로 하고 I채널을 대상채널로 하여 위상/이득 불일치를 검출하고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도,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Q채널이 기준채널이므로 I채널/Q채널 간의 위상/이득 불일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상/이득 불일치를 이용하여 I채널의 위상/이득 불일치를 제거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직교 복조기에서 나타나는 I/Q 채널 간 위상 불일치를 검출하고 이를 보정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I/Q 채널 간 위상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복조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 무선 통신 시스템의 QPSK 직교 복조기에서 발생하는 I/Q 채널 간 위상 불일치를 적응적 루프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또한 위상 불일치 검출에 사용되는 신호(I 채널)와 그 신호의 심볼결정값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I 채널의 위상 오차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I/Q 채널간의 위상 불일치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상 오차 보상 기능과 I/Q 채널간 위상 불일치 보상 기능을 통합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위상오차 보상을 I 채널에 대해 수행한 후 그 위상오차가 복원된 I 채널값을 기준으로 Q 채널의 위상 불일치를 보정함으로써,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위상오차 및 I/Q 채널간 위상 불일치를 보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속 무선 통신에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반송파 위상 복원 및 동위상(I)/직교(Q) 채널 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에 있어서,
    I 채널과 Q 채널 중 어느 한 채널(기준채널)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오차 보상 수단; 및
    상기 위상오차 보상 수단에서 위상 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을 기준으로, 다른 한 채널(대상채널)에 대하여 상기 기준채널과 상기 대상채널 간의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불일치 보상 수단
    을 포함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오차 보상 수단은,
    상기 기준채널의 신호에서 해당 심볼 결정값을 감산하여 위상 오차신호를 구하기 위한 위상오차 검출 수단;
    상기 검출된 위상 오차신호를 누적시키기 위한 루프 필터; 및
    상기 루프 필터에서 출력되는 누적된 위상 오차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채널의 위상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오차 보상 수단
    을 포함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불일치 보상 수단은,
    상기 위상오차 보상 수단에서 위상 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과 상기 대상채널을 곱하여 위상불일치 오차신호를 구하고, 상기 위상불일치 오차신호에 소정의 루프이득을 곱한 후 그 곱셈 결과에 적분을 취하여 위상불일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상불일치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된 위상불일치와 상기 위상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을 곱한 후, 그 곱셈 결과를 상기 대상채널에서 감산하여 위상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수단
    을 포함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채널은,
    I 채널이고;
    상기 대상채널은,
    Q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5.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 반송파 위상 복원 및 동위상(I)/직교(Q) 채널 간 위상불일치 보상 방법에 있어서,
    I 채널과 Q 채널 중 어느 한 채널(기준채널)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위상오차 보상 단계; 및
    상기 위상오차 보상 단계에서 위상 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을 기준으로, 다른 한 채널(대상채널)에 대하여 상기 기준채널과 상기 대상채널 간의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 위상불일치 보상 단계
    를 포함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오차 보상 단계는,
    상기 기준채널의 신호에서 해당 심볼 결정값을 감산하여 위상 오차신호를 구하는 위상오차 검출 단계;
    루프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위상 오차신호를 누적시키는 오차 누적 단계; 및
    상기 오차 누적 단계에서 누적된 위상 오차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채널의 위상오차를 보상하는 오차 보상 단계
    를 포함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불일치 보상 단계는,
    상기 위상오차 보상 단계에서 위상 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과 상기 대상채널을 곱하여 위상불일치 오차신호를 구하는 위상불일치 오차 획득 단계;
    상기 위상불일치 오차신호에 소정의 루프이득을 곱한 후, 그 곱셈 결과에 적분을 취하여 위상불일치를 검출하는 위상불일치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상불일치값과 상기 위상오차 보상 단계에서 위상 오차가 보상된 기준채널을 곱한 후, 그 곱셈결과를 상기 대상채널에서 감산하여 위상불일치를 보상하는 불일치 보상 단계
    를 포함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채널은,
    I 채널이고;
    상기 대상채널은,
    Q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위상 복원 및 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방법.
KR1020060069954A 2005-12-01 2006-07-25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54A KR100758302B1 (ko) 2005-12-01 2006-07-25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US11/605,646 US20070127599A1 (en) 2005-12-01 2006-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hase recovery and I/Q imbalance compensation in quadrature demodulating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154 2005-12-01
KR20050116154 2005-12-01
KR1020060069954A KR100758302B1 (ko) 2005-12-01 2006-07-25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41A true KR20070057641A (ko) 2007-06-07
KR100758302B1 KR100758302B1 (ko) 2007-09-12

Family

ID=3811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954A KR100758302B1 (ko) 2005-12-01 2006-07-25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27599A1 (ko)
KR (1) KR100758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5544D0 (en) * 2007-03-22 2007-05-02 Nokia Corp Radio receiver or transmitter and method for reducing an IQ gain imbalance
US7894555B2 (en) * 2007-08-02 2011-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Q imbalance image suppression
US8363712B2 (en) 2011-01-06 2013-01-29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I/Q imbalance compensation
US8509298B2 (en) 2011-01-06 2013-08-13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I/Q imbalance compensation
JP5361927B2 (ja) * 2011-03-14 2013-12-04 株式会社東芝 無線受信装置
US8983418B2 (en) * 2011-06-20 2015-03-17 Broadcom Corporation Multi-stage gain control in receivers and other circuits
KR20130111839A (ko) 2012-04-02 2013-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포트 증폭 장치 및 방법
CN113438066B (zh) * 2021-08-26 2021-11-30 深圳市鼎阳科技股份有限公司 多通道设备和用于多通道设备的信号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8358B2 (ja) * 1992-12-21 2001-11-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直交位相誤差補償回路
JPH08265381A (ja) * 1995-03-24 1996-10-11 Nec Corp 直交変調装置
US5949821A (en) * 1996-08-05 1999-09-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phase and gain imbalance between in-phase (I) and quadrature (Q) components of a received signal based on a determination of peak amplitudes
KR19980015798A (ko) * 1996-08-23 1998-05-25 배순훈 직각 위상 편이 복조기의 반송파 복원 장치
US6044112A (en) * 1997-07-03 2000-03-28 Hitachi America,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mplitude and phase imbalances in demodulators
US6122325A (en) * 1998-02-04 2000-09-19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in-phase/quadrature imbalance in digital communication receivers
KR100317322B1 (ko) * 1999-01-25 2001-12-22 김영환 위상 보상기를 갖는 큐피에스케이(qpsk) 변조 장치
US6661852B1 (en) * 1999-07-21 2003-12-09 Raytheo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quadrature tuner error correction
JP2003008674A (ja) 2001-06-26 2003-01-10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回路および受信機
US20040096023A1 (en) * 2002-11-19 2004-05-20 Richard Bourdeau Reduced phase error derotator system and method
US7310387B2 (en) * 2003-12-26 2007-1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compensating DC offsets, gain and phase imbalances between I-channel and Q-channel in quadrature transceiv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7599A1 (en) 2007-06-07
KR100758302B1 (ko)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302B1 (ko) 직교 복조 수신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위상 복원 및i/q채널간 위상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0581059B1 (ko) 직교 복조 수신 시스템에서 가변루프이득을 이용한 동위상채널과 직교 채널 간 위상 및 이득 불일치 보상 장치 및그 방법
JP4492264B2 (ja) 直交検出器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直交復調器およびサンプリング直交復調器
KR100457924B1 (ko) I 채널 및 q 채널 간 이득 및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직교 복조 장치
KR100441616B1 (ko) 직교 복조 장치에서의 i 채널 및 q 채널 간 진폭 및위상 불일치 검출 및 보상 방법과 그 방법을 사용하는직교 복조 장치
US7376170B2 (en) Digital imbalance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in a receiver for multi-carrier applications
US72001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US7310387B2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DC offsets, gain and phase imbalances between I-channel and Q-channel in quadrature transceiving system
US20140029703A1 (en) I/q calibration techniques
US200900601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F Packet Detection and Symbol Timing Recovery
KR100715126B1 (ko) 방송 신호용 수신기
RU2308815C1 (ru) Демодулятор и способ компенсации фазы для него
US68681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DC-offsets in a direct conversion receiver
KR100587951B1 (ko) 직교복조수신시스템에서의 동위상채널과 직교채널 간이득불일치 보상 및 자동이득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3058870B1 (ja) Afc回路
KR100653181B1 (ko) 주파수 옵셋 보상 기능을 가지는 넌­코히런트 동기직접변환 수신 장치
US20120128103A1 (en) Symbol rate detector and receiver
KR100535774B1 (ko) 직류 오차/이득 불일치/위상 불일치 보상 장치 및 그를이용한 보상 시스템
JP2004040678A (ja) 復調装置
JP3698996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受信機
US20020137488A1 (en) Direct conversion receiver for performing phase correction upon change of the gain of low-noise amplifier
RU2350031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игналов квадратурной амплитудной модуляци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и применение способа дл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приема сигналов квадратурной амплитудной модуляции
JP4214635B2 (ja) ディジタル無線装置
KR100676568B1 (ko) 타이밍추출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타이밍추출장치를구비한 복조장치
KR960000606B1 (ko) 차분 직교 위상 쉬프트 키잉 복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