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391A -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391A
KR20070057391A KR1020050116798A KR20050116798A KR20070057391A KR 20070057391 A KR20070057391 A KR 20070057391A KR 1020050116798 A KR1020050116798 A KR 1020050116798A KR 20050116798 A KR20050116798 A KR 20050116798A KR 20070057391 A KR20070057391 A KR 20070057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e
vib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fere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1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7391A/ko
Publication of KR2007005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의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을 통해 주변의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수집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 레벨 정보와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비교하여 착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소음 또는 진동이 미약한 공공 장소 등에서 에티켓 모드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단말기는 주변의 소음 또는 진동이 설정 값 이상의 크기로 발생하여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벨소리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핸드폰, 셀룰러, 착신 모드, 소음, 진동, 센서

Description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COMMUNICATION DEVICE OF CHANGING RECEIVING MODE BY DETECTING NOIS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통신 단말기 110: 메모리 수단
120: 센싱 수단 130: 착신 모드 제어부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메모리 관리부
160: 타이머 수단
본 발명은 주변의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을 통해 주변의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수집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 레벨 정보와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비교하여 착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손쉽게 연락할 수 있게 되어 종래보다 의사 소통이 빈번해지게 되었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제공되었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 수신 사실을 벨소리, 진동, 램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상의 통지 기능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타인으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화나 연극 등을 관람하는 공공 장소에서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타인에게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통지 기능을 상기 진동 또는 램프를 이용한 에티켓 모드로 수동 전환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공공 장소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실수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에티켓 모드로 전환하지 않거나 번거로움 때문에 착신 모드 전환에 많은 신경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공공 장소 등 많은 사람들이 있는 장소에서 사람들은 종종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듣게 되고 그에 따라 공연을 하는 배우나 관람하는 관객 모두에게 불쾌감을 줄 때가 많다. 그래서, 최근에는 일정한 구역 내에서는 통신 단말기의 일부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이 도입되는 등 착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장치가 전파 방해 장치이다. 공공 장소에서 통신 단말기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파 방해 장치는 통신 단말기가 착신 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통신을 제한한다. 즉, 전파 방해 장치가 일정 영역 내에 들어선 통신 단말기를 발견하면 그 통신 단말기가 호(call) 요청이나 문자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없도록 방해 전파를 생성하여 단말기 근처에 방사함으로써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전파를 차단하거나 노이즈를 가하여 방해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가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강제적인 에티켓 모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전파 방해 방식이 완벽한 것은 아닐 뿐만 아니라, 공공 장소에서라도 중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중요 통화를 기다리는 등의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 중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착신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은 그 사용자가 자의적으로 실천하지 않는 한 통신 단말기에서 벨소리 모드를 사용하지 않고 에티켓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공 장소 등에서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에티켓 모드로 자동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의 소음 또는 진동이 설정 값 이상의 크기로 발생하여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벨소리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에 대한 기준 레벨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에티켓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 모드 제어부 - 상기 에티켓 모드는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를 포함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은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에 대한 기준 레벨 정보를 기록하는 기준 레벨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센싱 수단을 통해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에티켓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 상기 에티켓 모드는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 수단(110), 센싱 수단(120), 및 착신 모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메모리 수단(110)은 통신 단말기(1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에 대한 기준 레벨 정보를 기록한다.
일반적으로 소리의 크기는 dB(A)의 단위를 사용한다. 소리의 크기는 발생되는 음원의 진폭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며, 사람이 고통 없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크기는 0~120dB(A)이다. 또한, 대략적으로 사람이 겨우 들을 수 있는 소리는 0dB(A), 속삭이는 소리는 20dB(A), 거주 지역의 평균 소음은 30dB(A), 사람의 대화는 40dB(A), 사무실의 평균 소음은 50dB(A), 일반적인 벨소리는 60dB(A), 번잡한 가로의 잡음은 70dB(A), 지하철 혹은 자동차의 소리는 90dB(A), 및 젯트 비행기 소리는 130dB(A) 등의 크기로 측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소음의 기준 레벨 정보를 소정의 dB(A) 단위로 그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소음의 크기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기(10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를 dB(V)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수단(200)은 기준 레벨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기준 레벨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주변으로부터 측정된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크기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수단(200)은 상기 기준 레벨 정보와 더불어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더 유지한다. 식별번호(201)을 참조하면, 시간 정보로 20:00부터 다음날 07:00에 해당하는 야간 시간에는 소음 정보 및 진동 정보가 각각 50dB(A) 및 50dB(V)로 기록된다. 즉, 상기 통신 단말기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정보가 50dB(A) 이하이고, 이와 더불어 진동 정보가 50dB(V) 이하인 경우에 통신 단말기는 에티켓 모드로 전환한다. 만약, 통신 단말기가 사전에 에티켓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에티켓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일례로, 사용자가 저녁 22:00에 조용한 골목길을 걸어가는 경우,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50dB(A) 이하지만 걸어가는 진동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발생되는 진동은 50dB(V) 이상이므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에티켓 모드로 전환되지 않는다.
식별번호(202)를 참고하면, 시간 정보에 따라 07:00부터 20:00까지의 활동 시간에 상기 소음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는 다소 높게 기록된다. 상기 소음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 수단(20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정보로 상기 소음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가 3초 동안 측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착신 모드를 전환한다. 즉, 통신 단말기는 순간적인 노이즈 성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에 따라 착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 정보, 즉 3초간 상기 소음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전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준 레벨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와 더불어 현재의 위치 정보를 더 고려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한다. 식별번호(202)를 참고하면, 극장 또는 주택가 등의 위치가 '위치 #1'로 설정된 경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준 레벨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와 더불어 상기 '위치 #1'인가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모드의 전환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또는 기지국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상술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은 종래 주지된 관용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센싱 수단(120)은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측정한다.
센싱 수단(120)은 통신 단말기(10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측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수단(120)은 광량 정보를 더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의 센싱 수단(120)이 광량 정보를 더 측정하는 경우, 어두운 극장, 주택가 등에서 상기 소음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와 함께 상기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착신 모드 제어부(130)는 센싱 수단(120)을 통해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한다.
즉, 극장에서 연화를 관람하는 경우에 극장의 사운드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은 기준 레벨 정보에 포함된 소음 정보의 크기를 초과하더라도, 사용자가 자리에 앉아 있으므로,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초과하지 아니하므로, 착신 모드 제어부(130)는 통신 단말기(100)의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수단(110)은 상기 기준 레벨 정보와 더불어 상위 레벨 정보를 더 유지한다. 상기 상위 레벨 정보는 소정치의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착신 모드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가 상기 상위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측정된 상기 진동 정보가 상위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한다.
즉,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발생하는 벨소리를 확인하기 곤란한 정도의 큰 소음이 주변에서 발생하는 경우, 착신 모드 제어부(130)는 통신 단말기(100)의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확인하기 곤란한 정도의 큰 진동이 주변에 서 발생하는 경우, 착신 모드 제어부(130)는 통신 단말기(100)의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일례로, 콘서트 장에 위치한 사용자는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상당하므로, 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벨소리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착신 모드 제어부(130)는 센싱 수단(120)에서 측정된 주변의 진동 정보가 기준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라 하더라도, 센싱 수단(120)에서 측정된 주변의 소음 정보가 상기 상위 레벨 정보를 초과하므로 상기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메모리 관리부(150), 및 타이머 수단(16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 레벨 정보 또는 상기 상위 레벨 정보를 입력 받는다. 상기 기준 레벨 정보 및 상기 상위 기준 레벨 정보는 상기 착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통신 단말기(100)의 제조사가 사전에 설정 입력한 설정 값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설정 값으로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키패드 수단, 네비게이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메모리 관리부(150)는 상기 입력된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한다.
타이머 수단(160)은 센싱 수단(120)으로부터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측정하는 경우,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에, 착신 모드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타이머 수단(160)을 통해 카운트 된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착신 모드의 전환여부를 결정한 다. 이로 인해, 통신 단말기(100)는 타이머 수단(160)을 이용하여 순간적인 노이즈 성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에 따라 착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소음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전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라는 용어는 셀룰러폰은 물론,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 벨소리, 진동, 또는 램프를 통해 사용자로 특정 알람을 제공하는 일련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해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계(30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기준 레벨 테이블을 유지한다. 상기 기준 레벨 테이블은 도 1의 메모리 수단(110)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로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에 대한 기준 레벨 정보를 기록한다.
단계(302)에서,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센싱 수단을 통해 주변의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센싱 수단은 소음 센서 또는 진동 센서 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단계(303)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센싱 수단을 통해 측정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기준 레벨 테이블에 기록된 상기 기준 레벨 정보와 비교한다. 비교 후, 상기 통신 단말기는 단계(304)에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에티켓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착신 모드가 사전에 에티켓 모드로 설정된 경우 통신 단말기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에티켓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단계(304)의 판단 결과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상위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에티켓 모드에 따라 착신 호 등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착신 모드를 에티켓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즉, 단계(306)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한다.
단계(304)의 판단 결과, 단계(305) 또는 단계(306)을 수행한 통신 단말기는 단계(302)부터 동작을 반복한다. 즉, 상기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주기로 주변의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측정하여 착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상기 기준 레벨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기준 레벨 정보는 통신 단말기의 제조사로부터 입력된 소정치이고, 사용 자는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새로 입력 한다. 또한, 상기 새로 입력된 상기 기준 레벨 정보는 상기 기준 레벨 테이블에 갱신된다. 이로써, 기준 레벨 정보의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기준 레벨 정보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위 레벨 정보도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는 단계(303)에서, 센싱 수단을 통해 측정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상기 기준 레벨 정보와의 비교하는 경우, 상기 카운드되는 시간을 동시에 비교한다. 즉,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카운트 된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착신 모드의 전환여부를 결정한다. 일례로, 통신 단말기의 센싱 수단으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소음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상이고, 상기 상위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타이머 수단을 통해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소음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가 기준 레벨 정보 이상, 상기 상위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가 상기 카운트하는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는 노이즈 성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에 따라 착신 모드를 전환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은 소음 또는 진동이 미약한 공공 장소 등에서 통신 단말기를 에티켓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음 또는 진동이 설정 값 이상의 크기로 발생하여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벨소리를 확인하지 못 하는 경우,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소음 또는 진동이 미약한 공공 장소 등에서 에티켓 모드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주변의 소음 또는 진동이 설정 값 이상의 크기로 발생하여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벨소리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주변의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수집하여 착신 모드를 설정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에 대한 기준 레벨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에티켓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 모드 제어부 - 상기 에티켓 모드는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를 포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된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는 메모리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 모드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타이머 수단을 통해 카운트 된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착신 모드의 전환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위 레벨 정보를 더 유지하고,
    상기 착신 모드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가 상기 상위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측정된 상기 진동 정보가 상위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6. 주변의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수집하여 착신 모드를 설정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에 대한 기준 레벨 정보를 기록하는 기준 레벨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센싱 수단을 통해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에티켓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기준 레벨 정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 상기 에티켓 모드는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상기 기준 레벨 정보를 상기 기준 레벨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측정된 상기 소음 정보 또는 상기 진동 정보가 상기 카운트 된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착신 모드의 전환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전환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0116798A 2005-12-02 2005-12-02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070057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798A KR20070057391A (ko) 2005-12-02 2005-12-02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798A KR20070057391A (ko) 2005-12-02 2005-12-02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91A true KR20070057391A (ko) 2007-06-07

Family

ID=3835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798A KR20070057391A (ko) 2005-12-02 2005-12-02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73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99A (ko) * 2014-07-14 2016-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전자 장치들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170009866A (ko) * 2014-05-19 2017-01-25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소음-민감 경보 제시 기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866A (ko) * 2014-05-19 2017-01-25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소음-민감 경보 제시 기법
KR20160008399A (ko) * 2014-07-14 2016-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전자 장치들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604B2 (en) Adaptive notification of an incoming call in a mobile phone
US7869768B1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speaker volume of a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7149512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automatically adjust volume or control operation of an appliance
US20090312067A1 (en) System and Method of Escalating Call Alert Indications
CN101964844A (zh) 一种手持通话设备中自动调节放音的方法和装置
US7107071B1 (en) Integration of fixed wireless terminal with broadcast radio receiving devices
US2008007064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matic incoming call notification mode change
US20140302836A1 (en) Apparatus enabling automatically adjusting functions of cpmponents thereof
US20060105800A1 (en) Timer-based ringer control for mobile phones
KR20070057391A (ko) 소음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0726479B1 (ko) 소정의 소음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운드크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2003009216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변경방법
KR100390504B1 (ko) 휴대 정보 단말기 취침기능 제어 방법
JP3186755B1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話規制メッセージ挿入方法
JPH10242901A (ja) 移動通信機器の電源強制切断方法および移動通信機器
US10609215B2 (en) Text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651402B1 (ko) 착신 차단방법
KR20060095802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자동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모드전환방법
KR1005499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수신 거부 및 알람 설정 시스템및 방법
KR20010003364A (ko) 휴대용 통신 기기에서 자동 전원 온/오프 방법
JP3049930U (ja) 携帯電話の呼出し装置
KR1004696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매너모드 해제시 자동통화 방법
KR1005956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진동 벨 전환 방법
KR20000065793A (ko) 휴대폰(피시에스, 이동전화, 셀룰러 등)으로 전화가 걸려오면 시계에서도 걸려오는 전화를 인지할 수 있는 휴대폰 시계
JP3037086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