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327A -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327A
KR20070054327A KR1020050112211A KR20050112211A KR20070054327A KR 20070054327 A KR20070054327 A KR 20070054327A KR 1020050112211 A KR1020050112211 A KR 1020050112211A KR 20050112211 A KR20050112211 A KR 20050112211A KR 20070054327 A KR20070054327 A KR 2007005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spring
power piston
stub shaf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4327A/ko
Publication of KR2007005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62D5/083Rotary valves
    • B62D5/0832Rotary valves with elastic means other than a torsion bar, e.g.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 B60Y2410/1022Concentric shaf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동력 피스톤을 섹터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과 볼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동력 피스톤과 섹터의 기어 사이의 이빨의 마모로 인해서 발생하는 유격량 변화를 보상하여 유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력 피스톤을 섹터쪽으로 밀어주는데 있어서 볼을 이용함으로써 마모를 최소화시키면서 동력 피스톤을 밀어줄 수가 있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휠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트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의 내측에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션바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의 외측에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로터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와 로터를 감싸면서 상기한 토션바의 하단과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와, 상기한 워엄 샤프트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동력피스톤과, 상기한 동력 피스톤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와,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고 있는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섹터의 반대쪽의 바디의 내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의 끝에 볼을 추가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섹터, 파워스티어링, 유격량, 판스프링, 볼, 스터브 샤프트, 바디, 워엄

Description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Power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의 설치 단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스터브 샤프트 12 : 로터
13 : 워엄 샤프트 14 : 토션바
15, 16, 17 : 핀 19 : 동력 피스톤
20 : 섹터 21 : 바디
22 : 판스프링 23 : 안착부
24 : 볼
이 발명은 스티어링 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동력 피스톤을 섹터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과 볼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동력 피스톤과 섹터의 기어 사이의 이빨의 마모로 인해서 발생하는 유격량 변화를 보상하여 유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력 피스톤을 섹터쪽으로 밀어주는데 있어서 볼을 이용함으로써 마모를 최소화시키면서 동력 피스톤을 밀어줄 수가 있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조작기구, 기어기구, 링크기구의 3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를 운전자가 조작하는데 있어서, 유압을 이용하여 한층 더욱 수월하게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 이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는 유로를 변환시키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 장치가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트(11)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11)의 내측에 핀(15)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션바(14)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11)의 외측에 핀(16)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로터(12)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11)와 로터(12)를 감싸면서 상기한 토션바(14)의 하단과 핀(17)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13)와, 상기한 워엄 샤프트(13)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동력피스톤(19)과,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20)와,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고 있는 바디(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 이 이루어진다.
운전자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을 돌리면 스티어링휠의 회전력이 스터브 샤프트(11)로 전달되면서 스터브 샤프트(11)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터브 샤프트(11)가 회전되면, 스터브 샤프트(11)와 핀(15)으로 연결되어 있는 토오션바(14)가 회전력으로 인해 비틀어지게 되면서, 토오션바(14)에 하부에 핀(17)으로 고정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1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워엄 샤프트(13)가 회전되면, 상기한 워엄 샤프트(13)와 로터(12)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 경로(도시되지 않음)가 변경되면서, 오일펌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유가 이와 같이 변경된 유로경로를 통해 오일저장공간(18a, 18b)으로 공급되어 동력피스톤(19)을 밀어 올리거나 밀어 내리게 된다.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이 밀어 올려지거나 밀어 내려지면,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내측면과 워엄결합되어 있는 워엄샤프트(13)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오션바(14)를 거쳐 스터브 샤프트(11)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가볍게 돌아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이 밀어 올려지거나 밀어 내려지면서,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2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한 섹터(20)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유압의 힘에 의해 가볍게 회전이 되도록 한다.
한편, 운전자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을 돌리면 빡빡하거나 헐거움을 느낄 수가 있는데 이것은 동력 피스톤(19)과 섹터(20)의 사이의 기어이빨의 맞물림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즉,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이 빡빡하게 느껴지는 것은 동력 피스톤(19)과 섹터(20)의 기어 이빨이 빡빡하게 맞물려 있어서 유격량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지면의 상태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그대로 운전자에게 전달됨을 의미한다. 또한,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이 헐겁게 느껴지는 것은 동력 피스톤(19)과 섹터(20)의 기어 이빨이 느슨하게 물려 있어서 유격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을 돌릴때 빡빡하거나 헐거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동력 피스톤(19)과 섹터(20)의 기어 사이에 어느 정도의 적절한 유격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상기한 동력 피스톤(19)과 섹터(20)의 기어 이빨의 맞물림에 의해서 파워 스티어링 내부에서 발생한 힘이 바퀴에 전달되어 조향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운행을 계속하다 보면 양 기어 이빨의 마모로 인해서 유격량이 초기상태보다 점점 커지게 된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제작시에는 어저스팅 스크루(adjusting screw)를 풀어주거나 조여줌에 따라 이와 같은 유격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후에는 어저스팅 스크루의 조작이 불가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 운행에 따른 양 기어 이빨의 마모로 인해서 발생하는 유격량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 피스톤을 섹터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과 볼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동력 피스톤과 섹터의 기어 사이의 이빨의 마모로 인해서 발생하는 유격량 변화를 보상하여 유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 피스톤을 섹터쪽으로 밀어주는데 있어서 볼을 이용함으로써 마모를 최소화시키면서 동력 피스톤을 밀어줄 수가 있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스티어링휠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트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의 내측에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션바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의 외측에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로터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와 로터를 감싸면서 상기한 토션바의 하단과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와, 상기한 워엄 샤프트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동력피스톤과, 상기한 동력 피스톤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와,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고 있는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섹터의 반대쪽의 바디의 내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의 끝에 볼을 추가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스프링의 끝에 상기 볼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를 설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볼의 재질로서 스틸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의 설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의 구성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트(11)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11)의 내측에 핀(15)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션바(14)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11)의 외측에 핀(16)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로터(12)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11)와 로터(12)를 감싸면서 상 기한 토션바(14)의 하단과 핀(17)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13)와, 상기한 워엄 샤프트(13)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동력피스톤(19)과,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20)와,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고 있는 바디(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섹터(20)의 반대쪽의 바디(21)의 내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판스프링(22)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22)의 끝에 안착부(23)를 설치하고, 상기한 안착부(23)에 스틸 재질의 볼(24)을 추가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와 기능 및 역할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을 돌리면 스티어링휠의 회전력이 스터브 샤프트(11)로 전달되면서 스터브 샤프트(11)가 회전하게 되고, 스터브 샤프트(11)와 핀(15)으로 연결되어 있는 토오션바(14)가 회전력으로 인해 비틀어지게 되면서, 토오션바(14)에 하부에 핀(17)으로 고정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1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한 워엄 샤프트(13)와 로터(12)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 경로(도시되지 않음)가 변경되면서, 오일펌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유가 이와 같이 변경된 유로경로를 통해 오일저장공간(18a, 18b)으로 공급되어 동력피스톤(19)을 밀어 올리거나 밀어 내리게 되고,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내측면과 워엄결합되어 있는 워엄샤프트(13)가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 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오션바(14)를 거쳐 스터브 샤프트(11)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스티어링휠(도시되지 않음)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가볍게 돌아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이 밀어 올려지거나 밀어 내려지면서,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2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한 섹터(20)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유압의 힘에 의해 가볍게 회전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이용하여 운행을 계속하다 보면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20)의 양 기어 이빨의 마모로 인해서 유격량이 초기상태보다 점점 커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 상기 섹터(20)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있는 판스프링(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볼(24)이 동력 피스톤(19)을 섹터(20)쪽으로 밀어 붙이므로 유격량이 감소되어 항상 일정한 유격량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동력 피스톤(19)을 섹터(20)쪽으로 밀어 붙이는데 볼(24)을 사용함으로써 베어링과 같이 마찰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마모가 감소된다.
상기한 판스프링(22) 대신에 압축 스프링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동력 피스톤을 섹터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과 볼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동력 피스톤과 섹터의 기어 사이의 이빨의 마모로 인해서 발생하는 유격량 변화를 보상하여 유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력 피스톤을 섹터쪽으로 밀어주는데 있어서 볼을 이용함으 로써 마모를 최소화시키면서 동력 피스톤을 밀어줄 수가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스티어링휠과 연결되어 있는 스터브 샤프트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의 내측에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토션바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의 외측에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로터와, 상기한 스터브 샤프트와 로터를 감싸면서 상기한 토션바의 하단과 핀으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워엄 샤프트와, 상기한 워엄 샤프트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동력피스톤과, 상기한 동력 피스톤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섹터와,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고 있는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섹터의 반대쪽의 바디의 내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한 스프링에 볼을 추가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끝에 상기 볼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재질로서 스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 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KR1020050112211A 2005-11-23 2005-11-23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KR20070054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11A KR20070054327A (ko) 2005-11-23 2005-11-23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11A KR20070054327A (ko) 2005-11-23 2005-11-23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27A true KR20070054327A (ko) 2007-05-29

Family

ID=3827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211A KR20070054327A (ko) 2005-11-23 2005-11-23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43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7095A (zh) * 2015-10-20 2015-12-30 无锡格莱德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式转向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7095A (zh) * 2015-10-20 2015-12-30 无锡格莱德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式转向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3093B (zh) 电动式动力转向装置
DE60303081T2 (de) Handradstellglied
US20080034910A1 (en) Dynamic adjustment of a steering system yoke
WO2007117473A3 (en) Actuator with integrated drive mechanism
KR20070054327A (ko)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격량 유지장치
KR100646920B1 (ko)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누유방지 및 유격량 조정장치
KR101303460B1 (ko)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기어 치합 상태 유지장치
KR100613546B1 (ko) 유격량 감소를 위한 보완 장치를 가지는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 장치
KR20090116506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래틀 소음 방지장치
KR100358999B1 (ko) 차량용 조향 안정성 향상장치
KR100599699B1 (ko) 액티브 서스펜션의 제어레버
CN202176646U (zh) 一种汽车制动自动调整臂
KR200296446Y1 (ko) 차량용 조향 안정성 향상장치
CN110712675A (zh) 一种转向器的定位导向机构
CN219029530U (zh) 摩擦力矩补偿机构、转向管柱总成、线控转向系统及车辆
KR100610094B1 (ko) 파워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진동 감소구조
KR200340661Y1 (ko) 릴리프밸브의 플러그 내장형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0822571B1 (ko) 스트로크 가변형 파워스티어링 장치
KR20060134353A (ko) 차량용 유압펌프의 유량조절 밸브
KR20090004776U (ko) 파킹 및 서비스 겸용 브레이크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KR200439490Y1 (ko) 오일펌프용 제어밸브
KR20070028673A (ko)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랙 서포트 구조
KR100452611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KR20080022435A (ko)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노이즈 방지 구조
KR100795042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