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578A -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578A
KR20070052578A KR1020050110371A KR20050110371A KR20070052578A KR 20070052578 A KR20070052578 A KR 20070052578A KR 1020050110371 A KR1020050110371 A KR 1020050110371A KR 20050110371 A KR20050110371 A KR 20050110371A KR 20070052578 A KR20070052578 A KR 20070052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tunnel
steel
pipe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024B1 (ko
Inventor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에스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에스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에스이앤씨
Priority to KR102005011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0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3Arrangement of measur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use during driving of tunnels, e.g. for guid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굴착부의 토사를 미리 파내지 않고 먼저 지중에 터널형성용 구조물을 설치하여 사전에 충분히 응력에 견디도록 한 다음 구조물 내측을 굴착하여 지하터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본인의 선출원발명인 특허출원 제2002-36953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74812호 그리고 특허출원 제2004-10300호의 기술내용을 좀 더 개량하여 상기 터널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강관의 내측면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은 물론 강관들의 측면에 거더설치공을 형성하고 이에 거더를 더 추가설치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더 튼튼하고 견고하며 방수까지도 완벽한 터널형성용 구조물 구조를 빠른시간내에 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터널굴착후 굴착부 내측으로 노출되는 강관 및 방수철판에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 내측으로 거푸집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을 마감처리 함으로써 강관 및 방수철판의 부식이 방지되며, 미관또한 수려한 터널형성용 구조물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강관(10)압입전 터널시공예정면을 따라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하고 강관(10)선단에 토류방지판투입구(21)가 형성되고 압입방향조정장치(30)가 형성된 선도관(20)을 결합하여 강관(10)압입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하는 강관압입 위치측량 및 선도관설치공정과;
강관(10)을 추진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후 유압 잭(JACK) 및 추진보조관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압입하며 매 1M마다 위치측량을 실시하고 선도관(20)에 형성된 압입방향조정장치(30)를 이용하여 최소의 오차범위에 시공되도록 하는 강관압입공정과;
강관압입공정에서 강관(10)을 압입할 시 선도관(20)에 형성된 토류방지판투입구(21)를 통해 주변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는 토류방지판설치공정과;
상기 강관(10)압입 및 토류방지판(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관(10)에 설치되는 그라우팅주입밸브(미도시)를 통해 토류방지판(40)주변에 그라우트재로 그라우팅하여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함으로써 강관(10)하부 굴착시 토사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차수역활을 하도록 하는 갱외 그라우팅공정과;
상기 갱외 그라우팅(70) 및 강관(10)압입이 완료되면 강관(10)들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연결설치하는 응력재설치공정과;
상기 응력재설치공정이 완료되면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10)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갱외작업공간(610)을 확보한다음,
일측 강관(10)에 설치된 거더설치공(600)과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girder)(700)를 연결설치하되, 상기 갱외작업공 간(610)에서 강관(10)들끼리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하여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하는 강관연결용접공정과;
상기 방수철판(120)으로 강관(10)들을 모두 연결하고 나면 강관(10) 및 거더(700)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강관내 콘크리트타설공정과;
상기 강관(10)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400)가 모두 양생되면 강관(10)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하는 터널면굴착공정과;
상기 굴착된 터널부(500) 하측에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900)을 형성하는 마감공정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Construc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the structure for underground tunnel formation}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선도관과 파이프의 구성도.
도2a,도2b는 본 발명에 의해 구축된 터널구조물의 일 구성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상태를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 상태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5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수철판의 일 구성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강관 12:응력재삽입공
16:강관연결파이프 20:선도관
21:토류 방지판 투입구 30:압입 방향 조정장치
40:토류 방지판 70:그라우팅부
120:방수철판 121:절곡부
300:강관연결용 응력재 400:콘크리트
500:터널부 600:거더설치공
610:갱외작업공간 700:거더
800:터널바닥면 900:터널벽면
본 발명은 터널굴착부의 토사를 미리 파내지 않고 먼저 지중에 터널형성용 구조물을 설치하여 사전에 충분히 응력에 견디도록 한다음 구조물 내측을 굴착하여 지하터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본인의 선출원발명인 특허출원 제2002-36953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74812호 그리고 특허출원 제2004-10300호의 기술내용을 좀 더 개량하여 상기 터널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강관의 내측면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은 물론 강관들의 측면에 거더설치공을 형성하고 이에 거더를 더 추가설치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더 튼튼하고 견고하며 방수까지도 완벽한 터널형성용 구조물 구조를 빠른시간내에 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터널굴착후 굴착부 내측으로 노출되는 강관 및 방수철판에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 내측으로 거푸집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을 마감처리 함으로써 강관 및 방수철판의 부식이 방지되며, 미관또한 수려한 터널형성용 구조물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하여 본출원인 안출한 것으로 특허출원 제2002-36953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74812호 그리고 특허출원 제 2004-10300호가 있다.
이와 같은 본인의 선출원 발명 및 고안들은 모두 터널굴착부의 토사를 미리 파내지 않고 먼저 지중에 터널형성용 구조물을 설치하여 사전에 충분히 응력에 견디도록 한다음 구조물 내측을 굴착하여 지하터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지하터널 구조물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면서도 시공이 정확하고, 구조물의 설치시는 물론 설치후에도 그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여 터널굴착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결국 작업상 위험성을 완전배제하여 안심하고 터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적은 인력과 장비 및 자재를 이용하여 튼튼한 터널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인의 선출원 및 선등록 고안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에 특수한 공정 및 구조를 더 추가하여 상기 터널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강관의 내측면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은 물론 강관들의 측면에 거더설치공을 형성하고 이에 거더를 더 설치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더 튼튼하고 견고하며 방수까지도 완벽한 터널형성용 구조물 구조를 빠른시간내에 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터널굴착후 굴착부 내측으로 노출되는 강관 및 방수철판에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 내측으로 거푸집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을 마감처리 함으로써 강관 및 방수철판의 부식이 방지되며, 미관또한 수려한 터널형성용 구조물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첨부도면 도1 내지 도2b 및 도3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은 강관(10)압입전 터널시공예정면을 따라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하고 도1에서와 같이 강관(10)선단에 토류방지판투입구(21)가 형성되고 압입방향조정장치(30)가 형성된 선도관(20)을 결합하여 강관(10)압입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하는 강관압입 위치측량 및 선도관 설치공정과;
강관(10)을 추진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후 유압 잭(JACK) 및 추진보조관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압입하며 매 1M마다 위치측량을 실시하고 선도관(20)에 형성된 압입방향조정장치(30)를 이용하여 최소의 오차범위에 시공되도록 하는 강관압입공정과;
도2a 내지 도2b에서와 같이 강관압입공정에서 강관(10)을 압입할 시 선도관(20)에 형성된 토류방지판투입구(21)를 통해 주변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는 토류방지판설치공정과;
상기 강관(10)압입 및 토류방지판(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관(10)에 설치되는 그라우팅주입밸브(미도시)를 통해 토류방지판(40)주변에 그라우트재로 그라우팅하여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함으로써 강관(10)하부 굴착시 토사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차수역활을 하도록 하는 갱외 그라우팅공정과;
상기 갱외 그라우팅(70) 및 강관(10)압입이 완료되면 도3의 (a)에서와 같이 강관(10)들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연결설치하는 응력재설치공정과;
상기 응력재설치공정이 완료되면 도3의 (b)에서와 같이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10)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갱외작업공간(610)을 확보한다음,
도3의 (c)와 (d)에서와 같이 일측 강관(10)에 설치된 거더설치공(600)과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girder)(700)를 연결설치하되, 상기 갱외작업공간(610)에서 강관(10)들끼리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하여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하는 강관연결용접공정과;
도3의 (e)에서와 같이 상기 방수철판(120)으로 강관(10)들을 모두 연결하고 나면 강관(10) 및 거더(700)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강관내 콘크리트타설공정과;
상기 강관(10)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400)가 모두 양생되면 도2a 및 도2b에서와 같이 강관(10)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하는 터널면굴착공정과;
상기 굴착된 터널부(500) 하측에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900)을 형성하는 마감공정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실시예2 (첨부도면 도1 내지 도2b 및 도4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2는 강관(10)압입전 터널시공예정면을 따라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하고 도1에서와 같이 강관(10)선단에 토류방지판투입구(21)가 형성되고 압입방향조정장치(30)가 형성된 선도관(20)을 결합하여 강관(10)압입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하는 강관압입 위치측량 및 선도관설치공정과;
강관(10)을 추진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후 유압 잭(JACK) 및 추진보조관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압입하며 매 1M마다 위치측량을 실시하고 선도관(20)에 형성된 압입방향조정장치(30)를 이용하여 최소의 오차범위에 시공되도록 하는 강관압입공정과;
도2a 내지 도2b에서와 같이 강관압입공정에서 강관(10)을 압입할 시 선도관(20)에 형성된 토류방지판투입구(21)를 통해 주변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는 토류방지판설치공정과;
상기 강관(10)압입 및 토류방지판(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관(10)에 설치되는 그라우팅주입밸브(미도시)를 통해 토류방지판(40)주변에 그라우트재로 그라우팅하여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함으로써 강관(10)하부 굴착시 토사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차수역활을 하도록 하는 갱외 그라우팅공정과;
상기 갱외 그라우팅 및 강관(10)압입이 완료되면 도4의 (a)에서와 같이 강관(10)들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응력재설치공정과,
상기 응력재설치공정이 완료되면 도4의 (b)에서와 같이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10)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700)를 용접연결하는 거더설치공정과,
상기 거더설치공정이 끝나면 도4의 (c)에서와 같이 상기 강관(10)들의 측면을 상재토압에 견딜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남기며 직사각형 형태로 길게 절개하고 절개된 절단면에서 방수철판(120)을 절단된 강관(10)과 타측 강관(10)을 용접연결한다음 같은 방법으로 타측 강관(10)도 절개하여 절개된 절단면에서 강관(10)과 강관(10)들을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하여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하는 강관연결용접공정과;
상기 방수철판(120)으로 강관(10)들을 모두 연결하고 나면 강관(10) 및 거더(700)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한다음 도4의 (d)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강관내 콘크리트타설공정과;
상기 강관(10)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400)가 모두 양생되면 도2a 및 도2b에서와 같이 강관(10)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하는 터널면굴착공정과;
상기 굴착된 터널부(500) 하측에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900)을 형성하는 마감공정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실시예3((첨부도면 도1 내지 도2b 및 도5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3은 강관(10)압입전 터널시공예정면을 따라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하고 도1에서와 같이 강관(10)선단에 토류방지판투입구(21)가 형성되고 압입방향조정장치(30)가 형성된 선도관(20)을 결합하여 강관(10)압입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하는 강관압입 위치측량 및 선도관설치공정과;
강관(10)을 추진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후 유압 잭(JACK) 및 추진보조관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압입하며 매 1M마다 위치측량을 실시하고 선도관(20)에 형성된 압입방향조정장치(30)를 이용하여 최소의 오차범위에 시공되도록 하는 강관압입공정과;
도2a 및 도2b에서와 같이 강관압입공정에서 강관(10)을 압입할 시 선도관(20)에 형성된 토류방지판투입구(21)를 통해 주변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는 토류방지판설치공정과;
상기 강관(10)압입 및 토류방지판(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관(10)에 설치되는 그라우팅주입밸브(미도시)를 통해 토류방지판(40)주변에 그라우트재로 그라우팅하여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함으로서 강관(10)하부 굴착시 토사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차수역활을 하도록 하는 갱외 그라우팅공정과;
상기 갱외 그라우팅(70) 및 강관(10)압입이 완료되면 도5의 (a)에서와 같이 강관(10)들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응력재설치공정과;
상기 응력재설치공정이 완료되면 도5의 (b)에서와 같이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10)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700)를 용접연결하는 거더설치공정과;
상기 거더설치공정이 끝나면 강관 및 거더(700) 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한다음 도5의 (c)에서와 같이 콘크리트(400)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강관내 콘크리트타설공정과;
상기 강관(10)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400)가 모두 양생되면 도5의 (d)에서와 같이 강관(10)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하는 터널면굴착공정과;
상기 터널부(500)가 굴착되면 터널부(500)에서 강관(10)들끼리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함으로서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하는 강관(10)연결공정과;
도2a 및 도2b에서와 같이 상기 굴착된 터널부(500) 하측에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900)을 형성하는 마감공정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1,2,3에서 방수철판(120)으로 강관(10)들끼리 모두 용접연결하는 강관연결공정시 사용되는 방수철판(120)은, 상,하 복수층으로 용접연결함으로써 방수가 더욱 더 완벽하도록 하였다.
그러는 본 발명의 실시예1,2,3에서 방수철판(120)으로 강관(10)들끼리 모두 용접연결하는 강관연결공정시 사용되는 방수철판(120)은,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단에 절곡부(121)를 형성하여 강관(10)들끼리의 용접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절곡부(121)를 펴거나 더 접어서 용접간격 폭을 맞춘다음 용접할 수 있으므로 방수철판(120)의 용접이 더욱 더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터널굴착부의 토사를 미리 파내지 않고 먼저 지중에 터널형성용 구조물을 설치하여 사전에 충분히 응력에 견디도록 한다음 구조물 내측을 굴착하여 지하터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본인이 특허권자로 있는 특허등록
제217845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74812호 그리고 특허출원 제2004-10300호의
기술내용을 좀 더 개량하여,
지하터널 구조물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면서도 시공이 정확하고, 경제적으로 설치 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치시는 물론 설치후에도 그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여 터널굴착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등 결과적으로 작업상 위험성을 완전배제하여 안심하고 터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기본이고,
상기 터널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강관의 내측면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은 물론 강관들의 측면에 거더설치공을 형성하고 이에 거더를 더 설치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더 튼튼하고 견고하며 방수까지도 완벽한 터널형성용 구조물 구조를 빠른시간내에 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터널굴착후 굴착부 내측으로 노출되는 강관 및 방수철판에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 내측으로 거푸집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 터널벽면을 마감처리 함으로써 강관 및 방수철판의 부식이 방지되며, 미관또한 수려하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복합적으로 창출되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10)

  1. 강관(10)압입전 터널시공예정면을 따라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하고 강관(10)선단에 토류방지판투입구(21)가 형성되고 압입방향조정장치(30)가 형성된 선도관(20)을 결합하여 강관(10)압입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하는 강관압입 위치측량 및 선도관설치공정과;
    강관(10)을 추진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후 유압 잭(JACK) 및 추진보조관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압입하며 매 1M마다 위치측량을 실시하고 선도관(20)에 형성된 압입방향조정장치(30)를 이용하여 최소의 오차범위에 시공되도록 하는 강관압입공정과;
    강관압입공정에서 강관(10)을 압입할 시 선도관(20)에 형성된 토류방지판투입구(21)를 통해 주변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는 토류방지판설치공정과;
    상기 강관(10)압입 및 토류방지판(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관(10)에 설치되는 그라우팅주입밸브(미도시)를 통해 토류방지판(40)주변에 그라우트재로 그라우팅하여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함으로써 강관(10)하부 굴착시 토사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차수역활을 하도록 하는 갱외 그라우팅공정과;
    상기 갱외 그라우팅(70) 및 강관(10)압입이 완료되면 강관(10)들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하여 이탈하 지 않도록 연결설치하는 응력재설치공정과;
    상기 응력재설치공정이 완료되면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10)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갱외작업공간(610)을 확보한다음,
    일측 강관(10)에 설치된 거더설치공(600)과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girder)(700)를 연결설치하되, 상기 갱외작업공간(610)에서 강관(10)들끼리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하여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하는 강관연결용접공정과;
    상기 방수철판(120)으로 강관(10)들을 모두 연결하고 나면 강관(10) 및 거더(700)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강관내 콘크리트타설공정과;
    상기 강관(10)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400)가 모두 양생되면 강관(10)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하는 터널면굴착공정과;
    상기 굴착된 터널부(500) 하측에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900)을 형성하는 마감공정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2. 강관(10)압입전 터널시공예정면을 따라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하고 강관(10)선단에 토류방지판투입구(21)가 형성되고 압입방향조정장치(30)가 형성된 선도관(20)을 결합하여 강관(10)압입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하는 강관압입 위치측량 및 선도관설치공정과;
    강관(10)을 추진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후 유압 잭(JACK) 및 추진보조관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압입하며 매 1M마다 위치측량을 실시하고 선도관(20)에 형성된 압입방향조정장치(30)를 이용하여 최소의 오차범위에 시공되도록 하는 강관압입공정과;
    강관압입공정에서 강관(10)을 압입할 시 선도관(20)에 형성된 토류방지판투입구(21)를 통해 주변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는 토류방지판설치공정과;
    상기 강관(10)압입 및 토류방지판(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관(10)에 설치되는 그라우팅주입밸브(미도시)를 통해 토류방지판(40)주변에 그라우트재로 그라우팅하여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함으로써 강관(10)하부 굴착시 토사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차수역활을 하도록 하는 갱외 그라우팅공정과;
    상기 갱외 그라우팅 및 강관(10)압입이 완료되면 강관(10)들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응력재설치공정과;
    상기 응력재설치공정이 완료되면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10)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700)를 용접연결하는 거더설치공정과;
    상기 거더설치공정이 끝나면 상기 강관(10)들의 측면을 상재토압에 견딜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남기며 직사각형 형태로 길게 절개하고 절개된 절단면에서 방수철판(120)을 절단된 강관(10)과 타측 강관(10)을 용접연결한다음, 같은 방법으로 타측 강관(10)도 절개하여 절개된 절단면에서 강관(10)과 강관(10)들을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하여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하는 강관연결용접공정과;
    상기 방수철판(120)으로 강관(10)을 모두 연결하고 나면 강관(10) 및 거더(700)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강관내 콘크리트타설공정과;
    상기 강관(10)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400)가 모두 양생되면 강관(10)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하는 터널면굴착공정과;
    상기 굴착된 터널부(500) 하측에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900)을 형성하는 마감공정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3. 강관(10)압입전 터널시공예정면을 따라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하고 강관(10)선단에 토류방지판투입구(21)가 형성되고 압입방향조정장치(30)가 형성된 선도관(20)을 결합하여 강관(10)압입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하는 강관압입 위치측량 및 선도관설치공정과;
    강관(10)을 추진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후 유압 잭(JACK) 및 추진보조관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압입하며 매 1M마다 위치측량을 실시하고 선도관(20)에 형성된 압입방향조정장치(30)를 이용하여 최소의 오차범위에 시공되도록 하는 강관압입공정과;
    강관압입공정에서 강관(10)을 압입할 시 선도관(20)에 형성된 토류방지판투입구(21)를 통해 주변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는 토류방지판설치공정과;
    상기 강관(10)압입 및 토류방지판(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관(10)에 설치되는 그라우팅주입밸브(미도시)를 통해 토류방지판(40)주변에 그라우트재로 그라우팅하여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함으로서 강관(10)하부 굴착시 토사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차수역활을 하도록 하는 갱외 그라우팅공정과;
    상기 갱외 그라우팅(70) 및 강관(10)압입이 완료되면 강관(10)들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응력재설치공정과;
    상기 응력재설치공정이 완료되면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10)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700)를 용접연결하는 거더설치공정과;
    상기 거더설치공정이 끝나면 강관 및 거더(700) 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한다음 콘크리트(400)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강관내 콘크리트타설공정과;
    상기 강관(10)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400)가 모두 양생되면 강관(10)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하는 터널면굴착공정과;
    상기 터널부(500)가 굴착되면 터널부(500)에서 강관(10)들끼리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함으로서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하는 강관(10)연결공정과;
    상기 굴착된 터널부(500) 하측에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벽면(900)을 형성하는 마감공정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철판(120)으로 강관(10)들끼리 모두 용접연결하는 강관연결공정시 방수철판(120)을 상,하 복수층으로 용접연결하여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10)들끼리 모두 용접연결하는 강관연결공정시 사용되는 방수철판(120)은,
    양측단에 절곡부(121)를 형성하여 강관(10)들끼리의 용접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 이에 대응되도록 절곡부(121)를 펴거나 더 접어서 용접간격 폭을 맞춘다음 용접연결하도록 이루어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6. 직경이 큰 소정갯수의 대구경 강관(10)을 터널공사 시공면에 시공면의 형태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을 이루도록 강제압입하되, 상기 강관(10)들 사이에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고 그라우팅함으로서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하고,
    상기 강관(10)들의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설치하며,
    상기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갱외작업공간을 확보한다음 일측 강관(10)에 설치된 거더설치공(600)과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700)를 연결설치하되 이 갱외작업공간에서 강관(10)들끼리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하여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한다음,
    상기 강관(10) 및 거더(700) 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킨 다음 강관(10) 내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한 후,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된 터널벽면(900)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구조.
  7. 직경이 큰 소정갯수의 대구경 강관(10)을 터널공사 시공면에 시공면의 형태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을 이루도록 강제압입하되, 상기 강관(10)들 사이에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고 그라우팅함으로서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하고,
    상기 강관(10)들의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설치하며,
    상기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700)를 연결설치한다음,
    상기 강관(10)들의 측면을 먼저 소정간격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길게 절개하고 절개된 절단면에서 방수철판(120)을 타측 강관(10)과 용접연결하여 강관(10)들 을 연결한다음 같은 방법으로 타측 강관(10)도 절개하여 절개된 절단면에서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하여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한 후,
    상기 강관(10) 및 거더(700) 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킨 다음 강관(10) 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한 후,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된 터널벽면(900)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구조.
  8. 직경이 큰 소정갯수의 대구경 강관(10)을 터널공사 시공면에 시공면의 형태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을 이루도록 강제압입하되, 상기 강관(10)들 사이에 흙을 파낸다음 토류방지판(40)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연결하고 그라우팅함으로서 그라우팅부(70)를 형성하고,
    상기 강관(10)들의 측면을 소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응력재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응력재삽입공에 강관연결파이프(16)나 철근, 환봉 빔(beam)(미도시)으로된 응력재(300)를 삽입설치하며,
    상기 응력재삽입공(12)사이에 위치토록 강관내부에서 소정크기로 절개하여 거더설치공(600)을 형성하고,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흙을 파내서 이와 인접한 타측 강관(10)에 형성된 거더설치공(600)을 통해 거더(700)를 용접연결한다음,
    상기 강관(10) 및 거더(700) 내에 철근배근 또는 응력재를 설치하고 콘크리 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킨 다음 강관 외측의 터널부(500)를 굴착한 후,
    상기 터널부(500)에서 강관(10)들끼리 방수철판(120)으로 모두 용접연결하여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한다음,
    터널바닥면(800)을 형성하고 강관(10) 및 방수철판(120)의 부식방지 및 미관을 위해 숏크리트 또는 뿜칠재를 타설하거나 터널부(500) 내측으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된 터널벽면(900)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구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700)와 강관(10)들끼리 모두 용접연결하는 방수철판(120)은 상,하 복수층으로 용접설치되어 이루어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700)와 강관(10)들끼리 모두 용접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방수철판(120)은,
    양측단에 절곡부(121)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강관(10)들끼리의 용접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 절곡부(121)를 펴거나 더 접어서 용접간격 폭을 맞춘다음 용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구조.
KR1020050110371A 2005-11-17 2005-11-17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KR10072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371A KR100723024B1 (ko) 2005-11-17 2005-11-17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371A KR100723024B1 (ko) 2005-11-17 2005-11-17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690U Division KR200407437Y1 (ko) 2005-11-18 2005-11-18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78A true KR20070052578A (ko) 2007-05-22
KR100723024B1 KR100723024B1 (ko) 2007-05-31

Family

ID=3827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371A KR100723024B1 (ko) 2005-11-17 2005-11-17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0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6741A (zh) * 2013-05-28 2013-09-04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厦门分公司 水平钢管咬合止水管幕及其施工方法
CN103557009A (zh) * 2013-11-15 2014-02-05 山东科技大学 一种用于防止巷道底鼓的排桩支护方法
CN106089243A (zh) * 2016-06-12 2016-11-09 东北大学 一种基于钢管混凝土连接的管幕支护结构
CN109162731A (zh) * 2018-08-16 2019-01-08 山东科技大学 铁矿区深部开采突水注浆治理方法
CN110735653A (zh) * 2019-11-18 2020-01-31 太原理工大学 一种针对火成岩富水断层的深孔后退式注浆堵水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640B1 (ko) 2009-03-06 2011-02-09 주식회사 엔티에스이앤씨 지하터널용 구조물 설치방법
KR101018282B1 (ko) 2009-03-27 2011-03-04 주식회사 엔티에스이앤씨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712B1 (ko) * 2001-11-10 2004-08-02 주식회사 한국엔티에스이앤씨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6741A (zh) * 2013-05-28 2013-09-04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厦门分公司 水平钢管咬合止水管幕及其施工方法
CN103276741B (zh) * 2013-05-28 2015-08-26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水平钢管咬合止水管幕及其施工方法
CN103557009A (zh) * 2013-11-15 2014-02-05 山东科技大学 一种用于防止巷道底鼓的排桩支护方法
CN106089243A (zh) * 2016-06-12 2016-11-09 东北大学 一种基于钢管混凝土连接的管幕支护结构
CN109162731A (zh) * 2018-08-16 2019-01-08 山东科技大学 铁矿区深部开采突水注浆治理方法
CN110735653A (zh) * 2019-11-18 2020-01-31 太原理工大学 一种针对火成岩富水断层的深孔后退式注浆堵水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024B1 (ko)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024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KR101018282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KR100910576B1 (ko) 매입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지하외벽의 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1582173B1 (ko)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KR100895881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KR101012640B1 (ko) 지하터널용 구조물 설치방법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JP2007205161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07437Y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 구조
KR102079570B1 (ko)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KR100546998B1 (ko) 직접 굴착식 터널 갱구 가시설 시공 방법
KR101974826B1 (ko) 인터로킹 시컨트 프리캐스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흙지지 벽체의 시공방법
KR20080034424A (ko) 압입강관 거더부 시공 및 그 구조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 방법
KR101234270B1 (ko) 강관과 유공관을 이용한 비개착 굴착공법
KR100553979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KR100551685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0521345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JP2006057312A (ja) 杭体とプレキャスト版との接合方法
KR100429283B1 (ko) Pc부재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1069706B1 (ko) 암반 경계층의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KR100401330B1 (ko) 건축용 흙막이 공법
KR200351426Y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구조
KR102479045B1 (ko) 지중 비개착 터널굴착용 구조물 설치를 위한 상부토압지지철판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1524302B1 (ko)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