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570B1 -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570B1
KR102079570B1 KR1020190093996A KR20190093996A KR102079570B1 KR 102079570 B1 KR102079570 B1 KR 102079570B1 KR 1020190093996 A KR1020190093996 A KR 1020190093996A KR 20190093996 A KR20190093996 A KR 20190093996A KR 102079570 B1 KR102079570 B1 KR 10207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taining wall
hole
steel wire
panel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깎기비탈면의 천공홀 내부 공간이 주름관에 의해 몰탈이 충진되는 내측 공간부와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외측 공간부로 구분되어 그라우트재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되어 시공원가 절감을 도모하고, 그라우트재의 그라우팅효율 향상으로 인장력,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어 깎기비탈면 지반이 패널과의 조립체에 의해 견고하게 보강되면서 비탈면 활동변형에 보다 크게 저항하여 전단변형 억제효과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복합강선(10), 패널식 옹벽(20), 부직포(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Soil nailing slope reinforcement system to panel}
본 발명은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단강도가 낮거나 붕괴된 지반, 절리 및 균열이 발달하고 풍화가 심한 파쇄대 지반, 풍화에 약한 암반 구간 등 전단강도 증가가 필요한 지반 등의 깎기비탈면을 보강시 고가의 그라우트 사용량을 현저히 줄여 시공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비탈면을 인위적으로 깎기하여 새로운 법면을 조성하면 대상지반의 응력조건이 변동함에 따라 비탈면의 불안정을 가중하게 된다. 퇴적암이 기반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층리 또는 엽리등의 불연속면이 발달한 지반을 깎기하여 대기중에 노출시키거나 우수등에 의한 침수 영향을 받도록 방치할 경우, 법면의 강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비탈면이 붕괴 될 가능성이 상승하게 된다. 국내의 지반은 지형 및 지질조건에 따라 공극 및 균열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사계절의 온도변화로 인하여 우기 또는 동절기에 다양한 바탕면 붕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비탈면활동이 내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균열과 절리를 보강하지 않을 경우 장기적 안정성은 지속적으로 저하된다.
지반에 대한 보강은 양적인 증가뿐만 아니라 그 적용범위도 매우 광범위해져 구조물의 보강, 옹벽, Cofferdam, 콘크리트 댐, 고층건물의 기초, TOWER, 비탈면안정, 개착식 지반굴착, 수직구, 터널, 지하공동, 등 많은 곳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본 신기술의 적용도 인장, 활동, 전도, 동하중 등 지반의 Prestressing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지반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 앵커공법, 록볼트, 복합 쏘일네일링등의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낮은 압력의 그라우팅, 보강과 시공상의 복잡함, 과다응력, 변형, 변위의 영향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단점의 비탈면 보강을 위하여 적용되는 공법은 앵커에서 복합 쏘일네일링으로 진화하여 왔으나 문제점은 계속 발생되는 상황이다.
기존의 앵커기술은 앵커자유부의 구속으로 인해 앵커 두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토류벽의 주동토압웨지 밖으로 전달시키지 못하며 벽체의 과다한 변형이 발생되어 배면의 균열 및 침하를 초래하였다. 또한, 시공 공정이 복잡하고 인력 및 장비, 소요면적의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 공개번호 10-2006-0116388호에서, 터널, 비탈면 절개지 및 지하굴착 등의 수평방향이나 상/하 경사방향으로 다수의 천공홀을 천공하는 단계와, 각 천공홀의 내부로 복합 쏘일네일링 장치를 설치시키는 단계와, 복합 쏘일네일링 장치에 연결된 제 2호스를 통해 팩커체와 슈의 사이에 해당하는 천공홀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와, 복합 쏘일네일링 장치에 연결된 제 1호스를 통해 팩커체 물을 주입하는 단계와,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와, 팩커체 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천공홀의 입구까지 진행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이 선 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인 비탈면 복강에 적용되는 개량된 공법의 하나인 복합 쏘일네일링은 비탈면보강 및 굴착면에 대한 원위치 지반보강공법으로 인장력,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싱 없이 밀집한 간격으로 지반에 삽입한 후에 숏크리트등으로 전면판을 설치하여 원지반의 전체적 강도를 유지하고 발생변위, 이완작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나 보강재료가 실제적 이형철근에 의한 전단력, 전단저항이 취약하고, 내부 공극이 그라우트재에 의해 충전 마감되는 구조이므로 고가의 그라우트재 사용량 증가로 시공원가가 크게 상승되는 폐단이 따랐다.
한편, 종래의 복합 쏘일네일링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형철근 대신 강관을 이용한 강관 네일링 공법이 개발되게 되었다. 이러한 공법은 천공홀과 삽입된 강관 사이를 급결시멘트로 코킹한 다음 강관 측면 주입구를 통해 지반 내 간극이나 불연속면등에 그라우트를 가압하여 주입함으로 직접적인 보강효과와 원지반의 전단강도를 증가시켜 비탈면을 보강하는 기술이지만, 강관네일링 공법 또한 패널 등의 마감재 고정력이 강관에 의존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비탈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붕괴사례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깎기비탈면의 천공홀 내부 공간이 주름관에 의해 몰탈이 충진되는 내측 공간부와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외측 공간부로 구분되어 그라우트재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되어 시공원가 절감을 도모하고, 그라우트재의 그라우팅효율 향상으로 인장력,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어 깎기비탈면 지반이 패널과의 조립체에 의해 견고하게 보강되면서 비탈면 활동변형에 더욱 크게 저항하여 전단변형 억제효과가 향상되는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깎기비탈면(1)의 천공홀(2)에 삽입 설치되어 그라우트 및 몰탈 이층 구조에 의해 고정되고, 단부에 체결수단(11)이 구비되는 복합강선(10); 상기 깎기비탈면(1)을 마감하도록 현장타설되거나,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판면에 형성되는 통공(22)을 통하여 복합강선(10)의 체결수단(11)에 연결되는 패널식 옹벽(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합강선(10)은, 천공홀(2) 내부로 삽입되고, 단부에 체결수단(11)이 구비되는 강선(12)과, 강선(12)을 수용하도록 설치되고, 음, 양각 환형띠(13a)(13b)가 반복 형성되는 주름관(13)과, 주름관(13) 내주면과 강선(12) 외주면 사이에 몰탈이 충진되는 내측 공간부(14)와, 내측 공간부(14) 입구를 통하여 몰탈을 주입하는 제 1주입수단(15)과, 주름관(13) 외주면과 천공홀(2) 사이에 형성되어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외측 공간부(16)와, 외측 공간부(16) 입구를 통하여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제 2주입수단(17)과, 주름관(13) 외주면에 설치되어, 주름관(13)이 천공홀(2) 중앙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간격유지링(18)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공간부(14)에 성형되는 몰탈과 외측 공간부(16)에 성형되는 그라우트재가 주름관(13)의 음, 양각 환형띠(13a)(13b) 형상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관(13)은 천공홀(2) 내부로 삽입되는 강선(12) 길이와 동일한 사이즈로 절단되고, 내측 단부에 캡(13a)이 설치되어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강선(10)과 패널식 옹벽(20)은 와이어(40)에 의해 연결되고, 와이어(40)는 일단이 복합강선(10) 체결수단(11)에 결속되고, 다른 일단은 패널식 옹벽(20)의 통공(22)에 삽입되어 장력조절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식 옹벽(20)의 상측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가 형성되고, 하측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와 맞물려 조립되는 양각돌기(26)가 형성되며, 상기 음각홈부(24)에서 통공(22)으로 관통되는 록킹홀(28)이 형성되며, 록킹홀(28)에 삽입되어 체결수단(11) 외주면을 가압하는 록커(29)가 구비되며, 상기 패널식 옹벽(20) 적층 시공에 따른 하중이 작용 시, 양각돌기(26)에 의해 음각홈부(24) 측 록커(29)단부가 가압되면 다른 일단부가 통공(22) 내측으로 돌출되어 체결수단(11) 외주면을 가압하여 체결수단(11)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식 옹벽(20)의 일측면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와 맞물려 조립되는 양각돌기(26')가 형성되며, 음각홈부(24')에는 힌지(52)를 축으로 선회되고 무게추(54)에 의해 상향 선회되어 음각홈부(24')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향 개방형 후크부(50)가 형성되며, 후크부(50)와 대응하는 양각돌기(26')에는 걸림부(56)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식 옹벽(20)을 횡방향으로 조립시공시, 이동측 패널식 옹벽(20)의 걸림부(56)가 선 시공된 고정측 패널식 옹벽(20)의 후크부(50)에 결속되고, 상기 이동측 패널식 옹벽(20)의 하중에 의해 후크부(50)가 선회작동되어, 이동하는 패널식 옹벽(20) 측면이 고정측 패널식 옹벽(20) 측면으로 밀착되어 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조립 시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링(18)은 신축튜브로 형성되고, 간격유지링(18)과 대응하는 주름관(13) 외주면에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내측 공간부(14)로 주입되는 몰탈에 의해 간격유지링(18)이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깎기비탈면의 천공홀 내부 공간이 주름관에 의해 몰탈이 충진되는 내측 공간부와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외측 공간부로 구분되어 그라우트재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되어 시공원가 절감을 도모하고, 그라우트재의 그라우팅효율 향상으로 인장력,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어 깎기비탈면 지반이 패널과의 조립체에 의해 견고하게 보강되면서 비탈면 활동변형에 보다 크게 저항하여 전단변형 억제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의 패널식 옹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을 이용한 깎기비탈면 보강작업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의 와이어를 이용한 패널식 옹벽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의 록커에 의한 체결수단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의 후크부에 의한 패널식 옹벽 수평유지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깎기비탈면의 천공홀 내부 공간이 주름관에 의해 몰탈이 충진되는 내측 공간부와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외측 공간부로 구분되어 그라우트재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되어 시공원가 절감을 도모하고, 그라우트재의 그라우팅효율 향상으로 인장력,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어 깎기비탈면 지반이 패널과의 조립체에 의해 견고하게 보강되면서 비탈면 활동변형에 보다 크게 저항하여 전단변형 억제효과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복합강선(10), 패널식 옹벽(20), 부직포(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강선(10)은 깎기비탈면(1)의 천공홀(2)에 삽입 설치되어 그라우트 및 몰탈 이층 구조에 의해 고정되고, 단부에 체결수단(1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깎기비탈면(1)의 천공홀(2)은 옹벽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바닥까지, 토사의 안식각에 따라 경비탈면이 형성되도록 깎기단계를 거친 후, 패널식 옹벽(20) 위치에 따른 천공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하여 레벨기, 광파기 등을 이용하여 천공위치 측량 단계를 수행한 천공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천공작업에서 천공의 구경은 복합강선(10)과 간격유지링(18)이 삽입될 수 있는 구경 (ø105m/m 정도)으로 천공되며, 천공각도는 설계 각도에서 ±3°이상 오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향 천공되며, 천공 후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그라우팅을 실시하고, 부득이 방치하여야 할 경우는, 천공구멍내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입구를 마감처리한다.
도 1에서, 상기 복합강선(10)은, 천공홀(2) 내부로 삽입되고, 단부에 체결수단(11)이 구비되는 강선(12)과, 강선(12)을 수용하도록 설치되고, 음, 양각 환형띠(13a)(13b)가 반복 형성되는 주름관(13)과, 주름관(13) 내주면과 강선(12) 외주면 사이에 몰탈이 충진되는 내측 공간부(14)와, 내측 공간부(14) 입구를 통하여 몰탈을 주입하는 제 1주입수단(15)과, 주름관(13) 외주면과 천공홀(2) 사이에 형성되어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외측 공간부(16)와, 외측 공간부(16) 입구를 통하여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제 2주입수단(17)과, 주름관(13) 외주면에 설치되어, 주름관(13)이 천공홀(2) 중앙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간격유지링(1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공간부(14)에 성형되는 몰탈과 외측 공간부(16)에 성형되는 그라우트재가 주름관(13)의 음, 양각 환형띠(13a)(13b) 형상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성형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깎기비탈면(1)의 천공홀(2) 내부 공간이 주름관(13)에 의해 몰탈이 충진되는 내측 공간부(14)와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외측 공간부(16)로 구분되어 그라우트재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시공원가가 크게 절감되고, 특히 각각 독립된 공간에 타설되는 몰탈과 그라우트재는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주름관(13)의 음, 양각 환형띠(13a)(13b) 형상과 동일하게 타설되어 서로 음, 양각 구조로 맞물려 일체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강선(12)은 구조용 이형철근으로 형성되고, 강선(12)이 삽입된 후 천공홀(2) 입구는 기밀부재에 의해 마감된다. 마감부재 코킹재와 패커재로 형성되는바, 코킹(Caulking)재는 수축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시멘트 혼합물로서 압력 주입 시 최대압력 40kg/cm2 이상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특수 시멘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공간부(16)으로 주입되어 그라우팅되는 그라우트재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혼화제 및 물을 배합하여 사용하며 일정 압력 하에 설계주입량의 30%이상 초과시는 급결재를 병행 사용하며, 여기서 그라이트 주입재(고강도 그라우트) 표준 배합비는 시멘트 500중량부, 물 839중량부, 혼화제 5중량부로 형성되며, 또 급결재의 표준 배합비는 규산소다 250중량부, 물 250중량부, 시멘트 250중량부, 물 420중량부, W/C 168중량부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라우팅 주입압력은 P=5∼15kg/cm² (0.5~1.5MPa), (ΔP=1∼10kg/cm²(0.1~1.0MPa)로 이루어지고, 제어부에 설정된 한계압력에 도달 시 주입이 종료된다. 한편, 내측 공간부(14)으로 주입되는 모래가 함유된 몰탈을 사용하게 되고, 주입압력은 그라우팅 조건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강선(12) 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너트 체결되는 체결수단(11)이 구비되고, 체결수단(11)에 의해 패널식 옹벽(20)이 고정되고, 너트 사이에는 두께 9mm의 철판을 200mm×200mm 규격의 지압판이 설치된다. 한편 패널식 옹벽(20)은 공장에서 성형되어 현장 조립되거나, 깎기비탈면(1)에 현장 타설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13)은 천공홀(2) 내부로 삽입되는 강선(12) 길이와 동일한 사이즈로 절단되고, 내측 단부에 캡(13a)이 설치되어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주름관(13)은 현장에서 천공홀(2) 깊이 및 강선(12) 길이를 고려하여 커팅된 후, 내측 단부를 캡(13a)으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몰탈이 타설되는 독립된 구획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2주입수단(15)(17)은 내, 외측 공간부(14)(16) 내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과, 입구에 배치되는 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어느 일측 관을 통하여 몰탈 또는 그라우트재가 투입되면 다른 일측 관에서는 내부 공기가 배기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식 옹벽(20)은 상기 깎기비탈면(1)을 마감하도록 현장타설되거나,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면에 형성되는 통공(22)을 통하여 복합강선(10)의 체결수단(11)에 연결된다. 통공(22)은 패널식 옹벽(20)에 관통형성되고, 패널식 옹벽(20) 외측면에 대응하는 통공(22) 단부에는 확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합강선(10)의 지압판 및 너트가 수용 설치되고, 가장자리부에 음각홈부와 양각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며, 다웰바(DowelBar)에 의하여 인접하는 패널식 옹벽(20) 끼리 서로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도 2에서, 상기 패널식 옹벽(20)은 1.48m * 1.48m 사이즈의 정사각형 규격, 1.48m * 1.98m 사이즈의 대형 직사각형 규격, 0.73m * 1.50m 사이즈의 소형 직사각형 규격, 밑면 2.23m * 높이 1.48m 사이즈의 삼각형 규격으로 형성되고,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깎기비탈면(1)이 보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30)는 상기 패널식 옹벽(20)의 통공(22) 및 가장자리부분에 설치되어, 깎기비탈면(1)과 패널식 옹벽(20) 사이에 채워지는 되메우기 토사의 유출을 막고 배수를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부직포(30)는 패널식 옹벽(20)의 통공(22) 및 가장자리 네 면의 틈새로 뒤채움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패널식 옹벽(20)의 배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부직포(30)는 소요 품질에 대한 내화학성과 내구성, 적당량의 신장률과 인장강도 및 투수계수를 확보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패널식 옹벽(20)을 시공후에는 도 3처럼 깎기비탈면(1) 사이에 되메우기 토사를 채우고 램머와 같은 다짐장비로 다지고, 이후 패널식 옹벽(20)을 적층 시공후 상기 다짐과정을 반복하여 깎기비탈면(1)을 보강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천공홀(2) 내부 공간이 주름관(13)에 의해 축소되므로, 그라우팅 최대 압력까지 도달 시간이 단축되어 그라우팅 효율이 향상되므로 인장력,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어 깎기비탈면 지반이 견고하게 보강되면서 비탈면 활동변형에 보다 크게 저항하여 전단변형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도 4에서, 상기 복합강선(10)과 패널식 옹벽(20)은 와이어(40)에 의해 연결되고, 와이어(40)는 일단이 복합강선(10) 체결수단(11)에 결속되고, 다른 일단은 패널식 옹벽(20)의 통공(22)에 삽입되어 장력조절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와이어(40)에 의해 복합강선(10) 체결수단(11) 위치가 연장되면서 복합강선(10) 체결방향이 유연하게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복합강선(10)이 고각으로 설치되더라도 패널식 옹벽(20)과의 체결성이 우수하고, 특히 패널식 옹벽(20) 적층 높이와 복합강선(10) 시공 위치가 불일치하더라도 패널식 옹벽(20) 적층 위치를 기준으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5에서, 상기 패널식 옹벽(20)의 상측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가 형성되고, 하측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와 맞물려 조립되는 양각돌기(26)가 형성되며, 상기 음각홈부(24)에서 통공(22)으로 관통되는 록킹홀(28)이 형성되며, 록킹홀(28)에 삽입되어 체결수단(11) 외주면을 가압하는 록커(29)가 구비된다.
이에 상기 패널식 옹벽(20) 적층 시공시, 상측에서 패널식 옹벽(20) 적층 하중이 작용하여, 양각돌기(26)에 의해 음각홈부(24) 측 록커(29) 단부가 가압되면 다른 일단부가 통공(22)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체결수단(11) 외주면을 가압하여 체결수단(11)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패널식 옹벽(20)이 통공(22)을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11)이 너트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패널식 옹벽(20) 적층 하중에 의해 가압되는 록커(29)에 의해 외주면이 가압되는 이중 체결구조를 가짐으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에서, 패널식 옹벽(20)의 일측면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와 맞물려 조립되는 양각돌기(26')가 형성되며, 음각홈부(24')에는 힌지(52)를 축으로 선회되고 무게추(54)에 의해 상향 선회되어 음각홈부(24')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향 개방형 후크부(50)가 형성되며, 후크부(50)와 대응하는 양각돌기(26')에는 걸림부(56)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56)는 양각돌기(26')에 홈을 형성한 구조 또는 별도의 철근고리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패널식 옹벽(20)을 횡방향으로 조립시공시, 이동측 패널식 옹벽(20)의 걸림부(56)가 선 시공된 고정측 패널식 옹벽(20)의 후크부(50)에 결속되고, 상기 이동측 패널식 옹벽(20)의 하중에 의해 후크부(50)가 선회작동되어, 이동하는 패널식 옹벽(20) 측면이 고정측 패널식 옹벽(20) 측면으로 밀착되어 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조립 시공되므로, 패널식 옹벽(20) 간에 수평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가 단축되고,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링(18)은 신축튜브로 형성되고, 간격유지링(18)과 대응하는 주름관(13) 외주면에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내측 공간부(14)로 주입되는 몰탈에 의해 간격유지링(18)이 팽창되도록 구비된다. 간격유지링(18)은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튜브로 형성되어, 주름관(13)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양단이 밴딩처리된다.
이에 상기 내측 공간부(14)로 몰탈을 주입시, 간격유지링(18)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통공으로 고압의 몰탈 주입력이 작용 즉, 간격유지링(18)은 통공을 통하여 주입되는 몰탈에 의해 팽창되면서 주름관(13)과 동심원상에 일치되도록 위치보정되므로, 외측 공간부(16)가 천공홀(2)과 동심원상에서 위치고정됨과 더불어 간격유지링(18)을 천공홀(2) 내경 대비 소형으로 형성가능하므로 복합강선(10) 삽입 시공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10: 복합강선 20: 패널식 옹벽
30: 부직포 40: 와이어
50: 후크부

Claims (7)

  1. 깎기비탈면(1)의 천공홀(2)에 삽입 설치되어 그라우트 및 몰탈 이층 구조에 의해 고정되고, 단부에 체결수단(11)이 구비되는 복합강선(10); 상기 깎기비탈면(1)을 마감하도록 현장 타설되거나,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면에 형성되는 통공(22)을 통하여 복합강선(10)의 체결수단(11)에 연결되는 패널식 옹벽(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식 옹벽(20)의 상측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가 형성되고, 하측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와 맞물려 조립되는 양각돌기(26)가 형성되며, 상기 음각홈부(24)에서 통공(22)으로 관통되는 록킹홀(28)이 형성되며, 록킹홀(28)에 삽입되어 체결수단(11) 외주면을 가압하는 록커(29)가 구비되며, 상기 패널식 옹벽(20) 적층 시공에 따른 하중이 작용 시, 양각돌기(26)에 의해 음각홈부(24) 측 록커(29)단부가 가압되면 다른 일단부가 통공(22) 내측으로 돌출되어 체결수단(11) 외주면을 가압하여 체결수단(11)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강선(10)은, 천공홀(2) 내부로 삽입되고, 단부에 체결수단(11)이 구비되는 강선(12)과, 강선(12)을 수용하도록 설치되고, 음, 양각 환형띠(13a)(13b)가 반복 형성되는 주름관(13)과, 주름관(13) 내주면과 강선(12) 외주면 사이에 몰탈이 충진되는 내측 공간부(14)와, 내측 공간부(14) 입구를 통하여 몰탈을 주입하는 제 1주입수단(15)과, 주름관(13) 외주면과 천공홀(2) 사이에 형성되어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외측 공간부(16)와, 외측 공간부(16) 입구를 통하여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제 2주입수단(17)과, 주름관(13) 외주면에 설치되어, 주름관(13)이 천공홀(2) 중앙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간격유지링(18)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공간부(14)에 성형되는 몰탈과 외측 공간부(16)에 성형되는 그라우트재가 주름관(13)의 음, 양각 환형띠(13a)(13b) 형상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3)은 천공홀(2) 내부로 삽입되는 강선(12) 길이와 동일한 사이즈로 절단되고, 내측 단부에 캡(13a)이 설치되어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강선(10)과 패널식 옹벽(20)은 와이어(40)에 의해 연결되고, 와이어(40)는 일단이 복합강선(10) 체결수단(11)에 결속되고, 다른 일단은 패널식 옹벽(20)의 통공(22)에 삽입되어 장력조절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식 옹벽(20)의 일측면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 외주면에는 음각홈부(24')와 맞물려 조립되는 양각돌기(26')가 형성되며, 음각홈부(24')에는 힌지(52)를 축으로 선회되고 무게추(54)에 의해 상향 선회되어 음각홈부(24')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향 개방형 후크부(50)가 형성되며, 후크부(50)와 대응하는 양각돌기(26')에는 걸림부(56)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식 옹벽(20)을 횡방향으로 조립시공시, 이동측 패널식 옹벽(20)의 걸림부(56)가 선 시공된 고정측 패널식 옹벽(20)의 후크부(50)에 결속되고, 상기 이동측 패널식 옹벽(20)의 하중에 의해 후크부(50)가 선회작동되어, 이동하는 패널식 옹벽(20) 측면이 고정측 패널식 옹벽(20) 측면으로 밀착되어 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조립 시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링(18)은 신축튜브로 형성되고, 간격유지링(18)과 대응하는 주름관(13) 외주면에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내측 공간부(14)로 주입되는 몰탈에 의해 간격유지링(18)이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KR1020190093996A 2019-08-01 2019-08-01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KR10207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996A KR102079570B1 (ko) 2019-08-01 2019-08-01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996A KR102079570B1 (ko) 2019-08-01 2019-08-01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570B1 true KR102079570B1 (ko) 2020-02-20

Family

ID=6964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996A KR102079570B1 (ko) 2019-08-01 2019-08-01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04A (ko) * 2021-06-10 2022-12-20 주식회사 셉코 기초 일체형 프리캐스트 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CN116516893A (zh) * 2023-03-29 2023-08-01 中国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引水渠道护坡衬砌的砂浆勾缝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97B1 (ko) * 2009-11-04 2010-07-06 주식회사 에스지오텍 옹벽용 지반보강장치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100007797U (ko) * 2010-06-07 2010-08-04 장성주 몰탈을 이용한 가압그라우팅 주입시스템
KR101024604B1 (ko) * 2010-08-27 2011-03-24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경사부재와 주름관을 이용한 가압식 보강유닛 쏘일 네일링
KR101541718B1 (ko) * 2015-02-10 2015-08-05 주식회사 마성건설 이중패커식 그라우팅 장치를 이용한 논실링 그라우팅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97B1 (ko) * 2009-11-04 2010-07-06 주식회사 에스지오텍 옹벽용 지반보강장치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100007797U (ko) * 2010-06-07 2010-08-04 장성주 몰탈을 이용한 가압그라우팅 주입시스템
KR101024604B1 (ko) * 2010-08-27 2011-03-24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경사부재와 주름관을 이용한 가압식 보강유닛 쏘일 네일링
KR101541718B1 (ko) * 2015-02-10 2015-08-05 주식회사 마성건설 이중패커식 그라우팅 장치를 이용한 논실링 그라우팅 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04A (ko) * 2021-06-10 2022-12-20 주식회사 셉코 기초 일체형 프리캐스트 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KR102509305B1 (ko) * 2021-06-10 2023-03-15 주식회사 셉코 기초 일체형 프리캐스트 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CN116516893A (zh) * 2023-03-29 2023-08-01 中国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引水渠道护坡衬砌的砂浆勾缝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516893B (zh) * 2023-03-29 2023-11-24 中国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引水渠道护坡衬砌的砂浆勾缝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0207B (zh) 一种穿越浅埋偏压松散堆积体大跨度隧道综合进洞结构施工方法
KR101302743B1 (ko) 벽체말뚝용 피에이치씨 파일과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체의 시공방법
KR101696916B1 (ko)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CN104018518B (zh) 预制式地下连续墙以及施工地下室外墙和楼板的方法
CN105155551A (zh) 一种压力补偿式基坑支护结构及施工方法
US20140270990A1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U2007100294A5 (en) Earth Retention and Piling Systems
CN101250886B (zh) 一种加固砌体结构建筑物基础的方法
CN107542115A (zh) 地下工程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US10094088B1 (en) Sheet pile retaining wall system
CN105525627A (zh) 一种双向锚定板挡土墙及其施工方法
CN112663624B (zh) 基坑复合式支护及施工方法
KR102079570B1 (ko)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JP2007205161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CN212837843U (zh) Ⅳ类、ⅴ类围岩隧洞混凝土衬砌抗裂结构
KR100854551B1 (ko) 지압판 및 pc 판넬 결합식 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060817A (ja) 添設構造体の構築方法
KR102079563B1 (ko) 압축마찰형 앵커 패널 지반 보강 시스템
KR102113291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KR102079330B1 (ko) 패널과 복합강관을 이용한 깎기비탈면 지반보강시스템
CN105484270A (zh) 一种毗邻深基坑高陡老旧毛石挡土墙加固保护施工方法
CN214363508U (zh) 一种基坑支护结构
KR101757975B1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