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291B1 -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 Google Patents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291B1
KR102113291B1 KR1020180167142A KR20180167142A KR102113291B1 KR 102113291 B1 KR102113291 B1 KR 102113291B1 KR 1020180167142 A KR1020180167142 A KR 1020180167142A KR 20180167142 A KR20180167142 A KR 20180167142A KR 102113291 B1 KR102113291 B1 KR 10211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c
phc pile
pile
fi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상용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염상용
신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상용, 신재호 filed Critical 염상용
Priority to KR102018016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02D5/105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f prestress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4Sealing joints between adjacent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은, 지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PHC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서로 이웃하는 상기 PHC 파일 사이에 형성하되 토압을 받는 상기 PHC 파일의 일측에 차수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HC 파일에 대한 차수 시공을 위해 상기 차수홀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면서, 상기 PHC 파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PHC 파일의 중공부에 충진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PHC 파일의 타측에 띠장을 체결하기 위한 지지용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PHC 파일의 타측에 상기 띠장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ROF}
본 발명은 PHC 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HC 파일의 내부가 채우고 PHC 파일에 대해 차수 시공을 함으로써 PHC 파일의 강성을 보강하고 더 나아가 벽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이나 토목 구조물의 기초(부)가 연약한 지반에 놓일 경우, 깊은 기초인 파일(pile)을 지지층까지 매립 설치하여 지지력을 확보하고 기초를 안정시킨다. 이러한 파일은 나무, 강재 및 콘크리트 등과 같이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향타, 터파기 후 향타 등 다양한 시공법에 의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파일 중에서 나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PC pile)은 경제성 및 시공성이 낮아 현재는 시공성 및 안정성 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PHC 파일이 많이 사용된다. 특히, PHC 파일은 수평력이 적고 수직력을 주로 지지하는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PHC 파일의 사용시 PHC 파일의 작은 수평저항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휨 및 전단 단면력이 크게 작용하는 상부는 강판을 사용하고 축방향력만 작용하는 하부는 PHC 파일을 적용하여 둘을 결합한 복합파일이나, PHC 파일 상부의 내부에 전단 연결재를 설치하여 파일을 제작한 후에 나부에 철근을 보강하고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휨과 전단을 보강한 합성파일의 사용이 빈번해 지고 있다.
한편, 흙막이 공법은 크게 배면부 토사의 자립을 유지하기 위한 흙막이벽체의 종류와 이를 구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보(버팀재)의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흙막이 벽체로는, H-형강+토류관(목재), 강널파일(Sheet Pile),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C.I.P: Cast In Place), 주열식 흙 시멘트 흙막이 벽체(S.C.W: Soil Cement Wall), 지하 연속벽체(Diaphram Wall, Slurry Wall) 등이 있고, 지보공법의 종류로는 버팀대 공법, 그라운드 앵커 공법, 소일 네일링 공법 등이 있다.
H-형강+토류판은, 지하수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 설치하고, 지하수가 존재하는 곳에서는 그 나머지 공법 등이 사용된다.H-형강+토류판으로 구성되는 흙막이 벽체는, 오거장비를 이용해 지반을 천공하여 H-형강을 소정의 간격으로 굴착면 경계를 따라서 근입 설치하고, 굴착과 동시에 토류판을 양쪽 H-형강 사이에 끼워 막아 내려가 흙막이벽으로 이용하는 공법으로 토류판으로는 주로 목재가 사용되고 있다. 강널파일은, 쉬트파일 형강을 진동햄머 드릴로 지중에 근입, 서로 물리도록 연속되게 설치하여 흙막이 가설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C.I.P)은, 오거장비를 이용해 지반을 천공하고 H-형강을 소정의 간격으로 굴착면 경계를 따라서 근입 설치하고 그 사이에 같은 방법으로 천공한 후, 철근 망을 조립하여 삽입하고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파일을 만들어 가설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주열식 흙 시멘트 흙막이 벽체(S.C.W)는, 삼축 오거장비를 이용해 지반을 3공씩 천공함과 동시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첨가, 교반하여 흙 시멘트 혼합파일을 지중에 형성하고, 그 하나의 구멍에는 H-형강 격간으로 근입하여 한공씩 물리도록 반복 시공하면서 주열식 흙막이 가설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지하 연속벽체는, 굴착면 붕괴와 지하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안정액(벤토나이트)을 투입하면서 벽체부분의 지반을 굴착하고 조립 철근망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철근 콘크리트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상기와 같은 흙막이 벽체는 지하 구조물을 축조할 목적으로 지하터파기 공사 중의 토압과 수압 등의 측압에 대해 저항하고 주변 지반의 침하와 인접 구조물의 보호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가설 구조물이었으나, 최근에는 도심지 구간 굴착 공사가 빈번해짐에 따라 주변의 지반침하나 건물 보호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등 그 이용 목적이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흙막이 벽체 조성 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PHC 파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PHC 파일은 띠장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복수개의 PHC 파일을 연결한다. 이때 설치되는 복수개의 PHC 파일의 수평이 유지되지 못하게 되면, PHC 파일에 띠장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 구멍에 단차가 형성되어 체결되는 띠장의 높낮이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띠장을 제대로 체결하는 것이 어렵고, 띠장을 체결하더라도 띠장의 높이가 수평이 맞지 않게 된다. 더욱이, 볼트 구멍에 단차가 발생되면 PHC 파일과 띠장을 체결하는 볼트가 볼트 구멍으로부터 이탈될 위험성이 있다.
한편, 이러한 PHC 파일을 이용하여 벽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PHC 파일의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복수개의 PHC 파일이 설치된 일면에 차수 작업 및 띠장을 설치하여 PHC 파일의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PHC 파일로에서 띠장을 제거한 후에 그 일면에 PHC 파일을 지지하는 합벽을 설치하여 흙막이 벽체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예컨대, PHC 파일의 강도를 별도의 충진재를 이용하여 PHC 파일의 내부를 채워서 PHC 파일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PHC 파일을 벽체로 사용할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가 가장 큰 문제가 된다. 종래에는 PHC 파일을 지반에 설치한 후, 토압이 가해지지 않는 PHC 파일의 일면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등 별도로 차수를 위한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그라우트재의 주입에 따라 공사기간이 증가하고 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라우트재가 밀실하게 PHC 파일의 일면에 채워지지 않을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하므로 추가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PHC 파일의 일면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차수홀을 형성하는데, 차수홀은 대략적으로 15 ~ 20cm 정도의 크기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차수홀의 크기가 크고, 차수홀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그라우트재가 굳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그라우트재의 급결 또는 조강을 위하여 별도의 첨가제를 첨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제는 환경 오염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55915호 (발명의 명칭: 차수판을 구비하는 피에이치씨 파일, 등록일: 2014.01.21.)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HC 파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PHC 파일의 내부를 충진하기 위한 공정과 PHC 파일의 차수를 위해 PHC 파일에 대해 차수 시공을 한꺼번에 수행할수 있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PHC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서로 이웃하는 상기 PHC 파일 사이에 형성하되 토압을 받는 상기 PHC 파일의 일측에 차수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HC 파일에 대한 차수 시공을 위해 상기 차수홀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면서, 상기 PHC 파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PHC 파일의 중공부에 충진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PHC 파일의 타측에 띠장을 체결하기 위한 지지용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PHC 파일의 타측에 상기 띠장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차수홀에 주입되는 그라우트재와 상기 PHC 파일의 중공부를 채우는 충진재는 서로 동일한 조성물로 제공되고, 상기 그라우트재의 주입 작업과 상기 충진재의 채움 작업은 동일한 그라우팅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차수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수홀은 워터젯(water jet)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PHC 파일은 3 ~ 5 cm 이내의 범위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차수홀의 직경은 상기 그라우트재에 급결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요구되는 조기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6 ~ 10 c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HC 파일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서트홀; 및 상기 인서트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PHC 파일의 제조시 상기 PHC 파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인서트너트; 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에 지지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는 상기 인서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인서트너트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용 브라켓은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의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일면은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과 최대한 밀착되도록 동일한 곡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의 타면은, 상기 지지용 브라켓과의 용접 작업이 수월하도록 평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부재의 일단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수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수밀부재는 상기 PHC 파일 제조시 상기 인서트너트의 일단부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PHC 파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상기 인서트너트와 함께 매립되어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 부재를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할 수 있다.
상기 수밀부재는 상기 PHC 파일의 제조시 상기 PHC 파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에 의해 형성된 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및 벽체는, PHC 파일에 대한 차수 시공을 위해 차수홀에 주입되는 그라우트재와 PHC 파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PHC 파일의 중공부를 채우는 충진재가 서로 동일한 조성물고 제공되고, 그라우트재의 주입 작업과 충진재의 채움 작업은 동일한 그라우팅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벽체의 전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A’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지지용 플레이트가 결합된 PHC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지지용 플레이트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벽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B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한 C-C’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PHC 파일의 제조를 위한 몰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D-D’ 부분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이하, ‘벽체 조성방법’ 이라 함) 및 이를 이용한 벽체(10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조성방법은 지반(10)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PHC 파일(110)을 설치하는 단계(S110),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110) 사이에 차수홀(172)을 형성하되 토압을 받는 PHC 파일(110)의 일측에 차수홀(172)을 형성하는 단계(S120), PHC 파일(110)에 대한 차수 시공을 위해 차수홀(172)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면서, PHC 파일(110)의 PHC 파일(11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PHC 파일(110)의 중공부(111)에 충진재를 채우는 단계(S130); PHC 파일(110)의 타측에 띠장(160)을 체결하기 위한 지지용 브라켓(150)을 결합하는 단계(S160) 및 지지용 브라켓(150)을 이용하여 PHC 파일(110)의 타측에 띠장(160)을 설치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조성방법은 지반(미도시)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PHC 파일(110)을 설치한다(S110). 여기서, 지반에 설치되는 PHC 파일(110)의 개수는 조성하고자 하는 벽체(1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PHC 파일(110)은 일정한 간격(L1)을 두고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지반(10)에 PHC 파일(110)이 설치될 때, 이웃하는 PHC 파일(110) 들은 미리 정해진 간격(L1)을 두고 설치되는데, 이 간격(L1)은 대략적으로 3 ~ 5cm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하는 PHC 파일(110)은 서로 5cm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벽체 조성방법에 의해 벽체(100)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PHC 파일(1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인가된 원심력에 의해 형성된다. PHC 파일(110)에 가해진 원심력에 의해 PHC 파일(1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PHC 파일(110)의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된다. 참고로, PHC 파일(11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PHC 파일(110)의 상단부, 즉 두부에는 띠밴드(114)가 형성된다. 띠밴드는 PHC 파일(110)을 이용하여 벽체(100) 또는 바닥면의 시공시 설치되는 PHC 파일(110)의 두부를 정리하여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띠밴드(114)는 금속 소재로서, 밴드 또는 띠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PHC 파일(110)에는 복수개의 PC 너트(112) 및 PC 강선(미도시)가 내장된다. PC 너트(112) 및 PC 강선은 PHC 파일(110)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ed)를 전달함으로써 PHC 파일(110)에 대해 압축력에 대한 강도를 제공함으로써 PHC 파일(11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PC 너트(112) 및 PC 강선은 PHC 파일(110)의 내부, 즉 PHC 파일(1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PC 강선은 PC 너트(112)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PC 너트(112) 및 PC 강선은 PHC 파일(110)을 제조하기 위하여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과정에서 PHC 파일(110)에 매립된다.
또한, PHC 파일(110)에는 인서트홀(113)이 형성된다. 인서트홀(113)은 PHC 파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인서트홀(113)은 PHC 파일(110)을 이용하여 벽체(100)를 조성할 때, 사용되는 복수개의 PHC 파일(110)을 폭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띠장(160)을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인서트홀(113)은 PHC 파일(110)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형성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홀(113)의 내부에는 인서트너트(120)가 설치된다. 인서트너트(120)는 일반적인 너트(nut) 구조로 제공되어, PHC 파일(110)을 이용한 벽체(100) 조성시 띠장(160)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미도시)가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인서트홀(113) 및 인서트홀(1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서트너트(120)는 PHC 파일(110)의 제조시,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HC 파일(110)은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몰드를 회전시켜 원심성형을 한 후에, 몰드를 양생하고 탈형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몰드에 인서트너트(120)를 위치시킨 후에 몰드를 회전시키면, PHC 파일(110)에는 인서트너트(120)에 의해 인서트홀(113)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인서트너트(120)가 매립될 때, PHC 파일(110)에 매립되는 인서트너트(120)에 의하여 PHC 파일(110)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이 인서트홀(113)이 된다.
즉,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인서트너트(120)가 매립되는 과정에서 인서트너트(120)에 의해 PHC 파일(110)에 인서트홀(113)이 형성되기 때문에, PHC 파일(110)에 인서트너트(120)를 PHC 파일(110)에 매립시키기 위한 별도의 인서트홀(113)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참고로, 인서트홀(113)와 인서트너트(120)를 구분지은 것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PHC 파일(110)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한편, PHC 파일(110)에 매립되는 인서트너트(1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콘크리트는 결속력이 그리 좋지 못하기 때문에, 인서트 너트(120)가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설치되어도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될 위험성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로부터 인서트너트(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서트너트(120)에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인서트너트(120)의 하단부에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재질로 형성된 인서트너트(120)의 하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인서트너트(120)와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인서트너트(120)와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간에 마찰력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결속려적이 향상되어 인서트너트(120)가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너트(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폐쇄된 형태의 일반적인 인서트 너트(insert nut)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일측 및 타측이 모두 개방된 형태의 일반적인 너트(nut)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110) 사이에 차수홀(172)을 형성한다(S120). 다시 말해서, 차수홀(172)은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110) 사이의 지반에 형성하되 토압(土壓)을 받는 PHC 파일(110)의 일측에 형성한다. 차수홀(172)은 PHC 파일(110)의 일측면에 일종의 차수벽(170)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차수벽(170)은 PHC 파일(110)의 일측을 지지하고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110) 사이의 틈을 메워줌으로써 PHC 파일(110)이 지반(10)의 토압으로 인하여 휘어지거나 설치된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차수벽(170)은 지반에 형성된 차수홀(172)에 주입되는 그라우트재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인 벽의 형태가 아니라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110)의 틈을 메우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수홀(172)은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11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차수홀(172)의 크기, 즉 직경(L2)은 대략적으로 6 ~ 10 cm 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홀(172)의 직경(L2)은 8cm 정도의 직경으로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110) 간의 간격(L1) 보다 큰 크기로 마련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110) 간에 형성된 틈을 완전히 메울 수 있다.
일반적인 차수 시공에서의 차수홀(172)의 직경(L2)은 15 ~ 20 cm 정도로 형성된다. 이때, 차수홀(172)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차수 시공을 위해 차수홀(172)에 주입되는 그라우트재가 굳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차수 시공에 소요되는 시공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차수홀(172)에 주입된 그라우트재가 빨리 굳을 수 있도록 규산소다, 실리카, 벤토나이트 등 별도의 성분을 첨가하는데, 이러한 성분은 환경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끼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직경이 큰 차수홀(17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멍뚫는 장비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시공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홀(172)은 그 직경(L2)이 6 ~ 10cm 이내의 범위, 즉 8cm 정도로 일반적인 차수홀(172)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수홀(172)을 형성하는 것이 간단하고, 차수홀(172)의 직경의 크기가 작아서 차수홀(172)에 주입되는 그라우트재는 굳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벽체(100)를 조성함에 있어서 전체적인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별도로 급결 및 조강을 위한 별도의 성분을 첨가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특히, 지반에 차수홀(172)을 형성할 때 워터젯(water jet) 공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차수홀(172)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공정이 상대적으로 용이할 수 있다.
그 다음, PHC 파일(110)에 대한 차수 시공을 위해 차수홀(172)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면서, PHC 파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PHC 파일(110)의 중공부(111)에 충진재를 채운다(S130).
상술한 바와 같이, PHC 파일(110)의 일측에는 지반(10)의 흙으로 인한 토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PHC 파일(110)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벽체(100)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PHC 파일(110) 사이에 형성된 차수홀(172)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고, 각각의 PHC 파일(110)의 중공부에 충진재를 채운다.
여기서, 차수홀(172)에 주입되는 그래우트재와 PHC 파일(110)의 중공부(111)를 채우는 충진재는 서로 동일한 조성물로 제공되고, 그라우트재의 주입 작업과 충진재의 채움작업은 동일한 그라우팅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지반(110)에 대해 터파기를 실시한다(S140). 터파기는 PHC 파일(110)에 토압이 가해지지 않는 면, 즉 PHC 파일(110)의 타측에 실시한다.
그 다음,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지지용 플레이트(140)를 설치한다(S15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용 플레이트(140)는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PHC 파일(110)의 타측에 띠장(160)의 체결을 위한 지지용 브라켓(1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지지용 플레이트(140)의 일종의 보걸이 철판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띠장(160)은 용접을 이용하여 PHC 파일(110)에 대해 결합시킨다. 그러나, PHC 파일(110)은 콘크리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PHC 파일(110)에 대해 띠장(160)을 결합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에, PHC 파일(110)의 인서트너트(120)에 지지용 브라켓(150)을 결합하고, 지지용 브라켓(150)의 상단부에 띠장(160)을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인서트너트(120)에 지지용 브라켓(150)을 결합하고 띠장(160)을 설치하면, 지지용 브라켓(150)이 외력 등에 의해 인서트너트(12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될 수도 있어서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때,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지지용 플레이트(140)에 인서트홀(113)과 대응되는 체결공(142)이 형성된다. 볼트(142a)를 이용하여 지지용 플레이트(140)의 체결공(142) 및 PHC 파일(110)에 매립 설치된 인서트너트(120)와 체결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지지용 브라켓(150)은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설치된 지지용 플레이트(140)의 외면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볼트(142a)를 이용하여 PHC 파일(110)에 대해 지지용 플레이트(140)를 결합한 후에, 태그 용접(tack welding)을 실시한다. 태그 용접을 실시함에 따라 지지용 플레이트(140)가 PHC 파일(110)에 대해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지지용 플레이트(140)는 지지용 브라켓(150)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지용 브라켓(150)이 결합되지 않은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PHC 파일(110) 및 지지용 브라켓(150)과 결합되는 지지용 플레이트(1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용 플레이트(140)는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일면은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최대한 밀착되도록 동일한 곡면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지지용 플레이트(140)의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반대되는 타면도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면 형태로 제공된다. 반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용 플레이트(140)의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일면은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최대한 밀착되도록 동일한 곡면 형태로 제공되되,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반대되는 타면은 지지용 브라켓(150)과의 용접 작업이 수월하도록 평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지지용 플레이트(140)에 용접 결합되는 지지용 브라켓(150)이 평면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지지용 플레이트(140)의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반대되는 타면은 곡면보다는 평면으로 형성되어야 지지용 브라켓(150)이 안정적으로 용접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100-1)(100-2)에서는 지지용 플레이트(140)가 PHC 파일(110)에 2개 또는 3개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용 플레이트(140)는 PHC 파일(110)에 연속적으로 2개 설치하고, 그 다음 위치된 2개의 PHC 파일(110)에는 설치하지 않으며, 설치되지 않은 PHC 파일(110)의 다음에 위치된 2개의 PHC 파일(110)에 설치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용 플레이트(140)는 PHC 파일(110)에 연속적으로 3개 설치하고, 지지용 플레이트(140)가 설치된 PHC 파일(110)의 그 다음 위치된 2개의 PHC 파일(110)에는 설치하지 않으며, 설치회지 않은 PHC 파일(110)의 다음에 위치된 3개의 PHC 파일(110)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용 플레이트(140)를 PHC 파일(110)에 대해 2개 또는 3개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간격을 둔 후에 다시 PHC 파일(110)에 대해 2개 또는 3개를 설치하게 되면, 지지용 브라켓(150)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띠장(16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PHC 파일(110)에 인서트너트(120)가 매립되면, 인서트너트(120)의 상단부가 PHC 파일(110)의 외주면으로부터 튀어나올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PHC 파일(110)의 외주면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인서트너트(120)의 일면은 평평한 직선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PHC 파일(110)로부터 인서트너트(120)의 상단부 양끝이 튀어나오게 되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인서트너트(120)가 다수개의 PHC 파일(110)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띠장(160)이나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PHC 파일(110)에 의해 충격을 받아서 인서트너트(120)가 상단부가 손상될 위험성이 있다. 더욱이, PHC 파일(110)로부터 인서트너트(120)의 상단부 튀어나온 상태에서 지지용 플레이트(140)가 결합되면, PHC 파일(110)에 대해 지지용 플레이트(140)가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지지용 플레이트(140)과 PHC 파일(110)과의 볼트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지지용 플레이트(140)에 결합되는 지지용 브라켓(15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지지용 브라켓(150)에 설치되는 띠장(160)이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서트너트(120)의 상단부가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대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서트너트(120)의 상단부에는 수밀부재(130)가 마련된다. 수밀부재(130)는 인서트너트(120)의 너트 구멍을 덮지 않는 선에서 인서트너트(120) 보다 큰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고리 또는 링(ring)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밀부재(130)는 인서트너트(120)에 형성된 너트 구멍을 덮지 않는 상태에서 인서트너트(120)의 상단부에 놓여진 상태로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인서트너트(120)와 함께 매립 설치된다. 이때, 수밀부재(130)는 PHC 파일(110)의 제조시,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과정에서 그 형태가 PHC 파일(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변형되어 인서트너트(120)의 일단부, 즉 상단부를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밀부재(130)는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서 합성 수지 재질, 바람직하게는 PE 재질(polyethylene)로 마련된다.
그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PHC 파일(110)의 타측에 띠장(160)을 체결하기 위한 지지용 브라켓(150)을 결합한다(S160). 지지용 브라켓(150)은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지지용 플레이트(140)가 설치된 부분에만 결합된다.
이때, 지지용 플레이트(140)도 금속 재질로 제공되고 지지용 브라켓(150)도 금속 재질로 제공되기 때문에, 지지용 브라켓(150)은 지지용 플레이트(140)의 일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지지용 브라켓(150)은 일반적인 브라켓의 형태일 수도 있고, H 빔 또는 I 빔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결합된 지지용 브라켓(15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PHC 파일(110)을 체결하기 위한 띠장(160)을 설치한다(S170). 띠장(160)에 의해 지반에 대해 복수개의 PHC 파일(110)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벽체 조성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벽체(100)는 복수개의 PHC 파일(110),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지지용 플레이트(140), 지지용 플레이트(140)에 대해 용접 결합된 지지용 브라켓(150) 및 지지용 브라켓(150)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띠장(160)을 포함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벽체(100)를 구성하는 PHC 파일(1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몰드(210)를 마련한다. 몰드(210)는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몰드(210)는 PHC 파일(110)의 제조상 편의를 위하여 상부 몰드(212) 및 하부 몰드(214)로 분리되어 마련되되, 상부 몰드(212) 및 하부 몰드(214)는 동일한 형태 및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 몰드(212)에는 위치 고정용 볼트공(216)이 형성된다. 위치 고정용 볼트공(216)에는 위치 고정용 볼트(220)가 삽입되며, 위치 고정용 볼트(220)에는 인서트너트(120)가 체결된다. 한편, 하부 몰드(214)에는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그 다음, 상부 몰드(212)에 위치 고정용 볼트공(216)을 형성한다. 위치 고정용 볼트공(216)은 상부 몰드(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위치 고정용 볼트공(216)은 PHC 파일(110)에 매립 설치되는 인서트너트(120)의 개수에 따라 형성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그 다음, 하부 몰드(214)의 내부에 복수개의 PC 강선(미도시) 및 나선 철근(미도시)를 배치한다. 여기서, PC 강선은 PHC 파일(110)에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PC 강선은 하부 몰드(214)의 길이 방향으로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나선철근은 편성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PC 강선의 둘레에 한번에 감아 붙인다. 나선철근은 PHC 파일(110)에 전단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나선철근에 의해 PHC 파일(110)의 내부에 복수개의 PC 강선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그 다음, 위치 고정용 볼트공(216)을 통해 위치 고정용 볼트(220)와 인서트너트(120)를 결합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부 몰드(212)의 외측에서 위치 고정용 볼트(220)가 위치 고정용 볼트공(216)으로 삽입되고, 상부 몰드(212)의 내측에서 인서트너트(120)가 위치 고정용 볼트공(216)을 통해 삽입된 위치 고정용 볼트(220)와 결합된다. 이러한 위치 고정용 볼트(220)는 PHC 파일(110)의 제조시 인서트너트(120)가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인서트너트(120)에는 PHC 파일(110)에 체결되는 띠장(16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지용 브라켓(150)이 용접결합 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지용 플레이트(140)가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여기서, 인서트너트(120)의 상단부에는 인서트너트(120)가 PHC 파일(110)의 외주면에 대해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밀부재(130)가 위치된다.
참고로, 위치 고정용 볼트(220), 인서트너트(120), PC 강선 및 나선철근이 간섭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PC 강선 및 나선철근이 위치 고정용 볼트(220) 및 인서트너트(120)에 의해 간섭되면, 복수개의 PC 강선의 둘레에 용접된 나선철근이 한쪽 방향으로 편심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치 고정용 볼트(220) 및 인서트너트(120) 와 간섭되는 나선철근을 부분적으로 컷팅한다.
여기서, 나선철근의 컷팅 작업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별도의 컷팅 공구를 이용하여 간섭되는 부분에 위치된 나선철근을 컷팅한다. 이와 같이, 위치 고정용 볼트(220) 및 인서트너트(120)와 간섭되는 부분에 위치된 나선철근을 컷팅하더라도 나선철근의 용접이 해제되거나 나선철근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게 된다.
그 다음, 하부 몰드(214)에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부 몰드(214)의 상부에 상부 몰드(212)를 결합한다. 여기서, PC 강선을 이용하여 인장력을 인가한다.
그 다음, 상부 몰드(212) 및 하부 몰드(214)가 결합된 몰드(210)를 일정 시간 동안 원심 성형한다.
그 다음,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한 일정 시간 후에, 상부 몰드(212)에서 위치 고정용 볼트(220)를 제거한다. 이때, 위치 고정용 볼트(220)와 체결된 인서트너트(120)는 PHC 파일(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된다. 또한, 몰드(210)에 가해진 원심력에 의하여 PHC 파일(110)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111)가 형성된다.
그 다음, 상부 몰드(212) 및 하부 몰드(214)로부터 PHC 파일(110)을 탈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벽체
111: 중공부
112: PC 너트
113: 인서트홀
114: 띠밴드
110: PHC 파일
120: 인서트너트
130: 수밀부재
140: 지지용 플레이트
142: 체결공
150: 지지용 브라켓
160: 띠장
170: 차수벽
172: 차수홀
L1: 서로 이웃하는 PHC 파일 간의 간격
L2: 차수홀의 직경

Claims (11)

  1. 지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PHC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서로 이웃하는 상기 PHC 파일 사이에 형성하되 토압을 받는 상기 PHC 파일의 일측에 차수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HC 파일에 대한 차수 시공을 위해 상기 차수홀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면서, 상기 PHC 파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PHC 파일의 중공부에 충진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PHC 파일의 타측에 띠장을 체결하기 위한 지지용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PHC 파일의 타측에 상기 띠장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홀에 주입되는 그라우트재와 상기 PHC 파일의 중공부를 채우는 충진재는 서로 동일한 조성물로 제공되고, 상기 그라우트재의 주입 작업과 상기 충진재의 채움 작업은 동일한 그라우팅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PHC 파일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서트홀; 및
    상기 인서트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PHC 파일의 제조시 상기 PHC 파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인서트너트;가 마련되고,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에 대해 상기 인서트너트의 일단부 양끝이 튀어나와 상기 인서트너트의 일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서트너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인서트너트의 너트 구멍을 덮지 않는 고리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수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수밀부재는 상기 PHC 파일의 제조시 상기 인서트너트의 일단부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PHC 파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상기 인서트너트와 함께 매립 설치되되, 상기 PHC 파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를 원심력에 의해 양생하는 과정에서 그 형태가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변형되어 상기 인서트너트의 일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수홀은 워터젯(water jet)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PHC 파일은 3 ~ 5 cm 이내의 범위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차수홀의 직경은 상기 그라우트재에 급결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요구되는 조기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6 ~ 10 c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에 지지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는 상기 인서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인서트너트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용 브라켓은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의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일면은 상기 PHC 파일의 외주면과 최대한 밀착되도록 동일한 곡면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의 타면은, 상기 지지용 브라켓과의 용접 작업이 수월하도록 평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기재된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에 의해 형성된 벽체.
KR1020180167142A 2018-12-21 2018-12-21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KR10211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142A KR102113291B1 (ko) 2018-12-21 2018-12-21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142A KR102113291B1 (ko) 2018-12-21 2018-12-21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291B1 true KR102113291B1 (ko) 2020-05-20

Family

ID=7091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142A KR102113291B1 (ko) 2018-12-21 2018-12-21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49B1 (ko) * 2020-10-21 2021-08-23 주식회사 이지원건설 합벽 시공이 가능한 흙막이용 phc 파일
KR102580200B1 (ko) * 2023-05-26 2023-09-20 (주)지에스지이엔지 흙막이 구조물 및 그에 따른 시공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855A (ko) * 2008-10-24 2010-05-04 박이근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3017A (ko) * 2009-10-20 2011-04-27 이복우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과 그라우팅 기둥을 이용한 주열식 토류벽 차수 시공방법
KR20160045470A (ko) * 2014-10-17 2016-04-27 고재홍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696916B1 (ko) * 2016-02-29 2017-01-16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855A (ko) * 2008-10-24 2010-05-04 박이근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3017A (ko) * 2009-10-20 2011-04-27 이복우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과 그라우팅 기둥을 이용한 주열식 토류벽 차수 시공방법
KR20160045470A (ko) * 2014-10-17 2016-04-27 고재홍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696916B1 (ko) * 2016-02-29 2017-01-16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49B1 (ko) * 2020-10-21 2021-08-23 주식회사 이지원건설 합벽 시공이 가능한 흙막이용 phc 파일
KR102580200B1 (ko) * 2023-05-26 2023-09-20 (주)지에스지이엔지 흙막이 구조물 및 그에 따른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162B1 (ko)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JP6762800B2 (ja) 既設杭基礎の補強工法及び補強構造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KR102249942B1 (ko) Cip 공법용 띠장 간극채움재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KR102113291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KR101021915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2173079B1 (ko) 차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100546998B1 (ko) 직접 굴착식 터널 갱구 가시설 시공 방법
KR100313721B1 (ko) 가설흙막이구조물을이용한합성지하옹벽설계방법및건축물지하옹벽공사방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KR102319143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KR200362565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KR100534603B1 (ko) 영구앙카 옹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21913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2110260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KR101234270B1 (ko) 강관과 유공관을 이용한 비개착 굴착공법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KR102070912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060511B1 (ko) 흙막이 벽체용 고강도 phc 파일
KR10065497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및이의 시공 방법
KR100429283B1 (ko) Pc부재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0354672Y1 (ko) S. p. r 공법에 의한 토류벽 구조
KR100898224B1 (ko) 오뚝이튜브를 활용한 파형 흙막이벽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