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803A -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803A
KR20070051803A KR1020070033470A KR20070033470A KR20070051803A KR 20070051803 A KR20070051803 A KR 20070051803A KR 1020070033470 A KR1020070033470 A KR 1020070033470A KR 20070033470 A KR20070033470 A KR 20070033470A KR 20070051803 A KR20070051803 A KR 2007005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component
field
color differenc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567B1 (ko
Inventor
아끼라 나까가와
히데노부 미요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19961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5180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6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for a given display mode, e.g. for interlaced or progressive displa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H04N19/52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by predictiv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21Processing of motion vectors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he determined motion vectors or motion vector field, e.g. for smoothing the motion vector field or for correcting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Abstract

다른 필드 화상 사이에서의 부호화에 있어서, 특히 색차 성분의 예측 효율을 향상시켜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킨다. 패리티가 다른 필드간 예측을 행할 때에, 참조원과 참조처의 필드의 패리티에 따라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의 생성 방법을 적응적으로 전환한다.
동화상 부호화 장치, 동화상 복호 장치, 벡터 생성 수단, 예측 벡터, 휘도 성분, 색차 성분

Description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MOTION PICTURE DECO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프레임간 예측 부호 가능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휘도, 색차의 각 화소의 위치와, 이들이 속하는 필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프레임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색차의 각 화소의 수직 방향의 시공 간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프레임 부호화 모드 시에 필드와 프레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 모드 시의 예측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프레임간 예측 모드 시의 예측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프레임 화상의 좌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종래 방식의 필드 사이의 대응하는 화소 사이의 움직임 벡터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종래 방식의 움직임 벡터가 지시하는 화소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색차 성분의 보간 화소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패리티가 다른 필드 사이의 제로 벡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참조처가 바텀(Bottom) 필드이고, 참조원이 탑(Top) 필드인 경우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구할 때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참조처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이 바텀 필드인 경우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구할 때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서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서의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서의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서의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서의 선택 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참조처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이 탑 필드인 경우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도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참조처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이 바텀 필드인 경우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도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서의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서의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서의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직교 변환 수단
32 : 양자화 수단
33 : 역양자화 수단
34 : 역직교 변환 수단
35 : 복호 화상 생성 수단
36 : 복호 화상 기억 수단
37 : 움직임 벡터 계산 수단
38 : 예측 화상 생성 수단
39 : 예측 오차 신호 생성 수단
40 : 계수 엔트로피 부호화 수단
41 : 움직임 벡터 엔트로피 부호화 수단
42 : 다중화 수단
50a-50d : 탑 필드 휘도 제1, 3, 5, 7 라인
51a-51d : 바텀 필드 휘도 제2, 4, 6, 8 라인
52a-52b : 탑 필드 색차 제1, 3 라인
53a-53b : 바텀 필드 색차 제2, 4 라인
64a-64c, 94a-94b, 130, 132 : 탑 필드
65a-65c, 95a-95b, 131 : 바텀 필드
81 : 프레임 #1 휘도 성분
82 : 프레임 #2 휘도 성분
84a-84c : 프레임 #1∼#3
90 : 동일 패리티 필드간 예측
91 : 상이 패리티 필드간 예측
133a-133b : 부호화 대상 휘도 성분
134a-134b : 부호화 대상 색차 성분
135a-135b : 참조 필드의 휘도 성분
136a-136b : 예측으로서 바람직한 색차 성분
137a-137b : 참조 필드의 색차 성분
140, 160 : 참조원 탑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
141, 161 : 예측값으로서 이용되는 참조처 바텀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 위치
142, 162 : 참조원 탑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
143, 163 : 예측값으로서 이용되는 참조처 바텀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 위치
145 : 바람직한 색차 성분의 예측 화소 위치
150, 170 : 참조원 바텀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
151, 171 : 예측값으로서 이용되는 참조처 탑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 위치
152, 172 : 참조원 바텀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
153, 173 : 예측값으로서 이용되는 참조처 탑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 위치
155 : 바람직한 색차 성분의 예측 화소 위치
180 : 좌표를 구하고자 하는 위치
181 : 화소의 정의 위치
200 : 움직임 벡터 산출 수단
201, 212 : 참조원 필드 좌표
202, 213 : 참조처 필드 좌표
203, 211 : 움직임 벡터
210 : 화소 대응짓기 수단
220 :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
221, 261, 261a, 271, 271a, 281, 281a :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
222 :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230 : 선택 수단
231 :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
232, 242 :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
233, 260, 260a :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
234, 270, 270a :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
235, 280, 280a :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
237, 247 : 움직임 벡터의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
238, 248 :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의 패리티
240 : 선택 수단
241 : 조건 판정 테이블
243 : 셀렉터
244 :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후보
245 :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후보
246 :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후보
249 : 선택 정보
250∼255 : 정수 화소
256 : 보간 화소
262, 262a :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
272, 272a :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
282, 282a :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
본 발명은 필드간 예측 모드를 갖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량이 크기 때문에,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전송될 때, 또는 기억 장치에 저장될 때 등에는 고능률 부호화가 행해진다. 여기서, 「고능률 부호화」는, 임의의 데이터 열을 다른 데이터 열로 변환하는 부호화 처리로서, 그 데이터량을 압축하는 처리를 말한다.
동화상 데이터는 주로 프레임만으로 구성되는 것과, 필드로 구성되는 것이 있다. 이하, 주로 필드 화상을 압축하는 방식의 종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화상 데이터의 고능률 부호화 방법으로서는, 프레임/필드간 예측 부호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이 프레임/필드간 예측 부호화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부호화 방법에서는 동화상 데이터가 시간 방향으로 상관성이 높은 것을 이용한다. 도 1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입력된 원화상과 예측 화상과의 차분 화상을 감산기(39)에서 생성하고, 그 차분 화상을 직교 변환 수단(31), 양자화 수단(32) 및 계수 엔트로피 부호화 수단(40)에서 부호화한다. 또한, 양자화 수단(32)의 출력을 역양자화 수단(33) 및 역직교 변환 수단(34)에 의해 차분 화상을 복원하고, 복호 화상 생성 수단(35)에서 복원한 차분 화상과 부호화 시에 이용한 예측 화상으로부터 부호화 화상을 복원한다. 그 복원된 화상은 복호 화상 기억 수 단(36)에 기억되고, 움직임 벡터 계산 수단(37)에서, 다음의 입력 화상과의 사이의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고, 그 움직임 벡터에 의해 예측 화상 생성 수단(38)에서 예측 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움직임 벡터는 벡터 엔트로피 부호화 수단(41)에서 부호화되고, 계수 엔트로피 부호화 수단(40)에서 부호화된 계수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MUX(42)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동화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의 프레임/필드 데이터와 다음의 타이밍의 프레임/필드 데이터와의 유사도가 높은 것이 많기 때문에, 프레임/필드간 예측 부호화 방법에서는 그 성질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프레임/필드간 예측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이전 프레임/필드의 화상으로부터 대상 프레임/필드의 화상으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 데이터, 및 그 전 프레임/필드의 화상으로부터 그 움직임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한 대상 프레임/필드의 예측 화상과 대상 프레임/필드의 실제의 화상과의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들 움직임 벡터 데이터 및 차분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송출한다. 한편, 수신 장치는 수신된 움직임 벡터 데이터 및 차분 데이터로부터 대상 프레임/필드의 화상을 재생한다.
도 1의 이 프레임/필드간 예측 부호화는 프레임/필드간 예측 부호화의 개략을 설명하였지만, 이하에, 프레임 예측 부호화, 및 필드 예측 부호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상술한 ISO/IEC MPEG-2/MPEG-4(이하 MPEG-2, MPEG-4), 및 2002년 8월 현재, ITU-T와 ISO/IEC에서 공동으로 표준화 중인 ITU-T H. 264/ISO/IEC MPEG-4 Part 10(Advanced Video Coding: AVC)의 Final Committee Draft("Joint Final Committee Draft(JFCD) of Joint Video Specification(ITU-T REC, H. 264/USO/IEC 14496-10 AVC)", JVT-D157, 또는 ISO/IEC JTC1/S029/WG11 MPEG02/N492, July 2002, Klagenfurt, AT)(이하, AVC FCD라고 약기함) 공통으로 이용되고 있는, 필드 화상을 부호화할 때의 포맷의 설명이다.
즉, 각 프레임은 2매의 필드, 즉 탑 필드와 바텀 필드로 구성된다. 도 2는 휘도, 색차의 각 화소의 위치와, 이들이 속하는 필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 제1 라인(50a), 휘도 제3 라인(50b), 휘도 제5 라인(50c), 휘도 제7 라인(50d) … 등의 홀수번째 라인은 탑 필드에 속하고, 휘도 제2 라인(51a), 휘도 제4 라인(51b), 휘도 제6 라인(51c), 휘도 제8 라인(51d) … 등의 짝수번째 라인은 바텀 필드에 속한다. 색차 성분도 마찬가지로, 색차 제1 라인(52a), 색차 제3 라인(52b) … 등의 홀수번째 라인은 탑 필드에 속하고, 색차 제2 라인(53a), 색차 제4 라인(53b) … 등의 짝수번째 라인은 바텀 필드에 속한다.
이 탑 필드와 바텀 필드는 다른 시각의 화상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탑 필드와 바텀 필드의 시공간적인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3 이후, 본 발명에 관한 기술은 움직임 벡터의 수직 성분에 관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수평 성분의 화소는 나타내지 않고, 또한 움직임 벡터의 수평 성분은, 전부 편의상, 0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필드의 휘도, 색차의 화소의 위치 관계는 올바르게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종축은 각 필드의 수직 성분의 화소 위치를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또, 각 화상의 화소의 수평 성분에서는 필드에 의한 위치의 변위는 없기 때문에, 도 3에서는 수평 방향의 화소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색차 성분의 픽셀 위치는 휘도의 필드 내의 화소 위치에 대하여, 수직 성분이 1/4화소 어긋나 있다. 또, 이것은 탑 및 바텀의 양 필드로 프레임을 구성한 경우, 도 2와 같은 화소 위치의 관계를 만족하기 위해서이다. 각 탑 및 바텀의 인접하는 양 필드간(64a:65a, 65a:64b ‥)에 대해서는 NTSC 포맷을 베이스로 한 경우에는 약 1/60초이다. 그리고, 탑 필드로부터 탑 필드(64a:64b ‥) 또는 바텀 필드로부터 바텀 필드(65a:65b ‥)의 시간은 약 1/30초의 간격이다.
이하, MPEG-2나 AVC FCD로 채용되어 있는, 필드 화상의 프레임 예측 부호화 모드와 필드 예측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프레임 예측 모드 시에, 2매의 연속하는 필드(인접하는 탑 및 바텀의 필드)로부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도 4와 같이 프레임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2매의 필드(탑 및 바텀의 필드)로 재구성된 것이다.
도 5는 프레임 예측 모드를 설명한 것이다. 도 5에서는 각 프레임(84a, 84b, 84c, … )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매의 연속하는 필드(탑 및 바텀의 필드)로, 이미 재구성된 것으로 한다. 이 프레임 예측 모드에서는 탑 및 바텀의 양 필드로 구성된 부호화 대상 프레임을 대상으로 부호화가 행해진다. 그리고, 참조 화상으로서도, 연속하는 참조용으로 축적된 2매의 필드(탑 및 바텀의 필드)로 한 장의 참조 프레임을 구성하여, 전 부호화 대상 프레임의 예측에 이용한다. 그리고, 이 2매의 프레임 화상을 도 1에 도시한 블록도에 따라 부호화한다. 이 프레임 예측 부호화 모드의 경우, 움직임 벡터의 표현 방법에 대해서는, 제로 벡터, 즉 (0, 0)은 공간적으로 동일 위치의 화소를 가르킨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2(84b)에 속하는 휘도의 화소(82)에 대하여, 움직임 벡터(0, O)를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는 프레임 #1(84a)의 화소 위치(81)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필드 예측 부호화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필드간 예측 모드 시의 예측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필드 예측 모드에서는, 부호화 대상은 원화상으로서 입력된 한 장의 탑 필드(94a, 94b, … ) 또는 바텀 필드(95a, 95b, … )이다. 그리고, 참조 화상으로서는 과거에 축적된 탑 필드 또는 바텀 필드가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원화상 필드와 참조 필드가 패리티가 동일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원화상의 필드와 참조 필드가 양쪽 모두 탑 필드, 또는 양쪽 모두 바텀 필드인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부호(90)의 동일 패리티의 필드 예측은 원화상 필드(94b), 참조 필드(94a)의 양 필드 모두 탑 필드이다. 마찬가지로, 원화상 필드와 참조 필드가 패리티가 다르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원화상의 필드와 참조 필드의, 한쪽이 탑 필드, 다른 한 쪽이 바텀 필드인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부호(91)로 나타낸 상이한 패리티의 필드 예측은 원화상은 바텀 필드(95a), 참조는 탑 필드(94a)이다. 그리고, 이 원화상 필드와 참조 필드를 도 1에 도시한 블록도에 따라 부호화한다.
또, 종래의 기술에서는 프레임 모드, 및 필드 모드, 모두 각 프레임/필드 내 의 화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움직임 벡터가 구해지고 있다. 종래 방식에서의, 움직임 벡터 산출 방법, 및 움직임 벡터가 주어졌을 때의, 화소의 대응짓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MPEG-2, MPEG-1, AVC FCD 등의 부호화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프레임/필드 화상의 좌표를 정의한 도면이다. 도 7에서, 흰색 동그라미는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필드에서, 화소의 정의 위치(181)이다. 여기서, 이 프레임/필드 화상 내의 좌표에 대해서는 화면 내의 좌측 위를 원점(0, 0)으로 하고, 수평, 수직 방향으로, 화소의 정의 위치가 순서대로 1, 2, 3, … 이라는 값이 할당된다. 즉, 수평 방향 n번째, 수직 방향 m번째의 화소의 좌표는 (n, m)이 된다. 이에 준하여, 화소와 화소 사이를 보간한 위치의 좌표도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즉, 도 7에서 흑색 동그라미의 위치(180)에 관해서는 좌측 위의 화소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1.5 화소, 수직 방향으로 2화소분의 부분의 곳에 있으므로, 위치(180)의 좌표는 (1.5, 2.0)으로 표현된다. 또, 필드 화상에 있어서는 수직 방향은 프레임 화상의 절반의 화소밖에 없지만, 이 경우에도, 각 필드에 존재하는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 7과 마찬가지로 취급한다.
도 7의 좌표계를 이용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벡터의 정의를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필드 사이의 대응하는 화소 사이의 움직임 벡터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움직임 벡터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참조원의 위치와 참조처의 위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두 점 사이에서 움직임 벡터가 정의되게 된다. 여기서, 참조원의 필드 내의 좌표(201)가 (Xs, Ys)인 점과 참조처의 필드 내의 좌 표(202)가 (Xd, Yd)인 점의 사이의 움직임 벡터를 구한다. 종래의 필드 사이에 대응하는 화소 사이의 움직임 벡터의 산출 방법에서는 참조원 및 참조처가 탑 필드 또는 바텀 필드에 상관없이, 이하에 설명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움직임 벡터가 구해지고 있었다. 즉, 참조원 필드 좌표(201)(Xs, Ys)와, 참조처 필드 좌표(202)(Xd, Yd)가 움직임 벡터 산출 수단(200)에 입력되고, 이 두 점 사이의 움직임 벡터(203)로서, (Xd-Xs, Yd-Ys)가 주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9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드 사이에서 정의된 움직임 벡터가 나타내는 화소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움직임 벡터는 상술한 도 8의 방법으로 도출한 것으로 한다. 참조처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서, 참조원의 위치와 움직임 벡터가 필요하다. 도 9의 경우에는 참조원의 필드 내의 좌표(212)가 (Xs, Ys)인 점에 대하여, 움직임 벡터(211)의 (X, Y)가 주어지고, 이 양자를 이용하여 구해지는 참조처 필드 내의 좌표를 구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종래의 필드 사이에 대응하는 화소 사이의 움직임 벡터의 산출 방법에서는, 참조원 및 참조처가 탑 필드 또는 바텀 필드에 상관없이, 이하에 설명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참조처 필드의 위치가 구해지고 있었다. 즉, 움직임 벡터(211)(X, Y)와 참조원 필드 좌표(212)(Xs, Ys)가 화소 대응짓기 수단(210)에 입력되고, 참조처 필드 좌표(213)로서, 좌표(Xs+X, Ys+Y)가 주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도 9의 벡터와 화소의 위치와의 관계의 정의는, 휘도 성분, 및 색차 성분에서 동일한 것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동화상 부호화 방식인 MPEG-1/MPEG-2/AVC FCD에서는 벡터는 휘도 성분만이 부호화되고, 색차 성분의 벡터는 휘도 성분 을 스케일링함으로써 도출된다. 특히, AVC FCD에서는 색차 성분은 세로의 화소 수, 가로의 화소 수 모두 휘도 성분의 화소 수의 절반이므로, 색차 성분의 예측 화소를 구하기 위한 움직임 벡터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정확하게 1/2로 스케일링한 것으로 정해지고 있다.
도 10은 이러한 종래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휘도의 움직임 벡터(221)를 (MV_x, MV_y)로 하고, 색차의 움직임 벡터(222)를 (MVC_x, MVC_y)로 한 경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222)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20)에 의해,
(MVC_x, MVC_y) = (MV_x/2, MV_y/2)
라는 식에 따라 구해진다. 이 도출 방법은, 종래 방식에서는 움직임 벡터가 동일 패리티의 필드 사이, 다른 패리티의 필드 사이에서 예측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불문한다.
또, AVC FCD에서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의 정밀도로서, 1/4화소 정밀도를 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수학식 1의 결과로서,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의 정밀도로서, 1/8화소 정밀도의 소수점 이하의 정밀도를 갖는 벡터를 취할 수 있다.
도 11에 기초하여, AVC FCD에서 정의된, 색차 성분의 보간 화소의 산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에서, 흑색 동그라미는 정수 화소를 나타내고, 점선 흰색 동그라미는 보간 화소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보간 화소 G(256)는 수평 방향의 좌표는 점 A(250)와 점 C(252)의 각 수평 좌표를 α:1-α로 내분한 것이고, 수직 방향의 좌표는 점 A(250)와 점 B(251)의 각 수직 좌표를 β:1-β로 내분한 것으로 한다. 여기서 α 및 β는 0 이상, 1 미만의 값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에서 정의되는 보간 화소 G(256)를 산출하는 경우, 그 주위의 정수 화소 A(250), B(251), C(252), D(253)와 α, β를 이용하여, 대략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G=(1-α)·(1-β)·A + (1-α)·β·B + α·(1-β)·C + α·β·D
도 11을 이용한 색차 성분의 화소의 보간 방법에 대해서는, 보간 화소를 구하기 위한 일례로, 다른 산출 방법을 이용해도 문제는 없다.
이 필드 부호화 모드의 경우, 원화상 필드와 참조 필드가 다른, 즉 패리티가 다른 필드 사이의 예측에 있어서는, AVC FCD의 정의에서는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양 움직임 벡터의 제로 벡터가 평행하지 않다. 즉, 종래의 정의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구한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예측을 하면, 휘도 성분과는 공간적으로 어긋난 위치의 화소를 이용하게 된다. 이것을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에서, 시간과 함께 탑 필드(130), 바텀 필드(131), 탑 필드(132)가 시간적으로 연속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바텀 필드(131)를 탑 필드(130)를 이용하여 부호화하고자 한다. 이 때, 필드간 부호화에서는 각 필드의 동일 라인 사이의 움직임 벡터를 수직 방향의 제로로 정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바텀 필드(131)에 속하는 휘도의 2라인째 화소(133a)에 대하여, 제로 벡터(0, 0)가 할당된 경우, 이 화소는 탑 필드(130)의 휘도의 2라인째 화소(135a)로부터 예측된다. 마찬가지로, 바텀 필드(131)에 속하는 1라인째 색차의 화소(134a)에 대하여, 제로 벡터(0, 0)가 할당된 경우, 이 화소는 탑 필드(130)의 색차의 1라인째 화소(137a)로부터 예측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탑 필드(132)에 속하는 휘도의 3라인째 화소(133b) 및 색차의 2라인째 화소(134b)는, 각각 바텀 필드(131) 상의 휘도의 3라인째 화소(135b) 및 색차의 2라인째 화소(137b)로부터 예측된다. 또, 본래, 색차와 휘도는 움직임 벡터가 평행한 쪽이 바람직하므로, 휘도의 움직임 벡터를 현재의 상태로 하면, 본래의 색차(134a, 134b)의 화소는 각각(136a, 136b)의 위치로부터 예측해야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패리티를 갖는 필드 사이의 예측에서는
·휘도와 색차의 제로 벡터가 평행하지 않다.
라는 점을 설명하였다. 이 점이 다른 패리티를 갖는 필드 사이의 예측에 있어서, 모든 벡터에 대해서도, AVC FCD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도 13, 및 도 14는 이 문제를 나타낸 것이다. AVC FCD에 따라, 문제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움직임 벡터의 수직 성분에만 관한 것이므로, 이후의 설명에서는 움직임 벡터의 수평 성분은, 전부 편의상 0으로 한다.
도 13은 참조처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이 탑 필드인 경우의, 종래 기술에서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구할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VC FCD에서는 수학식 1과 같이, 색차 성분은 세로의 화소 수, 가로의 화소 수 모두 휘도 성분의 화소 수의 절반이므로, 색차 성분의 예측 화소를 구하기 위한 움직임 벡터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1/2로 스케일링한 것으로 정해지고 있다. 이것은 움직임 벡터가 프레임 사이, 동일 패리티의 필드 사이, 다른 패리티의 필드 사이에서 예측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다.
지금, 이 정의가 다른 패리티의 필드 사이에서 정의된 휘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의 움직임 벡터를 구할 때에 문제가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에서, 참조원 탑 필드 휘도 성분의 1라인째 화소(140)는 예측 벡터로서 (0, 1)을 갖고, 그 결과 참조처 바텀 필드 휘도 성분의 2라인째 화소 위치(141)를 예측값으로서 나타낸다.
이 경우, 동일 블록에 속하는 색차 화소의 움직임 벡터는 수학식 1에 따라, 움직임 벡터(0, 1/2)로 구해진다. 그리고, 참조원 탑 필드 색차 성분의 1라인째 화소(142)의 예측값으로서, 움직임 벡터(0, 1/2)를 이용하여 예측한 경우, 참조처 바텀 필드 색차 성분의 1라인째 화소로부터 1/2화소만큼 아래로 어긋난 화소 위치(143)를 예측값으로서 이용하게 된다.
이 경우, 휘도의 움직임 벡터(0, 1)와 색차의 움직임 벡터(0, 1/2)는 평행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휘도의 움직임 벡터와 평행한 색차의 움직임 벡터를 적용한, 참조처 바텀 필드의 색차 성분의 예측 화소 위치(145)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도 14는 참조처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이 바텀 필드인 경우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구할 때의 문제점 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도 14에서, 참조원 바텀 필드 휘도 성분의 1라인째 화소(150)는 예측 벡터로서 (0, 1)를 갖고, 그 결과 참조처 탑 필드 휘도 성분의 2라인째 화소 위치(151)를 예측값으로서 나타낸다.
이 경우, 동일 블록에 속하는 색차 화소의 움직임 벡터는 수학식 1에 따라, 움직임 벡터(0, 1/2)로 구해진다. 그리고, 참조원 바텀 필드 색차 성분의 1라인째 화소(152)의 예측값으로서, 움직임 벡터(0, 1/2)를 이용하여 예측한 경우, 참조처 탑 필드 색차 성분의 1라인째 화소로부터 1/2화소만큼 아래로 어긋난 화소 위치(153)를 예측값으로서 이용하게 된다.
이 경우, 휘도의 움직임 벡터(0, 1)와 색차의 움직임 벡터(0, 1/2)는 평행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휘도의 움직임 벡터와 평행한 색차의 움직임 벡터를 적용한, 참조처 탑 필드의 색차 성분의 예측 화소 위치(155)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참조처와 참조원의 필드의 패리티가 다른 경우에는, 종래의 예측 방법에서는 휘도와 색차에서 어긋난 위치의 화소를 참조하게 되어, 제로 벡터뿐만 아니라, 모든 벡터에서, 예측 화상으로, 휘도와 색차에서 어긋난 예측 화상이 되게 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휘도의 움직임 벡터와 색차의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시간 방향의 방향, 즉 참조원 필드로부터 참조처 필드로의 시간 축 방향도 움직임 벡터에 포함시킨 경우에, 평행한지 평행하지 않은지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른 필드 화상 사이에서의 부호화에 있어서, 특히 색차 성분의 예측 효율을 향상시켜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는,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를 입력으로 하여,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생성에 이용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 의해, 휘도 정보의 움직임 벡터 정보로부터 색차 성분의 예측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화상 복호 장치는,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로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를 입력으로 하여,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생성에 이용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 의해, 휘도 정보의 움직임 벡터 정보로부터 색차 성분의 예측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에 따라, 각각에 적합한 방법으로 생성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도록 하기 때문에, 휘도 화소와 색차 화소의 배치의 차이나 탑 및 바텀 필드에의 할당하는 방법 등에 의해 생기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
우선, 부호화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에 의해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생성에 이용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 의해, 휘도 정보의 움직임 벡터 정보로부터 색차 성분의 예측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선택 수단에서는 휘도 성분과 평행한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선택한다.
참조원 필드로부터 참조처 필드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참조원 필드로부터 참조처 필드로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가 평행하면, 참조원 필드로부터 참조처 필드로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와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공간적 변위가 동일하게 되므로, 즉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와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공간적 위치 관계가 유지되기 때문에, 필드 사이에서의 색 어긋남이 없어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종래 기술에서 수학적 표현으로서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와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가 평행하더라도, 각 필드를 구성하는 휘도 픽셀 사이의 관계와 색차 픽셀 사이의 관계로 맵핑하였을 때, 각각이 평행하게 되지 않는다라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복수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으로서는, 이하의 3종류를 구비한다. 우선,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동일한 패리티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다.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다.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와 평행한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구하는 방법은, 움직임 벡터의 참조원 필드와 참조처 필드의 패리티에 의존하여, 각각 양 필드가 동일한 패리티인 경우, 전자가 탑 필드이고 후자가 바텀 필드인 경우, 및 전자가 바텀 필드이고 후자가 탑 필드인 경우의 3종류인 경우로, 계산 방법이 서로 다르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참조원과 참조처의 필드에 의해, 3종류의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와 평행한 색차 성분의 벡터를 생성하는 수단 중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동일한 패리티일 때에,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서는,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 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한다.
그리고,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서는,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0.25
로 구한다.
또한,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서는,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0.25
로 구해진다.
또한, 정의에 따라서는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와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일 화소분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위가 다른 경우가 있다. 여기서,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의 정의가 4만큼 변화했을 때에, 1화소분의 휘도 화상 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정의가 8만큼 변화했을 때에, 1화소분의 색차 화상 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 경우,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동일한 패리티일 때에,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서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
로 구한다.
또한, 마찬가지의 벡터의 정의인 경우,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서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한다.
또한, 마찬가지의 벡터의 정의인 경우,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서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호화 방법은, 복호화 방법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복호 장치에서도, 부호화 장치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고,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움직임 벡터의 수직 성분에 관한 것이므로, 움직임 벡터의 수평 성분은, 전부 편의상, 0으로 한다. 또한, 복호 장치에 관한 실시예도, 부호화 장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취한다.
이하, AVC FCD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상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필드 예측에 있어서의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의 실시예에서는, 생성 수단은 3종류의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하나의 선택 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15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주어진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231)를 (MV_x, MV_y)로 한다. 그리고, 이 휘도 성분의 벡터를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33),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34),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35)의 입력으로서 공급한다. 그리고, 각각의 출력을 선택 수단(230)에 입력한다. 그리고, 선택 수단(230)에서는 입력된 움직임 벡터의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237)와 움 직임 벡터의 참조처의 패리티(238)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2,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232)의 벡터 성분(MVC_x, MVC_y)으로서 출력한다.
도 16은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60)에 대하여, (MV_x, MV_y)의 벡터값을 갖는 휘도의 움직임 벡터(261)가 입력되고, (MVC1_x, MVC1_y)의 벡터값을 갖는 제1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62)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1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62)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60)에 의해, 휘도의 움직임 벡터(261)로부터, 이하의 식,
(MVC1_x, MVC1_y) = (MV_x/2, MV_y/2)
에 따라 계산된다. 그리고, 구해진 제1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62)는 선택 수단에 출력된다.
도 17은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70)에 대하여, (MV_x, MV_y)의 벡터값을 갖는 휘도의 움직임 벡터(271)가 입력되고, (MVC2_x, MVC2_y)의 벡터값을 갖는 제2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72)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2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72)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70)에 의해, 휘도의 움직임 벡터(271)로부터, 이하의 식,
(MVC2_x, MVC2_y) = (MV_x/2, MV_y/2 + 1/4)
에 따라 계산된다. 그리고, 구해진 제2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72)는 선택 수단에 출력된다.
도 18은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80)에 대하여, (MV_x, MV_y)의 벡터값을 갖는 휘도의 움직임 벡터(281)가 입력되고, (MVC3)x, MVC3_y)의 벡터값을 갖는 제3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82)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3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82)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80)에 의해, 휘도의 움직임 벡터(281)로부터, 이하의 식,
(MVC3_x, MVC3_y) = (MV_x/2, MV_y/2 - 1/4)
에 따라 계산된다. 그리고, 구해진 제3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82)는 선택 수단에 출력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의 선택 수단(240)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움직임 벡터의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247)와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의 패리티(248)가, 각각 조건 판단 테이블(241)에 의해 판단되어, 선택할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선택 정보(249)가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조건 판단 테이블(241)을 이용하면, 참조처 필드 및 참조원 필드의 양방이 같은 경우에는,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4)를 선택할 선택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인 경 우에는,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5)를 선택하는 선택 정보가 출력된다. 그리고,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인 경우에는,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6)를 선택하는 선택 정보가 출력된다.
여기서,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4)는 도 16의 부호(262)에,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5)는 도 17의 부호(272)에,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6)는 도 18의 부호(282)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셀렉터(243)에서는 상술한 선택 정보(249)에 따라,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4),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5),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246)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242)로서 (MVC_x, MVC_y)를 출력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처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이 탑 필드인 경우의, 휘도 성분의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벡터를 계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의 예에서는 참조원 탑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160)를 예측하는 휘도의 움직임 벡터(MV_x, MV_y)를 (0, 1)로 한다. 이 경우, 휘도의 화소(160)의 예측에는 참조처 바텀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 위치(161)가 선택된다. 이러한 벡터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도 15의 구성에 따라, 참조원 탑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162)의 예측에 이용하기 위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구하는 과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20의 경우에는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이다. 이로부터, 도 19의 조건 판단 테이블(241)에 의해, 선택 정보(249)는 제3 색 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가 선택된다. 여기서, 수학식 5에 따르면,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는,
(MVC3_x, MVC3_y) = (MV_x/2, MV_y/2 - 1/4) = (0/2, 1/2 - 1/4) = (0, 1/4)
이 된다. 그리고, 이 값이 도 19의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242)로서 출력된다. 이 벡터(0, 1/4)를 참조원 탑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162)에 적용하면, 참조처 바텀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 위치(163)가 예측값으로서 이용되게 된다. 도 20에서는 각 화소의 세로 방향의 위치 관계는 실제의 경우에 따르고 있다. 도 2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0, 1)와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0, 1/4)는 평행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서 문제시 되어 왔던,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색차가 본 발명에 의해 해소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처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이 바텀 필드인 경우의, 휘도 성분의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벡터를 계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예에서는 참조원 바텀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170)를 예측하는 휘도의 움직임 벡터(MV_x, MV_y)를 (0, 1)로 한다. 이 경우, 참조원 바텀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170)의 예측에는 참조처 탑 필드 휘도 성분의 화소 위치(171)가 선택된다. 이러한 벡터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도 14의 구성에 따라, 참조원 바텀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172)의 예측에 이용하기 위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를 구하는 과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21의 경우에는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이다. 이로부터, 도 19의 조건 판단 테이블(241)에 의해, 선택 정보(249)는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가 선택된다. 여기서, 수학식 4에 따르면,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후보는,
(MVC2_x, MVC2_y) = (MV_x/2, MV_y/2 + 1/4) = (0/2, 1/2 + 1/4) =(0, 3/4)
이 된다. 그리고, 이 값이 도 19의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242)로서 출력된다. 이 벡터(0, 3/4)를 참조원 바텀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172)에 적용하면, 예측에 이용하는 위치로서 참조처 탑 필드 색차 성분의 화소 위치(173)가 예측값으로서 이용되게 된다. 도 21에서는 각 화소의 세로 방향의 위치 관계는 실제의 경우에 따르고 있다.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0, 1)와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0, 3/4)는 평행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서 문제시 되어 왔던,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색차가 본 발명에 의해 해소되게 된다.
여기서는, 도 20, 도 21의 예에서는 특정한 벡터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상이한 패리티 필드 사이의 예측에도, 본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휘도와 색차의 어긋남이 없는 예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참조처 및 참조원의 양 필드의 패리티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색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도 10의 종래의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2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수단(233)의 결과가 선택되어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232)로서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는 종래 기술의 결과와 동등하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 및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단위의 사용법에 따라, 수학식 3, 4, 5는 다른 식이 된다.
도 22∼도 24는 본 발명에서의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휘도 성분 움직임 벡터의 정의가 4만큼 변화했을 때에, 1화소분의 휘도 화상 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정의가 8만큼 변화했을 때에, 1화소분의 색차 화상 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였을 때, 제1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62a)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60a)에 의해, 휘도의 움직임 벡터(261a)로부터, 이하의 식,
(MVC1_x, MVC1_y) = (MV_x, MV_y)
에 따라 계산된다. 그리고, 구해진 제1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62a)는 선택 수단에 출력된다.
또한, 제2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72a)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70a)에 의해, 휘도의 움직임 벡터(271a)로부터, 이하의 식,
(MVC2_x, MVC2_y) = (MV_x, MV_y+2)
에 따라 계산된다. 그리고, 구해진 제2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72a)는 선택 수단에 출력된다.
또한, 제3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82a)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280a)에 의해, 휘도의 움직임 벡터(281a)로부터, 이하의 식,
(MVC3_x, MVC3_y) = (MV_x, MV_y-2)
에 따라 계산된다. 그리고, 구해진 제2 색차의 움직임 벡터 후보(282a)는 선택 수단에 출력된다.
또, 본 실시예는 AVC FCD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여기서의 설명은 일 실시예로, 다른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를 입력으로 하여,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생성에 이용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 의해, 휘도 정 보의 움직임 벡터 정보로부터 색차 성분의 예측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부기 2)
부기 1에 있어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으로서,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동일한 패리티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부기 3)
부기 2에 있어서,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부기 4)
부기 2에 있어서,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0.25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부기 5)
부기 2에 있어서,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0.25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부기 6)
부기 2에 있어서,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부기 7)
부기 2에 있어서,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부기 8)
부기 2에 있어서,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부기 9)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를 입력으로 하여,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생성에 이용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 의해, 휘도 정보의 움직임 벡터 정보로부터 색차 성분의 예측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부기 10)
부기 9에 있어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으로서,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동일한 패리티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부기 11)
부기 10에 있어서,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부기 12)
부기 10에 있어서,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0.25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부기 13)
부기 10에 있어서,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0.25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부기 14)
부기 10에 있어서,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부기 15)
부기 10에 있어서,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부기 16)
부기 10에 있어서,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부기 17)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복호 방법으로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를 입력으로 하여,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생성에 이용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하고,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 의해, 휘도 정보의 움직임 벡터 정보로부터 색차 성분의 예측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복호 방법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프로그램.
(부기 18)
부기 17에 있어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으로서,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동일한 패리티일 때에,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되는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되는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되는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19)
부기 18에 있어서,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20)
부기 18에 있어서,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0.25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21)
부기 18에 있어서,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1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0.25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22)
부기 18에 있어서,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23)
부기 18에 있어서,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24)
부기 18에 있어서,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은,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로 하고,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로 하였을 때,
MVCy=MVy-2
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25)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복호 방법에 있어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움직임 벡터의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를 입력으로 하여,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의 생성에 이용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하고,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에 의해, 휘도 정보의 움직임 벡터 정보로부터 색차 성분의 예측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복호 방법.
(부기 26)
부기 25에 있어서,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으로서,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동일한 패리티일 때에,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되는 제1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되는 제2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과,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되는 제3 색차 성분 움직임 벡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동화상 부호화/복호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패리티가 다른 필드 사이에서도,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와 평행한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구할 수 있어, 종래 방식에서 문제였던 휘도 성분과 색 성분의 참조 화소 위치의 어긋남 등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6)

  1.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고,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탑(Top) 필드끼리 또는 바텀(Bottom) 필드끼리일 때에는,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라고 하였을 때,
    MVCy=MVy
    로 표현되는 계산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계산 방법에 기초하여,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2.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고,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는,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 임 벡터를 MVCy라고 하였을 때,
    MVCy=MVy+2
    로 표현되는 계산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계산 방법에 기초하여,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3.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고,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는,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라고 하였을 때,
    MVCy=MVy-2
    로 표현되는 계산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계산 방법에 기초하여,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4.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고,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에 따라, 색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기 위한 계산 방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끼리 또는 바텀 필드끼리일 때에는,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라고 하였을 때,
    MVCy=MVy
    로 표현되는 계산 방법을 선택하여,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5.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고,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에 따라, 색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기 위한 계산 방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참조처 필드가 탑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바텀 필드일 때에는,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라고 하였을 때,
    MVCy=MVy+2
    로 표현되는 계산 방법을 선택하여,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6. 복수의 필드로 구성되는 동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드 사이의 움직임 보상 예측을 행하고,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의 패리티에 따라, 색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기 위한 계산 방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참조처 필드가 바텀 필드이고 참조원 필드가 탑 필드일 때에는, 참조처 필드와 참조원 필드가 상이한 패리티일 때에는, 벡터 성분의 값이 4를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휘도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y, 벡터 성분의 값이 8을 단위로 하여 필드 화상의 색차 성분의 일 화소분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MVCy라고 하였을 때,
    MVCy=MVy-2
    로 표현되는 계산 방법을 선택하여, 휘도 성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색차 성분의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KR1020070033470A 2002-09-06 2007-04-04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788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1427 2002-09-06
JPJP-P-2002-00261427 2002-09-06
JP2003289350A JP3791922B2 (ja) 2002-09-06 2003-08-07 動画像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JP-P-2003-00289350 2003-08-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1675A Division KR100918744B1 (ko) 2002-09-06 2003-09-04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742A Division KR100788569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3A Division KR100788570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803A true KR20070051803A (ko) 2007-05-18
KR100788567B1 KR100788567B1 (ko) 2007-12-26

Family

ID=31996117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1675A KR100918744B1 (ko) 2002-09-06 2003-09-04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 장치
KR1020070033470A KR100788567B1 (ko) 2002-09-06 2007-04-04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33474A KR100909127B1 (ko) 2002-09-06 2007-04-04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33472A KR100788568B1 (ko) 2002-09-06 2007-04-04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33473A KR100908955B1 (ko) 2002-09-06 2007-04-04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5A KR100788572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3A KR100788570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4A KR100788571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2A KR100788569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1675A KR100918744B1 (ko) 2002-09-06 2003-09-04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474A KR100909127B1 (ko) 2002-09-06 2007-04-04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33472A KR100788568B1 (ko) 2002-09-06 2007-04-04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33473A KR100908955B1 (ko) 2002-09-06 2007-04-04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5A KR100788572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3A KR100788570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4A KR100788571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0095742A KR100788569B1 (ko) 2002-09-06 2007-09-20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5) US8068542B2 (ko)
EP (16) EP2309753A1 (ko)
JP (1) JP3791922B2 (ko)
KR (9) KR100918744B1 (ko)
CN (1) CN1324904C (ko)
CA (4) CA2779486C (ko)
DE (1) DE6033688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1922B2 (ja) * 2002-09-06 2006-06-28 富士通株式会社 動画像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4145275B2 (ja) * 2004-07-27 2008-09-03 富士通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補償装置
CN100359953C (zh) * 2004-09-08 2008-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帧内编码的图像色度预测方法
EP1732331A1 (en) * 2005-06-08 2006-12-1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Video coding
KR100667806B1 (ko) * 2005-07-07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379723B2 (en) * 2006-06-27 2013-02-19 Intel Corporation Chroma motion vector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2009010492A (ja) * 2007-06-26 2009-01-15 Hitachi Ltd 画像復号化装置及び画像変換回路
JP4678015B2 (ja) * 2007-07-13 2011-04-27 富士通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符号化方法
NO328906B1 (no) 2007-12-19 2010-06-14 Tandberg Telecom As Fremgangsmate for forbedring av farveskarphet i video- og stillbilder
KR101291196B1 (ko) * 2008-01-25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0021496A2 (ko) * 2008-08-21 2010-02-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578775B2 (ja) 2008-09-02 2014-08-27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装置
TWI407802B (zh) * 2009-04-22 2013-09-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提升畫面品質的方法及顏色補償裝置與影像處理裝置
KR101682147B1 (ko) * 2010-04-05 201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환 및 역변환에 기초한 보간 방법 및 장치
CN101883286B (zh) * 2010-06-25 2012-12-05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运动估计中的校准方法及装置、运动估计方法及装置
JP2013121020A (ja) * 2011-12-06 2013-06-17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2017123487A1 (en) * 2016-01-15 2017-07-20 Vid Sca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motion compensation using adaptive filtering
CN108076347B (zh) * 2016-11-15 2021-11-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编码起始点的获取方法以及装置
CN107360433B (zh) * 2017-07-20 2020-06-19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帧间预测编码方法和装置
CN109068140B (zh) * 2018-10-18 2021-06-22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视频编码中运动向量的确定方法、装置及视频编解码设备
CN113412621A (zh) * 2019-03-25 2021-09-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分量的预测方法、编码器、解码器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9146T2 (de) * 1991-06-25 1999-10-28 Canon K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tektion eines Bewegungsvektors sowie Kodier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wendung eines solchen Verfahrens und Vorrichtung
JP2586260B2 (ja) * 1991-10-22 1997-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適応的ブロッキング画像符号化装置
EP0585051B1 (en) 1992-08-21 2001-03-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3381077B2 (ja) * 1992-12-04 2003-02-24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復号装置
JP2907663B2 (ja) 1992-12-21 1999-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
KR0151210B1 (ko) * 1994-09-23 1998-10-15 구자홍 엠펙2를 수용하는 반화소 움직임 보상조절장치
US6108039A (en) * 1996-05-23 2000-08-22 C-Cube Microsystems, Inc. Low bandwidth, two-candidate motion estimation for interlaced video
JPH1013731A (ja) * 1996-06-21 1998-01-16 Canon Inc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画像振れ補正装置
US5905542A (en) * 1996-12-04 1999-05-18 C-Cube Microsystems, Inc. Simplified dual prime video motion estimation
US6005980A (en) * 1997-03-07 1999-12-2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of video object planes for interlaced digital video
JP3522147B2 (ja) * 1998-04-28 2004-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ハーフト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310919B1 (en) * 1998-05-07 2001-10-30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scaling motion vector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tream decoder
US6501799B1 (en) * 1998-08-04 2002-12-31 Lsi Logic Corporation Dual-prime motion estimation engine
US6259741B1 (en) * 1999-02-18 2001-07-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of architecture for converting MPEG-2 4:2:2-profile bitstreams into main-profile bitstreams
US6519005B2 (en) * 1999-04-30 2003-02-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oncurrent multiple-mode motion estimation for digital video
JP3712906B2 (ja) 2000-02-24 2005-11-02 日本放送協会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US6940557B2 (en) * 2001-02-08 2005-09-06 Micronas Semiconductors, Inc. Adaptive interlace-to-progressive scan conversion algorithm
US6980596B2 (en) * 2001-11-27 2005-12-27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acroblock level adaptive frame/field coding for digital video content
EP1470563A2 (en) * 2002-01-25 2004-10-27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cell components and materials
JP4100067B2 (ja) 2002-07-03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情報変換方法及び画像情報変換装置
JP3791922B2 (ja) 2002-09-06 2006-06-28 富士通株式会社 動画像復号化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20732A (ja) 2004-04-15
EP1835754A2 (en) 2007-09-19
EP2293576A1 (en) 2011-03-09
EP2293576B1 (en) 2018-03-07
KR100788572B1 (ko) 2007-12-26
US20090185623A1 (en) 2009-07-23
EP1835759B1 (en) 2012-01-18
CA2779469C (en) 2012-12-04
EP1835756A3 (en) 2010-11-03
US7809062B2 (en) 2010-10-05
US20050169382A1 (en) 2005-08-04
US9001894B2 (en) 2015-04-07
KR100788567B1 (ko) 2007-12-26
US8068542B2 (en) 2011-11-29
CA2439886C (en) 2007-11-20
EP1835751B1 (en) 2013-09-11
EP2293574A1 (en) 2011-03-09
US8665957B2 (en) 2014-03-04
KR20070051806A (ko) 2007-05-18
EP1835757B1 (en) 2013-11-06
KR20070051805A (ko) 2007-05-18
EP1406448B1 (en) 2011-04-27
EP1835756A2 (en) 2007-09-19
CA2895952A1 (en) 2004-03-06
CN1324904C (zh) 2007-07-04
EP1835755A2 (en) 2007-09-19
KR20070051804A (ko) 2007-05-18
US9432677B2 (en) 2016-08-30
US20110164681A1 (en) 2011-07-07
EP1835755B1 (en) 2012-01-18
US9124886B2 (en) 2015-09-01
EP1835758A2 (en) 2007-09-19
US20050169381A1 (en) 2005-08-04
CA2779486C (en) 2016-06-07
KR20070103332A (ko) 2007-10-23
US20100208816A1 (en) 2010-08-19
US8660184B2 (en) 2014-02-25
EP1406448A3 (en) 2005-04-27
US20100208823A1 (en) 2010-08-19
KR20070103333A (ko) 2007-10-23
KR100918744B1 (ko) 2009-09-24
EP1835754A3 (en) 2010-11-03
EP2293573B1 (en) 2016-09-28
CA2779486A1 (en) 2004-03-06
EP1835758B1 (en) 2013-11-06
US7826532B2 (en) 2010-11-02
CA2779469A1 (en) 2004-03-06
EP1835759A3 (en) 2010-11-03
EP1835757A3 (en) 2010-11-03
EP1835759A2 (en) 2007-09-19
US9544609B2 (en) 2017-01-10
US8861604B2 (en) 2014-10-14
CA2895952C (en) 2016-05-24
CN1491044A (zh) 2004-04-21
EP1406448A2 (en) 2004-04-07
US9549192B2 (en) 2017-01-17
KR100788571B1 (ko) 2007-12-26
KR20070103334A (ko) 2007-10-23
KR20070103335A (ko) 2007-10-23
KR100908955B1 (ko) 2009-07-22
US20090190663A1 (en) 2009-07-30
US8509307B2 (en) 2013-08-13
US20100208824A1 (en) 2010-08-19
EP1835753A2 (en) 2007-09-19
EP2309753A1 (en) 2011-04-13
US20150365677A1 (en) 2015-12-17
US8654851B2 (en) 2014-02-18
EP2293575A1 (en) 2011-03-09
US20070165722A1 (en) 2007-07-19
US8976868B2 (en) 2015-03-10
US20160127735A1 (en) 2016-05-05
KR100909127B1 (ko) 2009-07-23
US20070165721A1 (en) 2007-07-19
US20140369418A1 (en) 2014-12-18
EP1835751A2 (en) 2007-09-19
CA2439886A1 (en) 2004-03-06
EP2293573A1 (en) 2011-03-09
DE60336880D1 (de) 2011-06-09
US20040047420A1 (en) 2004-03-11
EP2293574B1 (en) 2017-01-25
EP1835752A2 (en) 2007-09-19
EP1835757A2 (en) 2007-09-19
EP1835753B1 (en) 2013-11-06
KR100788569B1 (ko) 2007-12-26
EP2309752A1 (en) 2011-04-13
US20050147171A1 (en) 2005-07-07
JP3791922B2 (ja) 2006-06-28
EP1835751A3 (en) 2010-11-03
EP1835753A3 (en) 2010-11-03
KR20040022171A (ko) 2004-03-11
EP1835754B1 (en) 2013-11-13
EP1835752A3 (en) 2010-11-03
US8665956B2 (en) 2014-03-04
EP1835755A3 (en) 2010-11-03
EP1835758A3 (en) 2010-11-03
KR100788568B1 (ko) 2007-12-26
KR100788570B1 (ko)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567B1 (ko)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JP3946722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3946760B1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装置
JP3946759B1 (ja) 動画像復号化方法及び動画像復号装置
JP3946761B1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装置
JP3946758B1 (ja) 動画像復号化方法及び動画像復号化装置
JP3946723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3946721B2 (ja) 動画像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