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648A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648A
KR20070051648A KR1020060047810A KR20060047810A KR20070051648A KR 20070051648 A KR20070051648 A KR 20070051648A KR 1020060047810 A KR1020060047810 A KR 1020060047810A KR 20060047810 A KR20060047810 A KR 20060047810A KR 20070051648 A KR20070051648 A KR 2007005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positive electrode
pixel
substr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4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1648A/ko
Publication of KR2007005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부와 패드부로 구분되어 있는 기판; 기판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되, 투명 기판의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양전극 패턴과, 제1 양전극 패턴 상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와, 제1 양전극 패턴과 직교하도록 제1 화소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음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널; 및 기판의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되, 기판의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양전극 패턴과, 제2 양전극 패턴 상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되, 제1 화소보다 큰 크기와 제1 화소보다 적은 개수를 갖는 제2 화소와, 제2 양전극 패턴과 직교하도록 제2 화소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음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디스플레이, 화소 크기, 화소 수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t emit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102, 110 : 양전극 패턴
104, 112 : 음전극 패턴 106, 114 : 데이터 라인
108, 116 : 스캔라인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isplay device)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중 하나로 웨이퍼 상의 양전극층(anode layer)과 음전극층(cathode layer) 사이에 유기 발광층인 유기 박막층을 개재하여 구성하며, 매우 얇은 두께의 매트릭스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좁은 광 시야각, 느린 응답 속도 등 종래에 LCD에서 문제로 지적 되어 온 결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예컨대, 'TFT LCD'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화질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패널은 균일한 크기(size) 및 개수를 가지는 화소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고해상도를 요하지 않는 영역에도 이러한 균일한 화소가 적용됨에 따라 패널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스캔라인의 저항 증가와 이로 인한 전압강하 등으로 인해 소비전력의 상승을 초래하면서 패널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패널을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 다른 크기 및 개수를 갖는 화소를 형성하여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낮은 소비전력과 최소의 구동회로를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부와 패드부로 구분되어 있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투명 기판의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양전극 패턴과, 상기 제1 양전극 패턴 상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와, 상기 제1 양전극 패턴과 직교하 도록 상기 제1 화소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음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기판의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기판의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양전극 패턴과, 상기 제2 양전극 패턴 상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 화소보다 큰 크기와 상기 제1 화소보다 적은 개수를 갖는 제2 화소와, 상기 제2 양전극 패턴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2 화소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음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전극 패턴 또는 제2 양전극 패턴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양전극 패턴은 상기 제1 양전극 패턴보다 더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음전극 패턴 또는 제2 음전극 패턴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부와 패드부로 구분되어 있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x)를 포함하는 제1 패널(A)과, 기판(100)의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화소(x)보다 크기(size)는 크고, 상기 제1 화소(x)보다 더 작은 수의 제2 화소(y)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패널(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판(100)은 일반적으로 글래스(glass)를 포함하는 투명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디오의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때 제1 패널(A)은 오디오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일반 화상 영역을 나타내며, 제2 패널(B)은 오디오의 음량 조절 영역을 나타낸다.
기판(10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패널(A) 상에는, 기판(100)의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양전극 패턴(102)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양전극 패턴(102)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양전극 패턴(102) 위에는 격자 형태로 제1 화소(x)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화소(x)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평면으로 보아 격자 형상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제1 양전극 패턴(x) 상에 화소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정의하는 절연층 패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화소(x)는 제1 양전극 패턴(102)과 직교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며, 이후 공정에서 형성되는 제1 음전극 패턴이 인접 구성 요소와 단락이 되지 않도록 오버행(overhang)구조를 갖는 격벽층으로 분리되고, 절연층 패턴에 의해 형성된 화소 개구부 상에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 전계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이 배치된다.
제1 화소(x) 상에는 상기 제1 양전극 패턴(102)과 직교하여 배치되는 제1 음전극 패턴(10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음전극 패턴(104)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금속물질로 단일층 또는 두개 이상의 층을 가지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 기판(10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x)를 포함하는 제1 패널(A)을 구동하기 위해, 기판(100)의 패드부 상에는, 제1 패널(A)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데이터라인(106)과, 상기 제1 데이터라인(106)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1 패널(A)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스캔라인(108)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스캔라인(108) 또는 제1 데이터라인(106)은 제1 양전극 패턴(102)과 함께 형성할 수 있고, 제1 양전극 패턴(102)과 마찬가지로 ITO 등의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판(100)의 패드부에 형성된 제1 데이터라인(106) 및 제1 스캔라인(108)은 이후 드라이브 IC와 연결되어 패드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함으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한다.
다음에 기판(100)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패널(B) 상에는, 기판(100)의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양전극 패턴(110)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양전극 패턴(11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양전극 패턴(110)은 제1 패 널(A) 상에 형성된 제1 양전극 패턴(102)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 양전극 패턴(110) 상에는 격자 형태로 제2 화소(y)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화소(y)는 상기 제1 패널(A)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화소(x)보다 사이즈는 크고, 상기 제1 화소(x)보다 적은 수의 화소로 형성된다. 이때, 제2 화소(y)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평면으로 보아 격자 형상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제2 양전극 패턴(110) 상에 화소개구부를 정의하는 절연층 패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양전극 패턴(110)과 직교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며, 이후 공정에서 형성되는 제2 음전극 패턴이 인접 구성 요소와 단락이 되지 않도록 오버행(overhang)구조를 갖는 격벽층으로 분리되고, 절연층 패턴에 의해 형성된 화소개구부 상에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 전계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이 배치되어 있다.
제2 화소(y) 상에는 상기 제2 양전극 패턴(110)과 직교하여 배치되는 제2 음전극 패턴(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음전극 패턴(112)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금속물질로 단일층 또는 두개 이상의 층을 가지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 기판(10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화소(y)를 포함하는 제2 패널(B)을 구동하기 위해, 기판(100)의 패드부 상에는, 제2 패널(B)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데이터라인(114)과, 상기 제2 데이터라인(114)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패널(B)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스캔라인(116)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스캔라인(116) 또는 제2 데이터라인(114)은 제2 양전극 패턴(110)과 함 께 형성할 수 있고, 제2 양전극 패턴(110)과 마찬가지로 ITO 등의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판(100)의 패드부에 형성된 제2 데이터라인(114) 및 제2 스캔라인(116)은 이후 드라이브 IC와 연결되어 패드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함으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한다.
제1 패널(A)은 오디오의 디스플레이에 있어 일반 화상 영역으로서 음량 조절 영역보다 더 많은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제2 패널(B)은 오디오의 디스플레이에 있어 음량 조절 영역으로서 일반 화상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화소만으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화상 영역은 음량 조절 영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해상도를 갖도록 화소의 크기(size)는 상대적으로 더 작고, 화소의 수는 더 많게 배치되고, 음량 조절 영역은 고해상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화소의 크기는 크고, 화소의 수는 더 적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0)의 제1 양전극 패턴(102)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x)는, 제2 패널(B)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화소(y)보다 화소의 크기(size)는 상대적으로 더 작고, 화소의 수는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소의 수가 더 많이 형성됨에 따라 제1 패널(A) 상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전기적 구동을 위한 제1 데이터라인(106) 및 제1 스캔라인(108)과 같은 배선의 수도 제2 패널(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패널(B)의 제2 화소(y)를 구동하기 위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2 데이터라인(114) 및 제2 스캔라인(116)과 같은 배선의 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선의 수가 감소하면, 저항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낮은 소비전력을 요하면서 신뢰성은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보다 데이터 라인이 감소함에 따라 종래의 경우보다 드라이브 IC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오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패널을 일반 화상 영역 및 음량 조절 영역을 분리하여 각각 다른 크기 및 개수를 갖는 화소를 형성함으로써 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배선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낮은 소비전력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의 디스플레이에 있어 일반 화상 영역 및 음량 조절 영역을 분리하여 크기 및 개수를 다르게 한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상기 오디오의 디스플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해상도를 요하는 영역과, 고해상도를 요하지 않는 영역을 동시에 구동하려는 디스플레이에 이용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의하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패널을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 다른 크기 및 개수를 갖 는 화소를 형성하여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낮은 소비전력과 최소의 구동회로를 사용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발광부와 패드부로 구분되어 있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투명 기판의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양전극 패턴과, 상기 제1 양전극 패턴 상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 화소와, 상기 제1 양전극 패턴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화소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음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널;
    상기 기판의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기판의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양전극 패턴과, 상기 제2 양전극 패턴 상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 화소보다 큰 크기와 상기 제1 화소보다 적은 개수를 갖는 제2 화소와, 상기 제2 양전극 패턴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2 화소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음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전극 패턴 또는 제2 양전극 패턴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양전극 패턴은 상기 제1 양전극 패턴보다 더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전극 패턴 또는 제2 음전극 패턴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60047810A 2006-05-26 2006-05-26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70051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810A KR20070051648A (ko) 2006-05-26 2006-05-26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810A KR20070051648A (ko) 2006-05-26 2006-05-26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648A true KR20070051648A (ko) 2007-05-18

Family

ID=3827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810A KR20070051648A (ko) 2006-05-26 2006-05-26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16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5085B2 (en) Array substrate for narrow frame desig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9309101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60013251A1 (en) El display device
US841567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102569675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5196167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8070873A (ja) 平板表示装置
CN105355646A (zh)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11011174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54009B2 (en) Display device
US767153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6111487B2 (ja) El表示装置
US807684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20230165091A1 (en) Display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07184256A (ja) デュアルパネルタイプ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237695A1 (en) Oled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led display panel
CN111415972B (zh) 一种oled显示面板
KR2017008030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2308A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230354655A1 (en) Display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JP2022098895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74804A1 (ja) 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632525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및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 형성 방법
KR20070051648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68711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