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025A -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025A
KR20070051025A KR1020050108385A KR20050108385A KR20070051025A KR 20070051025 A KR20070051025 A KR 20070051025A KR 1020050108385 A KR1020050108385 A KR 1020050108385A KR 20050108385 A KR20050108385 A KR 20050108385A KR 20070051025 A KR20070051025 A KR 20070051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pop noise
output
sound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1025A/ko
Publication of KR2007005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51Pulse width modulation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Digital Sound Processing: DSP) IC를 구비한 오디오 출력장치의 전원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기 위한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팝 노이즈 제거장치는, 전원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리셋부, 전원리셋신호 및 대기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전원리셋신호 및 대기전원 각각의 신호레벨을 확인하여,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의 사운드 출력 조정 시퀀스(sequence)를 맞추기 위한 시퀀스 조정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검전기(voltage detector)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입력 전원 불안정 시에도 검전기가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에 시퀀스 조정 신호를 정상적으로 제공하여,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전원리셋회로, 팝 노이즈(pop noise),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digital sound processing) IC

Description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eliminating pop noise on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기 위한 회로,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팝 노이즈 제거장치에 의한 팝 노이즈 제거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전원리셋부 120: 입력부
130: 검전기(voltage detector)
본 발명은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는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전기(voltage detector)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는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원 온/오프 시 전원이 불안정하면 오디오 블럭이 안정화되지 못하여, 사운드 출력에 원하지 않는 신호, 즉 팝 노이즈(pop noise)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팝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의 오디오 출력장치에서는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DSP) IC 포트 중 PWM 제어포트에 검전기(voltage detector)를 연결하여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였다. 이에 따라, PWM제어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시퀀스조정신호에 따라 오디오 앰프의 출력을 제어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퀀스조정신호가 하이(high)일 때는 오디오 앰프로 사운드신호를 출력하고, 로우(low)일 때는 사운드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종래의 오디오 출력장치에 사용되는 검전기(voltage detector)에는 2차측전원 D3.3V_1, 대기전원 3.3VA-M1, 및 사운드 리셋신호 단자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레벨이 하이(high)일 때는 시퀀스 조정 신호를 출력하고, 로우(low)일 때는 출력하지 않는다.
하지만, 종래의 오디오 출력장치에서는, 전원 온/오프 동작이 짧은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팝 노이즈가 여전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검전기는 입력전원이 일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기 전까지는 로우(low) 상태로 그 신호를 유지하기 때문에 2차측 전원이 불안정하거나 갑자기 로우(low)에서 하이(high), 또는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변하게 되면, 오디오앰프 내부에 있는 FET, TR 등과 같은 소자가 갑자기 턴온(turn-on)되거나,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퀀스 조정 신호가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에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게 되므로, 팝 노이즈(pop noise)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리셋부에서 출력되는 전원리셋신호를 이용하여 검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전원 온/오프 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Digital Sound Processing: DSP) IC를 구비한 오디오 출력장치의 전원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기 위한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는, 소정의 전원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리셋부,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대기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상기 대기전원 각각의 신호레벨을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의 사운드 출력 조정 시퀀스(sequence)를 맞추기 위한 시퀀스 조정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검전기(voltage detecto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전기(voltage detector)는,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대기전원의 신호레벨이 모두 하이(high)라고 확인되면, 상기 시퀀스조정신호를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전기(voltage detector)는,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 상에서 오디오 앰프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PWM 제어 포트로 상기 시퀀스 조정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가 상기 시퀀스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 출력 앰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리셋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전원 온/오프 여부에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상기 전원리셋신호를 상기 검전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Digital Sound Processing: DSP) IC를 구비한 오디오 출력장치의 전원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기 위한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방법은, 전원 온/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에 연결된 검전기로 전원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검전기가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대기전원의 신호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전기가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상기 대기전원의 신호레벨이 모두 하이(high)라고 확인하면,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로 사운드 출력 시퀀스(sound output sequence)를 맞추기 위한 시퀀스조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가 상기 시퀀스 조정 신호에 따라 오디오 앰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는 전원리 셋부(110), 입력부(120), 검전기(130)를 포함한다. 본 팝 노이즈 제거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의 사운드 블럭 등과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원리셋부(110)는 종래의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2차측 전원이 불안정할 때 시스템을 리셋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회로로 사용되었다. 본 팝 노이즈 제거장치에서는 전원리셋부(110)가 2차측 전원 불안정 시에 시스템을 리셋하는 작업 이외에 입력부(120)로 전원리셋신호를 제공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본 팝 노이즈 제거장치에서는, 종래의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검전기에 연결하여 아날로그 리셋 신호(ANALOG_nRST)를 제공하던 아날로그 리셋 회로 대신 전원리셋부(110)를 사용한다. 전원리셋부(110)는 오디오 출력장치의 전원 온/오프 여부에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전원리셋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리셋부(110)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가장 먼저 반응하여 전원리셋신호를 출력하고, 반대로 전원 오프 신호 입력시에도 가장 먼저 반응하여 전원리셋신호를 차단한다. 전원리셋신호는 펄스 신호 형태로 구현된다.
입력부(120)는 전원리셋부(110)에서 출력되는 전원리셋신호와 대기전원을 입력받아 검전기(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대기 전원은 별도의 대기전원회로(미도시)로부터 입력받는다. 한편, 종래의 팝 노이즈 제거장치와는 달리 입력부(120)는 2차측 전원과 분리된다. 이에 따라, 2차측 전원의 불안정으로 인해 팝 노이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검전기(130)는 입력부(120)로부터 들어오는 두 신호의 신호레벨을 확인하여, 사운드 처리 시퀀스를 맞추는 소정의 시퀀스조정신호의 출력여부를 결정한다. 검전 기(130)는 그라운드 단자,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구비하며, 입력부(120)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 즉 대기전원 및 전원리셋신호는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검전기(130)는 대기전원과 전원리셋신호가 모두 하이(high)일 때 소정의 시퀀스조정신호를 출력하며, 두 신호 중 하나의 신호가 로우(low)일 때에는 그라운드로 빠져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출력되는 소정의 리셋신호는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Digital Sound Processing: DSP) IC의 오디오 앰프 출력을 제어하는 포트, 즉, PWM 제어포트를 통해 입력된다. 시퀀스 조정 신호도 펄스 신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리셋부(110)는 전원 온/오프 여부에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전원리셋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원 온되면 가장 먼저 전원리셋신호를 공급하므로, 검전기(130)는 정상적으로 시퀀스 조정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는 오디오 앰프의 출력을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전원 오프시에도 가장 먼저 전원리셋신호를 차단하므로, 시퀀스 조정 신호의 출력도 차단된다. 이에 따라, 오디오 앰프의 출력도 차단되므로 팝 노이즈(pop noise)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 2에 따르면, 입력부(120)는 대기전원(stand-by) 및 전원리셋부(11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대기전원은 3.3VA-M1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대기전원과의 사이에서는 2 ㏀정도의 저항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리셋부(110)는 리셋IC 및 다수의 저항,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리셋부(11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원리셋회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검전기(130)는 1번 입력단자를 통해 3.3VA-M1인 대기전원과 전원리셋부(110)에서 출력되는 전원리셋신호를 입력받게된다. 입력받은 두 신호를 감지하여 두 신호의 레벨이 모두 하이(high)라면 시퀀스 조정 신호를 3번 출력단자를 통해 DSP(미도시)로 출력한다. 즉, 검전기(130)가 두 신호를 모두 하이(high) 레벨로 판단하면, 하이레벨 형태의 시퀀스 조정 신호가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의 PWM 제어포트로 입력된다. 따라서, 오디오 앰프 출력에 팝 노이즈(pop nois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입력된 두 신호 중 하나의 신호레벨이 로우(low)라면 2번 그라운드 단자로 빠지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팝 노이즈 제거장치에 의한 팝 노이즈 제거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변화, 세로축은 전압크기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 RESET 그래프는 시퀀스조정신호의 파형 그래프이고, DSP IC 출력은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로부터 오디오 앰프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 파형 그래프이며, SPK OUT 그래프는 스피커 출력 전압 파형 그래프를 의미한다.
도 3a는 종래의 오디오 출력장치의 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를 보면 그라운드 레벨이 4V일 때, 종래의 2차측 전원의 불안정으로 시퀀스조정신호에서 원치 않는 신호(B)가 발생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피커 출력 에서도 팝 노이즈(A)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3b는 본 팝 노이즈 제거장치가 적용된 오디오 출력장치의 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에 따르면, 전원 온/오프가 이루어져, 시퀀스 조정 신호 및 DSP IC 출력 신호가 변화되더라도 SPK OUT에서 팝 노이즈(pop noise)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 신호 레벨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원이 온(on)되면(S410), 전원리셋부(110)는 가장 먼저 반응하여 전원리셋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검전기(130)는 전원리셋신호 및 스탠바이 전원을 입력받게 된다(S420).
검전기(130)는 전원리셋신호 및 스탠바이 전원의 신호 레벨을 확인하여, 모두 하이 레벨인지 판단한다(S430). 하이 레벨이라고 판단되면, 사운드 출력 시퀀스를 맞추기 위한 소정의 시퀀스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S440). 시퀀스 조정 신호는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는 오디오 앰프의 출력을 제어한다(S450). 결과적으로, 팝 노이즈(pop nois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두 신호 중 하나의 신호가 로우(low)라면, 검전기(130)는 시퀀스 조정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의 PWM 제어 포트에는 시퀀스 조정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오디오 앰프의 출력도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팝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리셋부(110)는 전원 온 시에 가장 먼저 활성화되어 전원리셋신호를 출력하고, 전원 오프시에 가장 먼저 비활성화되어 전원리셋신호를 차단하게 되므로, 전원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검전기(1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팝 노이즈가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온/오프시에 과도 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검전기(voltage detector)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기전원 및 전원리셋신호를 검전기(voltage detector)가 감지하여 출력되는 소정의 리셋신호로 사운드 앰프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사운드 온/오프시에 발생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Digital Sound Processing: DSP) IC를 구비한 오디오 출력장치의 전원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기 위한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전원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리셋부;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대기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상기 대기전원 각각의 신호레벨을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의 사운드 출력 조정 시퀀스(sequence)를 맞추기 위한 시퀀스 조정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검전기(voltage dete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전기(voltage detector)는,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대기전원의 신호레벨이 모두 하이(high)라고 확인되면, 상기 시퀀스조정신호를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전기(voltage detector)는,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 상에서 오디오 앰프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PWM 제어 포트로 상기 시퀀스 조정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가 상기 시퀀스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 출력 앰프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리셋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전원이 온/오프 여부에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상기 전원리셋신호를 상기 검전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장치.
  5.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Digital Sound Processing: DSP) IC를 구비한 오디오 출력장치의 전원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기 위한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에 연결된 검전기로 전원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검전기가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대기전원의 신호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전기가 상기 전원리셋신호 및 상기 대기전원의 신호레벨이 모두 하이(high)라고 확인하면,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로 사운드 출력 시퀀스(sound output sequence)를 맞추기 위한 시퀀스조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싱 IC가 상기 시퀀스 조정 신호에 따라 오디오 앰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방법.
KR1020050108385A 2005-11-14 2005-11-14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51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385A KR20070051025A (ko) 2005-11-14 2005-11-14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385A KR20070051025A (ko) 2005-11-14 2005-11-14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025A true KR20070051025A (ko) 2007-05-17

Family

ID=3827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385A KR20070051025A (ko) 2005-11-14 2005-11-14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10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8793B2 (en) Apparatus and muting circuit
EP2091145B1 (en) Pop noise suppression apparatus and audio output system utilizing the same
US4301330A (en) Loudspeaker protection circuit
EP1006650B1 (en) BTL amplifier apparatus
US5488258A (en) Circuit for muting noises in a power amplifier
US4427951A (en) Protective device for power amplifier
US68858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und function of a computer system
WO2017168923A1 (ja) 音響処理装置、音響制御装置および音響制御方法
US10630240B2 (en) Amplifier, audio device and control method
KR950003136B1 (ko) 전력증폭장치
KR20070051025A (ko)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JP2007336310A (ja) 音響ミュート回路の制御装置
US20030067350A1 (en) Audio amplifying circuit
US20060176111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udio mute control circuit
US20040196099A1 (en) Audio amplifier circuit
JP2009219015A (ja) 過電流保護回路及びd級アンプ
JP2006332994A (ja) 増幅回路
CN211352368U (zh) 音响设备及其功放系统、静音电路
JPH06104664A (ja) オーディオ用パワーアンプic
KR100860022B1 (ko) 팝 노이즈 발생 방지 장치
KR0158616B1 (ko) 자동 제어 녹음 회로 오동작 방지 회로가 부가된 녹음/재생 제어 신호 발생장치
KR200165699Y1 (ko) 티브이의 이상잡음 방지회로
JP2004274865A (ja) 過電流保護回路
JP2000066628A (ja) Pwm制御システム
KR19980029508U (ko)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