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498A - 데이터 단말기 액세스 제어 - Google Patents

데이터 단말기 액세스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498A
KR20070050498A KR1020077007735A KR20077007735A KR20070050498A KR 20070050498 A KR20070050498 A KR 20070050498A KR 1020077007735 A KR1020077007735 A KR 1020077007735A KR 20077007735 A KR20077007735 A KR 20077007735A KR 20070050498 A KR20070050498 A KR 2007005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cess
processor
loca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801B1 (ko
Inventor
잔 칩체이스
라파엘 그리그나니
겐이치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5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기는 동작 위치 및 공유 위치를 가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대한 액세스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가정된 위치에 의존하여 제어된다. 동작 위치에서 최대 액세스가 존재한다.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개인적인 그리고/또는 기밀 데이터에 대한 고의적인 또는 우발적인 액세스의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공유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의 소유자가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상기 단말기를 제공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액세스가 제한된다.

Description

데이터 단말기 액세스 제어{Data terminal access control}
본 발명은 단말기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적인(private) 그리고/또는 기밀 정보를 포함하고 비-개인적인(non-private) 또는 비-기밀 정보, 예를 들어 공유하기에 적합한 정보를 공유하는데 사용되는 단말기들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 및 증가하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PDA)과 같은 단말기들 및 이동 전화들은, 예를 들어 사진, 비디오, 메시지를 보여주거나 비디오 게임을 하는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단말기들상의 상기 데이터의 몇몇은 공유하기에 적합하고, 반면에 은행 예금 내역서, 신용 카드 정보, 어떤 메시지 등과 같은 다른 정보는 개인적인(private) 그리고/또는 기밀 사항이다.
이미지 및 비디오 캡처는 상기 이미지/비디오 캡처시 다른 사람들 및 함께 콘텐트를 브라우징하는 것을 수반하므로, 매우 사교적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광범위한 사회적 상황에서 휴대되고, 따라서 동료 그룹 또는 비-동료 그룹과 공유하기 위한 많은 계획된 그리고 계획되지 않은 기회들이 존재한다. 콘텐트를 브라우징하는 것은 캡처링 장치 주위에 모여 있는 모든 사람 또는 그룹에서 상기 단말기 를 넘겨 주는 모든 사람을 수반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소유자)가 일단 상기 단말기를 넘겨 준 경우, 그/그녀는 상기 그룹의 사회적인 규칙들에 의지하지만, 필수적으로 그/그녀는 브라우징동안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액세스되는 데이터에 대해 거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상기 그룹내의 사람들은 그들에게 의도되지 않은 정보를 고의적으로 또는 우발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은 단말기들의 소유자들이 그들의 단말기를 넘겨 주는 것을 삼가하게 하므로, 상기 장치의 모든 가능한 사용을 이용하지 않게 한다. 그 결과 개인적인 정보를 폭로할 위험 그리고 정보, 특히 동적인 목록들을 삭제 또는 기록할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단말기가 공유하기에 적합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인도된 경우 개인적인 그리고/또는 기밀 정보에 대한 인가받지 않은 액세스를 방지하는 방법 및 단말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관된 메모리,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다른 단말기 구성요소에 관해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 및 상기 다른 단말기 구성요소에 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상기 제어기와 연관된 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어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다른 단말기 구성요소에 관해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가 제공되는 단말기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제1 위치에서 제1 액세스 레벨로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제2 위치에서 제2 액세스 레벨로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들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닫힌 위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동작 위치에서 도 1의 단말기의 투시도이다.
도 3은 공유 위치에서 도 1의 단말기의 투시도이다.
도 4는 카메라 위치에서 도 1의 단말기의 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도 1의 단말기에 있는 위치 센서의 절단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제어 절차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핸드 포터블 전화의 형태인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바람직하기로는 셀룰러/이동 전화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라는 용어는 프로세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모든 휴대용/이동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라는 용어하에 있는 다른 단말기들의 예들은 커뮤니케이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및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동 전화(1)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 전화(1)는, 힌지(23)에 대해 접을 수 있고 스위블(24)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두개의 하우징 부분들을 구비하는, 소위 스위블 형태이다. 제1 하우징부(5)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5)에는 3×4(ITU-T) 문자숫자 키패드(2)가 제공되며 호 처리 키들(1)(온-후크 및 오프-후크)이 제공된다. 카메라 스위치(21) 및 라우드니스 토글 스위치(12)는 상기 제1 하우징부(5)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하우징부는 또한 마이크로폰(7)(도 5에만 도시됨), 충전기 커넥터(26) 및 팝-포트(Pop-Port)(상표명)(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우징부(6)는 디스플레이(3), 온/오프 버튼(4), 이어폰(8)(단지 개구부들만이 도시됨), 상기 디스플레이(3)의 바로 아래에 있는 두개의 다중기능 소프트키들(9), 상기 디스플레이(3) 아래 가운데에 배치된 4방향 플러스 선택 키(10), 클리어 키(13), (텍스트 편집 및 마킹을 위한) 마킹 키(14), 메뉴 키(15) 및 디지털 카메라(22)(단지 카메라 렌즈만이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전화는 여기에 참조로써 포함되어 있는, 예를 들어 노키아 6260(등록상표) 전화 및 부속 사용자 가이드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잘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상기 소프트키들(9)을 통해 액세스되는 계층 메뉴로 동작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기 이동 전화(1)는 GSM 900/1800 MHz 네트워크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지만,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또는 (예를 들어 WLAN, WIMAX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를 통한) TCP/IP-기반 네트워크와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는 전형적으로 컬러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는 TFT 매트릭스와 같은, 선택적인 백 라이팅을 지닌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부(5)에서 해제가능한 후면 커버(미도시)는 SIM 카드 슬롯, 메모리 카드 슬롯 및 상기 이동 전화의 전기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뒤에 있는 충전가능한 배터리 팩(미도시)용 슬롯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상부 하우징부(6)는 힌지(23)에 대해 선회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닫힌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동작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제2 하우징부(6)를 180°이상 선회시키고 상기 제2 하우징부를 뒤로 접음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공유 위치로 배치된다. 상기 공유 위치에서 상기 키패드(2) 및 호 처리 키들(11)은 액세스될 수 없다.
도 4는 카메라 위치에서 상기 이동 전화(1)를 가지고 선회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이동 전화(1)의 하드웨어 구조를 블록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18)는 송신기/수신기 회로(19) 및 내부 안테나를 통 해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마이크로폰(7)은 사용자의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그것에 의해 형성된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 음성이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20)(DSP)에서 부호화되기 전에 A/D 변환기(미도시)에서 A/D 변환된다. 상기 부호화된 음성 신호는, 예를 들어 GSM 단말기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프로세서(18)로 전송된다. 상기 프로세서(18)는 또한 (데이터, 전원 등 뿐만 아니라) 램 메모리(17a), 플래시 롬 메모리(17b), 메모리 카드(17c), SIM 카드(16), 상기 디스플레이(3), 상기 팝-포트(상표명), 위치 센서(27), 단거리(블루투스(등록상표)) 송신기/수신기(28), 상기 디지털 카메라(22), 상기 키패드(2) 및 키들(4, 9-15, 21)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의 주변 유닛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또한 형성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20)은 D/A 변환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8)로부터 상기 이어폰(8)으로 전송된, 신호를 음성 복호화한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 센서(27)는 힌지(23)에 대한 이동을 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28) 및 스위블(24)에 대한 이동을 탐지하기 위한 다른 마이크로-스위치(29)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들(28, 29)은 각각 상기 힌지 및 스위블 축들상에 장착된 캠(30, 31)에 의해 활성화된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들(28, 29)은 상기 이동 전화의 하우징부들(5, 6)에 장착된다. 각 캠(30, 31)은 이용가능한 회전 각도의 어떤 부분을 위해 상기 각 마이크로 스위치(28, 29)를 활성화시키도록 또는 하나보다 많은 이산 위치로 각 마이크로-스위치를 활성화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5b에서 마이크로-스위치(28)는 활성화되지 않고, 반면에 마이크로-스위치(29)는 도 5c에서 활성화된다. 상기 프로세서(18)는 동시에 두개의 스위치-상태들의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들(5, 6)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 의하면 상기 센서들은 마지막 위치들을 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중간 위치들을 탐지할 수 있고 전위차계와 같은 회전 센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8)는 위치 센서(27)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전화에서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 기능에 대한 액세스 레벨을 변경한다. 디폴트 구성에서, 사용자는 동작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 기능들에 대한 최대 액세스를 가지며, 반면에 공유 위치에서 액세스는 제한된다. 제한된 액세스는 반드시 특징들 및 위치들의 보다 적은 선택일 필요는 없는데, 즉 제한된 액세스 모드에서 프라이버시 또는 기밀을 유지하면서 공유하기에 더 적합한, 주어진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버전이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이 다른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파일들을 삭제하기 위한 기능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 버전에서 반드시 이용가능할 필요는 없는 슬라이드 쇼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의 상기 디스플레이(3)의 방향 변경은 상기 이동 전화(1)의 소유자에 의해 (그리고 방관자-사회적인 제어에 의해)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는데, 그/그녀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누군가에게 이동 전화(1)를 빌려야 했다면, 상기 방향 변경은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액세스 레벨을 변경하는 프로세스가 흐름도의 형태로 설명된다. 단계 6.1에서 위치 센서(27)로부터의 신호가 감시된다. 단계 6.2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가 동작 위치에 있는지가 결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가 동작 위치에 있는 경우 단계 6.3에서 현재의 액세스 레벨이 제한된 액세스 레벨인지가 결정된다. 현재의 액세스 레벨이 제한된 액세스 레벨이 아닌 경우, 단계 6.4에서 최대 액세스 레벨이 활성화된다.
단계 6.3에서 현재의 액세스 레벨이 제한된 액세스 레벨인 경우, 단계 6.5에서 액세스 코드가 요구된다. 단계 6.6에서 상기 액세스 코드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가 결정된다. 단계 6.6에서 상기 액세스 코드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단계 6.4에서 최대 액세스 레벨이 활성화된다. 단계 6.6에서 상기 액세스 코드가 부정확하게 입력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단계 6.7에서 제한된 액세스 레벨이 설정된다. 상기 액세스 코드 단계들 6.5 및 6.6은 생략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이것은 사용자가 메뉴를 통해 활성화할 수 있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는 특징일 수 있다) 다른 형태의 검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검증은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객체 등과 같은 다른 장치에 근접한, 지문 검사(이 경우 상기 전화에는 지문 센서(미도시)가 제공될 것이다)와 같은 생체 판독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2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가 동작 위치에 있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단계 6.8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가 공유 위치에 있는지가 결정된다. 단계 6.8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공유 위치에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제한된 액세스 레벨이 단계 6.7에서 결정된다. 단계 6.8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공유 위치에 있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는 닫힌 위치에 있거나 (카메라 위치와 같은) 어떤 중간 위치에 있다고 가정되고 액세스 레벨에 대한 아무런 변경도 수행되지 않는다.
단계들 6.4, 6.7 및 6.8 이후에 상기 프로세스는 위치 센서(27)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기 위하여 단계 6.1로 복귀한다.
상기 전화에서 제한된 액세스 레벨 또는 레벨들은 고정될 필요는 없고, 사용자 설정될 수 있거나 상기 디스플레이(3)가 공유 위치로 이동되는 때에 상기 이동 전화상에서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의존할 수 있다. 공유 위치가 가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진 표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현재의 폴더내의 이미지들을 브라우징하고, 주밍하며 보기 위하여 단지 이용가능한 기능만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의 소유자가 상기 이동 전화를 다른 누군가에게 넘겨 주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동작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은 공유가 의도되지 않은 파일들을 고의적으로 또는 우발적으로, 삭제하거나 액세스할 수 없다. 단계 6.5의 액세스 코드 요구가 활성화되지 않을지라도 상기 이동 전화(1)의 소유자는 상기 디스플레이(3)의 공유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의 변경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어서 액세스 남용의 잠재적인 위험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1)가 다른 단말기들과 상기 이동 전화(1)상의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접속을 통해 다른 단말기들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이동 전화(1)에 대한 액세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액세스에 대해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전화(1)의 소유자는 공유 위치에서 다른 단말기들과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파일들을 온라인으로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를 통해, 예를 들어 "메뉴(Menu)" > "설정(Settings)" > "디스플레이 설정(Display Settings)" 아래에 있는 옵션에서 제한된 액세스 레벨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들 설정들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특정 애플리케이션들;
특정 위치, 예를 들어 특정 폴더, 드라이브 또는 메모리 카드에 있는 콘텐트;
단지 특정 뷰잉 모드에서, 예를 들어 이미지들을 볼 때 단지 풀 스크린에서;기능 제한이 있거나 없이, 단지 특정 파일; 예를 들어 단지 특정 SMS는 어떤 편집 또는 응답, 기능 등 없이 볼 수 있다;
공유 위치에서 이용가능한 디폴트 콘텐트 및 애플리케이션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브라우징될 수 있는 비디오, 스틸 이미지 및 오디오 콘텐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사진을 촬영하거나 비디오를 찍을 수 있다;
호들은 수신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발신될 수 없다.
정상 모드를 다시 가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보안 기준은 RFID 키(RF 태그에 저장된 코드에 기반하는 식별)로 공유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요건일 수 있다. 이것을 위한 적합한 RFID 키들 및 방법들은 여기에 참조로써 포함되어 있는, WO 2004/003829로부터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는 스위블 디스플레이를 지닌 랩톱 또는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이다. 공유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키패드상에 표 면을 위로 하여 배치함으로써 활성화되고, 반면에 동작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키보드상에 표면을 아래로 하여 배치되지 않는 어떤 위치(닫힌 위치)이다.
상기 공유 위치 및 동작 위치를 가정하기 위하여 다른 단말기에 관해 이동될 수 있는 상기 단말기 구성요소는 상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및 메인 하우징부일 필요는 없다. 이동 가능한 키패드, 키패드 커버 또는 상기 단말기의 적어도 두개의 가시적이고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는 위치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어떤 다른 단말기 구성요소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 의하면 상기 이동 전화는 다중 힌지 장치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키패드, 키패드 커버 등이 다중 힌지 구성을 통해 주 본체에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에 관해 이동될 수 있는 두 부분들(또는 둘보다 많은 부분들) 간에 어떤 바람직한 유형의 연결을 사용할 수 있고,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방향 변경은 바로 인접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제한된 액세스 모드로 둘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한된 액세스 모드로 진입하고 아마도 제한된 액세스 모드를 빠져 나오기 위하여 소유자에 의해 입력되는 PIN 코드에 응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RFID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한된 액세스 모드로 들어가고 아마도 제한된 액세스 모드를 빠져 나오기 위한 특정 RFID 태그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소유자가 다른 사람과 상기 단말기를 공유하는 경우, 그는 상기 RFID 태그의 소유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제한된 액세스 모드에 있다는 것을 소유자가 원격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들은 전화 커버를 비추거나, 구별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화의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백라이팅을 변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는 상기 단말기의 부분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이 예증을 위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을지라도, 이러한 상세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은 이해되고, 변경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20)

  1.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관된 메모리;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다른 단말기 구성요소에 관해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 및
    상기 다른 단말기 구성요소에 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상기 프로세서와 연관된 센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단말기 구성요소는 서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부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는 키패드 또는 키패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내의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최대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내의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내의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최대 액세스를 허가하기 이전에 검증을 요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소정의 메모리들 또는 데이터 저장 매체내의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저장 매체상의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메모리들내의 하나 이상의 소정의 폴더들내의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 또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메모리들내의 하나 이상의 소정의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접속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노트북 또는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이고, 상기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이동 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프로세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다른 단말기 구성요소에 관해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가 제공되는 단말기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제1 위치에서 제1 액세스 레벨로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제2 위치에서 제2 액세스 레벨로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관찰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 이외의 다른 관찰차들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레벨에서 상기 단말기내의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최대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레벨에서 상기 단말기내의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말기 구성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내의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기능에 대한 최대 액세스를 인가하기 전에 검증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상기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07735A 2004-10-06 2005-09-29 데이터 단말기 액세스 제어 KR100901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23755.4 2004-10-06
EP04023755A EP1645936B1 (en) 2004-10-06 2004-10-06 Data terminal access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498A true KR20070050498A (ko) 2007-05-15
KR100901801B1 KR100901801B1 (ko) 2009-06-11

Family

ID=3492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735A KR100901801B1 (ko) 2004-10-06 2005-09-29 데이터 단말기 액세스 제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645936B1 (ko)
JP (1) JP2008515037A (ko)
KR (1) KR100901801B1 (ko)
CN (1) CN100524159C (ko)
AT (1) ATE393424T1 (ko)
BR (1) BRPI0516502A (ko)
DE (1) DE602004013321T2 (ko)
ES (1) ES2304152T3 (ko)
HK (1) HK1091277A1 (ko)
MX (1) MX2007002027A (ko)
RU (1) RU2359311C2 (ko)
SG (1) SG142301A1 (ko)
TW (1) TWI298446B (ko)
WO (1) WO2006037544A1 (ko)
ZA (1) ZA2007028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5832A1 (en) * 2007-06-19 2010-11-11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associated elements and methods
US8352371B2 (en) * 2008-04-30 2013-01-08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Limiting access to shared media content
US8312273B2 (en) * 2009-10-07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Privacy vault for maintaining the privacy of user profiles
KR101969931B1 (ko) * 2012-01-10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상의 회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6013613B2 (ja) * 2012-10-19 2016-10-25 マカフ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
CN103488924B (zh) * 2013-09-26 2017-03-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终端的解锁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9940448B2 (en) 2013-09-26 2018-04-10 Xiaomi Inc. Unlock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5183156B (zh) * 2015-08-31 2019-03-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控制方法及装置
CN105554264A (zh) * 2015-12-11 2016-05-04 北京元心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的功能限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920A (ja) * 1990-11-01 1992-06-1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US5757616A (en) * 1996-10-31 1998-05-26 Hewlett-Packard Company Physical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computer
JP2000132259A (ja) * 1998-10-27 2000-05-12 Fujitsu Ltd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回路並びに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4341870B2 (ja) * 2000-03-28 2009-10-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428564B2 (ja) * 2000-05-17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JP3707417B2 (ja) * 2000-10-30 2005-10-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イヤルロック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
JP2002368870A (ja) * 2001-06-04 2002-12-20 Nec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JP4281268B2 (ja) * 2001-08-16 2009-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情報端末、その認証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3703458B2 (ja) * 2003-02-25 2005-10-05 日本無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04152T3 (es) 2008-09-16
TW200619969A (en) 2006-06-16
MX2007002027A (es) 2007-03-28
KR100901801B1 (ko) 2009-06-11
DE602004013321T2 (de) 2009-05-20
SG142301A1 (en) 2008-05-28
TWI298446B (en) 2008-07-01
RU2007112483A (ru) 2008-11-27
ZA200702821B (en) 2008-06-25
CN101027625A (zh) 2007-08-29
CN100524159C (zh) 2009-08-05
HK1091277A1 (en) 2007-01-12
EP1645936A1 (en) 2006-04-12
ATE393424T1 (de) 2008-05-15
DE602004013321D1 (de) 2008-06-05
JP2008515037A (ja) 2008-05-08
BRPI0516502A (pt) 2008-09-16
WO2006037544A1 (en) 2006-04-13
RU2359311C2 (ru) 2009-06-20
EP1645936B1 (en)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801B1 (ko) 데이터 단말기 액세스 제어
CN108701196B (zh) 用户可控的屏幕隐私软件
JP2008515037A5 (ko)
US20070264981A1 (en) Restricted feature acces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50085217A1 (en) Method for setting shortcut key and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reof
US20070280515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06815508B (zh) 移动设备及其屏幕模组、指纹认证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5120505B (zh) 智能设备接入路由器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01507246A (zh) 无线通信终端上的数据私有性
JP4284309B2 (ja) 緊急動作実行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70082524A (ko) 휴대단말, 동작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데이터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5500639B2 (ja) 端末装置、認証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118233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50680B1 (ko) 데이터 세부잠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2007150866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視野角変更方法、及び携帯電話機の視野角変更プログラム
JP4703475B2 (ja) 携帯情報機器
JP4483816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245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프라이버시 정보 관리방법
JP4935120B2 (ja) 情報処理装置、装置利用機能制御システムおよび装置利用機能制御プログラム
CN106599678B (zh) 屏幕解锁方法及设备
CN109743441A (zh) 读写权限设置方法及装置
CN111046414B (zh) 移动终端、开关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294329B2 (ja) 電話システム及び外部端末制御方法
KR100722204B1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0593545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