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547A -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547A
KR20070049547A KR1020060096402A KR20060096402A KR20070049547A KR 20070049547 A KR20070049547 A KR 20070049547A KR 1020060096402 A KR1020060096402 A KR 1020060096402A KR 20060096402 A KR20060096402 A KR 20060096402A KR 20070049547 A KR20070049547 A KR 20070049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rip
chamfering
formwork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5195B1 (ko
Inventor
임정순
Original Assignee
임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순 filed Critical 임정순
Priority to KR102006009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1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4Strips for creating a chamfered edg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 벽체, 또는 들보와 같은 콘크리트 성형체의 돌출면에 사용되어 모서리부분의 모따기(chamfer)가 가능하도록 한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종래 단독의 스트립(strip) 형태로만 사용되었던 모따기용 부재를 패널 자체에 도입함으로써 거푸집 조립 과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하며, 아울러 자재비 또한 줄이도록 한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은 기둥, 벽체, 또는 들보와 같은 콘크리트 성형체의 돌출면의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상면에서 상기 성형체의 돌출면 쪽 일단 또는 양단에 배열되어 상기 성형체 모서리의 모따기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성형체 접촉면, 상기 몸체 결합면, 그리고 노출면을 가져 단면의 주된 외곽 형상이 삼각형인 스트립(strip);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푸집, 패널, 모따기, 콘크리트, 성형체, 돌출부, 스트립, 예각, 수축변형공간부, 요입홈

Description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CONSTRUCTION MOLD PANEL FOR CHAMF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
도 2a, 도 2b, 도 2c,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4a, 도 4b, 그리고 도 4c는 도 1의 거푸집 패널과는 다르게 변형된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거푸집 패널을 들보 성형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거푸집 패널과 달리 스트립이 몸체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도 6a 내지 도 6c의 각 패널을 기둥체의 성형을 위하여 적용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 도 8b, 도 8c 그리고 도 8d는 보강부재를 도입한 패널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기능성 돌기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패널 J: 들보
10: 몸체 11A.11B: 연장부
11a: 끼움공 13: 스트립
13a: 접촉면 13b: 결합면
13c: 노출면 17 : 수축변형공간부
19 : 보강부재 21: 슬라브 패널
23: 측면패널 23A: 테두리부재
23a: 체결공 25: 체결핀
27: 장선재 28: 멍에재
29: 동바리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 벽체, 또는 들보와 같은 콘크리트 성형체의 돌출면에 사용되어 모서리부분의 모따기(chamfer)가 가능하도록 한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종래 단독의 스트립(strip) 형태로만 사용되었던 모따기용 부재를 패널 자체에 도입함으로써 거푸집 조립 과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하며, 아울러 자재비 또한 줄이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스트립의 노출면에 길이 방향의 수축변형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주입시 수축변형공간부의 수축 변형으로 타측 거푸집과의 밀착성을 증가시켜
결국 표면이 매끈한 완성도가 높은 성형면을 얻을 수 있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5년 11월 8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05-106514호를 기초로 한 우선권 주장 출원임을 밝혀둔다.
기술평가 유지결정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 제0223125호(2001.02.26) 『건축용 챔퍼스트립』과,
수직 및 수평접지면의 중간에 상기 면따기 성형면과 나란히 변형방지홈을 각각 요입 형성하여서, 상기 면따기성형면이 평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수직 및 수평접지면이 조립되는 거푸집 내측의 코너부에 밀착되도록 된 실용신안등록 제0223163호(2001.02.26) 『면따기 스트립』을 비롯하여,
특허공개 제2002-0014886호(2002.02.27) 『면목 및 그 제조방법』,
실용신안등록 제0306810호(2003.02.26) 『암거형 이동식 거푸집틀장치』
*실용신안등록 제0364217호(2004.09.30) 『건축물 보 거푸집 코너구조』, 및
실용신안등록 제0364216호(2004.09.30) 『건축물 기둥 거푸집 코너 구조』 등의 종래기술에서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돌출부, 특히 기둥이나 벽체 또는 들보(joist)(梁)의 아웃코너(out corner) 부분에서 모서리를 모따기 가공하기 위한 부재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모따기 부재들은 모두 단순한 스트립(strip) 형태의 단독부재여서,
이를 다시 하나의 거푸집 패널에 못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
두 거푸집 패널과 패널의 접촉부에 결합하여야 했으므로
결합작업으로 인하여 그만큼 시간과 노동력의 소모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단독의 모따기용 스트립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거푸집용 패널 용도로 직접적으로 사용되면서도 모따기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몸체에 스트립이 결합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트립의 노출면에 길이 방향의 수축변형공간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주입시 스트립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스트립 변형을 유도하여 측면 거푸집과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하여 결국 완성도가 높은 모따기 면을 얻을 수 있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스트립의 노출면과 상기 몸체가 이루는 각도 는 예각이어서 이로 인한 모따기 면의 완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몸체에 연장부를 상기 스트립의 양측 부위에 더 형성하고 통상의 체결핀을 이용하여 다른 패널과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지지판 사용 없이 직접적인 패널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재를 몸체에 도입함으로써 중량을 줄이고 재료 소모를 줄여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패널을 발포된 합성수지로 제작되더라도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둥, 벽체, 또는 들보와 같은 콘크리트 성형체의 돌출면의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상면에서 상기 성형체의 돌출면 쪽 일단 또는 양단에 배열되어 상기 성형체 모서리의 모따기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성형체 접촉면, 상기 몸체 결합면, 그리고 노출면을 가져 단면의 주된 외곽 형상이 삼각형인 스트립(strip);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5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형태(aspect)의 거푸집 패널(P)을 건축물의 들보(joist)(J) 성형을 위하여 사용한 경우를 고려하여 스트립(13)이 돌출된 몸체(10) 쪽을 상면(10a)으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하면(10b)으로 정하며,
상부에 위치한 상기 스트립(13)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두 연장부(11A)(11B) 쪽을 측면으로 정한다.
먼저 도 1에서, 도시된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P)은 기둥, 벽체, 또는 들보와 같은 콘크리트 성형체의 돌출면의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면(10a)에 형성되어, 원하는 성형체의 돌출면 쪽 양단에 배열되어 상기 성형체 모서리의 모따기를 가능하게 하는 두 스트립(strip)(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가 콘크리트 성형체의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 를 갖는다' 함은,
상기 몸체의 길이가 성형체의 길이 전체와 동일하거나 성형체의 길이를 분할할 경우 분할된 하나의 성형체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몸체의 폭은 상기 두 스트립(13)의 단부(13d) 사이의 거리가 상기 성형체의 폭과 같게 되어 있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치수인 것을 의미하고,
나아가 대개 상기 몸체는 평판 형상일 것이지만 성형될 건축물 부분의 설계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을 위한 홈이 형성되거나 평판이 아닌 굽거나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트립(13)은 단면의 주된 외곽형상이 대략 삼각형에 가까우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스트립(13)의 3면은 성형체인 들보(J)와 맞닿는 접촉면(13a), 상기 몸체(10) 상면(10a)과 연결되는 결합면(13b), 그리고 측면의 다른 패널(23)과 대접되는 부분인 노출면(13c)이며,
단면으로 볼 때 꼭지점에 해당하는 단부(13D)는 측면 패널(23)과 접촉하는 형태로 다른 패널과 조립된다.
또 도 1에서, 상기 몸체(10)에서 상기 스트립(13)의 양측에는 연장부(11A)(11B)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11A)(11B)에는 다른 거푸집 패널, 예를 들어 도 5에서처럼 측면패널(23)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핀(25)을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끼움공(11a)이 형 성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패널(P)들이 연장부가 없음으로 인하여 별도의 지지판을 하면에 대고, 그 지지판과 다른 패널을 다시 체결하여야 하는 것에 비하여,
도 1의 패널(P)은 연장부(11A)(11B)로 인하여 패널(P) 자체가 독립적이고 직접적인 거푸집 패널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에서는 모따기 면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10)의 노출면(13c)과 상기 몸체(10)의 상면(10a)이 이루는 각도(θ)를 예각으로 하는 것을 고려하였는데,
즉, 상기 스트립(10)의 노출면(13c)과 상기 몸체(10)의 상면(10a)이 이루는 각도(θ)를 예각으로 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스트립(13)의 단부(13d)의 노출면(13c) 쪽 부분이 측면패널(23)과 가능한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하게 되어 콘크리트가 상기 노출면(13c) 쪽으로 스며들어 성형된 들보(J)의 모따기 면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과는 다른 형태로 변형된 패널들을 살펴보면,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패널은 모두 도 1의 패널(P)과 달리 연장부가 없는데,
도 2a에 도시된 패널은 몸체(110)가 도 1의 패널에서 연장부만이 생략된 형 태로, 스트립(113)의 노출면은 역시 몸체(110)와 예각을 이루는 형태이며,
도 2b에 도시된 패널은 도 2a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몸체(210)는 동일하고 스트립(213)의 노출면이 몸체와 직각을 이루는 형태이며,
도 2c에 도시된 패널은 도 2a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스트립(313)의 접촉면이 요입되어 부드럽게 만곡진 형태로, 이에 대응되는 콘크리트 몰타르 성형체의 모서리 역시 라운드 진 형태로 성형될 것이다.
이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패널들은 모두 몸체에서 연장부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도 5에서와 같이 들보 성형에 사용된다면 패널 하부에 별도의 지지판을 위치시켜 측면패널과 지지판을 결속하고, 상기 지지판이 장선재, 멍에재, 그리고 동바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성형체의 모따기 면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른 방법과 관련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서 확인할 수 있는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 노출면에는 스트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수축변형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된 거푸집 패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주입할 경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수축변형공간부가 수축되어
상기 스트립의 성형체 접촉면과 상기 몸체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되는 형태로 상기 스트립이 변형되어 다른 측면 패널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형상의 수축변형공간부가 도입이 가능하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0)의 노출면(13c)에는 스트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수축변형공간부(17), 특히 요입홈 형태의 수축변형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성형체(F)의 성형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P)의 양 측면에는 측면패널(23)을 위치시키고 각 패널(P)(23)을 체결수단, 특히 체결핀(25)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 고정시키게 되면,
조립된 거푸집 패널(P)(23)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성형체(F)를 위한 콘크리트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수축변형공간부(17)는 수축되고 상기 스트립(13)은 좌측으로 밀리게 되고 결국 스트립의 성형체 접촉면(13a)과 상기 몸체의 상면(10a)이 이루는 각은 증가된다(θ'→θ'').
즉, 콘크리트의 하중을 받으면 상기 스트립의 수축변형공간부(17)가 수축 변형(도3a의 점선 부분 참조)되어 상기 스트립(13)의 단부(13d)의 노출면(13c) 쪽 부분이 측면패널(23)과의 가능한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하게 되고
결국 측면 패널(23)과의 밀착성이 높아져 콘크리트가 상기 노출면(13c) 쪽으로 스며들어 성형체(F)의 모따기 면이 매끈해지지 않고 울퉁불퉁해져 완성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들보, 기둥, 벽체 등의 콘크리트 성형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스트립에 의한 모따기면과 다른 패널에 의한 성형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매끈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스트립과 다른 패널의 밀착성을 높이는 방식은
도 1과 도 5에서와 같이 스트립(10)의 노출면(13c)과 상기 몸체(10)의 상면(10a)이 이루는 각도(θ)를 예각으로 하거나
도 3a에서와 같이 패널의 스트립 노출면(13c)에 수축변형공간부(17)를 형성하는 방식 모두에 가능한 것이며,
물론 상기 수축변형공간부(17)와 예각은 동시에 도입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패널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몸체(10)는 동일하지만 스트립(13)의 노출면(13c)에는 요입형인 수축변형공간부(17)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트립의 노출면(13c)에 형성된 수축변형공간부(17)의 형상은 좁은 슬릿 형상으로
도면에서 상기 수축변형공간부(17)의 우측 마감부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받는 방향(도3a에서는 아래 방향)으로 더 들어가서 둥글게 마무리지어 진다.
상기 수축변형공간부(17)는 콘크리트 주입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수축 변형되어 스트립의 성형체 접촉면(13a)과 몸체 상면(10a)이 이루는 각이 커지면서 상기 스트립(13)은 측면 패널(23)에 더욱 밀착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패널은 도 3a에 도시된 패널에서 비교하여 보면, 스트립의 노출면(13c)에는 수축변형공간부(17a)를 형성하고 있되, 상기 스트립(13)의 노출면(13c)이 연장부(11A)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아닌 직각을 이룬다.
즉, 스트립의 노출면(13c)과 연장부(11A)가 이루는 각도를 예각으로 하지 않더라도 상기 스트립의 노출면(13c)에 형성되는 수축변형공간부(17a)를 도입함으로 인하여 모따기 면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도 3c에 도시된 패널은 도 3b에 도시된 패널에서 연장부가 생략되고, 수축변형공간부(17b)가 형성되는 다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스트립(13)의 노출면(13c)에 형성되는 수축변형공간부(17b)는 콘크리트 주입시 그 하중에 의하여 수축 변형되어 종국적으로는 스트립(13)의 성형체 접촉면(13a)이 측면 패널들과 긴밀히 밀착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패널의 경우, 도 3b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연장부가 생략되고, 스트립의 노출면(13c)과 몸체(10)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은 예각(θ)을 형성한다. 그리고 수축변형공간부(17c)는 스트 립의 노출면(13)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몸체의 하면(10b)에 형성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트립의 몸체 결합면(13b)과 대응하는 위치의 몸체 하면(10b)에 수축변형공간부(17c)가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축변형공간부(17c)가 스트립의 몸체 결합면(13b)과 대응하는 위치의 몸체 하면(10b)에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기 수축변형공간부(17c)로 인하여 콘크리트 주입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스트립의 성형체 접촉면(13a)과 몸체(10)가 이루는 각도가 용이하게 증가될 수 있어 스트립과 패널과의 밀착도가 높아지고 콘크리트가 패널과 스트립 사이로 스며들어 성형된 면이 울퉁불퉁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3a 내지 도 3d와 관련하여 설명한 수축변형공간부의 형상은 도3a 내지 도3d에서와 같이 상기 스트립의 노출면을 절개 형성한 요입홈 형태 외에도 상기 스트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구멍 형태인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하중에 의한 수축변형으로 상기 몸체 상면과 상기 스트립 접촉면 사이의 각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여러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패널들을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몸체(410)는 동일하지만, 스트립(413)의 노출면이 연장부(411A)(411B)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이며,
도 4b에 도시된 패널은 도 4a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몸체(510) 상 부의 스트립(513)의 접촉면이 라운드 진 형태이며,
도 4c에 도시된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몸체(610)와 스트립(613)이 조립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610)의 상면 양측에는 결합홈(6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613)의 하부에는 돌출부(613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홈(610A)과 상기 돌출부(613A)가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상호 상하부 방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c의 조립형 몸체와 스트립은 다양한 조립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반 못이나 나사못, 접착제 등을 이용한 두 부재의 조립 고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4c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에서 몸체(10)(610)의 연장부(11A,11B)(611A,611B)에는 끼움공(11a)(611a)이 형성되어 있어,
다른 패널, 예를 들어 측면패널, 특히 통상적으로 업계에서 "유로폼"으로 불리는 개량 패널(23)을 활용하여,
상기 몸체의 끼움공(11a)(611a)과 상기 측면패널(23)의 체결공(23a)을 일치시킨 후,
이탈방지를 위한 머리부(25a)를 갖는 체결핀(25)을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한 후, 상기 연장부(11A,11B)(611A,611B) 하부로 노출된 상기 체결핀(25)의 결합공(25b)에 다른 체결핀(25')을 질러 넣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두 패널의 결속이 가 능할 것이다.
도 4c에서 미설명 참조부호 23B는 상기 측면패널(23)의 테두리부재(23A)와 패널 본체를 지지하는 보강살이다.
기둥이나 벽체 등의 여러 콘크리트 몰타르 성형체 중 들보(J)를 도시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결속과정을 거칠 경우, 슬라브(slab) 패널(21)의 단부에 측면패널(23)이 위치하고,
상기 측면패널(23)의 하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P)이 체결핀(25,25')에 의하여 결속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P)의 하부로는 장선재(27), 상기 장선재와 직교하는 형태로 장선재를 받치는 멍에재(28), 그리고 멍에재의 지탱을 위한 동바리(29)가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철근(J1)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 몰타르를 투입한 후 다짐과정을 거쳐 양생을 하면, 하단부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된 들보(J)가 얻어진다.
물론 연장부를 갖는 도 1의 패널(P)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패널의 소재가 충분한 지지력을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패널(P)의 하부로 별도의 지지판을 도입하고, 상기 지지판 하부로, 장선재, 멍에재, 그리고 동바리가 배열되어 지지하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서 미설명 참조부호 21A는 슬라브 패널(21)의 보강살이다.
이어서 앞서 설명한 여러 형태의 패널들과는 또 다른 형태의 패널들과 관련된 도 6a 내지 도 6c를 살펴보면, 도시된 패널들은 모두 몸체의 일단에만 스트립이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도 6a에 도시된 패널은 도 3b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몸체(710)의 일측단 상면에만 스트립(713)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특히 지하용 기둥(C)(column)을 위한 것으로 일패널의 스트립(713) 쪽 단부와 타패널의 스트립 반대쪽 단부를 겹치는 형태로 사용하는 형태이다.
*또 도 6b에 도시된 패널은 도 4a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몸체(810)의 일측단 상면에만 스트립(813)과 연장부(811A)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상기 연장부(811A) 단부 쪽에 치우친 위치에는 지지편(815)이 돌설되어 있는 형태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S)의 성형을 위하여 상기 스트립(813)의 노출면과 상기 지지편(815) 사이에 측면패널(23)의 테두리부재(23A)가 밀착된 형태로 끼워져 위치하고, 두 체결핀(25)(25')을 이용하여 패널의 끼움공(811a)과 측면패널의 체결공(23a)을 통하여 상호 결속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 6c에 도시된 패널은 도 6b에 도시된 패널과 비교하여 보면, 몸체(91)에 형성된 지지편(915)이 스트립(913) 쪽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으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C)의 성형을 위하여 상기 스트립(913) 노출면과 상기 지지편(915) 사이에는 다른 패널의 스트립 반대편 단부가 밀착 접촉한 형태로 기워지고, 연장부(911A)에는 다른 측면패널(23)이 위치하여 패널의 끼움공(911a)과 측면패널의 체결공(23a)에 체결핀(25)을 삽입하고, 다른 체결핀(25')을 결합하여 결속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측면패널(23)과 패널 사이의 틈새에는 지지를 위한 스페이서(S)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패널의 몸체(910) 후면에서 다른 패널의 지지편(915)을 위한 부분을 제외한 몸체 전체 부분에 틈새의 두께만큼 일체로 형성된 것이거나, 몸체의 후면 부분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패널의 소재는 금속, 목재,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합성수지(재활용 합성수지 포함)가 일반적일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중량과 재료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몸체를 발포된 합성수지가 이용된다.
이 경우,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은 강도가 약해질 수밖에 없는데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몸체에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게 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강도 보장을 위하여 발포되지 않은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부재는 합성수지가 아닌 금속, 목재 등의 다양한 재료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동일성질을 가진 물질끼리의 결합이 잘 된다는 특성을 고려할 때, 몸체가 발포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면 보강 부재 또한 몸체와 동일한 재료의 발포되지 않은 합성수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는 몸체의 형상을 고려하여 판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강부재의 두께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변화되는 형태의 이루는데, 구체적인 형태를 이하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패널(P)은 연장부가 생략된 도 3b에 도시된 패널과 동일하다.
도 8a는 보강부재(19)가 동일한 두께로 배열된 것으로 몸체(10)의 두께를 고려하여 보강부재가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어 있고,
도 8b에 도시된 보강부재(19)는 원기둥 형상의 보강부재(119a) 다수가 일정 간격을 두어 배열되고 상기 원기둥 형상의 보강부재(119a)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긴 판 형상의 보강부재(119b)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두께가 불규칙한 판 형상을 이룬다.
도 8c에 도시된 보강부재(19)는 삼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의 보강부재(219a) 다수가 일정 간격을 두어 배열되고 이들의 보강부재(219a)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긴 판 형상의 보강부재(219b)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두께가 불규칙 한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보강부재는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될 수 있는데,
특히 패널의 몸체가 이루는 가상의 평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콘크리트의 하중(또는 충격)에 대하여 보다 잘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위하여 두께가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되는 보강부재가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도 8d에는 도 8a에서와 같은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판형 보강부재(19A)(19B)를 절곡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상하로 배열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보강부재가 2층 이상의, 복수 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P)의 본체 상면에 스트립(113A) 외에 별도의 돌기(112)를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돌기(112)를 갖는 패널(P)에 의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성형체(F), 특히 건물 현관 상면의 돌출 가림(screen)체 또는 건물 베란다 하부체와 같이 돌출되어 있는 성형체일 경우에
빗물이나 눈이 녹아 발생된 물이 성형체(F)의 하면을 따라 흐르면 계속 흘러 현관 바닥에 떨어지거나 건물 벽면까지 도달하지 않고
상기 패널(P)의 돌기(112)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성형체의 홈(F)에 흐르는 물이 이르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멈추고, 추가적으로 더 누적되면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기능성 돌기는 콘크리트 성형체의 다양한 기능성이나 모양을 위하여 적절하게 변형되어 도입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상기 패널의 돌기(112)는 패널과 콘크리트 성형체의 분리 용이성을 위하여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b에는 도 9a의 패널에 비하여 돌기(512)는 동일하나 스트립(513A)의 접촉면이 라운드 진 형태인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패널들은 다른 지지판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 지지판으로 재활용 목재패널을 사용하고, 접착제 또는 건설업계에서 소위 "타카핀"으로 칭하는 체결핀과 같은 각종 결합수단을 활용하여 도시된 본 발명의 패널과 재활용 목재 패널을 결합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외면에는 공지된 다양한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어 콘크리트 성형체로부터 패널을 분리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떨어지면서도, 성형면의 매끈함을 높여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패널 자체의 색감 및 질감의 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은 거푸집 용 패널 용도로 직접적으로 사용되면서도 모따기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몸체에 스트립이 결합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고,
또 스트립의 노출면에 길이 방향의 수축변형공간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주입시 스트립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스트립 변형을 유도하여 측면 거푸집과의 밀착성을 높여 모따기 면의 완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르게는 스트립의 노출면과 상기 몸체가 이루는 각도를 예각으로 함으로써 모따기 면의 완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몸체에 연장부를 상기 스트립의 양측 부위에 더 형성하고 통상의 체결핀을 이용하여 다른 패널과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지지판 사용 없이 직접적인 패널로 기능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재를 삽입하되, 상기 발포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몸체와 동일한 성질의 발포되지 않은 합성수지로 보강부재를 성형하여 자료 소모가 적으면서도 강도가 보장되어,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성형체의 돌출면을 모따기 가공할 경우 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 및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거푸집 패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각 도면에 도시된 여러 형태의 패널 구조가 갖는 특징은 상호 조합되어 재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변경 및 특징들의 조합은 본 발 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기둥, 벽체, 또는 들보와 같은 콘크리트 성형체의 돌출면의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상면에서 상기 성형체의 돌출면 쪽 일단 또는 양단에 배열되어 상기 성형체 모서리의 모따기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성형체 접촉면,
    상기 몸체 결합면, 그리고
    노출면을 가져
    단면의 주된 외곽 형상이 삼각형인 스트립(strip);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트립의 노출면과 상기 몸체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2. 제 1 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접촉면은 요입되어 만곡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3. 제 1 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서 상기 스트립의 측면에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연장부에는 다른 거푸집 패널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핀을 위한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연장부에는 다른 거푸집 패널을 위한 지지편이 돌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 쪽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떨어져 상기 스트립 쪽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1020060096402A 2006-09-29 2006-09-29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10080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02A KR100805195B1 (ko) 2006-09-29 2006-09-29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02A KR100805195B1 (ko) 2006-09-29 2006-09-29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628A Division KR100639158B1 (ko) 2005-11-08 2006-04-20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547A true KR20070049547A (ko) 2007-05-11
KR100805195B1 KR100805195B1 (ko) 2008-02-21

Family

ID=3827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402A KR100805195B1 (ko) 2006-09-29 2006-09-29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0913B2 (en) 2008-01-09 2011-06-1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econd bezel
KR20210129404A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케이엘디 보 거푸집용 측판 받침장치
WO2024011296A1 (en) * 2022-07-15 2024-01-18 I. Industriespty Ltd Device for concrete form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04Y2 (ko) * 1976-04-30 1980-03-07
KR100379220B1 (ko) * 1999-12-30 2003-04-10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면따기를 겸한 물끊기 성형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0913B2 (en) 2008-01-09 2011-06-1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econd bezel
KR20210129404A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케이엘디 보 거푸집용 측판 받침장치
WO2024011296A1 (en) * 2022-07-15 2024-01-18 I. Industriespty Ltd Device for concrete form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195B1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84060A1 (en) Rigid foam building panel
KR101348379B1 (ko) 건축용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P3686365B1 (en)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KR1007188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KR200451966Y1 (ko)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
KR100805195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US6443418B1 (en) Ultra thin-type form panel, a form employ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ndation
KR100639158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102316529B1 (ko)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KR20070121388A (ko) 저항부재를 갖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0840004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0639156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0805194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100805193B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구
KR100384617B1 (ko) 콘크리트 폼 패널
KR20180072267A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JP5756398B2 (ja) 型枠ユニット、残存型枠および橋梁用壁高欄
JP3392132B1 (ja)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KR200380884Y1 (ko)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0169443Y1 (ko) 콘크리트 폼 패널
CN1973101A (zh) 用于建造平面结构的建筑系统
JPH11323955A (ja) 型枠用セパレ―タ及びこのセパレ―タを用いたコンクリ―ト打設用型枠
JP2001279685A (ja) コーナ用型枠,セパレータ及び型枠システム
JP2001026933A (ja) 超薄型金属製型枠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型枠並びに基礎の施工方法
KR200459169Y1 (ko) 이형 판넬 결합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