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103A - TNFα 및 IL-1β 발현 억제제로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및 유사체 - Google Patents

TNFα 및 IL-1β 발현 억제제로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및 유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103A
KR20070049103A KR1020067021137A KR20067021137A KR20070049103A KR 20070049103 A KR20070049103 A KR 20070049103A KR 1020067021137 A KR1020067021137 A KR 1020067021137A KR 20067021137 A KR20067021137 A KR 20067021137A KR 20070049103 A KR20070049103 A KR 2007004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ression
compound
inhibiting
tnfα
andrographo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컁 얀
타오 왕
지밍 마
케 판
웨이한 장
지안롱 홍
제프 두안
유 카이
Original Assignee
허치슨 메디파르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치슨 메디파르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허치슨 메디파르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과 TNFα 또는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73538264-PCT00015
상기 R1 및 R2는 여기에 정의되어 있다. 그것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로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NFα, IL-1β,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발현, 저해, 염증성 장질환

Description

TNFα 및 IL-1β 발현 억제제로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및 유사체{ANDROGRAPHOLIDE AND ANALOGUES AS INHIBITORS OF TNFα AND IL-1β EXPRESSION}
본 발명은 TNFα 및 IL-1β 발현 억제제로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및 유사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효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학식Ⅰ의 화합물이 TNFα 또는 IL-1β와 접촉함으로써 TNFα 또는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TNFα 또는 IL-1β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 나아가 유효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학식Ⅰ의 화합물 중의 어느 것이든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핵의 사이토카인(mononuclear cytokine)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는 주로 단구 및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이것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다: (1) 암세포를 죽이거나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 (2) 호중구성 백혈구(neutrophilic granulocytes)의 식균작용을 강화, (3) 과산화물의 생산을 상승조절 및, (4) 감염 병원체를 죽이는 것이다.
TNFα는 TNFα의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잠재적인 표적이다. 이 질환들은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척추관절염(spondyloarthropathies),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크론병(Crohn's disease) 및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를 포함), 만성 심부전(chronic heart failure), 당뇨병(diabetes mellitus),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피부 경화증(scleroderma), 유육종증(sarcoidosis), 다발성근염(polymyositis)/피부근염(dermatomyositis), 건선(psoriasis),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 골수 이형성 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에이즈 복합성 치매(AIDS dementia complex),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우울증(depression), 패혈증(sepsis), 괴저성 농피증(pyoderma gangrenosum), 패혈증(hematosepsis), 패혈성쇽(spetic shock), 베체트 증후군(Behcet's syndrome), 이식편대 숙주병(graft-versus-host disease), 포도막염(uveitis), 베게너 육아종증(Wegener's granulomatosis), 쇼그랜 증후군(Sjogren's syndrome),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천식(asthma),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 악액질(cachexia), 암(cancer), 중추신경계 손상(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바이러스성 호흡기질환(viral respiratory disease) 및 비만(obesity)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gata H, Hibi T. et al., Curr Pharm Des. 2003;9(14):1107-13; Moller DR. et al., J Intern Med. 2003 Jan; 253(1):31-40; Taylor PC. et al., Curr Pharm Des. 2003;9(14):1095-106; Wilkinson N et al., Arch Dis Child. 2003 Mar; 88(3):186-91; Nishimura F et al., J Periodontol . 2003 Jan;74(1):97-102; Weinberg JM et al., Cutis. 2003 Jan;71(1):41-5; Burnham E et al., Cirt Care Med. 2001 Mar; 29(3):690-1; Sack M. et al., Pharmacol Ther. 2002 Apr-May; 94(1-2):123-35; Barnes PJ. et al., Annu Rev Pharmacol Toxicol. 2002;42:81-98; Mageed RA et al., Lupus. 2002;11(12):850-5; Tsimberidou AM et al., Expert Rev Anticancer Ther. 2002 Jun;2(3):277-86; Muller T. et al., Curr Opin Investig Drugs. 2002 Dec; 3(12):1763-7; Calandra T. et al., Curr Clin Top Infect Dis. 2002; 22:1-23; Girolomoni G et al., Curr Opin Investig Drugs. 2002 Nov; 3(11):1590-5; Tutuncu Z et al., Clin Exp Rheumatol. 2002 Nov-Dec; 20(6 Suppl 28):S146-51; Braun J et al.,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002 Sep; 16(4):631-51; Barnes PJ. et al., Novartis Found Symp . 2001; 234:255-67; discussion 267-72; Brady M. et al., Baillieres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1999 Jul; 13(2):265-89; Goldring MB. et al., Expert Opin Biol Ther. 2001 Sep; 1(5):817-29; Mariette X. Rev Prat. 2003 Mar 1; 53(5):507-11; Sharma R. et al., Int J Cardiol. 2002 Sep; 85(1):161-71; Wang CX. et al., Prog Neurobiol. 2002 Jun; 67(2):161-72; Van Reeth K. et al., Vet Immunol Immunopathol. 2002 Sep 10; 87(3-4):161-8; Leonard BE. et al., Int J Dev Neurosci. 2001 Jun; 19(3):305-12; Hays SJ. et al., Curr Pharm Des. 1998 Aug; 4(4):335-48).
단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와 같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인 인터루이킨-1 베타(IL-1β)는 넓은 범위의 면역 및 감염반응을 조정한다. IL-1β 발현의 조절은 류마티스 관절염, 패혈증, 치주질환, 만성 심부전, 다발성근염/피부근염, 급성 췌장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알츠하이머병, 골관절염, 세균 감염증(bacterial infections), 다발성골수종, 골수 이형성 증후군, 포도막염, 중추신경계 손상,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천식, 우울증 및 피부 경화증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치료한다(Taylor PC. et al., Curr Pharm Des. 2003; 9(14):1095-106; Dellinger RP. et al., Clin Infect Dis. 2003 May 15; 36(10): 1259-65; Takashiba S. et al., J Periodontol, 2003 Jan; 74(1):103-10; Diwan A, et al., Curr Mol Med. 2003 Mar; 3(2):161-82; Lundberg IE. et al., Rheum Dis Clin North Am. 2002 Nov; 28(4):799-822; Makhija R. et al.,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2; 9(4):401-10; Chung KF. et al., Eur Respir J Suppl. 2001 Dec; 34:50s-59s; Hallegua Ds. et al., Ann Rheum Dis. 2002 Nov; 61(11):960-7; Goldring MB. et al., Expert Opin Biol Ther. 2001 Sep; 1(5):817-29; Mrak RE, Griffin WS. et al., Neurobiol Aging. 2001 Nov-Dec; 22(6):903-8; Brady M. et al., Baillieres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1999 Jul; 13(2):265-89; Van der Meer JW. et al., Ann N Y Acad Sci. 1998 Sep 29; 856:243-51; Rameshwar P. et al., Acta Haematol. 2003; 109(1):1-10; de Kozak Y. et al., Int Rev Immunol. 2002 Mar-Jun; 21(2-3):231-53; Wang CX. et al., Prog Neurobiol. 2002 Jun; 67(2):161-72; Van Reeth K. et al., Vet Immunol Immunopathol. 2002 Sep 10; 87(3-4):161-8; Stirling RG. et al., Br Med Bull. 2000; 56(4):1037-53; Leonard BE. et al., Int J Dev Neurosci. 2001 Jun; 19(3):305-12; Allan SM. et al., Ann N Y Acad Sci. 2000; 917:84-93 및 Cafagna D. et al., Minerva Med. 1998 May; 89(5):153-61).
본 발명은 안드로그라필라이드가 쥐에서 DNBS로 유도된 대장염을 완화시키고, 안드로그라필라이드 및 그것의 유사체가 TNFα 및 IL-1β 모두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유효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학식Ⅰ의 화합물이 TNFα 또는 IL-1β와 접촉함으로써 TNFα 또는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아릴, 시클일 또는 헤테로시클일; 및
R2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2
이며,
여기에서 R'는 H, 알킬, 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할로,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 및
R"는 H, 알킬, 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아미노 또는 할로이다.
화학식Ⅰ과 관련하여, 화합물의 일례는 R1은 H 및 R2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3
이며, 여기에서 R'는 H 또는 하이드록시 및 R"는 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 설명된 4개의 대표적인 화합물이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4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TNFα 또는 IL-1β와 관련된 질환, 즉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 만성 심부전,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다발성근염/피부근염, 건선, 급성 골수성 백혈병, 에이즈 복합성 치매, 패혈증, 패혈성쇽, 이식편대 숙주병, 포도막염, 천식, 급성 췌장염 또는 치주질환의 치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학식Ⅰ의 화합물, 예를 들어 상기 나타낸 4개의 대표적인 화합물 중의 어느 것이든 치 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의 사용 뿐만 아니라 화학식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다.
상기 용어 "알킬"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쇄된 탄화수소이다. 알킬기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및 t-부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알콕시"는 -O-알킬을 말한다.
용어 "아릴"은 각 고리가 1 내지 4개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는 6원 단환식, 10원 쌍환식, 14원 삼환식 방향족 환계를 말한다. 아릴기는 예를 들어 페닐, 나프틸 및 안트라세닐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시클일"은 3 내지 12개의 탄소를 가지는 포화된 및 부분적으로 비포화된 고리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시클일기는 예를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틸 및 시클로옥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O, N 또는 S와 같은)를 가지는 방향족 5-8원 단환식, 8-12원 쌍환식 또는 11-14 삼환식 환계를 말한다. 헤테로아릴기는 예를 들어 피리딜, 퓨릴, 이미다졸릴, 벤지미다졸릴, 피리미디닐, 티에닐, 퀴놀리닐, 인돌릴 및 티아졸릴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르알킬"은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말한다.
용어 "헤테로시클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O, N 또는 S와 같은)를 가지는 5-8원 단환식, 8-12 쌍환식 또는 11-14 삼환식 비방향족 환계를 말한다. 헤테로시클일기는 예를 들어 피페라지닐, 피롤리디닐, 디옥사닐, 몰폴리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글루코실, 만노실, 갈락토실, 프룩토실, 이노시톨일, 소르보실, 탈로실, 알트로실, 알로실, 이도실, 람노실, 아라비노실, 자일로실, 리보실 및 자일룰로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언급된 알킬, 시클일, 헤테로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 알콕시는 치환 및 비치환된 일부분 모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치환체는 할로, 하이드록실,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머캅토, 알콕시카보닐, 아미도, 카복시, 알칸술포닐, 알킬카보닐, 카바미도, 카바밀, 카복실, 티오우레이도, 티오시아나토, 술폰아미도,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킬옥시,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일, 헤테로시클일을 포함하며,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킬옥시,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일 및 헤테로시클일은 더 치환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는 하기 설명서에 첨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주제 및 이점은 설명과 청구항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설명된 화합물 중에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및 여러가지 그것의 유사체는 천심련(Andrographis paniculata, 예를 들어 Balmain A. et al., J. Chem . Soc . Perkin. Trans. I 1973:1247-1251을 참고하시오)에서 분리될 수 있다. 안드로그라폴라이드는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다른 화합물은 간단한 화학적 전환에 의해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및 그것의 자연적으로 발생한 유사체로부터 합성될 수 있 다. 합성 과정에서, 보호기 방법론(protecting group methodologies)이 적용될 수 있다. 합성 가능한 화합물에 유용한 화학적 전환 및 보호기 방법론(보호 및 비보호)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R. 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lishers(1989); T.W. Greene and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John Wiley and Sons(1999); L. Fieser and M. Fieser, Fieser and Fieser's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1994); 및 L. Paquette, ed., Encyclopedia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1995) 및 그 이후의 판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화합물은 만일 적용가능하다면 그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프로드러그를 포함한다. 이러한 염은 상기 기술된 화합물(예를 들어, 암모늄)의 양으로 대전된 이온기 및 음으로 대전된 반대이온기(예를 들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의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술된 화합물에서 음으로 대전된 이온기 또한 양으로 대전된 반대이온과 함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드러그는 환자에게 투여하자마자 상기 기술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에스테르 및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기술된 화합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결합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가진다. 그것은 라세미산염, 라세미 혼합물, 단일 이성질체(enantiomers), 각각의 부분입체 이성질체(diastereomers),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 및 시스- 또는 트랜스- 또는 E- 또는 Z- 이중의 동질이성체(isomeric forms)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TNFα 또는 IL-1β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이다. 그 방법은 상기 기술된 유효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과 TNFα 또는 IL-1β를 접촉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유효량"은 바람직한 효과를 주기위해 요구되는 화합물의 양이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투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화합물이 TNFα 또는 IL-1β의 발현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는 TNFα 또는 IL-1β의 과발현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TNFα 또는 IL-1β 과발현과 관련된 질환, 즉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 만성 심부전,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다발성근염/피부근염, 건선, 급성 골수성 백혈병, 에이즈 복합성 치매, 패혈증, 패혈성쇽, 이식편대 숙주병, 포도막염, 천식, 급성 췌장염 또는 치주질환의 치료를 위한 방법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이 방법은 상기 기술된 유효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 질병의 증상 또는 질병의 소인을 치료하는(cure), 낫게하는(heal), 완화시키는(alleviate), 경감하는(relieve), 바꾸는(alter), 고치는(remedy), 향상시키는(ameliorate), 개선시키는(improve) 또는 영향을 주는(effect)것을 목적으로 상기 언급된 질환, 질환의 증상 또는 질병의 소인 중 하나를 가지는 환자에게 화합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투여 또는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기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 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혼합되고 그 후 경구적으로, 직장으로, 비경구적으로, 흡입 스프레이에 의해 또는 식재된 리저버(reservoir)를 통해 투여된다. 상기 사용된 용어 "비경구적"은 피하의, 피하 내의, 정맥 내의, 근육 내의, 관절 내의, 동맥 내의, 활액 내의, 흉골 내의, 경막 내의, 병변 내의 및 두개 내의 주사 또는 주입기법을 포함한다.
경구투여용 조성물은 정제, 캡슐, 유제 및 수용성 현탁액, 분산제 및 용액을 포함하는 어떠한 경구적으로 허용가능한 투약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정제용 담체는 락토오스 및 콘 스타치를 포함한다. 스테아릭산 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lubricating agents) 또한 전형적으로 정제에 첨가된다. 캡슐 형태의 경구 투여에 유용한 희석제는 락토오스 및 건조된 콘 스타치를 포함한다. 수용성 현탁액 또는 유제가 경구적으로 투여될 때, 활성 분은 유화 또는 현탁제와 조합되어 유상(oil phase)에서 현탁되거나 또는 용해될 수 있다. 만일 필요하다면 약간의 감미료, 향료 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무균의 주사가능한 조성물은(예를 들어 수용성 또는 유질의 현탁액) 적합한 분산 또는 습윤제(예를 들어, Tween 80과 같은)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무균의 주사가능한 조제품은 또한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용액과 같은 무균의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허용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만니톨, 물, 링거액 및 등장의 염화나트륨 용액이다. 게다가, 무균의 고정유는 전통적으로 용매 또는 분산매(예를 들어, 합성의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 드)로서 사용된다. 올레익산 및 그것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와 같은 지방산은 특히 그들의 폴리옥시에틸화 형태인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와 같은 천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로서 주사제의 제조에 유용하다. 이러한 오일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긴사슬 알콜 희석제 또는 분산제, 또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유사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벤질알콜 또는 다른 적합한 방부제, 생물학적이용가능성을 강화시키는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다른 공지된 용해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염류의 용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화합물은 직장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한 예로는 좌약 기제(suppository base)와 함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좌약이다. 적합한 좌약 기제는 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파라핀 탄화수소이다. 또 다른 예로는 활성 화합물 및 기제를 포함하는 젤라틴 직장 캡슐이 있다. 사용 가능한 기제 물질은 예를 들어, 액체 트리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파라핀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피부에 적용되는 조성물은 오일, 크림, 로션, 연고 및 기타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에 적합한 담체는 식물 또는 광유, 흰 바셀린 연고(흰 연성 파라핀), 분지쇄 지방 또는 오일, 동물성 지방 및 고분자량 알콜(C12보다 높음)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담체는 활성 성분이 가용성인 것이다. 유화제, 안정제, 습윤제 및 항산화제는 또한 만일 필요하다면, 색의 발현제 또는 방향제를 포함한다. 게다가 피부침투 증강제가 이러한 국소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증강제의 예는 미국 특허출원 3,989,816 및 4,444,762에서 찾을 수 있다.
크림은 바람직하게는 아몬드유와 같은 소량의 오일에 용해된 활성 성분의 혼합물이 뒤섞인 광유, 자기유화형 밀랍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조제된다. 이러한 크림의 예로서 하나는 물 약 40, 밀랍 약 20, 광유 약 40 및 아몬드유 약 1의 비율을 포함한다.
연고는 따뜻한 연성 파라핀 및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것과 함께 아몬드유와 같은 식물성 유지에 활성 성분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연고의 예로서 하나는 아몬드유 30중량% 및 흰 연성 파라핀 70중량%를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담체는 활성성분의 배합에 적합하며(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그것을 안정화할 수 있는) 치료하는 환자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의미로 "허용가능"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시클로덱스트린(특별한 형태로 활성 화합물을 더 용해하는 복합체)과 같은 용해제는 활성 화합물의 운반을 위한 약제학적 부형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담체의 예는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셀룰로오스, 라우릴 황산 나트륨 및 D&C 옐로우 #10을 포함한다.
적절한 시험관내(in vitro) 검정은 TNFα 또는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 상기 기술된 화합물 중 어떤 것이든 그 효능을 예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비 선별에서 높은 활성이 증명된 화합물은 생체내(in vivo) 검정에 의해 더 선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화합물은 염증성 장 질환을 가진 동물(예컨대, 마우스 모델)에 투여될 수 있고, 그 후 그것의 치료적 효과가 얻어진다. 그 결과에 기초하 여, 적당한 투약 범위 및 투여 경로가 또한 결정되어질 수 있다.
더 이상의 가공 없이, 상기 설명은 본 발명에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하기의 특정한 실시예는 단지 실례로서 해석되고, 어떠한 방법으로든 설명 이외의 것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여기에 인용된 특허를 포함한 모든 간행물은 그 전체가 참고자료로서 본원에서 인용된다.
시험관내 ( in vitro ) 검정
안드로그라폴라이드(National Institute for the Control of Pharmaceutical And Biological Products), 네오안드로그라폴라이드(China Pharmaceutical University), 14-데옥시(deoxy)-11,12-디하이드로겐-안드로그라폴라이드(China Pharmaceutical University) 및 14-데옥시-안드로그라폴라이드(China Pharmaceutical University)의 4가지 테스트 화합물은 각각 다양한 테스트 용액을 얻기 위하여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되었다.
말초 혈액 단구(Peripheral blood monocytes; PBMC)는 제조업체에 의해 추천된 프로토콜을 따라 피콜-파크 플러스 시약(Ficoll-Paque Plus, Amersham Bioscience)를 사용하여 신선한 혈액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세포들은 1×105세포/ml 농도로 10% 우태혈청을 포함한 RPMI 1640 배지에 현탁되고, 96-웰 플레이트(각 웰당 총 1×104세포)에 접종되었다. 각각의 반응은 3개의 웰에서 수행되었다.
10㎕의 테스트 용액이 웰 안에 첨가되었다(테스트 화합물의 최종 농도 : 0.1, 0.3, 1, 3, 10 및 30㎍/ml). 덱사메타손(CalBiochem 제조, 최종 농도 : 10μM)이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10㎕의 배지가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플레이트는 15분간 5% CO2 하의 37℃에서 배양되었다. 100㎍/ml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의 10㎕ 엘리컷이 음성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첨가된 후에, 플레이트는 하룻밤 동안 5% CO2 하의 37℃에서 배양되었다.
플레이트는 15분간 1000rpm에서 회전되었고, 상층액이 회수되었다. TNFα 및 IL-1β의 농도는 TNFα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및 IL-1β ELISA 키트(Jingmei Bioengineer Technology)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저해율(inhibition ratio)은 하기와 같이 계산되었다: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5
여기에서 Ctest compound는 테스트 화합물로 처리된 PBMC 세포들에서의 TNFα 또는 IL-1β의 농도, CLPS는 LPS 및 덱사메타손으로 처리된 PBMC 세포들에서의 TNFα 또는 IL-1β의 농도 및 CControl은 LPS 또는 테스트 화합물로 처리되지 않은 PBMC 세포들에서의 TNFα 또는 IL-1β의 농도이다.
결과는 모든 4개의 화합물들이 TNFα 및 IL-1β 모두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시켰음을 보여주었다.
생체내 ( in vivo ) 검정
수컷 위스타 랫트(170~190g, Chinese academy of science animal center 제공, Shanghai)는 조절된 환경에서 사육되었고(케이지 당 7~8마리), 표준 설치류 음식물 및 물이 공급되었다. 궤양성 대장염(Distal colitis)은 논문(Hogaboam C.M.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1996, 309:261-269)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쥐에 유도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쥐는 1%의 펜토바르비탈 나트륨(pentobarbital sodium)으로 마취되었다. 30% 에탄올(v/v) 0.25ml에 녹인 2,4-디니트로벤젠 술폰산(2,4-Dinitrobenzene sulfonic acid; DNBS)은 PE 50 캐뉼러를 통해 결장(항문으로부터 8cm에 가장 근접한) 안으로 넣어졌다. 대조군(공백 대조군, blank-control)에서는, 에탄올에 녹인 DNBS 대신에 30% 에탄올(v/v)이 넣어졌다.
안드로그라폴라이드(복강내로 10mg/kg)는 대장염의 유도에 앞서 24시간 및 2시간에 DNBS-처리된 쥐의 그룹에 투여되었고, 그 후 5일간 하루에 한번 투여되었다.
쥐들의 몸무게는 매일 측정되었다. 모든 쥐들은 대장염 유도 후 6일째에 희생되었고, 대장, 비장 및 흉선이 제거되고 무게가 측정되었다. 대장의 무게/체중 중량비, 비장의 무게/체중 중량비 및 흉선의 무게/체중 중량비가 측정되었다.
항문관 위쪽으로 정확히 2cm에 위치한 대장 조직의 샘플이 얻어졌고, 10% 중성 완충포르말린에 고정되고 파라핀에 묻혀지고 절단되어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되었다. 샘플은 병변의 심각함을 결정하기 위해 현미경하에서 검사되었다.
단지 DNBS만 주어진 쥐들은 심각한 설사, 지속적인 몸무게 감소 및 현저한 대장의 무게/체중 중량비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6일간 안드로그라폴라이 드(10mg/kg)로 처리한 쥐들은 소모성 증후군이 경감되었고 대장의 무게/체중 중량비가 감소되었다.
현미경적인 검사는 DNBS가 주어진 및 안드로그라폴라이드가 주어지지 않은 쥐의 대장이 장벽의 모든 층에서 전측부의 염증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또한 검사된 대장 조직에서의 염증 세포의 침투, 상피 세포의 소실, 반점형 궤양(patchy ulceration) 및 현저한 점액 생산 배상세포(mucin-producing goblet cell)의 현저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DNBS가 주어진 쥐들 및 안드로그라폴라이드로 치료된 쥐들의 대장은 매우 심각성이 적은 염증을 보여주었다. 이들 대장의, 장 벽은 매끄럽고 주변의 조직들과 유착되지 않았다. 안드로그라폴라이드는 DNBS-유도 대장염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거나 또는 심지어는 치료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들
본 특허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특징들은 어떤 조합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본 특허 명세서에 기술된 각 특징들은 동일하고, 동등한 또는 유사한 목적을 제공하는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그밖에 명확히 언급된 것이 아니라면, 기술된 각 특징들은 단지 일반적인 일련의 동등하거나 유사한 특징의 실시예일 뿐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필수 특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하여 다양한 사용과 조건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그라폴라이드와 구조적으로 상동한 화합물이 만들어지고 TNFα 또는 IL-1β의 발현에 대한 그 들의 저해 활성 및 TNFα 또는 IL-1β와 관련된 질병의 치료를 위해 선별되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외의 실시예 또한 청구범위 내에 있다.

Claims (26)

  1.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과 TNFα가 접촉하는 것을 포함하는 TNFα 발현의 저해 방법: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6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아릴, 시클일 또는 헤테로시클일; 및
    R2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7
    이며,
    여기에서 R'는 H, 알킬, 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할로,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 및
    R"는 H, 알킬, 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아미노 또는 할로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H인 TNFα 발현의 저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2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8
    인 TNFα 발현의 저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가 H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R"가 H인 TNFα 발현의 저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TNFα 발현의 저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4-데옥시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TNFα 발현의 저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4-데옥시-11,12-디하이드로겐-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TNFα 발현의 저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네오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TNFα 발현의 저해 방법.
  9.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과 IL-1β가 접촉하는 것을 포함하는 IL-1β 발현의 저해 방법:
    Figure 112006073538264-PCT00009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아릴, 시클일 또는 헤테로시클일; 및
    R2
    Figure 112006073538264-PCT00010
    이며,
    상기에서 R'는 H, 알킬, 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할로,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 및
    R"는 H, 알킬, 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아미노 또는 할로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H인 IL-1β 발현의 저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2
    Figure 112006073538264-PCT00011
    인 IL-1β 발현의 저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R'가 H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R"가 H인 IL-1β 발현의 저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IL-1β 발현의 저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4-데옥시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IL-1β 발현의 저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4-데옥시-11,12-디하이드로겐-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IL-1β 발현의 저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네오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IL-1β 발현의 저해 방법.
  17.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그것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Figure 112006073538264-PCT0001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아릴, 시클일 또는 헤테로시클일; 및
    R2
    Figure 112006073538264-PCT00013
    이며,
    여기에서 R'는 H, 알킬, 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할로,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 및
    R"는 H, 알킬, 시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아미노 또는 할로이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H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2
    Figure 112006073538264-PCT00014
    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R'가 H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R"가 H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4-데옥시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4-데옥시-11,12-디하이드로겐-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네오안드로그라폴라이드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이 크론병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이 궤양성 대장염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KR1020067021137A 2004-03-11 2005-03-11 TNFα 및 IL-1β 발현 억제제로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및 유사체 KR20070049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232904P 2004-03-11 2004-03-11
US60/552,329 2004-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103A true KR20070049103A (ko) 2007-05-10

Family

ID=3497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137A KR20070049103A (ko) 2004-03-11 2005-03-11 TNFα 및 IL-1β 발현 억제제로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및 유사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25945B2 (ko)
EP (1) EP1729758A1 (ko)
JP (1) JP2007528421A (ko)
KR (1) KR20070049103A (ko)
AU (1) AU2005221711A1 (ko)
CA (1) CA2559614A1 (ko)
RU (1) RU2006135836A (ko)
TW (1) TW200536526A (ko)
WO (1) WO2005087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747008E (pt) 2004-04-28 2015-03-31 Nutrition Science Partners Ltd Extrato em bruto de andrographis paniculata
JP2007176934A (ja) * 2005-11-30 2007-07-12 Kose Corp 血小板活性化因子アセチルヒドロラーゼ機能調整剤
US20070202164A1 (en) * 2006-02-28 2007-08-30 Hutchison Medipharma Enterprises Limited Andrographis Extract Formulations
CN101200465B (zh) * 2006-12-11 2010-12-29 和记黄埔医药(上海)有限公司 一种十氢化萘类化合物及其医药用途
US20090117209A1 (en) 2007-11-02 2009-05-07 Hutchison Medipharma Enterprises Limited Andrographis paniculata extract
SG174892A1 (en) * 2009-03-24 2011-11-28 Univ Singapore Use of andrographolide compounds for treating inflammation and airway disorders
CN101870768B (zh) * 2009-04-22 2012-02-29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活性内酯类化合物的聚乙二醇化衍生物
CN103145657B (zh) * 2012-04-12 2015-12-02 江西青峰药业有限公司 17-氢-9-去氢穿心莲内酯化物、制备方法及其制备药物用途
CN102716122B (zh) * 2012-07-03 2014-06-25 郑州大学 15-苄亚基-14-脱氧-11,12-脱氢穿心莲内酯衍生物在制备治疗糖尿病药物中的应用
CN103006640A (zh) * 2012-12-06 2013-04-03 江西青峰药业有限公司 穿心莲内酯磺化物在制备治疗炎症性肠病药物中的应用
EP3031456A4 (en) * 2013-08-06 2016-12-28 Tasly Pharmaceutical Group Co USE OF ANDROGRAPHOLIDE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ENDURANCE, ENTERAL ANDROGRAPHOLIDE MICROPELLE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TWI721282B (zh) * 2018-06-25 2021-03-11 馬來西亞商科鼎國際有限公司 新穿心蓮內酯之組成物用於改善腎功能之應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969A (ja) * 1999-08-20 2001-03-06 Nettairin Saisei Gijutsu Kenkyu Kumiai 一酸化窒素産生抑制剤
US6629835B2 (en) * 2000-08-01 2003-10-07 Metaproteomics, Llc Combinations of diterpene triepoxide lactones and ditepene lactones or triterpenes for synergistic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US7270835B2 (en) * 2001-06-20 2007-09-18 Metaproteomics, Llc Compositions that treat or inhibit patholog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response
PT1747008E (pt) * 2004-04-28 2015-03-31 Nutrition Science Partners Ltd Extrato em bruto de andrographis panicul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9758A1 (en) 2006-12-13
RU2006135836A (ru) 2008-04-20
US7625945B2 (en) 2009-12-01
AU2005221711A1 (en) 2005-09-22
TW200536526A (en) 2005-11-16
CA2559614A1 (en) 2005-09-22
WO2005087223A1 (en) 2005-09-22
JP2007528421A (ja) 2007-10-11
US20050215628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9103A (ko) TNFα 및 IL-1β 발현 억제제로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및 유사체
KR101534844B1 (ko) 천심련으로부터의 조추출물
ES2359168T3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cannabinoides no psicotrópic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antiinflamatorias.
JP2015025024A (ja) アンドログラフィス・パニキュラータ抽出物及び同抽出物を含む製薬組成物並びに同抽出物の製薬組成物の製造における使用
JP4052485B2 (ja) 黒色腫の成長を阻害する方法
KR101398076B1 (ko) 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의 독성 감소용 조성물
US20050288378A1 (en) Cancer chemotherapy
CN1666985A (zh) 穿心莲内酯及其衍生物、类似物的医药用途
US20050124684A1 (en) 5-(hydroxymethyl) furfural and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TNFalpha and IL-1beta production
US20050148616A1 (en) Inhibitor of TNF-alpha and IL-1beta production
KR100889169B1 (ko) 뉴로키닌-1 수용체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시호 수 추출물의제조 방법 및 시호 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뉴로키닌-1수용체 길항성 약학 조성물
KR101295010B1 (ko) 검은 생강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의 항바이러스제로서의 용도
JP2010083815A (ja) カンジダ症予防又は治療剤
JP5376889B2 (ja) カンジダ症予防又は治療剤
KR20140058734A (ko)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 및 위장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