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930A - Vbus 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 Google Patents

Vbus 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930A
KR20070047930A KR1020050104820A KR20050104820A KR20070047930A KR 20070047930 A KR20070047930 A KR 20070047930A KR 1020050104820 A KR1020050104820 A KR 1020050104820A KR 20050104820 A KR20050104820 A KR 20050104820A KR 20070047930 A KR20070047930 A KR 20070047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bus
unit
image forming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7930A/ko
Publication of KR2007004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09Remote control of apparatus, e.g. by a ho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V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V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은 VBUS를 통해 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이용하여 로직전원을 생성하며, 로직전원을 사용하는 소자들에 상기 생성된 로직전원을 공급하는 VBUS공급부, 및 DC어뎁터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으면, 상기 VBUS공급부가 상기 로직전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VBUS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호스트장치로부터 VBUS를 통해 로직(logic)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내의 메모리, LCD, 조작패널과 같이 적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작업 수행시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VBUS, 로직전원, DC어뎁터

Description

VBUS 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A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supplied with power via voltage bus and power supply metho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공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DC어뎁터부 120: VBUS제어부
130: VBUS공급부 140: DC/DC컨버터
135: 제1 다이오드 145: 제2 다이오드
150: USB감지부 160: 헤드/모터전원부
170: 시스템부 171: 메인제어부
172: 메모리부 173: 메모리카드 슬롯
174: LCD부 175: 조작패널부
179: 헤드/모터구동부
본 발명은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VBUS(Voltage 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에 관한것이다.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되는 원본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인쇄용지에 인쇄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는 로직(logic)전원같은 적은 전력으로 그에 상응하는 동작의 수행이 가능하다.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모바일 프린터, 모바일 스캐너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로직전원이란,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내의 메모리, LCD, 조작패널과 같이 적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는 DC어뎁터(Adaptor)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로직전원 및 헤드(Head)/모터(Motor)구동을 위한 전원을 생성하여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일반적인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는 DC어뎁터(Adaptor)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로직전원 및 헤드/모터구동전원을 모두 입력받아야만 동작하게 된다.
이는, 메모리카드 내의 이미지 확인과 같이 저전력을 요구하는 작업시에도 모든 전원이 입력되어야 하므로 전력낭비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Printing)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메모리의 내용을 확인하는 작업이 빈번히 수행된다.
이에 의해,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내의 메모리, LCD, 조작패널과 같이 적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작업 수행시에, 이를 구동할 수 있는 저전력의 로직전원만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내의 메모리, LCD, 조작패널과 같이 적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작업 수행시에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호스트장치로부터 VBUS를 통해 로직(logic)전원을 공급받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VBUS(Voltage 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은 VBUS를 통해 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이용하여 로직전원을 생성하며, 로직전원을 사용하는 소자들에 상기 생성된 로직전원을 공급하는 VBUS공급부, 및 DC어뎁터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으면, 상기 VBUS공급부가 상기 로직전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VBUS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C어뎁터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상기 VBUS를 통해 입력되는 VBUS신호를 USB 탈부착 감지신호로 사용하는 USB감지부, 및 상기 DC어뎁터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상기 DC어뎁터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로직전원을 생성하는 DC/DC컨버터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DC/DC컨버터에서 출력되는 로직전원이 상기 VBUS공급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VBUS공급부에서 출력되는 로 직전원이 상기 DC/DC컨버터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DC어뎁터를 구비하고, VBUS를 통해 호스트장치와 연결된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DC어뎁터로부터 전원공급이 없으면, 상기 VBUS를 통해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로직(logic)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로직전원을 상기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로직전원을 사용하는 소자들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C어뎁터로부터 전원공급이 있으면, 상기 VBUS를 통해 입력되는 VBUS신호를 USB 탈부착 감지신호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DC어뎁터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로직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는 DC어뎁터부(110), VBUS제어부(120), VBUS공급부(130), DC/DC컨버터(140), 제1 다이오드(135), 제2 다이오드(145), USB감지부(150), 헤드/모터 전원부(160), 및 시스템부(170)를 구비한다.
그리고, 시스템부(170)는 메인제어부(171), 메모리부(172), 메모리카드 슬롯(173), LCD부(174), 조작패널부(175), 및 헤드/모터 구동부(179)를 구비한다.
그리고,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는 VBUS공급부(130)를 통해 외부의 호스트장치 (200)와 연결되어 있다.
다만,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배제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DC어뎁터부(110)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에 DC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VBUS제어부(120)는 DC어뎁터부(110)로부터 DC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HIGH신호를 생성하고, DC어뎁터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는 LOW신호를 생성하여 VBUS공급부(130)로 전달한다.
VBUS공급부(130)는 VBUS제어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LOW신호일 경우, 이는 DC어뎁터부(110)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없는 상태이므로, 호스트장치(200)로부터 VBUS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로직(logic)전원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메인제어부(171)는 시스템부(170)내의 메모리부(172), 메모리카드 슬롯(173), LCD부(174), 조작패널부(175)와 같이 저전력을 요하는 작업수행시에, VBUS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로직전원을 사용한다.
VBUS공급부(130)가 VBUS제어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HIGH신호일 경우, DC어뎁터부(110)로부터 전원의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호스트장치(200)로부터 VBUS를 통해 입력되는 VBUS신호는 USB케이블의 탈부착 감지용으로만 사용된다.
DC/DC컨버터(140)는 DC어뎁터부(110)로부터 DC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DC어뎁터부(110)로부터 공급받은 DC전원을 변환하여 로직전원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DC어뎁터부(110)로부터 DC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DC/DC컨버터(140)에 의해 생성된 로직전원이 시스템부(170)내의 메모리부(172), 메모리카드 슬롯(173), LCD부(174), 조작패널부(175)와 같이 저전력을 요하는 작업수행시에 사용된다.
제1 다이오드(135), 및 제2 다이오드(145)는 로직전원의 역류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부(170)로 유입되는 로직전원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C어뎁터부(110)로부터 DC전원이 공급이 없을 시 VBUS를 통해 공급되는 경우와 DC어뎁터부(110)로부터 DC전원이 공급이 있을 시 DC/DC컨버터(140)를 통해 공급되는 경우 두 가지가 있으므로, 이들 상호 간을 분리하여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USB감지부(150)는 DC어뎁터부(1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경우, 호스트장치(200)로부터 VBUS를 통해 입력되는 VBUS신호를 이용하여 USB의 탈부착을 감지한다.
헤드/모터 전원부(160)는 DC어뎁터부(1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 활성화 되며, 시스템부(170)의 헤드/모터 구동부(179)에 전압을 공급한다.
메인제어부(171)는 VBUS공급부(130)나 DC/DC컨버터(140) 중 어느하나로 부터 로직전원을 공급받아 메모리부(172), 메모리카드 슬롯(173), LCD부(174), 조작패널부(175)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공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DC어뎁터(110)로부터 전원공급이 없을 경우(S310), VBUS제어부(120)가 VBUS공급부(130)에 LOW신호를 입력한다(S320).
VBUS공급부(130)가 호스트장치(200)로부터 VBUS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로 직전원을 생성한다(S330).
메인제어부(171)가 VBUS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로직전원을 이용하여, 메모리부(172), 메모리카드 슬롯(173), LCD부(174), 및 조작패널부(175)를 구동한다(S340).
위의 과정을 다시 말하면, VBUS공급부(130)가 VBUS제어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LOW신호일 경우, 이는 DC어뎁터부(110)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없는 상태이므로, 호스트장치(200)로부터 VBUS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로직전원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메인제어부(171)는 시스템부(170)내의 메모리부(172), 메모리카드 슬롯(173), LCD부(174), 조작패널부(175)와 같이 저전력을 요하는 작업수행시에, VBUS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로직전원을 사용하여 위의 장치들을 구동한다.
여기서, S310단계에서, DC어뎁터(110)로부터 전원공급이 있는 경우, VBUS제어부(120)가 VBUS공급부(130)에 HIGH신호를 입력한다(S325).
USB감지부(150)는 호스트장치(200)로부터 VBUS공급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VBUS신호를 이용하여 USB의 탈부착을 감지한다(S327).
즉, 상기 설명한 DC어뎁터(110)로부터 전원공급이 없는 경우와 달리, VBUS신호가 USB감지부(150)에 의해 USB의 탈부착을 감지하는 신호로 사용이 된다.
DC/DC컨버터(140)가 DC어뎁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을 변환하여 로직전원을 생성한다(S335).
여기서, DC어뎁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은 또한 헤드/모터 전원부(160)를 통해, 시스템부(170)의 헤드/모터 구동부(179)에 전압을 공급하는데 사용 이 된다. 즉, DC어뎁터(110)로부터 전원공급이 있는 경우에만 헤드/모터 전원부(160)가 활성화된다.
메인제어부(171)가 DC/DC컨버터(140)로부터 공급되는 로직전원을 이용하여, 메모리부(172), 메모리카드 슬롯(173), LCD부(174), 및 조작패널부(175)를 구동한다(S3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장치로부터 VBUS를 통해 로직(logic)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내의 메모리, LCD, 조작패널과 같이 적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작업 수행시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저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VBUS(Voltage BUS)를 통해 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이용하여 로직전원을 생성하며, 로직전원을 사용하는 소자들에 상기 생성된 로직전원을 공급하는 VBUS공급부; 및
    DC어뎁터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으면, 상기 VBUS공급부가 상기 로직전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VBUS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C어뎁터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상기 VBUS를 통해 입력되는 VBUS신호를 USB 탈부착 감지신호로 사용하는 USB감지부; 및
    상기 DC어뎁터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있으면, 상기 DC어뎁터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로직전원을 생성하는 DC/DC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US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C/DC컨버터에서 출력되는 로직전원이 상기 VBUS공급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VBUS공급부에서 출력되는 로직전원이 상기 DC/DC컨버터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
  4. DC어뎁터를 구비하고, VBUS(Voltage BUS)를 통해 호스트장치와 연결된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DC어뎁터로부터 전원공급이 없으면, 상기 VBUS를 통해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로직(logic)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로직전원을 상기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상기 로직전원을 사용하는 소자들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C어뎁터로부터 전원공급이 있으면, 상기 VBUS를 통해 입력되는 VBUS신호를 USB 탈부착 감지신호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DC어뎁터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로직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
KR1020050104820A 2005-11-03 2005-11-03 Vbus 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KR20070047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20A KR20070047930A (ko) 2005-11-03 2005-11-03 Vbus 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20A KR20070047930A (ko) 2005-11-03 2005-11-03 Vbus 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930A true KR20070047930A (ko) 2007-05-08

Family

ID=3827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820A KR20070047930A (ko) 2005-11-03 2005-11-03 Vbus 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79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8233B2 (en) 2012-01-06 2016-03-29 Samsung Display Co., Ltd. Driver IC of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logic voltage using driver IC
CN106154784A (zh) * 2014-12-06 2016-11-23 中山诚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压产生单元的供电方法以及处理盒
CN107521236A (zh) * 2016-06-22 2017-12-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装置以及打印装置的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8233B2 (en) 2012-01-06 2016-03-29 Samsung Display Co., Ltd. Driver IC of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logic voltage using driver IC
CN106154784A (zh) * 2014-12-06 2016-11-23 中山诚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压产生单元的供电方法以及处理盒
CN107521236A (zh) * 2016-06-22 2017-12-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装置以及打印装置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613B2 (en) Power control system
KR100393062B1 (ko) 절전형 이중 제어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20030024068A (ko) 유에스비 전원 제어장치
JP2004202692A (ja) 画像形成装置
JP365227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US6804482B2 (en) Printer to control power supply via a host
TWI376592B (en) Computer system
KR20070047930A (ko) Vbus 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TWI391823B (zh) 與一電腦主機連結之週邊裝置及其相關之電源控制方法
JP2014073070A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モータ駆動方法
JP2004185194A (ja) 記録装置
JP2002178610A (ja) 印字装置の制御装置
CN101015999B (zh) 打印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40288773A1 (en) Automotive Electronic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US2013015187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3169476A (ja) 電源供給アダプタを接続可能な電子機器
CN102135792A (zh) 显示器的电源管理方法和显示器
JP200329146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72626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KR101200416B1 (ko) 프린팅장치
JP2003094770A (ja) 記録装置
US201900588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112487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7215283A (ja) モータ制御装置
US2015016889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