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641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자동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자동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641A
KR20070047641A KR1020050104555A KR20050104555A KR20070047641A KR 20070047641 A KR20070047641 A KR 20070047641A KR 1020050104555 A KR1020050104555 A KR 1020050104555A KR 20050104555 A KR20050104555 A KR 20050104555A KR 20070047641 A KR20070047641 A KR 2007004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all
communication terminal
message
automatic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7641A/ko
Publication of KR2007004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중 대기(Call Waiting) 서비스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에서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여, 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락하면, 호를 해제한 상태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연결을 기다림으로써, 불필요하게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호 연결을 기다리는 것을 막는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호 연결중, 제 3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 연결 시도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되도록 호를 전환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중 대기 상태인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를 해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3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호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자동연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등에 이용됨.
통화중 대기, 이동통신 단말기, 메시지, 호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CALL WAITING WITH AFTER CALL RELEASE TO AUTO CONNEC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화면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Call Wait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 개인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통신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편리 사용을 위한 각종 부가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최근 통신 사업자에 의해 널리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로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전화 단말기가 통화연결을 요청하게 되면, 해당 발신측 단말기들의 전화번호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발신자번호 표시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발신자번호 표시 서비스를 통해서 발신자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통화를 원하지 않는 상대방을 임의적으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도 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정의 발신자와 통화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발신자로부터 통화연결시도가 있는 경우, 발신자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른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다른 발신자와의 통화를 원하면, 현재 통화를 진행하고 있는 발신자를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다른 발신자와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중 대기(Call Waiting)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다. 즉,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통화중에 다른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중이던 전화를 잠시 대기시키고 새로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도 1 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와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 102, 103)들을 연결하는 이동통신 시스템(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기지국 무선장치(BTS: Base Transceive System), 기지국 제어장치(BSC: Base Station Controller), 이동전화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그리고 홈위치 등록장치(HLR: Home Location Register) 그리고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104)에 포함되는 각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호 연결을 하기 위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11).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으로 통화하려는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키를 누르는 것을 일컫는다.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채널을 할당하고(S112),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를 호출한다(S113). 그리고 호출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부터 호 연결 수락을 받아내면(S114),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호 연결신호를 전송한다(S115).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 사이에 호를 연결한다(S116).
이후,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로부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호 연결 수락 신호를 전송받는다(S117 내지 S119). 이러한 과정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의 번호를 확인하고, 호 연결을 원하면 통화키를 누르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101)부터 호 연결 수락을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호 연결신호를 전송한다(S120).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호를 전환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통화중 대기 상태 가 되도록 하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의 호를 연결한다(S121).
이로써,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와의 통화를 홀딩(Holding)시키는 것과 같은 통화중 대기 상태로 놓고,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와 통화를 개시한다. 물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호가 끊어진 것은 아니다. 언제든지 호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즉 통화키를 누름으로써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와의 호 연결을 재계할 수 있다.
이후,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와의 호 해제를 요청하면(S122),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에 호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S123).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의 호를 해제하고 호를 전환하여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호를 연결한다(S124).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에서는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기 위하여, 현재 호가 서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가 해제되거나 또는, 호가 전환될 때까지 불필요하게 트래픽(Traffic) 상태로 계속 기다려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에서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여, 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락하면, 호를 해제한 상태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연결을 기다림으로써, 불필요하게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호 연결을 기다리는 것을 막는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호 연결중, 제 3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 연결 시도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되도록 호를 전환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중 대기 상태인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를 해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3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호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자동연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화중 대기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통화중 대기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의 수신 및 발신 상태에 따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제 3 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술함에 있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기술하였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부(201), 키입력부(202), 송수신부(203), 저장부(204), 제어부(205) 및 음성처리부(206)를 포함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표시부(20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전화번호, 영상 데이터 그리고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한 다. 또한, 표시부(2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05)의 제어에 의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키입력부(202)를 통해 요청하도록 한다.
키입력부(202)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05)로 출력한다.
송수신부(203)는 키입력부(202)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제어부(205)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송수신부(203)는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5)로 전달한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외부로부터의 호를 수신하거나 호 연결을 시도하는 부분으로서, 제어부(205)의 제어 하에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05)로 전달한다.
저장부(20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수행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0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등의 기능을 처리 및 제어하는 블록으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기능을 처리한다.
제어부(205)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205)는 호 연결 중에 통화중 대기를 요청하는 신호를 받으면 호 연결 중이던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중 대기를 수행하고, 그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을 수행한다. 좀 더 상세히 그 동작을 살펴보면, 통화중 대기를 요청하는 신호를 받으면 호 연결 중이던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결을 홀딩하는 통화중 대기 동작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송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수신하여 그에 대한 호 종료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종료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생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통화중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표시부(201)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부(201)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전송키를 입력하면,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가 생성되어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생성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는 SMS 종류(Short Message Service Type) 필드, 서비스 종류 번호를 표시해주는 텔레서비스 식별자(TID : Teleservice Identification) 필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표시해주는 착신 주소(Destination Address) 필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에 따른 메시지의 내용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담고 있는 전송 메시지(Bearer) 필드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메시지의 텔레서비스 식별자 필드를 확인하여 입력된 메시지가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는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205)는 수신된 응답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면, 제어부(205)는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호 해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를 해제한다.
이 밖에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으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 정보를 입출력하는 음성처리부(20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 그리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 102, 103)들을 연결하는 이동통신 시스템(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104)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기지국 무선장치(BTS: Base Transceive System), 기지국 제어장치(BSC: Base Station Controller), 이동전화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그리고 홈위치 등록장치(HLR: Home Location Register) 그리고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104)에 포함되는 각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 해제 후 자동연결하는 통화중 대기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호 연결을 하기 위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11).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으로 통화하려는 특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키를 누르는 것을 일컫는다.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채널을 할당하고(S312),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를 호출한다(S313). 그리고 호출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부터 호 연결 수락을 받아내면(S314),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한다(S315).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 사이에 호를 연결한다(S316).
이후,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로부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호 연결 수락 신호를 전송받는다(S317 내지 S319). 이러한 과정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의 번호를 확인하고, 호 연결을 원하면 통화키를 누르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호 연결 수락을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호 연결신호를 전송한다(S320).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호를 전환하여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의 호를 연결한다(S321).
이로써,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와의 통화를 홀딩(Holding)시키는 것과 같은 통화중 대기 상태로 놓고,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와 통화를 개시한다. 물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호가 끊어진 것은 아니다. 언제든지 호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즉 통화키를 누름으로써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와의 호 연결을 재계할 수 있다.
이후,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하여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104)에 전송한다(S322).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은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입력된 메시지의 텔레서비스 식별자 필드 정보를 통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메시지를 전송한다(S323).
그리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확인키를 입력하면, 제 1 이동통신 단말 기(101)는 메시지의 정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한다(301). 그리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324).
여기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서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저장하는 정보로는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가 된다. 이러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는 수신된 메시지 포맷의 전송 메시지 필드 정보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325). 그리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이를 학인하고, 호 해제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전송하여 호를 종료한다(S326). 여기서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전송하는 호 해제 신호는 키입력부(202)에 구비된 종료키를 누르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닫는 방법으로 호 해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는 호가 연결되어 통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호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연결을 기다릴 수 있게 된다(S327).
이후,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 간의 통화가 종료되어, 호 해제 신호가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입력되면,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에 호를 해제한다(S328).
그리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로 이동통신 시스템(104)에 호 연결을 요청한다(S329).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호 연결을 요청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채널을 할당하고(S330),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를 호출한다(S331). 그리고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부터 통화 수락을 받아내면(S332),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한다(S333).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104)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 사이에 호를 연결한다(S334).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통화중 대기 상태에 있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를 해제한 상태에서 호 연결을 기다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가 종료되면, 호 연결을 요청받아 통화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포맷은 메시지의 종류를 표시해주는 SMS 종류(Short Message Service Type) 필드(410), 서비스 종류 번호를 표시해주는 텔레서비스 식별자(TID : Teleservice Identification) 필드(420),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60)의 전화번호를 표시해주는 착신 주소(Destination Address) 필드(430),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에 따른 메시지의 내용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담고 있는 전송 메시지(Bearer) 필드(440)로 구성된다.
SMS 종류 필드(310)는 통상 8 비트(bit)로 구성되어 3 가지로 구분되는 메시지 종류를 표시해준다. SMS의 종류로서는, SMS Point-to-Point, SMS Broadcast 및 SMS Acknowledge가 있다. SMS Point-to-Point는 1:1의 형태로 발신측과 수신측 간에만 전달되는 메시지로서 통상적으로 '00000000'으로 설정되어 있다. SMS Broadcast는 방송형 메시지로서 한 곳에서 여러 곳으로 전달되는 방식의 메시지로서, 이 메시지를 받을 권한이 있는 모두에게 전달되는 메시지이며, 통상적으로 '00000001'로 설정되어 있다. SMS Acknowledge는 회신 메시지로서, SMS Point-to-Point의 형태로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한 답변을 보내는 메시지로서, 통상적으로 '00000010'으로 설정되어 있다.
텔레서비스 식별자 필드(320)는 메시지의 서비스 종류 번호를 표시해주는데, 서비스 종류 번호는 메시지의 성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소정의 숫자로 예로써, TID : 4097은 본 메시지가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TID: 4098은 본 메시지가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착신 주소 필드(330)에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전송 메시지 필드(340)에는 전송하려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에 따른 메시지의 내용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형식을 단문 메시지(SMS)의 형식으로 정의하여 기술하였으나,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파일럿 신호 등의 형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수락하여 호가 연결된다(501).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연결중,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서 이를 수락하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호 전환 요청에 따라,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된다(502).
그리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면(503), 제어부(205)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부(201)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05)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표시부(201)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송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다(504). 여기서 생성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의 종류를 표시해주는 SMS 종류(SMS Type) 필드(410), 서비스 종류 번호를 표시해주는 텔레서비스 식별자(TID : Teleservice Identification) 필드(420),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60)의 전화번호를 표시해주는 착신 주소(Destination Address) 필드(430),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에 따른 메시지의 내용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담고 있는 전송 메시지(Bearer) 필드(4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는 제어부 (205)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부(203)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전송된다(505).
이후,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506),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이를 확인하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연결된 호를 종료하게 된다(507).
그리고 호를 해제된 상태에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에 연결된 호가 해제되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이동통신 시스템(104)을 통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된다(508).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호 연결을 수락하면(509),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호가 연결되어 통화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510).
만약,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506),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의 호가 재연결되기를 원하면, 통화중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511), 호가 연결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의 통화가 종료되어 호가 전환되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호가 재연결되어 통화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512).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통화중 대기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호 연결을 원하는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이동통신 시스템(104)을 통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호 연결을 수락 신호가 입력되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호가 연결된다(601).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호가 연결되어 통화를 진행중인 상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의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어(602), 이를 수락하면(603),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로 설정하고, 제 3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가 연결된다(604).
그리고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와 호 연결중, 통화중 대기 상태인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605), 제어부(205)는 이를 표시부(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수락키의 입력이 감지되면(606),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대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한다(607). 여기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설정을 위해 수신된 메시지 포맷에서 전송 메시지(440) 필드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전송한다(608).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이를 확인하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연결된 호를 해제한다(609).
그리고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에 연결된 호가 해제되면(610), 제어부 (205)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611).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104)으로부터 호 연결 수락 신호가 수신되면(612),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호가 연결되어 통화를 진행하게 된다(613).
만약,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605),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수락하지 않으면(606),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통화중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와 호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614).
그리고 제 3 이동통신 단말기(103)와 통화가 종료되어 호가 해제되면(615), 통화 대기중이던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호를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고 통화를 진행한다(616).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통화중 대기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수락함으로써,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화면예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여, 도 7a 내지 도 7c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는 통화중 대기 상태인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사용자로 하여금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화중 대기 상태인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키를 입력하면,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 7a 와 같이 표시부(201)에 표시된다.
도 7a 에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전송키의 입력이 있으면, 도 3 의 S322 과정 내지 S323 과정을 통해 도 5b 와 같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사용자가 도 5b 에 도시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 메시지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락키의 입력이 있으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하고(301),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도 3 의 S324 과정 내지 S325 과정을 통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게 된다.
제 2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사용자는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고 호를 해제한다. 그리고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는 도 7c 과 같이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됨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중 대기 방법에서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여, 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락하면, 호를 해제한 상태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연결을 기다림으로써, 불필요하게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호 연결을 기다리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호 연결중, 제 3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 연결 시도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되도록 호를 전환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중 대기 상태인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를 해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3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호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자동연결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표시해주는 SMS 종류(Short Message Service Type) 필드, 서비스 종류의 번호를 표시해주는 텔레서비스 식별자(TID: Teleservice Identification) 필드, 상기 제 4 단계의 자동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할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표시해주는 착신 주소(Destination Address) 필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에 따른 메시지의 내용과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표시해주는 전송 메시지(Bearer)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 포맷의 전송 메시지 필드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되면,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 3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전송메시지 필드에 포함된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연결중,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이 요청되어,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전환 요청에 따라,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중 대기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기 위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전송한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이 수락됨을 확인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를 해제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화중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가 종료되거나 호가 전환되면,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를 재연결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연결중,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이 요청되어, 상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가 되도록 호를 전환하는 제 1 단계;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에 대한 설정값을 저장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기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을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호 해제 후 자동연결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기 호 해제 후 자동연결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응답 메시지 전송 후,
    상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가 해제되면 호를 전환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자동으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해제 후 자동연결 방법.
KR1020050104555A 2005-11-02 2005-11-0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자동연결 방법 KR20070047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55A KR20070047641A (ko) 2005-11-02 2005-11-0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자동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55A KR20070047641A (ko) 2005-11-02 2005-11-0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자동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641A true KR20070047641A (ko) 2007-05-07

Family

ID=3827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555A KR20070047641A (ko) 2005-11-02 2005-11-0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자동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76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8327A2 (en) * 2008-09-08 2010-03-11 Rk Inventions, Llc On hold call back telephone feature
KR20180019737A (ko) * 2015-09-16 2018-02-26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음성 통화 중의 시스템 콜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8327A2 (en) * 2008-09-08 2010-03-11 Rk Inventions, Llc On hold call back telephone feature
WO2010028327A3 (en) * 2008-09-08 2010-06-17 Rk Inventions, Llc On hold call back telephone feature
KR20180019737A (ko) * 2015-09-16 2018-02-26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음성 통화 중의 시스템 콜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901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гнализацией между внешними узлами и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ей
US7319880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530352B1 (en) A mobile st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station in conferencing mod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0509223A (ja) 移動局による転送先番号の有効化
EP1677551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sh-To-Talk (PTT) service
JP2007281881A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0731868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テレビ電話制御装置、携帯電話機及びテレビ電話制御方法
KR100758491B1 (ko) 화상전화 연동 채팅 서비스 방법
KR100628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7004764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대기에 따른 호 해제 후자동연결 방법
WO2010016488A1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850631B1 (ko) 삼자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삼자통화 방법
KR100896508B1 (ko)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58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751082B1 (ko)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교환국 그리고 그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받아처리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88228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324엠 화상통화에서의 어얼리 미디어 제공 방법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3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방법
KR100595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JP4302647B2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0574656B1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4982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서비스의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668454B1 (ko)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652700B1 (ko) 휴대폰의 피티티 서비스를 이용한 폰 제어권 이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