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508B1 -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508B1
KR100896508B1 KR20070118974A KR20070118974A KR100896508B1 KR 100896508 B1 KR100896508 B1 KR 100896508B1 KR 20070118974 A KR20070118974 A KR 20070118974A KR 20070118974 A KR20070118974 A KR 20070118974A KR 100896508 B1 KR100896508 B1 KR 10089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called terminal
subscription information
terminal
service sub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1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혁
국 허
계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7011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5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영상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기능(Facility) 메시지에 삽입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 단말기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와 영상 통화 연결없이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118974
음성 통화, 영상 통화, 기능 메시지, 전송 라우팅 정보 메시지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bscription Information about Video Telephony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 단말기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다양한 콘텐츠가 양산됨에 따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 문자 메시지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예컨대, CDMA 2000, WCDMA(WideBand CDMA) 등)이 상용화됨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 향상은 물론이며,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AOD, VOD 등)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게 되 었다. 이와 같이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비로소 영상 통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제2 세대의 이동 단말기(이하, '비영상 단말'이라 칭함)와 영상 통화가 가능한 제3 세대의 이동 단말기(이하 '영상 단말'이라 칭함)가 공존하고 있으며, 영상 단말 사이에서는 영상 통화가 가능하지만, 영상 단말과 비영상 단말 사이에서는 영상 통화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발신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가 가능한 영상 단말인지 알기 위해서는 먼저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영상 통화를 요청하고 착신 단말기와 영상 통화가 연결되어야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통해서는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착신 단말기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신 단말기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이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확인되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기능(Facility) 메시지에 삽입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가 삽입된 호 진행(CPG: Call Progress) 메시지를 생성하는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 및 상기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호 진행 메시지를 기능(Facility)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통화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인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b) 이동통신망의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여기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는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이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한 것임―가 포함된 기능(Facility)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능 메시지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요청받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가 포함된 기능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처리 모듈을 통해 상기 기능 메시지에서 추출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 단말기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와 영상 통화 연결없이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발신/착신 단말기와 발신측/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을 연결하는 무선 기지국을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10),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40),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150),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 및 착신 단말기(170)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착신 단말기(170)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요청하는 단말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단말기(170)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다. 이때, 발신 단말기(110)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셋업(Setup)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단말기(170)로의 음성 통화를 요청한다.
또한, 발신 단말기(110)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을 통해 홈 위치 등록기(150)로부터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발신 단말기(110)는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에서 전송하는 기능(Facility)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110)는 착신 단말기(170)에 대한 음성 통화를 영상 통화로 전환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묻는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착신 단말기(110)로의 영상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착신 단말기(110)로의 영상 통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110)의 상세한 구성과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은 이동통신망의 핵심 망 요소로서, 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호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발신 단말기(110)의 음성 통화 요청을 초기 주소 메시지(IAM: Intitial Address Message)를 통해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고,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통해 홈 위치 등록기(140)로부터 호 진행(CPG: Call Progress) 메시지를 통해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와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홈 위치 등록기(150)로부터 제공받은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으로 발신 단말기(110)의 음성 통화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이 홈 위치 등록기(150)로부터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받아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와 가입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고 홈 위치 등록기(140)로부터 해당 정보를 제공받아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전송 라우팅 정보(SRI: 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통해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와 가입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SRI Ack)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홈 위치 등록기(140)로부터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70)를 관리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으로 음성 통화 호 접속을 위한 초기 주소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진행 메시지에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와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전송한다.
홈 위치 등록기(150)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 정보와 가입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 요청이 있으면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와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50)는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와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제공한다.
만일 착신 단말기(170)가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 이외의 이동통신 교환국가 관리하는 서비스 지역에 존재하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150)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로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50)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로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로밍 번호 제공(PRN: 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의 라우팅 정보가 포함된 로밍 번호 제공 응답(PRN Ack) 메시지를 수신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는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의 라우팅 정보를 제공한다.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은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수신되는 발신 단말기(110)의 음성 통화 요청을 착신 단말기(17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 등록기에서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라우팅 응답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확장 컨테이너 메시지에 추가되는 Notify-SS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otify-SS 메시지에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옵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발신 단말기(110)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착신 단말기(170)와의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고(S211),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음성 통화를 위한 초기 주소 메시지를 전송한다(S213).
이어서,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와 가입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전송 라우팅 정보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140)로 전송한다.
이어서,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로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로밍 번호 제공 메시지를 전송하고(S217),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로부터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 및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의 라우팅 정보가 포함된 로밍 번호 제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221).
이어서, 홈 위치 등록기(150)는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와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에 삽입하여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S223).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홈 위치 등록기(150)는 도 3과 같은 전송 라우팅 정보 메시지의 확장 컨테이너(extensionContainer) 메시지에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Notify-SS 메시지를 추가한다. 여기서, Notify-SS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110)의 부가 서비스를 가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50)가 도 4와 같은 메시지 형식인 Notify-SS 메시지의 SS-Notification 필드에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 8비트(bit) 크기인 SS-Notification 필드값을 '0'으로 설정하고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SS-Notification 필드값을 '1'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필드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지원 여부에 따라 필드값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으로 착신 단말기(170)와의 음성 통화 연결을 위한 초기 주소 메시지를 전송하고(S231),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를 호 진행 메시지로 변환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전송한다(S241).
이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기능 메시지에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243). 이때,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도 6과 같은 기능 메시지에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삽입한다.
이어서, 발신 단말기(110)는 수신된 기능 메시지를 통해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고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251). 이때, 발신 단말기(110)는 메시지 처리 모듈(720)을 이용하여 기능 메시지에 포함된 SS-Notification 메시지의 SS-Notification 필드값을 추출하여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며, 발신 단말기(110)는 기능 메시지에서 추출한 SS-Notification 필드값이 '1'인 경우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통해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착신 단말기(170)와의 영상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260), 착신 단말기(170)와의 영상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발신 단말기(110)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착신 단말기(170)와의 음성 통화 중단(Abort)과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를 요청한다(S261, S263).
이어서, 발신 단말기(170)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다시 요청하고(S265),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착신 단말기(170)와의 영상 통화를 요청하는 셋업 메시지를 전송한다(S267).
이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영상 통화를 위한 초기 주소 메시지를 전송하고(S269),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60)과 영상 통화 호를 연결하여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70) 간의 영상 통화를 제공한다(S270).
만일, 단계 S260에서 착신 단말기(170)와의 영상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70) 간의 음성 통화가 계속 진행된다(S29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발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110)는 무선 처리 모듈(710), 메시지 처리 모듈(720), 데이터 저장 모듈(730), 메모리 모듈(740), 키입력 모듈(750), 표시 모듈(760) 및 제어 모듈(770)을 포함한다.
무선 처리 모듈(710)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RF 형태의 음성 통화 호, 영상 통화 호 및 데이터 호를 수신하여 복조 및 증폭시키는 부분이다. 또한, 제어 모듈(770)에서 처리된 음성 통화 호, 영상 통화 호 및 데이터 호를 RF 형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처리 모듈(720)은 무선 처리 모듈(710)을 통해 수신된 기능 메시지를 처리하는 모듈로, 수신된 기능 메시지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 저장 모듈(730)은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다양한 부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전화번호부, 통화 목록을 비롯하여, 사진, 동영상, 송수신된 메시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게임, 음악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또한, 데이터 저장 모듈(730)에는 단말 관련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데이터 저장 모듈(730)은 메시지 처리 모듈(720)에서 추출한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 모듈(740)은 데이터 저장 모듈(7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 및 키입력 모듈(750)을 통해 입력된 문자나 숫자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 모듈(740)은 기능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된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입력 모듈(750)은 음량 조절 버튼, 방향 버튼, 메뉴 접속 버튼, 숫자 버튼 및 영상 통화 버튼 등의 각종 키 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수신하는 모듈이다.
표시 모듈(760)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키입력 모듈(750)을 통해 입력되는 부가 서 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또한, 표시 모듈(760)은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70) 사이에 영상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 모듈(770)은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무선 처리 모듈(710)을 통해 기능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처리 모듈(720)을 통해 기능 메시지를 통해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고,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표시 모듈(76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데이터 저장 모듈(73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통화 목록에 영상 단말임을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표시하는 발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 모듈(770)은 키입력 모듈(750)을 통해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착신 단말기(170)와의 음성 통화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S813), 도 9의 '가'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면서 무선 처리 모듈(710)을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셋업 메시지를 전송한다(S815).
이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무선 처리 모듈(710)을 통해 기능 메시지가 수신되면(S820), 제어 모듈(770)은 메시지 처리 모듈(720)을 통해 기능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고(S830),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840). 이때,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한 제어 모듈(770)은 데이터 저장 모듈(730)의 통화 목록 또는 전화번호부에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되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어 모듈(770)이 착신 단말기(170)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면서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70)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단계 S840에서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770)은 도 9의 '나'와 같이 표시 모듈(760)에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가능함을 표시한다(S843).
이어서, 제어 모듈(770)은 도 9의 '다'와 같이 영상 통화 전환 여부를 묻는 화면을 출력하고 키입력 모듈(750)을 통해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착신 단말기(170)로의 영상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860).
만일, 단계 S860에서 키입력 모듈(750)을 통해 착신 단말기(170)로의 영상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모듈(770)은 무선 처리 모듈(710)을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 착신 단말기(170)와의 음성 통화호 연결 해제를 요청하고 착신 단말기(170)와의 영상 통화를 요청하여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70) 간의 영상 통화 과정을 수행한다(S863).
만일, 단계 S840에서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770)은 도 9의 '라'와 같이 표시 모듈(760)에 착신 단말기(170)가 영상 통화 불가능함을 표시하고(S845) 도 9의 '마'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면서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70) 간의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S865).
만일, 단계 S860에서 키입력 모듈(750)을 통해 착신 단말기(170)로의 영상 통화 요청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 모듈(770)은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70) 간의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S865).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발신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착신 단말기와 통화하기 이전에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 등록기에서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라우팅 응답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확장 컨테이너 메시지에 추가되는 Notify-SS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otify-SS 메시지에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옵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발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표시하는 발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5)

  1. 착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이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확인되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기능(Facility) 메시지에 삽입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 서비스 가능하다고 판단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호 연결 해제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호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e)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와의 영상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의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수신된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Send Routing Information Ack Message)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는 상기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의 확장 컨테이너(ExpasionContainer) 메시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는 상기 확장 컨테이너 메시지의 Notify-SS 메시지-여기서 Notify-SS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시지임-에 포함된 SS-Notification 필드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확장 컨테이너 메시지의 Notify-SS 메시지를 상기 기능 메시지에 포함 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
  6. 착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가 삽입된 호 진행(CPG: Call Progress) 메시지를 생성하는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 및
    상기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호 진행 메시지를 기능(Facility)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
    을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 서비스 가능하다고 판단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음성 통화호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호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영상 통화 요청이 있으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의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전송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Send Routing Information Ack Message)의 확장 컨테이너(ExpasionContainer)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제공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상기 확장 컨테이너 메시지의 Notify-SS 메시지-여기서 Notify-SS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기(17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시지임-에 포함된 SS-Notification 필드에 삽입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제공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시스템.
  10. 음성 통화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인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b) 이동통신망의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여기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는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이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한 것임―가 포함된 기능(Facility)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능 메시지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인지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기능 메시지에 포함된 Notify-SS 메시지의 SS-Notification 필드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인지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 서비스 가능하다고 판단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영상 통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호 연결을 해제를 요청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의 영상 통화를 요청하는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인지 방법.
  13.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요청받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가 포함된 기능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처리 모듈을 통해 상기 기능 메시지에서 추출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모듈은
    상기 기능 메시지에 포함된 Notify-SS 메시지의 SS-Notification 필드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추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또는 통화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능 여부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의 전화번호부 또는 통화 목록에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118974A 2007-11-21 2007-11-21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9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8974A KR100896508B1 (ko) 2007-11-21 2007-11-21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8974A KR100896508B1 (ko) 2007-11-21 2007-11-21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508B1 true KR100896508B1 (ko) 2009-05-08

Family

ID=4086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8974A KR100896508B1 (ko) 2007-11-21 2007-11-21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5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0264A1 (zh) * 2010-03-30 2011-10-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语音呼叫视频化业务的系统和方法
KR20150026211A (ko) 2013-09-02 2015-03-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통화를 위한 메시지 변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42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영상통화 선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42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영상통화 선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0264A1 (zh) * 2010-03-30 2011-10-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语音呼叫视频化业务的系统和方法
KR20150026211A (ko) 2013-09-02 2015-03-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통화를 위한 메시지 변환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515B1 (ko) 이동-대-이동 비디오 능력을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US966163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160157288A1 (en) Enabling combinational servic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4819308B2 (ja)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と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との間で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各スマートカードおよび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
US7200384B1 (en) Method for storing and informing propertie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194443B (zh) 利用终端性能版本来执行组合业务的终端、方法以及系统
JP200731868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テレビ電話制御装置、携帯電話機及びテレビ電話制御方法
KR100896508B1 (ko)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079173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KR10060722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관문장치를 통한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27337B1 (ko) 발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정보서비스 이용 방법
KR100529767B1 (ko) Mm3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유니크를 보장하는mms 시스템 및 방법
KR10089789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N101217610B (zh) 基于媒体服务器的传真方法
JP200117786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機並びにそれに用いる着信応答方法
KR100623294B1 (ko)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가입자의 이미지 데이터 제공방법
KR10062290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1605126B1 (ko)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15278B1 (ko) 발신자 식별 영상의 표시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917459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상 단말 인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587161B1 (ko) 포토 음성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3810862A (zh) 信息通信方法及网络设备
KR100615280B1 (ko) 이동통신용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발신자 식별 영상의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