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235A - 샤워기 - Google Patents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235A
KR20070046235A KR1020050102662A KR20050102662A KR20070046235A KR 20070046235 A KR20070046235 A KR 20070046235A KR 1020050102662 A KR1020050102662 A KR 1020050102662A KR 20050102662 A KR20050102662 A KR 20050102662A KR 20070046235 A KR20070046235 A KR 20070046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aulic pressure
pressure forming
parti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만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0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6235A/ko
Publication of KR2007004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수압형성부가 구비되어진 절수형 샤워기에 있어서,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관(30a)을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적절한 양의 외부 공기가 공기흡입수단(40)에 의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 강제 흡입되어 교반된 후에 물과 함께 외부로 분사되므로, 절수기능이 크게 향상되고, 또한,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관(30a)을 통해서 출수되는 물줄기가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분절되므로, 마사지 기능이 크게 향상되면서 샤워 감촉도 좋아지게 된다.

Description

샤워기{Shower bat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 ; 샤워기, 10 ; 본체,
11 ; 손잡이, 11a ; 체결부,
12 ; 헤드, 12a ; 체결부,
20 ; 수압형성용 칸막이, 20a ; 출수구,
21 ; 안착부, 30 ; 헤드부재,
30a ; 출수구, 30b ; 공기유입구,
31 ; 물분사용 칸막이, 32 ; 안착부,
33 ; 걸림턱, 34 ; 체결부,
40 ; 공기흡입수단, 41 ; 외부팬,
42 ; 내부팬, 43 ; 공기흡입구,
44 ; 회전축, A ; 물 유입구,
B ; 제1수압형성부, C ; 제2수압형성부,
D ; 공압형성부, WL ; 물공급라인,
본 발명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수압형성부가 구비되어진 절수형 샤워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강제적으로 흡입되어진 공기가 물과 교반된 후에 분사되도록 된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물이 다수의 출수구를 통해서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샤워기는 이의 사용시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물이 적절한 압력으로 분사되면서 출수되는 물의 량이 절감되도록 하는 방안이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69520호와 같은 샤워기가 제안되어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 의하면 종래 샤워기(1)는, 출수구(20a)가 형성되어진 수압형성용 칸막이(20)와, 출수구(30a)가 형성되어진 물분사용 칸막이(31)가 샤워기 헤드부(12,30)에 구비되어, 샤워기 헤드부(12,30)에 제1수압형성부(B)와 제2수압형성부(C)가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샤워기 본체 손잡이(11)의 물유입구(A)로 유입되는 물은, 본체 헤드(12)의 제1수압형성부(B)로 유입된 후에,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된다. 이후,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되어진 물은 물분사용 칸막이(31)에 부딪히면서 제2수압형성부(C)에 충전되어진 공기와 혼합된 후에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 분사된다.
도 1에 의하면,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분사되는 물의 유속은 상당히 빠르지만, 빠르게 분사되어진 출수구(20a)로부터의 물이 물분사용 칸막이(31)에 부딪힌 후에, 감압된 상태로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 분사되므로,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 분사되는 물은 적절히 감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이러한 샤워기(1)는, 외부로 분사되는 물이 적절한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하면서 물을 절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69520호에 의하면, 샤워기 사용시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부터의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면서, 이와 동시에 물방울 분사가 이루어진다고 되어 있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물이 적절한 유속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선, 제2수압형성부(C)의 압력이 외부 압력(=대기압)보다 커야 되며, 제2수압형성부(C)의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크 기 위해서는,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유출되는 물의 유량보다 많아야 된다. 따라서, 샤워기 사용 초기에는,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분사되는 물이 대기압상태인 제2수압형성부(C)를 가로질러서 물분사용 칸막이(31)에 부딪히게 되므로,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물과 공기가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제1수압형성부(B)로부터 제2수압형성부(C)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은,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물의 유량보다 많게 되며, 시간이 경과될수록 제2수압형성부(C)의 내압이 소정 압력으로 증가되면서, 제2수압형성부(C)에 물이 적정 높이로 차오르게 된다(외부로 분사되어진 공기의 부피만큼). 이후, 제2수압형성부(C)의 내압이 소정 압력으로 유지되면,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제1수압형성부(B)로부터 제2수압형성부(C)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과,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물의 유량이 서로 같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되어진 물은 물분사용 칸막이(31)에 부딪혀서 와류를 형성한 후에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 분사되는데, 이때 제2수압형성부(C)에 잔류되어진 공기 중 일부는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되는 물과 혼합되어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 분사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2수압형성부(C)의 상부에 잔류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되어진 물이 물분사용 칸막이(31)에 부딪혀서 와류를 형성하더라도, 제2수압형성부(C)의 내압이 이미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와류 속도에 의한 배압이 형성되더라도, 사실상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한 외부 공기의 강제 흡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어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69520호에 따른 샤워기(1)는, 외부로 분사되는 물이 적절한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하면서 물을 절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배출시킴으로써 획득되는 절수효과와 마사지효과는 없다고 하겠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외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흡입되어 물과 교반된 후에 다시 외부로 분사되어, 절수기능과 마사지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샤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수구가 형성되어진 수압형성용 칸막이와, 출수구가 형성되어진 물분사용 칸막이가 샤워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샤워기 헤드부에 제1수압형성부와 제2수압형성부가 형성되어진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제2수압형성부에,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면서, 수압형성용 칸막이의 출수구로부터 제2수압형성부로 분사되는 물과, 강제 흡입된 공기를 상호 교반시키는 공기흡입수단이 내설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1)는, 샤워기 본체(10)의 헤드(12)에 헤드부재(30)가 체결 고정되고, 헤드(12)와 헤드부재(30) 사이에는 출수구(20a)를 갖춘 수압형성용 칸막이(20)가 설치되며, 헤드부재(30)의 저면에는 출수구(30a)를 갖춘 물분사용 칸막이(31)가 구비되어, 샤워기 헤드부(12,30)에 제1수압형성부(B)와 제2수압형성부(C)가 형성되되, 제2수압형성부(C)에 공기흡입수단(40)이 내설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공기흡입수단(40)은, 샤워시 사용시 외부 공기를 제2수압형성부(C)로 강제 흡입하면서,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로부터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되는 물과, 강제 흡입된 공기를 상호 교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강제 흡입되어진 공기가 제2수압형성부(C)에서 물과 상호 교반된 후에,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 분사되므로, 강제 흡입된 공기만큼의 물이 절수되는 효과가 있고,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 분사되는 물줄기가 공기에 의해서 분절되므로, 마사지기능(두드려주는 기능)이 보다 향상되고, 샤워 촉감도 좋아지게 된다.
상기 공기흡입수단(40)으로는 다양한 방식의 것들이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기흡입수단(40)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밀폐되어진 원통형 본체와, 본체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부팬(41) 및, 본체 내주면에 구비되는 내부팬(42)으로 구성되되, 내부팬(42)과 본체 상면 사이의 본체 둘레면에는 공기흡입구(43)가 구비되고, 본체 상면의 중심부에는 회전축(44)이 구비되되, 외부팬(41)과 내부팬(42)의 경사각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공기흡입수단 본체의 회전축(44)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21)가 수압형성용 칸막이(20)에 형성되어야 하고, 또한 상기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중심부에는 공기흡입수단 본체의 내부홀과 연통되는 공기유입구(30b)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30b)를 이루는 물분사용 칸막이(31)의 내주면에는 공기흡입수단 본체의 저면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32)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물공급라인(WL)을 통해서 샤워기 본체 손잡이(11)의 물유입구(A)로 공급되어진 물은 본체 헤드(12)의 제1수압형성부(B)로 유입된 후에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된다. 이와같이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되어진 물은 제2수압형성부(C)를 가로질러서 공기흡입수단(40)의 외부 팬(41)에 부딪힌 후에 물분사용 칸막이(31)로 유동되어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외부로 분사된다.
한편, 상기 공기흡입수단(40)의 외부팬(41)에 연속적으로 타격이 가해지게 되면, 공기흡입수단(40)이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공기흡입수단(40)의 내부팬(42)에 의해서, 외부 공기가 물분사용 칸막이(31)의 공기유입구(30b)를 통해서 공압형성부(D)로 유입된 후에, 공기흡입구(43)를 통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 강제 흡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압형성용 칸막이(20)의 출수구(20a)를 통해서 제2수압형성부(C)로 분사되는 물의 유속에 비례해서 공기흡입수단(40)의 회전이 빨라지므로, 물분사용 칸막이(31)의 출수구(30a)를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적절한 양의 외부 공기가 자동으로 강제 흡입되어 교반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50"은 본체 헤드(12)의 체결부(12a)와, 헤드부재(30)의 체결부(34) 및, 수압형성용 칸막이(20) 간의 틈새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이고, 미설명부호 "33"은 수압형성용 칸막이(20)를 지지하는 걸림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샤워기 본체(10)와 수압형성용 칸막이(20) 및 헤드부재(30)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미설명부호 "33"은 물공급라인(WL)과의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일예로, 수압형성용 칸막이(20)가 샤워기 본체(10)에 일체 형성될수도 있으며, 물분사용 칸막이(31)가 헤드부재(30)와는 별물로 제작되어 별도 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헤드부재(3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물분사용 칸막이의 출수관을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적절한 양의 외부 공기가 공기흡입수단에 의해 서 제2수압형성부로 강제 흡입되어 교반된 후에 물과 함께 외부로 분사되므로, 절수기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물분사용 칸막이의 출수관을 통해서 출수되는 물줄기가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분절되므로, 마사지 기능이 크게 향상되고, 샤워 감촉도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출수구가 형성되어진 수압형성용 칸막이와, 출수구가 형성되어진 물분사용 칸막이가 샤워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샤워기 헤드부에 제1수압형성부와 제2수압형성부가 형성되어진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제2수압형성부에,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면서, 수압형성용 칸막이의 출수구로부터 제2수압형성부로 분사되는 물과, 강제 흡입된 공기를 상호 교반시키는 공기흡입수단이 내설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수단은, 상면이 밀폐되어진 원통형 본체와, 본체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부팬 및, 본체 내주면에 구비되는 내부팬으로 구성되되, 내부팬과 본체 상면 사이의 본체 둘레면에는 공기흡입구가 구비되고, 본체 상면의 중심부에는 회전축이 구비되며, 외부팬과 내부팬의 경사각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루는 한편 ; 상기 수압형성용 칸막이에는 공기흡입수단 본체의 회전축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가 구비되고 ; 또한 상기 물분사용 칸막이의 중심부에는 공기흡입수단 본체의 내부홀과 연통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를 이루는 물분사용 칸막이의 내주면에는 공기흡입수단 본체의 저면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 공기흡입수단이 제2수압형성부에 회동가능하게 내설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KR1020050102662A 2005-10-29 2005-10-29 샤워기 KR20070046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62A KR20070046235A (ko) 2005-10-29 2005-10-29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62A KR20070046235A (ko) 2005-10-29 2005-10-29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235A true KR20070046235A (ko) 2007-05-03

Family

ID=3827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662A KR20070046235A (ko) 2005-10-29 2005-10-29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6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2354A1 (de) * 2019-03-08 2020-09-17 Neoperl Gmbh Spraystrahlreg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2354A1 (de) * 2019-03-08 2020-09-17 Neoperl Gmbh Spraystrahlreg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8209B2 (ja) シャワー装置
US7354008B2 (en) Fluidic nozzle for trigger spray applications
TW200425959A (en) Dual sprayer with external mixing chamber
US10792678B2 (en) Energy-saving and high-efficiency shower head capable of producing pulsating stream
CN102405109B (zh) 高效率、多喉部流体振荡器
US11358164B2 (en) Water outlet mechanism and shower head comprising the water outlet mechanism
EP1634652B1 (en) Cap with a suction type spray head
US20030042331A1 (en) Multiple function spray nozzle
CN105297862B (zh) 一种智能马桶喷水机构的喷头装置
CN207642946U (zh) 一种旋流式喷射结构及其喷枪
KR20070046235A (ko) 샤워기
US6997397B1 (en) Trigger sprayer nozzle
KR20030051055A (ko) 샤워기
CN110523548B (zh) 一种出水嘴和具有其的喷水装置
CN108115578A (zh) 一种旋流式喷射结构及其喷枪
JP4766622B2 (ja) 気液混合流の噴射装置
WO1997024969A1 (en) Water conserving low pressure shower head
CN210159803U (zh) 一种脉动出水装置
CN209680358U (zh) 一种雾炮用喷射体
JP2769021B2 (ja) 吐水口
CN204942105U (zh) 一种涡轮式水泵
JPH03165855A (ja) 泡沫吐水口
CN106000685B (zh) 一种顶喷式防堵花洒
JP2000237082A (ja) 空気混入シャワーヘッド
CN217679481U (zh) 一种泡沫喷头及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