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223A -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223A
KR20070046223A KR1020050102644A KR20050102644A KR20070046223A KR 20070046223 A KR20070046223 A KR 20070046223A KR 1020050102644 A KR1020050102644 A KR 1020050102644A KR 20050102644 A KR20050102644 A KR 20050102644A KR 20070046223 A KR20070046223 A KR 2007004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ermanent magnet
sensor unit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홍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0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6223A/ko
Publication of KR2007004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8Magne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제1바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1영구자석, 제1바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2영구자석, 상기 제1영구자석에 대응하는 지점의 제2바디에 위치하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부, 상기 제2영구자석에 대응하는 지점의 제2바디에 위치하며, 제2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부, 상기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읽어들여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직방향 개폐를 인식하거나 또는 수평방향 개폐를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구자석과 두 개의 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개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양방향, 폴더형, 수평방향, 수직방향, 개폐, 감지센서부, 영구자석.

Description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Folder typ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으로 열린 상태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와 감지센서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무선회로부 160 음성처리부
170 제1감지센서부 180 제2감지센서부
310 제1영구자석 320 제2영구자석
100 제1바디 200 제2바디
본 발명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양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영구자석과 두 개의 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의 개폐를 인식하거나 수평방향의 개폐를 인식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크기가 작고 무게도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며, 타 기종에 비해 큰 액정화면으로 많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폴더형 이동통신단말 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힌지를 매개로 하여 수직방향으로만 개폐가 가능하고, 액정화면 또한 세로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기능을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즉, 소프트웨어에서 와이드 뷰(Wide View)를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단말기를 옆으로 회전시킨뒤 화면을 봐야 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으며, 옆으로 회전하더라도 안정적인 화면위치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른바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그것인데, 이에 관련된 도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a)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b)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1 (c)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도 1 (b)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그에 적합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도 1 (c)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그에 적합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직방향의 개폐감지 및 수평방향의 개폐감지를 위한 부분이 있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부분에 대한 해결책이 미흡하였다.
즉, 종래 일반적인 단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하나의 영구자석과 감지센서만으로 개폐인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하나의 영구자석과 감지센서만으로는 수직방향의 개폐감지와 수평방향의 개폐감지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 개의 영구자석과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수직방향의 개폐와 수평방향의 개폐를 인식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바디와 제2바디로 이루어지고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1바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1영구자석, 제1바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2영구자석, 상기 제1영구자석에 대응하는 지점의 제2바디에 위치하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부, 상기 제2영구자석에 대응하는 지점의 제2바디에 위치하며, 제2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부, 상기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읽어들여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직방향 개폐를 인식하거나 또는 수평방향 개폐를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에서 모두 자기력이 감지되고, 수직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에서 모두 자기력이 감지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제1감지센서부에서만 자기력이 감지되도록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좌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영구자석은 제1바디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우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영구자석은 제1바디의 우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영구자석은 원통형 모양으로서 원주면에서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원주면이 제1감지센서부를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영구자석은 원통형 모양으로서 윗면에서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윗면이 제2감지센서부를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는 Hall 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바디는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이고, 제2바디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폴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바디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폴더이고, 제2바디는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바디(100)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폴더부이고, 제2바디(200)는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이다.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제1바디(100)가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이고 제2바디(100)가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폴더부인 실시예도 물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제1바디(100)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폴더부이고, 제2바디(200)는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영구자석(310) 및 제2영구자석(320)은 제1바디(100)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1감지센서부(170) 및 제2감지센서부 (180)는 제2바디(200)에 위치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음성처리부(160), 제1감지센서부(170), 제2감지센서부(180)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 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1감지센서부(170)는 제1바디(100)에 위치한 제1영구자석(310)에 대응하는 지점의 제2바디(200)에 위치하며, 제1영구자석(310)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감지센서부(170)는 Hall 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감지센서부(180)는 제1바디(100)에 위치한 제2영구자석(320)에 대응하는 지점의 제2바디(200)에 위치하며, 제2영구자석(320)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감지센서부(180)는 Hall 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제1감지센서부(170)와 제2감지센서부(180)로부터 신호를 읽어들여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직방향 개폐를 인식하거나 또는 수평방향 개폐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직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그 때의 표시부(120)의 화면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신호를 제어하게 되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그 때의 표시부(120)의 화면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신호를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으로 열린 상태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영구자석(310) 및 제2영구자석(320)은 제1바디(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제1영구자석(310)과 제2영구자석(320)은 제1바디(100)에 위치하고 있고, 제1영구자석(310)에 대응되는 제2바디(200) 부분에 제1감지센서부(170)가 위치하며 제2영구자석(320)에 대응되는 제2바디(200) 부분에 제2감지센서부(180)가 위치한다.
도 3에서 제1영구자석(310)의 자기력이 미치지 않을 정도로 제1영구자석(310)과 제1감지센서부(170)가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1감지센서부(170)에서는 자기력이 감지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2영구자석(320)의 자기력이 미치지 않을 정도로 제2영구자석(320)과 제2감지센서부(180)가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2감지센서부(180)에서도 자기력이 감지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특히 도 1 (a)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의 좌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개폐가 이루어지는 실시예에서,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의 폴 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서 제1영구자석(310)과 제1감지센서부(170)는 서로 인접해 있어서 제1영구자석(310)의 자기장 내에 제1감지센서부(170)가 있으므로, 제1감지센서부(170)에서는 자기력이 감지되고, 제2영구자석(320)과 제2감지센서부(180)는 제2영구자석(320)의 자기력이 미치지 않을 정도로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2감지센서부(180)에서는 자기력이 감지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1영구자석(310)과 제2영구자석(320)의 위치가 도 3 및 도 4에 표시된 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1 (a)과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좌측 모서리를 축으로 하여 수평개폐가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평으로 열린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제1영구자석(310)은 제1바디(100)의 좌측 모서리의 어떠한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제2영구자석(320)은 제1바디(100)의 좌측 모서리를 제외한 어떠한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다.
반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우측 모서리를 축으로 하여 수평개폐가 이루어지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제1영구자석(310)은 제1바디의 우측 모서리의 어떤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제2영구자석(320)은 제1바디의 우측 모서리를 제외한 어떠한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 (a)와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혀 있을 때에는 제1영구자석(310)과 제1감지센서부(170)가 맞닿아 있으므로 제1감지센서부(170)에서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마찬가지로 제2영구자석(320)과 제2감지센서부(180)가 맞닿아 있으므로 제2감지센서부(180)에서 자기력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영구자석(310) 및 제2영구자석(320)의 모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영구자석(310)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영구자석(320)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a)에서 제1영구자석(310)은 원통형 모양으로서, 원주면(빗금친 면)에서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a)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1영구자석(310)은 원주면이 제1감지센서부(170)와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이렇게 위치함으로서, 도 3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직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제1영구자석(310)의 자기력이 제1감지센서부(170)에 미치지 못하고, 도 4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제1영구자석(310)의 자기장의 범위안에 제1감지센서부(170)가 들어오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1감지센서부(170)에서는 자기력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5 (b)에서 제2영구자석(320)은 원통형 모양으로서, 윗면(빗금친 면)에서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a)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2영구자석(320)은 윗면이 제2감지센서부(180)와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이렇게 위치함으로서, 도 3과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직방향으로 열린 상태 또는 도 4와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 제2영구자석(320)의 자기력이 제2감지센서부(180)에 미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2감지센서부(180)에서는 자기력을 감지하지 못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참고로 도 5에서 예시한 영구자석의 모양 및 자기력의 방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른 모양 및 자기력의 방향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와 제1감지센서부(170) 및 제2감지센서부(180)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제1감지센서부(170) 또는 제2감지센서부(180)가 자기력을 감지할 때는 "ON" 신호를 출력하고, 자기력을 감지하지 않을 때는 "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표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 (a)와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혀 있을 때에는 제1감지센서부(170)와 제2감지센서부(180)가 모두 자기력을 감지하므로,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감지센서부(170)와 제2감지센서부(180)는 모두 "ON"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직방향으로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제1감지센서부(170)와 제2감지센서부(180)가 모두 자기력을 감지하지 않으므로,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감지센서부(170)와 제2감지센서부(180)는 모두 "OFF" 신호를 출력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제1감지센서부(170)에서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반면, 제2감지센서부(180)에서는 자기력을 감지하지 않으므로,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감지센서부(170)는 "ON" 신호를 출력하고 제2감지센서부(180)는 "OFF"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구자석과 두 개의 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개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제1바디와 제2바디로 이루어지고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1바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1영구자석;
    제1바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2영구자석;
    상기 제1영구자석에 대응하는 지점의 제2바디에 위치하며, 제1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부;
    상기 제2영구자석에 대응하는 지점의 제2바디에 위치하며, 제2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부;
    상기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읽어들여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직방향 개폐를 인식하거나 또는 수평방향 개폐를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에서 모두 자기력이 감지되고, 수직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에서 모두 자기력이 감지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제1감지센서부에서만 자기력이 감지되도록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좌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영구자석은 제1바디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우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영구자석은 제1바디의 우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은 원통형 모양으로서 원주면에서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원주면이 제1감지센서부를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영구자석은 원통형 모양으로서 윗면에서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윗면이 제2감지센서부를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는 Hall IC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바디는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이고, 제2바디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바디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폴더이고, 제2바디는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102644A 2005-10-29 2005-10-29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46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44A KR20070046223A (ko) 2005-10-29 2005-10-29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44A KR20070046223A (ko) 2005-10-29 2005-10-29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223A true KR20070046223A (ko) 2007-05-03

Family

ID=3827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644A KR20070046223A (ko) 2005-10-29 2005-10-29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62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32A1 (ko) * 2014-01-03 2015-07-09 오춘택 홀 아이씨 구동용 차폐자석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32A1 (ko) * 2014-01-03 2015-07-09 오춘택 홀 아이씨 구동용 차폐자석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9300774B2 (en) 2014-01-03 2016-03-29 Choon-Teak Oh Mobile terminal and its case with hall IC driving shield mag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23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67049B2 (ja) 電子機器
EP16154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foldable wireless terminal with a rotary-type speaker depending on the folded state
EP1876801A2 (en) Dual axis rot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109378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070046223A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JP5028585B2 (ja) 電子機器
KR100795175B1 (ko)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JP200911145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594000B1 (ko) 폴더의 오픈 방향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4019750B2 (ja)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応答保留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567672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6180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99331A (ja) 携帯端末
JP556999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0981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7036636A (ja) 携帯電話端末
KR1005941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입력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KR20060026493A (ko)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68659Y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70066642A (ko) 움직임 감지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16037A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826926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情報記録制御方法
KR20060124084A (ko) 폴더형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자동 전환하는 방법 및장치
KR200411080Y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