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493A -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493A
KR20060026493A KR1020040074940A KR20040074940A KR20060026493A KR 20060026493 A KR20060026493 A KR 20060026493A KR 1020040074940 A KR1020040074940 A KR 1020040074940A KR 20040074940 A KR20040074940 A KR 20040074940A KR 20060026493 A KR20060026493 A KR 2006002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unit
magnet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7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6493A/ko
Publication of KR2006002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부와, 입력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폴더부와 본체를 연결하여 폴더부의 수직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힌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더부가 수평으로 회전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폴더부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상기 폴더부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홀센서부, 상기 폴더부를 수평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폴더부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홀센서부, 상기 제1홀센서부와 제2홀센서부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함으로써, 폴더부의 회전에 따른 효과음, 디스플레이 제어 또는 회전 횟수 표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홀센서, 자석, 자기력, 회전폴더, 이동통신단말기, 효과음, 디스플레이.

Description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Rotation folder typ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홀센서부와 자석이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홀센서부와 자석이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무선회로부 16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
170a: 제1홀센서부 170b: 제2홀센서부
100: 본체 200: 폴더부
300: 힌지
본 발명은 폴더부가 수평으로 회전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부가 수평회전시 이를 인식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통신단말기는 점점 소형 경박화 되어 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화음의 멜로디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수만에서 수십만 화소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외 다양한 기능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 동향속에서 카메라 또는 캠코더에 관한 기능들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촬영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내장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내장형인 경우, 일반적으로 본체와 폴더부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힌지모듈에 설치되며, 장착된 광학 촬영 장치는 힌지축에 대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학 촬영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즉시 디스플레이 하거나 PC에 연결하여 촬영한 피사체에 대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광학 촬영 장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중에서 폴더부가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100)에 폴더부(200)가 닫힌 상태에서, 폴더부(200)를 열고, 폴더부(200)를 180도 회전시키고, 폴더부(200)를 닫는 과정을 거친다. 종래에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부(200)의 개폐를 인식할 수 있었을 뿐이고, 폴더부(200)의 회전을 인식하는 기술은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홀센서와 자석을 구비하여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부와, 입력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폴더부와 본체를 연결하여 폴더부의 수직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힌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더부가 수평으로 회전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 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힌지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폴더부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상기 폴더부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홀센서부, 상기 폴더부를 수평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폴더부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홀센서부, 상기 제1홀센서부와 제2홀센서부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폴더부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폴더부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상기 본체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홀센서부, 상기 폴더부를 수평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본체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홀센서부, 상기 제1홀센서부와 제2홀센서부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은 상기 힌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른 효과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부가 닫혔을 때 외부로 노출된 표시부는 온 되도록 제어하고, 노출되지 않은 표시부는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상기 폴더부의 회전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된 회전 횟수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 제1홀센서부(170a), 제2홀센서부(170b)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표시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제1홀센서부(170a)와 제2홀센서부(170b)의 출력값에 따라 폴더부(200)의 회전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폴더부(200)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른 효과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더부(200)를 열고 180도 회전시켰을 때 제어부(140)는 회전을 인식하고 경고음이나 벨소리 등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폴더부(200)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폴더부(200)가 닫혔을 때 외부로 노출된 표시부(120)는 온(On) 되도록 제어하고, 노출되지 않은 표시부(120)는 오프(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더부(200)가 닫혔을 때 외부로 노출된 표시부(120)는 온 되도록 제어하고, 노출되지 않은 표시부(120)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폴더부(200)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폴더부(200)의 회전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장된 회전 횟수를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1홀센서부(170a)와 제2홀센서부(170b)는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홀센서부와 자석이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의 실시예에서 자석(310)은 힌지(300)에 위치한다. 제1홀센서부(170a)는 폴더부(200)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즉 도 1에서 폴더부(200)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폴더부(200)의 자석(310)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제2홀센서부(170b)는 폴더부(200)를 수평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즉 도 1에서 폴더부(200) 를 180도 회전시켰을 때, 폴더부(200)의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결국, 제1홀센서부(170a)와 제2홀센서부(170b)는 폴더부(200)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하여 위치하게 된다.
도 3b의 실시예에서 자석(310)은 폴더부(200)에 위치한다. 제1홀센서부(170a)는 폴더부(200)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즉 도 1에서 폴더부(200)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본체(100)의 자석(310)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제2홀센서부(170b)는 폴더부(200)를 수평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즉 도 1에서 폴더부(200)를 180도 회전시켰을 때, 본체(100)의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결국, 제1홀센서부(170a)와 제2홀센서부(170b)는 본체(100)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하여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홀센서부와 자석이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폴더부(200)를 180도 회전시켰을 때의 예이다. 즉, 도 4는 제2홀센서부(170b)가 자석(310)에 대응되는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반대로, 도 5에서 폴더부(200)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는 제1홀센서부(170a)가 자석(310)에 대응된다. 이처럼 제1홀센서부(170a)와 제2홀센서부(170b)는 자석(310)의 자기력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하면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폴더부(200)의 회전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함으로써, 폴더부의 회전에 따른 효과음, 디스플레이 제어 또는 회전 횟수 표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부와, 입력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폴더부와 본체를 연결하여 폴더부의 수직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힌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더부가 수평으로 회전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힌지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폴더부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상기 폴더부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홀센서부;
    상기 폴더부를 수평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폴더부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홀센서부;
    상기 제1홀센서부와 제2홀센서부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2.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부와, 입력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폴더부와 본체를 연결하여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힌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더부가 회전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폴더부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폴더부를 회전시키지 않았을 때 상기 본체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홀센서부;
    상기 폴더부를 수평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본체의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홀센서부;
    상기 제1홀센서부와 제2홀센서부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힌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른 효과음을 발생시키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부가 닫혔을 때 외부로 노출된 표시부는 온 되도록 제어하고, 노출되지 않은 표시부는 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부의 회전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상기 폴더부의 회전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된 회전 횟수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74940A 2004-09-20 2004-09-20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26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40A KR20060026493A (ko) 2004-09-20 2004-09-20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40A KR20060026493A (ko) 2004-09-20 2004-09-20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493A true KR20060026493A (ko) 2006-03-24

Family

ID=3713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940A KR20060026493A (ko) 2004-09-20 2004-09-20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64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048B1 (ko) * 2005-11-29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로보기 실행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US8228057B2 (en) 2006-12-28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vel portable terminal
KR101299483B1 (ko) * 2007-02-06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인식장치 및 이를 갖는이동단말기
WO2021026900A1 (zh) * 2019-08-15 2021-02-1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柔性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048B1 (ko) * 2005-11-29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로보기 실행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US8228057B2 (en) 2006-12-28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vel portable terminal
KR101299483B1 (ko) * 2007-02-06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인식장치 및 이를 갖는이동단말기
WO2021026900A1 (zh) * 2019-08-15 2021-02-1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柔性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99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folder in a rotation touch phone having a camera
KR100565309B1 (ko) 캠코더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환 장치및 방법
KR101053167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US7603149B2 (en) Swivel-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04143B1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각도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5086252A (ja) 携帯端末
WO2004066616A1 (ja) カメラ付き携帯装置
JP4632842B2 (ja) 表示装置
KR20150046687A (ko) 가속도 센서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7413245A (zh) 显示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3751197B2 (ja) 移動体電話機
CN107306299A (zh) 终端设备、天线确定方法及装置
KR20060026493A (ko)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795175B1 (ko)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JP200911145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530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로보기 실행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JP2004214988A (ja) 携帯型電子機器
CN104778023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0451207B1 (ko) 휴대용 영상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68659Y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
JP2011223448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411080Y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46223A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83229A (ko)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7003460A (ja) 方位計測装置、方位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