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876A -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876A
KR20060004876A KR1020040065337A KR20040065337A KR20060004876A KR 20060004876 A KR20060004876 A KR 20060004876A KR 1020040065337 A KR1020040065337 A KR 1020040065337A KR 20040065337 A KR20040065337 A KR 20040065337A KR 20060004876 A KR20060004876 A KR 20060004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nit
input unit
portable terminal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175B1 (ko
Inventor
이재호
김지화
최도환
류영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119,800 priority Critical patent/US7774029B2/en
Priority to EP05013234A priority patent/EP1615407A1/en
Priority to CN200510082646XA priority patent/CN1719836B/zh
Priority to EP05014991.3A priority patent/EP1615409B1/en
Publication of KR2006000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1키입력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2키입력부로 구비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 및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폴더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제1스피커와 제1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제1스피커와 제2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제1-제2폴더하우징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제1-제2회전형스피커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제4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과 상기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제2위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감지부, 제1-제4개폐감지신호, 제1-제2표시부, 제1-제2키입력부, 위치감지신호, 제1-제2위치신호, 음성입출력부. 제1-제2회전형스피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a -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개폐감지신호에 따른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개폐감지신호에 따른 키입력부 및 표시부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 -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개폐감지신호에 따른 회전형스피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개폐감지신호에 따른 회전형스피커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 -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2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3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4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음성입력부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와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카메라나 TV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TV수신기를 구비하는 상기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현재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게임을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게임을 위한 휴대단말기는 두 개의 키입력부를 구비시키는등 게임모드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게임수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자동으로 제어한다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리함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키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음성출력부에 각각 구비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 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1키입력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2키입력부로 구비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 및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폴더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2키입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되고, 상기 제2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 구성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 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2키입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되고, 상기 제2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 구성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제1-제2폴더하우징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제1-제2회전형스피커와,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위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 제1스피커와 제 1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제1스피커와 제2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제1위치감지신호 발생 시,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위치감지신호 발생 시,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1키입력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2키입력부로 구비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 및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폴더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제1스피커와 제1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 부 및 제1스피커와 제2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제1-제2폴더하우징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제1-제2회전형스피커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제4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과 상기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제2위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력부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 시, 상기 휴대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력부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TV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 변환하여 음성입출력부117의 스피커 및 회전형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입출력부117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 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음성입출력부117은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오디오처리부125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상기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오디오처리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음성입출력부117은 제1음성입출력부115 및 제2음성입출력부1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음성입출력부115는 제1스피커 및 제1마이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2음성입출력부115는 제2스피커 및 제2마이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음성입출력부115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음성입출력부116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제2음성입출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폴더하우징을 각각 연결하는 제1-2힌지부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형스피커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장착되며, 회전가능한다. 상기 회전형스피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로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는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회전형스피커는 양면스피커이며, 박막스피커 일 수 있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와 회전형스피커의 기능을 제어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1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제4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2회전형스피커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1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제2회전형스피커118,119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상측으로 회전된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비활성화 시키고 상측으로 회전된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4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상측으로 회전된 제1-제2회전형스피커118,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를 감지하여 음성입출력부117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제1위치신호를 리드하면,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제2우치신호를 리드하면,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 및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6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161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162로 구성되면, 상기 제2표시부162는 제1화면 및 제2화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화면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폴더하우징이 닫혔을 때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2표시부의 화면이며, 상기 제2화면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이 닫혔을 때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2표시부의 화면이다.
키입력부17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7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도 6하우징에 구비된 제1키입력부171 및 상기 제2도 6하우징에 구비된 제2키입력부17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키입력부171은 상기 제1도 6하우징 내측 에 구비된 내부키 및 상기 제1도 6하우징 외측에 구비된 외부키로 구성되며, 상기 제2키입력부172는 상기 제2도 6하우징 내측에 구비된 내부키 및 상기 제2도 6하우징 외측에 구비된 외부키로 구성된다.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로, 상기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상기 기능키로, 상기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상기 숫자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는 상기 기능키 및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는 상기 숫자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는 상기 기능키 및 상기 제2키입력부171의 외부키는 상기 숫자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는 상기 숫자키 및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는 상기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는 상기 숫자키 및 상기 제2키입력부171의 외부키는 상기 기능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감지부180은 휴대단말기의 도 6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개폐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휴대단말기의 도 6하우징의 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개폐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도 6하우징이 닫혔을 때 접촉하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각각의 센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제2도 6하우징에 각각에 고정된 자석을 장착하 여, 상기 각각의 센서들이 감지하는 상기 자석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도 6하우징이 놓여지는 4개의 개폐상태를 감지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개폐감지센서들이 홀 센서(Hall Effect IC)라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임의로 정한 상기 센서들과 자석의 장착위치 또는 개수들은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개폐감지부180을 통해 감지되는 4개의 개폐감지신호를 도 2a - 도 2d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도 2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도 6하우징200-1 및 제2도 6하우징200-2가 모두 닫힌 제1개폐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2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도 6하우징200-1이 열리고 상기 제2도 6하우징200-2가 닫힌 제2개폐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2c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도 6하우징200-1이 닫히고 상기 제2도 6하우징200-2가 열린 제3개폐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도 6하우징200-1 및 제2도 6하우징200-2가 모두 열린 제4개폐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도 2a 및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도 6하우징200-1 및 제2도 6하우징200-2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도 6하우징이 접촉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도 6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도 6하우징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도 6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제1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 2b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도 6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2도 6하우징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 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도 6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제2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 2c 및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도 6하우징200-1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도 6하우징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도 6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제3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 2d 및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도 6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모두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폴더하우징이 접촉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위치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위치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감지부180은 X축과 Y축을 감지할 수 있는 두 축의 가속도 센서라고 가정한다.
상기 위치감지부190을 통해 감지되는 2개의 위치감지신호를 도 6 - 도 9를 통해 설명한다. 도 6a - 도 6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 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6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에서 제1위치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6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에서 제2위치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1위치상태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정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제2위치상태란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1위치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 7a - 도 7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7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개폐상태에서 제1위치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7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개폐상태에서 제2위치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 8a - 도 8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3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8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3개폐상태에서 제1위치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8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3개폐상태에서 제2위치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 9a - 도 9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4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9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4개폐상태에서 제1위치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9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4개폐상태에서 제2위치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도 6a, 도 7a, 도 8a 및 도 9a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방향인 상태이면,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제1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 6b, 도 7b, 도 8b 및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방향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이면,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 및 키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a-도 2d와 같은 개폐감지부180으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 및 키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로, 상기 제2키입력부172는 내부키 및 외부키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짐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1단계에서 현재의 모드가 표시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표시모드라 함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폴더 하우징이 접촉되어 제1표시부161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폴더 하우징이 이격되어 제2표시부162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표시모드에서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는 상기 개폐감지부180의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 및 키입력부170의 기능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의 출력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상기 표시부160 및 키입력부17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개폐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개폐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개폐감지부180에서 출력하는 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 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1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1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305단계에서 제1표시부161, 제1키입력부171의 숫자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05단계에서 제2표시부162,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2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2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 에 상기 제어부110은 307단계에서 제1표시부161, 제2표시부의 제1화면162-1,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07단계에서 제2표시부의 제2화면162-2,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열리고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3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3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3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309단계에서 제2표시부의 제2화면162-2,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09단계에서 제1표시부161, 제2표시부의 제1화면161-1,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c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닫히고 제2폴더하우징200-2가 열린 상태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 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3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4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311단계에서 제2표시부162,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11단계에서 제1표시부161,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d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a-도 4d와 같은 개폐감지부180으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회전형스피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폴더 내부에 장착된 제1-제2회전형스피커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2회전형스피커는 상기 제1-제2폴더의 일 측을 중심으로 상하회전가능하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1단계에서 현재의 모드가 표시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표시모드라 함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폴더 하우징이 접촉되어 제1표시부161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폴더하우징이 이격되어 제2표시부162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표시모드에서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는 상기 개폐감지부180의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제2회전형스피커118,119의 기능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의 출력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상기 제1-제2회전형스피커118,119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개폐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개폐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개폐감지부180에서 출력하는 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5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1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1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505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4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5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2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2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507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제1회전형스피커118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이 상측으로 회전되어 있을 때만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와 함께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도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4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열리고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 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5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3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3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509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있을 때만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와 함께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도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4c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닫히고 제2폴더하우징200-2가 열린 상태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5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4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511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있을 때만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와 함께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도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4d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 - 도 9와 같은 위치감지부190으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제1폴더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힌지부210-1에 제2음성입출력부116이 장착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제2폴더하우징을 연결하는 제2힌지부210-2에 제1음성입출력부115가 장착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1단계에서 현재의 모드가 통화모드인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통화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위치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위치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감지부190에서 출력하는 위치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 방향으로 위치하면,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8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1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 기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상기 제1위치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1위치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804단계에서 상기 제2힌지부210-2에 장착된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상기 제1힌지부210-1에 장착된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6a, 도 7a, 도 8a 및 도 9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4개폐상태 각각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를 통해 오디오처리부125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면서 807단계의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수행을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모드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 방향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8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상기 제2위치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2위치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806단계에서 상기 제2힌지부210-2에 장착된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 및 상기 제1힌지부210-1에 장착된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6b, 도 7b, 도 8b 및 도 9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4개폐상태 각각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 방향에서 180도 회전되어 위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통해 오디오처리부125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면서 807단계의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수행을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모드를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 및 위치상태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기능이 제어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와 회전형스피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기능이 제어되는 음성입출력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6)

  1.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1키입력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2키입력부로 구비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 및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폴더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2키입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되고, 상기 제2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 구성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부의 자석이 휴대 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장착되며, 센서들이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부의 자석이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장착되며, 센서들이 휴대 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내부 및 외부에 숫자키를 구비하는 제1키입력부와,
    내부 및 외부에 기능키를 구비하는 제2키입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내부 및 외부에 기능키를 구비하는 제1키입력부와,
    내부 및 외부에 숫자키를 구비하는 제2키입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내부의 기능키 및 외부의 숫자키를 구비하는 제1키입력부와,
    내부의 기능키 및 외부의 숫자키를 구비하는 제2키입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내부의 숫자키 및 외부의 기능키를 구비하는 제1키입력부와,
    내부의 숫자키 및 외부의 기능키를 구비하는 제2키입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제2표시부가,
    상기 제2키입력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이 닫혔을 때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화면과,
    상기 제1키입력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이 닫혔을 때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화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 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2키입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되고, 상기 제2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 구성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 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2.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제1-제2폴더하우징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제1-제2회전형스피커와,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4개 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회전된 제1회전형스피커가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회전된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회전된 제1-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회전형스피커는 양면스피커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회전형스피커는 박막스피커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6.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위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가속도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출력부는,
    제1스피커 및 제1마이크로 구성된 제1음성입출력부와,
    제2스피커 및 제2마이크로 구성된 제2음성입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출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힌지부에 장착된 제1음성입출력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힌지부에 제2음성입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제1폴더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제2폴더하우징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제2폴더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제1폴더하우징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위치감지신호 발생 시,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 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위치감지신호 발생 시,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3.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
    제1스피커와 제1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제1스피커와 제2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제1위치감지신호 발생 시,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위치감지신호 발생 시,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4.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1키입력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2키입력부로 구비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 및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폴더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
    제1스피커와 제1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제1스피커와 제2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제1-제2폴더하우징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제1-제2회전형스피커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제4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과 상기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제2위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5.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이,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7.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 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8.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회전된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회전된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회전된 제-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0.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력부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력부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는 과정이,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2.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3.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 시, 상기 휴대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력부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이,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과정이,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1-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1-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 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력부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는 과정이,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65337A 2004-07-10 2004-08-19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95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9,800 US7774029B2 (en) 2004-07-10 2005-05-0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EP05013234A EP1615407A1 (en) 2004-07-10 2005-06-20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the keypads and displays of a foldable wireless terminal depending on the folded state
CN200510082646XA CN1719836B (zh) 2004-07-10 2005-07-06 控制无线终端的功能的设备和方法
EP05014991.3A EP1615409B1 (en) 2004-07-10 2005-07-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foldable wireless terminal with a rotary-type speaker depending on the folded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3810 2004-07-10
KR1020040053810 2004-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876A true KR20060004876A (ko) 2006-01-16
KR100795175B1 KR100795175B1 (ko) 2008-01-16

Family

ID=3593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337A KR100795175B1 (ko) 2004-07-10 2004-08-19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5175B1 (ko)
CN (1) CN17198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73B1 (ko) * 2004-11-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2단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05567B (zh) * 2006-01-30 2012-03-21 京瓷株式会社 移动电子装置及其方位显示方法
EP2077682A1 (en) * 2006-09-26 2009-07-08 Qualcomm Incorporated Sensor Networks Based on Wireless Devices
WO2008111493A1 (ja) * 2007-03-13 2008-09-18 Nec Corporation 携帯端末及びその機能制御方法
CN102821186A (zh) * 2011-06-08 2012-12-12 基伍知识产权(新加坡)私人有限公司 一种手机
CN103389864B (zh) * 2012-05-11 2018-06-22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装置及其解锁方法
CN109391726A (zh) * 2017-08-03 2019-02-26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播放声音的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4823B1 (fr) * 2000-01-06 2002-07-05 Cegetel Procede d'utilisation multiple d'un radiotelephone, et systeme, radiotelephone, module d'identification d'abonn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presence correspondants
KR100724874B1 (ko) * 2001-07-1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DE60129056T2 (de) * 2001-12-20 2008-02-21 Nokia Corporation Mobilendgerät mit faltbarer funktionsabdeckung
KR20050108644A (ko) * 2004-05-12 2005-11-17 주식회사 팬택 기능모드 자동인식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73B1 (ko) * 2004-11-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2단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9836B (zh) 2011-01-12
CN1719836A (zh) 2006-01-11
KR100795175B1 (ko)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0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KR100504143B1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각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78202B1 (ko) 회전에 관계없이 동일 모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754681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촬영 모드 감지 방법
KR20060127303A (ko)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WO2020019981A1 (zh) 电子设备及受话接听方法
CN1719836B (zh) 控制无线终端的功能的设备和方法
KR1006894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밝기조절 방법
KR10080080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KR10073528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5477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4567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35222B1 (ko)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05950B1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689487B1 (ko) 폴더의 회전에 따라 화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어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03482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200368659Y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17832B1 (ko) 로테이션 가능한 폴더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47735B1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53228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회전키 장치의 키 제어 방법
KR20060026493A (ko) 회전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20060055186A (ko) 스위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KR2005009353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리입력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