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482B1 -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482B1
KR100703482B1 KR1020050098160A KR20050098160A KR100703482B1 KR 100703482 B1 KR100703482 B1 KR 100703482B1 KR 1020050098160 A KR1020050098160 A KR 1020050098160A KR 20050098160 A KR20050098160 A KR 20050098160A KR 100703482 B1 KR100703482 B1 KR 10070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ain body
folder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미 마쯔모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이동을 통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가 이격되어 상기 폴더부가 열린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이 일정시간이상이면, 상기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과 대응되게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일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이 일정시간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일정방향으로 일정단위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 폴더부, 방향감지부, 좌/우/전/후 이동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이동을 통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카메라나 TV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구비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그중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상기 게임을 위한 전용 휴대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게임을 위한 전용 휴대단말기의 경우, 게임수행을 위해 고안된 키입력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에는 키 입력을 버튼들과 함께 게임수행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이스틱이 대부분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게임수행을 위한 조이스틱의 경우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며, 또한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조이스틱의 경우 크기에 한계가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이동을 통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가 이격되어 상기 폴더부가 열린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위치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가 이격되어 상기 폴더부가 열린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이 일정시간이상이면, 상기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과 대응되게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일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이 일정시간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일정방향으로 일정단위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 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는 본체부100과 폴더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본체부100과 상기 폴더부200은 힌지부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00과 상기 폴더부200은 서로 마주하여 닫히거나 열리는 즉, 상기 폴더부200이 개폐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 1은 상기 본체부100과 상기 폴더부200이 이격된 즉, 상기 폴더부200이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폴더부20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은 좌(L)/우(Ri)/전(F)/후(Re)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폴더부20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폴더부200은 좌우회전 가능하다. 상기 도 2a 및 도 2b는 상기 폴더부200이 열린 상태에서 일정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 3을 통해 설명하면, RF부123은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의 위치이동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향감지부170에서 출력되는 방향감지신호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본체부100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휴대단말기의 본체부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방향감지부17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100의 위치이동에 따른 방향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으로 출력한다. 상기 방향감지부17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3축 가속도센서으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100에 장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감지부17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의 좌/우 방향에 따른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상기 본체부100의 힌지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 방향에 따른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상기 폴더부200의 힌지부에 장착할 수 있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100의 위치이동에 따라 대응되게 이동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 도 3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100과 상기 폴더부200이 이격된 즉, 상기 폴더부200이 열린 상태에서 특정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상기 선택된 특정모드로 전환하여 해당데이터를 표시하는 4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1은 상기 폴더부200이 열린 상태에서 특정모드의 해당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401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폴더부200은 상기 본체부100을 움직이기 위해 쥐고 사용자 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 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200을 해당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폴더부200에 구비된 표시부160의 데이터를 잘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정모드의 해당 데이터가 표시되는 401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100이 위치이동 되면, 상기 방향감지부170은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본체부100이 위치 이동된 방향감지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110으로 출력한다.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방향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출력된 방향감지신호가 좌측(Left)방향을 나타내는 제1방향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방향신호에 대한 출력시간을 감지한다. 상기 제1방향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1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상기 제1방향신호가 출력되는 시간동안 이동시키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1방향신호가 일정시간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1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일정픽셀단위 만큼 이동시키는 406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출력된 방향감지신호가 우측(Right)방향을 나타내는 제2방향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방향신호에 대한 출력시간을 감지한다. 상기 제2방향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2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상기 제2방향신호가 출력되는 시간동안 이동시키는 409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2방향신호가 일정시간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2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일정픽셀단위 만큼 이동시키는 410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출력된 방향감지신호가 전측(Front)방향을 나타내는 제3방향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3방향신호에 대한 출력시간을 감지한다. 상기 제3방향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3방향 즉, 전측방향으로 상기 제3방향신호가 출력되는 시간동안 이동시키는 413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3방향신호가 일정시간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4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3방향 즉, 전측방향으로 일정픽셀단위 만큼 이동시키는 414단계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출력된 방향감지신호가 후측(Rear)방향을 나타내는 제4방향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4방향신호에 대한 출력시간을 감지한다. 상기 제4방향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4방향 즉, 후측방향 으로 상기 제4방향신호가 출력되는 시간동안 이동시키는 417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4방향신호가 일정시간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41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4방향 즉, 후측방향으로 일정픽셀단위 만큼 이동시키는 41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4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게임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의 이동을 통해 편리하게 데이터를 이동시키면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이동을 통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이동 즉, 게임모드에서 데이터를 이동시킬 때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가 이격되어 상기 폴더부가 열린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위치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는 좌/우/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좌우회전이 가능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는 일정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폴더부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폴더부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전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폴더부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전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후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폴더부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본체부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과 대응되게 상기 폴더부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본체부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과 대응되게 상기 폴더부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전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본체부가 전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과 대응되게 상기 폴더부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면, 상기 본체부가 후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과 대응되게 상기 폴더부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가 이격되어 상기 폴더부가 열린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면, 상기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이 일정시간이상이면, 상기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과 대응되게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일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가 일정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된 시간이 일정시간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일정방향으로 일정단위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부는 좌/우/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좌우회전이 가능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는 일정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20050098160A 2005-10-18 2005-10-18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070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160A KR100703482B1 (ko) 2005-10-18 2005-10-18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160A KR100703482B1 (ko) 2005-10-18 2005-10-18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482B1 true KR100703482B1 (ko) 2007-04-03

Family

ID=3816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160A KR100703482B1 (ko) 2005-10-18 2005-10-18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4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549A (ko) * 2002-09-25 2004-03-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549A (ko) * 2002-09-25 2004-03-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202B1 (ko) 회전에 관계없이 동일 모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1725550B1 (ko)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20070012059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80080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KR10073528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20070006334A (ko)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밝기조절 방법
KR20080045871A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부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0335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전송방법
KR100795175B1 (ko)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4567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03482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557074B1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678104B1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리소스 제어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7811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충격감지를 통한 동작 제어방법
KR10060607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확대/축소 방법
KR100663513B1 (ko) 휴대단말기를 통해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0735222B1 (ko)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44426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593988B1 (ko) 캐릭터의 다방 이동 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방향 제어 방법
KR10053228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회전키 장치의 키 제어 방법
KR100605950B1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