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705A -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705A
KR20070045705A KR1020050102275A KR20050102275A KR20070045705A KR 20070045705 A KR20070045705 A KR 20070045705A KR 1020050102275 A KR1020050102275 A KR 1020050102275A KR 20050102275 A KR20050102275 A KR 20050102275A KR 20070045705 A KR20070045705 A KR 20070045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terminal
broadcast program
playback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169B1 (ko
Inventor
박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169B1/ko
Priority to EP06019777A priority patent/EP1772981A3/en
Priority to CN2006101413971A priority patent/CN1941969B/zh
Priority to US11/537,541 priority patent/US8509589B2/en
Priority to JP2006269086A priority patent/JP4447592B2/ja
Publication of KR20070045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를 통한 미디어 재생에 있어서, 특히 어떠한 이유(예, 사용자의 통화)로 인하여 녹화된 미디어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녹화된 미디어를 재생하는 데 있어 사용자 위주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해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 저장된 방송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재생 제어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방송미디어, 재생, 통신단말기, 하이라이트, 슬라이드

Description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control method for playing media, and terminal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미디어 재생 제어를 위한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를 통한 미디어 재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떠한 이유(예, 사용자의 통화)로 인하여 녹화된 미디어의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를 위 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방송을 지원하는 통신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통신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데이터통신이나 문자메시지 등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하면서 동시에 상기한 디지털방송서비스를 지원한다.
특히 상기 통신단말기는 디지털방송을 저장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나중에 저장된 디지털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디지털방송을 재생하고 있을 때 이동통신서비스에 해당하는 음성통화가 실시되면, 통신단말기는 재생 중이던 디지털방송을 중지시키고 음성통화를 위한 사용자 환경으로 전환한다.
결국, 통신단말기는 음성통화 동안에 방송국에서 송출한 분량의 디지털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음성통화가 끝난 시점부터 다시 디지털방송을 청취해야하므로, 방송프로그램 전체를 제대로 보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물론 음성통화 동안에 송출된 분량의 방송미디어를 저장하면 되지만 아직까지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안된 바 없다. 또한 해당 분량의 방송미디어를 저장한다 할지라도 그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효율적인 재생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디지털방송서비스의 본질적인 특성 중 하나인 실시간 방송의 의미를 잃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녹화된 미디어를 재 생하는 데 있어 사용자 위주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해주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 저장된 방송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재생 제어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의 제1 특징은,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조정된 속도로 상기 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의 저장 시에,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는 광고를 배제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에 해당한다. 또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들에 해당하는 정지영상들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명령에 따라 조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속도로 조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상기 미디어의 용량에 상응하도 록 계산된 속도로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의 용량과 상기 미디어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재생시간을 사용하여 상기 조정할 속도를 계산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의 제2 특징은,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디어의 일부를 미리 설정된 재생속도로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는 광고를 배제시킨 것이다. 또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들에 해당하는 정지영상들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특징은,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미디어의 저장과 상기 미디어의 재생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 시에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재생속도로 상기 미디어를 재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때,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된 광고를 배제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를 추출하여, 그 추출될 미디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들에 해당하는 정지영상들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미디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가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어부에게 상기 재생속도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셔틀동작을 하는 조그식 버튼이다.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메뉴이며, 상기 사용자 메뉴는 상기 미디어의 재생시간 설정을 지원하는데,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메뉴를 통해 설정된 상기 재생시간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미디어의 용량을 사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계산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미디어에서 광고를 배제시킨 미디어를 재생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미디어에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하이라이트를 재생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미디어에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영상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지영상을 재생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디지털방송서비스는 물론 음성통화나 데이터통신이나 문자메시지 등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단말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디지털방송서비스를 지원함에 따라 방송국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한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상기한 방송신호는 영상과 음성과 텍스트 등의 단일 미디어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멀티미디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그들을 방송미디어라 명칭한다. 이러한 방송미디어는 스트림 형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미디어를 수신하며, 통신망과는 통신을 위한 신호를 교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미디어 재생 제어를 위한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단말기는 수신부(1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40)로 구성된다.
수신부(10)는 이동통신서비스에 따른 이동통신신호 및/또는 디지털방송서비스에 따른 방송미디어를 수신한다.
제어부(20)는 수신된 이동통신신호 및/또는 방송미디어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5를 통해 설명되는 방송미디어의 저장 시의 제어와 방송미디어의 재생 시의 제어를 수행한다.
저장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방송미디어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단말기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방송미디어의 재생 시에 그 방송미디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출력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는 사용자가 특정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해당 방송채널의 방송국으로부터 선택된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방송미디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수신된 방송미디어를 재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어떠한 경우에 현재 재생 중인 방송미디어를 소정 시간동안 저장(영상미디어의 경우는 녹화, 음성미디어의 경우는 녹음)한다.
단말기가 상기 방송미디어를 일정 기간동안 저장하는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41)의 특정 키가 눌러져서 방송미디어를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이거나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통화를 하는 경우 등이다. 즉, 사용자가 방송미디어의 저장을 요구하는 경우 또는 방송미디어의 재생 동작이 다른 서비스(예로써,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처리 동작(예로써, 이동통신서비스의 경우에는 통화)과 중복되는 경우이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방송미디어의 저장을 요구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다른 일이 생겨서 재생 중인 방송미디어를 청취할 수 없는 상황일 것이다.
제어부(20)가 저장부(30)에 방송미디어를 저장하는 여러 예들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방송미디어로써 영상미디어를 예로 든다.
- 사용자가 입력부(41)에 구비된 특정 키를 사용하여 방송미디어의 저장을 요구하면, 제어부(20)는 상기 키가 눌러진 시점부터 방송미디어를 저장한다. 이후에 정해진 저장 기간이 종료되면 방송미디어의 저장을 중지한다. 여기서, 상기 저 장 기간은 사용자가 사용자 메뉴를 통해 미리 설정해 둔 것이며, 이를 위해 단말기는 상기 저장 기간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메뉴를 구비한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저장 기간이 별도로 설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키를 사용하여 방송미디어의 저장 중지를 요구하면, 제어부(20)는 방송미디어의 저장을 중지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는 방송미디어의 저장과 중지를 위한 키를 입력부(41)에 구비하며, 그 키는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되, 그 키가 일 회 눌러지면 저장 요구이고 다시 한번 더 눌러지면 저장 중지 요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약 사용자가 방송미디어를 저장하고자 하는 목적이 특정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라면, 상기 방송미디어의 저장을 위한 키는 "통화" 키이고, 상기 방송미디어의 저장 중지를 위한 키는 "종료" 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통화" 키는 음성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키이고, "종료" 키는 음성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키이다.
정리하면, 제어부(20)는 사용자가 방송미디어 저장을 요구한 시점부터 그 요구를 해제하는 시점까지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미디어를 저장한다.
- 단말기에 음성통화를 위한 착신 호가 있거나 그 착신 호에 대한 사용자의 긍정적 키 조작(예로써, "통화" 키 누름)이 있으면, 제어부(20)는 통화 시작 시점부터 방송미디어를 자동 저장한다. 이후에 통화가 종료되면 방송미디어의 저장을 중지한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 메뉴를 통해 통화 시 방송미디어의 자동 저장 기능을 미리 설정해 둔 것이며, 이를 위해 단말기는 상기 음성통화 시에 수신 중인 방송미디어의 자동 저장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메뉴를 구비한다.
정리하면, 제어부(20)는 음성통화가 시작되는 그 음성통화가 종료되는 시점 까지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미디어를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20)는 상기의 여러 경우에 방송미디어를 저장부(30)에 저장하는데, 방송미디어의 저장 형태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방송국에서 송출한 방송미디어를 전부 저장한다.
둘 째, 방송국에서 송출한 방송미디어에서 방송프로그램과 직접적으로 관계하지 않는 광고 등을 배제한다. 이를 위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미디어에 광고 등을 삽입시킬 때, 광고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flag)를 사용한다.
세 째, 방송국에서 송출한 방송미디어에서 방송프로그램과 관계되는 미디어의 일부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상기 방송미디어의 일부를 추출하는 방식들로는 방송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를 추출하는 방식이나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scene)에 해당하는 정지영상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 하이라이트 추출 방식; 방송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제어부(20)가 수신되는 방송미디어의 어느 부분이 하이라이트인지 인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하이라이트 부분의 인지를 위해, 방송국에서는 송출할 방송미디어에 하이라이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시자(indicator)나 플래그(flag)를 사용한다. 그에 따라 단말기 제어부(20)는 수신되는 방송미디어에 포함된 표시자(indicator)나 플래그(flag)를 통해 하이라이트를 식별하고, 그를 추출한다. 상기 하이라이트는 방송프로그램이 영화인 경우에 주요장면들을 추출한 것이며, 방송프로그램이 뉴스인 경우에는 전체 뉴스기사들 중에서 날씨나 교통이나 뉴스속보만을 추출한 것이다. 또한 임의의 방송프로그램 사이에 뉴스속보가 들어있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20)가 해당 표시자(indicator)나 플래그(flag)를 통해 그 뉴스속보가 삽입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그를 추출한다. 별도의 예로써, 제어부(20)가 수신되는 방송미디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하이라이트 부분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정지영상 추출 방식; 수신되는 방송미디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로 정지영상(미디어)을 추출한다. 일 예로써, 방송미디어는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에 해당하는 스트림들로 구성되며, 그 스트림은 2초에 한 번씩 수신된다. 따라서 "2*N" 초 주기로 정지영상(미디어)을 추출한다. 상기 N은 임의의 정수이다.
상기한 여러 방식들에 의해 방송미디어를 저장한 이후에 그 저장 결과의 재생을 제어하는 절차에 대해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한 설명에 앞서, 방송미디어의 재생 제어동작은 크게, 자동제어와 수동제어와 자동+수동제어로 구분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음성통화 시에 방송미디어를 저장하기 시작하여 그 음성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 저장된 방송미디어를 자동으로 재생하는 예를 설명하되, 자동+수동제어를 예로써 설명한다.
그리고 재생되는 방송미디어의 형태는 전술했듯이 저장된 형태에 기반한다. 따라서 재생될 수 있는 형식은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미디어 전부,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 전체 방송프로그램 중에서 하이라이트 부분,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 중 어느 하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으로,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형식이 방송미디어 전부 또는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인 경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미디어가 저장되고 있을 때 음성통화가 종료되어 저장된 결과의 재생 시작 시점이 되면(S10,S11), 단말기 제어부(20)는 저장된 방송미디어를 재생시킨다(S12). 이때 재생속도는 정상속도이다. 여기서 말하는 정상속도는 단말기가 방송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기본 속도이다.
상기와 같이 방송미디어가 정상속도로 재생 중일 때, 재생속도의 조정 명령이 있으면(S13), 단말기 제어부(20)는 현재 정상속도를 변경시킨다(S14). 예를 들어, 재생속도의 증가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20)는 현재 재생속도를 그 증가 명령에 상응하는 속도로 증가시킨다. 또한 증가된 재생속도의 정상속도로의 복귀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20)는 현재 재생속도를 정상속도로 감소시킨다. 또한 재생 정지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20)는 현재의 재생 동작을 멈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재생속도의 조정 명령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입력부(41)는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상기 재생속도의 조절을 위한 키는 셔틀동작이 가능한 조그식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은 재생속도의 증가(고속 탐색), 재생속도의 정상속도로의 복귀, 재생 정지(=영상 멈춤) 등의 사용자에 의한 속도 제어 명령들을 단말기와 교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으로,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형식이 방송미디어 전부 또는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인 경우이며, 재생 시에는 하이라이트가 재생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이다. 이를 위해 단말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미디어 전부 재생,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 재생, 전체 방송프로그램 중에서 하이라이트 부분 재생, 그리고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을 슬라이드쇼로 재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생 형식을 설정하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메뉴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미디어가 저장되고 있을 때 음성통화가 종료되어 저장된 결과의 재생 시작 시점이 되면(S20,S21), 단말기 제어부(20)는 저장된 방송미디어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을 추출한다(S22).
이어 제어부(20)는 추출한 하이라이트 부분을 재생시킨다(S23). 이때 재생속도는 이미 전술된 정상속도이다.
상기와 같이 하이라이트 부분이 정상속도로 재생 중일 때, 재생속도의 조정 명령이 있으면(S24), 단말기 제어부(20)는 현재 정상속도를 변경시킨다(S25). 그에 대한 예는 도 2를 통해 이미 설명되어서 이하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형식이 방송미디어 전부 또는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인 경우이며, 재생 시에는 정지영상(미디어)이 슬라이드쇼로 재생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이다. 이를 위해 단말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미디어 전부 재생,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 재생, 전체 방송프로그램 중에서 하이라이트 부분 재생, 그리고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을 슬라이드쇼로 재생 중 에서 어느 하나의 재생 형식을 설정하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메뉴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미디어가 저장되고 있을 때 음성통화가 종료되어 저장된 결과의 재생 시작 시점이 되면(S30,S31), 단말기 제어부(20)는 저장된 방송미디어에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정지영상(미디어) 즉, 슬라이드쇼를 구성할 슬라이드를 추출한다(S32).
이어 제어부(20)는 추출한 정지영상(미디어)을 슬라이드쇼 형식으로 재생시킨다(S33). 이때 재생속도는 미리 설정된 기본 슬라이딩 속도(Sliding speed)이다.
상기와 같이 정지영상(미디어)이 기본 슬라이딩 속도로 재생 중일 때, 재생속도의 조정 명령이 있으면(S34), 단말기 제어부(20)는 현재 기본 슬라이딩 속도 변경시킨다(S35). 예를 들어, 기본 슬라이딩 속도의 증가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20)는 기본 슬라이딩 속도를 그 증가 명령에 상응하는 속도로 증가시킨다. 반대로 기본 슬라이딩 속도의 감소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20)는 기본 슬라이딩 속도를 그 감소 명령에 상응하는 속도로 감소시킨다. 또한 슬라이드쇼 정지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20)는 현재의 재생 동작을 멈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슬라이딩 속도의 조정 명령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입력부(41)는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단말기가 저장부(30)에 방송미디어를 저장할 때,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미디어 전부,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 전체 방송프로그램 중에서 하 이라이트 부분,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 중 어느 하나의 형식을 선택적으로 저장한 경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저장 형식에 의해 방송미디어가 선택적으로 저장되고 있을 때 음성통화가 종료되어 저장된 결과의 재생 시작 시점이 되면(S40,S41), 단말기 제어부(20)는 특정 재생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2).
만약 사용자가 그 사용자 메뉴를 통해 미리 재생속도를 설정해 두었다면,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재생속도로 저장된 방송미디어를 재생시킨다(S43).
반면에 어떠한 재생속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기 제어부(20)는 도 2 내지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본 설정속도(정상속도 또는 기본 슬라이딩 속도)로 저장된 방송미디어를 재생시킨다(S44).
보다 상세하게, 선택적으로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형식이 방송미디어 전부 또는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 또는 전체 방송프로그램 중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인 경우는 단말기가 방송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기본 속도인 정상속도로 재생시킨다. 반면에 선택적으로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형식이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인 경우에는 기본 슬라이딩 속도(Sliding speed)로 재생시킨다. 즉, 제어부(20)는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부(42)에 표출시킨다.
이후에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재생속도의 조정 명령이 있으면, 단말기 제어부(20)는 현재 기본 설정속도를 변경시킨다.
한편 상기에서는 저장된 방송미디어를 재생시킬 때, 정상속도 또는 기본 슬라이딩 속도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예로써,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재생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재생속도의 조정 여부를 문의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즉, 사용자의 속도 설정 값을 방송미디어의 재생속도로써 사용한다.
그리고 또다른 예로써, 단말기는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재생속도를 미리 설정하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메뉴를 구비하되, 만약 사용자가 그 사용자 메뉴를 통해 미리 재생속도를 설정해 두었다면, 단말기는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재생 시점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재생속도를 방송미디어의 재생속도로써 사용한다. 여기에 추가하여, 상기와 같이 하나의 재생속도가 미리 설정되었다 하더라도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재생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재생속도의 조정 여부를 문의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기 설정된 재생속도를 조정할지 말지)에 따라 방송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조정한다.
한편 상기한 도 2 내지 5를 참조한 설명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재생속도를 변경시키는 수동제어 과정을 제외하면 미디어 재생의 자동제어가 실현된다. 상기한 자동제어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하나의 예를 설명되었듯이, 음성통화가 종료됨에 따라 저장된 방송미디어를 미리 설정된 재생속도로 재생시키는 제어이다. 단말기는 상기한 자동제어를 위해 방송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설정하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메뉴를 구비한다.
상기 자동제어의 또다른 예로써, 단말기 제어부(20)는 음성통화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용량을 체크한다. 그리고 그 용량에 상응하는 재생속도를 계산한다. 이때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재생시간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 재생시간과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용량을 사용하여 재생속도를 자동 계산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재생시간의 설정을 지원하는 사용자 메뉴를 구비한다. 물론 음성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재생시간의 설정 여부를 문의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즉, 사용자의 시간 설정 값을 방송미디어의 재생시간으로써 사용한다. 결국 단말기는 상기 계산된 재생속도로 저장된 방송미디어를 재생시킨다.
그밖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수동제어도 구현한다. 상기한 미디어 재생의 수동제어는 음성통화가 종료될 때 단말기가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값들을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재생여부, 재생속도, 재생시간, 재생형태 등을 문의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형태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미디어 전부,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 전체 방송프로그램 중에서 하이라이트 부분,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 중 어느 하나이다. 결국 단말기는 사용자의 설정 값들에 기반하여 저장된 방송미디어를 재생시킨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음성통화 중에 방송미디어를 저장하고, 상기 음성통화가 종료되면 저장된 방송미디어에서 전체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scene)들에 해당하는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을 출력수단(42)으로 표출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하나의 장면에 해당하는 정지영상(미디어)을 선택하면, 저장된 방 송미디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부터 미리 설정된 재생속도로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도 고려한다.
한편 상기 저장된 방송미디어의 재생 제어는 방송국으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미디어의 재생시간과 시간적으로 동기되는 시점까지 수행된다. 일 예로, 저장된 방송미디어 중에서 금번에 재생되는 장면이 현재 수신되는 방송미디어의 재생 장면과 일치되는 시점을 상기 동기 시점으로 한다.
동시에 상기 동기 시점까지 단말기는 전술된 다양한 저장 형태 중 하나의 방식으로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미디어를 저장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된 방송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재생 형태 즉,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미디어 전부를 재생, 광고가 배제된 전체 방송프로그램 내용을 재생, 전체 방송프로그램 중에서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재생, 다수의 정지영상(미디어)들을 슬라이드쇼로써 재생하는 등의 형태는 물론 다양한 재생 제어 방식들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이유(예, 음성통화)로 인해 실시간으로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위주의 다양한 편의를 제공해준다.

Claims (24)

  1.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조정된 속도로 상기 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의 저장 시에,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는 광고를 배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들에 해당하는 정지영상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명령에 따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속 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상기 미디어의 용량에 상응하도록 계산된 속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의 용량과 상기 미디어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재생시간을 사용하여 상기 조정할 속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9.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디어의 일부를 미리 설정된 재생속도로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는 광고를 배제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에 해당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들에 해당하 는 정지영상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
  13. 방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미디어의 저장과 상기 미디어의 재생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 시에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재생속도로 상기 미디어를 재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때,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된 광고를 배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를 추출하여, 그 추출될 미디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들에 해당하는 정지영상들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미디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어부에게 상기 재생속도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사용 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셔틀동작을 하는 조그식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메뉴는 상기 미디어의 재생시간 설정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메뉴를 통해 설정된 상기 재생시간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미디어의 용량을 사용하여 상기 미디어의 재생속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미디어에서 광고를 배제시킨 미디어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미디어에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하이라이트를 재 생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미디어에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특정 장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영상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지영상을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50102275A 2005-09-29 2005-10-28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10080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275A KR100808169B1 (ko) 2005-10-28 2005-10-28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EP06019777A EP1772981A3 (en) 2005-09-29 2006-09-21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and recording a broadcast programme
CN2006101413971A CN1941969B (zh) 2005-09-29 2006-09-28 用于接收广播节目的移动电信终端
US11/537,541 US8509589B2 (en) 2005-09-29 2006-09-29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broadcast program
JP2006269086A JP4447592B2 (ja) 2005-09-29 2006-09-29 移動通信端末機のタイムシフト再生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275A KR100808169B1 (ko) 2005-10-28 2005-10-28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705A true KR20070045705A (ko) 2007-05-02
KR100808169B1 KR100808169B1 (ko) 2008-02-29

Family

ID=3827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275A KR100808169B1 (ko) 2005-09-29 2005-10-28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708A (ko) * 2009-09-25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멀티 브라우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5644B2 (ja) 2004-03-08 2009-07-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放送記録再生方法並びに放送記録再生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708A (ko) * 2009-09-25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멀티 브라우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169B1 (ko) 200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6664B2 (en) Audio routing for audio-video recording
US7830453B2 (en) Method of converting digital broadcast contents and digital broadcast terminal having function of the same
KR100781266B1 (ko) 통신 기기 및 처리 방법
US20040261136A1 (en) Multi-media receiving device and multi-media receiving system
JP3688678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8509589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broadcast program
US7801477B2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50023090A (ko) 컨텐츠 제공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단말
JP200518418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番組視聴システム
CN101527153B (zh) 使异步的传递文本和音视频数据在移动终端同步显示的方法
JP2007028629A (ja) 予約録音を行う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装置及びそれに従う方法
JP2012070150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08169B1 (ko) 미디어 재생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100751412B1 (ko) 방송 프로그램 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방법
CN109155680B (zh) 当前音视频再现被中断覆盖后继续当前再现的方法和设备
JP4368125B2 (ja) コンテンツ受信および音声通話が可能な通信端末装置
JP200635248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EP1732251A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ntents
KR20080088399A (ko) 재생장치, 방송수신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807242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333492A (ja) 番組の視聴・録画制御方法
JP5643149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1059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 재생 중 화면캡쳐 방법
KR101152780B1 (ko) 방송 수신 단말기,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및 방송 데이터기록 서버
KR20070023464A (ko) 가상 pvr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