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645A -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645A
KR20070045645A KR1020050102147A KR20050102147A KR20070045645A KR 20070045645 A KR20070045645 A KR 20070045645A KR 1020050102147 A KR1020050102147 A KR 1020050102147A KR 20050102147 A KR20050102147 A KR 20050102147A KR 20070045645 A KR20070045645 A KR 20070045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screen
screen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id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035B1 (ko
Inventor
임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10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0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대기모드에서 대기화면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실행될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 진입시 대기화면 표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서비스 연동부;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대기화면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기화면, 이동통신단말, 대기모드, 서비스, 애플릿(applet)

Description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STANDBY-SCREEN}
도 1a 내지 도 1c는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소프트웨어 구조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소프트웨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서 선택부가 구현된 대기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화면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0 : 사용자 인터페이스(I/F) 411 : 선택부
420 : 메모리 430 : 제어부
440 : 표시부 450 : 서비스 연동부
460 : 스케쥴링 처리부 490 :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CP)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을 이용한 서비스'는 대기화면 모드로 전환되면 대기화면(일명, '바탕화면'이라고도 함) 대신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서비스(예컨대, 증권 서비스, 날씨 서비스, 검색 서비스, 교통안내 서비스 등)에 접속하여 그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를 '대기화면 서비스'라 칭할 것이다.
이동통신단말(예컨대, 휴대폰 등)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았으며,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업체에서는 다른 업체 제품과의 차별성을 위해 자사 제품에 여러 가지 기능(예컨대, 메모리 기능,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기능 및 방송 수신 기능 등)을 추가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대기화면 서비스'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 중 하나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의 이동통신단말의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a는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 는 이동통신단말의 화면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의 대기 모드에서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조건(예컨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의 경우 폴더의 열림 등)이 만족된 경우 미리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응답으로 대응된 대기화면 서비스를 기동시키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도 1b 및 도 1c는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에서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조건(예컨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의 경우 폴더의 열림 등)이 만족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한 다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들(#1, #2, #3, #4, #5)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b는 #1에 대응된 대기화면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하고, 도 1c는 #2에 대응된 대기화면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선택가능한 대기화면 서비스의 수 및 종류는 고정적이다. 즉,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 제조시에 사용자별로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기화면 서비스의 종류 및 수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을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그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들을 사용하여야만 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 사용자들은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그 종류 및 수를 직접 결정할 수 없었다.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도시한 도 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소프트웨어 구조는 플랫폼(platform)(10)과, 그 위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20)을 포함한다. 플랫폼(platform)이란 개인용 컴퓨터(PC:Personal Computer) 등에 탑재된 운영체제(OS:Operation System)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의 하드웨어와 이동통신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연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플랫폼(10)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동통신단말에 탑재시켜 실행시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플랫폼은 GVM(General Virtual Machine), 브루(BREW), 자바 스테이션(JAVA station)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최근에는 특히 WIPI 플랫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WIPI 플랫폼은 이기종 이동통신단말들이 동일 내용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공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준화된 플랫폼이다. 즉, 이동통신단말들이 서로 다른 플랫폼을 사용할 경우 동일 내용의 프로그램을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 동작하도록 각각 개발해야 하는데, WIPI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플랫폼의 일종이다. 어플리케이션(20)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응용 프로그램과 같이 이동통신단말에서 동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은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일명, 응용 프로그램)(20)을 동작시키기 위해 대응된 어플리케이션(20)을 플랫폼(10)에 로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이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은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은 플랫폼(10) 에 로딩하여야 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이 도 1b 및 도 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들 중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은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10)에 로딩하여야 한다. 즉 이동통신단말은 복수의 대기화면들 중 대응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10)에 로딩한다. 특히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대기화면 서비스가 변경된 경우 이동통신단말은 플랫폼(10)에 로딩된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하여야 한다. 즉, 이동통신단말은 변경 전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10)에서 삭제하고 변경 후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10)에 로딩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대기화면 서비스의 변경 시 이동통신단말이 상기와 같이 플랫폼(10)에 로딩된 어플리케이션의 변경 절차를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대기화면 서비스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시 그 대기화면의 수 및 종류를 사용자가 직접 결정할 수 없으므로써 발생되는 문제점과 함께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초래한다. 즉,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들 간의 절체시에 시간 지연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에서 복수개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보다 쉽게 선 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대기화면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설정된 시간 스케줄링에 따른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이동통신단말에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에서 대기화면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실행될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단계;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 진입시 상기 다운로드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중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제1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로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제1요청단계;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한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 서비스 변경명령에 따라서 상기 다운로드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제2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제2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제2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되는 제2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로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제2요청단계;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선택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기설정된 초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비스 등록단계는, 다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에게 제공가능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로드 단계는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다운로드 완료 메시지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각 다운로드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채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대기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로드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애플릿(applet)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선택단계는, 현재 시간과 기설정된 스케쥴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선택될 대기화면 서 비스 페이지가 존재하면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선택 종료될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존재하면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기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은,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에서 대기화면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실행될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 진입시 대기화면 표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서비스 연동부;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중 기설정된 초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각 저장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채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상기 표시부의 대기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장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애플릿(applet)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하 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 서비스 변경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중에서 다른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선택 및 선택 종료 시간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현재 시간을 카운트하고 현재 시간과 기설정된 스케쥴링 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스케쥴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특정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선택 또는 선택 종료 시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소프트웨어 구조는 플랫폼(platform)(100)과, 대기화면 서비스 다중화 모듈(200)과,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310)를 갖는 어플리케이션(30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31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300) 내에 서 하나씩 구현될 수 있다.
플랫폼(platform)(100)은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대기화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대기화면 서비스 다중화 모듈(200)은 플랫폼(100)과 어플리케이션(300)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대기화면 서비스 다중화 모듈(200)은 대기화면 서비스 프로그램과 플랫폼(1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대기화면 서비스 다중화 모듈(200)의 구성이 도 3b에 예시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대기화면 서비스 다중화 모듈(200)은 어플리케이션(30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210)와, 플랫폼(10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 모듈(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에서는 CP에서 제작하여 CP 서버에 올려 놓은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다운받아 대기화면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다운받은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삭제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은, 선택부(411)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410)와, 메모리(420)와, 제어부(430)와, 표시부(440)와, 서비스 연동부(470)를 포함하며,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은 스케쥴링 처리부(4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41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410)는 선택부(411)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부(411)는 이동통신단말(400)의 대기화면 표시 또는 변경 명령에 응답하여 저장중인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선택부(411)는 표시부(440)의 대기화면창에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UI 인터페이스는 애플릿(Appl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부(411)는 하나의 대기화면용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구현되는 대기화면 서비스를 위한 다수개의 애플릿 페이지를 선택한다.
상기 메모리(420)는 이동통신단말(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460)는 이동통신단말(400)의 대기모드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실행될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및 그의 구동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430)는 이동통신단말(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41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 또는 메모리(460)에 기저장된 프로그램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단말(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30)는 이동통신단말(400)의 동작 모드를 감시하고 이동통신단말(400)의 동작 모드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면 메모리(420)에 기저장된 대기화면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정보 및 그의 구동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를 실행시키도록 서비스 연동부(45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30)는 대기화면 표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420)에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도록 상기 선택부(411)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440)를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430)는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변경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30)는 기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초기에 표시할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선택부(411) 및 표시부(440)를 제어한다.
만약, 상기 메모리(420)에 제1 내지 제5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저장되고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초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로 설정된 경우, 이동통신단말(400)이 대기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430)는 제1 내지 제5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에서 상기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여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3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면 현재 표시중인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화면을 제3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화면으로 변경한다. 즉 제3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 연동부(450)는 이동통신단말(400)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로 변경시, 상기 제어부(4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420)에 저장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선택되면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CP:contents Provider)(490)와 서비스 연동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연동부(450)는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와 연동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연동부(470)가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와의 연동시, 데이터 송수신은 내부의 송수신부를 통해 실행된다. 상기 송수신부는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40)는 이동통신단말(400)의 동작 상태 및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서비스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440)는 상기 제어부(4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선택부(411)에 의해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400)은 다운로드되어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에서 선택된 대응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하여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와의 연동을 통해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에서 선택부가 구현된 대기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되는 하나의 화면이 표시부(440)에 표시되고, 다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51~53)가 채널형으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바람직하게는 애플릿(appl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UI 채널(51~53)은 메모리(420)에 저장된 복수개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된다. 즉, 사용자가 선택부(411)를 통해 특정 UI 채널(51~53)을 선택하게 되면 그에 대응하여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부(44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동시에 서비스 연동부(470)는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해당 CP(55)와 연동하여 그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에 등록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채널형 UI(51~53)를 통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통신단말에서 실제 대기화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은 바람직하게는 하나만 구동되며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 추가, 삭제, 변경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표시부(440)의 대기화면에 구현된 채널형 UI(51~53)는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와 연동하며, 실제 대기화면 서비스는 채널형 UI(51~53)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연동부(470)에서 각각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서비스/콘텐츠 제공자(CP:54)와 연동하여 CP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게 된다. 한편, 채널형 UI(51~53)이 대기화면을 점유하는 경우 상기 채널형 UI(51~53)와 각각 대응되는 서비스/콘텐츠 제공자(CP:54)에게 이를 통지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 과정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처리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단말(400)은 먼저 대기모드에서 제공할 대기화면 서비스를 등록한다(S600). 상기 등록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구동 정보는 메모리(420)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록 과정(S600)의 구체적인 예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기화면 서비스를 등록하면 원하는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다운받아 저장한다(S601). 이동통신단말(400)은 대기모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S602). 만약 이동통신단말(400)이 대기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중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한다(S604).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이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예컨대,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 폴더의 열림) 미리 설정된 초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선택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대기화면을 점유하고 있는 다수의 채널형 UI(51~53)을 선택부(411)를 통해 선택하면 그 선택된 채널형 UI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선택된다.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바람직하게는 애플릿(appl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CP:490)에게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다(S606).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상기 메모리(420)로부터 상기 선택된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정보 및 그 구동정보를 검색하고, 또한 서비스 연동부(450)에게 상기 선택된 제1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 연동부(450)는 상기 제어부(43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대기화면 서 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서비스/콘텐츠 제공서버(490)로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한다.
상기 서비스 연동부(450)는 상기 제1 대기화면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S608), 수신이 되었으면 상기 수신된 제1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부(440)에 표시한다(S610). 상기 단계(S610)에서 표시되는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은 초기 대기화면 서비스 화면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과정(S610)에서 제1 내지 제5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로 등록되고,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초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로 설정된 경우, 상기 과정(S610)에서는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대기화면 서비스 화면 디스플레이 중에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변경요청이 입력되면(S612),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변경한다(S614).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로 등록되고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화면이 표시되는 중에, 제3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로의 변경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430)는 현재 표시 중인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화면을 제3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표시부(440)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이하, '단말'로 표기함)(400)이 이동통신 서버(500) 및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를 통해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특히, 도 7은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S600)에 대한 처리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대기화면 서비스 등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화면 서비스를 등록하고자 하는 단말(400)이 이동통신 서버(500)를 통해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에게 대기화면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면(S700, S702),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는 그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400)에게 제공 가능한 대기화면 서비스 정보를 검출하여 이동통신 서버(500)를 거쳐 단말(400)에게 전달한다(S704, S706).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단말(400)은 그 대기화면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708). 이는 대기화면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기 위함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대기화면 서비스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그 대기화면 서비스들 중 다운로드할 대기화면 서비스를 선택하여 그 선택정보를 입력하면(S710), 상기 단말(400)은 그 선택정보에 의거한 다운로드 요청 명령을 이동통신 서버(500)를 거쳐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에게 전달한다(S712,S714). 그리고,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통신 서버(500)를 거쳐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로부터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 구동 정보를 다운로드 받은(S716,S718) 단말(400)은 그 대기화면 서비스 구동 정보를 저장한다(S720).
한편 상기 과정들(S708 내지 S720)은 등록 완료 메시지가 입력될 때까지(S722) 반복 수행되는데, 이는 단말(400)에 대기화면 서비스들을 복수로 등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과정(S722)에서 등록 완료 메시지의 입력을 확인하는 것은 단말(400)에 등록되는 대기화면 서비스의 수를 고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정(S722)에서 등록 완료 메시지의 입력이 확인되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을 종료한다(S724).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은, 선택부(411)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410)와, 메모리(420)와, 제어부(430)와, 표시부(440)와, 서비스 연동부(470)와, 스케쥴링 처리부(4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의 메모리(420)는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추가로 저장한다.
상기 스케쥴링 처리부(460)는 현재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메모리(420)에 저장된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선택될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존재하면,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스케쥴링 처리부(460)에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선택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서비스 연동부(450)로 동작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연동부(45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와 연동하여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예를 들어, 메모리(420)에 '증권 서비스'에 대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등록되고, 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스케줄링 정보가 '시작 시간: 08시' 및 '종료시간: 12시'로 등록된 경우, 상기 스케쥴링 처리부(460)는 현재 시간이 9시가 될 때 증권 서비스를 위해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고, 현재 시간이 15시가 될 때 이를 종료한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서 관리하는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메모리(420)에 저장된 스케줄링 정보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스케줄링 정보(10)는 시간 정보(11)와 서비스 페이지 선택 정보(13)를 포함한다. 시간 정보(11)는 대응된 동작이 이루어질 시간을 저장하고, 서비스 페이지 선택 정보(13)는 상기 시간에 선택될 서비스 페이지 및 동작 종류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선택 정보(13)에는 시간 정보(11)에 저장된 시간에 선택 또는 선택 종료될 대상 서비스 페이지 및 그 서비스 페이지의 실행(시작 또는 종료) 정보를 저장한다.
도 9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서비스 페이지 등록 정보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페이지 등록 정보(20)는 서비스 페이지 식별번호(21), 서비스 페이지 명(23) 및 서비스 페이지 연결 정보(25)를 저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스케쥴링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쥴링 설정과 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케쥴링 정보를 미리 설정한다(S1000).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선택 및 종료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09시'를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선택 시간으로 설정하고, '15시'를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선택 종료 시간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스케줄링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이후에도 변경이 가능하다.
이어, 상기 설정된 스케쥴링 정보와 현재 시간을 비교한다(S1002). 예를 들어 현재 시간과 설정한 대기화면 서비스 시작 시간 또는 대기화면 서비스 종료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화면 서비스 시작 시간과 일치하면(S1004), 기설정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선택된다(S1006). 이와 같이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선택되면, 제어부(4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서비스 연동부(450)에서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490)로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계(S1006)에서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선택시 현재 선택중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서비스를 종료하고,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로 선택을 변경한다
도 10은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하여 스케줄링된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가 스케줄링된 경우에 대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등록된 서비스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서비스가 시간대별로 스케줄링된 경우, 각 서비스별 시작 및 종료 시간에 대한 스케쥬링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각 서비스별로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그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케줄링 정보 설정 과정(S1000)은 시간 스케줄링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1102)과, 그 확인 결과에 의거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확인 결과 시간 스케줄링 정보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시간 스케줄링 정보에 의거하여 스케줄링을 설정하고(S1104), 그렇지 않으면 기본 스케줄링 정보에 의거하여 스케줄링을 설정한다(S1106).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이 스케줄링 정보에 의거하여 시간대별로 다른 대기화면을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모리(420)에 '증권 서비스'가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등록되고, 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스케줄링 정보가 '시작시간: 09시' 및 '종료시간: 15시'로 등록된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증권 서비스'가 수행 중인 09시에서 15시 사이에는 증권 서비스 정보가 대기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그 외의 시간에는 기본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 사용자들이 각자의 취향에 맞게 원하는 수 및 종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쉽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프로그램을 등록하여 대응된 대기화면 서비스들을 간편하게 바탕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 사용자들이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를 시간대별로 자동으로 바꿔가면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대기화면 서비스를 이동통신단말에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에서 대기화면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실행될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단계;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 진입시 상기 다운로드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중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제1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제1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로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제1요청단계;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 서비스 변경명령에 따라서 상기 다운로드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제2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제2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제2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되는 제2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로 해당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제2요청단계;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단계; 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단계는,
    상기 다운로드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기설정된 초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단계는,
    다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에게 제공가능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단계는,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다운로드 완료 메시지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운로드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채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대기화면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애플릿(applet)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단계는,
    현재 시간과 기설정된 스케쥴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선택될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존재하면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선택 종료될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가 존재하면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기본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방법.
  12.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에서 대기화면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실행될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대기모드 진입시 대기화면 표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들 중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서비스 연동부; 및
    상기 수신된 대기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여 대기화면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중 기설정된 초기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장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채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상기 표시부의 대기화면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애플릿(applet)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대기화면 서비스 변경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 중에서 다른 하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선택 및 선택 종료 시간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20. 제12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을 카운트하고 현재 시간과 기설정된 스케쥴링 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를 선택하는 스케쥴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특정 대기화면 서비스 페이지의 선택 또는 선택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KR1020050102147A 2005-10-28 2005-10-28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KR10073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147A KR100738035B1 (ko) 2005-10-28 2005-10-28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147A KR100738035B1 (ko) 2005-10-28 2005-10-28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645A true KR20070045645A (ko) 2007-05-02
KR100738035B1 KR100738035B1 (ko) 2007-07-12

Family

ID=3827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147A KR100738035B1 (ko) 2005-10-28 2005-10-28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0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62B1 (ko) * 2007-01-05 2008-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황에 따라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방법
KR101038361B1 (ko) * 2008-12-18 2011-06-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370323B1 (ko) * 2007-10-22 2014-03-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ui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1387510B1 (ko) * 2007-10-02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5679B1 (ko) * 2009-02-06 2015-07-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병합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
US9330180B2 (en) 2007-10-02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215869A1 (ko) * 2021-04-07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218B1 (ko) * 2013-02-27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57B1 (ko) * 2004-02-09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상 머신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62B1 (ko) * 2007-01-05 2008-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황에 따라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방법
KR101387510B1 (ko) * 2007-10-02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330180B2 (en) 2007-10-02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07517B2 (en) 2007-10-02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70323B1 (ko) * 2007-10-22 2014-03-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ui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1038361B1 (ko) * 2008-12-18 2011-06-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535679B1 (ko) * 2009-02-06 2015-07-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병합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215869A1 (ko) * 2021-04-07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035B1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035B1 (ko)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CN102272721B (zh) 移动通信设备
US7239891B2 (en)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utility device
AU20032089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screen on a wirelesss device interacting with a server
KR100716890B1 (ko) 다중 서비스 제공 서버 선택 기능을 가지는 텔레매틱스시스템 및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30244634A1 (en) Mobile integration platform (mip) integrated handset application proxy (hap)
US20050055154A1 (en) In-vehicle unit and service center system
JP6289764B2 (ja) 機器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7195608A (ja) ワイアレス装置のための対話型スクリーンの処理
US2006028837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on
EP14258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display formation of mobile phone
US9699630B2 (en)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ervice function
EP2239938A1 (en) Television receiver, server, operation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 and operation program of television receiver
JP2002278767A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携帯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297483A (ja) 移動体通信端末、移動体通信端末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4258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40092279A1 (en) Automatic data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JP2003516061A (ja) 電子的な実用装置を制御する携帯用の電気通信装置
CN1326423C (zh) 通信系统、通信终端设备以及信息存储模块
EP2846565A1 (en) Additional service executing apparatus included in user terminal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using same
US8521226B2 (en) Implement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mobile telephones based on browser technology
KR101312154B1 (ko) 대기화면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237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 방법
KR2006010808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브라우저 화면 구성 방법
JP2005108004A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ウェブ閲覧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ウェブ閲覧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