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361B1 -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361B1
KR101038361B1 KR1020080129304A KR20080129304A KR101038361B1 KR 101038361 B1 KR101038361 B1 KR 101038361B1 KR 1020080129304 A KR1020080129304 A KR 1020080129304A KR 20080129304 A KR20080129304 A KR 20080129304A KR 101038361 B1 KR101038361 B1 KR 10103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ortable terminal
memory
user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658A (ko
Inventor
이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8012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3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은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대기화면 서비스, 휴대용 단말기, 아이디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idle display of applic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이후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기술의 발달 및 PC와 같은 서비스 환경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로 인해 원래 제공되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와 함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 이동통신사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증권, 날씨, 시계, 뉴스 등의 다양한 생활 정보를 표시하는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대기화면 서비스는 사용자가 포털 서비스나 컨텐츠 제공 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휴대용 단말기 내 대기화면 상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대기화면 서비스를 휴대용 단말기의 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대기화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이후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이후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화면 서비스에 설정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메모리에 기록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리드하여 식별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은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등록 수행부,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어플리케이션 선택부, 및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이후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화면 서비스에 설정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메모리에 기록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리드하여 식별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성이 있는 모든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셀룰러(Cellular Phone)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뿐만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100)은 등록 수행부(110), 어플리케이션 선택부(12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 리스트 작성부(140), 메모리(150), 리드부(160), 판단부(1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 및 메모리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등록 수행부(110)는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현재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유지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대기화면 서비스로 등록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리스트 작성부(1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유지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 하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는 제1 어플리케이션, 제2 어플리케이션, 제3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각각 저장하고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제3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선택부(120)는 상기 작성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 선택부(120)는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대기화면 서비스 등록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받을 수 있으며,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작성 및 제공을 하지 아니할 수 있다.
등록 수행부(110)는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50)는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기록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록된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는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와 연관시켜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50)에는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와 연관히여 다른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150)에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이미 기록되는 경우, 판단부(17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상 이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상기 판단 결과,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모두 대기화면 서비스로 등록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삭제'가 입력되면, 메모리 제어부(19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삭제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메모리(150)에 기록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메모리(150)로부터 리드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의해 식별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로, 판단부(17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부팅되면, 상기 대기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리드부(160)는 메모리(150)로부터 대기화면 서비스와 연관하여 저장된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리드(read)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상기 리드된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저장부에서 식별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은 제1 어플리케이션(App. 1), 제2 어플리케이션(App. 2), 제3 어플리케이션(App. 3)을 유지하고, 대기화면 등록부, 대기화면 확인부, 대기화면 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어플리케이션(App. 1, App. 2, App. 3)만 포함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3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대기화면 확인부(등록 수행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어서, 상기 대기화면 등록부(등록 수행부)는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거나,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도록 서비스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대기화면 실행부(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100)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2의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100)에 대한 다른 구성의 일례로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부호(310)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유지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대기화면 서비스로 실행 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선택한 경우, 도면부호(320)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5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시계'를 대기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50)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면부호(330)와 같이,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는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면부호(340)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50)는 상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시계'와 '날씨'를 대기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 1을 참조하여 도 4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4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현재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유지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등록 수행부(110)는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로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리스트 작성부(1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유지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어플리케이션 선택부(120)는 상기 작성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선택받을 수 있다(도 3 참조).
일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 선택부(120)는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대기화면 서비스 등록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받을 수 있으며,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작성 및 제공을 하지 아니한다.
단계 S440에서, 메모리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메모리(150)에 기록할 수 있다. 즉, 등록 수행부(110)는 상기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대기화면 서비스와 연관시켜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판단부(17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판단부(17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부팅되면, 상기 대기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단계 S46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메로리(150)에서 리드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실행할 수 있다. 즉, 리드부(160)는 메모리(150)로부터 대기화면 서비스와 연관하여 기록된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리드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저장부에서 상기 리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
110: 등록 수행부
120: 어플리케이션 선택부
13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140: 리스트 작성부
150: 메모리
160: 리드부
170: 판단부
18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90: 메모리 제어부

Claims (13)

  1.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리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된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의해 식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이미 기록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상이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삭제'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삭제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부팅되면, 상기 대기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7. 제1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8. 사용자의 실행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대기화면 서비스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등록 수행부;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기록하는 메모리;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리드하는 리드부; 및
    상기 리드된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의해 식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이미 기록되는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상이한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삭제'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삭제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메모리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부팅되면, 상기 대기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시스템.
KR1020080129304A 2008-12-18 2008-12-18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03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304A KR101038361B1 (ko) 2008-12-18 2008-12-18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304A KR101038361B1 (ko) 2008-12-18 2008-12-18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658A KR20100070658A (ko) 2010-06-28
KR101038361B1 true KR101038361B1 (ko) 2011-06-01

Family

ID=4236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304A KR101038361B1 (ko) 2008-12-18 2008-12-18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41A (ko) * 2001-10-1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시작 프로그램 실행방법
KR20070045645A (ko) * 2005-10-28 2007-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KR20070045436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 방법
KR20080047827A (ko) * 2006-11-27 200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41A (ko) * 2001-10-1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시작 프로그램 실행방법
KR20070045436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 방법
KR20070045645A (ko) * 2005-10-28 2007-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KR20080047827A (ko) * 2006-11-27 200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658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578B1 (ko)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10528232B2 (en) Automatic lifecycle management for pages on a mobile application
US9513888B1 (en) Virtual preloads
JP504868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更新管理端末、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98366B1 (en) Virtual pre-installation of applications
US10117047B1 (en) Location and time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9021427B2 (en) Conversion methods of applications of mobile devices and mobile devices and systems using the same
US9104511B2 (en) Method and computation node for processing application data
US9122369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isplay screen with online widget
KR20150095672A (ko) 애플리케이션간 통신을 통한 작업 완료 기법
CN111796860B (zh) 微前端方案实现方法及装置
US20140032550A1 (en) Method for manag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3902682A (zh) 信息查询方法和装置
CA2710416C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archiving
AU201420037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all rejection function
CN110766379A (zh) 一种业务流程的处理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CN105607749A (zh) 快捷操作方法、快捷操作装置和终端
KR101038361B1 (ko)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US9426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ssage function in connection with note function
CN114461053B (zh) 资源调度方法及相关装置
US201302192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pulating a contact entry with contextual information
KR101352193B1 (ko) 모바일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모바일 단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출되는 모바일 광고에 대응하는 광고 플랫폼을 스위칭하는 방법 및 광고 스위칭 서버
Kim Mobile Consumer Behavior
CN106653070B (zh) 一种音频节点插入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2006285523A (ja) タスクモデル利用更新装置、及び、タスクモデル更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