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803A - 높은 광 산란성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성형체 - Google Patents

높은 광 산란성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803A
KR20070043803A KR1020077001857A KR20077001857A KR20070043803A KR 20070043803 A KR20070043803 A KR 20070043803A KR 1020077001857 A KR1020077001857 A KR 1020077001857A KR 20077001857 A KR20077001857 A KR 20077001857A KR 20070043803 A KR20070043803 A KR 20070043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acid
core
mold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뤼디거
뤼디거 고르니
마르코 로엘로프스
위르겐 뢰너
페터 쉬바르쯔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4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와 코어-쉘 형태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 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 성형체

Description

높은 광 산란성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성형체 {MOLDED BODY WITH HIGH LIGHT SCATTERING AND LIGHT TRANSMISSION}
본 발명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와 코어-쉘 형태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뿐만 아니라, 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 또는 성형체는 고도의 광 투과성 및 높은 광 분산성을 동시에 나타내며, 높은 광 투과성 및 높은 광 분산성이 동시에 요망되는 많은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는,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점 광원이 그 자체로 사용되지 않고, 오히려 광이 넓은 면적에 걸쳐 고르게 방출되는 조명 시스템을 위한 커버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조명 시스템은 방, 계단, 홀 또는 운송 수단, 예컨대 기차, 자동차 및 비행기의 실내 조명에 사용된다.
전자 산업에서, 광-분산성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평면 모니터 (LCD 모니터)를 위한 조명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도 광 분산성 및 광 투과성이 동시에 높은 것이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평면 모니터의 조명 시스템은 측광 연결 (가장자리발광 시스템 (edgelight system))을 사용하거나, 측광 연결이 더이상 충분하지 않은 대형 모니터의 경우에는 확산기 플레이트 후방의 직광이 가능한 한 고른 방식 으로 분배되어야 하는 백라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다양한 광-분산성 첨가제를 함유한 폴리카르보네이트로부터 제조된 광-분산성 반투명 제품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EP-A 634 445호에는 코어-쉘 형태를 갖는 비닐-아크릴레이트 기재 입자를 TiO2와 조합하여 함유하는 광-분산성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DE-A 22 51 708호에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에서 분산 안료로서 황산바륨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평면 모니터에서 광-분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호일의 용도가 US 2004/006664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폴리아크릴레이트, PMM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알킬트리알콕시실록산 및 이들 입자의 혼합물이 광-분산 안료로서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된 광-분산성 조성물은 광-분산의 특정 수준에서 충분한 광 투과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이러한 특성의 목적하는 조합이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와 코어-쉘 형태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무기 입자는 추가의 처리 없이, 일반적인 컴파운딩 (compounding) 기술에 따라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직접 도입되거나, 코팅된 후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놀랍게도 동시에 특정 광 분산성과 함께 이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나타낸다. 특히, 놀랍게도 무기 및 유기 분산 안료의 조합물의 사용으로 동일한 수준의 광 분산성에서, 개별 분산 안료와 비교하여, 증가된 수준의 광 투과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60 내지 99.98 중량%,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및 코어-쉘 형태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성형체의 제조에 적합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며, 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의 투명한 블렌드가 바람직하고, 폴리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층 제품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모두 공지된 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가 있다.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동일한 중량%의 페놀/o-디클로로벤졸을 함유하는 혼합물에서 광 분산성을 통해 측정된 상대 용액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계산된 18,000 내지 40,000, 바람직하게는 26,000 내지 36,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8,000 내지 35,000의 바람직한 평균 분자량 Mw를 갖는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참조 문헌의 예로는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D.C. PREVORSEK, B.T. DEBONA, and Y. KESTEN, Corporate Research Center,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orristown, New Jersey 07960, 'Synthesis of Poly(ester)carbonate Copolymers' in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Chemistry Edition, Vol. 19, 75-90 (1980)], [D. Freitag, U. Grigo, P.R. Muller, N. Nouvertne, 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a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및 [Dr. U. Grigo, Dr. K. Kircher, and Dr. P.R. Muller 'Polycarbonates' in Becker/Braun, Polymer Handbook, Volume 3/1, Polycarbonates, Polyacetals,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상계면 방법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방법에 따라 수행되며, 다음 단락에서 방법은 상계면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될 것이다.
개시 화합물로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HO-Z-OH (여기서, Z는 1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유기 잔기임)의 비스페놀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인단 비스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졸의 군에 속하는 비스페놀이 있다.
상기한 화합물군에 속하는 특히 바람직한 비스페놀로는 비스페놀-A, 테트라알킬비스페놀-A, 4,4-(메타-페닐렌디이소프로필)디페놀 (비스페놀 M), 4,4-(파라-페닐렌디이소프로필)-디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페놀 TMC)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비스페놀 화합물을 탄산 화합물, 특히 포스겐,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방법의 경우에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킨다.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비스페놀,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필요할 경우 탄산 등가물과의 반응을 통해 수득된다. 적합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3,3'- 또는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중 카르보네이트기의 부분, 8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몰%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상계면 방법에서, 사용되는 불활성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각종 디클로로에탄 및 클로로프로판 화합물, 테트라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클로로벤졸 및 클로로톨루올이 있으며, 클로로벤졸 또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클로로벤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계면 반응은 촉매, 예컨대 3급 아민, 특히 N-알킬피페리딘 또는 오늄염에 의해 촉진된다.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N-에틸피페리딘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스테르 교환 방법의 경우, DE-A 42 38 123호에 언급된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소량의 분지화제를 사용하여 제어된 방식으로 분지화될 수 있다. 몇가지 적합한 분지화제로는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2;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졸;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오르토-테레프탈산 에스테르;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α,α',α"-트리스-(4-히드록시페닐)-1,3,5-트리이소프로필벤졸;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신산;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졸 및 특히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및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 있다.
필요할 경우 사용된 0.05 내지 2 몰%의 디페놀, 분지화제 또는 분지화제의 혼합물은 디페놀과 함께 사용되거나, 합성의 후속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다.
쇄 분열제로서 비스페놀 1몰 당 1 내지 20 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몰%의 양으로 페놀, 예컨대 페놀, 크레졸과 같은 알킬페놀 및 4-tert-부틸페놀, 클로로페놀, 브로모페놀, 쿠밀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페놀, 4-tert-부틸페놀 및 쿠밀페놀이 바람직하다.
쇄 분열제 및 분지화제는 비스페놀과 별도로 또는 함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에스테르 교환 방법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의 예가 DE-A 42 38 123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 기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기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2개의 단량체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을 기재로 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2개의 단량체 비스페놀 A 및 4,4'-디히드록시디페닐 (DOD)을 기재로 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비스페놀 A 기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 a)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현탁액에서 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의 pH 값을 나타내는 비결정질 규산이다.
사용되는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의 입도는 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이다.
특히 적합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는 추가의 처리 없이 상당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분해를 야기하지 않고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컴파운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조건은 본 발명의 경우,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를 5 중량%로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컴파운딩할 때, MVR이 ISO 1133에 따라 100 cm3/10분 초과로 증가하지 않을 경우, 충족된다.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의 제조는 원칙적으로 문헌 [Hollemann-Wiberg (101st Edition)] 또는 [Rompp Chemistry Lexicon - Version 2.0, Stuttgart/New York, Georg Thieme Verlag 1999]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원료 모래로부터 합성하여 수득될 수 있고, 또한 비결정질 규산으로 지정된다. 제1 단계에서, 석영 모래 및 알칼리 탄산염을 약 1300℃에서 함께 용융시킨다. 그 후, 생성된 알칼리 규산염을 과열된 물 중에서 고온 및 고압 (예를 들어, 150℃ 및 5 bar의 압력)에서 용해시킨다. 기재된 비결정질 규산은 무기산 침전에 의해 상기 알칼리 규산염 수용액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콜로이드성 1차 입자가 형성되고, 진행 반응에서 응집되어, 결국 응집체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 (습식 방법)에 따라 수득되는 이산화규소 입자의 경우에, 이산화규소 입자가 형성될 때 입자에 매우 소량의 알칼리성 매립물이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이러한 이산화규소 현탁액의 pH 값이 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인 수성 현탁액에서, 및 다른 한편으로는 ISO 1133에 따른 MVR이 100 cm3/10분 이하가 될 경우 폴리카르보네이트 그 자체 중 상기 입자들의 거동에서 명백하다.
기재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의 제조를 위한 제2 방법으로, 화성 (pyrogenic) 제조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페로)규소로부터 염소와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사염화규소가 수소 및 산소의 폭발성 기체 화염에서 분해된다. 이 입자는 그의 유리 실라놀기에 의해 매우 친수성이며, 예를 들어 클로로실란과 반응시킴으로써 소수성화될 수 있다. 또한, 열분해 방법에 따라 수득된 입자는 다량의 알칼리성 또는 산성 매립물이 입자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또한 이러한 이산화규소 현탁액의 pH 값 측정치가 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인 수성 현탁액 뿐만 아니라, ISO 1133에 따른 MVR이 100 cm3/10분 이하일 경우 폴리카르보네이트 그 자체에서 이러한 입자의 거동 둘다에서 명백하다.
기재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는 평균 밀도가 0.2 내지 1.2 g/mL이고, 입도가 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입자의 순도는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95%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초과의 이산화규소 함량이다. 물 함량은 칼 피셔 (Karl Fischer) (160℃)에 의해 측정된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이다. 입자의 형태는 10 미만의 직경을 갖는 타원 또는 구형일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와 기재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의 혼합물의 내구성은 무기 입자에 실리콘 코팅이 제공될 경우 더 개선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함유 혼합물의 높은 내구성은 비코팅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로 이루어진 상응하는 혼합물과 비교하여, 폴리카르보네이트와 코팅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낮은 MVR에 의해 분명히 나타난다.
실리콘 코팅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메틸히드로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기재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코어-쉘 형태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의 경우, 상기 입자는 EP-A 634 44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입자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입자 b)는 천연 고무 비닐 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를 갖는다. 천연 고무 비닐 중합체는 1개 이상의 에틸렌형 불포화기를 갖고 그 자체가 수성 매질 중 유화 중합의 조건하에 공지된 첨가 중합 분야의 전문가에게 제안된, 임의의 단량체로부터의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US 4 226 752호, 컬럼 3, 40 내지 62행에 열거되어 있다.
천연 고무 비닐 중합체는 천연 고무 비닐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의 중합된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비닐아렌 또는 임의로 치환된 부타디엔, 및 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의 1종 이상의 공중합된 비닐 단량체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또는 tert-부틸 또는 헥실, 헵틸 또는 옥틸기와 같은 알킬기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이다. 알킬기는 분지형이거나 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있다. 가장 바람직한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부틸아크릴레이트이다.
그 밖에 적합한 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티오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모노비닐아렌으로는 방향족 고리 상에서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tert-부틸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 예컨대 클로로스티렌이 있다.
부타디엔은, 치환될 경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1개 이상의 알킬기 또는 1개 이상의 할로겐을 가지며, 1개 이상의 메틸기 및/또는 1개 이상의 염소 원자로 치환된 부타디엔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치환된 부타디엔은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부타디엔 및 2,3-디메틸-1,3-부타디엔이다.
천연 고무 비닐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된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비닐아렌 및/또는 임의로 치환된 부타디엔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추가 공중합가능한 비닐 중합체, 예컨대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비닐나프탈린, 4-비닐벤질 알코올, 비닐벤조에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카프로에이트, 비닐클로라이드, 비닐올레에이트, 디메틸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디메틸푸마레이트, 비닐술폰산, 비닐술폰아미드, 메틸비닐술포네이트, n-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디비닐벤졸, 비닐아세테이트, 비닐베르세이테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니트릴, 메타크릴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또는 n-(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와 공중합될 수 있다.
상기한 단량체 중 1종 이상은 임의로 코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의 공중합가능한 다관능성 가교제 및/또는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의 공중합가능한 다관능성 그래프트 가교제와 반응시킬 수 있다. 가교 단량체가 사용될 경우, 단량체의 코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의 함량으로 사용된다. 가교 단량체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에틸렌형 불포화기가 거의 동일한 반응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형 불포화기를 갖는 가교 단량체는, 예컨대 디비닐벤졸, 트리비닐벤졸, 1,3- 또는 1,4-트리올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콜-디- 또는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디아크릴레이트, 1,3- 또는 1,4-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또는 1,4-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이다. 그래프트 가교 단량체가 사용될 경우, 단량체의 코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의 함량으로 사용된다. 그래프트 가교 단량체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충분히 낮은 반응성의 불포화기를 가져서 상당한 잔류 불포화기가 중합 후 코어에 남아있을 수 있는 폴리에틸렌형 불포화 단량체이다. 바람직한 그래프트 가교제는 공중합가능한 알릴, 메탈릴 또는 α,β-에틸렌형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크로틸 에스테르, 예컨대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알릴아크릴레이트, 디알릴말레에이트 및 알릴아크릴옥시프로피오네이트이며, 알릴메타크릴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중합체 입자 b)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5%의 가교제 및 0 내지 5%의 그래프트 가교제와 임의로 공중합되는, 알킬기가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나타내는 천연 고무 알킬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코어를 함유한다. 천연 고무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1종 이상의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상기한 것과 공중합된다. 적합한 가교 단량체 및 그래프트 가교 단량체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EP-A 0 269 324호에 기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입자 b)의 코어는, 중합체 입자를 생성하기 위해 중합 공정에서 사용되는 잔류 올리고머 물질을 함유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올리고머 물질은 상당한 분자량을 가져서 가공 또는 사용 동안 그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그의 추출을 방지한다.
중합체 입자 b)는 하나 이상의 쉘을 함유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쉘은 바람직하게는 비닐단일중합체 또는 비닐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쉘 또는 쉘들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단량체는 미국 특허 제4 226 752호, 컬럼 4, 20 내지 46행에 열거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의 정보를 참조한다. 하나 이상의 쉘은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비닐아렌, 비닐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 2-에틸헥실, 헥실, 헵틸 또는 옥틸기와 같은 알킬기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이다. 알킬기는 분지형이거나 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아크릴레이트는 에틸아크릴레이트이다. 다른 유용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로는 코어에 대해 상기 기재된 것이 있으며, 3-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한 비닐아렌으로는 방향족 고리 상에서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tert-부틸에 의해 또는 할로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 예컨대 클로로스티렌이 있다.
바람직한 비닐카르복실레이트는 비닐아세테이트이다.
쉘(들)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의 중합가능한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또는 모노비닐아렌, 및 0 내지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의 1종 이상의 비닐공단량체, 예컨대 다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아릴메타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아릴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아미드 및 아릴아크릴아미드, 아크릴니트릴, 메타크릴니트릴, 말레산 이미드 및/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아릴아크릴레이트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 (1종 이상의 치환체, 예컨대 할로겐, 알콕시, 알킬티오, 시아노알킬 또는 아미노에 의해 치환됨)를 함유한다. 적합한 비닐공단량체의 예는 상기에 제공되었다. 2종 이상의 단량체가 공중합될 수 있다.
쉘 중합체는 코어 중합체를 참조로 상기 언급된 유형의 가교제 및/또는 그래프트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총중량의 5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를 구성한다.
중합체 입자 b)는 중합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의 중합된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상기 기재되어 있다.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성분은 중합체 입자 b)의 코어 및/또는 쉘(들)에 존재할 수 있다. 코어 및/또는 쉘(들)에서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의 단일중합체가 유용하지만, 1종 이상의 다른 유형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거된 것 중 하나와 공중합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입자 b)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코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쉘 또는 다수의 쉘들을 함유한다.
중합체 입자 b)는 열가소성 중합체에 광 분산성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중합체 입자 b)의 코어 및 쉘(들)의 굴절 지수 n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굴절 지수의 바람직하게는 +/-0.25 단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8 단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0.12 단위내에 있다. 코어 및 쉘(들)의 굴절 지수 n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굴절 지수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03 단위보다 근접하지 않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단위보다 근접하지 않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단위보다 근접하지 않다. 굴절 지수는 ASTM D 542-50 및/또는 DIN 53 400 표준에 따라 측정된다.
중합체 입자 b)는 일반적으로 0.5 마이크로미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마이크로미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입경을 갖는다. "평균 입경"이란 수적 평균으로 이해한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중합체 입자 b)가 2 마이크로미터 초과의 직경을 갖는다. 중합체 입자 b)는 바람직하게는 자유 유동성 분말이다.
중합체 입자 b)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어 중합체의 1종 이상의 단량체 성분은 유화 중합체 입자의 형성 조건하에 유화 중합된다. 유화 중합체 입자는 코어 중합체의 동일한 또는 1종 이상의 추가 단량체 성분에 의해 팽윤되고, 단량체(들)는 유화 중합체 입자 내에서 중합된다. 팽윤 및 중합 단계는 입자가 목적하는 코어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코어 중합체 입자는 제2 수성 단량체 에멀젼에 현탁시키고, 중합체 쉘은 단량체(들)로부터 제2 에멀젼내 중합체 입자 상에 중합된다. 하나 이상의 쉘이 코어 중합체 상에 중합될 수 있다. 코어/쉘 중합체 입자의 제조는 EP-A 0 269 324호 및 미국 특허 제3,793,402호 및 제3,808,180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인 본 발명과 관련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체는 압출 또는 사출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형 고형 슬랩의 경우, 사출 다이-캐스팅에 의한 제조는 기술적 이유에서 경제적이지 않다. 이 경우, 압출 방법이 바람직하다. 압출 방법을 위해, 폴리카르보네이트 과립을 압출기로 공급시키고, 압출기의 가소화 시스템에서 용융시킨다. 합성 용융물은 와이드 슬롯 노즐에 의해 압축되어 형상화되고, 평활 캘린더의 닙에서 목적하는 최종 형태로 성형되고, 평활 롤에서 주변 공기에 의해 냉각시킴으로써 응고된다. 압출에 사용되는 고 용융 점도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전형적으로 260 내지 320℃의 용융 온도에서 가공되고, 가소화 실린더의 실린더 온도 뿐만 아니라, 노즐 온도는 상응하게 설정된다.
하나 이상의 측방 압출기 및 와이드 슬롯 노즐의 상류에 적합한 캐스트 연결기의 사용을 통해, 다양한 조성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용융물이 서로의 상부에 적층되어 다층 고형 슬랩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A 0 110 221호 및 EP-A 0 110 238호 참조).
본 발명과 관련된 성형체의 베이스 층 및 임의로 존재하는 공압출층(들) 둘다 추가의 첨가제, 예컨대 UV-흡수제 및 다른 통상적인 가공 첨가제, 특히 탈형제 및 융제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안정화제, 특히 열안정화제 뿐만 아니라, 정전기 방지제, 착색제, 형광 증백제 및 무기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여러가지 유형 또는 농도의 첨가제가 모든 층에 존재할 수 있다.
특히 공압출층은 UV 흡수제 및 탈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어 포스핀, 포스파이트 또는 Si-함유 안정화제 뿐만 아니라, EP-A 0 500 496호에 기재된 다른 조성물이 있다.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아킬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및 트리아릴포스파이트가 있다. 트리페닐포스핀 및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탈형제의 예로는 1가 내지 6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특히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구에르베트 (Guerbet) 알코올이 있다.
1가 알코올의 예로는 스테아릴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및 구에르베트 알코올이 있다. 2가 알코올의 예로는 글리콜이 있고, 3가 알코올의 예로는 글리세린이 있다. 4가 알코올의 예로는 펜타에리트리톨 및 메소에리트리톨이 있고, 5가 알코올의 예로는 아라비톨, 리비톨 및 자일리톨이 있다. 6가 알코올의 예로는 만니톨, 글루시톨 (소르비톨) 및 둘시톨이 있다.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 펜타에스테르 및 헥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특히 포화 지방족 C10 내지 C36 모노카르복실산 및 필요할 경우 히드록시-모노카르복실산의 정적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포화 지방족 C14 내지 C32 모노카르복실산 및 필요할 경우 히드록시-모노카르복실산의 정적 혼합물이다.
특히 펜타에리트리톨 및 글리세린의 시판용 지방산 에스테르는 제조 방법에 따라 60% 미만의 다양한 부분 에스테르를 함유할 수 있다.
10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및 몬탄산이 있다.
14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바람직한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로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및 베헨산이 있다.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과 같은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화 지방족 C10 내지 C36 카르복실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는 관련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관련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상기 언급된 모노카르복실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기재된 것이 있다.
스테아르산 및 팔미트산과 펜타에리트리톨 및 글리세린의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필요할 경우 히드록시스테아르산과 구에르베트 알코올 및 글리세린의 에스테르가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정전기 방지제의 예로는 양이온-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4급 암모늄염, 포스포늄염 또는 술포늄염,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형태의 음이온-활성 화합물, 예컨대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술페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카르복실레이트, 및 비-이온성 화합물,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및 에톡실화 지방 아민이 있다. 바람직한 정전기 방지제는 비-이온성 화합물이다.
적합한 UV-흡수제의 예로는 다음이 있다:
a)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R 및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또는 알킬 또는 알킬아릴을 나타내고,
X = 1,1,3,3-테트라메틸부틸 및 R = H인 티누빈 (Tinuvin) 329,
X = tert-부틸 및 R = 2-부틸인 티누빈 350, 및
X = R = 1,1-디메틸-1-페닐인 티누빈 234가 바람직함);
b) 하기 화학식 II에 따른 이량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2
(상기 화학식 II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할로겐, C1-C10-알킬, C5-C10-시클로알킬, C7-C13-아르알킬, C6-C14-아릴, -OR5 또는 -(CO)-O-R5 (여기서, R5 = 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R3 및 R4는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C1-C4-알킬, C5-C6-시클로알킬, 벤질 또는 C6-C14-아릴을 나타내고, m은 1, 2 또는 3을 나타내고, n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R1 = R3 = R4 = H; n = 4; R2 = 1,1,3,3-테트라메틸부틸; m = 1인 티누빈 360이 바람직함);
b1) 하기 화학식 III에 따른 이량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3
(상기 식에서,
브릿지는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4
를 나타내고, R1, R2, m 및 n은 상기 화학식 II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p는 0 내지 3의 수이고, q는 1 내지 10의 수이고, Y = -CH2-CH2-, -(CH2)3-, -(CH2)4-, -(CH2)5-, -(CH2)6- 또는 CH(CH3)-CH2이고, R3 및 R4는 상기 화학식 II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R1 = H; n = 4; R2 = tert-부틸; m = 1; R2는 OH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 부착되고; R3 = R4 = H; p = 2; Y = -(CH2)5-; q =1인 티누빈 840이 바람직함);
c) 하기 화학식 IV에 따른 트리아진 유도체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5
(상기 화학식 IV에서,
R1, R2,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또는 알킬 또는 CN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X = 알킬이고,
R1 = R2 = R3 = R4 = H; X = 헥실인 티누빈 1577 및
R1 = R2 = R3 = R4 = 메틸; X = 옥틸인 시아소르브 (Cyasorb) UV-1164가 바람직함);
d) 하기 화학식 IVa의 트리아진 유도체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6
(상기 식에서,
R1 = C1-알킬 내지 C17-알킬,
R2 = H 또는 C1-알킬 내지 C4-알킬, 및
n = 0 내지 20);
e) 하기 화학식 V의 이량체 트리아진 유도체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7
(상기 화학식 V에서,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알킬, CN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X = 알킬 또는 -(CH2CH2-O-)n-C(=O)-임);
f) 하기 화학식 VI의 디아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8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0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H, 알킬, CN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R1 내지 R40 = H인 유비눌 (Uvinul) 3030이 바람직함).
상기한 UV-흡수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시판되고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분해를 측정하기 위한, 바이엘 머티리얼 사이언스 (Bayer Material Science)로부터의 95%의 마크롤론 (Makrolon) 3108 550115 및 그레이스 (Grace)로부터의 5%의 실로블록 (Sylobloc) 41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MVR 측정.
순수한 마크롤론 3108 550115가 6 cm3/10분의 MVR (ISO 1133)을 갖는 반면, 상기한 조성물은 38 cm3/10분의 MVR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다음의 조성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99 중량%를 구성하는 바이엘 머티리얼 사이언스로부터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마크롤론 3108 550115
·1 중량%를 구성하는 롬 앤드 하스 (Rohm & Hass)로부터의 입도 2 내지 15 ㎛ 및 평균 입도 8 ㎛를 갖는, 부타디엔/스티렌 코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쉘을 갖는 코어-쉘 입자 파라로이드 (Paraloid) EXL 5137.
실시예 2
다음의 조성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99 중량%를 구성하는 바이엘 머티리얼 사이언스로부터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마크롤론 3108 550115
·1 중량%를 구성하는 그레이스로부터의 입도 7.5 내지 11.6 ㎛를 갖는 비결정질 규산 실로블록 41.
실시예 3
다음의 조성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98 중량%를 구성하는 바이엘 머티리얼 사이언스로부터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마크롤론 3108 550115
·2 중량%를 구성하는 롬 앤드 하스로부터의 입도 2 내지 15 ㎛ 및 평균 입 도 8 ㎛를 갖는, 부타디엔/스티렌 코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쉘을 갖는 코어-쉘 입자 파라로이드 EXL 5137.
실시예 4
다음의 조성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98 중량%를 구성하는 바이엘 머티리얼 사이언스로부터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마크롤론 3108 550115
·2 중량%를 구성하는 그레이스로부터의 입도 7.5 내지 11.6 ㎛를 갖는 비결정질 규산 실로블록 41.
실시예 5
다음의 조성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99 중량%를 구성하는 바이엘 머티리얼 사이언스로부터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마크롤론 3108 550115
·0.5 중량%를 구성하는 롬 앤드 하스로부터의 입도 2 내지 15 ㎛ 및 평균 입도 8 ㎛를 갖는, 부타디엔/스티렌 코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쉘을 갖는 코어-쉘 입자 파라로이드 EXL 5137
·0.5 중량%를 구성하는 그레이스로부터의 입도 7.5 내지 11.6 ㎛를 갖는 비결정질 규산 실로블록 41.
실시예 6
다음의 조성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98 중량%를 구성하는 바이엘 머티리얼 사이언스로부터의 폴리카르보네이 트 마크롤론 3108 550115
·1 중량%를 구성하는 롬 앤드 하스로부터의 입도 2 내지 15 ㎛ 및 평균 입도 8 ㎛를 갖는, 부타디엔/스티렌 코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쉘을 갖는 코어-쉘 입자 파라로이드 EXL 5137
·1 중량%를 구성하는 그레이스로부터의 입도 7.5 내지 11.6 ㎛를 갖는 비결정질 규산 실로블록 41.
실시예 1 내지 6에 기재된 혼합물을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컴파운딩한 후, 사출 다이-캐스팅을 사용하여 두께 4 mm 칼라 샘플 플레이트로 가공하였다. 광학 데이타를 ASTM D1003, ASTM E313 및 DIN 5036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응하는 광학 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코어/쉘 형태를 갖는 비닐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 및 비결정질 규산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5 및 6의 광 분산성이, 예상한 바와 같이 비결정질 규산 또는 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한 값 사이가 아니고, 오히려 코어/쉘 형태를 갖는 비닐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를 상당히 다량으로 함유하는 조성물과 거의 동일한 광 분산 곡선을 나타낸다는 점에 주목한다. 코어/쉘 형태를 갖는 비닐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 1%를 함유하는 실시예 1로부터의 샘플의 반치각 (half power angle)은 51°였다. 이것은 51°의 편향각에서 광도가 0°의 편향각에서의 광도의 50%라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에서, 반치각은 단지 26°였다. 실시예 5에서 반치각은 49°이지만, 이것은 실시예 1에서와 거의 동일한 양이다.
41.9%인 실시예 5의 광 투과율이 37.2%인 실시예 1의 광 투과율보다 상당히 높다는 것에 특히 주목한다. 광 분산성, 광 분산성을 기술하기 위한 또다른 값은 DIN 5036에 따른 곡선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그것은 다음의 식에 따라 계산된다:
Figure 112007007647094-PCT00009
이러한 점에 있어서, 또한 실시예 1 및 5의 분산성이 놀랍게도 55%와 동일한 수준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실시예 3, 4 및 6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코어/쉘 형태를 갖는 비닐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 1%가 비결정질 규산과 조합된 실시예 6의 32.6%의 광 투과율은 또한 코어/쉘 형태를 갖는 비닐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 2%만을 사용한 실시예 3의 31.2%의 광 투과율보다 상당히 높다. 심지어 실시예 6의 61°의 반치각은 실시예 3의 60°의 반치각보다 약간 높다. 분산성의 차이는 실시예 6의 65%가 실시예 3의 62%보다 확실히 높다는 점에서 더욱 분명하다.
Figure 112007007647094-PCT00010

Claims (10)

  1.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60 내지 99.98 중량%, 1 내지 100 ㎛의 입도를 갖는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 0.01 내지 20 중량%, 및 코어/쉘 형태 및 1 내지 100 ㎛의 입도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기재 중합체 입자 0.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가 수성 현탁액에서 5 내지 9의 pH 값을 나타내는 비결정질 규산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가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이산화규소-기재 무기 입자가, 수성 현탁액에서 5 내지 9의 pH 값을 나타내고 규산이 5 중량%의 양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컴파운딩될 경우 ISO 1133에 따른 100 cm3/10분 이하의 MVR의 증가를 초래하는 비결정질 규산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비결정질 규산이 비코팅된 것인 조성물.
  6. 성형체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7. 하나 이상의 층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공압출에 의한 다층 성형체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수득가능한 성형체.
  9. 하나 이상의 공압출층이 공압출층의 0.1 내지 20 중량%를 구성하는 1종 이상의 UV-흡수제를 포함하는, 제7항에 따른 방법으로부터 수득가능한 성형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고형 슬랩인 성형체.
KR1020077001857A 2004-07-26 2005-07-18 높은 광 산란성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성형체 KR20070043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6249.1 2004-07-26
DE102004036249A DE102004036249A1 (de) 2004-07-26 2004-07-26 Formkörper mit hoher Lichtstreuung und hoher Licht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803A true KR20070043803A (ko) 2007-04-25

Family

ID=3522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857A KR20070043803A (ko) 2004-07-26 2005-07-18 높은 광 산란성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성형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80090958A1 (ko)
EP (1) EP1778775B1 (ko)
JP (1) JP2008507616A (ko)
KR (1) KR20070043803A (ko)
CN (1) CN1989192B (ko)
AT (1) ATE481447T1 (ko)
BR (1) BRPI0513765A (ko)
CA (1) CA2574887A1 (ko)
DE (2) DE102004036249A1 (ko)
MX (1) MX2007001012A (ko)
RU (1) RU2007106491A (ko)
WO (1) WO2006010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9653A1 (de) 2005-03-03 2006-09-07 Bayer Materialscience Ag Lichtstreuende Formkörper mit hoher Lichttransmission und deren Verwendung in Flachbildschirmen
DE102005039413A1 (de) * 2005-08-20 2007-02-22 Bayer Materialscience Ag Diffuser-Sheets aus CD-Material
DE102005047615A1 (de) * 2005-10-05 2007-04-12 Bayer Materialscience Ag Lichtstreuende Kunststoffzusammensetzung mit hoher Helligkeit und deren Verwendung in Flachbildschirmen
CA3038954A1 (en) * 2008-09-30 2010-04-08 Ablexis, Llc Non-human mammals for the production of chimeric antibodies
EP3196253A1 (en) * 2011-03-31 2017-07-2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8691915B2 (en) 2012-04-23 2014-04-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mers and polymer blends having improved refractive indices
JP6435870B2 (ja) * 2015-01-19 2018-12-1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散乱層用樹脂組成物、光散乱層、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8964A (en) * 1981-06-05 1984-10-23 Mobay Chemical Corporation Polycarbonate-silicate compositions
US4460733A (en) * 1982-11-29 1984-07-17 Mobay Chemical Corporation Polycarbonate compositions having low gloss values
US4816504A (en) * 1985-04-11 1989-03-28 Mobay Corporation Stabilized polycarbonates
US4665126A (en) * 1985-08-09 1987-05-12 Celanese Corporation Acetal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US5237004A (en) * 1986-11-18 1993-08-17 Rohm And Haas Company Thermoplastic and thermoset polymer compositions
CA1337104C (en) * 1986-11-18 1995-09-26 William James Work Light-scattering thermoplastic polymers
US5258215A (en) * 1990-06-05 1993-11-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coextruding a plate-shaped product and the products thus obtained
US5399661A (en) * 1990-07-12 1995-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lkylene cyclohexanedicarboxylate)-(alkylene terephthalate) copolyesters
JPH05257002A (ja) * 1992-03-13 1993-10-08 Teijin Chem Ltd ポリカーボネート製高透過率光拡散板
JP3187917B2 (ja) * 1992-03-16 2001-07-16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GB9314604D0 (en) * 1993-07-14 1993-08-25 Dow Deutschland Inc Light diffuser composition
DE10006651A1 (de) * 2000-02-15 2001-08-16 Bayer Ag Zusammensetzung enthaltend Polycarbonat und Pigmente
JP2003155416A (ja) * 2001-11-22 2003-05-30 Teijin Chem Ltd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品
KR100878162B1 (ko) * 2002-03-27 2009-01-12 데이진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6676852B2 (en) * 2002-05-31 2004-01-13 General Electric Company Phosphoresc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US6908202B2 (en) * 2002-10-03 2005-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Bulk diffuser for flat panel display
DE10318739A1 (de) * 2003-04-25 2004-11-11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carbonat-Formteile
US20050085589A1 (en) * 2003-10-20 2005-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Modified weatherable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JP5021300B2 (ja) * 2004-03-22 2012-09-05 日本化薬株式会社 液晶シール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81447T1 (de) 2010-10-15
US20080090958A1 (en) 2008-04-17
JP2008507616A (ja) 2008-03-13
WO2006010518A1 (de) 2006-02-02
BRPI0513765A (pt) 2008-05-20
DE102004036249A1 (de) 2006-02-16
CA2574887A1 (en) 2006-02-02
CN1989192B (zh) 2010-10-20
EP1778775B1 (de) 2010-09-15
DE502005010270D1 (de) 2010-10-28
CN1989192A (zh) 2007-06-27
EP1778775A1 (de) 2007-05-02
RU2007106491A (ru) 2008-09-10
MX2007001012A (es) 200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2720B2 (en) Light-scattering shaped articles of high light transmission and the use thereof in flat screens
KR20070043803A (ko) 높은 광 산란성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성형체
MX2008002389A (es) Moldeos de dispersion de luz con alta transmision de luz.
ES2678645T3 (es) Cuerpo multicapas de policarbonato con efecto de brillo profundo
WO2007022886A2 (en) Light-scattering sheet having high light transmission and improved antistatic properties
US20070224367A1 (en) Mold multilayered sheet for use as a diffuser in flat screens
US8652623B2 (en) Coextruded films with low 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