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388A - 영상결합기와 이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결합기와 이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388A
KR20070043388A KR1020050099622A KR20050099622A KR20070043388A KR 20070043388 A KR20070043388 A KR 20070043388A KR 1020050099622 A KR1020050099622 A KR 1020050099622A KR 20050099622 A KR20050099622 A KR 20050099622A KR 20070043388 A KR20070043388 A KR 20070043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er
image
video
remote
peripher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986B1 (ko
Inventor
권양수
류구현
송규석
이학남
임영길
박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비알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비알아이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099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98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센서의 센싱신호를 근거로 긴급상황(이벤트)을 감지하는 영상결합기와 상기 영상결합기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모니터링 지역의 사람의 움직임 상태 또는 이벤트 발생을 통지하고,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장치(주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니터링 지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촬영되어진 화상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홈 오토메이션을 위해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주변장치들;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대한 영상과 이벤트 발생을 관리하는 영상결합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영상결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결합기가 인증된 원격 PC와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영상결합기 관리서버; 및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서버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결합기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결합기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을 전송받거나 상기 영상결합기를 통해 상기 주변장치의 동작제어를 명령하는 원격 P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결합기와 이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IMAGE COUPLE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감시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결합기의 세부구성도.
도 3, 4,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영상결합기와 이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센서의 센싱신호를 근거로 긴급상황(이벤트)을 감지하는 영상결합기와 상기 영상결합기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모니터링 지역의 사람의 움직임 상태 또는 이벤트 발생을 통지하고,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장치(주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과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모니터링 지역(예컨대, 집안, 사무실안)에 각종 센서를 설치하여 관련 장치를 제어하는 홈 오토메이션이나 보안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홈 오토메이션이나 보안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더라고,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상기 모니티링 지역의 상황을 확인하거나 관련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 홈 오토메이션의 일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도어락의 제어하거나, 가스밸브를 제어하거나, 커튼의 개폐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안시스템의 일례를 들면, 출입문에 출입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그 출입감지센서를 통해 출입자가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사용자가 출입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보안시스템은 CCTV와 같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원격지의 PC로 전송하여, PC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지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PC기반 시스템은 PC를 항상 켜 놓아야 한다는 불편함과 상기 PC가 Window OS를 사용하므로 보안 취약성,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보안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PC를 통해 단순 재생하면서 이를 내부저장수단(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PC의 모니터를 확인해야만 상기 모니터링 지역을 감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긴급상황의 발생을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가 필요시 모니터링 지역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이벤트가 발생되면, 원격지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웹을 통해 영상결합기에 접속하여, 그 영상결합기로부터 영상을 전송받거나 상기 영상결합기를 통해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결합기는, ㅍ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전송된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센싱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감지부;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압축파일을 생성하는 비디오 코덱; 상기 영상압축파일을 저정하는 영상저장장치; 저장모드의 설정에 따라,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감지부를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를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주변장치 제어가 명령되면 그 명령에 따라 주변장치로 소정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CPU; 상기 메인 CPU의 저장모드설정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인 CPU의 제어하에 각 주변장치로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주변장 치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은, 모니터링 지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촬영되어진 화상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홈 오토메이션을 위해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주변장치들;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대한 영상과 이벤트 발생을 관리하는 영상결합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영상결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결합기가 인증된 원격 PC와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영상결합기 관리서버; 및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서버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결합기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결합기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을 전송받거나 상기 영상결합기를 통해 상기 주변장치의 동작제어를 명령하는 원격 P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방법은, 원격 단말로부터 소정 영상결합기로의 접속이 요청되면, 웹상에 구성된 영상결합기 관리서버가 상기 원격 PC 또는 휴대폰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 1 과정;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영상결합기의 IP 주소와 랜덤하게 발생된 인증키를 상기 원격 단말로 전송하는 제 2 과정; 상기 인증키를 상기 영상결합기로 전송하는 제 3 과정; 상기 원격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소정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영상결합기가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단말에 대한 접속인증을 수행하는 제 4 과정; 및 상기 접속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 5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감시시스템이 구현되는 전체 망구성도이다.
모니터링 지역에는 영상결합기(300), 영상결합기(300)로 촬영되어진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부(100), 영상결합기(300)의 제어에 의해 주변장치의 구동시키는 주변장치 구동부(110)와, 각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진 센싱신호를 영상결합기(300)로 전송하는 센서부(120)가 구비된다.
카메라부(100)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비디오폰 카메라로도 구성될 수 있고, 거실이나 방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카메라로도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부(100)에는 영상결합기(200)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부(100)와 영상결합기(200)의 통신방식이 무선인 경우에는, 카메라부(10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진 영상신호를 무선신호로 전송가능하도록 처리하여 무선 전송하는 무선신호처리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20)는 전자적으로 도어개폐를 감지하는 센서, 적외선을 통해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 전자적으로 형광등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센서 등을 구비하는 센서들로 구성된다.
또한, 주변장치 구동부(110)는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구동부, 가스밸브의 개폐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가스밸브 구동부, 형광등의 온/오프를 전자 적으로 제어하는 형광등 구동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변장치를 도어락, 가스밸브, 형광등 등으로 한정하였지만, 이는 당업자에 의해 그 적용예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변장치 구동부(110)와 센서부(120)도 영상결합기(200)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20)와 영상결합기(200)의 통신방식이 무선인 경우에는, 센서부(120)는 각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진 센셍신호를 무선신호로 전송가능하도록 처리하여 무선 전송하는 무선신호처리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결합기(300)는 카메라부(100)와 센서부(12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영상신호와 센싱신호를 근거로,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모니터링 지역의 상황을 통보하고, 원격지의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주변장치 구동부(110)를 통해 주변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결합기(300)의 세부 구성은,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메인 CPU(302), 비디오 디코더(304), 무선카메라 신호 수신기(306), 비디오 코덱(306), 영상저장장치(308), 비디오 인코더(310), 이더넷 인터페이스(312), 센싱감지부(316), 무선 송수신기(318), 및 주변장치 제어부(320)를 구비한다.
비디오 디코더(304)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메인 CPU(30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비디오 디코더(304)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카메라 신호수신기(306)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디오 디코더(304)로는 유선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 또는 무선카메라 신호수신 기(306)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디오 디코더(304)는 4채널을 지원하는데, 16채널 또는 32채널 등을 지원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인 CPU(302)는 영상처리를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함과 더불어, 센서부(120)의 센싱신호를 근거로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사람의 움직임, 이벤트 발생 상황이 통보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센서부(120)에 구성되는 주변장치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비디오 코덱(306)은 메인 CPU(302)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저장장치(30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영상저장장치(306)에 저장된 영상압축파일은 비디오 인코더(310)에서 복원되어 영상결합기(300)에 연결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로 출력되어지거나,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로 전달되어 인터넷(450)을 통해 원격지 사용자의 휴대폰(600)이나 원격 PC(700)로 출력되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저장장치(306)에 저장된 압축영상은 메인 CPU(302)의 제어하에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로 전달되어, 파일형태로 원격지 사용자의 휴대폰(600)이나 원격 PC(7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원격지 사용자의 휴대폰(600)이나 원격 PC(700)는 동영상 플레이어(예컨대, Window Player 등)을 구비하여, 인터넷(450)을 통해 전송받은 영상압축파일을 재생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인 CPU(3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통해 설정되는 환경 을 근거로 관련 장치들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통해 IP 주소 설정, 저장모드설정(Full, Evevt, Motion Detection 등), 저장화면수(초당 플레임수) 설정, 영상결합기(300)에서의 저장/정지, 저장영상의 검색 및 영상재생, 채널변환 등의 명령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314)에 의해 설정된 명령은 메인 CPU(302)에 저장되어, 메인 CPU(302)의 제어하에 설정된 환경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여기서, 메인 CPU(302)는 저장모드가 "Full"로 설정되면, 비디오 디코더(30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모두 영상저장장치(308)에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모드가 "Event"로 설정되면, 센싱감지부(314)를 통해 특정 센서의 센싱신호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에만, 비디오 디코더(30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영상저장장치(308)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 메인 CPU(302)는 저장모드가 "움직임 감지(Motion Detection)"으로 설정되면, 비디오 디코더(30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역의 사람을 감지한 후,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만 상기 영상데이터를 영상저장장치(308)에 저장하고,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원격 PC와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한편, 영상결합기(300)는 센서부(120)의 센서로부터 전송된 특정 센싱신호가 무선 송수신기(318)를 통해 수신되어 센싱감지부(316)로 전달되면, 그 센싱신호를 메인 CPU(302)로 전달한다. 메인 CPU(302)는 저장모드가 "이벤트(Event)"로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근거로 영상데이터에 대한 저장/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302)는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로부터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주변장치 제어부(320)로 전송한다. 주변장치 제어부(320)는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대상이 되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송수신기(318)로 전달한다. 무선 송수신기(318)는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신호(예컨대, FM신호)로 송출하고, 주변장치 구동부(110)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원격 PC(700) 또는 휴대폰(600)의 원격 제어에 따라 해당 주변장치가 동작되어진다.
첨부되어진 도 3을 참조하여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에 영상결합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원격 PC(700)가 웹상에 존재하는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의 URL 또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S306),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상에서 영상결합기 등록을 요청하면,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는 영상결합기 등록을 위한 웹페이지를 원격 PC(700)로 출력하여, 원격 PC(700)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영상결합기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S308). 이때, 영상결합기 등록을 위한 웹페이지에, 영상결합기의 제품번호(시리얼번호), 사용자정보(이름, 주민번호, 주소, 연락처 등), 인증정보(ID, 패스워드 등), 이벤트발생시 통보를 받기 위한 휴대폰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로부터 해당 정보들을 입력받는다(S310).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입력된 정보들을 영상결합기 관리 DB(도시 생략)에 저장하여(S312), 상기 정보들을 근거로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원격 PC(700) 또는 휴대폰(600)이 영상결합기(300)를 통해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영상결합기(300)를 통해 모니티링 지역에 설치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원격 PC(700) 또는 휴대폰(600)에는 영상결합기 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프로그램은 원격 PC(700) 또는 휴대폰(600)이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를 통해 ID/PW 인증을 받은 후,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결합기(300)의 IP 주소와 인증키를 이용하여 영상결합기(300)에 접속하여, 영상결합기(300)를 통해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주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통해서는 원격 PC(700)를 이용하여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에 영상결합기를 등록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과정을 통해 휴대폰(600)을 통해서도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에 영상결합기를 등록시킬 수 있다.
이어,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원격 PC(700)로 영상결합기(300)를 통해 모니터링 지역에 대해 보안감시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원격 PC(700)에 탑재된 영상결합기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S402), 상기 영상결합기 접속 프로그램상에서 영상결합기 접속 요청하면(S404), 상기 영상결합기 접속 프로그램은 인증정보인 ID와 PW(패스워드)를 입력받기 위한 창(window)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ID와 PW를 입력받는다(S406).
상기 사용자로부터 ID와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결합기 접속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영상결합기의 제품번호(Serial Number)와 상기 입력받은 ID와 패스워드를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로 전송하여,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ID/PW 인증을 요청한다(S408).
이에,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는 영상결합기 관리 DB에서 원격 PC(700)로부터 전송된 제품번호, ID, PW를 조회하여, ID/PW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410).
상기 인증수행 결과, 원격 PC(700)로부터 전송된 제품번호, ID, PW가 영상결합기 관리 DB에 존재하지 않으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S412에서 No) 원격 PC(700)측으로 인증실패를 통보한다(S414).
이와 달리, 원격 PC(700)로부터 전송된 제품번호, ID, PW가 영상결합기 관리 DB에 존재하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S412에서 Yes),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는 랜덤하게 인증키를 생성하고(S416), 그 인증키를 영상결합기(300)로 전송한다(S416).
또,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인증키와 상기 영상결합기(300)의 IP 주소를 원격 PC(700)측으로 전송한다(S420).
이어, 원격 PC(700)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영상결합기(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영상결합기(300)로 접속인증을 요청한다(S422).
한편, 영상결합기(300)의 메인 CPU(302)는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키를 저장하고 있다가, 원격 PC(700) 또는 휴대폰(600)으로부터 인증키를 이용한 접속인증이 요청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키와 상기 원격 PC(700) 또 는 휴대폰(600)으로부터 전송된 인증키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원격 PC(700) 또는 휴대폰(600)에 대한 접속인증을 수행한다(S424).
상기 접속인증 수행결과, 영상결합기(300)의 메인 CPU(302)에 미리 저장된 인증키와 원격 PC(700) 또는 휴대폰(600)으로부터 전송된 인증키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S426에서 No), 영상결합기(300)의 메인 CPU(302)는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를 제어하여 원격 PC(700)와의 접속을 해지한다(S430).
반면, 영상결합기(300)의 메인 CPU(302)에 미리 저장된 인증키와 원격 PC(700) 또는 휴대폰(600)으로부터 전송된 인증키가 서로 일치하면(S426에서 Yes), 영상결합기(302)의 메인 CPU(302)는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원격 PC(700)의 접속을 허용한다(S428).
이로서, 원격 PC(700)와 영상결합기(300)간의 통신채널이 연결된다(S432).
상기와 같이 통신채널이 원격 PC(700)와 영상결합기(300)를 연결하는 통신 채널이 형성됨에 따라, 원격 PC(700)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 영상결합기(300)로 카메라부(100)를 통해 촬영되어진 영상이 전송되거나, 센서부(120)를 통해 감지되어진 이벤트가 통보되어진다.
또한, 원격 PC(700)를 통해 특정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영상결합기(300)는 상기 제어신호를 근거로 해당 주변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원격 PC(700)를 통해 도어락의 "도어열림"이 설정되면, 영상결합기(300)가 주변장치 구동부(110)로 도어열림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주변장치 구동부(110)에 의해 도어가 열리도록 한다.
영상결합기(300)의 메인 CPU(302)는 저장모드의 설정상태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을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인 CPU(302)는 저장모드가 "Full"로 설정되었으면, 비디오 디코더(30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비디오 코덱(306)으로 전송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시킨 후, 그 영상압축파일을 영상저장장치(308)에 저장시킨다.
이때, 원격 PC(700)로부터 영상전송이 요청되면(S506에서 Yes), 요청된 영상압축파일을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로 전달하여 원격 PC(700)로 상기 영상압축파일이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휴대폰(600)으로부터 영상전송이 요청되면(S510에서 Yes), 메인 CPU(302)는 상기 영상압축파일을 비디오 인코더(310)로 전송하여 영상데이터로 복원한 후, 그 영상데이터를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로 전달하여 무선데이터망을 통해 휴대폰(600)으로 상기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원격 PC(700)로는 유선 인터넷(ADSL, 전용망등)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접속되었을 때의 상황에 따라 전송 속도가 가변이므로 원격 PC(700)가 영상결합기(300)에서 접속되면, 영상결합기(300)는 원격 PC(700)로 일정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된 시간을 기억한 후, 이 일정량의 데이터를 전송 받은 원격 PC(700)는 모든 데이터가 전송된 시간을 영상결합기(300)에 전송하여 영상결합기(300)가 현재 접속된 원격 PC(700)간의 유선인터넷의 전송속도를 체크하여 적당한 데이터량을 결정 후 영상압축파일을 전송한다.
휴대폰(600)으로는 무선 인터넷 및 각각의 휴대폰 처리능력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 및 처리능력이 다르므로, 원격 PC(700)에서와 같이 영상결합기(300)가 일정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휴대폰(600)은 전송된 모든 데이터를 전송받은 시간을 영상결합기(300)에 전송하여 전송속도 및 휴대폰의 처리능력을 고려하여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원격 PC(700)로도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휴대폰(600)으로도 영상압축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메인 CPU(302)에 저장모드가 "움직임 감지"로 설정되어 있으면(S502에서 No, S514에서 Yes), 메인 CPU(302)는 비디오 디코더(30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근거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감시한다(S516).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에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Calibration에 의해 사람과 배경을 분리하고, 사람 분리 영상을 필터 처리하여, 사람 예상 영역을 분리한 후 사람 수를 측정한다.
우선, Calibration 단계에서는 조명 영향 상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태양의 위치, 날씨 흐림, 비 옴 등의 상태를 적절히 계측하여 외부 조명에 영향을 최소화 하는 기술을 접목하며, Color constancy의 기법으로 주위의 칼라 성분을 분석하여 조명을 판단하고, Gray level constancy로 주위의 gray level을 분석하여 조명을 판단하여 배경을 분리한다. 이와 같은 Calibration 에 의해 사람과 배경을 분리하고 사람분리 영상의 필터를 처리하고, 사람 예상 영역을 분리하여 사람 수를 측정한다.
사람 분리 영상의 필터 처리에 있어서는 그림자 영향 상쇠 알고리즘을 사용 하여 주위 건물이나 나무 등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그림자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사람들에 의해 생기는 그림자 상쇠 알고리즘과 Edge detection based shadow reduction을 사용하여 사람 예상영역을 분리한다. 또한 Camera Calibration에 의해 카메라에서 먼 곳에 있는 사람은 작게,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은 멀게 촬영이 되기 때문에 이 관계를 수식과 상수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수 복잡한 사람 수를 산출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Complexity 계산이 사용되는데 다음의 세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첫째, 영상의 복잡성을 계산하고 둘째, 실제 사람 수를 계산하기 위한 특징을 잡고 셋째, Entropy, moment, texture 등이 사용하여 사람예상 영역을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영역 점유율을 측정하기 전에 사람 수를 인식하는 데는 Complexity와 실제 사람 수 matching 하여 사람 수 계산을 한다.
이 방법에는 Camera calibration parameter와 matching을 하고, Fuzzy 혹은 신경망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소수 사람 수를 세기 위한 방법으로는 첫 번째, 차 영상 계산방식에 의해 앞뒤 영상 차 영상 계산을 하고, 두 번째, Blob labeling방식으로 얻어진 차 영상에서 하나의 뭉치(사람)을 얻어 내기 위해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추출해내기 위한 과정을 거치며, 세 번째, Edge Detection의 방법으로 사람이라는 물체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기본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움직임 인식에 의해 정지역에 사람이 지나가는 것을 확인하여 사람 수를 인식하며, 앞/뒤 영상의 차 영상 이용과 Motion vector 계산에 의해 사람의 움직이는 수를 산출한다. 최종 적으로 Pattern matching이라는 방식을 사용하여 사람의 template을 비교하여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사람 수를 산출함으로써 정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움직이는 사람의 수를 정확하게 인지하여 셀 수 있다.
상술되어진 단계 S516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S518에서 Yes), 메인 CPU(302)는 비디오 디코더(304)로부터 전달받은 영상데이터를 비디오 코덱(306)으로 전송하여 압축한 후, 그 영상압축파일을 영상저장장치(308)에 저장한다(S520).
이와 동시에, 메인 CPU(302)는 현재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원격 PC(700)가 연결되었는가를 확인하여, 만약 원격 PC(700)가 연결되어 있으면(S522에서 Yes)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원격 PC(700)로 상기 영상압축파일을 전송한다(S524).
한편, 메인 CPU(302)의 확인결과, 원격 PC(700)가 접속(연결)되어 있지 않거나(S522에서 No), 단계 S524의 동작이 완료되면, 메인 CPU(302)는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로 사람의 움직임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모니터링 지역의 사람의 움직임을 통보한다.
이에,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는 영상결합기 관리 DB를 조회하여 상기 영상결합기(300)에 대해 휴대폰이 등록되었는가를 확인하고(S526), 만약 휴대폰이 등록되었으면 SMS 서버(500)로 사람의 움직임을 통보하기 위한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에 의해, SMS 서버(500)는 휴대폰(600)으로 사람의 움직임을 통보를 안내하기 위한 문자메시지 예컨대, "집안에 사람이 이동하고 있습니다. 확 인해 보십시요."를 전송한다(S527).
상기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통보받은 휴대폰(600)의 사용자는 영상결합기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영상결합기(300)에 접속한 후, 영상결합기(300)로 영상전송을 요청하여, 현재 모니터링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저장모드가 "Full"이나 "움직임 감지"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S502에서 No, S514에서 No), 센싱감지부(316)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감시하여(S530), 센싱신호의 변화가 감지되면(S532에서 Yes), 메인 CPU(302)는 비디오 디코더(304)로부터 전달받은 영상데이터를 비디오 코덱(306)으로 전송하여 압축한 후, 그 영상압축파일을 영상저장장치(308)에 저장한다(S533).
이와 동시에, 메인 CPU(302)는 현재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원격 PC(700)가 연결되었는가를 확인하여, 만약 원격 PC(700)가 연결되어 있으면(S534에서 Yes),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원격 PC(700)로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의 상기 영상압축파일을 전송한다(S536).
한편, 메인 CPU(302)의 확인결과, 원격 PC(700)가 접속(연결)되어 있지 않거나(S534에서 No), 단계 S536의 동작이 완료되면, 메인 CPU(302)는 이더넷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로 이벤트발생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영상결합기 관리서버(400)는 영상결합기 관리 DB를 조회하여 상기 영상결합기(300)에 대해 휴대폰이 등록되었는가를 확인하고(S540), 만약 휴대폰이 등록되었으면 SMS 서버(500)로 이베트 발생을 위한 문자세지지의 전송을 요청한다. SMS 서버(500)에 의해, 휴대폰(600)으로는 이벤트 발생상태 예컨대, "도어열림", "도어닫힘", 에 해당하는 문자메시지가 전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결합기와 이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에 의하면, 원격지의 위치한 PC와 휴대폰을 통해 모니터링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니터링 지역에 위치한 주변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주변장치의 상태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되는 경우 이를 원격지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노약자 보호 시설 등에서 노약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전송된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센싱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감지부;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압축파일을 생성하는 비디오 코덱;
    상기 영상압축파일을 저정하는 영상저장장치;
    저장모드의 설정에 따라,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감지부를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를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주변장치 제어가 명령되면 그 명령에 따라 주변장치로 소정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CPU;
    상기 메인 CPU의 저장모드설정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인 CPU의 제어하에 각 주변장치로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주변장치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무선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카메라 신호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센싱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전송된 센싱신호는 무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센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변장치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변장치로 무선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가 IP 기반으로 영상결합기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원격지 사용자의 원격 PC 또는 휴대폰이 상기 영상결합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압축파일을 상기 이너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PC 또는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인코딩하는 비디오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전자적으로 도어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를 구동하는 도어락 조절부, 가스밸브의 개폐를 구동하는 가스밸브 구동부, 및 형광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형광등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CPU는
    상기 저장모드가 "움직임 감지"로 설정되어 있으면,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근거로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 시점의 영상데이터가 상기 영상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관련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
  10. 모니터링 지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촬영되어진 화상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홈 오토메이션을 위해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되는 주변장치를 동작시키는 주변장치 구동부;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근거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주변장치 구동부를 제어하는 영상결합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영상결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결합기가 인증된 원격 PC와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영상결합기 관리서버; 및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서버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결합기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결합기에 의해 관리되는 영상을 전송받거나 상기 영상결합기를 통해 상기 주변장치의 동작제어를 명령하는 원격 P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는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전송된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센싱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감지부;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압축파일을 생성하는 비디오 코덱;
    상기 영상압축파일을 저장하는 영상저장장치;
    저장모드의 설정에 따라,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감지부를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를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주변장치 제어가 명령되면 그 명령에 따라 주변장치로 소정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CPU;
    상기 메인 CPU의 저장모드설정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메인 CPU의 제어하에 상기 주변장치 구동부로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주변장치제어부; 및
    상기 영상결합기가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원격 PC가 상기 영상결합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무선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카메라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센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변장치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변장치로 무선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PC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결합기의 제품정보와 인증정보를 저 장하는 영상결합기 관리 DB와,
    상기 영상결합기의 접속인증을 위해 랜덤하게 생성되는 인증키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격 PC로부터 상기 영상결합기에 대한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DB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원격 PC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는
    구동초기에 자신의 제품정보와 IP 주소를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서버는
    인증성공된 원격 PC로 상기 영상결합기의 IP 주소와 랜덤하게 발생된 인증키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결합기로 상기 인증키를 전송하여, 상기 영상결합기가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PC에 대한 접속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코덱을 통해 압축시켜 영상압축파일을 생성한 후, 그 영상압축파일을 상기 영상저장장치에 저 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7.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로부터 사람을 추출하여,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영상압축파일을 상기 원격 PC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서버로 사람의 움직임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8.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근거로 센싱신호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영상압축파일을 상기 원격 PC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서버로 이벤트발생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PC로부터 상기 영상결합기를 관리할 휴대폰 번호가 등록되면, 상기 휴대폰 번호를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DB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결합기로부터 사람의 움직임 또는 이벤트발생이 통보되면, SMS 서버를 통해 상기 통보내용에 해당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상기 영상결합기의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휴대폰에 대한 ID/PW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성공하면 상기 영상결합기의 IP 주소와 랜덤하게 발생된 인증키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결합기로 상기 인증키를 전송하여, 상기 영상결합기가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폰에 대한 접속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21. 원격 단말로부터 소정 영상결합기로의 접속이 요청되면, 웹상에 구성된 영상결합기 관리서버가 상기 원격 PC 또는 휴대폰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 1 과정;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영상결합기의 IP 주소와 랜덤하게 발생된 인증키를 상기 원격 단말로 전송하는 제 2 과정;
    상기 인증키를 상기 영상결합기로 전송하는 제 3 과정;
    상기 원격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소정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영상결합기가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단말에 대한 접속인증을 수행하는 제 4 과정; 및
    상기 접속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 5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은
    원격 PC 또는 휴대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에서
    상기 소정 메시지는, 영상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이거나 상기 영상결합기가 설치된 모니터링에 구비된 주변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가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로부터 사람을 추출하여,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영상압축파일을 상기 원격 PC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서버로 사람의 움직임을 통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근거로 센싱신호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영상압축파일을 상기 원격 PC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서버로 이벤트발생 을 통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합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결합기로부터 사람의 움직임 감지 또는 이벤트발생이 통보되면, SMS 서버를 통해 상기 통보내용에 해당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
KR1020050099622A 2005-10-21 2005-10-21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KR10118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622A KR101182986B1 (ko) 2005-10-21 2005-10-21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622A KR101182986B1 (ko) 2005-10-21 2005-10-21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88A true KR20070043388A (ko) 2007-04-25
KR101182986B1 KR101182986B1 (ko) 2012-09-18

Family

ID=3817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622A KR101182986B1 (ko) 2005-10-21 2005-10-21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9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68B1 (ko) * 2010-05-20 2011-01-10 안수경 지능형 방범 시스템
KR101101855B1 (ko) * 2007-08-29 2012-01-05 청화 텔레콤 코., 엘티디. 주거 보안 감시 및 통지 관리 시스템
KR101293147B1 (ko) * 2012-04-18 2013-08-12 (주)참슬테크 미입주 공동주택 단지 내 미입주 세대의 세대 설치 기기 원격 점검 방법과 그에 따른 원격 점검 장치
KR101337876B1 (ko) * 2009-12-14 2013-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보안시스템용 서버/카메라 및 영상보안시스템용 서버/카메라의 이벤트 처리 방법
KR101458365B1 (ko) * 2013-07-01 2014-11-05 주식회사 나다텔 영상기기 보이스 알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57031A (ko) * 2016-11-21 2018-05-30 엔쓰리엔 주식회사 원격 제어 지원을 위한 송신기, 수신기, 그의 동작 방법, 및 원격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435B1 (ko) * 2017-01-31 2021-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객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811A (ko) * 2001-04-30 2002-11-04 그린정보통신(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30047343A (ko) * 2001-12-10 2003-06-18 삼우정보기술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030085921A (ko) * 2002-05-02 2003-11-07 레보텔레콤 주식회사 원격 감시 시스템
KR20040108490A (ko) * 2003-06-17 2004-12-24 (주)짐라인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 및 방법
KR20050039431A (ko) * 2003-10-25 2005-04-29 (주)인와이저 홈 오토메이션 및 온/오프라인 통합형 보안 게이트웨이시스템
KR20050079477A (ko) * 2004-02-06 2005-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모니터링 서비스제공 방법
KR100571876B1 (ko) * 2004-02-20 2006-04-17 주식회사 아이디코리아 컴퓨터용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KR101059077B1 (ko) * 2004-02-20 2011-08-24 주식회사 세븐옥션 유비쿼터스 통신에서 동영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86180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 연동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55B1 (ko) * 2007-08-29 2012-01-05 청화 텔레콤 코., 엘티디. 주거 보안 감시 및 통지 관리 시스템
KR101337876B1 (ko) * 2009-12-14 2013-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보안시스템용 서버/카메라 및 영상보안시스템용 서버/카메라의 이벤트 처리 방법
KR101005568B1 (ko) * 2010-05-20 2011-01-10 안수경 지능형 방범 시스템
KR101293147B1 (ko) * 2012-04-18 2013-08-12 (주)참슬테크 미입주 공동주택 단지 내 미입주 세대의 세대 설치 기기 원격 점검 방법과 그에 따른 원격 점검 장치
KR101458365B1 (ko) * 2013-07-01 2014-11-05 주식회사 나다텔 영상기기 보이스 알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57031A (ko) * 2016-11-21 2018-05-30 엔쓰리엔 주식회사 원격 제어 지원을 위한 송신기, 수신기, 그의 동작 방법, 및 원격제어 시스템
US10412144B2 (en) 2016-11-21 2019-09-10 N3N Co., Ltd.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remote control support,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remote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986B1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986B1 (ko)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TWI596270B (zh) 遠端門禁管控系統
US9030562B2 (en) Use of a two- or three-dimensional barcode as a diagnostic device and a security device
EP1806703A2 (en)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WO2016150045A1 (zh) 一种非法入室告警方法及装置
US10294694B2 (en) Door lock/camera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621838B2 (en) External video clip distribution with metadata from a smart-home environment
KR20160053601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777054B2 (en) Security camera system
US11349707B1 (en) Implementing security system devices as network nodes
US10586434B1 (en)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1446416B1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CN111917967A (zh) 门监控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51931B1 (ko) 가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45069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US202000958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opening electronic door lock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21934A (ko)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JP2007201876A (ja) カメラ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カメラ
CN105844827A (zh) 入侵报警系统
CN114333008A (zh) 具有发热筛查和人脸识别门禁功能的智能楼宇管理系统及方法
JP2022028739A (ja) 開閉装置、セキュリティサーバおよ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50064289A (ko) 영상기반 홈 케어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1311786A (zh) 智能门锁系统及其智能门锁控制方法
KR20210007753A (ko)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