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811A -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811A
KR20020083811A KR1020010023463A KR20010023463A KR20020083811A KR 20020083811 A KR20020083811 A KR 20020083811A KR 1020010023463 A KR1020010023463 A KR 1020010023463A KR 20010023463 A KR20010023463 A KR 20010023463A KR 20020083811 A KR20020083811 A KR 20020083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erver
transmission
transmi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무
Original Assignee
그린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그린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01002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3811A/ko
Publication of KR2002008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휴대폰을 통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특정 공간에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시할 수 있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정 공간에서의 이동체를 감지 및 촬영하여 이동체의 감지를 의미하는 메시지와 자신의 아이디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받아 촬영한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 및 촬영수단; 이동체 감지 메시지와 아이디가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됨에 따라 아이디에 해당하는 가입자를 확인한 후, 특정 공간에 이동체의 출현을 경고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거나, 인터넷망을 통해 감지 및 촬영수단에게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 촬영한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해당 가입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수단; 및 특정 공간에 이동체의 출현을 해당 가입자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송수단으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한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Remote guard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휴대폰을 통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특정 공간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안경비 시스템은 보안경비 업체에서 유선 전화망을 통해 가입된 고객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대한 보안을 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안경비 시스템이 작동중인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외부인이 침입하게 되면, 이 침입 사실은 유선 전화망을 통해 보안경비 업체에 전달되고, 이어 이를 확인한 보안경비원들이 즉시 외부인이 침입한 현장으로 출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보안경비 시스템의 경우, 침입자가 가입자선로를 절단한 후 침입하게 되면, 보안경비 업체에서는 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번호 제 18530 호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경비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이 보안경비 시스템에서는 이동체를 감지하는 센서가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한 후 이 침입사실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보안 관제센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경비 시스템의 경우, 이 시스템에 가입한 가입자가 정기적으로 많은 관리비를 보안경비 업체에게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휴대폰을 통해 원격지에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시할 수 있는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휴대폰을 통해 어린 아이들의 행동을 감시할 수 있는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휴대폰을 통해 가정 등의 내부 상황을 감시하고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내에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지 유무를 판별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감지 및 촬영 장치 120: 인터넷망
130: 무선 통신망 140: 전송부
160: 통신 장치 170: 왑 서버
180: 다운 서버 190: 전자 제어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이동체를 감지 및 촬영하여 이동체의 감지를 의미하는 메시지와 자신의 아이디(ID)를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받아 상기 촬영한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감지 및 촬영수단;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이동체 감지 메시지와 상기 ID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됨에 따라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를 확인한 후, 상기 특정 공간에 이동체의 출현을 경고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에게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 상기 촬영한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수단; 및 상기 특정 공간에 이동체의 출현을 상기 해당 가입자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수단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의 상황을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지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특정 공간의 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감지 및 촬영수단;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에 의해 감지된 음성 데이터와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요구하고, 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의 요구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수단과 호접속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나 이 음성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통신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공간의 상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지 및 촬영수단이 상기 특정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하여 이동체 출현에 대한 경고 메시지와 자신의 ID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수단으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가입자가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지 않았으면, 상기 전송수단은 이동체 출현을 경고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와 영상 데이터와 관련한 서버접속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였으면,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 영상 데이터와 상기 서버접속정보를 전자 메일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의 상황을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호접속 요구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와 호접속하는 제 1 단계;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의 음성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현재의 음성 정보나 이 음성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호접속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의 영상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 상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가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요구함에 따라, 상기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 상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 첨부시키거나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환시켜 영상데이터에 첨부시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에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특정 공간에서의 음성이나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하고 그 특정 공간의 상황을 촬영하는 감지 및 촬영 장치(110)와, 감지 및 촬영 장치(110)로부터 인터넷망(12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망(120)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140)와, 전송부(140)로부터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제어명령을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부(140)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160)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송부(140)로부터 통신 장치(160)에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바(JAVA), 지브이엠(GVM) 및 왑(WAP) 등과 같은 전송 메뉴를 제공하는 왑 서버(170)와, 왑 서버(170)가 지시하는 소정의 전송 프로그램(JAVA, GVM)을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통신 장치(160)에 다운로드하는 다운 서버(180)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송부(140)와 통신 장치(160) 간에 호접속이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이루어진 상태에서, 통신 장치(160)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송부(140)에 접속된 인터넷망(120)을 통해 입력받아 가정과 같은 특정 공간 내에 구비된 전자기기의 동작을 사용자의 원격 지시에 따라 제어하는 전자 제어기(19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로는 전등, 세탁기, 음식 조리기 및 난방기 등이 있다.
감지 및 촬영 장치(110)는 가정과 같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는 기기로서, 네트워크 카메라(111)이나 컴퓨터(112)에 연결된 감지 및 촬영기(113) 또는 카메라 제어기(114)의 제어를 받는 씨씨 카메라(CC Camera)(11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감지 및 촬영 장치(110)는 인터넷망(120)에 접속된 음성접속 제어기(116)에 의해 제어를 받아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17)를 더 구비한다.
네트워크 카메라(111)는 가정과 같은 특정 공간에서 이동체(예를 들어, 침입자 등이 있음)가 감지되면, 침입자 등이 있음을 경고하여 주기 위한 경고 메시지와 자신의 아이디(ID)를 인터넷망(110)을 통해 전송부(140)로 전송한다. 이렇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 상태에서, 전송부(140)가 인터넷망(120)을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111)에게 이동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구하면, 네트워크 카메라(111)는 이동체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부(140)로 전송한다.
감지 및 촬영기(113)는 특정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 및 촬영하여 컴퓨터(112)로 전달하고, 컴퓨터(112)는 이를 통해 특정 공간에 이동체가 출현하였음을 판단한다. 이렇게, 특정 공간에 출현된 이동체가 감지되면, 컴퓨터(112)는 이동체의 출현을 의미하는 경고 메시지와 감지 및 촬영기(113)의 ID를 인터넷망(110)을 통해 전송부(14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 상태에서, 전송부(140)가 인터넷망(120)을 통해 컴퓨터(112)에게 이동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구하면, 컴퓨터(112)는 감지 및 촬영기(113)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부(140)로 전송한다.
씨씨 카메라(115)는 특정 공간의 상황을 촬영하고 이동체를 감지하여 카메라 제어기(114)로 전달한다. 그리고, 카메라 제어기(114)는 씨씨 카메라(115)에 의해 감지되는 이동체를 통해 특정 공간에 침입자 등이 있음을 판단한 후 침입자의 출현을 의미하는 경고 메시지와 씨씨 카메라(115)의 ID를 인터넷망(110)을 통해 전송부(14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140)로부터 촬영한 이동체의 영상정보에 대한 전송요구가 있으면, 카메라 제어기(114)는 씨씨 카메라(115)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망(120)을 통해 전송부(140)로 전송한다.
한편, 전송부(140)는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통신 장치(160)와 호접속을 이룬 상태에서, 통신 장치(160)를 통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감지 및 촬영 장치(110)에게 특정 공간에 대한 현재의 영상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이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 카메라(111)나 감지 및 촬영기(113)를 제어하는 컴퓨터(112) 또는 씨씨 카메라(115)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기(114)는 특정 공간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망(120)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부(14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호접속 상태에서, 음성접속 제어기(116)는 통신 장치(160)를 통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마이크(117)를 구동시킨 후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마이크(117)를 통해 입력받아 전송부(140)로 전송한다.
또한, 전송부(140)와 통신 장치(160) 간의 호접속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통신 장치(160)를 통해 입력하면, 전자 제어기(190)는 전송부(140)에 연결된 인터넷망(12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가정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전송부(140)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에 해당하는 구성을 갖는다.
먼저, 감지 및 촬영 장치(110)에 의해 감지 및 촬영된 침입자에 대한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통신 장치(160)로 전송하는 경우, 전송부(140)의 구성을 살펴보면, 감지 및 촬영 장치(110)로부터 인터넷망(120)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관리 서버(141)와, 관리 서버(141)로부터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가 첨부된 영상 데이터를 전자 메일로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해당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메일 서버(142)와, 관리 서버(141)로부터 전달되는 단문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해당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문전송 서버(143)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와, 관리 서버(14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정보를 메일 서버(142)에 적합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서버(145)와, 비디오 서버(145)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141)로 전달하고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시키는 다중매체 서버(146)와, 아이디(ID) 별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147)와, 관리 서버(141)로부터 전달되는 ID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148)로부터 읽어와서 관리 서버(141)로 전달하는 ID 서버(148)를 구비한다.
관리 서버(141)는 감지 및 촬영 장치(110)로부터 인터넷망(120)을 통해 침입자 출현에 대한 경고 메시지와 ID가 수신되면, 수신된 ID를 ID 서버(148)로 전달한 후 ID 서버(148)로부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147)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ID 서버(148)에 의해 관리 서버(141)로 제공되는 가입자 정보에는 ID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고유번호(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이 있음)와 이 해당 가입자가 요구한 데이터 정보(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와 단문 메시지가 있음) 등이 있다.
관리 서버(141)는 ID 서버(148)에 의해 제공된 가입자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만을 요구한 상태이면, 관리 서버(141)는 침입자 출현에 대한 경고를 의미하는 단문 메시지를 단문전송 서버(140)를 통해 해당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만일, 가입자 정보의 분석 결과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가 영상 정보를 요구한 상태이면, 관리 서버(141)는 감지 및 촬영 장치(110)에게 침입자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여 침입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이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서버(145)로 전달한다. 이를 입력받은 비디오 서버(145)는 이 영상 데이터를 통신 장치(16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켜 다중매체 서버(146)로 출력한다.
다중매체 서버(146)는 비디오 서버(145)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시키고 관리 서버(141)로 전달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41)는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에 경고 메시지를 첨부시킨 후 메일 서버(143)를 통해 전자 메일로 해당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에게 전송한다.
메일 서버(142)는 해당 가입자에게 관리 서버(141)로부터 전달되는 경고 메시지가 첨부된 영상 데이터와 관리 서버(141)의 영상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명령을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한다.
단문전송 서버(143)는 관리 서버(141)로부터 전달되는 단문 메시지와 관리 서버(141)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식과 관련한 서버접속 정보를 해당 가입자에게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한다.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에는 다중매체 서버(146)로부터 제공되는 침입자에 대한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데, 이것은 가입자가 요구할 경우 재전송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전송부(140)와 통신 장치(160) 간에 호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부(1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무선 통신망(130)을 통한 가입자와의 호접속을 제어하고, 감지 및 촬영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를 호접속된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망(120)을 통해 감지 및 촬영 장치(110)나 전자 제어기(190)로 전송시키는 관리 서버(141)와,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와, 관리 서버(14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무선전송 방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비디오 서버(145)와, 관리 서버(141)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서버(149)와, 비디오 서버(145)나 오디오 서버(146)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관리 서버(141)로 전달하고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시키며, 오디오 서버(146)를 거친 음성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비디오 서버(145)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에 첨부시켜 관리 서버(141)로 전달하는 다중매체 서버(147)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148)와,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접속을 요구하는 사용자가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148)에 등록된 가입자인지를 인증하여 관리 서버(141)에 알려주는 인증 서버(151)를 구비한다.
인증 서버(151)는 가입자가 통신 장치(160)를 통해 관리서버(141)에 접속하여 MIN을 자동전송하고 등록된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여 호접속을 요구하면, 관리서버(141)는 인증서버(151)에게 이 패스워드가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147)에 등록된 패스워드인지 확인을 요청한다. 이때, 확인 결과 등록된 패스워드로 인증되면, 인증 서버(151)는 호접속을 요구한 가입자가 등록된 가입자임과 가입자 감지 및 촬영장치의 고유번호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관리서버(141)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147)에는 가입자의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전자 제어기(190)의 고유 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인증 서버(151)는 이 고유 번호를 관리 서버(141)로 전달한다.
이렇게, 인증 서버(151)에 의해 호접속을 요구한 가입자가 등록된 가입자로 인증되면, 관리 서버(141)는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와 호접속을 이룬다.
이와 같이 호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가입자가 특정 공간에 대한 현재의 영상 정보를 요구하면, 관리 서버(141)는 해당 감지 및 촬영 장치(110)에게 특정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구하고 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비디오 서버(145)로 전달한다. 이를 입력받은 비디오 서버(145)는 이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전송 방식(예를 들어, JAVA나 GVM 등이 있음)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켜 다중매체 서버(146)로 출력한다.
다중매체 서버(146)는 비디오 서버(145)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시키고 관리 서버(141)로 전달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41)는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호접속 상태에서, 가입자가 특정 공간에서 현재 발생되는 음성 정보를 요구하면, 관리 서버(141)는 해당 감지 및 촬영 장치(110)에게 특정 공간에서의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구하고 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서버(149)로 전달한다. 이를 입력받은 오디오 서버(146)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 음성 데이터를 다중 매체 서버로 출력하거나 음성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다중 매체 서버(146)로 출력한다.
다중매체 서버(146)는 오디오 서버(149)를 거친 음성데이터나 오디오 서버(149)에 의해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시키고 관리 서버(141)로 전달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41)는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로부터 전달된 문자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41)와 통신 장치(160)의 호접속 상태에서, 가입자가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요구하면, 관리 서버(141)는 해당 감지 및 촬영 장치(110)에게 특정 공간에서의 음성 정보와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구하고 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각각 비디오 서버(145)와 오디오 서버(149)로 전달한다. 이어서, 다중매체 서버(146)는 비디오 서버(145)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에 오디오 서버(146)를 거친 음성데이터나 오디오 서버(146)에 의해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첨부시켜 관리 서버(141)로 전달하고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시킨다.
관리 서버(141)는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144)로부터 전달된 문자 데이터나 음성정보가 첨부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가입자인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호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가입자가 통신장치(160)를 통해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관리 서버(141)는 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인터넷망(120)을 통해 전자 제어기(19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자 제어기(190)는 원격으로 전송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통신 장치(160)는 고유의 전화번호 및 패스워드 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61)나 PDA(162)로서, 이러한 통신 장치(160)가 다운 서버(180)를 통해 전송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일 서버(142)나 단문전송 서버(143)로부터 전송된 URL이 첨부된 데이터가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61)나 PDA(162)로 전송된 후,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61)나 PDA(162)에 부착된 기능 키를 눌러서 현재의 URL로 콜백(Callback)을 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61)내의 JAVA나 GVM 형태의 전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관리서버(141)에 접속하게 된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61)내의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은, 단말기(161) 제작시 미리 탑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단말기(161) 내에 탑재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61)내에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는 다운서버(180)를 통하여 해당 전송프로그램을 다운받게 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61)내에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지 유무를 판별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다운로드하는 과정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관리서버(141)가 접속된 단말기내의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이 있는지 유무판단을 왑서버(170)에서 할 것인지 단말기(161) 내에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코드인 텔레서비스 ID와, 또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을 호출하기 위한 고유의 스크립트 ID를 관련업체와 공유하여야 한다. 가입자의 단말기(161)가 콜백을 해 오면, 관리서버(141)가 가입자 단말기 사양을 참조하여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가 내장되어 있는 판단하고, 이 프로세스가 없으면 텔레서비스 ID=9048로 하여 단말기(161)로 전송하여 전송된 메시지의 텍스트내에 포함된 URL로 접속되도록 하고, 이 프로세스가 있으면 텔레서비스 ID=1111로 하여 단말기(161)로 전송하여 단말기(161)내에서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립트 ID=2222이면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세스를 호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말기내의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를 호출하는 텔레서비스 ID를 '1111'로 하고,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을 지정하는 스크립트 ID를 '2222'로 정한 것은 임의의 정한 것이며, 텔레서비스 ID와 스크립트 ID의 지정코드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메일 서버(142)나 단문전송 서버(143)로부터 전송된 URL이 첨부된 데이터가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61)나 PDA(162)로 전송된 후,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61)나 PDA(162)에 부착된 기능 키를 눌러서 현재의 URL로 콜백(Callback)을 하게 되면, 관리서버(141)는 가입자 단말기(161) 사양을 참조하여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가 내장되어 있는지 판단, 즉 텔레서비스 ID=1111을 지원하는 단말기인지 판단하게 된다(400).
관리서버(141)가 접속된 단말기가 텔레서비스 ID=1111을 지원하는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과정(400)에서 텔레서비스 ID=1111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아니라면 관리서버(141)는 단말기(161)로 텔레서비스 ID를 9048로 지정하여 전송하고(401), 단말기(161)로 전송된 텍스트 내에 포함된 URL을 참조하여 해당 URL로 접속하게 된다(404). 그 다음, 왑서버(170)에 접속된 단말기(161)는 다운서버(180)를 통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받고(405),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관리서버(141)로 접속하게 된다(406).
만약, 관리서버(141)가 접속된 단말기가 텔레서비스 ID=1111을 지원하는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과정(400)에서 텔레서비스 ID=1111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관리서버(141)는 텔레서비스 ID=1111을 접속된 단말기(161)로 전송하여(402) 단말기(161)가 전송된 메시지의 텍스트에 포함된 스크립트 ID=2222에 해당하는 전송프로그램이 있는지 서치하고(403), 존재한다면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관리서버(141)에 접속하게 되고(406), 단말기(161)내에 해당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왑서버(170)로 접속하여(404) 다운서버(180)를 통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받은 다음(405),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관리서버(141)에 접속하게 된다(406).
왑 서버(170)는 가입자가 원하는 전송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전송 프로그램 항목이 배열된 전송 메뉴를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61)나 PDA(162)에게 전송한다.
사용자가 이렇게 제공된 전송 메뉴에서 하나의 전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다운 서버(180)는 왑 서버(170)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전송 프로그램을이동통신 단말기(161)나 PDA(162)에게 다운로드하여 준다. 이후 사용자는 전송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관리서버에 호접속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단문 메시지나 전자 메일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감지 및 촬영 장치(110)가 설치된 특정 공간에 침입자가 출현하면, 감지 및 촬영 장치(110)는 이를 감지하여 전송부(140)에 경고 메시지와 자신의 ID를 인터넷망(120)을 통해 전송한다(201).
이어서, 전송부(140)는 수신된 ID에 해당하는 가입자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가입자가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였는지를 판단한 후(202), 요구하지 않았으면, 전송부(140)는 침입자 출현을 경고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와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식과 관련된 서버접속정보를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해당 가입자인 통신 장치(160)로 전송한다(203).
만일, 판단 과정(202)에서 영상 데이터를 요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송부(140)는 인터넷망(120)을 통해 감지 및 촬영 장치(110)에게 침입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구하고(204),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205), 이 영상 데이터와 상기 서버접속정보를 전자 메일로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해당 가입자인 통신 장치(160)로 전송한다(206).
그리고, 통신 장치(160)가 상기 서버접속정보를 수신한 상태에서, 통신 장치(160)는 가입자가 기능 키를 이용하여 서버접속정보 내의 스크립트(script) ID를 참조할 것을 요구하였는지 판단하여(207), 요구하지 않았으면, 데이터 정보의 수신을 종료한다.
그러나, 판단 결과 콜백 서버접속정보 내의 스크립트 ID를 참조할 것을 요구하였으면, 단말기 내의 프로세스를 실행시켜 전송 프로그램이 존재할 시에는 자동으로 전송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관리서버에 호접속하고, 전송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을 시에는 왑서버에 호접속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왑 서버(170)는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통신 장치(160)와 호접속을 이룬 후 다수의 전송 프로그램 항목이 배열된 메뉴를 통신 장치(160)에게 제공한다(209).
이렇게, 제공된 메뉴 항목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전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면(210), 다운 서버(180)는 왑 서버(170)의 지시를 받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송 프로그램을 통신 장치(160)에 다운로드하여 준다(21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전송부(140)와 통신 장치(160) 간에 호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특정 공간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가입자가 통신 장치(160)를 통해 자신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전송부(140) 측에 무선 통신망(130)을 통한 호접속을 요구하면(301), 전송부(140)는 이 패스워드가 등록된 가입자의 패스워드인지를 확인한다(302). 확인 결과 등록되지 않은 패스워드이면, 전송부(140)는 가입자의 호접속 요구를 무시하고, 새로운 패스워드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확인 결과 등록된 패스워드이면, 전송부(140)는 무선 통신망(130)을통해 가입자인 통신 장치(160)와의 호접속을 승인하고(303), 가입자로부터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의 영상 정보나 음성 정보의 요구가 있는지 또는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304), 사용자의 요구가 없으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판단 과정(304)에서의 판단 결과 음성 정보 요구가 있으면, 감지 및 촬영 장치(110)는 마이크(117)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 공간에서의 음성 정보를 인터넷망(120)을 통해 전송부(140)로 전송하고(305), 이어 전송부(140)는 가입자로부터 이 음성 정보에 대한 문자변환요청이 있는지 판단하여(306) 요청이 있을 경우엔 이 음성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호접속된 가입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고(307), 문자변환요청이 없으면 전송부(140)에서 해당 음성 정보를 가입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308).
판단 과정(304)에서의 판단 결과 영상 정보 요구가 있으면, 감지 및 촬영 장치(110)는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 상황을 촬영하여 이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망(120)을 통해 전송부(140)로 전송하고(307), 이어 전송부(140)는 이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전송 방식(JAVA, GVM 및 WAP 등이 있음)에 따라 실시간으로 호접속된 가입자에게 전송한다(308).
판단 과정(304)에서의 판단 결과 음성 및 영상 정보 요구가 있으면, 감지 및 촬영 장치(110)는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 상황을 촬영한 영상 정보와 마이크(117)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 공간에서의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망(120)을 통해 전송부(140)로 전송한다(309). 이어서, 전송부(140)는 가입자로부터 이 음성 정보에대한 문자변환요청이 있는지 판단하여(310) 요청이 있을 경우엔 이 음성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이 문자 데이터를 감지 및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상에 첨부시켜 미리 설정된 전송 방식(JAVA, GVM 및 WAP 등이 있음)에 따라 실시간으로 호접속된 가입자에게 전송한다(311). 문자변환요청 판단 과정(310)에서 가입자로부터 문자변환요청이 없으면 해당 음성 정보와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전송 방식(JAVA, GVM 및 WAP 등이 있음)에 따라 실시간으로 호접속된 가입자에게 전송한다(311).
한편, 판단 과정(304)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었으면, 전송부(140)는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인터넷망(120)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자 제어기(190)에게 전송한다(311). 이어, 전자 제어기(19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한다(312).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PDA 등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의 상황을 원격으로 감지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도둑이 침입할 경우 이를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도난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침입자의 이미지 정보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 도난 등에 의한 피해를 사후에라도 복구할 수 있다.
셋째, 원격지에서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4)

  1. 가정 및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이동체를 감지 및 촬영하여 이동체의 감지를 의미하는 메시지와 자신의 아이디(ID)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받아 상기 촬영한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감지 및 촬영수단;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이동체 감지 메시지와 상기 ID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됨에 따라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를 확인한 후, 상기 특정 공간에 이동체의 출현을 경고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에게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 상기 촬영한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수단; 및
    상기 특정 공간에 이동체의 출현을 상기 해당 가입자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수단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수단
    을 포함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의 지시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이동체 출현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첨부된 영상 데이터를 전자 메일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인 상기 통신수단에 전송하는 메일 서버;
    상기 관리 서버의 지시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이동체 출현을 경고하여 주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인 상기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단문전송 서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메일 서버에 적합한 방식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 서버;
    상기 비디오 서버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다중매체 서버;
    ID 별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서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ID 서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체 출현에 대한 경고 메시지와 상기 ID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ID를 상기 ID 서버로 전달한 후 상기 ID 서버로부터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ID 별로 등록된 가입자인 상기 통신수단의 전화번호, 그리고 상기 등록된 가입자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가 단문 메시지 또는 영상 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ID 서버에 의해 제공된 가입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만을 요구한 상태이면, 상기 이동체 출현에 대한 경고를 의미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전송 서버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6.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ID 서버에 의해 제공된 가입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가 영상 데이터를 요구한 상태이면,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에게 상기 촬영한 이동체의 영상 정보를 요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되는 상기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일 서버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으로부터 상기 통신수단에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바(JAVA), 지브이엠(GVM)과 같은 다수의 전송 프로그램 항목이 배열된 메뉴를 제공하는 왑 서버; 및
    상기 다수의 전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왑 서버가 지시하는 상기 전송 프로그램을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수단에 다운로드하는 다운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다수의 전송 프로그램을 지시하는 URL을 상기 단문 메시지나 상기 영상 데이터에 첨부시켜 상기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이 상기 URL을 수신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URL로 콜백하여 상기 왑 서버에 호접속을 요구하면, 상기 왑 서버는 상기 메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10. 가정 및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의 상황을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지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고,상기 특정 공간의 상황을 촬영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감지 및 촬영수단;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에 의해 감지된 음성 데이터와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요구하고, 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의 요구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수단과 호접속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통신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공간의 상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
    을 포함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전송수단 간의 호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가입자의 제어명령을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받아 상기 특정 공간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한 가입자와의 호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호접속된 가입자인 상기 통신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인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제어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이나 상기 전자 제어수단으로 전송시키는 관리 서버;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무선전송 방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비디오 서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서버;
    상기 비디오 서버나 상기 오디오 서버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다중매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며, 상기 오디오 서버에 의해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서버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에 첨부시켜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다중매체 서버;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을 요구하는 가입자가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가입자인지를 인증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알려주는 인증 서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가입자가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호접속을 요구하면, 이 패스워드가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패스워드인지를 확인하여, 호접속을 요구한 상기 가입자가 등록된 가입자임을 인증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인 왑(WAP) 방식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로 메시지를 전달받은 가입자가 콜백(Callback)을 해왔을 때,가입자의 단말기가 자바(JAVA), 지브이엠(GVM)과 같은 다수의 전송 프로그램의 존재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텔레서비스 ID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서비스 ID는 자바(JAVA), 지브이엠(GVM)과 같은 다수의 전송 프로그램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상기 왑서버에서 수행할 것인지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행할 것인지 결정하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인 자바(JAVA) 방식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인 지브이엠(GVM) 방식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은,
    상기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가입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구동시키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전송수단으로 전송하는 음성접속 제어기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20.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은,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이동체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전송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수단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특정 공간의 상황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상기 전송수단으로 전송하는 크리코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2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은,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이동체와 상황을 감지 및 촬영하기 위한 감지 및 촬영기; 및
    상기 감지 및 촬영기에 의해 감지된 이동체의 출현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전송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수단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감지 및 촬영기에 의해 촬영된 상기 특정 공간의 상황이나 이동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전송수단으로 전송하는 컴퓨터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22.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은,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이동체와 상황을 감지 및 촬영하기 위한 씨씨(CC) 카메라; 및
    상기 씨씨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이동체의 출현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전송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수단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씨씨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특정 공간의 상황이나 이동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전송수단으로 전송하는 컴퓨터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23.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24. 가정 및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지 및 촬영수단이 상기 특정 공간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하여 이동체 출현에 대한 경고 메시지와 자신의 ID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수단으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ID에 해당하는 가입자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가입자가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지 않았으면, 상기 전송수단은 이동체 출현을 경고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와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지시하는 URL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였으면,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이동체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 영상 데이터와 상기URL을 전자 메일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지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에게 이동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구하는 제 4-1 단계;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4-2 단계; 및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URL을 전자 메일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4-3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가입자가 수신된 상기 URL로 콜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하는 전송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해당 가입자가 수신한 상기 URL로 콜백하는 제 5-1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가입자 단말기 사양을 참조하여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가 내장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5-2 단계;
    상기 5-2 단계에서 가입자의 단말기가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가 아니라면, 왑 서버와 호접속을 이루도록 하는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왑서버는 다수의 전송 프로그램 항목이 배열된 메뉴를 가입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5-2 단계에서 가입자의 단말기가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라면 가입자의 단말기로 상기 프로세스를 호출하는 코드를 전송하는 제 5-3 단계;
    상기 해당 가입자가 상기 메뉴 항목중에서 하나의 전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제 5-4 단계;
    상기 선택한 전송 프로그램이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이미 설정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5-5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전송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종료하는 제 5-6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선택한 전송 프로그램을 상기 해당 가입자에게 다운로드하는 제 5-7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3 단계에서 가입자의 단말기로 JAVA나 GVM 형태의 전송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를 호출하는 코드를 전송하면,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의 텍스트에 포함된 스크립트 ID에 해당하는 전송프로그램이 있는지 서치하는 제 5-3-1 단계;
    상기 스크립트 ID에 해당하는 전송프로그램이 존재한다면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관리서버와 접속하도록 하는 제 5-3-2 단계;
    상기 스크립트 ID에 해당하는 전송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왑서버로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다운서버를 통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받은 다음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관리서버와 접속하도록 하는 제 5-3-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방법.
  29. 가정 및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의 상황을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호접속 요구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와 호접속하는 제 1 단계;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의 음성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현재의 음성 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호접속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의 영상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 상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가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요구함에 따라, 상기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성 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이 문자 데이터를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 상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 첨부시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에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로부터 상기 특정 공간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이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방법.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가입자가 자신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전송수단 측에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한 호접속을 요구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패스워드가 등록된 가입자의 패스워드인지를 확인하는 제 1-2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등록되지 않은 패스워드이면,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가입자의 호접속 요구를 무시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등록된 패스워드이면,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가입자와의 호접속을 승인하는 제 1-4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방법.
  32.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로부터 음성 정보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음성 정보 요구가 없으면,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의 요구 사항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제 2-2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음성 정보 요구가 있으면, 감지 및 촬영수단은 상기 특정 공간에서 현재 발생되는 음성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수단에 전송하는 제 2-3 단계; 및
    상기 전송수단은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2-4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방법.
  33.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로부터 영상 정보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3-1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정보 요구가 없으면,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의 요구 사항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제 3-2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정보 요구가 있으면, 감지 및 촬영수단은 상기 특정 공간에서의 현재 상황을 촬영하여 이 영상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수단에 전송하는 제 3-3 단계; 및
    상기 전송수단은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3-4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방법.
  34.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로부터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의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1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의 요구가 없으면,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의 요구 사항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제 4-2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의 요구가 있으면, 감지 및 촬영수단은 상기 특정 공간에서 현재 발생되는 음성 정보와 상기 특정 공간의 현재 상황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수단에 전송하는 제 4-3 단계; 및
    상기 전송수단은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이 문자 데이터를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첨부시켜 상기 소정의 전송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호접속한 가입자에 전송하는 제 4-4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방법.
KR1020010023463A 2001-04-30 2001-04-30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20083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463A KR20020083811A (ko) 2001-04-30 2001-04-30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463A KR20020083811A (ko) 2001-04-30 2001-04-30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811A true KR20020083811A (ko) 2002-11-04

Family

ID=2770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463A KR20020083811A (ko) 2001-04-30 2001-04-30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3811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344A (ko) * 2002-08-31 2002-10-04 (주)포커스 인터넷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KR20040035134A (ko) * 2002-10-18 2004-04-29 김동필 유무선 통합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
KR20040043405A (ko) * 2002-11-18 2004-05-24 주식회사 컴퓨터프로덕션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
KR20040047385A (ko) * 2002-11-30 2004-06-05 주식회사 우주통신 전자감시 시스템 및 전자감시 방법
KR20040049714A (ko) * 2002-12-07 2004-06-12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5537A (ko) * 2003-02-21 2004-08-30 주식회사 에스엠아이티 모바일을 이용한 보안감시 시스템
KR20050119221A (ko) * 2004-06-16 2005-12-21 유비코스 주식회사 왑 기반 홈 보안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0774520B1 (ko) * 2001-05-29 2007-11-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경비 서비스 방법
KR100857073B1 (ko) * 2007-03-07 2008-09-05 용성종합경비(주)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025764B1 (ko) * 2010-12-04 2011-04-01 주식회사 누리정보기술 유비쿼터스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동영상 제어 방법
KR101029564B1 (ko) * 2010-11-24 2011-04-15 다모정보통신 주식회사 유비쿼터스관리서버의 동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043208B1 (ko) * 2010-12-03 2011-06-24 송시원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064497B1 (ko) * 2010-12-03 2011-09-14 주식회사 세븐옥션 유비쿼터스 통신에서 동영상 제어 이동 단말기
KR101182986B1 (ko) * 2005-10-21 2012-09-18 비알아이티(주)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20B1 (ko) * 2001-05-29 2007-11-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경비 서비스 방법
KR20020075344A (ko) * 2002-08-31 2002-10-04 (주)포커스 인터넷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KR20040035134A (ko) * 2002-10-18 2004-04-29 김동필 유무선 통합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
KR20040043405A (ko) * 2002-11-18 2004-05-24 주식회사 컴퓨터프로덕션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
KR20040047385A (ko) * 2002-11-30 2004-06-05 주식회사 우주통신 전자감시 시스템 및 전자감시 방법
KR20040049714A (ko) * 2002-12-07 2004-06-12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5537A (ko) * 2003-02-21 2004-08-30 주식회사 에스엠아이티 모바일을 이용한 보안감시 시스템
KR20050119221A (ko) * 2004-06-16 2005-12-21 유비코스 주식회사 왑 기반 홈 보안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182986B1 (ko) * 2005-10-21 2012-09-18 비알아이티(주) 영상결합기를 이용한 보안감시시스템과 그 방법
KR100857073B1 (ko) * 2007-03-07 2008-09-05 용성종합경비(주)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029564B1 (ko) * 2010-11-24 2011-04-15 다모정보통신 주식회사 유비쿼터스관리서버의 동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043208B1 (ko) * 2010-12-03 2011-06-24 송시원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064497B1 (ko) * 2010-12-03 2011-09-14 주식회사 세븐옥션 유비쿼터스 통신에서 동영상 제어 이동 단말기
KR101025764B1 (ko) * 2010-12-04 2011-04-01 주식회사 누리정보기술 유비쿼터스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동영상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3811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CN100518308C (zh) 移动通讯设备中远端触发多媒体数据传送的方法
EP1936577A2 (en) Enhanced multimedia intrus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15259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call-triggered image taking and send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175527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elematics terminal in a vehicle
US20050114897A1 (en) Bookmark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picture content
US6545698B2 (en) Mobile video telephone with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37366B1 (ko) 감시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감시영상 모니터링 방법
JP2007328490A (ja) 不審者通知システム
JP4240218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通報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KR100782734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보안 감시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JP4254435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4553221B2 (ja) 監視通報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監視通報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
KR100612023B1 (ko)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통신 방법
KR100361857B1 (ko)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943845B1 (ko)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을제공하는 장치
US10887552B1 (en) Door-knocking for teleconferencing
KR100974115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전송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73145B1 (ko) 단말기 분실 센터 서버 및 그 분실 단말기 회수 방법
JP5422076B1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20113017A (ko)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2382A (ko)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
JP3888466B2 (ja) 遠隔見守り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宅内装置
KR20060000024A (ko) 이벤트 발생시의 영상 정보 저장 및 알림 서비스 방법
KR100739662B1 (ko)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 및 그를 이용한 송신자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