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301A - 발포 충전 부재 - Google Patents

발포 충전 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301A
KR20070041301A KR1020060046311A KR20060046311A KR20070041301A KR 20070041301 A KR20070041301 A KR 20070041301A KR 1020060046311 A KR1020060046311 A KR 1020060046311A KR 20060046311 A KR20060046311 A KR 20060046311A KR 20070041301 A KR20070041301 A KR 2007004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oam sheet
fixing
she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꼬 긴빠라
신지 무또
신뻬이 니시까와
다께히로 우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9967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5087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6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2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a foamable synthetic material or metal being add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포 충전 부재를 제공하기 위해, 띠 형상의 발포 시트를 만곡시킴으로써,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겹쳐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합 부분에 클립의 삽입축을 삽입 관통하여, 중합 부분을 베이스부와 헤드부 사이에 협지하여, 발포 충전 부재를 형성한다. 그리고 내측 패널의 고정 구멍에 고정부의 지지부를 삽입 관통하여 클립을 내측 패널에 고정한다.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용접한 후, 본딩 도장 시의 건조 라인 공정에서의 가열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에 의해 필러의 내부 공간을 빈틈없이 충전한다.
발포 충전 부재, 발포 시트, 발포체, 필러, 내측 패널, 외측 패널

Description

발포 충전 부재{FOAM FILLING MEMBER}
도1은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의 사시도.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방법 중 일 실시 형태의 공정도이며, (a)는 발포 충전 부재를 필러에 설치하는 공정, (b)는 가열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에 의해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5는 도4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필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7은 도6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필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필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각 절입부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1은 도10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각 절입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도11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방법 중 일 실시 형태의 공정도이며, (a)는 발포 충전 부재를 필러에 설치하는 공정, (b)는 가열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에 의해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13은 실시예에서 이용한 필러의 치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5는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시트의 사시도이며, 각 절입부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6은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시트의 사시도이며, 각 절입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제6 실시 형태의 클립의 사시도.
도18은 제6 실시 형태의 클립의 정(正)투영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바닥면도, (d)는 우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19는 도1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발포 시트를 상방을 향해 슬라이드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발포 충전 부재의 사시도.
도20은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방법 중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1은 도20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 및 필러의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포 충전 부재
2 : 발포 시트
3 : 클립
4 : 고정부
5 : 계지부
12 : 중합 부분
14 : 절입부
21 : 필러
22 : 내부 공간
23 : 발포체
31 : 루프부
36 : 베이스부
39 : 지지부
40 : 유지부
46 : 돌출 부재
51 : 내측 패널
52 : 외측 패널
본 발명은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의 필러 등의 중공 구조물에서는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 내부 공간을 발포체로 충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은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발포 충전 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발포 충전 부재는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열에 의해 발포하여 발포체를 형성하고, 그 발포체에 의해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것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3-63443호 공보에서는 중공 패널의 내부 충전 영역에 미발포로 고형의 발포 충전재를 설치하고, 그 후 외부 가열에 의해 발포 충전재를 발포시킴으로써, 그 발포를 기초로 하는 발포체를 내부 충전 영역에 충전시키는 중공 패널의 발포 충전 방법이며, 발포 충전재를 탄성 변형하여 롤 형상으로 귄취되는 시트형 발포 기재에 의해 구성하고, 시트형 발포 기재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내부 충전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시트형 발포성 기재를 그 롤 형상의 탄성 변형을 기초로 하는 탄성 반발력에 의해 내부 충전 영역에 유지하고, 그 후 시트형 발포 기재를 가열 발포시킴으로써 그 발포를 기초로 하는 발포체를 내부 충전 영역에 충만시키는 중공 패널의 발포 충전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63443호 공보에 기재되는 발포 충전 방법에서 는, 시트형 발포성 기재를 그 롤 형상의 탄성 변형을 기초로 하는 탄성 반발력에 의해 내부 충전 영역에 유지하기 위해, 시트형 발포성 기재의 어긋남에 의해 롤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아, 그 결과 중공 패널의 내부 충전 영역을 확실하게 충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시트형 발포성 기재의 롤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시트형 발포성 기재를 클립 등으로 계지하면, 부품 개수가 증가하고, 또한 그 클립이 발포체 내에 메워지므로, 제진성이나 방음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자동차의 필러 등의 중공 구조물 안에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999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내부 공간(예컨대 사이드 프레임 외측부와 센터 필러 보강부 사이의 공간 및 센터 필러 보강부와 센터 필러 내측부 사이의 공간)을 갖고 있고, 이들 2개의 내부 공간이 각각 발포체로 충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11-9996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사이드 프레임 외측부와 센터 필러 보강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발포 충전재를 설치하고, 사이드 프레임 외측부와 센터 필러 보강부를 용접한 후, 센터 필러 보강부와 센터 필러 내측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발포 충전재를 설치하여, 센터 필러 보강부와 센터 필러 내측부를 용접해야만 한다. 따라서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발포 충전제를 설치하는 작업을 복수 회 행해야만 하여, 조립 작업이 번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포 충전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작업이 용이한 발포 충전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는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둔 부분이 대향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발포 시트의 각 상기 부분을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의 계지부에 의해,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면서, 고정 부재의 고정부에 의해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에 의해,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는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중합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발포 시트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의 계지부가 중합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면서, 고정 부재의 고정부에 의해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에 의해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는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맞대어지는 맞댐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발포 시트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의 계지부가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면서, 고정 부재의 고정부에 의해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에 의해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 므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는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대향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발포 시트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의 계지부가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면서, 고정 부재의 고정부에 의해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에 의해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는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가 겹치는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포 시트의 상기 중합 부분에는 루프 형상을 유 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발포 시트의 중합 부분에 형성되는 유지부에 의해, 발포 시트의 루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포 시트의 굽힘 탄성률이 2 내지 180 MPa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는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에 의해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발포 시트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발포 시트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발포 시트를 원하는 고정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쉽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는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과 다른 쪽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의 고정부를 구조물에 고정한 후, 발포 시트를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과 다른 쪽에 걸치도록 발포 시트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고정부를 구조물에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과 다른 쪽에 각각 구조물의 공간이 위치하는 경우에, 그들의 공간에 걸치도록 발포 시트를 배치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어, 그들의 공간에 각각 발포 충전재를 설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조립 작업이 쉽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는 부분이,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발포 시트를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시킬 때, 발포 시트의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는 부분이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의 공간 내의 광범위에 걸쳐 발포 시트를 진입시킬 수 있으므로,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발포 시트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발포 시트의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발포 시트를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 드시킬 때, 발포 시트의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는 부분이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방향으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넓어진다. 따라서 발포 시트를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의 공간 내의 광범위에 걸쳐 진입시키기 쉬우므로, 조립 작업이 쉽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가 겹치는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됨으로써, 그 양단부 측이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발포 시트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발포 재료로 고정부에 대하여 다른 쪽 공간의 광범위에 발포 시트의 중앙부 측을 개재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의 공간 내의 광범위에 걸쳐 발포 시트의 양단부 측을 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포 재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의 줄이기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발포 시트를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다른 쪽을 향해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상기 중합 부분에 결합하여, 상기 발포 시트의 슬라이드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부에 대하여 다른 쪽을 향해 발포 시트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발포 시트가 슬라이드하여 고정 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스토퍼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 중에 발포 시트가 고정 부재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어, 조립 작업이 쉽다.
또,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상기 고정부는 구조물의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에,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상기 제1 공간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다른 쪽에 상기 제2 공간이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발포 충전 부재에서는, 고정 부재의 고정부를 구조물에 고정한 후, 발포 시트를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제1 공간과 제2 공간에 걸치도록 발포 시트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과 제2 공간에 각각 발포 충전재를 설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조립 작업이 쉽다.
도1은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이 발포 충전 부재(1)는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발포 시트(2)와, 발포 시트(2)를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의 클립(3)을 구비하고 있다.
발포 시트(2)는 가열(예컨대 120 내지 210 ℃ 전후)에 의해 발포하는 발포 재료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포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발포용 폴리머가 이용된다. 발포용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에틸렌/초산 비닐 중공 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브티랄,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케톤 등의 수지,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폴리 부타디 엔 고무(BR) 등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초산 비닐 중공 합체가 이용된다. 에틸렌/초산 비닐 중공 합체를 이용함으로써, 발포 배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이들 발포용 폴리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재료에는 발포용 폴리머를 발포 및 경화시키기 위해, 또한 예컨대 가교제, 발포제, 필요에 따라 발포 조제 등이 적절하게 배합된다.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가열에 의해 분해되어, 유리(遊離) 래디컬을 발생하여 분자 간 또는 분자 내에 가교 결합을 형성시키는 공지의 래디컬 발생제가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디크밀파옥사이드, 1, 1-디타샤리부틸파옥시-3, 3, 5-트리메틸시클로헥산, 2, 5-디메틸-2, 5-디타샤리부틸파옥시헥산, 2, 5-디메틸-2, 5-디타샤리부틸파옥시헥산, 1, 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 벤젠, 타샤리부틸파옥시케톤, 타샤리부틸파옥시벤조에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포용 폴리머가 가황 가능한 경우에는, 가교제로서 공지의 가황제를 이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가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유황, 유황 화합물류, 셀렌, 산화 마그네슘, 일산화납, 산화 아연, 폴리아민류, 옥심류, 니트로소 화합물류, 수지류, 암모늄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발포용 폴리머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중량부이다.
또한, 가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황 촉진제를 병용할 수 있다. 가황 촉진제로서는, 예컨대 디티오컬바민산류, 티아졸류, 구아니딘류, 술펜아미드류, 티우럼류, 키산트겐산류, 알데히드암모니아류, 알데히드아민류, 티오우레아류 등의 공지의 가황 촉진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가황 촉진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그 배합 비율은 발포용 폴리머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이다.
또한, 가황 촉진제와는 반대로, 성형성의 조절 등을 목적으로 하여, 예컨대 유기산이나 아민류 등의 공지의 가황 지연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발포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공지의 무기계 발포제나 유기계 발포제가 이용된다. 무기계 발포제로서는, 예컨대 탄산 암모늄, 탄산수소 암모늄, 탄산수소 나트륨, 아초산 암모늄, 수소화 붕소 나트륨, 아지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계 발포제로서는, 예컨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바륨아조디카르복시레이트, 아조비스이부티로니트릴, 아조디카르본산아미드 등의 아조계 화합물, 예컨대 N, 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 N'-디메틸-N, 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트리니트로트리메틸트리아민 등의 니트로소계 화합물, 예컨대 4, 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파라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디페닐술폰-3, 3'-디술포닐히드라지드, 아릴비스(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의 히드라지드계 화합물, 예컨대 p-톨이렌술포닐세미칼바지드, 4, 4’옥시비스(벤젠술포닐세미컬바지드) 등의 세미컬바지드계 화합물, 예컨대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 탄 등의 불화알칸, 예컨대 5-몰호릴-1, 2, 3, 4-티아트리아졸 등의 트리아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발포제 중에서도 발포용 폴리머의 연화 온도 이상에서 분해하여 가스를 발생하고, 또한 후술하는 발포체의 형성 시에 있어서, 대부분 발포하지 않는 것이 조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10 ℃ 전후에서 발포하는 것이 이용된다.
이들 발포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발포용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다.
또, 발포제의 배합량은 발포 시트(2)의 발포 시에 있어서, 그 발포 배율이 5 내지 25배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배 정도로, 실질적으로 독립 기포를 생기게 하는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발포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발포 시트(2)가 충분히 발포하지 않으며, 한편 발포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발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발포체의 수지 불균일에 의한 공간이 생겨, 모두 충전성이 저하한다.
발포 조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발포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공지의 발포 조제를 선택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요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요소계 화합물, 예컨대 산화아연, 산화 납 등의 금속 산화물, 예컨대 사리틸산, 스테아린산 등의 고급 지방산 또는 그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급 지방산 금속염이 이용된다.
이들 발포 조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조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발포용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부이다.
또한, 발포 재료에는 그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발포체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예컨대 안정제, 보강재, 충전제, 연화제나, 또한 필요에 따라서, 예컨대 가소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안료, 착색제, 곰팡이 방지제, 난연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발포 시트(2)는, 예컨대 우선, 상기한 각 성분을 상기한 배합 비율에 있어서 배합한 후, 예컨대 믹싱 롤, 가압식 반죽기(kneader) 등을 이용하여 혼합하여, 발포 재료를 조제한다. 이어서, 발포 재료를 프레스나 캘린더 롤 등을 이용하여 시트 형상으로 연속 성형하거나, 혹은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시트 형상으로 연속 성형한다. 그 후, 소정 폭의 띠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 시트(2)를 시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포 시트(2)를 연속 성형에 의해, 생산 효율적으로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는 발포 시트(2)는, 두께가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되지만, 일반적으로는 0.5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로 설정된다. 0.5 ㎜ 미만에서는,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충전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6.0 ㎜를 넘으면,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이 좁은 경우에, 부착(삽입)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발포 시트(2)는 굽힘 탄성률이 2 내지 180 MPa,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0 MPa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설정됨으로써, 발포 시트(2)에는 알맞은 굴곡성 및 반발탄성이 부여된다. 또, 굽힘 탄성률이 2 미만에서는 발포 시트(2)가 가열 시에 불균일해져 버려, 충전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180을 넘으면, 발포 시트(2)의 반발이 지나치게 커져, 구조물에 대한 부착 시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클립(3)은 경질 수지로 이루어져,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발포 시트(2)를 내부 공간(2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와, 발포 시트(2)를 계지하는 계지부(5)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4)는 베이스부(6)와, 베이스부(6)로부터 돌출하는 안쪽 계지부(7) 및 지지부(9)와, 지지부(9)로부터 안쪽 계지부(7)와 대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계지부(8)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6)는 발포 시트(2)를 받치는 대략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쪽 계지부(7)는 가요성의 얇은 판 부재로 이루어져, 베이스부(6)의 한쪽 면에 있어서,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ハ 형상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9)는 베이스부(6)의 한쪽 면에 있어서,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계지부(8)는 가요성의 얇은 판 부재로 이루어져, 지지부(9)의 자유단부로부터 베이스부(6)를 향해,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ハ 형상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외측 계지부(8)의 자유단부가, 각 안쪽 계지부(9)의 도중과,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계지부(5)는 베이스부(6)로부터 지지부(9)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축(10)과, 삽입축(10)의 자유단부에 마련되는 헤드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축(10)은 직경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한 쌍의 절반 분할 부재(10A, 10B)로 이루어져, 베이스부(6)의 다른 쪽 면에 있어서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절반 분할 부재(10A, 10B)는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헤드부(11)는 삽입축(10)[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의 자유단부에 있어서, 삽입축(10)의 주위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는, 띠 형상의 발포 시트(2)를 만곡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겹쳐 대향하는 중합 부분(12)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무단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중합 부분(12)에 루프 형상의 외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클립(3)의 삽입축(10)을 삽입 관통하여, 삽입축(10)이 중합 부분(12)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그 내측에 헤드부(11)가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는 그 중합 부분(12)이 클립(3)의 베이스부(6)와 헤드부(11)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계지부(5)에 의해 계지되어 루프 형상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발포 충전 부재(1)는 구조물에 지지부(9)를 삽입하여, 안쪽 계지부(7)와 외측 계지부(8)로 구조물을 협지함으로써, 고정부(4) 에 의해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발포 충전 부재(1)를 고정하여, 발포 온도(예컨대 120 내지 210 ℃ 전후)로 가열하면, 발포에 의해 그 공간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러한 발포 충전 부재(1)는 특별히 제한되는 일없이, 제진, 방음, 또한 방진, 단열, 완충, 수밀 등을 목적으로 하여, 구조물의 공간에 충전하는, 예컨대 방진재, 방음재, 방진재, 단열재, 완충재, 밀봉재 등으로 하여, 각종 산업 제품의 발포 충전 부재(1)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의 계지부(5)가 중합 부분(12)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면서, 고정부(4)에 의해 발포 시트(2)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므로, 별도로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2)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중공 구조물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필러의 내부 공간을 발포에 의해 충전하면, 발포에 의해 형성된 발포체에 의해, 엔진의 진동이나 소음, 혹은 풍절(風切)음 등이 차실 내로 전달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자동차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방법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충전해야 할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하여,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합 부분(12)에 계지부(5)의 삽입축(10)을 삽입 관통하여, 클립(3)의 계지부(5)에 발포 시트(2)를 그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하는 루프 형상으로 계지 및 유지한다.
계속해서, 이 방법에서는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러(21)의 내부 공간에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한다. 필러(21)는 단면 대략 오목형의 내측 패널(24) 및 외측 패널(25)을 구비하고 있고, 필러(21)의 내부 공간에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발포 충전 부재(1)를 내측 패널(24)에 고정한다.
발포 충전 부재(1)를 내측 패널(24)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클립(3)에 있어서, 고정부(4)의 지지부(9)를, 외측 계지부(8)를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지부(9)에 근접하도록 휘게 하면서, 내측 패널(24)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고정 구멍(26)에, 내측 패널(24)의 안쪽 면[외측 패널(25)과의 대향면]으로부터 외측 면을 향해 삽입 관통한다. 그리고 지지부(9)와 함께 외측 계지부(8)를, 고정 구멍(26)의 외측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그러면, 외측 계지부(8)는 그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9)로부터 이격하도록 복원하여, 내측 패널(24)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한편, 안쪽 계지부(7)는 지지부(9)가 고정 구멍(26)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는, 내측 패널(24)의 안쪽 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즉, 내측 패널(24)은 고정 구멍(26)에 지지부(9)가 삽입 관통되는 동시에, 그 고정 구멍(26)의 근방에 있어서 안쪽 계지부(7)와 외측 계지부(8)로 협지된다. 이에 의해, 클립(3)의 고정부(4)가 내측 패널(24)에 고정된 다.
그 후, 발포 충전 부재(1)가 고정된 내측 패널(24)과 외측 패널(25)의 양단부의 플랜지부를 대향 접촉시켜,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이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는 필러(21)의 폐단면이 된 내부 공간(22)에 고정된다.
그 후, 이 방법에서는 필러(21)의 내주면에 방청 처리를 한 후에,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그 후의 본딩 도장 시의 건조 라인 공정에서의 가열(예컨대 110 내지 190 ℃)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23)를 형성하고, 이 발포체(23)에 의해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을 빈틈없이 충전한다.
또, 발포체(23)의 형상, 설치 위치, 배치 방향 및 배치 수 등은 필러(21)의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또한, 필러(21)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본체의 프론트 필러, 사이드 필러 혹은 리어 필러로서 이용된다.
또한, 발포체(23)는 그 밀도[발포체의 중량(g)/발포체의 부피(㎤)]가, 예컨대 0.04 내지 0.2g/㎤, 또한 0.05 내지 0.1g/㎤이며, 또한 발포 시의 발포 배율이 5 내지 25배, 또한 10 내지 20배인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이러한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에 의해 발포 시트(2)를, 미리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하는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발포 시트(2)를 필러(21)의 내부 공간(22)에 적절한 크기로,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발포 시트(2)를 발포 시트(2)의 어긋남에 의해 루프 형상이 무너지는 일도 없어, 가장 적절한 크기로 안정적으로 발포시킬 수 있으므로, 발포체(23)에 의해 내부 공간(22)을 확실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5는 도4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필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4 및 도5에 있어서, 상기한 부재와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겹쳐 대향하는 중합 부분(12)이 형성되도록, 발포 시트(2)를 루트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중합 부분(12)에 클립(3)의 삽입축(1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킴으로써, 클립(3)에 의해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했지만, 중합 부분(12)을 형성하지 않고도, 예컨대 도4의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여 맞대어지는 맞댐 부분(15)이 형성되도록,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각 단부에, 클립(3)의 삽입축(10)의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킴으로써, 클립(3)에 의해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도4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우선 띠 형상의 발포 시트(2)를 만곡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여 맞대어지는 맞댐 부분(15)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무단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맞대어진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각 단부에, 루프 형상의 외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클 립(3)의 삽입축(10)의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를 각각 삽입 관통하고,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가 각 단부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그 내측에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의 헤드부(11)가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는 그 길이 방향 각 단부가 클립(3)의 베이스부(6)와 각 헤드부(11)와의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계지부(5)에 의해 계지되어 루프 형상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제2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도, 구조물에 지지부(9)를 삽입하여, 안쪽 계지부(7)와 외측 계지부(8)로 구조물을 협지함으로써, 고정부(4)에 의해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발포 충전 부재(1)를 고정하여, 발포 온도(예컨대 120 내지 210 ℃ 전후)로 가열하면, 발포에 의해 그 공간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방진재, 방음재, 방진재, 단열재, 완충재, 밀봉재 등으로 하여, 각종 산업 제품의 발포 충전 부재(1)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의 계지부(5)가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면서, 고정부(4)에 의해 발포 시트(2)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므로, 별도로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2)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 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예컨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해야 할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하여,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각 단부에 계지부(5)의 삽입축(10)의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를 각각 삽입 관통하고, 그 후 필러(21)의 내부 공간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한 후, 예컨대 본딩 도장 시의 건조 라인 공정에서의 가열(예컨대 110 내지 190 ℃)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를 형성하면, 이 발포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7은 도6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필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6 및 도7에 있어서, 상기한 부재와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예컨대 도6의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대향 부분(16)이 형성되도록,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각 단부에, 클립(3)의 삽입축(10)의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킴으로써, 클립(3)에 의해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도6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우선 띠 형상의 발포 시트(2) 를 만곡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대향 부분(16)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무단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대향 배치된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각 단부에, 루프 형상의 외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클립(3)의 삽입축(10)의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를 각각 삽입 관통하고,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가 각 단부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그 안쪽에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의 헤드부(11)가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는 그 길이 방향 각 단부가 클립(3)의 베이스부(6)와 각 헤드부(11)와의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계지부(5)에 의해 계지되어 루프 형상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제3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도, 구조물에 지지부(9)를 삽입하여, 안쪽 계지부(7)와 외측 계지부(8)로 구조물을 협지함으로써, 고정부(4)에 의해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발포 충전 부재(1)를 고정하여 발포 온도(예컨대 120 내지 210 ℃ 전후)로 가열하면, 발포에 의해 그 공간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방진재, 방음재, 방진재, 단열재, 완충재, 밀봉재 등으로 하여, 각종 산업 제품의 발포 충전 부재(1)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의 계지부(5)가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면서, 고정부(4)에 의해 발포 시트(2)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구조물에 고 정하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므로, 별도로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2)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예컨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해야 할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하여,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각 단부에 계지부(5)의 삽입축(10)의 각 절반 분할 부재(10A, 10B)를 각각 삽입 관통하고, 그 후 필러(21)의 내부 공간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한 후, 예컨대 본딩 도장 시의 건조 라인 공정에서의 가열(예컨대 110 내지 190 ℃)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를 형성하면, 이 발포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필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8 및 도9에 있어서, 상기한 부재와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예컨대 도8의 제4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의 계지부(5)를 베이스부(6)와 함께 대략 단면 역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을 그 계지부(5)로 두께 방향으로 협지시킴으로써, 클립(3)에 의해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도8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의 계지부(5)는, 삽입축(10) 및 헤드부(11)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그 대신에 베이스부(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지지부(9)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의 측벽(17)과, 그 측벽(17)의 상단부에서 베이스부(6)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의 상부벽(18)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그 상부벽(18)의 자유단부이며, 베이스부(6)와 대향하는 표면에는 베이스부(6)를 향해 돌출하는 단면 대략 삼각형의 갈고리부(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우선 띠 형상의 발포 시트(2)를 만곡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겹쳐 대향하는 중합 부분(12)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그 중합 부분(12)에 발포 시트(2)의 폭 방향을 따라서 계지부(5)를 외부 끼움하여, 상부벽(18)의 갈고리부(19)와 베이스부(6)로 중합 부분(12)을 두께 방향으로 협지한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는 그 중합 부분(12)이 클립(3)의 베이스부(6)와 상부벽(18)과의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계지부(5)에 의해 계지되어 루프 형상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제4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도 구조물에 지지부(9)를 삽입하고, 안쪽 계지부(7)와 외측 계지부(8)로 구조물을 협지함으로써, 고정부(4)에 의해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발포 충전 부재(1)를 고정하여 발포 온도(예컨대 120 내지 210 ℃ 전후)로 가열하면, 발포에 의해 그 공간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이, 예컨대 방진재, 방음재, 방진재, 단열재, 완충재, 밀봉재 등으로 하여, 각종 산업 제품의 발포 충전 부재(1)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의 계지부(5)가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을 두께 방향으로 협지함으로써,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면서, 고정부(4)에 의해 발포 시트(2)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구조물로 고정하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므로, 별도로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2)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예컨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해야 할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하여,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을 계지부(5)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서 협지하여, 그 후 필러(21)의 내부 공간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한 후, 예컨대 본딩 도장 시의 건조 라인 공정에서의 가열(예컨대 110 내지 190 ℃)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를 형성하면, 이 발포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각 절입부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11은 도10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각 절입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을 클립(3)의 계지부(5)로 계지함으로써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했지만, 예컨대 도10 및 도11의 제5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1)와 같이, 발포 시트(2) 자체에, 유지부로서의 결합부(13)를 마련하여 클립(3)의 계지부(5)에서의 계지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즉,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후술하는 중합 부분(12)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폭 방향(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중까지 절입되는 절입부(14)가, 서로 폭 방향 반대측으로부터 절입되도록 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입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결합부(13)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띠 형상의 발포 시트(2)를 만곡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그 교차 위치에서 겹쳐 중합 부분(교차 부분)(12)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무단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중합 부분(12)에 형성되어 있는 절입부(14)를,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끼워 맞추어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는 그 중합 부분(12)의 각 절입부(14)의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므로, 루프 형상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발포 충전 부재(1)는, 구조물 사이의 공간 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발포 시트(2)의 탄성력에 의해 구조물에 압접시킴으로써 고정하여, 발포 온도(예컨대 120 내지 210 ℃ 전후)로 가열하면, 발포에 의해 그 공간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러한 발포 충전 부재(1)도 또한, 특별히 제한되는 일없이, 제진, 방음, 또한 방진, 단열, 완충, 수밀 등을 목적으로 하여, 구조물의 공간에 충전하는, 예컨대 방진재, 방음재, 방진재, 단열재, 완충재, 밀봉재 등으로 하여, 각종 산업 제품의 발포 충전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에 형성되는 결합부(13)에 의해, 발포 시트(2)의 루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별도로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2)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중공 구조물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필러의 내부 공간을 발포에 의해 충전하면, 발포에 의해 형성된 발포체에 의해, 엔진의 진동이나 소음, 혹은 풍절음 등이 차실 내로 전달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방법을,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12에 있어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충전해야 할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 하여,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합 부분(교차 부분)(12)에 있어서, 각 절입부(14)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를 그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하는 루프 형상으로 유지한다.
계속해서, 이 방법에서는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러(21)의 내부 공간(22)에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한다.
필러(21)의 내부 공간(22)에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서로 용접된 내측 패널(24) 및 외측 패널(25)에 의해 형성되는 폐단면이 된 내부 공간(22)에 있어서, 발포 시트(2)를 그 탄성력에 의해 필러(21)의 내주면에 압접시킴으로써 고정한다.
그리고 이 방법에서는, 필러(21)의 내주면에 방청 처리를 한 후에,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그 후의 본딩 도장 시의 건조 라인 공정에서의 가열[예컨대 110 내지 190 ℃]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23)를 형성하고, 이 발포체(23)에 의해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을 빈틈없이 충전한다.
그리고 이러한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발포 시트(2) 자체에 마련되는 결합부(13)에 의해, 발포 시트(2)를, 미리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의 크기에 대응하는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발포 시트(2)를 필러(21)의 내부 공간(22)에 가장 적절한 크기로,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발포 시트(2)를 발포 시트(2)의 어긋남에 의해 루프 형상이 무너지는 일도 없고, 최적의 크기로 안정적으로 발포시킬 수 있으므로, 발포체(23)에 의해 내부 공간(22)을 확 실하면서도 또한 안정적으로,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결합부(13)를, 중합 부분(12)에 있어서, 폭 방향 도중까지 절입되는 절입부(14)에 의해 형성했지만, 결합부(13)는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에 있어서 발포 시트(2)를 고정할 수 있으면,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한쪽 단부에 절입부(14)를 더욱 깊게 형성하고, 다른 쪽 단부에는, 절입부(14)를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좋고, 또한 서로 결합하는 절입부(14)를 복수 형성해도 좋다.
도14는 본 발명의 발포 충전 부재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에 있어서의 오른쪽 앞쪽을 전방, 왼쪽 안쪽을 후방, 왼쪽 앞쪽을 좌측, 오른쪽 안쪽을 우측으로 하여 설명한다(도17에 있어서 동일함).
도14에 있어서, 이 발포 충전 부재(1)는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발포 시트(2)와, 발포 시트(2)를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의 클립(3)을 구비하고 있다.
도15는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시트(2)의 사시도이며, 각 절입부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16은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시트(2)의 사시도이며, 각 절입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다.
발포 시트(2)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며, 가열[예컨대 120 내지 210 ℃ 전후]에 의해 발포하는 발포 재료로, 긴 형상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발포 시트(2)의 두께는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시트(2)에서는, 일반적으 로는 0.5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로 설정된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시트(2)에서는, 제5 실시 형태의 발포 시트(2)와 마찬가지로,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중합 부분(12)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폭 방향(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중까지 절입되는 절입부(14)가, 서로 폭 방향 반대측으로부터 절입되도록 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입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결합부(13)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포 시트(2)를 만곡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그 교차 위치에서 겹쳐 중합 부분(교차 부분)(12)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합 부분(12)에 형성되어 있는 절입부(14)를,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끼워 맞추어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는 그 중합 부분(12)의 각 절입부(14)의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루프 형상으로 유지된다. 발포 시트(2)의 각 절입부(14)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중합 부분(12)보다도 중앙부 측에 루프부(31)가 형성되고, 중합 부분(12)보다도 양단부 측에 자유단부(32)가 형성된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결합부(13)를, 중합 부분(12)에 있어서 폭 방향 도중까지 절입되는 절입부(14)에 의해 형성했지만, 결합부(13)는 제5 실시 형태의 발포 시트(2)와 마찬가지로,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에 있어서 발포 시트(2)를 고정할 수 있으면,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한쪽 단부에 절입부(14)를 더욱 깊게 형성하고, 다른 쪽 단부에는 절 입부(14)를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좋고, 또한 서로 결합하는 절입부(14)를 복수 형성해도 좋다.
도17은 제6 실시 형태의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18은 제6 실시 형태의 클립의 정투영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바닥면도, (d)는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7 및 도18에 있어서, 클립(3)은 경질 수지로 이루어져,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발포 시트(2)를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와, 발포 시트(2)를 계지하는 계지부(5)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4)는 베이스부(36)와, 베이스부(36)로부터 돌출되는 안쪽 계지부(37) 및 지지부(39)와, 지지부(39)로부터 안쪽 계지부(37)와 대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계지부(38)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3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쪽 계지부(37)는 가요성의 얇은 판 부재로 이루어져, 베이스부(366)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상단부로부터 베이스부(36)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ハ 형상으로, 각각 경사 아래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9)는 베이스부(36)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하단부로부터 베이스부(36)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계지부(38)는 가요성의 얇은 판 부재로 이루어져, 지지부(39)의 자유단부로부터 베이스부(36)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ハ 형상으로, 각각 경사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안쪽 계지부(37) 의 자유단부가, 각 외측 계지부(38)의 도중과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계지부(5)는 그 양단부가 2개의 지지부(39)에 각각 결합된 대략 U자형의 유지부(40)와, 2개의 지지부(39)의 각 전단부에 걸쳐진 전방 협지부(41)와, 2개의 지지부(39)의 각 후단부에 걸쳐진 후방 협지부(42)를 구비하고 있다. 평면에서 보아, 전방 협지부(41)와 베이스부(36)의 전방면과의 사이, 및 후방 협지부(42)와 베이스부(36)의 후방면과의 사이에, 각각 일정한 간격[예컨대 발포 시트(2)의 두께와 같은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40)는 2개의 지지부(39)로부터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측판부(43) 및 우측판부(44)와, 이들의 좌측판부(43) 및 우측판부(44)의 각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판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판부(43) 및 우측판부(44)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그들 상하 방향의 중앙부 근방에, 각각 대향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재(46)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 부재(46)는 가요성의 얇은 판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대향 방향을 향해 뾰족해진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을 갖고, 그들의 선단부 끼리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구획되어 있다.
이 발포 충전 부재(1)는 띠 형상의 발포 시트(2)를 만곡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겹쳐 중합 부분(12)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합 부분(12)을 클립(3)의 유지부(40)와 고정부(4)로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의 공간 내에 배치하고, 발포 시트(2)의 한쪽 자유단부(32)를, 전방 협지부(41)와 베이스부(36)의 전방면으로 협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다른 쪽의 자유단부(32)를, 후방 협지부(42)와 베 이스부(36)의 후방면으로 협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함으로써 형성된다(도14 참조).
또한,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이 클립(3)의 유지부(40)의 하부판부(45)와 돌출 부재(46)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가 아래쪽을 향해 슬라이드하였을 때에, 클립(3)의 하부판부(45)가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에 결합하여, 발포 시트(2)의 슬라이드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된다.
도1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발포 시트(2)를 상방을 향해 슬라이드시키면, 발포 시트(2)의 한쪽 자유단부(32)가 전방 협지부(41)와 베이스부(36)의 전방면과의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슬라이드하고, 발포 시트(2)의 다른 쪽의 자유단부(32)가 후방 협지부(42)와 베이스부(36)의 후방면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에 수반하여,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이 클립(3)의 각 돌출 부재(46)를 타고 넘어, 고정부(4)와 돌출 부재(46)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베이스부(36)의 하단부 모서리에 접촉한다.
이때, 발포 시트(2)의 한쪽 자유단부(32)는 전방측을 향해 슬라이드하고, 발포 시트(2)의 다른 쪽의 자유단부(32)는 후방측을 향해 슬라이드한다. 즉, 발포 시트(2)는 그 2개의 자유단부(32)가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발포 시트(2)를 상방측을 향해 슬라이드시킬 때, 발포 시트(2)의 각 자유단부(32)가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클립(3)의 베이스부(36)에는, 그 전방면 및 후방면에 각각 가이드부로서의 돌기부(47)가 2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부(47)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을 갖고,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다. 베이스부(36)의 전방면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47)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전방 협지부(41)와 베이스부(36)의 전방면과의 사이를 슬라이드하는 발포 시트(2)의 한쪽 자유단부(32)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각각 미끄럼 접촉한다. 베이스부(36)의 후방면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47)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후방 협지부(42)와 베이스부(36)의 후방면과의 사이를 슬라이드하는 발포 시트(2)의 다른 쪽 자유단부(32)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각각 미끄럼 접촉한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는 상방측을 향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그 자유단부(32)가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각 돌기부(47)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는, 구조물에 고정부(4)를 삽입하여, 안쪽 계지부(37)와 외측 계지부(38)로 구조물을 협지함으로써, 고정부(4)에 의해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발포 충전 부재(1)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에 대하여 발포 시트(2)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고정부(4)가 부착된 구조물에 대하여 한쪽과 다른 쪽으로 형성된 2개의 공간 내에 발포 시트(2)를 걸치게 할 수 있다.
발포 시트(2)를 발포 온도(예컨대 120 내지 210 ℃ 전후)로 가열하면, 발포에 의해 그 발포 시트(2)가 설치되어 있는 2개의 공간을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러한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도, 또한 특별히 제한되는 일없이, 제진, 방음, 또한 방진, 단열, 완충, 수밀 등을 목적으로 하여, 구조물의 공간에 충전하는, 예컨대 방진재, 방음재, 방진재, 단열재, 완충재, 밀봉재 등으로 하여, 각종 산업 제품의 발포 충전 부재(1)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중공 구조물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필러의 내부 공간을 발포에 의해 충전하면, 발포에 의해 형성된 발포체에 의해, 엔진의 진동이나 소음, 혹은 풍절음 등이 차실 내로 전달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20은 이 발포 충전 부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방법 중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에 나타내는 발포 충전 부재 및 필러의 우측면도이다.
다음에,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필러(21)의 내부 공간(22)을 충전하는 방법을, 도 20 및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20 및 도21에서는,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필러(21)의 발포 충전 부재(1)가 부착되는 부분의 근방만을 나타내고, 필러(21)의 다른 부분은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발포 충전 부재(1)는, 예컨대 통 형상의 내측 패널(51)과, 이 내측 패널(51)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 패널(51)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패널(52)을 구비한 이중 구조를 갖는 필러(21)에 적용된다. 이러한 필러(21)는 내부 공간(22)으로서, 내부 패널(51)과 외측 패널(52) 사이에 형성된 제1 공 간(22A)과, 내측 패널(51)의 내부에 형성된 제2 공간(22B)을 갖고 있다. 외측 패널(52)과 대향하는 내측 패널(51)의 부분은 제1 공간(22A)과 제2 공간(22B)을 구획하는 구획 벽(53)으로 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충전해야 할 필러(21)의 내부 공간(22)[제1 공간(22A) 및 제2 공간(22B)]의 크기에 대응하여,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을 클립(3)의 유지부(40)의 하부판부(45)와 돌출 부재(46) 사이의 공간에 배치시키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한쪽 자유단부(32)를, 전방 협지부(41)와 베이스부(36)의 전방면으로 협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고, 발포 시트(2)의 다른 쪽의 자유단부(32)를, 후방 협지부(42)와 베이스부(36)의 후방면으로 협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한다.
이어서, 이 방법에서는 필러(21)의 내부 공간(22)에,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한다. 필러(21)의 내부 공간(22)에 발포 충전 부재(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발포 충전 부재(1)를 내측 패널(51)에 고정한다. 즉, 클립(3)에 있어서 고정부(4)를 안쪽 계지부(37)의 자유단부를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베이스부(36)에 근접하도록 휘게 하면서, 내측 패널(51)의 구획벽(53)에 형선된 고정 구멍(54)에, 내측 패널(51)의 안쪽으로부터 외측[외측 패널(52) 측]을 향해 삽입 관통한다. 그리고 베이스부(36)의 상부와 함께 안쪽 계지부(37)를, 고정 구멍(54)의 외측으로 노출시킨다. 그러면, 안쪽 계지부(37)는 그 탄성력에 의해, 그 자유단부가 베이스부(36)로부터 이격하도록 복원하여, 내측 패널(51)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한편, 외측 계지부(38)는 베이스부(36)가 고정 구멍(54)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는, 내측 패널(51)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즉, 내측 패널(51)은 고정 구멍(54)에 베이스부(36)가 삽입 관통되는 동시에, 그 고정 구멍(54)의 근방에 있어서, 안쪽 계지부(37)와 외측 계지부(38)로 협지된다. 이에 의해, 클립(3)의 고정부(4)가 내측 패널(51)에 고정된다.
그 후, 이 방법에서는 발포 시트(2)를 상방을 향해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도 20 및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시트(2)의 중합 부분(12)을 클립(3)의 각 돌출 부재(46)를 타고 넘도록, 고정부(4)와 돌출 부재(46)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시켜, 베이스부(36)의 하단부 모서리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발포 시트(2)의 한쪽 자유단부(32)가, 전방 협지부(41)와 베이스부(36)의 전방면과의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슬라이드하는 동시에, 발포 시트(2)의 다른 쪽의 자유단부(32)가 후방 협지부(42)와 베이스부(36)의 후방면과의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때, 발포 시트(2)의 2개의 자유단부(32)는 도19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3)의 돌기부(47)에 의해 가이드되어, ハ 형상으로 넓어진다. 그리고 발포 시트(2)를 다시 슬라이드시키면, 각 자유단부(32)가 외측 패널(52)에 닿아, 도19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자유단부(32)의 선단부측이 루프부(31) 측에 근접하도록 만곡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부(4)에 대하여 한쪽에 위치하는 제1 공간(22A)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발포 시트(2)의 각 자유단부(32)가 배치되고, 고정부(4)에 대하여 다른 쪽에 위치하는 제2 공간(22B)에 발포 시트(2)의 루프부(31)가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공간(22A)과 제2 공간(22B)에 발포 시트(2)가 걸친 상태가 된다.
내측 패널(51)은, 예컨대 2개의 분할체가 접합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한쪽의 분할 부재에 형성된 고정 구멍(54)에 발포 충전 부재(1)를 고정한 후, 그 분할 부재와 다른 쪽의 분할 부재를 대향 접촉시켜,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외측 패널(52)은, 예컨대 내측 패널(51)의 외면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도 좋고, 내측 패널(51)의 전체를 덮도록 하여, 그 내면의 전체가 내측 패널(51)의 외면 전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되어도 좋다.
그 후, 이 방법에서는 필러(21)의 내주면에, 방청 처리를 한 후에, 예컨대 그 후의 본딩 도장 시의 건조 라인 공정에서의 가열[예컨대 110 내지 190 ℃]에 의해, 발포 충전 부재(1)를 발포,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를 형성하고, 이 발포체에 의해 필러(21)의 제1 공간(22A) 및 제2 공간(22B)을 빈틈없이 충전한다.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에 의해 발포 시트(2)를 필러(21) 등의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한 상태에서, 클립(3)에 대하여 발포 시트(2)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클립(3)에 대하여 발포 시트(2)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발포 시트(2)를 원하는 고정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쉽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의 고정부(4)를 필러(21) 등의 구조물에 고정한 후, 발포 시트(2)를 고정부(4)에 대하여 한쪽(상방측)을 향해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제1 공간(22A)과 제2 공간(22B)에 걸치도록 발포 시트(2)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22A)과 제2 공간(22B)에 각각 발포 충전재를 설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조립 작업이 쉽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발포 시트(2)를 고정부(4)에 대하여 한쪽[제1 공간(22A) 측]을 향해 슬라이드시킬 때, 발포 시트(2)의 자유단부(32)가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고정부(4)에 대하여 한쪽의 공간 내[제1 공간(22A) 내]의 광범위에 걸쳐 발포 시트(2)를 진입시킬 수 있으므로,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발포 시트(2)를 고정부(4)에 대하여 한쪽[제1 공간(22A) 측]을 향해 슬라이드시킬 때, 발포 시트(2)의 각 자유단부(32)가 클립(3)의 돌기부(가이드부)(47)를 따라서,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넓어진다. 따라서 발포 시트(2)를 고정부(4)에 대하여 한쪽 공간[제1 공간(22A)] 내의 광범위에 걸쳐 진입시키기 쉬우므로, 조립 작업이 쉽다.
게다가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발포 시트(2)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발포 재료로 고정부(4)에 대하여 다른 쪽의 공간[제2 공간(22B)]의 광범위에 발포 시트(2)의 중앙부측을 개재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정부(4)에 대하여 한쪽 공간 내[제1 공간(22A) 내]의 광범위에 걸쳐 발포 시트(2)의 양단부 측을 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포 재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의 줄이기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클립(3)에 의해 발포 시트(2)를, 미리 필 러(21)의 내부 공간(22)[제1 공간(22A) 및 제2 공간(22B)]의 크기에 대응하는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발포 시트(2)를 필러(21)의 내부 공간(22)에 가장 적절한 크기로,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발포 시트(2)를 발포 시트(2)의 어긋남에 의해 루프 형상으로 무너지는 일도 없어, 최적의 크기로 안정적으로 발포시킬 수 있으므로, 발포체에 의해 내부 공간(22)을 확실하면서도 또한 안정적으로 빈틈없이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조립 작업 중에 고정부(4)에 대하여 다른 쪽(아래쪽)을 향해 발포 시트(2)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발포 시트(2)가 슬라이드하여 클립(3)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하부판부(스토퍼)(45)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 중에 발포 시트(2)가 클립(3)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어, 조립 작업이 쉽다.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에서는, 이상의 일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예컨대 발포 시트(2)는 클립(3)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는 구성이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1)는 이중 구조를 갖는 필러(21)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을 갖는 필러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어, 필러 이외의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할 할 수도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 은 어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발포 충전 부재의 제작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에 있어서, 발포용 폴리머, 가교제 및 발포제의 각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을 이용하여 온도 110 ℃, 회전수 20 분- 1으로 혼합함으로써, 발포 재료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발포 재료를 열 프레스로 110 ℃, 1분간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5 ㎜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이것을, 길이 175 ㎜ × 폭 15 ㎜의 띠 형상으로 잘라내어, 제1 내지 제6 실시예의 발포 시트를 얻었다. 각 실시예의 발포 시트의 굽힘 탄성률을 표 1에 나타낸다.
그리고 각 실시예의 발포 시트를 만곡시켜,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겹쳐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합 부분에 무단부 형상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중합 부분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도록,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클립을 삽입 관통하고, 이에 의해 각 실시예의 발포 충전 부재를 얻었다.
또, 이 발포 충전 부재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의 발포 충전 부재에 상당한다.
2) 발포 충전 부재의 필러에 대한 부착 및 발포
상기에 의해 얻게 된 각 실시예의 발포 충전 부재를, 도13에 나타내는 치수의 필러의 내부 공간에 클립을 거쳐서 각각 부착하고, 그 후 발포에 의해 내부 공간을 충전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선 각 실시예의 발포 충전 부재를, 클립을 거쳐서 내측 패널에 고정하고, 그 후 외측 패널을 내측 패널에 씌워,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양단부의 플랜지부를 대향 접촉시켜 용접에 의해 접합하였다. 또, 이때의 각 실시예의 발포 충전 부재의 필러에 대한 부착 작업성(발포 시트의 반발에 의한 필러에 대한 부착 쉬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평가는 ○(양호), △(보통)으로 하였다.
다음에, 발포 충전 부재가 부착된 각 필러를, 오븐에 160 ℃에서 20 분간 투입하고 발포시켜, 그 필러의 내부 공간에 대한 충전성을 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평가는 ○(양호), △(보통)으로 하였다.
발포용폴리머 *1 재질 상품명 메이커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 제5 실시예 제 6 실시예
EVA 에바 플렉스 EV40LX 미쓰이 듀폰 100 - - - - -
EVA 에바 플렉스 EV460 미쓰이 듀폰 - 100 - - - -
EVA 울트라센543 도오소오 - - 100 - - -
EVA 울트라센511F 도오소오 - - - 100 - -
EVA 울트라센760 도오소오 - - - - 100 -
PE 스미카센G210 미쓰이스미또모폴리오레핀 - - - - - 100
가교제 DCP *2 파크밀 D-40MBK 니뽄 유시 5 5 5 5 5 5
발포제 OBSH *3 셀마이크 SX 미교 가세이 20 80 20 20 20 20
굽힘 탄성률(MPa) 2 39 80 150 1 200
발포 충전성 △ *4
필러 부착 작업성 △ *5
*1 : EVA(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 PE(저밀도 폴리에틸렌)
·에바플렉스 EV40LX(미쓰이/듀폰 폴리케미컬샤제, MFR2.0, 초산비닐함량 41 질량 %)
·에바플렉스 EV460(미쓰이/듀폰 폴리케미컬샤제, MFR2.5, 초산비닐함량 19 질량 %)
·울트라센 543(도오소오샤제, MFR1.3, 초산비닐 함량 10 질량 %)
·울트라센 511F(도오소오샤제, MFR2.5, 초산비닐 함량 6 질량 %)
·울트라센 760(도오소오샤제, MFR70, 초산비닐 함량 42 질량 %)
·스미카센 G210(미쓰이스미또모 폴리올레핀샤제)
*2 OBSH : 4, 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에이와가세이고교샤제, 네오스렌 HM860P, OBSH 함량 80 중량 %, EPDM 함량 20 중량 %)
*3 DCP : 디크밀퍼옥사이드, 니뽄유시샤제, 파크밀 D-40 MBK, 디크밀퍼옥사이드 함량 40 중량 %, 실리카 + EPDM 함량 60 중량 %)
*4 : 발포층이 불균일하여, 일부에서 충전 불량 발생
*5 : 굽힘 탄성률이 높아 필러 부착 작업성이 불량
또,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 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명백한 본 발명의 변형 예는 후기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발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진성이나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조립 작업이 용이한 발포 충전 부재가 제공된다.

Claims (14)

  1.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둔 부분이 대향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발포 시트의 각 상기 부분을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2.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중합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발포 시트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3.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서로 맞대어지는 맞댐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발포 시트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4.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대향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발포 시트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발포 시트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5.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중합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협지하여, 상기 발포 시트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6.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가 겹치는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포 시트의 상기 중합 부분에는 루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트의 굽힘 탄성률이 2 내지 18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8. 구조물의 공간을 충전하는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충전 부재이며,
    발포 재료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포 시트와, 상기 발포 시트를 구조물의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과 다른 쪽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는 부분이,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발포 시트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발포 시트의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2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트는 상기 발포 시트가 겹치는 중합 부분이 형성되도록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을 향해 슬라이드됨으로써, 그 양단부 측이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발포 시트를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다른 쪽을 향해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상기 중합 부분에 결합하여, 상기 발포 시트의 슬라이드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구조물의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벽에,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한쪽에 상기 제1 공간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다른 쪽에 상기 제2 공간이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충전 부재.
KR1020060046311A 2005-10-14 2006-05-24 발포 충전 부재 KR20070041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9677 2005-10-14
JP2005299677A JP4185087B2 (ja) 2004-12-03 2005-10-14 発泡充填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301A true KR20070041301A (ko) 2007-04-18

Family

ID=3817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311A KR20070041301A (ko) 2005-10-14 2006-05-24 발포 충전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13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377B2 (en) Foam filling member
US7335413B2 (en) Foam filling member
EP1593587B1 (en) Foam filling member
US20100048748A1 (en) Filling foam composition, foam filling member, and filling foam
US20070276054A1 (en) Composition for foam filling, foam filling member, and foam for filling
JP4185087B2 (ja) 発泡充填部材
JP4414810B2 (ja) 発泡充填部材
JP4607714B2 (ja) 発泡充填部材
JP4451273B2 (ja) 発泡充填具
KR20070041301A (ko) 발포 충전 부재
JP3516806B2 (ja) 中空構造物における発泡性基材の支持構造
JP2009083497A (ja) 発泡充填部材
JP4355284B2 (ja) 発泡充填部材
JP2006151333A (ja) 発泡充填部材
JP5800489B2 (ja) 発泡充填部材
JP2004026990A (ja) 発泡用組成物、中空部材用発泡部材および充填用発泡体
JP4744547B2 (ja) 発泡充填部材
JP4463616B2 (ja) 発泡充填部材
JP5300704B2 (ja) 発泡性充填材
JP2004255863A (ja) 発泡充填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