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256A -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256A
KR20070040256A KR1020050095741A KR20050095741A KR20070040256A KR 20070040256 A KR20070040256 A KR 20070040256A KR 1020050095741 A KR1020050095741 A KR 1020050095741A KR 20050095741 A KR20050095741 A KR 20050095741A KR 20070040256 A KR20070040256 A KR 2007004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ying
storage space
wat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997B1 (ko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9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9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수행 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응축하는 응축수를 재순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키는 응축부와, 상기 응축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부와, 상기 응축부로부터 응축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부의 응축수 재순환에 대한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축수 재순환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고정조
12 : 건조부 13 : 저수통
14 : 수위감지수단 15 : 온도감지수단
21 : 송풍팬 22 : 건조덕트
23 : 히터 30 : 응축부
31 : 응축덕트 32 : 응축급수구
33 : 응축수밸브 40 : 급수부
41 : 급수밸브 42: 급수통
50 : 순환펌프 51 : 순환관
52 : 순환호스 60 : 배수펌프
61 : 배수관 62 : 배수호스
본 발명은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수행 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응축하는 응축수를 재순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즉 건조기, 세탁기 또는 드럼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경우나 식기세척기에서 세척한 식기를 건조시키는 경우 등에 있어서, 건조 수행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고 내부에서 응축시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일 예로서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드럼 세탁기의 경우에, 세탁기 내부의 고정조 내에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탈수 또는 건조를 하는 회전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조와 연통되는 건조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된 히터 및 송풍팬을 통해 상기 회전조 내부로 건조한 열풍이 공급되고, 상기 회전조 내부의 세탁물은 수증기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 수증기는 상기 고정조에 연통되어 마련된 덕 트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덕트 내부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상기 수증기는 응축되면서 상기 고정조의 하부 또는 별도로 마련된 저장공간에 고이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고인 물은 건조행정이 끝날 경우 또는 건조행정이 끝나기 전이라도 일정한 수위에 이르게 되면 배수펌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렇게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물이 외부에서 계속 공급되어서 덕트 내부로 급수하게 되는데, 건조 시간이 장시간이 됨에 따라 급수되는 물의 양도 굉장히 많아지게 되므로 건조 시에 응축되어 버려지는 물로 인해 낭비되는 물의 양이 지나치게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건조 수행 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응축에 가능한 한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한 번 사용한 물을 수증기의 응축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키는 응축부와, 상기 응축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부와, 상기 응축부로부터 응축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는 외부로부터의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밸브와 급수된 물이 상기 응축부로 이동하기 전에 일시 저장되는 급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기는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된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일정 수위가 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을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급수통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에는 온도감지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저장공간의 물의 온도가 상기 건조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는 최고의 온도로서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을 경우에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을 배수펌프에 의해 배수하게 하며 상기 급수부를 가동시켜 물을 상기 응축부로 공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부는 상기 건조부와 연통되어 수증기가 이동하는 응축덕트와, 상기 응축덕트로 물을 분사하는 응축급수구와, 상기 응축급수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응축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종료된 경우에 상기 응축수 밸브를 닫고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건조부에서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건조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급수부에서 물을 응축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응축부에서 물을 분사하여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에서 분사한 물과 수증기가 응축된 물이 저장공간에 저장되면서 설정된 수위에 도달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설정수위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의 물을 상기 급수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를 가동시키고 상기 급수부로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급수밸브를 닫는 단계; 건조행정이 종료되거나 저장공간 내의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을 때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부의 응축수 재순환에 대한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축수 재순환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중 건조기능을 갖는 드럼 세탁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능을 갖는 드럼 세탁기에 있어서, 본체(10)와 그 본체(10) 내부에 고정된 고정조(11)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조(11)의 내부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부(12)가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상기 건조부(12)에는 수 많은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건조부(12) 내의 세탁물 로부터의 수분은 상기 고정조(11)의 하부에 고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조(11)에는 건조덕트(22)가 연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덕트(22)의 내부에는 히터(23)가 설치되어 있고 건조덕트(22)의 단부에 마련된 송풍팬(21)이 일으키는 바람이 상기 히터(23)를 경유하여 건조덕트(22)를 통해 상기 건조부(12) 내로 열풍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열풍은 고온 건조한 공기로서 상기 건조부(12) 내의 세탁물이 함유한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이렇게 증발되어 방출되는 수증기는 상기 고정조(11)와 연통된 응축덕트(31)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응축덕트(31)를 통해 이동하는 수증기는 상기 응축덕트(31)의 일단부에 마련된 응축급수구(32)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어 분사된 물에 의해 응축되어 상기 고정조(11)의 하부에 고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급수구(32)를 통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것이 응축수밸브(33)이다. 상기 응축덕트(31), 응축급수구(32) 및 응축수밸브(33)는 응축부(30)를 구성한다.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 수증기는 상기 응축덕트(31)에서 응축되어 고정조(11)에 계속 고이게 되는데, 도 1에서는 응축된 후의 물이 상기 고정조(11)의 하부에 고이는 구조를 취하고 있고, 도 2에서는 별도의 저수통(13)을 마련하여 상기 고정조(11)로 이동된 물이 취수관(16)을 통해 저수통(13)에 고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고정조(11)나 저수통(13)을 통합하여 저장공간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급수원에서 급수부(40)로 물의 공 급이 제어되고, 상기 급수부(40)로부터 상기 응축부(30)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 급수부(40)는 급수밸브(41)와 급수통(42)을 포함한다. 즉 급수부(40)는 이러한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밸브(41)가 마련되고, 상기 급수밸브(41)를 통과한 물은 급수통(4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응축급수구(32)는 상기 급수통(42)과 연결되어 응축수밸브(33)에 의해 물의 공급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11, 13)에는 수위감지수단(14)과 온도감지수단(15)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증기가 응축된 후의 고인 물의 저장 수위와 온도가 감지되어 제어부(미도시)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11, 13)에는 배수관(61)과 배수펌프(60) 및 배수호스(62)가 연결되어 있어 모든 세탁 및 건조 행정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저장공간(11, 13)에 고인 물을 배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11, 13)에는 순환관(51)이 연결되어 있고 이 순환관(51)은 순환펌프(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순환호스(52)가 상기 급수통(42)과 상기 순환펌프(50)를 연결하고 있어, 상기 저장공간(11, 13)에 고인 물이 상기 순환펌프(50)에 의해 상기 급수통(4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급수통(42) 및 순환펌프(50) 등이 본체(10) 외부에 마련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10)의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과, 응축수 재순환과 관련된 제어부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70)는 수위감지수단(14)과 온도 감지수단(15) 및 건조행정의 종료 확인 수단(17)으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배수펌프(60), 순환펌프(50), 응축수밸브(33) 및 급수밸브(41)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행정의 종료 확인 수단(17)은 도 1 및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나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흐름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1 또는 도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제어부에 의해 급수밸브(41)와 응축수 밸브가 개방되고(80) 급수통(42)에 물이 저장되면서 응축급수구(32)를 통해 응축덕트(31)로 물이 분사되고 건조부(12)로부터 수증기가 상기 응축덕트(31)를 타고 올라가다가 상기 물에 의해 응축되어 저장공간(11, 13)에 고이게 된다.
이렇게 저장공간(11, 13)에 물이 계속 고이게 되면서 그 수위가 점점 높아지게 되면 그 내부에 설치된 수위감지수단(14)에 의해 적정한 수위로서 설정된 설정수위에 도달하였는지 감지되어 설정수위에 도달하였다면(81) 순환펌프(50)가 가동되고 급수밸브(41)는 닫히게 된다(82).
이 때 건조행정 종료 확인 수단으로부터 건조행정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하여(83) 건조행정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순환펌프(50)는 정지되고 배수펌프(60)가 가동되어 상기 저장공간(11, 13)에 고인 물을 배수하게 된다(84).
한편, 상기 82번 단계에서 저장공간(11, 13)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수단(15)에 의해 저장공간(11, 13)에 고인 물의 온도가 측정되어 상기 측정된 물의 온도가 수증기를 응축하기 적정한 온도로 설정된 설정온도에 도달할 경우에는(85) 순 환펌프(50)가 정지되고 배수펌프(60)가 가동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며 급수밸브(41)는 개방되게 된다(86). 이 경우 온도가 적정 온도 보다 높아진 물은 수증기 응축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므로 이를 배수 하고 새롭게 급수된 물을 순환하기 위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펌프(60)에 의한 배수가 완료되면 배수펌프(60)를 정지시키고(87) 새롭게 급수된 물에 의해 건조행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응축되면서 건조가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건조기능 수행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응축에 사용되는 물을 재사용할 수 있어, 건조행정에 있어 막대한 양의 물이 낭비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사용되는 물의 양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키는 응축부와, 상기 응축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부와, 상기 응축부로부터 응축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외부로부터의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밸브와 급수된 물이 상기 응축부로 이동하기 전에 일시 저장되는 급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기는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된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일정 수위가 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을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급수통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는 온도감지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저장공간의 물의 온도가 상기 건조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는 최고의 온도로서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을 경우에 상 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을 배수펌프에 의해 배수하게 하며 상기 급수부를 가동시켜 물을 상기 응축부로 공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건조부와 연통되어 수증기가 이동하는 응축덕트와, 상기 응축덕트로 응축수를 분사하는 응축급수구와, 상기 응축급수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응축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종료된 경우에 상기 응축수 밸브를 닫고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5. 건조부에서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건조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급수부에서 물을 응축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응축부에서 물을 분사하여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에서 분사한 물과 수증기가 응축된 물이 저장공간에 저장되면서 설정된 수위에 도달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설정수위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의 물을 상기 급수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를 가동시키고 상기 급수부로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급수밸브를 닫는 단계;
    건조행정이 종료되거나 저장공간 내의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을 때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50095741A 2005-10-11 2005-10-11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1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5741A KR100715997B1 (ko) 2005-10-11 2005-10-11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5741A KR100715997B1 (ko) 2005-10-11 2005-10-11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256A true KR20070040256A (ko) 2007-04-16
KR100715997B1 KR100715997B1 (ko) 2007-05-09

Family

ID=3817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5741A KR100715997B1 (ko) 2005-10-11 2005-10-11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9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06B1 (ko) * 2008-04-23 2010-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190028243A (ko) * 2017-09-08 2019-03-18 최경묵 가발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72B1 (ko) * 2007-08-06 2009-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6658B2 (ja) * 1997-10-01 2007-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濯乾燥機
KR100766034B1 (ko) * 2001-03-29 2007-10-1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85444A (ko) * 2001-05-08 2002-11-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전기기의 응축수 재생시스템
KR20040050494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응축수 재활용 구조
KR100617110B1 (ko) * 2004-04-09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06B1 (ko) * 2008-04-23 2010-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190028243A (ko) * 2017-09-08 2019-03-18 최경묵 가발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997B1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5766B1 (en) Controlling method of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745418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49802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00343B1 (ko) 의류처리장치
JP4439417B2 (ja) 乾燥機
KR20070023888A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20060061974A (ko)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43581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30901A (ko) 세탁장치
KR2009010512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366561B1 (ko) 세탁기 및 그 건조제어방법
KR100732414B1 (ko) 의류의 구김제거방법
KR20210047160A (ko) 일체형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15997B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392717B1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57612B1 (ko) 세탁기의 스팀세탁 방법
KR20060057779A (ko) 세탁기
JP266036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659309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287537B1 (ko)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KR20210009889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JPH0917369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648175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시간 단축 방법
KR101246374B1 (ko) 세탁기
KR20060013837A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