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405A -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405A
KR20070039405A KR1020060097062A KR20060097062A KR20070039405A KR 20070039405 A KR20070039405 A KR 20070039405A KR 1020060097062 A KR1020060097062 A KR 1020060097062A KR 20060097062 A KR20060097062 A KR 20060097062A KR 20070039405 A KR20070039405 A KR 2007003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data
time
portab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진 정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유저에 의한 사용 시간에 맞춰, 보다 많은 콘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사용 시간을 설정 시간으로서 설정하고, 이 설정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 매체(3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고, 이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이 사용 시간분의 재생 시간으로 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쓸모없는 부분을 전송하지 않아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대하여 보다 많은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유저에 의한 사용 시간에 맞춰, 보다 많은 콘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덴츠 데이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서버, 콘텐츠 제공 서버, 콘텐츠 재생 단말기

Description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CONTENT TRANSFER APPARATUS, CONTENT TRANSFER METHOD AND CONTENT TRANSFER PROGRAM}
도 1은 콘텐츠 전송 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2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3은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4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5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6은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속성 정보의 내용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7은 콘텐츠 재생 단말기에 기억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8은 전송 리스트의 생성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9는 콘텐츠의 전송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0은 관리 정보의 내용(전송 직후)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11은 관리 정보의 내용(재생 후)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12는 인덱스 정보의 생성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3은 콘텐츠의 일람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개략 선도.
도 14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재생 중)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5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정지 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전송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재생 도중의 콘텐츠에 대한 부분적인 추가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26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텐츠 전송 장치
2, 22, 35 : 통신부
3 : 기억부
4 : 지정부
5, 20, 30, 40 : 제어부
6 : 용량 검출부
7 : 리스트 생성부
8 : 인덱스 정보 생성부
10 : 콘텐츠 전송 시스템
11 : 콘텐츠 제공 서버
12 : 네트워크
13 : 콘텐츠 재생 단말기
14 :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
15, 37 : 표시부
16, 38 : 음성 출력부
21, 31, 41 : 기억 매체
32, 42 : 판독 전용 기억부
33, 43 : 1차 기억부
34, 44 : 조작부
36, 46 : 영상 음성 처리부
39, 45 : 외부 접속부
CI : 관리 정보
L1 : 전송 대상 리스트
L1A : 전송 리스트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1-93226 공보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보유하는 콘텐츠 기억 장치로부터 콘텐츠 재생 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는 음악 전송 시스템이 있다. 실제상, 이 음악 전송 시스템에서는, 콘텐츠 서버로서의 음악 서버로부터 콘텐츠 재생 장치로서의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대하여 전송시키는 음악 데이터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면, 이 선택된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는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를 나타낸 전송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음악 전송 시스템에서는, 음악 서버와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가 접속되었을 때, 이 생성된 전송 리스트 중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가, 음악 서버로부터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대하여 전송됨으로써,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음악 데이터를 취득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또한, 이러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으로서는,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전송하는 음악 데이터를 유저 자신이 선택하는 형태 뿐 아니라, 예를 들면 유저의 기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전송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한층 더 용이하게 음악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도 있다.
그런데, 실제상,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 등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유저에 의해 연속하여 사용되는 시간(이하, 이것을 사용 시간이라고도 함)이, 예를 들면 하루에 유저가 휴대용 플레이어를 사용 가능한 시간이 되는 통근 시간이나 통학 시간 등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즉 이 사용 시간이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연속 재생 가능 시간, 혹은 하루 동안에 콘텐츠 재생장치를 사용 가능한 최대시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 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유저는,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재생 시간을 갖는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재생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이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는 콘텐츠 모두를 한번에, 혹은 하루안에 시청 또는 청취할 수 는 없다. 이 결과,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는,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재생 시간을 갖는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되어도, 이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 중의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부분이 쓸모없게 된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 장치는, 이와 같이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쓸모없는 부분에 의해 기억 용량이 낭비되어, 그 저장할 필요가 없는 부분을 저장하는 만큼, 다른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용량이 감소한다. 이 결과,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수가 적어지고, 결과적으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의 수가 적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저에 의한 사용 시간에 맞춰, 보다 많은 콘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을 제안하자고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미리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는 지정부와,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유저에 의한 외부 기기의 사용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두면, 각각이 사용 시간분으로 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쓸모없는 부분을 전송하지 않아 외부 기기에 대하여 보다 많은 콘 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1) 제1 실시 형태
(1-1) 개요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또한 이 개요를 설명한 후, 제1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1)는, 예를 들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 등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와,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3)와, 미리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3)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는 지정부(4)와, 지정부(4)에 의해 지정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2)를 제어하는 제어부(5)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콘텐츠 전송 장치(1)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외부 기기의 사용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면, 각각이 이 사용 시간분의 재생 시간으로 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쓸모없는 부분을 전송하지 않아 외부 기기에 대하여 보다 많은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억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콘텐츠 전송 장치(1)는, 외부 기기의 기억 용량 및 빈 용량을 검출하는 용량 검출부(6)를 갖고 있어, 미리 설정된 시간과, 이 용량 검출부(6)에서 검출된 빈 용량에 기초하여, 기억부(3)로부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도록 이루 어져 있다.
또한 이 콘텐츠 전송 장치(1)는, 리스트 생성부(7)를 갖고 있어, 이 리스트 생성부(7)에서,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 전송 리스트에 기초하여,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콘텐츠 전송 장치(1)는,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유저에게 제시하여 확인시키기 위한 인덱스 정보를 생성하는 인덱스 정보 생성부(8)를 갖고 있으며, 이 인덱스 정보 생성부(8)에서 생성되는 인덱스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하여 기억하도록도 이루어져 있다.
(1-2) 콘텐츠 전송 시스템의 구성
도 2에서, 참조 부호 10은 전체로서 콘텐츠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네트워크(12)를 통하여 배신되는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 콘텐츠의 데이터(이하, 이것을 간단하게 콘텐츠 데이터라고도 함)를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서 수신하여 기억 보유하고, 또한 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접속되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기억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하여 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 보유시킨다. 그리고, 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분리되어서 유저에 의한 재생 조작이 행해지면, 장치 본체에 설치된 액정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5)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음성 출력부(16)를 통하여,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1-3) 콘텐츠 제공 서버, 콘텐츠 재생 단말기, 및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
여기서, 콘텐츠 제공 서버(11), 콘텐츠 재생 단말기(13), 및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구성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1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11)는, 제어부(20)가, 하드디스크 등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기억 매체(21)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을 따라서 전체를 통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이 기억 매체(21)에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11)의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12) 상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콘텐츠의 배신을 요구하는 배신 요구 신호를, 통신부(22)를 통하여 수신하면, 이것에 따라서, 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21)로부터 판독하고, 이 콘텐츠 데이터를, 통신부(22)를 통하여 네트워크(12) 상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11)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제어부(30)가, 하드디스크 등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기억 매체(31) 또는 ROM(Read Only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독 전용 기억부(32)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체를 통괄 제어 함과 함께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이 각종 처리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1차 기억부(33)에 필요에 따라서 기억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제어부(30)는, 조작부(34)를 통하여, 네트워크(12) 상의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배신되는 콘텐츠의 취득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이것에 따라서, 배신 요구 신호를, 통신부(35)를 통하여 네트워크(12) 상의 콘텐츠 제공 서버(11)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배신 요구 신호에 따라서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를, 통신부(35)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31)에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조작부(34)를 통하여, 콘텐츠의 재생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이것에 따라서, 기억 매체(3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영상 음성 처리부(36)에 입력한다. 영상 음성 처리부(36)는, 제어부(30)의 제어 하에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영상 음성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얻어,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부(37)에 표시함과 함께, 음성 신호에 기초하는 음성을 음성 출력부(38)로부터 출력한다(즉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접속되면, 기억 매체(31)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해야 할 콘텐츠 데이터(이하, 이것을 전송 콘텐츠 데이터라고도 함)를 자동적으로 지정하고, 이 지정한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어떤 방법으로 이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할지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 매체(31)에 기억하고, 이 기억 매체(31)에 기억한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및 음성(즉 콘텐츠)을 재생하고, 또한 이 기억 매체(31)에 기억한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제어부(40)가, 하드디스크 등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기억 매체(41) 또는 ROM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독 전용 기억부(42)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체를 통괄 제어함과 함께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이 각종 처리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1차 기억부(43)에 필요에 따라서 기억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판독 전용 기억부(42)에는, 출하 시에, 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를 식별 가능한 장치 ID가 기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외부 접속부(45)를 통하여 접속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41)에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분리되어서, 조작부(44)를 통하여, 콘텐츠의 재생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이것에 따라서, 기억 매체(4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영상 음성 처리부(46)에 입력한다. 영상 음성 처리부(46)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서, 콘텐츠 데이터에 대 하여 소정의 영상 음성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얻어,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부(15)에 표시함과 함께, 음성 신호에 기초하는 음성을 음성 출력부(16)로부터 출력한다(즉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41)에 기억하고, 이 기억 매체(41)에 기억한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및 음성(즉 콘텐츠)을 재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1-4)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다음으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 때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기억 매체(31)에는, 이미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 보유되며, 또한 이 콘텐츠 데이터의 각각에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ID(예를 들면 「D0023001」), 콘텐츠의 타이틀(예를 들면 「봄과 가을 제1화」), 콘텐츠의 챕터(예를 들면 「1/4」, 상세하게는 후술함), 콘텐츠의 재생 시간(예를 들면 「1시간」), 콘텐츠의 장르(예를 들면 「드라마」), 콘텐츠의 배급원(예를 들면 「솔리」) 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시리즈의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를 통합하여, 시리즈마다 생성한 폴더 관리 하에 기억 보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동일 타이틀의 제1화, 제2화, …나, 파트1, 파트2, …나, 제1장, 제2장, … 등을 통합하여 하나의 시리즈로 한다. 실제상, 각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속성 정보의 콘텐츠 ID는, 예를 들면 「D0023001」과 같이 8자리의 번호로 이루어지고, 그 위 5자리가 시리즈를 식별하기 위한 시리즈 식별 번호를 나타내고, 아래 3자리가 동일 시리즈에서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시리즈 내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속성 정보의 챕터는, 예를 들면 「1/4」과 같이 , 동일 시리즈의 콘텐츠의 총수에 대한 콘텐츠의 시리즈 내 번호를 나타낸다. 이러한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시리즈 식별 번호가 동일한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를 통합하여, 시리즈 식별 번호별로 생성한 폴더 관리 하에 기억 보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기억 매체(31)에는, 예를 들면 1시간의 콘텐츠 4개로 이루어지는 시리즈 M1의 콘텐츠 데이터 M1D1(콘텐츠ID 「D0023001」), M1D2(「D0023002」), M1D3(「D0023003」) 및 M1D4(「D0023004」)가 폴더 M1F의 관리 하에 기억 보유되며, 2시간의 콘텐츠 1개로 이루어지는 시리즈 M2의 콘텐츠 데이터 M2D(「D0035001」)이 폴더 M2F의 관리 하에 기억 보유되며, 30분의 콘텐츠 3개로 이루어지는 시리즈 M3의 콘텐츠 데이터 M3D1(「D0055001」), M3D2(「D0055002」) 및 M3D3(「D0055003」)이 폴더 M3F의 관리 하에 기억 보유되며, 또한 1시간의 콘텐츠 2개로 이루어지는 시리즈 M4의 콘텐츠 데이터 M4D1(「D0101001」) 및 M4D2(「D0101002」)가 폴더 M4F 관리 하에 기억 보유된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사용 시간을 설정 시간으로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14)가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접속되었을 때에, 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의 용량 및 빈 용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이 빈 용량과, 자신이 기억 보유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몇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기억 가능 시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 시간(예를 들면 1시간) 및 기억 가능 시간(예를 들면 3시간)을 인식하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이들 설정 시간 및 기억 가능 시간 에 기초하여, 자신의 기억 매체(31)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하는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한다.
즉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설정 시간(1시간)에 기초하여, 폴더 M1F, M2F, M3F 및 M4F의 각각으로부터(즉 시리즈마다),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고, 이 지정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L1을 생성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폴더 M1F 및 폴더 M4F와 같이,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폴더로부터는, 재생 순서가 이른 순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우선하여 지정한다. 따라서, 폴더 M1F로부터는 1시간의 콘텐츠 데이터 M1D1이 지정되며, 이것이 시리즈 M1로부터 지정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리스 트 L1에 기록되고, 또한 폴더 M4F로부터는 1시간의 콘텐츠 데이터 M4D1이 지정되며, 이것이 시리즈 M4로부터 지정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리스트 L1에 기록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폴더로부터는, 재생 순서가 이른 순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우선하여 지정하는 예를 들었지만, 재생 순서가 오래된 순으로 콘텐츠를 우선하여 지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장르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간에 스토리의 연속성이 있는, 장르가 드라마나 영화인 경우에는 재생 순서가 이른 순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우선하여 지정하지만, 콘텐츠간에 스토리의 연속성이 그다지 없는, 장르가 뉴스나 토크쇼인 경우에는 최신의 프로그램을 우선하여 지정할 수 있다. 콘텐츠의 챕터 정보나 갱신된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장르마다 그 장르에 맞는 우선된 순서로 콘텐츠를 지정하면 된다.
또한 폴더 M2F와 같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폴더로부터는, 그 콘텐츠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설정 시간까지의 부분을 지정한다. 따라서, 폴더 M2F로부터는, 2시간의 콘텐츠 데이터 M2D의 전반 부분(즉 선두부터 1시간까지의 부분)이 지정되며, 이것이 시리즈 M2로부터 지정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리스트 L1에 기록된다. 또한 폴더 M3F와 같이, 설정 시간 미만의 콘텐츠 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폴더로부터는, 설정 시간에 맞춰, 설정 시간 미만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순서가 이른 순으로 복수 지정한다. 따라서, 폴더 M3F로부터는, 30분의 콘텐츠 데이터 M3D1 및 M3D2가 지정되며, 이들이 시리즈 M3로부터 지정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리스트 L1에 기록된다.
이렇게 하여, 리스트 L1에는, 시리즈마다 지정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고, 이 리스트 L1에 기록된 시리즈마다의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의 전송 대상으로 된다. 이하, 이 리스트 L1을 전송 대상 리스트 L1이라고도 한다. 또한, 이 경우, 시리즈 M1∼M4까지의 4개의 시리즈의 각각으로부터 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였기 때문에, 전송 대상 리스트 L1에는, 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4개, 합계 4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생성한 후,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계속해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로부터, 실제로 전송하는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고, 이 지정한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한다.
즉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이 때의 기억 가능 시간이 3시간이기 때문에, 전송 대상 리스트 L1에 기록된 시리즈 M1∼M4까지의 4개의 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 중의, 예를 들면 M1∼M3 시리즈까지의 3개의 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한다. 이 경우의 지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리스트순으로 지정하는 방법이나, 랜덤하게 지정하는 방법, 유저의 기호 정보(예를 들면 좋아하는 장르 등)를 등록해 놓고, 이 기호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M1∼M3까지의 3개의 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한 후,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이 선택한 M1∼M3까지의 3개의 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 터를,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설정 시간과 기억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 매체(31)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해야 할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지정하고, 이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하며, 이것을 예를 들면 1차 기억부(33)에 기억한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이 전송 리스트 L1A에 따라서, 기억 매체(3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한다. 즉 이 경우,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전송 리스트 L1A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 M1D1, 콘텐츠 데이터 M2D의 전반 부분, 콘텐츠 데이터 M3D1 및 M3D2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시간과 기억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전송 리스트 L1A를 작성해도 되지만, 설정 개수에 기초하여, 전송 리스트를 작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폴더로부터 2개의 콘텐츠를 전송 지정하면 M1∼M4까지의 각 폴더로부터 2개씩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된다. 이때 M2의 폴더에는 1개의 콘텐츠밖에 없기 때문에, M2D만이 리스트 L1A에 추가된다.
한편,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 M1D1을 콘텐츠 데이터 m1로서, 콘텐츠 데이터 M2D의 전반 부분을 콘텐츠 데이터 m2로서, 콘텐츠 데이터 M3D1 및 M3D2를 콘텐츠 데이터 m31 및 m32로서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함과 함께, 이들 콘텐츠 데이터 m1, m2, m31 및 m32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CI를 생성하고, 이것을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한다.
이 관리 정보 CI는, 기억 보유한 콘텐츠 데이터 m1, m2, m31 및 m32를, 시리즈마다의 콘텐츠로서 관리하는 리스트 정보이며, 이 경우, 1시간의 콘텐츠 데이터 m1이 시리즈 M1의 1시간의 콘텐츠로서, 1시간의 콘텐츠 데이터 m2가 시리즈 M2의 1시간의 콘텐츠로서, 30분의 콘텐츠 데이터 m31과 m32가 시리즈 M3의 1시간의 콘텐츠로서 기억 보유되게 된다.
실제상, 이 관리 정보 CI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리즈명 (예를 들면 「M1」), 이 시리즈의 콘텐츠의 파일명(즉 콘텐츠 데이터명으로서, 예를 들면 「m1」), 이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한 시점에 붙여지는 타임 마크의 위치를 시분초로 나타내는 타임 마크 위치(예를 들면 「00:55:00」), 이 콘텐츠를 다 보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다 봄 확인(예를 들면 다 보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OFF」, 다 본 것을 나타내는 「ON」), 동일 시리즈의 콘텐츠의 총수에 대한 기억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시리즈 내 번호(예를 들면 「1/4」), 이 콘텐츠를 어느 정도까지 재생한 것인지를 시분초로 나타내는 재생 정도(예를 들면 「00:55:00/01:00:00」), 이 콘텐츠를 마지막으로 재생한 것은 언제인지를 일시로 나타내는 라스트 재생(예를 들면 「8월 10일 8시」), 이 콘텐츠의 우선도(예를 들면 우선도가 낮은 순으로 「1」∼「5」)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의 다 봄 확인은, 콘텐츠를 다 보지 않았어도 유저 조작에 의해 다 보았다고 지정되면, 「ON」으로 된다. 또한 우 선도는, 예를 들면 콘텐츠의 전송 등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에 이용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도 10의 관리 정보 CI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대하여 전송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콘텐츠 데이터 m1, m2, m31 및 m32로서 기억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이 경우, 각 시리즈의 콘텐츠는 모두 재생되지 않았기 때문에, 타임 마크 위치는 「00:00:00」, 재생 정도는 「00:00:00/01:00:00」, 라스트 재생은 「재생 없음」, 우선도는 「0」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도 11의 관리 정보 CI는, 그 후에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분리되어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콘텐츠 데이터 m1, m2, m31 및 m32 중의 콘텐츠 데이터 m1, m31 및 m32를 재생함과 함께 이들에 기초하는 콘텐츠를 다 보았다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후의 상태, 즉 시리즈 M1의 콘텐츠와 시리즈 M3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다 보았다고 지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이 경우, 시리즈 M1의 콘텐츠에 대한 타임 마크 위치는 예를 들면 「00:55:00」, 다 봄 확인은 「ON」, 재생 정도는 예를 들면 「00:55:00/01:00:00」, 라스트 재생은 예를 들면 「8월 10일 8시」, 우선도는 「5」로 갱신되며, 또한 시리즈 M3의 콘텐츠에 대한 타임 마크 위치는 예를 들면 「00:58:00」, 다 봄 확인은 「ON」, 재생 정도는 예를 들면 「00:58:00/01:00:00」, 라스트 재생은 예를 들면 「8월 10일 9시」, 우선도는 「5」로 갱신된다.
이와 같은 관리 정보 CI에 의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각 시리즈의 콘텐츠에 대하여, 어느 시점에서 정지되었는지, 다 보았는지, 시리즈 내 번호는 몇번인지, 어느 정도까지 재생되었는지, 마지막으로 재생된 것은 언젠인지 등을 인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관리 정보 CI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다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접속되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로부터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전송된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상술한 설정 시간 및 기억 가능 시간과, 이 관리 정보 CI에 기초하여, 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로부터 삭제해야 할 콘텐츠, 및 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해야 할 전송 콘텐츠를 지정하여, 콘텐츠의 삭제 및 전송(상세하게는 후술함)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 MD를 수신하였을 때, 이 콘텐츠 데이터 MD로부터, 이 콘텐츠 데이터 MD에 기초하는 콘텐츠의 내용을 유저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인덱스 정보 ID를 생성하고, 이 인덱스 정보 ID를 콘텐츠 데이터 MD의 선두(예를 들면 헤더 부분)에 부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실제상,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예를 들면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 MD를 4분할하고, 그 분할한 부분의 각각의 선두로부터 몇 초 정도의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한다.
다음으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이 판독한 4개의 몇 초 정도의 콘텐츠 데이터를 연결함과 함께, 이 연결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 MD의 속성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콘텐츠의 타이틀 및 장르 등의 부가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인덱스 정보 ID를 생성한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이 인덱스 정보 ID를 콘텐츠 데이터 MD의 선두에 부가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 MDx를 생성하고, 이것을 기억 매체(31)에 기억 보유한다.
즉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기억 매체(31)에 기억 보유되는,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 M1D1, M1D2, M1D3, M1D4, M2D, M3D1, M3D2, M3D3, M4D1, M4D2의 각각에는, 그 선두 부분에 인덱스 정보 ID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당연히, 이들을 전송한 결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 m1, m2, m31 및 m32의 각각에도, 그 선두 부분에 인덱스 정보 ID가 부가되어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콘텐츠 데이터 m1, m2, m31 및 m32의 각각의 인덱스 정보 ID를 판독하고, 이 인덱스 정보 ID에 기초하는 일부의 영상을 썸네일화하여 일람 표시함과 함께, 이 인덱스 정보 ID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타이틀을 리스트화하여 일람 표시하는 일람 표시 화면 IS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 이 일람 표시는 썸네일화된 스틸영상이나 동영상과 같은 형태이다. 또한, 도 13의 일람 표시 화면 IS는, 콘텐츠 데이터 m1, m2, m31 및 m32 외에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 보유되어 있을 때의 표시예이다.
이에 의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자동적으로 전송되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각각을 일부러 재생하지 않더라도, 콘텐츠의 내용을 유저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콘텐츠의 타이틀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영상의 일부를 표시부(15)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의 내용을 보다 직감적으로 유저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그리고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이 일람 표시 화면 IS 상의 썸네일 또는 리스트로부터, 유저에 의해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이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을 일람 표시 화면 IS 대신에 표시부(15)에 표시함과 함께, 이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는 음성을 음성 출력부(16)로부터 출력한다(즉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개시한 후, 유저에 의해 정지 조작이 이루어지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에 타임 마크를 붙임과 함께, 그 재생 정도에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다 보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와, 이 메시지에 대한 선택지(예를 들면 다 본 것을 나타내는 「예」와, 다 보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아니오」)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지 「예」가 선택되면, 이 콘텐츠에 대한 관리 정보 CI의 타임 마크 위치를 갱신함과 함께, 다 봄 확인을 「ON」으로 하고, 또한 정지 시점까지의 재생한 시간으로 재생 정도를 갱신함과 함께, 이 때의 일시로 라스트 재생을 갱신하며, 우선도를 예를 들면 「0 」으로부터 「5」로 올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하여 선택지 「아니오」가 선택되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이 콘텐츠에 대한 관리 정보 CI의 타임 마크 위치를 갱신함과 함께, 정지 시점까지의 재생한 시간으로 재생 정도를 갱신하고, 이 때의 일시로 라스트 재생을 갱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콘텐츠의 재생에 따라 관리 정보 CI를 수시 갱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1-5) 처리 수순
다음으로, 상술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의 콘텐츠 전송 처리, 및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서의 콘텐츠 재생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우선 도 1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서의 콘텐츠 재생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이 경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떨어진 상태이며, 또한 기억 매체(41)에는, 후술하는 콘텐츠 전송 처리에 의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제어부(40)는, 조작부(44)를 통하여, 콘텐츠의 재생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1을 개시하고, 스텝 SP1로 이동한다. 스텝 SP1에서 제어부(40)는,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를 판독하고, 다음 스텝 SP2로 이동한다. 스텝 SP2에서 제어부(40)는, 재생 조작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 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콘텐츠의 재생을 개시하고, 다음 스텝 SP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3에서 제어부(40)는, 유저에 의한 정지 조작을 대기하고,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스텝 SP4로 이동한다. 스텝 SP4에서 제어부(40)는,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에 타임 마크를 붙이고 다음 스텝 SP5로 이동한다. 스텝 SP5에서 제어부(40)는, 이 정지 시점까지의 재생한 시간이, 콘텐츠의 재생 시간의 예를 들면 90%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5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콘텐츠가 아직 90% 미만밖에 재생되지 않은 것은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6으로 이동하여,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 중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재생 정도 및 라스트 재생을 갱신함과 함께, 상술한 스텝 SP4에서 부가한 타임 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 중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타임 마크 위치를 갱신하고, 종료 스텝 SP9로 이동하여, 이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1을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P5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콘텐츠가 90% 이상 재생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7로 이동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다 보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와, 이 메시지에 대한 선택지(「예」 및 「아니요」)를 표시부(15)에 표시하고,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지 「예」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7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아 직 다 보지 않았다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6으로 이동하여, 관리 정보 CI를 갱신하고, 종료 스텝 SP9로 이동하여, 이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1을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7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다 보았다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8로 이동하여,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 중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재생 정도 및 라스트 재생을 갱신 함과 함께, 상술한 스텝 SP4에서 부가한 타임 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 중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타임 마크 위치를 갱신하고, 또한 관리 정보 CI 중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다 봄 확인을 「ON」으로 함과 함께, 우선도를 예를 들면 「0」으로부터 「5」로 올리고, 종료 스텝 SP9로 이동하여, 이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1을 종료한다.
이와 같은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1에 따라서, 제어부(40)는, 콘텐츠를 재생함과 함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를 갱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17의 시퀀스차트와, 도 18, 도 19 및 도 20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의 콘텐츠 전송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우선 스텝 SP10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사용 시간을, 조작부(34)를 통하여 유저가 입력하면, 이것을 설정 시간으로서 설정 한 후, 다음 스텝 SP11로 이동한다. 이 경우, 이 설정 시간은, 예를 들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장치 ID마다 설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스텝 SP11에서 제어부(30)는,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접속되는 것을 대기하고, 접속된 것을 인식하면, 다음 스텝 SP12로 이동한다. 스텝 SP12에서 제어부(30)는,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대하여, 장치 ID의 송신을 요구하는 장치 ID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제어부(40)는, 외부 접속부(4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장치 ID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P13에서, 이 장치 ID 요구 신호에 따라 판독 전용 기억부(42)로부터 장치 ID를 판독하고, 이것을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송신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장치 ID를 수신하면, 이 장치 ID를 예를 들면 1차 기억부(33)에 기억한 후, 스텝 SP14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대하여, 관리 정보 CI의 전송을 요구하는 관리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제어부(4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관리 정보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P15에서, 이 관리 정보 요구 신호에 따라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를 판독하고, 이것을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전송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로부 터 송신되어 오는 관리 정보 CI를 수신하면, 이 관리 정보 CI를 예를 들면 1차 기억부(33)에 기억한 후, 스텝 SP16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의 기억 가능 시간을 검출하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스텝 SP16에서 실행되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도 18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2를 개시하면 스텝 SP30에서, 1차 기억부(33)로부터 관리 정보 CI를 판독하여 다음 스텝 SP31로 이동한다. 스텝 SP31에서 제어부(30)는, 우선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을 참조하고, 이 제1행의 라스트 재생 일시와 현재의 일시를 비교하여, 예를 들면 라스트 재생의 일시로부터 24시간 이상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31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마지막으로 재생되고 나서 1일 이상 경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더 이상 보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스텝 SP32로 이동하여,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36으로 이동한다. 또한, 라스트 재생의 일시가 「재생없음」이었던 경우도, 이 스텝 SP31에서 긍정 결과를 얻도록 하고,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31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마지막으로 재생되고 나서 아직 1일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아직 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다음 스텝 SP3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33에서 제어부(30)는, 제1행의 다 봄 확인이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33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해 다 보았다고 지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스텝 SP32로 이동하여,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36으로 이동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33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아직 다 보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스텝 SP34로 이동한다. 스텝 SP34에서 제어부(30)는, 제1행의 타임 마크 위치를 확인하고 다음 스텝 SP35로 이동한다. 스텝 SP35에서 제어부(30)는, 이 타임 마크 위치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이전 부분(즉 다 재생된 부분)을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36로 이동한다.
스텝 SP36에서 제어부(30)는, 관리 정보 CI의 모든 행에 대하여, 상술한 스텝 SP31∼스텝 SP35까지의 처리가 끝났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관리 정보 CI가,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리즈 M1∼M3의 3행인 것으로 하면, 제어부(30)는, 제1행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후, 이 스텝 SP36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 다시 스텝 SP31로 되돌아가서, 계속해서 제2행에 대한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제2행, 제3행으로 처리를 계속해 가서, 제3행(즉 최종행)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후, 이 스텝 SP36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 스텝 SP37로 이동한다.
스텝 SP37에서 제어부(3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빈 용량과, 자신이 기억 보유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가능 시간을 검출하고, 종료 스텝 SP38로 이동하여, 이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2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2에 따라서, 제어부(3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중의, 불필요한 콘텐츠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가 다 재생된 부분을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나서, 이 때의 빈 용량에 기초하는 기억 가능 시간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스텝 SP16(도 17)에서,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를 실행한 후, 제어부(30)는, 다음 스텝 SP17로 이동한다. 스텝 SP17에서 제어부(4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해야 할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하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스텝 SP17에서 실행되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도 19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 부(30)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 RT3을 개시하면 스텝 SP40에서, 상술한 스텝 SP10에서 설정한 설정 시간과, 상술한 스텝 SP16에서 검출한 기억 가능 시간을 확인한 후, 다음 스텝 SP41로 이동한다. 스텝 SP41에서 제어부(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 매체(41)의 각 폴더 M1F, M2F, M3F 및 M4F로부터,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생성한다.
실제상, 이 스텝 SP41에서, 각 폴더 M1F, M2F, M3F 및 M4F로부터,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할 때, 제어부(3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로부터 취득한 관리 정보 CI의 다 봄 확인 및 유지 시리즈 내 번호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되어 다 본 콘텐츠 데이터(이 데이터 자체는 상술한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시에 삭제되어 있음)의 시리즈 내 번호를 인식하고, 이 시리즈 내 번호에 연속되는 시리즈 내 번호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리즈 M1의 시리즈 내 번호 「1」의 콘텐츠 데이터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되어 다 본 것이면, 이 시리즈 M1에 대응하는 폴더 M1F로부터 지정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시리즈 내 번호 「2」의 콘텐츠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 폴더 M1F로부터, 시리즈 내 번호 「2」의 콘텐츠 데이터 M1D2를 지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시리즈 M2의 시리즈 내 번호 「0.5」의 콘텐츠 데이터는 아직 다 보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시리즈 M2에 대응 하는 폴더 M2F로부터는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생성한 후, 제어부(30)는, 다음 스텝 SP42로 이동한다. 스텝 SP42에서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억 가능 시간이 3시간, 설정 시간이 1시간인 것으로 하면, 이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30)는, 이 스텝 SP42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 다음 스텝 SP4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43에서 제어부(30)는,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하고, 이 전송 리스트 L1A를 갱신함과 함께,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때 3시간-1시간)을 인식하고, 스텝 SP42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설정 시간(1시간) 미만으로 될 때까지, 스텝 SP42∼스텝 SP43까지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2행, 제3행, …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1개씩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해 가서, 나머지 시간이 설정 시간(1시간) 미만으로 되면, 이 이상,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시킬 수 없기 때문에, 스텝 SP42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 종료 스텝 SP44로 이동하여, 이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 RT3을 종료한다.
즉 기억 가능 시간이 3시간일 경우,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 제2행, 제3행에 기록된 3개의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한 단계에서,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설정 시간(1시간) 미만으로 되기 때문에, 전송 리스트 L1A에는,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3개, 합계 3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 RT3에 따라, 제어부(30)는, 설정 시간과 기억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해야 할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스텝 SP17(도 17)에서,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를 실행한 후, 제어부(30)는, 다음 스텝 SP18로 이동한다. 스텝 SP18에서 제어부(30)는, 전송 리스트 L1A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스텝 SP18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전송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도 20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데이터 전송 처리 수순 RT4를 개시하면 스텝 SP50에서, 1차 기억부(33)로부터 전송 리스트 L1A를 판독하고, 다음 스텝 SP51로 이동한다.
스텝 SP51에서 제어부(30)는, 우선 전송 리스트 L1A의 제1행에 기록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31)로부터 검색하고, 다음 스텝 SP52로 이동한다. 스텝 SP2에서 제어부(30)는,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리스트 L1A에 지정된 부분만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 송하고, 다음 스텝 SP5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53에서 제어부(30)는, 전송 리스트 L1A에 기록된 모든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다 전송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로 전송 리스트 L1A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리즈 M1∼M3의 3행인 것으로 하면, 제어부(30)는, 제1행에 기록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후, 이 스텝 SP53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 다시 스텝 SP51로 되돌아가서, 계속해서 제2행에 기록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행한다. 그리고 제2행, 제3행과 전송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계속해서 행하여, 제3행(즉 최종행)에 기록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후, 이 스텝 SP53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 종료 스텝 SP54로 이동하여, 이 데이터 전송 처리 수순 RT4를 종료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처리 수순 RT4에 따라, 제어부(30)는, 전송 리스트 L1A 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제어부(4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SP19(도 17)에서, 이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41)에 기억함과 함께, 이 기억한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리 정보 CI를 갱신한다.
이러한 콘텐츠 전송 처리의 수순에 따라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 및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제어부(4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1-6)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를, 시리즈마다 통합하여 기억 매체(31)에 기억 보유한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유저에 의해 연속하여 사용되는 사용 시간을 설정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접속되면, 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검출하고, 이 빈 용량과 자신이 기억 보유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몇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기억 가능 시간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 시간과 기억 가능 시간을 인식하면, 우선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기억 매체(31)로부터,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각 시리즈로부터 지정한다. 여기서, 기억 매체(31)에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것이면, 이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즉 설정 시간분)을 지정하고, 또한 설정 시간 미만의 것이면, 시리즈 내의 콘텐츠 데이터를 복수(즉 설정 시간분) 지정한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시리즈마다 지정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들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가능 시간의 분만큼,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고, 이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한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 장치(14)는, 이 전송 리스트 L1A에 기초하여, 기억 매체(31)로부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한다.
그 결과,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대하여, 각각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사용 시간분의 재생 시간으로 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쓸모없는 부분을 전송하지 않아,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대하여 보다 많은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가능 시간에 따라서,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에 기억 가능한 분만큼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억할 수 없는 분의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아, 확실하게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에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설정 시간분의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시리즈마다 지정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대하여 다른 시리즈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으므로, 유저에 대한 콘텐츠의 선택지를 넓힐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를 3개 전송하는 것으로 하고, 이 3개의 콘텐츠 데이터가 동일 시리즈의 제1화, 제2화, 제3화의 콘텐츠인 경우, 유저가 선택하는 콘텐츠는 통상적으로, 이들 중의 제1화의 콘텐츠에 한정되므로, 선택지는 1개로 된다. 이에 대하여 이 3개의 콘텐츠 데이터가 시리즈 M1의 제1화, 시리즈 M2의 제1화, 시리즈 M3의 제1화의 콘텐츠이면, 유저의 선택지는 3개로 되어, 동일 시리즈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선택지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접속되면, 자동적으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로부터, 불필요로 판단한 콘텐츠 데이터, 또는 그 일부를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나서,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유저의 어떠한 번거로운 조작도 없이,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유저에 의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사용 시간을 설정 시간으로서 설정하고, 이 설정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 매체(3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고, 이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이 사용 시간분의 재생 시간으로 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쓸모없는 부분을 전송하지 않아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대하여 보다 많은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유저에 의한 사용 시간에 맞춰, 보다 많은 콘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의한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가 다른 점 이외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로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의 수순만 을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부분인 콘텐츠 전송 시스템(1)의 구성 및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이외의 처리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도 17에 도시한 콘텐츠 전송 처리를 개시하여, 설정 시간의 설정, 장치 ID의 요구 및 취득, 관리 정보 CI의 요구 및 취득 후, 스텝 SP16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의 기억 가능 시간을 검출하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스텝 SP16에서 실행되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도 21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5를 개시하면 스텝 SP60에서, 1차 기억부(33)로부터 관리 정보 CI를 판독하여 다음 스텝 SP61로 이동한다. 스텝 SP61에서 제어부(30)는, 우선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을 참조하여, 이 제1행의 라스트 재생의 일시와 현재의 일시를 비교하고, 예를 들면 라스트 재생의 일시로부터 24시간 이상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61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마지막으로 재생되고 나서 1일 이상 경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이 때 제어부(30)는,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더 이상 보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스텝 SP62로 이동하여,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67 로 이동한다. 또한, 라스트 재생의 일시가 「재생없음」이었던 경우에도, 이 스텝 SP61에서 긍정 결과를 얻도록 하여,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61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마지막으로 재생되고 나서 아직 1일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아직 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다음 스텝 SP6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63에서 제어부(30)는, 제1행의 다 봄 확인이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63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해 다 보았다고 지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스텝 SP62로 이동하여,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67로 이동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63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아직 다 보지 않은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스텝 SP64로 이동한다. 스텝 SP64에서 제어부(30)는, 제1행의 타임 마크 위치를 확인하고 다음 스텝 SP65로 이동한다. 스텝 SP65에서 제어부(30)는, 콘텐츠의 정지 시점을 나타내는 이 타임 마크 위치가,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시간의 예를 들면 90% 이상인지의 여부, 즉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90% 이상 보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65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관리 정보 CI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90% 이상 본 것, 즉 거의 다 본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30)는, 스텝 SP66으로 이동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즉 다 본 부분)을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67로 이동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65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아직 90% 미만밖에 보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30)는, 이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을 삭제하지 않고, 스텝 SP67로 이동한다.
스텝 SP67에서 제어부(30)는, 관리 정보 CI의 모든 행에 대하여, 상술한 스텝 SP61∼스텝 SP66까지의 처리가 끝났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관리 정보 CI가,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리즈 M1∼M3의 3행인 것으로 하면, 제어부(30)는, 제1행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후, 이 스텝 SP67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 다시 스텝 SP61로 되돌아가서, 계속해서 제2행에 대한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제2행, 제3행으로 처리를 계속해 가서, 제3행(즉 최종행)에 대한 처리가 종료 된 후, 이 스텝 SP67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 스텝 SP68로 이동한다.
스텝 SP68에서 제어부(3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빈 용량과, 자신이 기억 보유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가능 시간을 검출 하고, 종료 스텝 SP69로 이동하여, 이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5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5에서는, 관리 정보 CI의 다 봄 확인이 「OFF」이었던 경우에, 무조건적으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 봄 확인이 「OFF」이고 소정 비율(일례로서 90%) 이상 본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을 삭제하고, 다 봄 확인이 「OFF」이고 소정 비율(일례로서 90%) 이상 보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을 삭제하지 않고 콘텐츠 데이터를 그대로 보유하도록 하였다.
즉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대하여, 유저가 콘텐츠를 거의 다 볼 때까지, 이 콘텐츠를 보유시켜 두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아직 다 보지 않은 콘텐츠를, 다시 한번, 처음부터 재생한다고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유저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콘텐츠를 시청시킬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의한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가 다른 점 이외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의 수순만을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부분인 콘텐츠 전송 시스템(1)의 구성 및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이외의 처리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도 17에 도시한 콘텐츠 전송 처리를 개시하여, 설정 시간의 설정, 장치 ID의 요구 및 취득, 관리 정보 CI의 요구 및 취득 후, 스텝 SP16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의 기억 가능 시간을 검출하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스텝 SP16에서 실행되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도 22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6을 개시하면 스텝 SP70에서, 1차 기억부(33)로부터 관리 정보 CI를 판독하고 다음 스텝 SP71로 이동한다. 스텝 SP71에서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을 설정함과 함께,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검출하고, 이 기억 가능 시간분의 빈 용량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확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 기억 가능 시간의 설정은, 예를 들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14)의 전체 용량의 50%과,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기억 매체(31)에 기억 보유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에 기초하여,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가 자동적으로 설정해도 되고,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조작부(34)를 통하여 유저에 입력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이전에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에 의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이 거의 0인 경우,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이 스텝 SP71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 스텝 SP72로 이동한다. 스텝 SP72에서 제어부(30)는,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을 참조하여, 이 제1행의 라스트 재생의 일시와 현재의 일시를 비교하여, 예를 들면 라스트 재생의 일시로부터 24시간 이상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72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마지막으로 재생되고 나서 1일 이상 경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더 이상 보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스텝 SP73로 이동하여,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시 스텝 SP71로 되돌아간다. 또한, 라스트 재생의 일시가 「재생없음」이었던 경우에도, 이 스텝 SP72에서 긍정 결과를 얻도록 하여,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72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마지막으로 재생되고나서 아직 1일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유저가 아직 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다음 스텝 SP74로 이동한다. 스텝 SP74에서 제어부(30)는, 제1행의 다 봄 확인이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74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해 다 보았다고 지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스텝 SP73으로 이동하여, 외부 접속부(3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시 스텝 SP71로 되돌아간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74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를 다 보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30)는, 스텝 SP75로 이동한다. 스텝 SP75에서 제어부(30)는, 제1행의 타임 마크 위치를 확인하여 다음 스텝 SP76으로 이동한다. 스텝 SP76에서 제어부(30)는, 이 타임 마크 위치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 정보 CI의 제1행의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즉 다 본 부분)을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시 스텝 SP71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분의 빈 용량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확보될 때까지, 스텝 SP72∼스텝 SP76까지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관리 정보 CI의 제2행, 제3행, …에 기록된 파일명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켜 가서, 기억 가능 시간분의 빈 용량이 확보되면, 스텝 SP71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 종료 스텝 SP77로 이동하여, 이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6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6에서는, 우선 기억 가능 시간을 설정하고, 이 기억 가능 시간분의 빈 용량이 확보되도록,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14)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삭제하고 나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새로운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기억 가능 시간을,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갖는 기억 매체(41)의 용량 내이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유저의 어떠한 번거로운 조작도 없이, 설정한 기억 가능 시간의 분만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기억 보유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교체시킬 수 있다.
(4)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의한 콘텐츠 재생 처리가 다른 점 이외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콘텐츠 재생 처리의 수순만을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부분인 콘텐츠 전송 시스템(1)의 구성 및 콘텐츠 재생 처리 이외의 처리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재생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도 23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제어부(40)는, 조작부(44)를 통하여, 콘텐츠의 재생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7을 개시하여, 스텝 SP80로 이동한다. 스텝 SP80에서 제어부(40)는, 기억 매체(41)로부터 관리 정보 CI를 판독하고, 다음 스텝 SP81로 이동한다. 스텝 SP81에서 제어부(40)는, 재생 조작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콘텐츠의 재생을 개시 하고, 다음 스텝 SP82로 이동한다.
스텝 SP82에서 제어부(40)는, 유저에 의한 정지 조작을 대기하고,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스텝 SP8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83에서 제어부(40)는,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에 타임 마크를 붙이고 다음 스텝 SP84로 이동한다. 스텝 SP84에서 제어부(40)는, 이 정지 시점까지의 재생한 시간이, 콘텐츠의 재생 시간의 예를 들면 9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84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콘텐츠가 아직 90% 미만밖에 재생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85로 이동하여, 상술한 스텝 SP83에서 부가한 타임 마크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즉 다 재생된 부분)을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86으로 이동한다.
스텝 SP86에서 제어부(40)는,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 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 속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재생 정도 미쳐 및 라스트 재생을 갱신 함과 함께, 상술한 스텝 SP83로 붙인 타임 마크의 위치 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 속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타임 마크 위치를 갱신하고, 종료 스텝 SP90에 옮기고, 이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7을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P84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이 콘텐츠가 90% 이상 재생된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87로 이동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다 보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와, 이 메시지에 대한 선택지(「예」 및 「아니요」)를 표시부(15)에 표시하고,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지 「예」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87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아직 다 보지 않았다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85로 이동하여,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즉 다 재생된 부분)을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86으로 이동하여, 관리 정보 CI를 갱신하고, 종료 스텝 SP90으로 이동하여, 이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7을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87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다 보았다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88로 이동하여,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다음 스텝 SP89로 이동한다.
스텝 SP89에서 제어부(40)는,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 중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재생 정도 및 라스트 재생을 갱신함과 함께, 상술한 스텝 SP83에서 부가한 타임 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관리 정보 CI 중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타임 마크 위치를 갱신하고, 또한 관리 정보 CI 중의,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다 봄 확인을 「ON」으로 함과 함께, 우선도를 「0」으로부터 「5」로 올리고, 종료 스텝 SP90으로 이동하여, 이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7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재생 처리 수순 RT7에서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측에서,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에, 그 때마다, 이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삭제하여, 기억 매체(41)의 빈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측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를 행하지 않아도 되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측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제상,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전송 처리 시의 기억 가능 시간 검출 처리 수순 RT2의, 스텝 SP30∼스텝 SP36까지의 처리(즉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측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처리)를 생략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콘텐츠 전송 처리 시의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콘텐츠 전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5)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의한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가 다른 점 이외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의 수순만을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부분인 콘텐츠 전송 시스템(1)의 구성 및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이외의 처리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도 17에 도시한 콘텐츠 전송 처리를 개시하여, 설정 시간의 설정, 장치 ID의 요구 및 취득, 관리 정보 CI의 요구 및 취득, 기억 가능 시간 검출 후, 스텝 SP17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해야 할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하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스텝 SP17에서 실행되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도 24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 RT8을 개시하면 스텝 SP100에서, 상술한 스텝 SP10(도 17)에서 설정한 설정 시간과, 상술한 스텝 SP16(도 17)에서 검출한 기억 가능 시간을 확인한 후, 다음 스텝 SP101로 이동한다.
스텝 SP101에서 제어부(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 매체(41)의 각 폴더 M1F, M2F, M3F 및 M4F로부터,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생성한다.
실제상, 이 스텝 SP101에서, 각 폴더 M1F, M2F, M3F 및 M4F로부터,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할 때, 제어부(3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로부터 취득한 관리 정보 CI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되어 있거나, 또는 기억 보유되어 있었던(즉 재생 후에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의 시리즈 내 번호를 인식하고, 이 시리즈 내 번호에 연속되는 시리즈 내 번호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리즈 M1의 시리즈 내 번호 「1」의 콘텐츠 데이터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되어 있거나, 또는 기억 보유되어 있었던 것이면, 이 때 시리즈 M1에 대응하는 폴더 M1F로부터 지정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시리즈 내 번호 「2」의 콘텐츠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 폴더 M1F로부터, 시리즈 내 번호 「2」의 콘텐츠 데이터 M1D2를 지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생성한 후, 제어부(30)는, 다음 스텝 SP102로 이동한다. 스텝 SP102에서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억 가능 시간이 3시간, 설정 시간이 1시간인 것으로 하면, 이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30)는, 이 스텝 SP102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 다음 스텝 SP10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103에서 제어부(30)는, 관리 정보 CI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예를 들면 시리즈 M1의 콘텐츠 데이터의 1개 전의 시리즈 내 번호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가, 타임 마크가 부가된 재생 도중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103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1개 전의 시리즈 내 번호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41)에 기억되지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104로 이동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하여, 이 전송 리스트 L1A를 갱신함과 함께,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때 3시간-1시간)을 인식하고, 스텝 SP102로 되돌아간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103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1개 전의 시리즈 내 번호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도중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이 삭제되고 남은 부분(예를 들면 나머지 20분의 부분)만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105로 이동한다.
스텝 SP105에서, 제어부(30)는,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1개 전의 시리즈 내 번호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의 타임 마크 위치와 설정 시간(이 경우 1시간)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 부분(이 경우 선두로부터 40분까지의 부분)까지를 지정하고, 이것을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하여, 이 전송 리스트 L1A를 갱신함과 함께,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때 3시간-40분)을 인식하고, 스텝 SP102로 되돌아간다.
즉 이 경우, 제어부(30)는, 시리즈 M1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되어 있는 부분(20분)과, 금회 전송하는 부분(40분)을 합하여 설정 시간(60분)분으로 되도록,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을 지정하고, 이것을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설정 시간(1시간) 미만으로 될 때까지, 스텝 SP102∼스텝 SP105까지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2행, 제3행, …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1개씩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해 가서, 나머지 시간이 설정 시간(1시간) 미만으로 되면, 이 이상,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시킬 수 없기 때문에, 스텝 SP102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 종료 스텝 SP106로 이동하여, 이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 RT8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 처리 수순 RT8에서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남은 부분과, 금회 전송하는 부분을 합하여 설정 시간분으로 되도록,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여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대하여, 항상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시리즈마다 기억 보유시킬 수 있고, 이 결과, 재생 도중 있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유저의 사용 시간에 맞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대하여 확실하게 기억시킬 수 있다.
(6)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의한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가 다른 점 이외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의 수순만을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부분인 콘텐츠 전송 시스템(1)의 구성 및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이외의 처리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도 17에 도시한 콘텐츠 전송 처리를 개시하여, 설정 시간의 설정, 장치 ID의 요구 및 취득, 관리 정보 CI의 요구 및 취득, 기억 가능 시간 검출 후, 스텝 SP17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해야 할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하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스텝 SP17에서 실행되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도 2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 RT9를 개시하면 스텝 SP110에서, 1차 기억부(33)로부터 관리 정보 CI를 판독하고, 이 관리 정보 CI에 기초하여, 유저의 콘텐츠에 대한 기호를 특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서는, 미리 유저에 의해 예를 들면 좋아하는 장르를 적어도 1 이상 지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있고, 이 지정된 장르가 관리 정보 CI에 유저의 기호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의 기호(예를 들면 좋아하는 장르)를 특정한 후,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는, 다음 스텝 SP111로 이동한다. 스텝 SP111에서 제어부(30)는, 상술한 스텝 SP10(도 17)에서 설정한 설정 시간과, 상술한 스텝 SP16(도 17)에서 검출한 기억 가능 시간을 확인한 후, 다음 스텝 SP112로 이동한다. 스텝 SP112에서 제어부(30)는, 설정 시간과 유저의 기호에 기초하여, 기억 매체(41)의 폴더 M1F, M2F, M3F 및 M4F로부터,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생성한다.
실제상, 이 스텝 SP112에서, 폴더 M1F, M2F, M3F 및 M4F로부터,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할 때, 제어부(30)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로부터 취득한 관리 정보 CI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되어 있거나, 또는 기억 보유되어 있었던(즉 재생 후에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의 시리즈 내 번호를 인식하고, 이 시리즈 내 번호에 연속되는 시리즈 내 번호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리즈 M1의 시리즈 내 번호 「1」의 콘텐츠 데이터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 보유되어 있거나, 또는 기억 보유되어 있었던 것이면, 이 때 시리즈 M1에 대응하는 폴더 M1F로부터 지정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시리즈 내 번호 「2」의 콘텐츠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 폴더 M1F로부터, 시리즈 내 번호 「2」의 콘텐츠 데이터 M1D2를 지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조건 외에, 유저의 기호에 해당하는 폴더로부터만,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함으로써 전송 대상 리스트 L1A에 유저의 기호를 반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의 기호에 따라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생성한 후, 제어부(30)는, 다음 스텝 SP11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113에서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억 가능 시간이 3시간, 설정 시간이 1시간인 것으로 하면, 이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30)는, 이 스텝 SP113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 다음 스텝 SP114로 이동한다.
스텝 SP114에서 제어부(30)는, 관리 정보 CI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예를 들면 시리즈 M1의 콘텐츠 데이터의 1개 전의 시리즈 내 번호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가, 타임 마크가 부가된 재생 도중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P114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1개 전의 시리즈 내 번호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41)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115로 이동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하여, 이 전송 리스트 L1A를 갱신함과 함께,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때 3시간-1시간)을 인식하고, 스텝 SP113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114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1개 전의 시리즈 내 번호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도중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타임 마크 위치 이전의 부분이 삭제되고 남은 부분(예를 들면 나머지 20분의 부분)만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기억 매체(41)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 때 제어부(40)는, 스텝 SP116으로 이동한다.
스텝 SP116에서, 제어부(30)는,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1개 전의 시리즈 내 번호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의 타임 마크 위치와 설정 시간(이 경우 1시간)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 부분(이 경우 선두로부터 40분까지의 부분)까지를 지정하고, 이것을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하여, 이 전송 리스트 L1A를 갱신함과 함께,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때 3시간-40분)을 인식하고, 스텝 SP113으로 되돌아간다.
즉 이 경우, 제어부(30)는, 시리즈 M1의 콘텐츠 데이터로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되어 있는 부분(20분)과, 금회 전송하는 부분(40분)을 합하여 설정 시간 (60분)분으로 되도록,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1행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을 지정하고, 이것을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기억 가능 시간의 나머지 시간이 설정 시간(1시간)미만으로 될 때까지, 스텝 SP113∼스텝 SP116까지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전송 대상 리스트 L1의 제2행, 제3행, …에 기록된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1개씩 전송 리스트 L1A에 추가해 가서, 나머지 시간이 설정 시간(1시간) 미만으로 되면, 이 이상, 설정 시간분(1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기억시킬 수 없기 때문에, 스텝 SP113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 종료 스텝 SP117로 이동하여, 이 전송 리스트 생성 처리 수순 RT9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 처리 수순 RT9에서는, 유저의 기호에 따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해야 할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여 전송 리스트 L1A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유저에 대하여 어떠한 번거로은 조작도 시키지 않고, 유저가 좋아하고, 유저의 사용 시간에 맞춘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전송하여 기억시킬 수 있다.
(7) 다른 실시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네트워크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를 설치함과 함께, 콘텐츠 제공 서버(11)에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구성을 가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직접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의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 밖에 다양한 장치간에서의 콘텐츠 데이터 의 전송에 적용하여도 된다. 즉, 본 발명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와 같이 , 그 사용 용도 등에 의해, 사용 시간이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는 장치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데이터만,또는 음성 데이터만의 콘텐츠 데이터 등, 이 밖에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측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사용 시간을 설정 시간으로서 설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측에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사용 시간을 설정 시간으로서 설정하도록 하고, 이 설정 시간을 예를 들면 관리 정보 CI에 기록하고, 이 관리 정보 CI로부터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설정 시간을 인식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설정 시간의 설정은,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한하지 않고, 콘텐츠 제공 서버(11) 또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서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 타이머를 설치하고, 이 타이머에 의해,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전원이 ON되고 나서, OFF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이 시간을 사용 시간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폴더에 대하여 동일한 설정 시간을 설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폴더마다 서 로 다른 설정 시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동일한 폴더 내에는 유사한 콘텐츠가 보유되기 때문에, 동일한 폴더 내의 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거의 일치한다. 이 경우, 동일한 폴더 내의 1개의 콘텐츠의 평균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이 폴더의 콘텐츠에 대한 설정 시간을 자동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빈 용량과,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에 기초하여, 기억 가능 시간을 검출하고, 이 기억 가능 시간과 설정 시간에 기초하여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설정 시간과,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에 기초하여, 설정 시간분의 콘텐츠 데이터의 용량을 검출하고, 이 용량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빈 용량에 기초하여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시간이 아니라, 용량을 이용하여,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콘텐츠 데이터를, 그 콘텐츠ID에 기초하여, 시리즈마다 통합하여 관리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저 조작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유저가 좋아하는 기호에 따라 콘텐츠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고, 예를 들면 장르, 배급원, 취득처 등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를 통합하여 각각의 그룹으로 나누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재생하고 있었던 콘텐츠의 정지 시점에 타임 마크를 붙이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이 정지 시점의 몇 초 전에 타임 마크를 붙이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관리 정보 CI의 타임 마크 위치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다 재생된 부분을 판단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관리 정보 CI의 재생 정도 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다 재생된 부분을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관리 정보 CI의 타임 마크 위치, 다 봄 확인, 기호 정보 등에 기초하여,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에서 재생된 콘텐츠에 계속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 혹은 유저의 기호에 따른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 등을,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관리 정보 CI의 우선도에 기초하여, 이 우선도가 높은 콘텐츠에 계속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 우선도 에 기초하여, 각 폴트에 다른 설정 시간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M1과 M3의 우선도가 5이며, M2의 우선도가 0인 경우, M1과 M3의 콘텐츠에 대하여 다음에 전송되는 시간은 1시간 10분으로 늘리고, M2의 콘텐츠에 대하여는 10분 줄여 50분으로 설정하도록, 우선도에 기초하여, 폴더마다의 전송하는 설정 시간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가 90% 이상 재생되면, 정지 시에, 콘텐츠를 다 보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와, 이 메시지에 대한 선택지를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표시부(15)에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몇% 재생되었는지에 한하지 않고, 정지 시에, 콘텐츠를 다 보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와, 이 메시지에 대한 선택지를 표시하는 하여도 되고, 이 %를 유저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콘텐츠 제공 서버(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인덱스 정보 ID를 생성하고, 이것을 이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콘텐츠 제공 서버(11)가, 인덱스 정보 ID를 생성하고, 이 인덱스 정보 ID를 부가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배신하도록 하여도 되고,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가,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부터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인덱스 정보 ID를 생성하고, 이것을 이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가, 전송 대상 리스트 L1과 전송 리스트 L1A를 따로따로 생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생성한 후, 이 전송 대상 리스트 L1에 기록된 불필요한 부분(즉 기억 가능 시간에 들어가지 않는 부분)을 삭제하고, 이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한 전송 대상 리스트 L1을 그대로 전송 리스트 L1A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6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측에서, 유 저의 기호 정보를, 유저 자신에게 등록시키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측에서, 유저의 기호 정보를, 유저 자신이 등록시키도록 하여도 되고,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측에서, 관리 정보 CI에 기초하여, 최후까지 재생된 콘텐츠의 장르, 혹은 자주 재생되는 시리즈의 장르를, 유저가 좋아하는 장르로서 판단하고, 이 장르를 기호 정보로서 등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의 제어부(30) 및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의 제어부(40)가,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술한 각 처리 수순 RT1∼RT9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각 처리 수순 RT1∼RT9를 하드웨어적으로 실행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들 각 처리 수순 RT1∼RT9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CD(Compact Disc)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두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11)를, 제어부(20), 기억 매체(21), 및 통신부(22)로 구성하도록 하고, 또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정보 처리장치로서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13)를, 제어부(30), 기억 매체(31), 판독 전용 기억부(32), 1차 기억부(33), 조작부(34), 통신부(35), 영상 음성 처리부(36), 표시부(37), 음성 출력부(38), 및 외부 접속부(39)로 구성하도록 하고, 또한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를, 제어부(40), 기억 매체(41), 판독 전용 기억부(42), 1차 기억부(43), 조작부(44), 외부 접속부(45), 표시부(15), 음성 출력부(16), 및 영상 음성 처리부(46)로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 하지 않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것이면, 이 밖에 다양한 구성으로, 이들 콘텐츠 제공 서버(11), 콘텐츠 재생 단말기(13), 휴대형 콘텐츠 재생 장치(14)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콘텐츠 전송 장치(1)는, 도 4에 도시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3)에 상당하고, 통신부(2)(도 1)는, 통신부(35)(도 4)에 상당하며, 지정부(4), 제어부(5), 용량 검출부(6), 리스트 생성부(7), 및 인덱스 정보 생성부(8)(도 1)는, 제어부(30)(도 4)에 상당하고, 기억부(3)(도 1)는, 기억 매체(31)(도 4)에 상당하는 것이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나 하드디스크 레코더 등의 콘텐츠 전송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미리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는 지정부와,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외부 기기의 사용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두면, 각각이 사용 시간분으로 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 시간을 초과하는 쓸모없는 부분을 전송하지 않아 외부 기기에 대하여 보다 많은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유저 에 의한 사용 시간에 맞춰, 보다 많은 콘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3)

  1.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미리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에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는 지정부와,
    상기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이 상기 시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해당 재생 시간이 해당 시간 이하로 되도록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을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이 상기 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전부분을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마다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기억하고,
    상기 지정부는, 상기 시간에 기초하여, 다른 상기 그룹으로부터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은, 상기 그룹에 대하여 각각의 그룹에 서로 다른 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기억 용량을 상기 통신부를 거쳐 검출하는 용량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정부는,
    상기 시간, 및 상기 용량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을 취출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제시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를 생성하는 인덱스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 중의, 재생된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거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 중의, 재생 도중의 전송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된 부분을, 상기 통신부를 거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10. 미리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는 지정 스텝과,
    상기 지정 스텝에서 지정한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마다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기억되고,
    상기 지정 스텝에서는,
    상기 시간에 기초하여, 다른 상기 그룹으로부터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1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콘텐츠 데이터로서 지정하는 지정 스텝과,
    상기 지정 스텝에서 지정한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마다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기억되며,
    상기 지정 스텝에서는,
    상기 시간에 기초하여, 다른 상기 그룹으로부터 상기 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
KR1020060097062A 2005-10-07 2006-10-02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프로그램 KR20070039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5206 2005-10-07
JP2005295206A JP2007104577A (ja) 2005-10-07 2005-10-07 コンテンツ転送装置、コンテンツ転送方法及びコンテンツ転送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405A true KR20070039405A (ko) 2007-04-11

Family

ID=3800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062A KR20070039405A (ko) 2005-10-07 2006-10-02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94274A1 (ko)
JP (1) JP2007104577A (ko)
KR (1) KR20070039405A (ko)
CN (1) CN1945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151A (ko) * 2016-08-30 2019-04-25 로비 가이드스, 인크. 이용 가능한 스토리지의 함수로서 시리즈물 녹화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7283B2 (en) 2008-02-04 2012-02-14 Echostar Technologies L.L.C. Providing remote access to segments of a transmitted program
JP5024352B2 (ja) * 2009-10-27 2012-09-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KR101779825B1 (ko) * 2011-02-2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051321A1 (en) * 2013-10-04 2015-04-09 Opanga Networks, Inc. Conditional pre-delivery of content to a user device
JP2015153091A (ja) * 2014-02-13 2015-08-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21616B2 (en) * 2014-02-24 2017-08-01 Opanga Networks, Inc. Playback of content pre-delivered to a user device
JP6668634B2 (ja) * 2015-08-04 2020-03-18 ヤマハ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03890B2 (ja) * 2016-04-27 202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0038695A (ja) * 2019-11-06 2020-03-12 ヤマハ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137B1 (ko) * 1997-04-11 2001-04-16 윤종용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버전 관리방법
US20020057892A1 (en) * 1997-09-30 2002-05-16 Yoshizumi Mano Video recording device including the ability to concurrently record and playback
US6636953B2 (en) * 2000-05-31 2003-10-21 Matsushita Electric Co., Ltd. Receiving apparatus that receives and accumulates broadcast contents and makes contents available according to user reques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151A (ko) * 2016-08-30 2019-04-25 로비 가이드스, 인크. 이용 가능한 스토리지의 함수로서 시리즈물 녹화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5724A (zh) 2007-04-11
US20070094274A1 (en) 2007-04-26
JP2007104577A (ja)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9405A (ko)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콘텐츠 전송프로그램
CN1855277B (zh) 采用局部存储器从记录介质重放数据的方法和装置
US8688637B2 (en) Bookmarked synchronization of files
JP2006235717A (ja) コンテンツ転送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892881B (zh) 内容获取装置、内容获取方法
TWI254213B (en) Method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an interactive recording medium in conjunction with associated auxiliary data
CN101057286B (zh) 利用本地存储器从记录介质中再现出数据的方法和装置
WO2007026837A1 (ja) ファイル処理装置、ファイル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0504880C (zh) 再现设备和再现方法
KR20080027168A (ko)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
CN104092645A (zh) 内容再现系统和内容提供装置
WO2008056407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 contenu, dispositif de reproduction, système de traitement de contenu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JP4984669B2 (ja) データ書込装置及びデータ受け渡しシステム
JP2006302345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50328B2 (ja) 記録装置
JP3894226B1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EP181029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JP5050668B2 (ja) データレコーダ
US20100165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ading information
WO20060732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KR100588173B1 (ko) 파일 식별 디스크립터 관리방법
US20100189417A1 (e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7916608B2 (en) Recording apparatus
JP2009070477A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プログラム
KR100568236B1 (ko) 멀티 미디어 파일의 재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