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021A -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 Google Patents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021A
KR20070039021A KR1020070028672A KR20070028672A KR20070039021A KR 20070039021 A KR20070039021 A KR 20070039021A KR 1020070028672 A KR1020070028672 A KR 1020070028672A KR 20070028672 A KR20070028672 A KR 20070028672A KR 20070039021 A KR20070039021 A KR 2007003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ane
tarpaulin
water
fire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용
성낙원
박현선
Original Assignee
박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선 filed Critical 박현선
Priority to KR102007002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9021A/ko
Publication of KR2007003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차에 탑재되어 화재 진압시 사용되는 방수포에 관한 것으로서,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다수개의 곡관을 이동하여 방수포의 외측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는 소화수가 곡관의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베인을 설치함으로서 장거리 직선 분사 또는 광범위 분사에 따른 소화수의 편향을 감소시켜 고르게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에 관한 것이다.
소방차, 방수포, 소화수, 곡관, 가이드 베인, 곡률

Description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Waterproof cloth for firemen which guide vane possesses}
도 1은 일반적인 소방용 방수포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가이드 베인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수포 10 : 제1 유동 영역
20 : 제2 유동 영역 30 : 제3 유동 영역
40 : 제4 유동 영역 50 : 제5 유동 영역
100 : 곡관 200, 200' : 가이드 베인 210 : 제1 가이드 베인 220 : 제2 가이드 베인 230 : 제3 가이드 베인
본 발명은 화재 진압시 화재 현장을 향해 소화수가 분사되는 소방용 방수포의 곡관 내측에 소화수의 유동 편향을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각종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소방차가 출동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며, 화재 현장에 대해 상기 소방차의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화재 현장을 위해 물을 분사하는 방수포가 탑재되어 사용하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방수포를 도시한 것으로서, 적어도 3개 이상의 곡관(100)을 경유하여 소화수가 화재 현장을 향해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방수포(1)가 소방차에 탑재되어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방수포(1)는 다수개의 곡관(100)을 경유하여 소화수의 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방수포(1)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의 유동이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방수포(1)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될 경우에는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고 편향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특히 화재진압 상황에 따라 각 곡관의 상대위치가 변화는 경우에는 장거리 직선분사에 따른 소화수 유동의 편향은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용 방수포의 곡간 내측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 베인을 설치하여 곡관을 통해 유동하 는 소화수가 방수포에서 분사될 때 편향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화재 진압을 실시할 수 있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는 소방차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특정 장소를 향해 분사 가능 하도록 다수개의 곡관이 연결 설치된 방수포가 구비되되 곡관 내측의 라운드진 곡률을 따라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어 방수포를 통해 외측으로 분사되는 소화수가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은 곡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었을 때 발생하는 교차점 하부에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곡관의 하측에서 부터 상측까지 연장 형성된 제1 가이드 베인, 상기 제1 가이드 베인의 하측에 이격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베인의 곡률 반경을 R1 이라고 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베인의 곡률 반경을 R2 라고 할 때 R1>R2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베인과 제1 가이드 베인의 곡률반경은 1:2의 비례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이 설치된 곡관에는 제1 가이드 베인과 곡관 내측의 반경방향 상에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1 유동 영역, 상기 제1 가이드 베인과 제2 가이드 베인 사이를 따라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2 유동 영역, 상기 제2 가이드 베인과 곡관 중심 사이를 따라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3 유동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소방차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특정 장소를 향해 분사 가능 하도록 다수개의 곡관이 연결 설치된 방수포가 구비되고 곡관 내측의 라운드진 곡률을 따라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베인은 일단이 소화수가 유입되는 곡관 하측의 직경 중앙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곡관의 곡률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소화수가 유출되는 곡관 타측의 직경 중앙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3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이 설치된 곡관에는 제3 가이드 베인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제4 유동 영역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5 유동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가이드 베인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작동 상태도 이다.
첨부된 도 2a 또는 도 3a를 참조하면, 소방차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특정 장소를 향해 분사 가능 하도록 다수개의 곡관(100)이 연결 설치된 방수포(1)가 구비되되 곡관(100) 내측의 라운드진 곡률을 따라 가이드 베인(200)이 설치되어 방수포(1)를 통해 외측으로 분사되는 소화수가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곡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었을 때 발생하는 교차점 하부에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곡관(100)의 하측에서 부터 상측까지 연장 형성된 제1 가이드 베인(210)과, 상기 제1 가이드 베인(210)의 하측에 이격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베인(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베인(210)의 곡률 반경을 R1 이라고 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베인(220)의 곡률 반경을 R2 라고 할 때 R1>R2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베인(220)과 제1 가이드 베인(210)의 곡률반경은 1:2의 비례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2 가이드 베인(210,220)에 대한 곡률반경의 수치는 비례식으로 기재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이 설치된 곡관(100)에는 제1 가이드 베인(210)과 곡관(100) 내측의 반경 방향 상에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1 유동 영역(10)과, 상기 제1 가이드 베인(210)과 제2 가이드 베인(220) 사이를 따라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2 유동 영역(20)과, 상기 제2 가이드 베인(220)과 곡관(100) 중심 사이를 따라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3 유동 영역(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도 2b 또는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소방차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특정 장소를 향해 분사 가능 하도록 다수개의 곡관(100)이 연결 설치된 방수포(1)가 구비되고 곡관(100) 내측의 라운드진 곡률을 따라 가이드 베인(200')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일단이 소화수가 유입되는 곡관(100) 하측 의 직경 중앙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곡관(100)의 곡률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소화수가 유출되는 곡관(100) 타측의 직경 중앙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3 가이드 베인(230)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이 설치된 곡관(100)에는 제3 가이드 베인(230)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제4 유동 영역(4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5 유동 영역(5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a를 참조하면,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차의 물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소화수가 곡관(100)을 경유하면서, 곡관(100) 내측에 구비된 제1,2 가이드 베인(210,2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베인(210)은 곡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었을 때 발생하는 교차점 하부에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 베인(210)의 하측에 제2 가이드 베인(220)이격 설치되어 있어서 A에서 부터 소화수가 유입되어 B를 통해 유동할 경우에 제1,2 가이드 베인(210,220)의 형상을 따라 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 가이드 베인(210)의 곡률 반경과 제2 가이드 베인(220)의 곡률 반경이 R1>R2의 관계가 성립되어, 제1 유동 영역(10)을 경유하는 소화수의 유량이 제2 유동 영역(20)을 통해 유동하는 소화수의 유량보다 많게 되며 제3 유동 영역(30)을 통해 유동하는 소화수의 유량은 상대적으로 적은 소화수가 유동하게 된 다.
또한, 제2 가이드 베인(220)과 제1 가이드 베인(210)의 곡률반경은 1:2의 비례 관계가 성립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곡관(100)을 통해 유동하는 소화수의 편향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제1,2 가이드 베인(210,220)을 통해 유동하는 소화수의 흐름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의 다른 실시예를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b를 참조하면,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차의 물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소화수가 곡관(100)을 경유하면서, 곡관(100) 내측에 구비된 제3 가이드 베인(2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 가이드 베인(230)은 일단이 소화수가 유입되는 곡관(100) 하측의 직경 중앙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곡관(100)의 곡률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소화수가 유출되는 곡관(100) 타측의 직경 중앙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즉, C방향으로 입수된 소화수는 제3 가이드 베인(230)의 구조적인 형상을 따라 제4 유동 영역(40)과 제5 유동 영역(50)을 경유하여 D방향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되, 소화수의 편향이 최소화 되도록 제3 가이드 베인(230)의 하단부가 곡관(100)의 반경방향에 치우쳐 위치하고, 상단부가 곡관(100)의 중심 아래쪽에 위치해 있어서 곡관(100)을 통해 유동하는 소화수의 유동 편향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화재 진압시 광범위한 화재 지역에 대해 소화수의 편향 없 이 화재 진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장거리 직선분사일 경우에도 유동 편향을 최소화 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는 소화수의 유동 편향을 최소화하여 장거리 직선분사 또는 광범위한 지역에 소화수를 분사시킬 때 발생하는 편향을 최소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포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의 편향이 감소 되어 화재 발생 지역에 대한 안정적인 진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소방차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특정 장소를 향해 분사 가능 하도록 다수개의 곡관이 연결 설치된 방수포가 구비되되 곡관 내측의 라운드진 곡률을 따라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어 방수포를 통해 외측으로 분사되는 소화수가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은 곡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었을 때 발생하는 교차점 하부에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곡관의 하측에서 부터 상측까지 연장 형성된 제1 가이드 베인, 상기 제1 가이드 베인의 하측에 이격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베인의 곡률 반경을 R1 이라고 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베인의 곡률 반경을 R2 라고 할 때 R1>R2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베인과 제1 가이드 베인의 곡률반경은 1:2의 비례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이 설치된 곡관에는 제1 가이드 베인과 곡관 내측의 반경방향 상에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1 유동 영역, 상기 제1 가이드 베인과 제2 가이드 베인 사이를 따라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2 유동 영역, 상기 제2 가이드 베인과 곡관 중심 사이를 따라 소화수가 이동되는 제3 유동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6. 소방차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특정 장소를 향해 분사 가능 하도록 다수개의 곡관이 연결 설치된 방수포가 구비되고 곡관 내측의 라운드진 곡률을 따라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베인은 일단이 소화수가 유입되는 곡관 하측의 직경 중앙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곡관의 곡률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소화수가 유출되는 곡관 타측의 직경 중앙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3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이 설치된 곡관에는 제3 가이드 베인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제4 유동 영역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5 유동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KR1020070028672A 2007-03-23 2007-03-23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KR20070039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672A KR20070039021A (ko) 2007-03-23 2007-03-23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672A KR20070039021A (ko) 2007-03-23 2007-03-23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021A true KR20070039021A (ko) 2007-04-11

Family

ID=3816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672A KR20070039021A (ko) 2007-03-23 2007-03-23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90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7B1 (ko) * 2011-08-10 2013-12-12 주식회사 세아베스틸 연속 주조용 몰드 파우더 투입장치
CN113332636A (zh) * 2021-06-08 2021-09-03 常州苏博高新技术有限公司 船舶安全消防装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7B1 (ko) * 2011-08-10 2013-12-12 주식회사 세아베스틸 연속 주조용 몰드 파우더 투입장치
CN113332636A (zh) * 2021-06-08 2021-09-03 常州苏博高新技术有限公司 船舶安全消防装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9701B (zh) 用于消防系统的水雾喷头
CN108290062B (zh) 自动控制水流的用于喷洒管的分支三通和包括分支三通的喷洒管系统
CN101426585A (zh) 用于消防的专用喷洒器
KR20070039021A (ko)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소방용 방수포
KR100932322B1 (ko)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KR101342127B1 (ko) 건축물용 소방장치
KR102243551B1 (ko)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WO20071184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people in a tunnel affected by a fire
KR20200030323A (ko) 발전소 외부화재 진압설비 및 이를 이용한 발전소 외부화재 진압방법
US202300095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in a building
KR20050101264A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KR101810002B1 (ko) 건축물의 소방설비용 수격 방지 장치
KR102055834B1 (ko) 벽걸이 소화장치
JPH05337213A (ja) 消火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CN101586738A (zh) 一种液氯储库设备的安全配置结构
KR20080005954U (ko) 화재진압과 화염전파를 방지하는 스프링클러
KR102630703B1 (ko) 수벽 노즐장치
JP6512934B2 (ja) 消火設備
US20080217032A1 (en) Stationary Fire-Fighting System Comprising a Cleaning Device
CN216986157U (zh) 一种用于压缩空气泡沫灭火系统的喷淋装置
US20220088620A1 (en) Modular fluid spray nozz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278814B1 (ko) 선박 메인엔진의 화재진압 장치
CN216198253U (zh) 一种基于隧洞施工的瓦斯治理装置
KR101322751B1 (ko) 살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JP2024068607A (ja) 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