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434A -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및 디지털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및 디지털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434A
KR20070038434A KR1020060097540A KR20060097540A KR20070038434A KR 20070038434 A KR20070038434 A KR 20070038434A KR 1020060097540 A KR1020060097540 A KR 1020060097540A KR 20060097540 A KR20060097540 A KR 20060097540A KR 20070038434 A KR20070038434 A KR 20070038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signal
display
unit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7453B1 (ko
Inventor
레이 모모세
마사야 다지마
아야히또 고지마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화상의 정밀함을 유지하면서 표시 데이터의 노이즈를 해소 또는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PDP 장치의 화상 신호 처리부에서, 오차 확산 처리보다도 전단에, 노이즈 리듀서부(11)를 구비한다. 노이즈 리듀서부(11)는, 입력 표시 데이터(Di)에 대한 LPF(111)와, 그에 대한 엣지 판정부(112) 및 레벨 판정부(113)를 갖는다. 각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의 화소 영역에 따라, 데이터 선택부(114)에서, LPF(111)를 통과한 출력(d2)과 통과하지 않는 출력(d1)을 절환해서 출력 표시 데이터(Do)로서 출력한다. 노이즈 리듀서부(11)에 의해, 입력 표시 데이터(Di)에 내재하는 노이즈를, 화상의 정밀함을 유지하면서 저감한다.
디더 처리부, 타이밍 제어부, 구동 회로부, 전면 기판, 비교기

Description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및 디지털 표시 장치{DIGI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지털 표시 장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지털 표시 장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지털 표시 장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서브필드법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을 적용한 화상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털 표시 장치의 화상 신호 처리부에서의 노이즈 리듀서부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데이터 및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원래의 화상의 예를,(b)는, (a)의 화상의 모든 화소를 로우패스 필터링한 경우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신호 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예를, (b)는, (a)에 대 응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6의 (a)의 화상에 대하여 엣지 판정된 화소를 도시한 도면.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입력 계조와 그에 대한 역γ 보정 후의 계조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γ=1.0의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입력 계조와 그에 대한 역γ 보정 후의 계조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γ=2.2의 경우) 및 계조 에리어와 엣지 레벨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의 노이즈 리듀서부의 엣지 판정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지털 표시 장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서브필드 점등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지털 표시 장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화상 신호 처리부에서의 오차 확산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디지털 표시 장치의 화상 신호 처리부에서의 노이즈 리듀서부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14는 종래 기술에서의 디지털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에 의한 화상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2, 910: 화상 신호 처리부
11, 11r, 11g, 11b, 11-2: 노이즈 리듀서부
12, 912: 디더 처리부
13, 913: 오차 확산 처리부
14, 914: 데이터 변환부
15: 역γ 보정 처리부
20: 표시 제어 회로부
21: 화상 데이터 제어부
22: 타이밍 제어부
23: 프레임 메모리부
24: 프레임 메모리 제어 회로부
30: 구동 회로부
31: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부
32: 주사 전극 구동 회로부
33: X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
34: Y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
40: 표시 패널부(PDP)
41: 전면 기판
42: 배면 기판
43, 45: 유전체층
44: 보호층
45: 격벽
46r, 46g, 46b: 형광체층
47: 어드레스 전극
48a: X 버스 전극
48b: X 투명 전극
49a: Y 버스 전극
49b: Y 투명 전극
61: 계조 에리어 판정부
62: 임계값 선택부
63: 비교기
1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1, 111-1∼111-n: LPF(로우패스 필터)
112, 112-2: 엣지 판정부
113: 레벨 판정부
114: 데이터 선택부
115: 노이즈 레벨 판정부
116: 필터 선택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의 표시 단말기 등으로서 이용되는 디지털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데이터(디지털 신호)의 신호 처리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라고 약칭함) 및 그 표시 제어 및 구동 회로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 장치라고 약칭함)가 있다. 예를 들면, PDP 장치에서의 PDP의 표시를 위한 표시 데이터의 신호 처리에서, 복수의 처리의 조합에 의해, PDP의 표시 화상에 노이즈의 발생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복수의 처리의 조합은, 예를 들면, 오차 확산 처리와 그 후단의 PDP 출력을 위한 데이터 변환 처리의 조합이다. 상기 노이즈의 발생으로서는, 화상에서의 특정한 계조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종래, 상기 노이즈의 대책으로서, 상기 복수의 처리의 조합에 대하여, 또 다른 처리, 예를 들면, 디더 처리 등을 부가함으로써, 표시 데이터 및 화상의 노이즈의 해소 또는 저감이 도모된다. 예를 들면, 오차 확산 처리 공정의 전단에 디더 처리 공정을 부가한다.
도 14는, 상기한 바와 같은 노이즈 대책 처리를 행하는 표시 방법에서의 종래 기술의 화상 신호 처리부(910)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종래의 PDP 장치 등에서, 표시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대책 처리를 행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910)를 갖는다. 화상 신호 처리부(910)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로서, R(적), G(녹), B(청)의 각 신호로 이루어지는, RGB 형식의 표시 데이터 D가 있다. 입력 표시 데이터(입력 디지털 신호) D는, 우선, 디더 처리부(912)에 입력되어 디더 처리된다. 그 출력이, 다음으로, 오차 확산 처리부(913)에 입력되어 오차 확산 처리된다. 그 출력이, 다음으로, 데이터 변환부(914)에 입력되고, 표시 패널부에의 출력을 위한 데이터 변환이 행해져 출력 표시 데이터(출력 디지털 신호) D'로서 출력된다. 오차 확산 처리는, 의사 계조 표현을 위한 처리의 하나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PDP 장치용의 표시 데이터의 신호 처리의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처리의 조합에 의해 야기된 노이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더 처리 등의 별도의 처리를 부가함으로써 대책된다. 그리고, PDP 장치의 화상 신호 처리부(910)에서의 입력 신호가 디지털 데이터 그 자체인 경우, 즉 아날로그 입력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가 아니라, 계산기 상에서 직접적으로 작성한 데이터인 경우 등에는, 상기 표시 방법의 적용에 의해 노이즈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입력 신호가, 상기 아날로그 입력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 즉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DA 변환 등을 행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입력 신호에 내재하는 노이즈에 의한 영향 때문에 상기 표시 방법의 적용에 의한 노이즈 저감 효과는 낮아, 여전히, 노이즈의 발생, 예를 들면, 특정한 계조에서의 노이즈의 발생이 보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화상의 정밀함을 유지 하면서 표시 데이터의 노이즈를 해소 또는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제어 및 구동 회로부(콘트롤러 및 드라이버)에 관계되는 표시 데이터(디지털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기술로서, 이하에 기재하는 기술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에서는, 오차 확산 처리 수단보다도 앞에 로우패스 필터(저역 통과 필터: LPF라고 약칭함)를 갖고, 표시 데이터의 화소 영역에 따라 LPF의 적용, 바꿔 말하면 LPF 처리의 온/오프를 절환·선택한다. LPF에 대하여, 표시 데이터에 관한 엣지 판정 및/또는 레벨 판정의 수단을 이용하여, 그 판정에 따라 LPF 통과 신호/비통과 신호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입력 표시 데이터인 디지털 신호에 내재하는 노이즈, 특히 아날로그 신호 입력(즉, 모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신호/데이터)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화상의 정밀함을 유지하면서 저감한다. 자세한 것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본 디지털 표시 장치 및 그 회로부(신호 처리를 행하는 수단)에서의 표시 데이터(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신호 처리에서, 오차 확산 처리보다도 앞의 신호에 대하여, 표시 데이터에 따라 LPF에 의한 로우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이에 의해 표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에 내재하는 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하는, 노이즈 저감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노이즈 저감 처리 후의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오차 확산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노이즈 저감 수단은, 첫 번째로, 표시 데이터의 화상에서의 화소값과, 설정된 엣지 레벨(EL)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해당 화소를 화상에서의 엣지 부분(또는 LPF 비적용 화소 영역)이라고 판정하는 엣지 판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 수단에서 엣지 부분으로 판정된 화소 영역에 대해서는 LPF를 바이패스(비통과) 또는 오프시키고, 그 외의 화소 영역에 대하여 LPF를 통과 또는 온시킨다.
본 표시 방법 에서는, 상기 LPF에 의한 로우패스 필터링을 행할 때, 표시 데이터에서의 주목 화소와 그것에 공간적으로 인접하는 화소의 계조 레벨의 차분이,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EL을 초과한 경우에, 해당 화소를 엣지 부분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기 노이즈 저감 수단은, 두 번째로, 표시 데이터에서의 LPF에서의 로우패스 필터링 후의 신호(계조) 레벨과, 설정된 필터 적용 레벨(FL이라고 함)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해당 화소가 로우패스 필터링이 필요하지 않은 신호(계조) 레벨(또는 LPF 비적용 화소 영역)이라고 판정하는 레벨 판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 수단에서 필터링이 필요하지 않은 레벨로 판정된 화소 영역에 대해서는 LPF를 바이패스시키고, 그 외의 화소 영역에 대하여 LPF를 통과시킨다.
본 표시 방법에서는, 상기 LPF에 의한 로우패스 필터링을 행할 때, 표시 데이터에서의 로우패스 필터링 후의 신호 레벨이,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FL값의 범위 외인 경우에, 해당 화소를 필터링이 필요하지 않은 레벨로 판정한다.
이들 엣지 판정, 필터 적용 레벨 판정, 및 그들의 결과에 따른 LPF의 선택적 적용의 수단에 의해, 표시 데이터의 화소 영역에 따라 로우패스 필터링을 실시하고, 표시 데이터의 출력에 의한 화상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노이즈, 특히 특정 계조 노이즈를 해소 또는 저감한다.
또한, 상기 노이즈 저감 수단은, 세 번째로, 특성이 서로 다른 복수의 LPF와, 이들 복수의 LPF를 절환하는 수단과, 입력 표시 데이터에 내재하는 노이즈의 레벨을 판정하는 노이즈 레벨 판정 수단을 갖는다. 입력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이즈 레벨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복수의 LPF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적용한다. 이에 의해, 화소 영역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입력 표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는, 처음부터 계산기 상에서 디지털 처리에 의해 작성한 데이터나, 혹은, 특히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AD 변환 그 밖의 신호 처리)한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입력 표시 데이터는, 예를 들면, R, G, B마다의 계조 레벨값(예를 들면, 8bit·256계조)을 갖는 형식의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각각 표시 계조가 제어 가능한 표시 셀군을 갖는 표시 패널, 예를 들면, PDP이다. 또한, 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수단은, 기타, 역γ 보정 처리부, 디더 처리부 등을 가져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부에는 원칙으로서 동일 부호를 붙여,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도 13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지털 표시 장치인 PDP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PDP 장치(100)에서의 표시 패널부(PDP)(40)의 전면 기판(41)측과면 기판(42)측의 접합 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전제 기술에서의 서브필드법에서의 필드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표시 방법에 따라 처리를 행하는, 실시예 1에서의 화상 신호 처리부(1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화상 신호 처리부(10)에서의 노이즈 리듀서부(11)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처리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실시예 1에서의 엣지 판정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전제 기술에서의 SF 점등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전제 기술에서의 오차 확산 처리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실시예 2의 구성을 도시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우선, 기본으로 되는 기술 구성을 이하 설명한다. 도 1에서, 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 장치)(100)는, 표시 패널부(PDP)(40), 구동 회로부(30), 표시 제어 회로부(20), 및 화상 신호 처리부(10) 등을 갖는 구성이다. 표시 패널부(40)에 대하여 구동 회로부(30)가 접속되고, 표시 제어 회로부(20)에 대하여 구동 회로부(30)가 접속된다. 또한, 표시 제어 회로부(20)에 대하여 접속되는 화상 신호 처리부(10)를 갖는다. 또한, 표시 제어 회로부(20) 내에 화상 신호 처리부(10)를 설치하는 등의 형태라도 상관없다.
PDP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샤시부에 대하여 표시 패널부(40)가 접합되고, 샤시부의 배면측에 표시 제어 회로부(20) 등의 각 회로부를 실장한 IC나 도시하지 않은 전원 회로부 등이 배치된 PDP 모듈을 갖는다. 샤시부의 배면측의 회로부와, 표시 패널부(40)의 단부가, 구동 회로부(30)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모듈(플렉시블 기판에 대하여 드라이버 IC 등을 실장한 모듈)에 의해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의 PDP 모듈이, 외부 케이스에 수용되어, PDP 장치 세트가 구성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10)는, 외부로부터 표시 데이터(Di)를 입력받고, 화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 제어부(21)에 대하여 표시 데이터(Do)를 출력한다. 표시 데이터(Di)는, 예를 들면, RGB 형식이며, R(적)·G(녹)·B(청)의 각 색에 대응한 Dr, Dg, Db의 신호로 이루어진다. 화상 신호 처리부(10)의 화상 신호 처리에서는, 표시 데이터 변환이나 표시 데이터의 노이즈 저감 처리 등이 행해진다. 화상 신호 처리부(10)는, 예를 들면, ASIC(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장된다.
표시 제어 회로부(20)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21), 타이밍 제어부(22)를 갖는다. 표시 제어 회로부(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터페이스 신호{CLK(도트 클럭), Di(표시 데이터), B(블랭킹 신호), Vsync(수직 동기), Hsync(수평 동기)}에 기초하여, 구동 회로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구동 회로부(30)를 제어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1)로부터, 프레임 메모리부(23)에 축적되는 데이터 신호(Di)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부(31)를 제어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2)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부(31), 주사 전극 구동 회로부(32), X 및 Y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33, 34)를 각각 제어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1)는, 프레임 메모리부(23), 프레임 메모리 제어 회로부(24)를 갖는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21)는, 구동 회로부(30)에 대한 표시 데이터의 공급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부(22)는, 표시 처리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프레임 메모리 제어 회로부(24),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부(31), 주사 전극 구동 회로부(32), X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33), 및 Y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34)에 공급한다. 프레임 메모리부(23)는, 화상 신호 처리부(10)로부터의 표시 데이터(Do)를 축적한다. 프레임 메모리 제어 회로부(24)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부(23)를 제어하고, 프레임 메모리부(23)로부터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부(31)에 대하여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구동 회로부(30)는, 데이터(어드레스) 전극 구동 회로부(31), 주사 전극 구동 회로부(32), X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33), Y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34)를 갖는다. 구동 회로부(30)에서는, 표시 제어 회로부(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PDP(40)의 전극을 구동한다.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부(31)는, 프레임 메모리부(23)로부터의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PDP(40)의 데이터선(어드레스 전극)을 구동한다. 주사 전극 구동 회로부(32)는, PDP(40)의 주사선(Y 전극에 대응함)을 구동한다. X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33)는, PDP(40)의 X 전극을 구동한다. Y 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34)는, 주사 전극 구동 회로부(32)를 통하여, PDP(40)의 Y 전극을 구동한다. PDP(40)의 표시 화면에서,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부(31)와 주사 전극 구동 회로부(32)로부터의 구동에 의해, 표시 셀 결정을 위한 어드레스 방전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X 및 Y유지 전극 구동 회로부(33, 34)로부터의 구동에 의해, 표시 셀 발광을 위한 유지 방전이 행해진다.
<PDP>
도 2에서, 표시 패널부(PDP)(40)는, 주로 전면 기판(41)과 배면 기판(42)의 2장의 글래스를 주로 하는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부(PDP)(40)는, 전면 기판(41)과 배면 기판(42)이, 격벽(48) 등을 통하여 대향하도록 접합되고, 그 공간에서 배기 및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밀봉됨으로써 구성된다.
전면 기판(41)에는, 제1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X) 전극 및 제2(Y) 전극을 대략 평행하게 구비한다. 각 X, Y 전극은, 유지 방전용의 전극이나 주사용의 전극으로 된다. X, Y 전극 사이에서 유지 방전이 행해진다. 각 X, Y 전극은, 예를 들면, 버스 전극과 투명 전극에 의해 구성된다. 버스 전극은, 드라이버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제의 직선 바 형상의 전극이다. 투명 전극은, 버스 전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방전 슬릿을 형성하는, ITO(산화 인듐 주석)층막 등에 의한 전극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기판(41)에 대하여, X 투명 전극(51b) 및 투명 전극(52b)과, X 버스 전극(51a) 및 Y 버스 전극(52a)이,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면 기판(41) 상의 X, Y 전극은, 유전체층(43) 및 보호층(44)에 의해 피복된다.
또한, 배면 기판(42)에는, X, Y 전극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제3 (A)전극인 어드레스 전극(데이터 전극이라고도 함)(47)이 복수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47)은, 유전체층(45)에 의해 피복된다. Y-X 전극에서 사이에 기어 어드레스 전극(47)과 교차하고 있는 영역에 의해, 표시 셀이 형성되어 있 다.
전면 기판(41)과 배면 기판(42) 사이는, 예를 들면, 세로 방향(제2 방향)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구분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48)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48)에 의해 구분된 영역에는, R, G, B의 각 색의 형광체(46r, 46g, 46b)가 구별되어 도포된다. 이들 각 색의 표시 셀에 의해 화소가 구성된다. 또한, 가로 방향(제1 방향)으로도 격벽을 형성한 형태 등도 가능하다.
<서브필드법>
도 3에서, PDP(40)의 표시 구동 방법인 서브필드법을 확인한다. 필드 구성으로서, PDP(40)의 1표시 화면(화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1필드(FD)는, 시분할되는 복수의 서브필드(SF)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SF1∼SF10의 10개의 SF로 이루어진다. 각 SF는, 리세트 기간(Tr), 어드레스 기간(Ta), 서스테인 기간(Ts)를 갖는다. 각 SF는, 서스테인 기간(Ts) 즉 유지 방전 횟수의 차이에 의해, 가중치 부여가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가장 가중치 부여가 작은 SF1부터, 가장 가중치 부여가 큰 SF10까지, 순서대로 상이한 서스테인 기간(Ts)이 주어져 있다.
PDP(40)의 표시 구동에서는, 우선, 리세트 기간(Tr)의 동작으로서, 잔존하는 전하의 균일화 등이 행해지고, 다음으로 어드레스 기간(Ta)의 동작으로서, A-Y 전극 사이의 대향 방전에 의해, 대상 셀에서의 데이터 메모리(벽 전하의 축적)가 행해진다. 그리고 서스테인(유지 방전) 기간(Ts)의 동작으로서, X-Y 전극 사이에서의 면 방전에 의해, 대상 셀에서의 방전 발광이 발생한다.
<실시예 1>
도 4의(a)는, 본 PDP 장치(100) 내의 화상 신호 처리부(10)의 제1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의(b)는, 제1 구성의 화상 신호 처리부(10)에 대하여, 전단에 역γ 보정 처리부(15)를 추가한 제2 구성의 화상 신호 처리부(10-2)를 도시한다. 이들 제1 및 제2 구성은, 역γ 보정 처리부(15)에서 표시 데이터(Di)에 대한 역γ 보정 처리가 추가되는 것 외에는 동일하기 때문에, 어느 구성을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이하, 제1 화상 신호 처리부(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화상 신호 처리부(10, 10-2) 내의 노이즈 리듀서부(11)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1 구성의 화상 신호 처리부(10)는, 노이즈 리듀서부(노이즈 저감부)(11), 디더 처리부(12), 오차 확산 처리부(13), 데이터 변환부(14)의 각 회로부를 순서대로 갖는 구성이다. 제2 구성의 화상 신호 처리부(10-2)는, 노이즈 리듀서부(11)의 전단에, 역γ보정 처리부(15)를 갖는다.
화상 신호 처리부(10, 10-2)의 블록 구성은, 화상 신호 처리 공정에도 대응하고 있고, 블록의 배치 순서대로, Di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공정, 디더 처리 공정, 오차 확산 처리 공정, 데이터 변환 공정의 순으로 처리를 실시해서 Do를 출력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10)는, 표시 데이터 입력으로서, Dr, Dg, Db로 이루어지는 Di를 입력받고, 화상 신호 처리 후, 표시 데이터 출력으로서 Do를 출력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10-2)의 역γ 보정 처리부(15)는, Di에 대하여 역γ 보정 처리(표시 데이터와 표시 출력의 관계의 조정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PDP 장치에서는 역γ 보정 처리를 필요로 한다. 노이즈 리듀서부(11)는, Di에 대하여, 후술하는 노이즈 저감 처리를 실시해서 출력한다. 디더 처리부(12)는, 노이즈 리듀서부(11)의 출력에 대하여, 노이즈 대책의 일례인 공지의 디더 처리를 실시해서 출력한다. 오차 확산 처리부(13)는, 디더 처리부(12)의 출력에 대하여, 도 1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오차 확산 처리를 실시해서 출력한다. 데이터 변환부(14)는, 오차 확산 처리부(13)의 출력에 대하여, 표시 패널부(40)에의 출력을 위한 데이터변환을 실시해서 출력한다. 데이터 변환 처리는, SF마다의 점등 데이터로 치환하는 처리 등이다.
실시예 1의 디지털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에서는, PDP 장치(100)에서의 PDP(40)의 표시를 위한 신호 처리에 있어서, 화상 신호 처리부(10)에서, 오차 확산 처리를 실시하기 전의 R, G, B의 각 신호(Dr, Dg, Db)에 대하여, 화소 단위에서 LPF에 의한 로우패스 필터링을 실시한다. 이 LPF에 대하여 화소의 엣지 판정과 레벨 판정을 병용하여, 엣지부나 필터링이 필요하지 않은 레벨이라고 판정된 화소 영역 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LPF를 적용한다.
도 4의(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신호 처리부(10)에는, 오차 확산 처리부(13)의 전단, 특히, 디더 처리부(12)의 전단에, 특징적인 노이즈 리듀서부(11)를 갖는다. 노이즈 리듀서부(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Dr, Dg, Db의 각각에 대응한 노이즈 리듀서(11r, 11g, 11b)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R용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다. 각 노이즈 리듀서(11r, 11g, 11b)는, LPF(로우패스 필터)(111), 엣지 판정부(화상 엣지 판정부)(112), 레벨 판정부(필터 적용 레벨 판정부)(113), 및 데이터 선택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5에서, LPF(111)는, Di에서의 신호 d1을 입력받고, 로우패스 필터링을 실시해서 신호 d2로서 출력한다. 엣지 판정부(112)는, 신호 d1을 입력받고, 설정값의 신호 d4에 따라 엣지 판정 처리하여, 그 결과인 제어의 신호 d7을 출력한다. 레벨 판정부(113)는, 신호 d2을 입력받고, 설정값의 신호 d5에 따라 레벨 판정 처리하여, 그 결과인 제어의 신호 d6을 출력한다. 데이터 선택부(114)는, 신호 d1과 신호 d2를 입력받고, 제어의 신호 d6과 신호 d7에 따라 데이터 선택하여, 신호 d3으로서 후단에 출력한다.
LPF(111)는, 기준 주파수(컷오프 주파수)를 경계로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차단/감쇠시키는 필터이다.
엣지 판정부(112)에서의 엣지 레벨(EL이라고 함)의 설정값(d4)은, 화상의 엣지부를 판정할 때의 임계값이다. RGB마다의 EL을 {ELr, ELg, ELb}이라고 한다. EL의 설정값(d4)은, 입력 신호(d1)에 내재하는 노이즈의 레벨이나 본 실시예에서의 LPF(111)보다 전에 행해지는 각 신호 처리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입력시에 신호 레벨에 대하여 동일한 노이즈의 레벨은, 역γ 보정 처리부(15)에서 행하는 역γ 보정 처리 등에 의해 신호 레벨에 의존해서 변화된다. 그 때문에 신호의 모든 계조(예를 들면, 신호의 비트수가 8bit라면 전체 256계조)를 몇 개의 에리어로 분할한다. 그리고, 그 각 에리어에 대하여, 노이즈 레벨과 각 게인 처리를 고려한 EL의 설정을 행한다.
또한, 레벨 판정부(113)에서의 필터 적용 레벨(FL이라고 함)의 설정값(d5)은, 화상의 화소에 대한 필터 적용 신호 레벨을 판정할 때의 임계값이다. 필터 적 용 신호 레벨은, 해당 화소에 대하여 LPF(111)를 적용(통과)시키는 것에 대응한 신호(계조) 레벨이다. RGB마다의 FL을 {FLr, FLg, FLb}로 한다. FL의 설정값(d5)은, 노이즈 발생이 보이는 계조 레벨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처리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특정 계조에서의 노이즈의 대책으로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신호 레벨의 화소에 대해서는 LPF(111)에 의한 로우패스 필터링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노이즈의 특징을 고려해서 필터 적용 레벨의 설정을 행한다.
각 판정부(112, 113)에 대한 설정값은, 미리 고려한 값을 내부 설정한 형태로 하여도 되고, 또한 제어 레지스터 등에 의해 적절하게 유저 설정 가능으로 한 형태이어도 된다.
<엣지 판정>
엣지 판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a)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화상(백/흑의 2치의 화소에 의한 문자 “A”)에 대해, 모든 화소에 대하여 LPF(111)에 의한 로우패스 필터링을 실시하면, 그 화상은, 도 6의(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지듯이 희미해져 버린다. 즉, 흑 문자선과 백 배경에서의 백과 흑의 엣지 부분에서, 흑백 사이의 그레이의 계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의 정밀함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엣지 부분의 화소 영역을 제외하고 로우패스 필터링하기 위한 엣지 판정이 필요로 된다. 엣지 판정부(112)에서는, 화상에서의 주목 화소와 인접 화소의 계조 레벨 차분에 의한 엣지 판정을 행한다. 이 엣지 판정의 결과(주목 화소가 엣지부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 d7)를 데이터 선택부(114)에 출력하 여, 엣지부의 화소 영역에 대하여 LPF(111) 비통과의 신호 d1을 선택하도록 한다.
도 7은, 표시 데이터(Di)의 입력 신호의 예를 도시한다. 예로서 도 6의(a)의 화상예에서의 위에서 8라인째의 화소의 신호를 도시한다. 도 7의(a)는, Di가 디지털 입력 신호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의(b)는, Di가 아날로그 입력 신호 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의(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내재하는 노이즈의 레벨 즉 진동 폭(노이즈 레벨: NL로서 나타냄)은, 대개의 경우, 표시 데이터의 신호 레벨(신호 레벨: SL로서 나타냄)보다도 작다. 이것은, 노이즈에 의해 질이 저하된 화상에서도 그림의 내용은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하다.
따라서, 도 5에서의 엣지 판정부(112)에서의 엣지 판정의 임계값(EL)에 대해서는, 노이즈 레벨(NL)보다도 크고, 또한 신호 레벨(LS)보다도 작은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신호의 진동은 LPF(111)에 의해 필터링되고, 한편으로 화상의 엣지 부분은 유지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엣지 판정의 임계값(EL)을 설정해서 엣지 판정을 행한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에서의 주목 화소와 인접 화소의 계조 레벨 차분에 의한 엣지 판정의 결과(엣지부)의 영역은, 상기 도 6의(b)에 도시한 모든 화소에 대하여 로우패스 필터링하였기 때문에 그림이 흐려져 넓어지게 된 화소 영역과 일치하는 것으로 된다.
도 9의(a)는, 표시 데이터(Di)에서의 입력 계조(전체 256계조)와 그에 대한 역γ 보정(γ=1.0) 후의 계조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9의(b)는, 표시 데이터(Di)에서의 입력 계조(전체 256계조)와 그에 대한 역γ 보정(γ=2.2) 후의 계조의 관계 를 도시한다. 또한, 점선은 신호 레벨 SL의 중심을, 2개의 실선은 신호 레벨 SL에 대한 노이즈 레벨 NL에 의한 폭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와 같이, 입력된 표시 데이터(Di)의 계조를 그대로 표시하는 경우, 입력 신호(d1)에 내재하는 노이즈는 신호 처리시에서도 계조 레벨에 의하지 않고 일정하다. 한편, 도 9의 (b)와 같이 , 역γ 보정 처리부(15)에서의 역γ 보정 처리 등, 입력 신호(d1)에 대하여 임의의 게인 처리가 행해진 경우, 게인 처리 후의 신호 처리시의 노이즈 레벨(NL)은 계조에 의해 큰 차이가 발생해 버린다. 예를 들면, 계조 64와 계조 224를 보면, 역γ 보정 후의 계조의 폭에서 약 4배의 차이가 보인다. 따라서, 상기 엣지 판정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엣지 판정의 임계값(EL)으로서, 계조에 따른 몇 개의 설정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입력 계조(256값)의 범위를, 계조에 따라, 5개의 에리어로 분할한다. 각각 계조 에리어 R1∼R5로 한다. 이들 각 계조 에리어 R1∼R5에 대해서 엣지 레벨(EL)의 설정값(EL1∼EL5)을 결정한다. 이들 설정값(EL1∼EL5)은, 그 계조 에리어 R1∼R5 내에서의 노이즈 레벨(NL)에 기초하여, 그 평균 노이즈 레벨이나, 최대 노이즈 레벨이나, 최소 노이즈 레벨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결정한다. 노이즈 억제의 효과를 중시한다면 노이즈 레벨(NL)의 최대값(최대 노이즈 레벨)을 선택하고, 혹은 화상의 발생을 가능한 한 억제하기 위해서는 노이즈 레벨의 최소값(최소 노이즈 레벨)을 선택하는 등,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의 방법이 생각된다. 도 9의 (b)에서, 계조 에리어 R1∼R5의 설정에 대응한 EL의 설정값(EL1∼EL5)의 예로서 평균 노이즈 레벨을 이용한 경우를 나 타내고 있다.
도 10은, 상기 방법에 대응한 엣지 판정부(112)의 구성예인, 엣지 판정부(112-2)의 구성을 도시한다. 엣지 판정부(112-2)는, 계조 에리어 판정부(61), 임계값 선택부(62), 비교기(63)를 갖는다. 계조 에리어 판정부(61)는, 표시 데이터(Di)의 신호(d1)을 입력받고, 계조 에리어 판정을 위한 레벨 판정 임계값(T: R1∼R5의 경계값 등)의 신호(d11)에 기초하여, 주목 화소의 데이터(계조값)가 어느 계조 에리어(R1∼R5)에 속하는지를 판정한다. 임계값 선택부(62)는, 계조 에리어 판정부(61)로부터의 신호(d12)를 입력받고, 계조 에리어(R1∼R5)에 대응한 엣지 레벨(EL1∼EL5)의 신호(d13)에 기초하여, 화소가 속하는 계조 에리어에 대응한 엣지 판정용 임계값(ELx)을 선택한다. 비교기(63)는, 표시 데이터(Di)의 신호(d1)를 입력받고, 임계값 선택부(62)로부터의 선택된 임계값(ELx)의 신호(d14)에 기초하여, 해당 화소 영역이 엣지부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결과의 신호(d7)을 출력한다.
상기 구성 및 설정예에 따라, 예를 들면, 표시 데이터(Di)의 상위 몇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계조 에리어(R1∼R5)의 판정을 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EL의 설정값(EL1∼EL5) 중에서, 화상의 각 화소에 대해, 엣지 판정할 때의 엣지 레벨(ELx)을 선택해서 엣지 판정한다.
<특정 계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표시 화상에서의 특정 계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대해 설명한다. PDP(4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PDP(40)의 표시 화상에서의 화소의 계조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SF 점등/비점등의 조합(SF 점등 패턴)과, 도 1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오차 확산법 등의 다계조화 방법에 의해 표현된다.
도 11에서, 예를 들면, 1필드를 8SF(SF1∼SF8)로 표시하는 경우, SF 점등(1)/비점등(0)의 조합은, 최대 256(8bit)로 된다. 또한, 도 11에서, SF의 화소의 점등(1)을 동그라미 모양, 비점등(0)을 횡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D는, 입력 신호(d1)의 정수부(상위 비트)에 의한 계조값(0∼255)이다. 또한, K는, 노이즈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특정 계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K는, 가까운 계조에서, SF 점등 상태의 차가 큰 계조의 세트이며, 예를 들면 15와 16, 31과 32, 127과 128 등의 것이다. 또한, K는, 2의 멱승의 자릿수 올림의 화소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차 확산법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Di)가 10bit(1024계조)인 경우(정수부: D9∼0), 상기 8bit와의 차분인 하위의 2bit(소수부: D1∼0)에 대해서는 오차로서 주변 화소에 확산 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표현된다. 오차 확산 처리부(13)에서는, 이러한 도 12에 도시하는 오차 확산 처리(일례)를 행한다. 오차 확산 처리부(13)에서는,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로서 127.5가 입력된 경우, 그 소수부인 0.5에 대해서는, 오차로서 확산 처리되고, 주변 화소로부터 확산된 오차값(E)와 가산한 결과가 1 미만이라면 127을 출력하고, 1 이상이라면 128을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127.5가 입력된 경우, 127과 128의 2개의 계조값의 SF 점등/비점등이 섞인 상태로 표시된다.
도 11에서의 특정 계조 K와 같이, 상기 127과 128의 경우에서는, SF의 점등/비점등의 패턴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2의 8승에의 자릿수 올림에 대응), 이들 127과 128의 2개의 상태가 서로 섞이면, SF 점등/비점등의 차가, 표시에서의 노이즈나 깜박거림으로서 지각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특정 계조(K를 포함함)란, 상기 SF 점등/비점등의 상태의 차가 큰 2개의 패턴이, 오차 확산에 의해 서로 섞이는 계조의 것이다.
오차 확산법에 의한 영향 이외에도, 입력 표시 데이터(Di)의 모든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와 같이, 입력 신호 그 자체에 노이즈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특정 계조를 걸쳐, 특정 계조에 의한 노이즈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 제어 상의 차가 커지게 되는 특정 계조에서는, 노이즈(=특정 계조 노이즈)가 현저해지는 등의 화질 저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PDP 장치(100)에서는, 이러한 특정 계조 노이즈에 대처하기 위해, 화상 신호 처리부(10)에서 노이즈 리듀서부(11)에 의해, 화상 영역마다 LPF(111)를 적용해서 대처하고 있다.
<레벨 판정>
레벨 판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LPF(111) 적용에 의한, 화상의 정밀도에 대한 영향을 최저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상술한 특정 계조 부근에서만 입력 신호의 변동을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 레벨 판정에서는, LPF(111) 적용에 의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계조의 범위를 화소의 레벨에 따라 제한하는 처리를 행한다.
레벨 판정부(113)에서의 레벨 판정에서는, 필터 적용 레벨(FL)의 신호(d5)에 의해, 상기 특정 계조를 포함한 계조의 범위를 설정하고, LPF(111) 처리 후의 신호(d2)가 그 설정 계조 범위(FL)에 들어가 있는 것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그 판정 결과의 신호(d6)가, 설정 계조 범위(FL) 내이면, 데이터 선택부(114)에서, LPF(111) 처리 후의 신호(d2)를 선택해서 출력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LPF(111) 처리 전의 신호(d1)를 선택해서 출력하도록 한다.
실시예 1의 구성에 따르면, 입력 표시 데이터(Di)의 화상의 엣지 부분이나 필터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계조 레벨 부분을 제외하는 각 화소의 신호에 대하여 로우패스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입력 표시 데이터(Di)가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 입력인 경우에도, 노이즈가 적은 정밀한 화상의 재현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2>
도 13은, 실시예 2에서의 노이즈 리듀서부(11-2)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의 LPF(111)로서, 특성 즉 효과가 상이한 복수의 LPF(111){111-1∼111-n}를 병렬로 구비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또한, 입력 신호(d1)에 내재하는 노이즈의 레벨 판정 기능인 노이즈 레벨 판정부(115)를 구비하는 것이다. 노이즈 레벨 판정부(115)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필터 선택부(116)에 의해, 대상 데이터에 대하여 적용하는 LPF(111)를 절환한다. R, G, B의 각 신호(Dr, Dg, Db)에 대하여 화소 단위로 선택한 LPF(111)에 의한 로우패스 필터링을 행한다. 엣지 레벨(EL) 및 필터 적용 레벨(FL)의 설정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LPF(111){111-1∼11l-n}는, 각각 표시 데이터(Di)의 신호(d1)를 입력해서 로우패스 필터링을 행하여, 그들 출력 신호를 노이즈 레벨 판정부(115)에 입력한다. 노이즈 레벨 판정부(115)는, 표시 데이터(Di)의 신호(d1)와, 각 LPF(111) 출력 신 호를 입력하고, 노이즈 특성(NS라고 함)의 설정값의 신호(d8)에 기초하여, 노이즈 레벨(NL)을 판정하고, 적용 LPF(111)를 선택하는 신호(d9)를 필터 선택부(116)에 출력한다. RGB마다의 NL을 {NLr, NLg, NLb}으로 한다. 필터 선택부(116)는, 각 LPF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하는 신호(d9)에 기초하여, 적용 LPF(111) 출력 신호를 선택해서 출력한다.
노이즈 레벨 판정부(115)에서의 노이즈 특성(NS)의 설정값(d8)은, 디지털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에 내재하는 노이즈의 특성이 기지이면, 그 특성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신호에 내재하는 노이즈의 레벨이 계조에 대하여 동일하고, 또한 그 레벨이 기지인 경우, 이 설정값에 기초하여 적절한 LPF(111)를 선택한다. 또한, 신호에 내재하는 노이즈의 특성(계조에 대한 의존성 등)이 기지인 경우, 이에 기초하여 노이즈 레벨의 판정을 행하고, 그 결과에 의해 적절한 LPF(111)의 선택을 행한다.
실시예 2의 구성에 따르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입력 표시 데이터(Di)의 화상의 엣지 부분이나 필터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계조 레벨 부분을 제외하는 각 화소의 신호에 대하여 로우패스 필터링을 행함과 함께, 또한, 입력 표시 데이터(Di)의 노이즈 레벨(NL)에 따라 적절한 LPF(111)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필터링을 가능하게 하여, 노이즈가 적은 정밀한 화상의 재현을 가능하게 한다.
기타 실시예로서, 상술한 각 판정부는, 각각 일부만을 구성하여도 되고, 조합해서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 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 1 및 2는,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PDP 장치(100)에의 적용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해서 디지털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디지털 표시 장치) 전부에서 적용할 수가 있어 또한 유효하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영상 수신 기능, 또는 비디오 신호 수신 기능, 또는 컴퓨터 표시 화상 수신 기능, 또는 그들에 준한 영상 신호(동화상/정지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해당 기능에 의해 수신한 표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에 유효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PDP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디지털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에 이용 가능하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에서, 화상의 정밀함을 유지하면서 표시 데이터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 입력에 의한 표시 데이터(디지털 신호)의 경우에도, 아날로그 신호입력 기인의 노이즈를 저감한 정밀한 화상의 재현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2)

  1. 디지털 표시 장치를 위한 표시 방법으로서,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의 신호 처리에서,
    상기 표시 데이터의 화소 영역에 따라 로우패스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노이즈 저감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보다도 후에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한 오차 확산 처리를 행하는 제2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화상에서의 엣지 부분을 판정하는 엣지 판정 공정과,
    상기 엣지 판정 공정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로우패스 필터의 처리를 온/오프하는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화상에서의 신호 레벨을 판정하는 레벨 판정 공정과,
    상기 레벨 판정 공정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로우패스 필터의 처리를 온/오프하는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는, 색별의 복수의 신호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표시 데이터에서의 상기 색별의 복수의 신호에 대하여 개별로 상기 제1 및 제2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특성이 서로 다른 로우패스 필터를 갖고,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표시 데이터의 화소 영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로우패스 필터로부터 선택해서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레벨을 판정하는 노이즈 레벨 판정 공정과,
    상기 노이즈 레벨 판정 공정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로우패스 필터로부터의 선택을 절환하는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7.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에의 출력을 위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로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수단은,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한 오차 확산 처리를 행하는 오차 확산 처리부와,
    상기 오차 확산 처리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의 출력을 위한 데이터 변환을 행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오차 확산 처리부보다도 전단에 배치되고, 로우패스 필터를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표시 데이터의 화소 영역에 따라 상기 로우패스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노이즈 저감하는 노이즈 저감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저감부는,
    상기 표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그 화상에서의 엣지 부분을 판 정하는 엣지 판정부와,
    상기 엣지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한 신호와 통과하지 않은 신호를 절환해서 출력하는 제1 데이터 선택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저감부는,
    상기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한 상기 표시 데이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그 화상에서의 신호 레벨을 판정하는 레벨 판정부와,
    상기 레벨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한 신호와 통과하지 않은 신호를 절환해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선택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는, 색별의 복수의 신호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표시 데이터에서의 상기 색별의 복수의 신호에 대하여 개별로 상기 노이즈 저감부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저감부는,
    상기 로우패스 필터로서 복수의 특성이 서로 다른 로우패스 필터를 병렬로 갖고,
    상기 표시 데이터의 화소 영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로우패스 필터로부터 선택해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레벨을 판정하는 노이즈 레벨 판정부를 갖고,
    상기 노이즈 레벨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로우패스 필터로부터의 선택을 절환하는 필터 선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KR1020060097540A 2005-10-05 2006-10-04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및 디지털 표시 장치 KR100807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2832A JP2007101960A (ja) 2005-10-05 2005-10-05 デジタル表示装置の表示方法及びデジタル表示装置
JPJP-P-2005-00292832 2005-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434A true KR20070038434A (ko) 2007-04-10
KR100807453B1 KR100807453B1 (ko) 2008-02-25

Family

ID=3747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540A KR100807453B1 (ko) 2005-10-05 2006-10-04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및 디지털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75924A1 (ko)
EP (1) EP1772841A1 (ko)
JP (1) JP2007101960A (ko)
KR (1) KR100807453B1 (ko)
CN (1) CN1945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09A (ko) * 2017-10-13 2019-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2058B (zh) * 2007-12-29 2011-04-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图像噪声去除装置和方法
JP5391611B2 (ja) * 2008-08-26 2014-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誤差拡散処理装置、誤差拡散処理方法、及び誤差拡散処理プログラム
WO2013124345A1 (en) * 2012-02-22 2013-08-29 Tp Vision Holding B.V. Local temperature adaptiv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497A (en) * 1991-02-22 1995-12-12 At&T Ipm Corp. Two-dimensional display model-based halftoning
US5726718A (en) * 1994-09-30 1998-03-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rror diffusion filter for DMD display
JP3508404B2 (ja) 1996-07-19 2004-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6175424B1 (en) * 1996-12-20 2001-01-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1359561B1 (en) * 1997-04-02 2010-12-22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DE69822936T2 (de) * 1997-07-24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Bildanzeigevorrichtung und Bildbewertungseinrichtung
JP2001036770A (ja) 1999-07-15 2001-02-09 Nec Corp ノイズリダクション制御装置およびノイズリダクション制御方法
EP1376521A1 (en) * 2002-06-28 2004-01-02 Deutsche Thomson Brandt Processing video pictures for improving dynamic false contour effect compensation
EP1391866A1 (en) * 2002-08-23 2004-02-25 Deutsche Thomson Brandt Adaptive noise reduction for digital display panels
KR100472483B1 (ko) * 2002-11-2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사 윤곽 제거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JP2004240103A (ja) * 2003-02-05 2004-08-2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
JP2005024717A (ja) * 2003-06-30 2005-01-2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US7339601B2 (en) * 2003-07-10 2008-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suppressing ringing artifact of decompressed images
US7660485B2 (en) * 2004-04-08 2010-0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nerating and displaying spatially offset sub-frames using error values
KR20050100530A (ko) * 2004-04-14 2005-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09A (ko) * 2017-10-13 2019-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5675A (zh) 2007-04-11
US20070075924A1 (en) 2007-04-05
JP2007101960A (ja) 2007-04-19
EP1772841A1 (en) 2007-04-11
KR100807453B1 (ko) 2008-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6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79259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화상 데이터의 처리 방법 및 장치
JP4771641B2 (ja) ビデオ画像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8001288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driving method for effectively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a moving image false contour
KR100819997B1 (ko) 디지털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20080018561A1 (en) Driving device of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H1185101A (ja) ディスプレイ駆動装置の画像処理回路
KR100807453B1 (ko) 디지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및 디지털 표시 장치
US76334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4048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JP416510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032737B2 (ja) 画像処理装置
KR2007007412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상처리 방법
KR1004161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계조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77961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by using specific border coding
KR1004214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JPH09330057A (ja) ガス放電表示パネルの階調表示方法及びガス放電表示装置
KR1008161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영상 처리 방법
KR2005010053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JP4052142B2 (ja) 画像表示装置
KR2002006190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영상 의사윤곽 노이즈를줄이기 위한 구동방법과 이를 이용한 멀티 패스 구동장치
KR2005011100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7655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상처리 방법
JP2003150103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195905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