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154A - 중심이 정렬된 핀 홀 및 스커트 프로파일을 구비한 피스톤 - Google Patents

중심이 정렬된 핀 홀 및 스커트 프로파일을 구비한 피스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154A
KR20070038154A KR1020077003672A KR20077003672A KR20070038154A KR 20070038154 A KR20070038154 A KR 20070038154A KR 1020077003672 A KR1020077003672 A KR 1020077003672A KR 20077003672 A KR20077003672 A KR 20077003672A KR 20070038154 A KR20070038154 A KR 20070038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kirt
pin
profil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존 밀러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07003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4Resilient guiding parts, e.g. skirts, particularly for trunk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F16J1/14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connecting-rods, i.e. pivotal connections
    • F16J1/16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connecting-rods, i.e. pivotal connections with gudgeon-pin; Gudgeon-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피스톤은 종방향 중심 축선을 가지고 있는 피스톤 바디를 포함한다. 피스톤 헤드에는 복수의 링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핀 보스는 헤드에 매달려 있으며, 피스톤의 종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공통 핀 보어 축선에 중심을 둔 한 쌍의 핀 보어로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는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종방향 프로파일을 갖춘 외부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프로파일의 주 직경은 냉각 및 가열 상태에서 핀 보어 축선의 +/- 2mm 내에 있다.
Figure 112007014096135-PCT00001
피스톤, 핀 홀, 스커트 프로파일,

Description

중심이 정렬된 핀 홀 및 스커트 프로파일을 구비한 피스톤{PISTON HAVING CENTERED PIN HOLE AND SKIRT PROFILE}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테이퍼 진(tapered) 스커트가 사용되던 때에, 연성(soft)의 하부 스커트가 채비된(rigged) 상부 스커트에 앞서 실린더 보어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핀 오프셋이 피스톤에 부가되었다. 또한, 스커트의 큰 직경을 핀 중심선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왔지만 핀은 오프셋된 핀이었다. 핀 오프셋은 작동 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피스톤의 부차적인 운동을 발생시켜, 피스톤, 링 및 라이너의 조기 마모를 야기한다.
대칭적인 피스톤 설계를 위하여 중심 핀 및 중심 스커트 조합이 사용된다. 이러한 설계에 따라, 관성 및 가스 하중(loading)이 더 이상 피스톤에 가해지지 않으므로 피스톤의 부차적인 운동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중심 핀 및 중심 스커트의 조합에 의하여 : 1) 조용한 피스톤이 만들어지고, 2) 피스톤 개방단에서 응력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질량이 감소되며, 3) 블로바이(blowby)를 줄여줄 타이트한 맞춤 랜드(tighter fitting land)가 가능하고, 4) 스커트 접촉 영역 및 스커트의 연성 영역에서의 접촉을 줄여서 마찰을 감소시키고, 5) 중심 핀이 더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6) 핸디드(handed) 피스톤을 제거함으로써 중심 핀의 PCS 조립을 줄이고, 7) 피스톤을 한번에 정확하게 설계하기가 쉬워지며, 8) 상사 중심 점화에서 이동의 변화가 상당히 감소되며, 링 측 마모 및 링 마이크로 용접을 줄이는 랜드 간격(land clearance)의 감소가 가능하다.
도 1은 피스톤의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스톤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상세한 기재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피스톤(10)은 복수의 피스톤 링(도면에 미 도시)을 수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링 그루브(14)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12)를 포함한다. 링 그루브 사이에는 랜드(16)가 있다. 한 쌍의 핀 보스(18)는 헤드(12) 아래에서 돌출하고,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핀 보스(18)에는, 종래의 방법으로 커넥팅 로드(도면에 미 도시)에 피스톤을 부착하기 위한 피스톤 핀(wrist pin)(도면에 미 도시)을 수용하기 위하여 축선방향으로 정렬된 핀 보어, 즉 핀 홀(20)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0)은 핀 홀(20)의 축선을 통과하는 종방향의 중심선, 즉 축선(22)을 가지고 있어서, 피스톤 중심선(22)에 대하여 핀 홀 축선(24)의 횡방향 오프셋은 없다.
피스톤(10)은 핀 보스(18) 사이에서 피스톤(10)의 대향하는 측면에 스커트 부(26)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커트 부(26)는 피스톤과 스커트의 종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스커트 프로파일(30)을 구비한 외부 표면(28)을 가지고 있다. 프로파일(30)은, 피스톤이 냉각상태(즉, 작동 전 주위 온도)뿐만 아니라 가열상태(즉, 작동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 있을 때에도 핀 홀 중심선(22)의 +/-2mm 내에 있는 주 직경(즉, 피스톤의 중심선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장 먼 지점)을 가지고 있다. 중심이 정렬된 핀 홀 및 중심이 정렬된 스커트 프로파일의 조합에 의하여, 부차적인 운동 및 마모의 감소를 비롯한, 종래 알려진 피스톤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장점들이 달성된다.
이러한 스커트 프로파일은, 연성의 중심 스커트가 스커트의 부분 중에서 보어와 접촉하는 유일한 부분이 되도록 한다. 스커트 프로파일은 스커트 주 직경이 핀 중심선 높이에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설계에서의 차이점은, 그것이 중심 핀과 결합하고, 프로파일은 주 직경의 어느 일측에서 급격하게 하락한다는 것이다. 주 직경의 어느 일측에서의 이러한 급격한 하락은, 주 직경이 (냉각된 시작 온도 및 가열된 구동 온도를 포함하는) 모든 피스톤 온도에서 핀 중심선에 있도록 보장한다.
종래의 피스톤 랜드는 구동 중, 특히 시작시에 랜드가 접촉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짧게 절단되어 있었다. 피스톤 랜드의 접촉은 소음, 보어 손상 및 마모를 일으킬 수 있다. 본 프로파일에 의하여, 핀 오프셋 및 스커트 오프셋이 더 이상 피스톤에 가해지지 않아서 상당한 부차적인 운동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부차 적인 운동을 발생시키는데 가해지는 유일한 힘은 스커트 마찰력 및 핀 마찰력이다. 따라서, 피스톤 랜드를 짧게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본 발명의 중심 핀 및 중심 스커트 프로파일 피스톤 상의 피스톤 랜드 직경은 작동시에 랜드의 열 성장을 고려함으로써만 좌우된다. 랜드에서 보어의 간격은 랜드가 보어에 붙잡히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만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랜드가 보어에 접촉하면, 피스톤은 균형이 잡혀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셋 핀 홀을 구비한 종래의 피스톤과 관련된 합력 및 부차적인 운동이 없기 때문에 소음 및 마모를 일으킬 랜드에서의 에너지가 거의 없다. 그 결과, 랜드는 피스톤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돕는데에 사용되기가 유리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스톤이 냉각상태뿐만 아니라 가열상태에 있을 때에도 피스톤의 종방향으로 핀 홀 중심선의 +/-2mm 내에 있는 주 직경을 가지고 있는 볼록 피스톤 스커트 프로파일과 함께, 종방향 축선, 즉 피스톤의 중심선에 대하여 0의 피스톤 핀 오프셋을 갖춘 피스톤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에 비추어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자명하다.

Claims (3)

  1. 중심 종방향 축선을 가지고 있는 피스톤 바디;
    복수의 링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 헤드부;
    상기 피스톤 바디의 상기 종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공통 핀 보어 축선에 중심을 둔 한 쌍의 핀 보어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 헤드부 아래에 구비되어 있는 핀 보어부; 및
    상기 핀 보스부와 단일 편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스커트부는,
    종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이 피스톤의 작동 전 냉각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피스톤이 작동 온도로 가열된 가열 상태에 있을 때에도 상기 핀 보어 축선의 +/- 2mm 내에 있는 주 직경을 가지고 있는; 스커트 프로파일을 갖는 외부 표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상기 외부 표면은 상기 주 직경으로부터 양 종방향으로 작은 사이즈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는,
    상기 +/- 2mm 영역을 넘어서는 상기 스커트의 다른 영역이, 피스톤이 설치되어 피스톤 작동 중에 피스톤이 움직이는 피스톤 보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KR1020077003672A 2004-08-02 2005-08-02 중심이 정렬된 핀 홀 및 스커트 프로파일을 구비한 피스톤 KR200700381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800904P 2004-08-02 2004-08-02
US60/598,009 2004-08-02
US11/194,429 US20060027095A1 (en) 2004-08-02 2005-08-01 Piston having centered pin hole and skirt profile
US11/194,429 2005-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54A true KR20070038154A (ko) 2007-04-09

Family

ID=3575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672A KR20070038154A (ko) 2004-08-02 2005-08-02 중심이 정렬된 핀 홀 및 스커트 프로파일을 구비한 피스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27095A1 (ko)
EP (1) EP1774206A2 (ko)
JP (1) JP2008508475A (ko)
KR (1) KR20070038154A (ko)
BR (1) BRPI0514023A (ko)
CA (1) CA2575141A1 (ko)
MX (1) MX2007001353A (ko)
WO (1) WO20060174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7914B2 (en) 2010-05-18 2013-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Electric motor enhanced driveability in vehicle handling and stability control events
DE102015220261A1 (de) * 2015-10-19 2017-04-20 Mahle International Gmbh Kolben
CN110131067B (zh) * 2019-04-26 2021-04-27 华域科尔本施密特活塞有限公司 一种汽油机活塞裙部型线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8454A1 (de) * 1984-05-18 1985-12-19 Kolbenschmidt AG, 7107 Neckarsulm Leichtmetallkolben
DE3527032A1 (de) * 1985-07-27 1987-01-29 Mahle Gmbh Tauchkolben, insbesondere fuer verbrennungsmotoren
EP0327595B1 (de) * 1986-12-23 1990-04-25 Mahle Gmbh Einteiliger, leichter und reibungsarmer leichtmetallkolben für verbrennungsmotoren
DE3931949A1 (de) * 1989-09-25 1991-04-04 Alcan Gmbh Kolben fuer einen verbrennungsmotor
US5107807A (en) * 1989-09-28 1992-04-28 Nissan Motor Company, Ltd.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0282951A (ja) * 1999-01-29 2000-10-10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用ピス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75141A1 (en) 2006-02-16
WO2006017472A3 (en) 2006-09-14
BRPI0514023A (pt) 2008-05-27
US20060027095A1 (en) 2006-02-09
WO2006017472A2 (en) 2006-02-16
MX2007001353A (es) 2008-03-11
EP1774206A2 (en) 2007-04-18
JP2008508475A (ja)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183B2 (en) One-piece steel piston
US7954421B2 (en) Lightweight piston
KR101794165B1 (ko) 크라운 냉각 제트를 가진 피스톤
JP6653704B2 (ja) 低減された圧縮高さの二重ギャラリピストン、それを備えたピストン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構成方法
KR20150140309A (ko) 추가적인 제조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피스톤
KR20040060926A (ko) 커넥팅로드의 윤활구조를 갖는 밀폐형 갤러리 피스톤
KR20130032381A (ko) 피스톤 링
US5713262A (en) Engine piston having a recess defin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KR20070038154A (ko) 중심이 정렬된 핀 홀 및 스커트 프로파일을 구비한 피스톤
EP2971717B1 (en) Pist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2018525562A (ja) 内燃機関用のピストン
JPH08177620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
JP2577780B2 (ja) 少なくとも1つのシリンダライナーを有する往復動内燃機関
US2830860A (en) Piston and connecting rod assembly
US2408875A (en) Piston
CN102575766A (zh) 具有低摩擦力裙部的整体活塞
EP0654595B1 (en) Piston for alternating volumetric engines
US1557625A (en) Piston construction
KR101154312B1 (ko) 피스톤 핀 보어의 오일 공급 구조
JP2001295696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の構造
RU2206776C2 (ru) Поршень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3191642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KR100239390B1 (ko) 랜드의 파손방지 구조를 갖는 엔진 피스톤
KR200159875Y1 (ko) 열팽창 저감구조의 피스톤
JPH03145554A (ja) 内燃機関用ビス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