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114A - 저전류 직접 변환 전송기 구조 - Google Patents

저전류 직접 변환 전송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114A
KR20070038114A KR1020077001577A KR20077001577A KR20070038114A KR 20070038114 A KR20070038114 A KR 20070038114A KR 1020077001577 A KR1020077001577 A KR 1020077001577A KR 20077001577 A KR20077001577 A KR 20077001577A KR 20070038114 A KR20070038114 A KR 2007003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signal
varying
signal level
outp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정 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3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Abstract

개시된 방법은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것인데, RF 전송기는 본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방법은 전송기 출력 전력을 결정하고 전송기 출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며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기 출력 전력에 따라 전송기 상 변조기에서 신호의 레벨을 변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레벨과 단계의 이득(gain)에 따라 복수의 RF 전송기 체인 구성요소의 전류 소비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Figure 112007006509719-PCT00001
직교 변조기, DCT, 전송기, 무선 RF 변환, 이동국

Description

저전류 직접 변환 전송기 구조{Low current direct conversion transmitter architecture}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및 좀더 특정하게는 이동국이나 무선 전화기 혹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무선 변환 RF 전송기(DCT)에 관련된다.
DCT(Direct Conversion Transmitter) 설계자는 전형적으로는 파워 증폭기의 효율 증가가 높은 전송 파워에서 전류/파워 소비를 줄이기 위해 중요하기 때문에, 최대 출력 파워 레벨에서 파워 증폭기(PA)의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관심이 많다. 하지만, 이동국 전송기는 전형적으로는 최고 출력 조건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DMA CDG4 통계 프로필(CDMA 개발 그룹, "CDG System Performance Tests(Optional)," Rev.3.0 draft, April 9, 2003을 참조하라.)에 따르면, CDMA 이동국에 대해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전송 파워는 음성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CDMA 이동 전송에 대해 약 +3 에서 -10 dBm 사이에서와 같은 저전력 레벨에 있다. 이 전송 전력 영역에서는, 전송기(Tx) 체인은 전체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차지하게 된다. Tx 체인 전류 소비를 줄이는 것이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면서 이동국의 대화 시간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적어도 전통적인 이동국 전송기 설계에서, Tx 체인의 입력에서 인가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로부터 오는 기저대역(BB : base-band) 신호의 레벨은 고정된다. 이에 부가하여 BB 신호 레벨은 매우 높고, 최고점 간 2.5V 전압 진폭을 보여줄 것이다. 이는 BB 신호 레벨이 커짐에 따라, 신호 대 잡음비(SNR) 역시 높아진다는 것에 기반을 둔다. 하지만, 그러한 높은 레벨 입력을 다루기 위해서는, 급격한 왜곡(distortion) 없이 충분한 선형성(linearity)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전류를 소모하도록, 적절히 변조된 전송 신호를 형성하고 BB 변조 신호를 원하는 RF 전송 신호로 변경하는 직교 변조기(Quadrature modulator), Tx 체인에서 가변 이득 증폭기(VGA) 및 드라이브 증폭기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Tx 체인은 전형적으로는 비효율적인 전류 소비 조건에서 동작하게 된다.
이동국 전송기의 전류(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선행기술에서는 PA 기준 전류나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PA 바이어스 전류가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력 소비에서 상당한 절약과 효율의 증가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선 문제와 다른 문제점들이 극복되고, 다른 이점들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선행기술에 비해 저전류 소비와 높은 전력 효율을 보여주는 DCT 구조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이 방법은 전송기 출력 전력을 결정하고, 전송기 출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며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기 출력 전력에 따라 전송기 직교 변조기에서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신호의 레벨 및/또는 단(段) 이득에 따라, 직교 변조기, RF 가변 이득 증폭기(VGA) 및 드라이버 증폭기와 같은 전송기(Tx) 체인에서 여러 개의, 가능하게는 모든, 능동단의 전류 소비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송기 출력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 전송기 출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며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기 출력 전력에 따라 전송기 상 변조기에서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기 위한 회로를 갖는 RF 전송기를 제공한다.
또한 비록 제한적인 것은 아니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는, 여기서 개시되었듯이, 직접 변환 전송기(DCT)를 포함하는 직접 변환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transceiver)를 갖는 이동국이다. 상기 DCT는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전송기 체인 부분으로 들어가는 디지털 기저밴드 섹션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전송 체인 부분은 동위상(I) 및 직교위상(Q) 전송 채널로부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신호를 전송 주파수로 변환하는 직교 변조기를 포함한다. 상기 DCT는 전송기 출력 전력을 제어하고, 전송기 출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며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기 출력 전력에 따라 직교 변조기에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는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개시된 바대로 신호 레벨 및/또는 단(段) 이득에 따라 RF 전송기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능동단의 전류 소비를 조정하는 회로가 있다.
본 가르침의 앞선, 그리고 다른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혀질 때,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좀더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감소된 전류 소비를 갖는 직접 변환 전송기를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직접 변환 송수신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최대 레벨과 CDG4 확률 분포 함수(PDFs)와 함께 고정 I 및 Q BB 신호 입력에 대한 출력 레벨 대(對) 전송기 체인 전류 소비를 보여준다.
도 3은 I 및 Q BB 신호 레벨 단계-가변 기술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4가지 다른 레벨과 CDG4 PDF를 갖는 가변 I 및 Q BB 신호 입력에 대한 출력 레벨 대(對) 전송 체인 전류 소비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CDMA 이동국은 직접 변환 송수신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직접 변환 송수신기(100)는 송수신기 디지털 BB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400), 수신기(500) 및 본 발명에서 가장 흥미로운, 디지털 전후방 블럭(300), RF/아날로그 Tx 체인 및 대역통과 필터(BPF), PA(101) 및 증폭기(211)를 거쳐 송수신기 디지털 BB 및 DSP 블럭(400)으로 신호를 되돌려 주는 전력 검출기(104)로 구성된 DCT를 포함한다. PA(101)의 출력 및 수신기(500)로의 입력은 듀플렉서(103)를 통해 안테나(50)에 연결된다.
송수신기(100)는 동위상(I)과 직교(Q) 채널로 나누어지고, 그럼으로써 앞에 서 언급한 직교 변조기(207)를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하라. DCT(600)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구성요소는 DACs 301a 및 301b 각각으로 들어가는 한 쌍의 디지털 가변 이득 증폭기(DVGA: Digital Variable Gain Amplifier, 302a, 302b)이다. DAC 301a 및 301b는 각각 아날로그 BB I 신호와 BB Q 신호를 출력한다. DVGA 302a 및 302b의 제어는 자동 이득 제어(AGC: Automatic Gain Control) 및 레벨 제어 알고리즘 블럭(303)을 통해서 한다. 단계 및 연속 전력 제어 신호는 시리얼 입력/출력(SIO) 버스(304) 및 펄스 밀도 변조기(PDM, Pulse Density Modulator) 각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RF/아날로그 Tx 체인(200)은 버퍼 증폭기들(205a, 205b)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편의상 선택적으로 직접 BBI 및 BBQ 신호에 연결되든지 가변 감쇠기(203a, 203b)를 통해 연결(201a, 202a, 201b, 202b)되는 것을 도시되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BBI 및 BBQ 신호가 DVGA 302a, 302b 및 DAC 301a, 301b를 사용하여 가변되는 경우 버퍼 증폭기 205a, 205b의 입력(즉, TX 체인 200으로의 입력)은 DAC 301a 및 301b의 출력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반면에 BBI 및 BBQ 신호가 어떤 값에 고정된 경우 실시예에서는 버퍼 증폭기 205a, 205b의 입력들은 바람직하게는 rkqus 감쇠기 203a, 203b를 통해 DAC 301a, 301b의 출력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경우에, 버퍼 205a, 205b의 출력은 저역 통과 필터(LPF) 206a, 206b를 통해 직교 변조기(207)로 인가되는데, 여기서 신호들은 통합 로컬 오실레이터(210)의 출력을 사용하여 전송 주파수로 변환된다. 결합된 I 및 Q 변환 신호는 전송 신호로써 RF VGA(208)에 인가되고, 그것의 이득은 PDM(305)의 출력에 의해 제어된다.VGA(208)의 출력은 드라이버(209)에 인가되고, 그 다음에 BPF(102)와 PA(101)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도시된 DCT 구조는 DVGA(302a, 302b), AGC 및 레벨 제어 알고리즘 블럭(305)과 가능하게는 가변 감쇠기(203a, 203b)를 포함한다. 비록 실시예에서 DVGA 302a, 302b가 있을 때 가변 감쇠기 203a, 203b가 있지 않거나 그 반대의 경우라도 본 발명은 DCT(600)에서 이러한 구성요소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명심하라.
CDMA 이동국에서 전송 전력은 이동국 수신기(500)의 수신 신호 강도(RSS: Received Signal Strength)와 직접 관련되고, 수신기에서 측정된 RSS에 기초한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미리 정의되고 전통적인 알고리즘이 있다. 이에 관한 참조 자료로 2003년 1월 17일자 "Recommended Minimum Performance Standards for cdma2000 Spread Mobile Stations"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 전력은 측정된 RSS가 낮을 때 높고, 높을 때 낮은데, 따라서 전송 전력은 RSS에 역비례한다.
알려진 전송 전력으로부터, AGC 및 레벨 제어 알고리즘(303)은 전통적인 CDMA 전송기에서와 같이 VGA(208) 이득을 설정하지만, 레벨 제어 알고리즘은 또한 블럭 303에 상주하고 DVGA 302a 및 302b의 이득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하여, 버퍼 205a, 205b 및 직교 변조기(207)로의 입력 신호 레벨은 전송 전력과 함께 가변된다. 직교 변조기(207), RF VGA(208) 및 드라이버(209)의 전류 소비는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이득과 입력 신호 레벨의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VGA(208) 이득은 전형적으로는 PDM(305)를 거쳐 AGC 알고리즘(303)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어되고, 바이어스 전류(혹은 VGA(208) 및 드라이버(209)의 전류 소비)는 VGA(208) 이득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조정되며, 드라이버(209) 바이 어스 전류는 또한 드라이버(209)가 셀프-바이어스 모드 동작에서 바람직하게 동작되는 것처럼 입력 여자(勵磁) 레벨(input excitation level)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직교 변조기(207a, 207b)의 바이어스 전류(혹은 전류 소비)는 따라서 SIO 버스(304)를 통해 레벨 제어 알고리즘(303)에 의해 제공되는 I 및 Q BB 신호 레벨, 혹은 DVGA 302a, 302b 이득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I 및 Q BB 신호 레벨 및 대응되는 직교 변조기(207a, 207b)의 전류의 조정은 동작 요건에 따라 연속적으로 혹은 단계적으로('연속적'이 일반적으로 선호됨)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능동 TX 체인단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하는 것은 그 단에서 전류 소비를 조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직교 변조기(207), VGA(208) 및 드라이버(209)의 선형성(linearity)은 이들의 이득과 입력 여자 레벨에 기초하여 이들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할 때 적절히 유지된다.
수신 신호 강도가 예를 들어 -101 dBm 이하와 같이 낮을 때, 본 발명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다루어보면, 이동국은 최대 전력에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전송 체인(200)은 전체 이득이 한정되기 때문에 고(高) 레벨 BB I 및 BB Q 신호 입력을 요구한다. 이 경우 AGC 및 레벨 제어 알고리즘(303)은 DVGA 302a, 302b로 하여금 이들의 최대 이득에서 동작하도록 하고, I 및 Q DAC 301a, 301b 출력은 이들의 최대 전압 진폭을 제공한다. 직교 변조기(207), VGA(208) 및 드라이버 증폭기(209)는 중대한 왜곡없이 즉, 합당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예를 들면 -57 dBc 이하와 같은 낮은 인접 채널 전력비(ACPR: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및 오차 벡터 크기(EVM: Error Vector Magnitude) 또는 예를 들어 ρ>0.99 값 이상을 갖도록 파형 품질 계수(ρ)를 갖는 TX 체인(200)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유지하기 위해, 큰 신호 탈선을 다루기 위한 충분히 높은 바이어스 전류를 갖도록 설계된다. 전송 전력이 감소할 때 레벨 제어 알고리즘(303)은 그에 따라 DVGA 302a, 302b의 이득을 조정하고, I 및 Q DAC 301a, 301b로부터의 출력 BB 신호 레벨은 감소한다. 직교 변조기 207a, 207b의 바이어스 전류는 DVGA 302a, 302b의 감소된 이득에 기초하여 감소된다. VGA 208의 바이어스 전류와 드라이버 전류(209)는 VGA 208 이득과 드라이버 증폭기(209) 입력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그리하여, 전송기 체인(200)의 전체 전류 소비는 출력 전송 전력과 비례하여 감소하지만, 전송기 체인(200)의 선형성은 여전히 원하는 ACPR과 변조 정밀(ρ) 성능을 얻을 수 있을 만큼 적절하다.
비록 전통적인 CDMA 전송기 체인의 전류 소비가 출력 전송 전력과 함께 떨어지는데 반해, 본 발명의 사용은 (CDG4 통계 프로필에 기초한 전통적인 CDMA 전송기 체인 평균 전류 소비에 대해) 평균 전류 소비의 적어도 약 25%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라. 이는 전통적인 CDMA Tx 체인과 달리, 본 발명에서 Tx 체인(200)의 입력에서 I 및 Q BB 신호 레벨이 또한 출력 전송 전력과 함께 변화되는데 반면에 전통적인 Tx 체인에서 I 및 Q BB 신호 레벨은 일정하게 남아있기 때문에 사실이다.
만일 제어 기능이 선형화된다면, 혹은 대략적인 폐쇄형 공식이 사용된다면, 레벨 및 바이어스 제어는 연속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레벨 및 바이어스 전류는 오직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전력이 어떤 히스테레시스 정 의 레벨을 교차하는 때에만 단계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단계 제어 경우에, 검색 테이블은 레벨 제어 알고리즘(303)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도시된 4단계 레벨의 사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주목하라. 그리고, 특정 응용에서 4단계보다 많거나 적은 레벨이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부분의 실제적 응용에서 보통 연속 조정이 선호된다. 다음의 예는 향상된 Tx 체인(200)의 평균 전류 소비 절약이 25%보다 커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단순화를 위해, 이 예에서 직교 변조기(207)로의 I 및 Q BB 신호의 레벨 조정은 단계적이라는 것이 가정된다. 도 2는 전송기 체인(200)의 입력에서 I 및 Q BB 신호 레벨이 고정된 경우에 대응되는 예를 보여주고, 최대 전압 진폭을 가정한다. 최소 및 최대 출력 전력 사이의 범위에 대해 전송기 체인의 전류 변동은 약 14mA이다. 또한 도 2에서 도시 및 교외 지역에서 음성 통신을 위한 CDG4 프로필의 전력 발생 확률 분포 함수(PDF)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도시와 교외 확률 분포 함수(PDF)에 기초하여 계산된 평균 전류는 각각 66.6mA와 67.7mA이다.
도 3으로 넘어가면, 본 발명에 따라 입력 I 및 Q BB 신호가 출력 전력 레벨과 함께 스텝으로 변하는 경우에 있어서, 대응되는 전송기 체인(200)의 전류 소비 대(對) 출력 전력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I 및 Q BB 신호 레벨이 출력 전력과 함께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때에, 전송기 체인(200)의 전류 변동은 고정된 BB 신호 레벨 경우에서보다 약 32mA 더 크고, 도시와 교외 음성 통신에 대해 CDG4 PDF에 기초하여 계산된 대응되는 평균 전류 소비는 각각 48.4 mA 및 50.1mA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전송기 체인(200)은 고정 I 및 Q BB 신호 레벨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전송기 체인과 비교하여 25% 이상의 전류 소비 감소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직접 접속 202a, 202b 대신 Tx 체인(200)에서 가변 감쇠기 203a, 203b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DAC 301a, 301b 출력으로부터의 BB 신호 레벨이 고정된 경우에 유용하다. 이 경우 가변 감쇠기 202a, 202b는 BB I 및 Q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DVGA 302a, 302b와 유사한 방법을 기능하고, 감쇠 레벨은 SIO 버스(304)를 통해 레벨 알고리즘 유닛(303)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가변 감쇠기 203a, 203b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I 및 Q BB 신호의 레벨에서 멀티 단계 변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될 수 있다. 가변 감쇠기 202a, 202b로부터의 출력 신호 레벨은 전송 전력 레벨과 함께 가변하고, 단계 207-209의 바이어스 전류는 그에 맞게 조정된다.
본 발명의 후자의 실시예는 오직 조정가능한 감쇠기 또는 등가 회로를 전송기 체인 RF/아날로그 BB 입력에 부가하는 것만이 필요하고, SIO 또는 등가 제어 버스를 통해 감쇠 값 혹은 BB I/Q 입력 레벨에 기초하여 Tx 체인에서 개별단의 바이어스를 제어하기 위한 검색 테이블 혹은 등가 기능을 포함하도록 Tx DSP를 변경해야 하는 것이 필요할 때, 기존의 디지털 BB 집적회로를 사용하기 위해 특히 기존의 Tx 구조를 업그레이드하는데 유용하다.
앞에서 명확히 한 바대로, 무선 이동국 전송기에 대해서는 전력 소비가 중요하다. 전송기의 전체 전력 소비는 PA(101)와 Tx 체인(200)가 관여하는 함수이다. 주로 집적 회로(IC) 내에 구현되는 Tx 체인(200)은 CDMA 이동국의 경우에 대해, 전송 전력이 5 dBm 혹은 그 이하와 같이 낮을 때 전송 전력 대부분을 차지한다. Tx IC를 드라이브하기 위해 DAC로부터 고정 출력을 사용하는 것과 반대로, 출력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Tx DAC 301a, 301b의 출력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Tx IC에서 개별단의 바이어스를 가변시킴으로써, Tx IC의 전류 소비가 줄어들 수 있고, 그럼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통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은 앞에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DCA 출력 BB 신호 레벨 혹은 Tx 체인 입력 레벨이 Tx 체인에서 개별단의 바이어스 전류의 적정한 조정과 함께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직접 변환 전송기 구조를 제공한다. BB 신호 레벨과 Tx 체인(200)의 전류는 전송 전력과 함께 감소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통계적 평균 전류 소비는 전통적인 기지국 전송기 구조의 전류 소비에 비해 효율적으로 줄어들고, 통화 시간은 매우 증가한다.
비록 DAC 301a, 301b의 출력으로부터 혹은 Tx 체인(200)의 입력에서 BB 신호의 SNR이 나빠질 수 있겠지만, 이는 ACPR 및 변조 정밀도, 즉, EVM 혹은 최종 전송 신호의 파형 품질 계수(ρ)에 중대한 영향이 없기 때문에 받아들일 만하다.
앞서 설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예를 통해 발명자에 의해 현재 구상되어진 최적 방법과 장치의 완전하고 유익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하지만, 수반된 도면과 첨부된 청구항과 연계하여 읽었을 때 앞서 설명의 관점에서 관련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에게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확연하다. 하지만 몇몇 예에서는, 다른 유사 혹은 등가 회로의 사용 및 신호 레벨 단계 수의 사용이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에 의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가르침은 PA 기준 전류 혹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PA(101)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하는 전통적인 기술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가르침의 모든 그러한 또한 유사한 변경은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특징들은 다른 특징들의 대응되는 사용없이 이익을 얻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앞선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의 설명으로 여겨져야지 본 발명의 제한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Claims (20)

  1.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전송기 출력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전송기 출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며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기 출력 전력에 따라 전송기 상 변조기에서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 레벨과 단(段) 이득(gain)에 따라 RF 전송기 체인에서 복수의 능동단(active stage)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코드 분할, 멀티 액세스 이동국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것은 입력 기저밴드 신호에 대해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것은 RF 전송기 체인의 입력과 그 다음 직교 변조기에 연결된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의 입력을 디지털적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것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의 신호 출력을 다양하게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변조기는 상기 신호를 전송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직교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전송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8. 무선 주파수(RF) 전송기로서,
    전송기 출력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 전송기 출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며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기 출력 전력에 따라 전송기 직교 변조기에서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에 따라 상기 RF 전송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신호 레벨 및 상기 단(段) 이득에 따라 RF 전송기 체인에서 각각의 능동단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변동시키는 상기 회로는 입력 기저밴드 신호의 레벨에 따라 디지털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가변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상기 회로는 RF 전송기 체인의 입력과 상기 직교 변조기에 연결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의 입력을 디지털적으로 가변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상기 회로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의 신호 출력에 연결된 가변 감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변조기는 상기 신호를 전송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변조기는 동위상 및 직교 전송 채널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변조기는 CDMA 이동국의 동위상 및 직교 전송 채널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전송기.
  17. 직접 변환 전송기(DCT)를 포함하는 직접 변환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DCT는
    (a)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전송기 체인 부분으로 들어가는 디지털 기저밴드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 체인 부분은 동위상(I) 및 직교위상(Q) 전송 채널로부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신호를 전송 주파수로 변환하는 직교 변조기를 포함하고;
    (b) 전송기 출력 전력을 제어하고, 전송기 출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며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기 출력 전력에 따라 전송기 직교 변조기에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며;
    (c)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신호 레벨과 단(段) 이득에 따라 RF 전송기에서 복수의 능동단의 전류 소비를 제어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상기 회로는 상기 전송 전력에 따라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가변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상기 회로는, I 및 Q 채널 신호를 RF 전송기 체인의 입력으로 그리고 그 후에 상기 직교 변조기로 출력하는 I 및 Q 채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의 입력을 디지털적으로 가변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상기 회로는 I 채널 및 Q 채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의 I 채널 및 Q 채널 신호 출력에 연결된 I 채널 및 Q 채널 가변 감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KR1020077001577A 2004-06-24 2005-06-22 저전류 직접 변환 전송기 구조 KR20070038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76,194 US7664520B2 (en) 2004-06-24 2004-06-24 Low current direct conversion transmitter architecture
US10/876,194 2004-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14A true KR20070038114A (ko) 2007-04-09

Family

ID=3550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577A KR20070038114A (ko) 2004-06-24 2005-06-22 저전류 직접 변환 전송기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4520B2 (ko)
EP (1) EP1776755A1 (ko)
KR (1) KR20070038114A (ko)
CN (1) CN1993886A (ko)
TW (1) TW200620920A (ko)
WO (1) WO2006000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3624A1 (en) * 2006-03-24 2007-09-27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Transmitter with continuous phase and amplitude processing
US20080169951A1 (en) * 2007-01-17 2008-07-17 Stmicroelectronics, Inc. Direct digital synthesis of transmitter gain and bias control curves
US8385465B2 (en) * 2008-03-29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chain timing and transmit power control
US8854019B1 (en) 2008-09-25 2014-10-07 Rf Micro Devices, Inc. Hybrid DC/DC power converter with charge-pump and buck converter
US9166471B1 (en) 2009-03-13 2015-10-20 Rf Micro Devices, Inc. 3D frequency dithering for DC-to-DC converters used in multi-mode cellular transmitters
US8315576B2 (en) 2009-05-05 2012-11-20 Rf Micro Devices, Inc. Capacitive compensation of cascaded directional couplers
US8548398B2 (en) 2010-02-01 2013-10-01 Rf Micro Devices, Inc. Envelope power supply calibration of a multi-mode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US8538355B2 (en) 2010-04-19 2013-09-17 Rf Micro Devices, Inc. Quadrature power amplifier architecture
US8515361B2 (en) 2010-04-20 2013-08-20 Rf Micro Devices, Inc. Frequency correction of a programmable frequency oscillator by propagation delay compensation
US8706063B2 (en) 2010-04-20 2014-04-22 Rf Micro Devices, Inc. PA envelope power supply undershoot compensation
US8983410B2 (en) 2010-04-20 2015-03-17 Rf Micro Devices, Inc. Configurable 2-wire/3-wire serial communications interface
US8913971B2 (en) * 2010-04-20 2014-12-16 Rf Micro Devices, Inc. Selecting PA bias levels of RF PA circuitry during a multislot burst
US9008597B2 (en) 2010-04-20 2015-04-14 Rf Micro Devices, Inc. Direct current (DC)-DC converter having a multi-stage output filter
US8892063B2 (en) 2010-04-20 2014-11-18 Rf Micro Devices, Inc. Linear mode and non-linear mode quadrature PA circuitry
US8842399B2 (en) 2010-04-20 2014-09-23 Rf Micro Devices, Inc. ESD protection of an RF PA semiconductor die using a PA controller semiconductor die
US9077405B2 (en) 2010-04-20 2015-07-07 Rf Micro Devices, Inc. High efficiency path based power amplifier circuitry
US9184701B2 (en) 2010-04-20 2015-11-10 Rf Micro Devices, Inc. Snubber for a direct current (DC)-DC converter
US8699973B2 (en) 2010-04-20 2014-04-15 Rf Micro Devices, Inc. PA bias power supply efficiency optimization
US9553550B2 (en) 2010-04-20 2017-01-24 Qorvo Us, Inc. Multiband RF switch ground isolation
US9900204B2 (en) 2010-04-20 2018-02-20 Qorvo Us, Inc. Multiple functional equivalence digital communications interface
US8989685B2 (en) 2010-04-20 2015-03-24 Rf Micro Devices, Inc. Look-up table based configuration of multi-mode multi-band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ry
US8942651B2 (en) 2010-04-20 2015-01-27 Rf Micro Devices, Inc. Cascaded converged power amplifier
US9577590B2 (en) 2010-04-20 2017-02-21 Qorvo Us, Inc. Dual inductive element charge pump buck and buck power supplies
US9214865B2 (en) 2010-04-20 2015-12-15 Rf Micro Devices, Inc. Voltage compatible charge pump buck and buck power supplies
US8571492B2 (en) 2010-04-20 2013-10-29 Rf Micro Devices, Inc. DC-DC converter current sensing
US8913967B2 (en) 2010-04-20 2014-12-16 Rf Micro Devices, Inc. Feedback based buck timing of a direct current (DC)-DC converter
US9048787B2 (en) 2010-04-20 2015-06-02 Rf Micro Devices, Inc. Combined RF detector and RF attenuator with concurrent outputs
US8712349B2 (en) 2010-04-20 2014-04-29 Rf Micro Devices, Inc. Selecting a converter operating mode of a PA envelope power supply
US9362825B2 (en) 2010-04-20 2016-06-07 Rf Micro Devices, Inc. Look-up table based configuration of a DC-DC converter
US8542061B2 (en) 2010-04-20 2013-09-24 Rf Micro Devices, Inc. Charge pump based power amplifier envelope power supply and bias power supply
US8947157B2 (en) 2010-04-20 2015-02-03 Rf Micro Devices, Inc. Voltage multiplier charge pump buck
US8811921B2 (en) 2010-04-20 2014-08-19 Rf Micro Devices, Inc. Independent PA biasing of a driver stage and a final stage
US8559898B2 (en) 2010-04-20 2013-10-15 Rf Micro Devices, Inc. Embedded RF PA temperature compensating bias transistor
US8731498B2 (en) 2010-04-20 2014-05-20 Rf Micro Devices, Inc. Temperature correcting an envelope power supply signal for RF PA circuitry
US9030256B2 (en) 2010-04-20 2015-05-12 Rf Micro Devices, Inc. Overlay class F choke
US8983407B2 (en) 2010-04-20 2015-03-17 Rf Micro Devices, Inc. Selectable PA bias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ry
US8831544B2 (en) 2010-04-20 2014-09-09 Rf Micro Devices, Inc. Dynamic device switching (DDS) of an in-phase RF PA stage and a quadrature-phase RF PA stage
US9214900B2 (en) 2010-04-20 2015-12-15 Rf Micro Devices, Inc. Interference reduction between RF communications bands
US8942650B2 (en) 2010-04-20 2015-01-27 Rf Micro Devices, Inc. RF PA linearity requirements based converter operating mode selection
US8958763B2 (en) 2010-04-20 2015-02-17 Rf Micro Devices, Inc. PA bias power supply undershoot compensation
US8811920B2 (en) 2010-04-20 2014-08-19 Rf Micro Devices, Inc. DC-DC converter semiconductor die structure
US8565694B2 (en) 2010-04-20 2013-10-22 Rf Micro Devices, Inc. Split current current digital-to-analog converter (IDAC) for dynamic device switching (DDS) of an RF PA stage
US20130100999A1 (en) * 2010-06-22 2013-04-25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US8630211B2 (en) 2010-06-30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radio architecture for repeaters using RF cancellation reference
US9066305B2 (en) * 2011-12-06 2015-06-23 Ht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uput power and method thereof
US9065505B2 (en) 2012-01-31 2015-06-23 Rf Micro Devices, Inc. Optimal switching frequency for envelope tracking power supply
CN102684713B (zh) * 2012-06-05 2014-12-10 北京工业大学 电磁探测仪的发射机及其发射方法
US9483372B2 (en) * 2013-03-14 2016-11-01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Continuous power leveling of a system under test
CN105960006B (zh) * 2016-05-04 2019-08-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功耗调节方法、装置和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203A (en) * 1990-06-05 1992-03-24 Continental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amplifier having multiple switched stag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H08307182A (ja) * 1995-04-27 1996-11-22 Sony Corp パワーコントロール回路
KR100193843B1 (ko) 1996-09-13 1999-06-1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 송수신기의 디지탈 자동이득제어방법 및 장치
JP3109589B2 (ja) 1998-03-18 2000-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端末の送信パワー調整方法及び装置
KR100289901B1 (ko) 1998-08-21 2001-05-15 구자홍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KR100326311B1 (ko) 2000-07-20 2002-03-08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출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7454222B2 (en) * 2000-11-22 2008-11-18 Dragonwav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EP1271792A1 (en) * 2001-06-25 2003-01-02 Motorola, Inc. Low leakage local oscillator system
DE10132587A1 (de) 2001-07-05 2002-11-14 Infineon Technologies Ag Sendeanordnung mit Leistungsregelung
DE10163466A1 (de) 2001-12-21 2003-07-10 Infineon Technologies Ag Sendeanordnung für zeitkontinuierliche Datenübertragung
TWI237450B (en) * 2002-06-07 2005-08-01 Interdigital Tech Corp System and method for a direct conversion multi-carrier processor
AU2003289425A1 (en) * 2002-12-20 2004-07-14 Renesas Technology Corp. Transmission circuit and transmitter/receiver using same
US7206557B2 (en) * 2003-01-08 2007-04-1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local oscillator leakage in a wireless transmitter
JP4224337B2 (ja) * 2003-04-04 2009-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JP4584835B2 (ja) * 2003-08-13 2010-11-2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7424271B2 (en) * 2003-12-04 2008-09-09 Via Technologies Inc. Multi-mode and multi-band RF transceiver and related communication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0920A (en) 2006-06-16
EP1776755A1 (en) 2007-04-25
CN1993886A (zh) 2007-07-04
WO2006000885A1 (en) 2006-01-05
US20050287965A1 (en) 2005-12-29
US7664520B2 (en)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8114A (ko) 저전류 직접 변환 전송기 구조
US6166598A (en) Power amplifying circuit with supply adjust to control adjacent and alternate channel power
US7684514B2 (en) Transmitter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4611496B2 (ja) 隣接および次隣接チャネル電力制御の負荷調整を行う電力増幅回路
EP1755214B1 (en) RF power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3942637B2 (ja) 効率的な並列段電力増幅器
JP2965702B2 (ja) 送信機において広いダイナミックレンジを達成するための電力制御回路
US7395038B2 (en) High-efficiency modulating RF amplifier
JP2005518684A (ja) 電力増幅器の制御
US7151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ssociated with a transmitting unit
JPH1079633A (ja) 線形電力増幅器のための利得制御回路
KR100508355B1 (ko) 오디오 및 rf 증폭기용 공유 전원을 구비하는 휴대용무선 송수신기
CN100586031C (zh) 发送装置及无线通信装置
US7412216B2 (en) Radio transmitter
US20230179150A1 (en) Envelope controlled biasing of an auxiliary transmitter of a doherty power amplifier
GB2437335A (en) An efficient RF transmitter for high peak-to-average ratio (PAR) signals
US6341219B1 (en) Single-source automatic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diverse variable-gain stages of a CDMA cellular handset
US20020074560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variable gain amplifier
US8320845B2 (en) Radio transmitter
US7593700B2 (en) Controllable radio frequency stage with variable gain/attenuation, in particular incorporated into the transmission chain of a cellular mobile telephone,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JPH1022755A (ja) 自動利得制御増幅器、受信回路および受信回路を用いた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