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602A -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37602A KR20070037602A KR1020070025210A KR20070025210A KR20070037602A KR 20070037602 A KR20070037602 A KR 20070037602A KR 1020070025210 A KR1020070025210 A KR 1020070025210A KR 20070025210 A KR20070025210 A KR 20070025210A KR 20070037602 A KR20070037602 A KR 200700376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f
- mounting foot
- movable member
- wire
- locking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2—Carriers comprising elongate members extending only transversely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하나의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장착풋의 고정과 고정해제가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패널 상부 양측에 전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루프렉, 루프렉 각각에 대향 장착되어 루프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장착풋, 장착풋 각각에 좌우로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장착풋 상에 좌우로 일정범위 직선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는 가동부재, 가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 가동부재의 외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가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장착풋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록킹바, 장착풋 각각의 록킹바를 상시 일방향으로 탄성되도록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바 탄성수단, 가동부재의 설치공간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 대향 설치된 양측 장착풋 상의 양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풀리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한편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강제 이동에 의해 양측 장착풋 상의 가동부재가 슬라이드되어 록킹바를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와이어 및 대향 장착된 장착풋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와이어가 그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루프패널, 루프렉, 장착풋, 캐리어, 루프캐리어
Description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상에 다른 구성요소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록킹바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록킹바의 1단 결합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c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록킹바의 2단 결합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크로스 바의 이동 후 장착풋의 고정을 보인 작용도.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록킹바의 1단 결합해제를 보인 작용도.
도 8c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록킹바의 2단 결합해제를 보인 작용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와이어 장력 조절용 인장스프링과 와이어 간섭방지용 지지구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110. 루프렉
120. 장착풋 122. 크로스바 결합홈
130.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132. 걸림고리
140. 가동부재 142. 설치공간부
150. 외측방 걸림간 152. 내측방 걸림간
154. 걸림턱 160. 록킹바
170. 지지턱 172. 탄성스프링
180. 풀리 190. 와이어
200. 크로스바 210. 구름롤러
220. 제 1 고리막대 222. 제 2 고리막대
224. 복원스프링 230. 인장스프링
240. 와이어 지지구 242. 와이어 슬라이드 관통홈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와이어의 당김 작용에 의해 일측의 록킹바를 일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한편 타측 역시 와이어의 작용에 의해 타측 장착풋의 록킹바를 타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크로스바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라 함은 자동차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수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 상부에 장착되어 스키, 스노보드, 수상스키, 서프보드 및 자전거 등과 같은 레저스포츠용 장비는 물론 그 외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루프캐리어는 그 장착방식에 있어 크게 자동차의 루프패널이나 리어 글라스 등에 장착풋을 직접적으로 부착시키는 방식과 자동차의 루프패널 양측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루프렉(Roof Rack)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된 장착풋을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식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루프캐리어의 중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자동차의 루프패널 양측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루프렉(Roof Rack)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된 장착풋을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러한 루프렉과 장착풋에 의한 방식은 차량의 출고시 자동차의 루프패널 상에 장착되어 출고되지도 하지만 이미 출고된 차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다음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루프렉과 장착풋에 의한 루프캐리어를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렉과 장착풋에 의한 방식의 루프캐리어를 보인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20)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0) 상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루프렉(22), 양측 루프렉(22) 각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지되 양측 루프렉(22) 각각에 2개씩 장착되는 장착풋(24) 및 장착풋(24)을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바(2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20)의 크로스바(26)는 그 상부로 적재하기 위한 장비나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전후의 간격이 조정 가능하다. 즉, 루프렉(22) 각각에 전후로 장착된 장착풋(24)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착풋(24)을 연결하는 크로스바(26) 사이의 전후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루프캐리어(20)의 장착풋(24)은 루프렉(22)의 대향면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22a)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홈(22a)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22b) 상에 출입 가능하게 구성된 록킹바(24a)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통해 루프렉(22) 상에 고정 및 고정해제된다. 이때, 록킹바(24a)의 고정해제시 장착풋(24)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장착풋(24)에는 구름롤러(24b)가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를 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제조에 따른 고가의 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는 사용자 일인이 루프렉 양측에 장착된 장착풋의 고정을 해제할 수 없거나 고정해제 구조가 복잡해 크로스바를 이동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에서 와이어를 이용한 방식의 루프캐리어의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시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되어 원활한 조작의 어려움과 작동불량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음은 물론, 작동시 와이어의 소음이 발생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하나의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장착풋의 고정과 고정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하나의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조를 통해 록킹바의 고정과 고정해제를 보다 단순하게 함으로써 루프캐리어의 제조를 보다 용이 하게 함은 물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하나의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조와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인장스프링의 구성을 통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와이의 장력 변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는 자동차의 루프패널 상부 양측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대향면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과 레일홈 각각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홈이 구성된 루프렉; 루프렉 각각의 레일홈 상에 외측단 일부가 삽입되어 루프렉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대향 장착되는 장착풋; 장착풋의 상부측에 좌우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그 하부면 일측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장착풋의 내측면 전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에 장착되어 좌우로 일정범위 직선 슬라이드되어지되 그 내부에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가동부재; 가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 가동부재의 외측면에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어지되 가동부재의 좌우 이동에 따라 루프렉의 고정홈과 결합 및 결합해제되어 장착풋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록킹바; 록킹바 끝단을 레일홈의 고정홈 상에 상시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바 탄 성수단; 가동부재의 설치공간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 양측 루프렉에 대향 설치된 장착풋 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각각의 걸림고리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 풀리를 경유하여 설치되어지되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강제 이동에 의해 양측 장착풋 상의 가동부재가 슬라이드되어 록킹바가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와이어; 및 루프렉의 양측에 대향 장착된 장착풋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와이어가 그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대향 설치된 장착풋 상의 록킹바를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내측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경우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가 설치된 장착풋 상의 가동부재가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른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측 록킹바가 일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더 내측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키면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타측 장착풋 상에 설치된 타측 가동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타측 록킹바 역시 타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은 가이드레일 외측단 위치의 장착풋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지되 그 중심에는 관통홈이 관통 형성되어 가동부재가 외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외측방 걸림간; 가이드레일 사이의 장착풋 상에 형성되어 가동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측방 걸림간; 및 가동부재 각각의 외측단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내측방 걸림간 외측과의 걸림을 통해 가동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록킹바 탄성수단은 록킹바 각각의 일부분에 형성된 지지턱; 및 외측방 걸림간과 록킹바의 지지턱 사이인 록킹바 외주에 결합되어 록킹바를 레일홈의 고정홈 상에 상시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장착풋 각각의 외측단 전후에는 루프렉의 레일홈 상에서 장착풋이 전후 슬라이드시 구름을 통해 슬라이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롤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와이어에는 양측 끝단이 각각의 와이어에 결합 고정되어 와이어의 장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크로스바 내부에는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의 이동시 와이어와 크로스바 내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가 관통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지지하는 하는 와이어 슬라이드 관통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 지지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강제 이동시 이를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이 더 구성되어지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하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리막대; 장착풋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고리막대; 및 제 1 고리막대와 제 2 고리막대를 연결하여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상시 원위치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복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상에 다른 구성요소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0) 상부 양측에 전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루프렉(110), 루프렉(110) 각각에 대향 장착되어 루프렉(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장착풋(120), 장착풋(120) 각각에 좌우로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장착풋(120) 상에 좌우로 일정범위 직선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는 가동부재(140), 가동부재(140)의 슬라이드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 가동부재(140)의 외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가동부재(140)의 이동에 따라 장착풋(120)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록킹바(160), 장착풋(120) 각각의 록킹바(160)를 상시 일방향으로 탄성되도록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바 탄성수단, 가동부재(140)의 설치공간부(1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 되는 풀리(180), 대향 설치된 양측 장착풋(120) 상의 양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풀리(180)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한편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강제 이동에 의해 양측 장착풋(120) 상의 가동부재(140)가 슬라이드되어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와이어(190) 및 대향 장착된 장착풋(120)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와이어(190)가 그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크로스바(20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사용자 혼자서도 대향 설치된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으로부터 동시에 결합해제시켜 장착풋(12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이동시 하나의 와이어(190)를 통해 양측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일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이동시키면 일측 장착풋(120)에 구성된 록킹바(160)가 일측 루프렉(1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한편,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190)를 통해 연결된 타측 장착풋(120)의 록킹바(160) 역시 타측 루프렉(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양측 장착풋(120)이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되도록 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이동시 대향 설치된 양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연결하는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 가동부재(140)의 이동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록킹바(160)가 일측 또는 타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한편, 이어서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더 이동시키면 타측 또는 일측 가동부재(140) 역시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이동되어 타측 또는 일측 록킹바(160)를 타측 또는 일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대향 설치된 양측 장착풋(120)이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착풋(120)을 루프렉(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전후 크로스바(20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양측 두 가동부재(140)가 동시에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된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방향에 설치된 가동부재(140) 먼저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계속되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타측 가동부재(140)가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뒤늦게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와이어(190)의 장력을 통해 두 가동부재(14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루프렉(110)은 후술하는 장착풋(120)을 장착하여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루프렉(110)은 자동차용 루프패널(10) 의 양측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 고정된다. 이때, 루프렉(110)은 양측 대향면 상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112)과 레일홈(112)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11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도 7 및 도 8 참조).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양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은 일대일 대응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양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을 일대일 대응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은 크로스바(200)를 통해 연결되는 양측 장착풋(120)이 동일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착풋(120)은 전후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양측 대향되는 장착풋(120)을 연결하는 전후의 두 크로스바(18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장착풋(120)은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대향 설치된 각각의 루프렉(110)에 전후로 두 개씩 네 개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착풋(120)은 그 각각의 외측단 일부가 루프렉(110) 각각의 레일홈(112) 상에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장착풋(120)이 루프렉(110) 각각의 레일홈(112) 상에서 원활한 슬라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착풋(120) 각각의 외측단 전후에는 구름롤러(2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구름롤러(210)가 설치됨으로써 장착풋(120)은 루프렉(110)의 레일홈(112) 상에서 보다 원활하게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착풋(120) 각각의 내측단부에는 후술하는 크로스바(200)가 삽입 연결되는 크로스바 결합홈(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크로스바 결합홈(122)은 크로스바(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크로스 바(200) 양단이 장착풋(120)의 크로스바 결합홈(122)에 끼움 결합되어 양측에 대향 설치된 두 장착풋(12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는 좌우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후술하는 와이어(190)의 장력을 보다 크게 하여 가동부재(140)를 이동시킴으로써 록킹바(150)를 루프렉(110) 상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켜 장착풋(12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풋(120) 각각의 상부면 상에 좌우측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하부면 일측에는 걸림고리(13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이 더 구성된다. 이러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하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리막대(220), 장착풋(120)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고리막대(222) 및 제 1 고리막대(220)와 제 2 고리막대(222)를 연결하여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상시 원위치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복원스프링(22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복원수프링(224)의 양단이 제 1 고리막대(220)와 제 2 고리막대(222)에 연결된 상태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결 국, 외력에 의해 강제 이동된 상태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로부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스프링(224)은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원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복원스프링(224)은 인장스프링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복원스프링(224)의 탄성력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상시 원위치시키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루프렉(110)의 고정홈(114)과 록킹바(160)의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그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그 즉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는 복원스프링(224)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된다.
가동부재(140)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강제 이동에 따른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후술하는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가동부재(140)는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풋(120)의 내부 전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24) 상에 장착되어 좌우로 일정범위 슬라이드 직선이동된다. 이때, 가동부재(140)에는 일정크기의 설치공간부(142)가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140)는 장착풋(120)의 내부 전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24) 상에 장착되어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상시 가동부재(140)의 좌우이동은 직선이동일 수밖에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동부재(140)는 장착풋(120)의 내부 전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24) 상에 장착되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강제 이동에 따른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드 된다. 이때, 가동부재(140)는 후술하는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에 의해 그 이동범위가 제한되어진다. 이는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강제 이동시 가동부재(140)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은 가동부재(140)의 슬라이드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강제 이동시 가동부재(140)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은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24) 외측단 위치의 장착풋(120)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지되 관통홈(150a)이 관통 형성되어 가동부재(140)가 외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외측방 걸림간(150), 가이드레일(124) 내측단 사이의 장착풋(120) 상에 형성되어 가동부재(140)가 내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측방 걸림간(152) 및 가동부재(140) 각각의 외측단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내측방 걸림간(152) 외측과의 걸림을 통해 가동부재(140)가 내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턱(15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의 구성에서 외측방 걸림간(150)과 내측방 걸림간(152) 사이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그 사이에 가동부재(140) 외측단 하부면 상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54)이 위치되기 때문에 가동부재(14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시 가동부재(140)의 이동범위는 외측방 걸림간(150)과 내측방 걸림간(152) 사이의 거리로 제한된다.
록킹바(160)는 장착풋(12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장착풋(1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루프렉(110)의 레일홈(112)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홈(114)과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어 장착풋(120)을 루프렉(110) 상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록킹바(140)는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140)의 외측면 중심에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외측방 걸림간(150)의 관통홈(150a) 상에 관통 위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140)의 외측면 중심에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외측방 걸림간(150)의 관통홈(150a) 상에 관통 위치된 구조로 설치된 록킹바(160)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외력에 의한 강제 이동에 의해 후술하는 와이어(190)에 장력이 크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재(140)의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 록킹바(16)는 결 그 끝단이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어 루프렉(110)으로부터 장착풋(120)의 고정이 해제된다.
물론, 루프렉(110)의 레일홈(112)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홈(114)으로부터 록킹바(160)를 분리시켜 장착풋(120)을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이동시키면 가동부재(140)와 록킹바(160)는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이동된 상태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가동부재(140)와 록킹바(160)는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의해 루프렉(110)의 고정홈(114) 방향으로 걸림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록킹바 탄성수단에 의해 이동 원위치 된다.
록킹바 탄성수단은 일체로 이루어진 가동부재(140)와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 록킹바 탄성수단은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바(160)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턱(170) 및 장착풋(120) 각각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외측방 걸림간(150) 사이인 록킹바(160) 외주에 결합되어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7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바 탄성수단은 장착풋(120) 각각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외측방 걸림간(150)에 지지되어 지지턱(170)을 밀어내는 형태로 탄성스프링(172)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록킹바(160)가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그 즉시 탄성스프링(172)은 그 탄성력을 통해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바 탄성수단의 탄성스프링(172)이 그 탄성력을 통해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 상에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록킹바(160)는 그 후단이 가동부재(140)의 선다면에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결국 가동부재(140) 역시 록킹바 탄성수단의 탄성스프링(172)에 의해 원위치 된다.
풀리(180)는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시 이에 따른 와이어(19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풀리(180)는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140)의 설치공간부(1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와이어(190)가 풀리(180)의 외주연 상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경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풀리(180)의 설치 위치는 와이어(190)가 휘돌아 경유하여야 하기 때문에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걸림고리(132)에 비해 루프렉(110)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이처럼 풀리(180)의 설치 위치를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걸림고리(132)에 비해 루프렉(110)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외력에 의한 강제 이동시 와이어(190)에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록킹바(160)가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와이어(190)는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에 따른 힘을 타측 또는 일측의 가동부재(140)에 전달하여 타측 또는 일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타측 또는 일측의 록킹바(16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와이어(190)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루프렉(110)에 대향 설치된 장착풋(120) 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각각의 걸림고리(132)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 풀리(180)를 경유하여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190)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 라이드부재(130)를 외력을 통해 강제 이동시키는 경우 일측 또는 타측 장착풋(120) 상의 가동부재(140)를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에 따른 와이어(190)의 장력 발생을 통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 또는 타측 록킹바(160)를 일측 또는 타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결합해제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일측 또는 타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더 내측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켜 더욱 크게 발생되는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타측 또는 일측 장착풋(120) 상에 설치된 타측 또는 일측 가동부재(140)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타측 또는 일측 록킹바(160) 역시 타측 또는 일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결합해제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190)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 추구하는 사용자 혼자서도 양측의 장착풋(120)을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시켜 전후로 일정범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로스바(200)의 전후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대응하는 장착풋(120)에는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와이어(190)가 구성된다.
즉,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바(14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와이어(190)는 장력이 크게 발생하게 되어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 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의 가동부재(140)를 이동시켜 결국 이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더 강 제 이동시키게 되면 와이어(190)에는 장력이 더 크게 발생하게 타측 또는 일측의 가동부재(14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결국 타측 또는 일측의 가동부재(140)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바(160)를 타측 또는 일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터 분리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킴으로써 와이어(190)의 장력을 통해 양측 가동부재(14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양측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양측 록킹바(160)를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장착풋(120)은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된다.
크로스바(200)는 양측 루프렉(110) 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대향 장착된 두 장착풋(120)을 상호 연결하는 한편 그 내부를 통해 와이어(190)가 경유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크로스바(200)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장착풋(120)의 크로스바 결합홈(122) 상에 결합되어 양측 루프렉(110) 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대향 장착된 두 장착풋(120)을 상호 연결한다. 이때, 크로스바(200)의 내부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바(200)의 내부인 중공으로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90)가 삽입 설치되어 와이어(19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크로스바(200)를 통해 와이어(190)가 외부로 노출되 지 않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9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록킹바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록킹바의 1단 결합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c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루프렉과 장착풋의 결합시 록킹바의 2단 결합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크로스바의 이동 후 장착풋의 고정을 보인 작용도,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록킹바의 1단 결합해제를 보인 작용도, 도 8c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장착풋 고정해제시 록킹바의 2단 결합해제를 보인 작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 및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루프렉(110)에 대향 설치된 장착풋(120)이 고정된 상태 즉, 장착풋(120) 상에 설치된 록킹바(160)가 루프렉(110)의 고정홈(114) 상에 삽입 결합되어 장착풋(120)이 루프렉(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7b 및 도 8b 에서와 같이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으로 강제 이동시키게 되면 대향되는 양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연결하는 와이어(190)에 장력이 크게 발생하면서 좌측 가동부재(14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으로 강제 이 동시는 가운데 발생된 와이어(190)의 장력을 통해 좌측 가동부재(14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좌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좌측의 록킹바(160)는 분리(결합해제)되어 결국 좌측의 장착풋(120)은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된다. 이때, 좌측 가동부재(140)는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의 내측방 걸림간(152)에 걸림턱(154)이 걸리게 됨으로써 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멈추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으로 강제 이동시켜 좌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좌측의 록킹바(160)를 분리하는 가운데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도 7c 및 도 8c 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더욱 이동시키게 되면 좌측의 가동부재(140)는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의 내측방 걸림간(152)에 걸림턱(154)이 걸려 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결국 와이어(190)는 우측의 장착풋(120)에 설치된 가동부재(140)를 잡아당기게 되어 우측의 록킹바(160) 역시 우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그 결합이 분리된다. 이때, 우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는 와이어(190)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으로 강제 이동시켜 좌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좌측의 록킹바(160)를 분리하는 가운데 연이어 우측의 록킹바(160) 역시 우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그 결합을 분리시켜 양측 루프렉(110)과 장착풋(120)의 고정을 해제시킴으로써 대향 설치된 장착풋(120)은 루프렉(110)의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은 우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다만, 우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경우 록킹바(160)가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순서는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경우와 반대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으로 강제 이동시켜 좌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좌측의 록킹바(160)를 분리하는 가운데 연이어 우측의 록킹바(160) 역시 우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그 결합을 분리시켜 양측 루프렉(110)과 장착풋(120)의 고정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장착풋(120)을 루프렉(11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좌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우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과 록킹바 탄성수단에 의해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와 록킹바(160)를 포함한 가동부재(140)는 도 7a 및 8a 와 같이 원위치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와이어 장력 조절용 인장스프링과 와이어 간섭방지용 지지구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앞서의 구성에 더하여 와이어(190)의 장력을 조절하여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시 그에 따른 작용이 타측의 가동부재(140)에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스프링(23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장스프링(230)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190)에 양측 끝단이 결합 고정되어 와이어(190)의 양측이 인장스프링(230)에 의해 잡아당겨 지도록 한다. 즉, 인장스프링(230)은 와이어(190)의 장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인장스프링(230)의 구성에 더하여 와이어(190)의 너울 현상방지는 물론, 와이어(190)와 크로스바(200) 내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지지구(240)가 하나 이상 더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 지지구(24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20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와이어(190)가 관통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와이어 슬라이드 관통홈(242)을 통해 와이어(190)가 관통 경유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90)의 너울 현상방지는 물론, 와이어(190)와 크로스바(200) 내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와이어(190)의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100)는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 이동시 대향 설치된 양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연결하는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 가동부재(140)의 이동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록킹바(160)를 일측 또는 타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한편, 이어서 일측 또는 타측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130)를 더 이동시키는 가운데 타측 또는 일측 가동부재(140) 역시 와이어(190)의 장력에 의해 이동되어 타측 또는 일측 록킹바(160)를 타측 또는 일측 루프렉(110)의 고정홈(114)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대향 설치된 양측 장착풋(120)이 루프렉(110)으로부터 고정해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착풋(120)을 루프 렉(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전후 크로스바(20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하나의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장착풋의 고정과 고정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하나의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조를 통해 록킹바의 고정과 고정해제를 보다 단순하게 함으로써 루프캐리어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측의 루프렉에 장착된 장착풋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하나의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양측 장착풋의 록킹바가 양측 각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구조와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인장스프링의 구성을 통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와이의 장력 변화에 대비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Claims (8)
- 자동차의 루프패널 상부 양측에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대향면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 각각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홈이 구성된 루프렉;상기 루프렉 각각의 레일홈 상에 외측단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루프렉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대향 장착되는 장착풋;상기 장착풋의 상부측에 좌우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그 하부면 일측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상기 장착풋의 내측면 전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에 장착되어 좌우로 일정범위 직선 슬라이드되어지되 그 내부에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가동부재;상기 가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상기 가동부재의 외측면에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어지되 상기 가동부재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루프렉의 고정홈과 결합 및 결합해제되어 상기 장착풋을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록킹바;상기 록킹바 끝단을 상기 레일홈의 고정홈 상에 상시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바 탄성수단;상기 가동부재의 설치공간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상기 양측 루프렉에 대향 설치된 장착풋 상의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각각의 걸림고리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설치되어지되 상기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강제 이동에 의해 상기 양측 장착풋 상의 가동부재가 슬라이드되어 록킹바가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와이어; 및상기 루프렉의 양측에 대향 장착된 장착풋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가 그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설치된 장착풋 상의 록킹바를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내측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경우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가 설치된 장착풋 상의 가동부재가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른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측 록킹바가 일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일측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더 내측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키면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타측 장착풋 상에 설치된 타측 가동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타측 록킹바 역시 타측 루프렉의 고정홈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 이동범위 제한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 외측단 위치의 장착풋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지되 그 중심에는 관통홈이 관통 형성되 어 상기 가동부재가 외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외측방 걸림간;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장착풋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측방 걸림간; 및상기 가동부재 각각의 외측단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방 걸림간 외측과의 걸림을 통해 상기 가동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 탄성수단은 상기 록킹바 각각의 일부분에 형성된 지지턱; 및상기 외측방 걸림간과 록킹바의 지지턱 사이인 상기 록킹바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바를 상기 레일홈의 고정홈 상에 상시 결합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풋 각각의 외측단 전후에는 상기 루프렉의 레일홈 상에서 상기 장착풋이 전후 슬라이드시 구름을 통해 슬라이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롤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제 5 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는 양측 끝단이 각각의 와이어에 결합 고정되 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내부에는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이동시 와이어와 상기 크로스바 내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지지하는 하는 와이어 슬라이드 관통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 지지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강제 이동시 이를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이 더 구성되어지되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 복원수단은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의 하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리막대;상기 장착풋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고리막대; 및상기 제 1 고리막대와 제 2 고리막대를 연결하여 상기 록킹해제용 슬라이드부재를 상시 원위치시키려는 방향으로 그 탄성력이 작용하는 복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5210A KR100851968B1 (ko) | 2007-03-14 | 2007-03-14 |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5210A KR100851968B1 (ko) | 2007-03-14 | 2007-03-14 |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7602A true KR20070037602A (ko) | 2007-04-05 |
KR100851968B1 KR100851968B1 (ko) | 2008-08-12 |
Family
ID=3815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5210A KR100851968B1 (ko) | 2007-03-14 | 2007-03-14 |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196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963B1 (ko) * | 2007-04-23 | 2007-10-02 | (주)몰드피아 | 크로스바 |
KR100893554B1 (ko) * | 2008-04-03 | 2009-04-17 | (주)몰드피아 | 루프 캐리어 |
KR100894514B1 (ko) * | 2008-04-11 | 2009-04-22 | (주)몰드피아 | 루프 캐리어 |
KR100916261B1 (ko) * | 2007-12-14 | 2009-09-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3642B1 (ko) * | 2005-06-02 | 2006-07-24 | (주)진원 |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KR100605655B1 (ko) * | 2005-06-09 | 2006-07-31 | (주)진원 |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KR100605658B1 (ko) * | 2005-06-13 | 2006-07-31 | (주)진원 |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KR100677672B1 (ko) * | 2006-10-12 | 2007-02-02 | (주)몰드피아 |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
2007
- 2007-03-14 KR KR1020070025210A patent/KR1008519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963B1 (ko) * | 2007-04-23 | 2007-10-02 | (주)몰드피아 | 크로스바 |
KR100916261B1 (ko) * | 2007-12-14 | 2009-09-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
KR100893554B1 (ko) * | 2008-04-03 | 2009-04-17 | (주)몰드피아 | 루프 캐리어 |
WO2009145473A1 (ko) * | 2008-04-03 | 2009-12-03 | (주)몰드피아 | 루프 캐리어 |
KR100894514B1 (ko) * | 2008-04-11 | 2009-04-22 | (주)몰드피아 | 루프 캐리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1968B1 (ko) | 2008-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1968B1 (ko) |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
JP3759475B2 (ja) | 片側で取り外し可能なクロスバーを有する物品キャリア | |
US6126133A (en) | Slide rail for vehicle seat and seat comprising such a slide rail | |
CN105966447B (zh) | 连接装置及具有该连接装置的婴儿照护设备 | |
US8646667B2 (en) | Roof rack device | |
US20120308297A1 (en) | Locking mechanism of slide assembly | |
CN108407726B (zh) | 具有一体式车顶架和附件附连组件的车顶结构 | |
US8388014B2 (en) | Foldable motorized vehicle with frame connecting and frame locking mechanisms | |
KR100851967B1 (ko) |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 |
KR200404770Y1 (ko) |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 |
US7213730B2 (en) | Vehicle roof rack assembly with adjustable cross rail | |
US20070241651A1 (en) | Drawer slide with releasable latch | |
CN215361054U (zh) | 一种支撑腿伸缩装置及儿童安全座椅 | |
CN212921284U (zh) | 一种越野通信车滑轨平台 | |
CN112721756A (zh) | 一种支撑腿伸缩装置及儿童安全座椅 | |
CN110171329B (zh) | 用于增高椅上的闩锁连接器的快速释放装置 | |
CN112960031B (zh) | 婴儿车 | |
KR200404769Y1 (ko) |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 |
CN208530357U (zh) | 儿童安全座椅 | |
CN108608911B (zh) | 靠背锁止机构和车辆 | |
KR102662893B1 (ko) | 오토바이 짐대 | |
KR100561814B1 (ko) | 차량용 루프 랙 | |
CN220281270U (zh) | 一种汽车行李架安装座 | |
CN102180190B (zh) | 可单双人转换的婴儿推车 | |
KR100342214B1 (ko) | 차량용 루프랙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