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361A -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361A
KR20070036361A KR1020050091301A KR20050091301A KR20070036361A KR 20070036361 A KR20070036361 A KR 20070036361A KR 1020050091301 A KR1020050091301 A KR 1020050091301A KR 20050091301 A KR20050091301 A KR 20050091301A KR 20070036361 A KR20070036361 A KR 2007003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lutch
vibration
hydraulic oi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6361A/ko
Publication of KR2007003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4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n elastic clutching, i.e. elastic actuating member, e.g. a diaphragm or a pneumatic tub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를 조작할 때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댐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감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유압유가 이동하는 이동관(300)에 설치되는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가 페달측 이동관(300)에 연결 되도록 몸체(200)의 일단에 설치된 페달측 플랜지(210)와, 상기 몸체(200)가 엔진측 이동관(300)에 연결 되도록 몸체(200)의 타단에 설치된 엔진측 플랜지(220)와, 상기 페달측 플랜지(210)가 설치된 몸체(2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유압유가 이동될 수 있도록 통공(231)이 형성된 페달측 플레이트(230)와, 상기 엔진측 플랜지(220)가 설치된 몸체(20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유압유가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공(241)이 형성된 엔진측 플레이트(24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차량, 클러치, 진동, 블레이드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Clutch pedal vibration diminution apparatus for car}
도1은 일반적인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2 내지 도4는 종래의 클러치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도5의 A - A 선 단면도.
도7은 도5의 B - B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몸체 210 : 페달측 플랜지
220 : 엔진측 플랜지 230 : 페달측 플레이트
231 : 통공 232 : 유도공
240 : 엔진측 플레이트 241 : 이동공
250 : 블레이드 300 : 이동관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 게는 클러치를 조작할 때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댐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감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에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러한 클러치를 운전자가 조작할 때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클러치 시스템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페달(10)과, 이 클러치페달(10)에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20)와, 이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20)에 연결된 릴리스 실린더 조립체(30)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20)와 릴리스 실린더 조립체(30)를 연결하는 클러치파이프(41) 사이에 연결되는 진동 흡수용 클러치 댐퍼(40)로 구성된다.
이러한 클러치 시스템은 운전자가 클러치페달(10)을 조작하게 되면,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20) 내에 유압이 발생하게 되며, 이 유압은 릴리스 실린더 조립체(30)의 푸시 로드(31)를 조작하여 트랜스미션 측의 클러치 레버(도면 미도시)를 밀어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반대로 클러치 페달(10)의 답력을 해제하게 되면, 릴리스 실린더 조립체(30)에 작용하던 유압이 리턴되며, 푸시로드(31)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엔진의 동력이 트랜스미션으로 전달된다.
이때,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유압에 작용하면서 맥동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진동이 클러치 파이프(41)를 통해 클러치페달(10)에 그대로 전달되어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이 클러치페달(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 흡수용 클러치 댐퍼(40)를 클러치 파이프(41)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메탈 댐퍼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측에서 유입되는 유압진동을 메탈댐퍼(100)의 내부에 설치된 플레이트(101)의 탄성을 이용하여 저감한다. 즉, 유입되는 진동의 크기에 따라서 플레이트(101)의 두께가 변화되면서 진동을 감쇠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댐퍼는 페달작동시의 유압손실은 작고, 고주파성 진동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지만 저주파성 진동을 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이브레이션 유니트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측에서 들어오는 유압진동을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01)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저감하는 것으로서, 이는 스프링(101)의 탄성력에 의해서 감쇠할 수 있는 진동의 크기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페달을 밟아 유압이 작동할때는 진동보다 큰 유압이 작용하여 스프링(101)을 뒤로 밀어 스프링캡(102)과 인슐레이션러버(103)의 사이가 벌어져 유로가 열려 힘이 전달되고, 이때 스프링캡(102)을 여는 마찰이 유압손실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바이브레이션 유니트는 저주파성 진동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지만 고주파성 진동을 감쇠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유압식 댐퍼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진동을 챔버(120)의 단면 적 변화를 이용하여 저감하는 것으로서, 이는 관로의 단면적이 증대될수록 유압손실이 크게된다.
즉, 유압진동의 크기가 작을 경우 다소 효과가 있으나 유압 손실량에 비해 효과가 작고, 최근 대형차량이나 고출력 엔진이 탑재된 차량에서는 효과를 얻을 수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멍이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을 설치하여 엔진측 유압진동을 격벽의 탄성에 의해서 감쇠시킬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는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유압유가 이동하는 이동관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페달측 이동관에 연결 되도록 몸체의 일단에 설치된 페달측 플랜지와, 상기 몸체가 엔진측 이동관에 연결 되도록 몸체의 타단에 설치된 엔진측 플랜지와, 상기 페달측 플랜지가 설치된 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유압유가 이동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페달측 플레이트와, 상기 엔진측 플랜지가 설치된 몸체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유압유가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공이 형성된 엔진측 플레이트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6은 도5의 A - A 선 단면도이며, 도7은 도5의 B - B 선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유압유가 이동하는 이동관(300) 상에 설치되는 몸체(20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몸체(200)의 일단에는 페달측 이동관(300)에 연결 되도록 페달측 플랜지(2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200)의 타단에는 엔진측 이동관(300)에 연결 되도록 엔진측 플랜지(2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페달측 플랜지(210)가 설치된 몸체(200)의 내부 일측에는 페달측 플레이트(230)가 설치되어 있되, 그 페달측 플레이트(230)의 중앙에는 유압유가 이동될 수 있도록 통공(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231)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유도공(232)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측 플랜지(220)가 설치된 몸체(200)의 내부 타측에는 엔진측 플레이트(24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엔진측 플레이트(240)에는 유압유가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공(2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0)의 중앙에는 그 몸체(200)의 내부를 이동하는 유압유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블레이드(25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몸체(200)의 내부에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엔진측 유압진동이 상기 플레이트의 탄성에 의해서 감쇠시키는 것이다.
즉, 페달 작동시 유압유는 페달측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통공(231) 및 유 도공(232)을 통하여 이동된 후 블레이드(250)에 의해서 몸체(200)의 내부에 와류가 발생되면서 진동이 감쇠됨과 동시에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엔진측 플레이트(240)에 형성된 이동공(241)을 통하여 엔진측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즉, 진동의 저감은 물론 압력을 증대시켜 유압손실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또한, 고주파성 진동을 감쇠할 경우 플레이트를 금속재질로 사용하고, 저주파성 진동을 감쇠할 경우 플레이트를 고무재질로 사용하는 것이며, 고주파성 진동 및 저주파성 진동을 동시에 감쇠하기 위해서는 금속재질 및 고무재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페달측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통공(231)과 유도공(232) 및 엔진측 플레이트(240)에 형성된 이동공(241)의 개수와 위치를 조절하여 마찰에 의한 효율 감소 방지는 물론 손실양을 최소화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압유가 이동하는 이동관에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한편, 유압유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클러치 페달 조작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함은 물론, 유압유에 작용하는 압력을 손실을 최소화하여 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유압유가 이동하는 이동관(300)에 설치되는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가 페달측 이동관(300)에 연결 되도록 몸체(200)의 일단에 설치된 페달측 플랜지(210)와, 상기 몸체(200)가 엔진측 이동관(300)에 연결 되도록 몸체(200)의 타단에 설치된 엔진측 플랜지(220)와, 상기 페달측 플랜지(210)가 설치된 몸체(2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유압유가 이동될 수 있도록 통공(231)이 형성된 페달측 플레이트(230)와, 상기 엔진측 플랜지(220)가 설치된 몸체(20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유압유가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공(241)이 형성된 엔진측 플레이트(2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의 내부를 이동하는 유압유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몸체(200)의 중앙에 설치된 블레이드(25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측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통공(231)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유도공(232)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KR1020050091301A 2005-09-29 2005-09-29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KR20070036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301A KR20070036361A (ko) 2005-09-29 2005-09-29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301A KR20070036361A (ko) 2005-09-29 2005-09-29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361A true KR20070036361A (ko) 2007-04-03

Family

ID=3815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301A KR20070036361A (ko) 2005-09-29 2005-09-29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63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82B1 (ko) * 2013-09-30 2014-11-07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차량의 클러치페달 진동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82B1 (ko) * 2013-09-30 2014-11-07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차량의 클러치페달 진동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03390A (ja) 消音装置を備えたねじロータ機械
CN105390131B (zh) 一种消声装置及机电设备
KR20070036361A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KR100747033B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US4924992A (en) Anti-vibration mechanism for a clutch pedal
KR20090114686A (ko) 엔진의 연료 맥동음 저감장치
KR101126465B1 (ko) 차량용 클러치 레귤레이터
KR100820202B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답력저감장치
KR200429589Y1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용 메탈 댐퍼
KR100828602B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KR20050107829A (ko) 머플러의 배압저감장치
KR20100064593A (ko) 액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장치
CN202708457U (zh) 机动车液压式离合器系统管路阻尼器
KR20070115015A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KR100435730B1 (ko) 자동차의 롤로드 인슐레이터
KR100435595B1 (ko) 유체식 마운팅 조립체
CN117146047B (zh) 一种消声阀门设备及其工作方法
KR102537720B1 (ko) 토크컨버터
RU2101605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KR19980035548A (ko) 유압식 클러치 조작장치용 맥동흡수장치
KR100756941B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CN201627763U (zh) 风扇减振器部件
JP2010090971A (ja) 振動吸収装置
KR102551672B1 (ko) 차량 클러치시스템용 레귤레이터
KR102539198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