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326A -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326A
KR20070036326A KR1020050091238A KR20050091238A KR20070036326A KR 20070036326 A KR20070036326 A KR 20070036326A KR 1020050091238 A KR1020050091238 A KR 1020050091238A KR 20050091238 A KR20050091238 A KR 20050091238A KR 20070036326 A KR20070036326 A KR 20070036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aper
unit
cut
shredd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866B1 (ko
Inventor
조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텍시스템
평화씨엔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텍시스템, 평화씨엔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05009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8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이동식 문서 파쇄기가 개시된다. 그러한 이동식 문서 파쇄기는 운반수단과;상기 운반수단의 탑재실에 탑재되어 이동가능하며, 투입된 폐지를 절단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된 절단된 폐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가압부로부터 이송된 폐지를 탑재실로 배출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처리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문서파쇄장치는 파쇄장치를 이동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용이하게 그 설치위치를 이동할 수 있음으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서, 파쇄, 절단, 이동, 회전, 배출

Description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MOVABLE CRUSHER FOR DOCUMENT}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문서 파쇄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이동식 문서 파쇄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이동식 문서 파쇄기의 후면도이다.
도4 는 도1 에 도시된 파쇄부와 가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5 는 도4 의 측면도이다.
도6 은 도4 의 정면도이다.
도7 은 도4 의 평면도이다.
도8 은 도1 에 도시된 이송부이다.
본 발명은 문서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 파쇄기를 운반수단에 탑재하여 이동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필요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편리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서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파쇄기는 이면지, 폐지, 폐휴지 등을 미세하게 절단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문서 파쇄기는 기밀을 유지하여야 하는 문서, 보존기간이 지난 문서, 혹은 폐지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 주로 사용된다.
특히, 내부의 정보가 폐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 불측의 손해를 입을 수 있음으로 이러한 문서 파쇄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문서 파쇄기는 회전하는 양날을 구비하고, 이 양날의 사이에 투입된 폐지를 양날의 전단력에 의하여 미세하게 절단하는 파쇄부와, 파쇄된 폐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로 구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절단하고자 하는 폐지를 파쇄부에 투입하여 미세하게 절단한 후, 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문서 파쇄기는 사무실 등의 장소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므로 이동이 필요한 경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파쇄기를 이동식 운반수단에 탑재함으로써 필요시 용이하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문서파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수단에 탑재실을 구비하여 절단된 폐지를 일정 기간 보관한 후 배출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편리한 이동식 문서파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반수단과; 상기 운반수단에 탑재되어 이동가능하며, 투입된 폐지를 절단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된 절단된 폐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가압부로부터 이송된 폐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문서 파쇄기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는 차량 등의 운반수단(1)과, 상기 운반수단(1)에 탑재되어 이동가능하며, 투입된 폐지를 절단하는 파쇄부(3)와, 상기 파쇄부(3)로부터 배출된 절단된 폐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가압부(5), 그리고 상기 가압부(5)로부터 이송된 폐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1)은 바람직하게는 트럭 등의 차량을 포함한다. 물론, 차량 이외에도 이륜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운반수단(1)에는 탑재실(9)이 구비되며, 이 탑재실(9)의 내부에 파쇄부(3)와, 가압부(5)와, 배출부(7)가 장착된다.
상기 파쇄부(3)는 도4 내지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지가 투입되는 호퍼(11)와, 상기 호퍼(11)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에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의 내부에 구비되어 폐지를 세밀하게 절단하는 절단부재 (15)와, 상기 절단부재(15)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파쇄부(3)에 있어서, 상기 호퍼(11)는 그 입구면적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많은 폐지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은 그 상부는 상기 호퍼(11)의 상부에 연통되며, 하부는 상기 가압부(5)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3)의 내부에서 절단된 폐지는 상기 가압부(5)로 자유낙하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3)의 내부에는 폐지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한 절단부재(15)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부재(15)는 지지대(23)와, 상기 지지대(23)상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회전가능한 한 쌍의 회전축(27,29)과, 상기 한 쌍의 회전축(27,29) 표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폐지를 절단하는 회전날(31,3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3)에는 베어링(33)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27,29)의 양단부가 이 베어링(33)에 의하여 지지대(2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7)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회전축(27,29)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축(27,29)은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그 표면에 다수의 회전날(31,33)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축(27,29)에 각각 돌출된 다수의 회전날(31,33)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축(27,29)이 회전하는 경우, 회전날(31,33)의 사이에 투입된 폐지는 회전날(31,33)의 회전시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7)는 모터 조립체(35)와, 상기 모터 조립체(35)에 구비된 회전기어(37)와 치합된 제1 전달기어(39)와, 상기 제1 전달기어(39)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일측의 회전축(27)에 전달하는 제1 구동축(41)과, 상기 제1 구동축(41)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다른 회전축(29)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축(43)과,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41,43)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구동축(41,43)을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중간기어(4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35)가 구동하는 경우, 회전력이 제1 전달기어(39)를 통하여 제1 구동축(41)에 전달됨으로써 일측의 회전축(27)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제1 구동축(41)에 치합된 상태인 중간기어(45)가 회전함으로써 제2 구동축(43)이 회전함으로써 다른 회전축(29)을 회전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회전축(27,29)이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가능하며, 다수의 회전날(31,33)이 폐지를 절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쇄부(3)로부터 배출된 폐지는 하부로 낙하하여 가압부(5)로 공급되어 배출부(7)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는 폐지가 공급되는 가압관(47)과, 상기 가압관(47)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55)과, 상기 피스톤(55)의 전방에 구비되어 투입된 폐지를 배출부(7) 방향으로 밀어내는 가압판(53)과, 상기 피스톤(55)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발생부(5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가압부(5)에 있어서, 상기 가압관(47)은 그 내부가 빈 관체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유입구(D)가 형성됨으로써 폐지가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관(47)은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갖음으로써 일측(배출부(7) 방향)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관(47)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55)은 실린더(49)의 내부에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실린더(49)는 그 후단이 고정 브래킷(57)에 힌지핀(59)에 의하여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유압 혹은 공압이 작용하는 챔버(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챔버(51)의 내부에 피스톤(55)이 왕복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챔버(51)에 공압 혹은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피스톤(55)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55)의 전방에는 가압판(53)이 장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55)이 전진하는 경우, 상기 가압판(53)도 전진함으로써 가압관(47)의 내부에 투입된 폐지를 가압하여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55)에 의하여 가압된 폐지는 배출부(7)로 이송하여 필요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7)는 상기 가압부(5)로부터 이송된 폐지를 이송하는 이송부(54)와, 상기 이송부(54)에 의하여 공급된 폐지를 적재하는 탑재실(9)과, 상기 탑재실(9)에 적재된 폐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송부(54)에 의하여 이송된 폐지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배출구(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54)는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에 구비되는 구동모터(60)와, 상기 구동모터(60)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구동휠(64)과, 상기 구동모터(60)와 구동휠(64)을 서로 연결하여 폐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6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송부(54)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60)는 일측에 회전휠을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66)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구동휠(64)과 구동모터(60)의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롤러가 배치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66)가 그 상면에 적치된 폐지에 의하여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54)에 의하여 탑재실(9)의 내부로 이송된 폐지는 일정량이 적치된 후 배출구(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문서 파쇄기가 차량 등의 운반수단(1)에 적재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문서 파쇄기만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문서 파쇄기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동식 문서 파쇄기를 이용하여 폐지를 절단하는 경우, 우선 차량 등의 운반수단(1)에 탑재된 문서 파쇄기를 일정 장소로 이동한다.
그리고, 파쇄부(3)의 호퍼(11)에 폐지를 투입하고, 스위치(도시안됨)를 온(ON) 시킴으로써 절단부재(15)를 구동시킨다.
즉, 구동부(17)의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키는 경우, 회전력이 제1 전달기어를 통하여 제1 구동축에 전달됨으로써 일측의 회전축(27,29)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제1 구동축에 치합된 상태인 중간기어가 회전함으로써 제2 구동축이 회전함으로써 다른 회전축(27,29)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축(27,29)이 일정 속도로 회전가능하며, 회전축(27,29)상에 다수 배치된 회전날(31,33)의 전단력에 의하여 투입된 폐지가 미세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쇄부(3)에 의하여 절단된 폐지는 하부로 자유낙하하여 가압부(5)로 공급되어 배출부(7)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즉, 실린더(49)의 챔버(51)에 유압 혹은 공압이 작용하여 피스톤(55)이 전진하는 경우, 피스톤(55)의 선단부에 장착된 가압판(53)이 가압관(47)의 내부에 투입된 폐지를 가압하여 밀어내게 된다.
피스톤(55)이 일정거리 이상 전진함으로써 폐지를 가압하여 유입구를 통하여 탑재실(9)로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이송부(54)의 구동모터(60)가 구동함으로써 구동휠(64)과 회전휠에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66)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55)에 의하여 가압된 폐지가 이송부(54)의 컨베이어 밸트에 적치됨으로써 탑재실(9)의 내부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폐지를 탑재실(9)의 내부로 이송시킨 후, 다음 작업을 위하여 피스톤(55)이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탑재실(9)에 일정량의 폐지가 저장된 후, 필요시 배출부(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문서파쇄장치는 파쇄장치를 이동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용이하게 그 설치위치를 이동할 수 있음으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반수단의 탑재실에 세절된 폐지를 임시로 보관한 후 일정 주기로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음으로 자주 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7)

  1. 운반수단과;
    상기 운반수단의 탑재실에 탑재되어 이동가능하며, 투입된 폐지를 절단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된 절단된 폐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가압부로부터 이송된 폐지를 상기 탑재실로 배출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처리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장치.
  2. 투입된 폐지를 절단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된 절단된 폐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가압부로부터 이송된 폐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폐지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에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폐지를 세밀하게 절단하는 절단부재와, 상기 절단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상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회전가능한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회전축 표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폐지를 절단하는 회전날을 포함하는 문서 파쇄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폐지가 공급되는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의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구비되어 투입된 폐지를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가압판과, 상기 피스톤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이송된 폐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공급된 폐지를 적재하는 탑재실과, 상기 탑재실에 적재된 폐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휠을 서로 연결하여 폐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문서 파쇄장치
KR1020050091238A 2005-09-29 2005-09-29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 KR100739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38A KR100739866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38A KR100739866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326A true KR20070036326A (ko) 2007-04-03
KR100739866B1 KR100739866B1 (ko) 2007-07-16

Family

ID=3815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238A KR100739866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43B1 (ko) * 2015-03-05 2016-07-28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문서 파쇄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66Y1 (ko) 2007-10-23 2009-10-22 (주)대진코스탈 대형문서세단기용 폐문서칩배출장치
KR102205132B1 (ko) * 2019-10-23 2021-01-20 주식회사 시큐리티존 파쇄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2617A (en) 1994-08-17 1996-08-06 Rajewski; David E. Mobile paper shredder
JP2003334466A (ja) 2002-05-15 2003-11-25 Temusu:Kk シュレッダー付きコンテナ
JP2005254117A (ja) 2004-03-11 2005-09-22 Sasaki Corporation 用紙等の車載型細断装置
KR100567652B1 (ko) 2004-05-12 2006-04-04 광림 컴팩 주식회사 문서파쇄기를 구비한 탑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43B1 (ko) * 2015-03-05 2016-07-28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문서 파쇄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866B1 (ko) 200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682B2 (en) Shredding device
US6955310B1 (en) Remote control assembly for wood chipper
KR100739866B1 (ko) 이동식 문서 파쇄장치
AU2003215448A1 (en) Particulate matter conveyor
KR200426412Y1 (ko) 압축 파쇄기
US5595348A (en) Machine for triturating composite materials, particularly for triturating solid urban waste
US6572037B1 (en) Shredder with parts ejector
CN211660181U (zh) 一种会计专用碎纸机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326404A (ja) 破砕作業車
KR100705468B1 (ko) 칩 사이즈 변경기능을 가지는 문서 세단기
NZ535026A (en) Paper shredding vehicle
KR20070093647A (ko) 모바일 문서 파쇄장치
KR100642253B1 (ko) 압축 파쇄기
JP5290602B2 (ja) 繊維細片の圧縮固型化装置
JP4128609B1 (ja) 破砕処理装置とそれを備えた破砕処理車
JPS6124489Y2 (ko)
KR20160019713A (ko) 파쇄기가 장착된 차량
JPS6363260B2 (ko)
CN218254609U (zh) 一种磨削废屑回收器
US3927840A (en) Refuse shredder
CN215735894U (zh) 一种可细粉干湿物料的卧式粉碎机
KR102291120B1 (ko) 등겨의 파분, 멸균 및 포장 시스템
KR200418174Y1 (ko) 모바일 문서 파쇄장치
KR2003002141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