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187A -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187A
KR20070036187A KR1020077004071A KR20077004071A KR20070036187A KR 20070036187 A KR20070036187 A KR 20070036187A KR 1020077004071 A KR1020077004071 A KR 1020077004071A KR 20077004071 A KR20077004071 A KR 20077004071A KR 20070036187 A KR20070036187 A KR 2007003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exposure
drug
administered
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레나 힛라야
Original Assignee
제넨테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넨테크, 인크. filed Critical 제넨테크,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3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18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9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64-Aminoquinolines; 8-Aminoquinolines, e.g. chloroquine, primaqu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41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normal tissues,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길항제의 유효량을 치료에 적격한 환자에게 투여하여, 시각 아날로그 등급에서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 중 2가지 이상을 기저 수준에 비해 상당히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치료에 적격한 환자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제조품이 제공된다.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항체의 유효량을 치료에 적격한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특정의 투여 섭생 내에서 항체에 대한 초기 노출 및 후속 노출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치료에 적격한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제조품이 또한 제공된다.
쇼그렌 증후군, 시각 아날로그 등급 (VAS), 건조증, 피로, 관절 통증, CD20 항체, 항말라리아제

Description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방법 {Method of Treating Sjogren's Syndrome}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4년 7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원 제60/590,302호에 대해 35 USC §119(e) 하에 우선권을 청구하고 있고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37 CFR 1.53(b)(1) 하에 출원된 정식출원이다.
본 발명은 특정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 (Sjogren's syndrome)을 치료하는 방법, 및 이러한 사용에 대한 지침서를 수반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쇼그렌 증후군
자가면역 질환, 특히 예를 들어 쇼그렌 증후군 및 루푸스 (lupus)는 인간에게서 여전히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환이다. 자가면역 질환은 그 이름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자신의 신체 면역계를 통하여 자신을 파괴한다. 자가면역 질환의 개개 유형들 간의 병리적 기전은 상이하지만, 한 가지 일반적인 기전은 존재하는 특정의 항체 (본원에서 자기-반응성 항체 또는 자가항체로서 지칭됨)의 결합성과 관련이 있다.
쇼그렌 증후군은 백혈구가 수분-생성 샘을 공격하는 만성 질환이다. 특징적 인 증상은 눈물샘과 타액선의 림프구성 침윤물로 인해 유발된 안구 건조증과 구내 건조증이다. 눈물과 타액이 손실됨으로써, 안구 상의 특징적인 변화 (수성 눈물 결핍증 또는 건성 각막결막염으로 지칭됨)와 구내에서의 특징적인 변화 (이로 인해 치아가 손상되고, 구강 감염이 증가되며, 삼키기가 어려워지고 입안이 통증이 있음)가 유발될 수 있다. 환자에게 또한, 관절 염증 (관절염), 근육 염증 (근육염), 신경 염증 (신경병증), 갑상선 염증 (갑상선염), 신장 염증 (신염), 폐 염증 또는 신체의 기타 부위 염증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림프절 종창이 생겨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피로와 수면 장애를 경험할 수 있다. 쇼그렌 증후군은 4백만 미국인들에게 발병할 정도로 가장 흔한 자가면역 질환 중의 하나로서, 주로 중년 여성에게서 발병한다.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미국-유럽 분류 기준이 문헌 [참고: Vitali et al, Ann Rheum Dis 61: 554-558 (2002)]에 기재되었다. 현재에는 치료가 대증 (symptomatic) 요법이기 때문에, 병원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치료할 필요가 있다.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에 있어서의 주요 호소증상 (complaint)은 건성 증상 (구내 건조증 및 안구 건조증), 피로, 관절통/관절염, 및 전신 증후 (불균질)이다 [참고: 예를 들어, Hay et al., Brit J Rheum, 37 (10): 1069-1076 (1998)]. 가장 우세한 호소증상이 건조증이며, 주관적인 증상과 객관적인 시험 간의 연관성은 약하다 [참고: Hay et al, Ann Rheum Dis, 57 (1): 20-24 (1998)]. 증상을 평가하該 위한 최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객관적인 조치 (USF, Shirmer)는 중증의 선상 손상을 평가하지만, 불안감/기능장애 정도는 평가하지 않는다. 1차 종말점에는 4가지 쇼그렌 질병 범위, 즉 안구 건조, 구강 건조, 피로 및 임상 검사 중 2가지에 걸쳐 개선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안구 건조증에 대한 환자 평가 [시각 아날로그 등급 (Visual Analogue Scale, VAS)], 쉬르머 (Shirmer) I 시험 (마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음), 예를 들어 각 안구를 5분 동안 0 내지 25 mm 습윤시키는데 있어서의 20% 이상 개선이 있을 경우에 안구 상의 개선이 존재할 수 있고, 안구 건조 시험은 반 비슈테르벨트 (van Bijsterveld)에 따라서 스코어링하였다. 2차 종말점에는 리사민 그린 염색 후, 각 안구에 대한 0 내지 9가지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구내 건조, 자극되지 않은 타액 분비물 {침을 뱉는 기술을 이용하여 [참고: Navazesh, Ann N Y Acad Sci, 694: 72-77(1993)] 15분 동안 수집하였는데, 샘플은 화학 천칭 상에서 칭량하였다 (1 g = 1 ml)}에 대해 환자를 평가하는 경우에 20% 이상 개선이 이루어지면 구강 상의 개선이 존재할 수 있고; 피로 [어느 정도의 피로를 경험하는가? 얼마만큼 중증의 피로를 경험하는가? <<전혀 없는 경우>> (0 mm) - <<극히 심각한 경우>> (100 mm)]; MFI [참고: Smets et al, Psychosom Res 39:315 (1995)]; MAF; 및 쇼그렌에 의거한 정신측정 질문서를 이용하여 환자를 평가하는 경우 [참고: Bowman et al, Rheumatology 43 (6): 758-764 (2004)], 20% 이상 개선이 있다면 피로 상의 개선이 존재할 수 있고; 임상 검사 개선은 ESR (mm/h), 혈청 IgG (mg/dl) 상의 20% 이상 개선일 수 있다. 기타 종말점은 피로 (쇼그렌에 의거한 정신측정 질문서), 안구 건조, 반 비슈테르벨트에 따라서 스코어링된 안구 건조 시험 (리사민 그린 염색 후, 각 안구에 대해 0 내지 9가지), 인공 눈물 사용 (안약을 사용한 1일 횟수), 근육통, 일반적 [환자의 총체적 평가 (VAS 0-100 mm), 통증 (VAS 0-100 mm)], 이하선/타액선 확대, 임상 검사 (RF, ANA, C'4, 한랭글로불린혈증), 및 리버풀 (Liverpool) 건성 지수 [참고: Field et al, J Oral Pathol Med, 32 (3): 154-162 (2003)] (구강 증상 도메인, 구강 증상 제어 도메인, 미각 도메인, 안과 도메인, 및 성기능 도메인)이다.
활동성인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에 인플릭시마브 (infliximab)를 사용하는 것이 연구되었다 [참고: Steinfeld et al, Arthritis Rheum, 44: 2371-2375 (2001)]. 활동성인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인플릭시마브의 3회 부하 용량 주입 섭생에 관한 상기 개방 표지 연구에서는, 주요 부작용 없이 모든 질병 활성 조치 상의 신속하고도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 활동성인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인플릭시마브를 1년간 추적 연구한 결과 [참고: Steinfeld et al, Arthritis Rheum, 46:3301-3303 (2002)], 질병 징후 상의 상당한 개선이 1년 간에 걸쳐 유지되었다. 치료 후에 효능 상실이 전여 관찰되지 않았고, 주요 부작용도 없었으며, 주입 반응 에피소드가 증가하였고, 3개월 간의 시험적 연구 프로토콜이 연장되었으며, 0주, 2주, 6주 째에 인플릭시마브 3회 주입 섭생 (3 mg/kg)을 유도하였고, 이를 1년 동안 12주 마다 유지시켰으며, 20주 마다 다시 주입하였다. 문헌 [참고: Steinfeld et al, Arthritis Rheum, 46:2249-2251 (2002)]에는 인플릭시마브가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적절한 수준의 AQP-5 분배를 복원시켜 준다고 언급되었다.
문헌 [참고: Martin et al., Clin Exp Rheumatol, 21:412 (2003)]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중의 2차 쇼그렌 증후군에 있어서의 인플릭시마브의 용도가 기재되었다. 문헌 [참고: Mariette et al., Arthritis Rheum, 50:1270-1276 (2004)]에는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인플릭시마브를 이용한 다시설 공동연구 (multicenter study)에 관해 보고되었다. 1차 종말점은 3가지 VAS (건조증, 무력증 및 통증) 중 2가지가 30% 이상 저하되는 것이다. 또한 문헌 [참고: Mariette et al., Ann. Rheum. Dis., 62(1): 66-66 (July 2003)]에는 TRIPSS 예비 연구 결과, 인플릭시마브가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에 효과적이지 못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추가로, 문헌 [참고: Mariette et al., Arthr. and Rheum., 48 Number 9, S260-S260 (September 2003)]에는 무작위로 수행된, 이중-맹검, 플라시보-제어된 TRIPSS 연구로부터, 인플릭시마브가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에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보고되었다.
또다른 연구에 있어서, 문헌 [Zandelt et al., J Rheumatol 31:96-101 (2004)]에서는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에 에탄에르셉트 (etanercept)를 사용하여 연구 조사한 결과, 피로가 현저히 저하되었고 [4/15 (MFI+VAS)], 4가지 종말점 중의 3가지에서 ESR 감소된 것으로 밝혀졌다. 타액 기능이나 눈물 기능 + MSG에 대한 효과는 전혀 없었다.
또다른 연구에 있어서, 문헌 [참고: Pillemer et al., Arthritis Rheum 50:2240-2245 (2004)]에서는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에탄에르셉트를 사용하여 연구 조사하였다. 그 결과, ESR이 적당한 수준으로 저하되었고 (p = 0.004), 타액 기능이나 눈물 기능에 대한 효과는 전혀 없었다. 문헌 [참고: Azuma et al., Arthritis Rheum, 46:1585-1594 (2002)]에는 TNFα-유도된 MMP9가 세파란틴 (cepharantine)에 의해 억제된다고 기재되었다. 문헌 [참고: Steinfeld et al., Lab Invest 81:143-148 (2001)]에는 비정상적인 아쿠아포린 (aquaporin)-5 분포도가 보고되었다. 문헌 [참고: Towne et al., J Biol Chem, 276: 18657-18664 (2001)]에는 TNFα가 마우스 폐 상피 세포에서의 AQP5 발현을 억제시키고; TNFα에 반응하여 AQP5 mRNA 및 단백질 발현이 저하되는 것은 TNFRl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에 의해 일어나며; TNFα에 반응하여 AQP5 mRNA 및 단백질 발현이 저하되기 위해서는 NF-κB의 핵상 전위가 일어나야 한다고 보고되었다. 문헌 [참고: Koski et al., Clin Exp Rheumatol, 19:131-137 (2001)]에는 TNFRs가 타액선에 존재하는지에 관해 질문하였다.
쇼그렌 증후군을 유발시키는 자가면역 사건을 시작하게끔 하는 최초의 계기가 여전히 미상이긴 하지만, 환경상의 명백한 증거는 바이러스가 관여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한 가지 가능한 후보는 종창성 타액선, 관절 통증 및 피로를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질환인 전염성 단핵구증 (infectious mononucleosis)을 유발시키는 엡슈타인-바르 바이러스 (EBV)이다. 사실상, 모든 성인들은 20세까지 EBV에 감염된 적이 있다. 초기 감염 후, 이 바이러스는 정상적으로 일생 동안 타액선에 거주하고 있지만,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이 바이러스 (또는 밀접하게 관계된 바이러스)가 유전적으로 감수성인 개개인에게서 자가면역 반응을 촉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추정상의 감염 유발제는 타액선을 손상시키고, "면역" 림프구를 타액선으로 유인한다. 이들 림프구는 특이적 자가항체, 예를 들어 류마티스양 인자 (RF), 항핵 항체, 및 쇼그렌-관련 항원 A 및 B (또는 SS-A 및 SS-B)로 지칭된 단백질에 대 한 항체를 방출한다. Ro/SS-A 및 La/SS-B 항원에 대한 자가항체는 몇몇 쇼그렌 증후군 환자의 눈물에 존재하고, 이들이 혈청이나 눈물에 존재하는 것은 중증의 건성 각막결막염과 연관이 있다 [참고: Toker et al., Br J Ophthalmol. 88(3):384-387 (2004)]. 부가적으로, 중심절 (centromere) 단백질 B (CENP B)와 중심절 단백질 C (CENP C) 둘 다에 대한 항체는 쇼그렌 증후군에서 발생되는 자가항체가다. 연구된 쇼그렌 증후군 환자의 15%를 나타내는 아세트에서는, 이들 후자 항중심절 항체가 CENP C 만을 인식하였고, 이는 Ro 52 및 La에 대한 항체와 균등하게 관련이 있었다 [참고: Pillemer et al., J Rheumatol. 31 (6): 1121-1125 (2004)]. 또한, 쇼그렌 증후군 환자는 자가항체 ICA69를 갖고 있다 [참고: US 2004/0123335].
이들 항체는 혈류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쇼그렌 증후군의 진단을 확증하기 위해 수득한 혈액 시험에서 측정하였다. 부가의 T 세포가 선 내로 유입되고 손상이 영속된다. 정상적인 상황 하에서는, "억제인자 세포"로 불리우는 세포 부류가 염증 과정을 중지시킨다. 선을 지속적으로 파괴시키면, T-조력인자 세포의 과도한 작용과 T-억제인자 세포의 결핍 작용 간에 비정상적인 밸런스가 나타난다. 이들 세포의 파괴 보다는 오히려 기능저하가 쇼그렌 증후군에서의 분비 부전증의 주요 기전으로서 현재 간주되고 있다 [참고: Venable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 Rheumatol. 18(3):313-329 (2004)].
쇼그렌 증후군의 발병 기전을 보다 잘 알고, 이에 대해 책임이 있는 기전을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이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호르몬의 비정상적인 수준과 상대적 비율이 쇼그렌 증후군의 발병 기전에 특정 역 할을 할 수 있고 [참고: Taiym et al.,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 Endodontics. 97 (5):579-583 (2004)], 쇼그렌 증후군에 걸린 여성은 안드로겐-결핍성이다 [참고: Sullivan et al., J Rheumatol. 30 (11):2413-2419 (2003)]. 쇼그렌 증후군의 국소 및 전신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전망을 제공해주기 위해, 레트로바이러스 및 사이토킨의 역할 및 아쿠아포린의 발견 [참고: Steinfeld and Simonart, Dermatology 207(l):6-9 (2003)] 뿐만 아니라 세포소멸 (apoptosis)을 쇼그렌 증후군에서 또한 연구하였다 [참고: Manganelli and Fietta, Seminars in Arthritis & Rheumatism 33(l):49-65 (2003)]. 아쿠아포린 5 (AQP5)를 정량화한 결과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만 증가되었는데, 이는 눈물샘의 선방 세포가 림프구성 침윤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에 AQP5 단백질이 눈물 내로 누출된다는 것을 제안한다 [참고: Ohashi et al., Am J Ophthalmol. 136(2):291-299 (2003)]. 감마-인터페론, HLA-DR, 케라틴 6b, -6c, 및 -16에 의해 유도된 모노카인의 상향 조절은 쇼그렌 증후군에서 인터페론-감마가 결막 상피에서의 유전자 발현 변경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참고: Kawasaki et al., Exp Eye Res. 77(1): 17-26 (2003)]. 타액-유래된 생물학적 매개인자가, 염증 동안 관찰된 상피 세포-증식 활성 증가에 기여할 수도 있다 [참고: Ccedilelenligil-Nazliel et al., J Periodontal. 74(2):247-254 (2003)].
추가의 배경 문헌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다음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Anaya et al., "Sjogren's syndrome in childhood" J Rheumatol. 22(6): 1152-1158 (1995) and Andonopoulos et al., "Sjogren's syndrome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untreated non-Hodgkin's lymphoma" Rev Rhum Engl Ed. 64(5):287-92 (1997)].
잠재적이고도 실제적인 치료에 관해서는, 눈물 분비에 관여하는 3가지 모든 작용 기전을 표적으로 하는 천연 눈물 성분 (뮤신, 지질 및 유체)의 방출을 자극하는, P2Y2 수용체에서 작동제로서 기능하는 디뉴클레오티드의 제형인 디쿠아포솔 사나트륨 (diquafosol tetrasodium) (공급처: Inspire Pharmaceuticals), 및 RESTASIS® (시클로스포린 안과용 에멀젼)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세비멜린 (cevimeline)이 안구 건조증에 유용할 수 있고 [참고: Ono et al., Am J Ophthalmol. 138(1):6-17 (2004)]; 필로카르핀 (pilocarpine)은 타액 증강에 유용할 수 있다 [참고: Fox Caries Res. 38(3):241-246 (2004)]. 시클로스포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또는 알파-인터페론에 기초한 각종의 면역조정제로 치료한 결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제안되었다 [참고: Rogers et al, Drugs (New Zealand) 64(2): 123-132 (2004)]. 아마릴로 바이오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Amarillo Biosciences, Inc.)가 2001년 1월 5일에 발표한 보도 자료에서는, 두드러진 결과를 나타낸 인터페론-알파를 사용하여 제III상 쇼그렌 증후군 임상 시험을 완료하였다고 선언하였다. 면역억제제가 몇몇 쇼그렌 증후군 합병증에 유용할 수도 있다. 불행하게도, 종양 괴사 인자 (TNF) 길항제인 인플릭시마브 (REMICADE®)를 이용한 개방 연구로부터의 장래성 있는 결과는 100명 이상의 환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무작위화 대조군 시험에 의해 확증되지 못하였다 [참고: Xavier et al., Arthritis & Rheum. 50(4):l270-l276 (2004)]. 추가로,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연구에서 탈리도미드 (thalidomide)의 현저한 부작용이 관찰되었다 [참고: Pillemer et al, Arthritis & Rheum. 51(3):505-506 (2004)]. 부가적으로,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건성, 전신성 및 조직학적 징후에 대한, 또다른 TNF 길항제인 에탄에르셉트 (ENBREL®)를 이용한 TNF-알파 소염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시험적 연구 결과, 12주 이상의 장기 치료가 쇼그렌 증후군의 건성 증상 및 징후를 저하시키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에탄에르셉트 치료는 중증의 피로를 나타내는 작은 소집단의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 유리할 수도 있다 [참고: Zandbelt et al., J. Rheumatol., 96-101 (2004)]. 시클로스포린 A가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안구 건조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 Sall et al., Ophthalmology 107(4): 631-639 (2000); Stevenson et al., Ophthalmology 107(5): 967-974 (2000)]. 국소 시클로스포린 및 기타 면역조정제의 개발은 쇼그렌 증후군에서의 건성 각막결막염을 치료하는데 있어 밝은 전망을 나타내었다 [참고: Kassan and Moutsopoulo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4(12):1275-1284 (2004)]. 쇼그렌 증후군으로 인한 타액선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 두경부암 환자 치료를 위한 임상적 인간 유전자 전이 연구가 보고되었다 [참고: 2003년 10월 21일자 U.S. Newswire]. 또한, 쇼그렌 증후군을 포함한 각종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자기반응성 B-세포의 Ig 수용체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되는 탈면역시킨 자기반응성 항원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는 2개 이상 도메인을 수반한 폴리펩티드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WO 2003/68822 (2003년 8월 21일자로 공개됨)를 참고할 수 있다.
CD20 항체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림프구는 조혈 과정 동안 골수에서 생성된 많은 유형의 백혈구 중의 하나이다. 림프구에는 2가지 주요 집단이 있다: B 림프구 (B 세포) 및 T 림프구 (T 세포). 본원에서 특히 관심있는 림프구가 B 세포이다.
B 세포는 골수 내에서 성숙하여, 그들의 세포 표면 상에 항원-결합성 항체를 발현하는 골수가 되도록 한다. 타고난 본래의 B 세포가 그의 막 결합된 항체에 대해 특이적인 항원과 처음으로 직면하게 되면, 이 세포는 신속하게 분할하기 시작하고 그의 자손은 기억 B 세포와 효과기 세포 ("혈장 세포"로 불리움)로 분화된다. 기억 B 세포는 수명이 더 길고 본래의 모 세포와 동일한 특이성을 지닌 막 결합된 항체를 지속적으로 발현시킨다. 혈장 세포는 막 결합된 항체를 생성시키지 않지만, 대신 이러한 항체를 분비될 수 있는 형태로 생성시킨다. 분비된 항체는 체액성 면역의 주요 효과기 분자이다.
CD20 항원 (인간 B-림프구-제한된 분화 항원인 Bp35로 지칭되기도 함)은 프리 (pre)-B 및 성숙한 B 림프구 상에 위치한, 분자량이 대략 35 kD인 소수성 막관통 단백질이다 [참고: Valentine et al. J. Biol. Chem. 264(19): 11282-11287 (1989); and Einfeld et al. EMBO J. 7(3): 711-717 (1988)]. 상기 항원은 또한, 90% 초과의 B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non-Hodgkin's lymphomas (NHL)] 상에서 발현되지만 [참고: Anderson et al., Blood 63(6): 1424-1433 (1984)], 조혈 줄기 세 포, 프로-B 세포, 정상 혈장 세포 또는 기타 정상 조직 상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참고: Tedder et al., J. Immunol. 135(2): 973-979 (1985)]. CD20은 세포 주기 개시 및 분화에 대한 활성화 과정 중의 초기 단계(들)를 조절하고 [Tedder et al, 상기 참고], 칼슘 이온 채널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 Tedder et al., J. Cell. Biochem 14D: 195 (1990)].
CD20이 B-세포 림프종에서 발현된다면, 이러한 항원은 상기 림프종을 "표적화"하기 위한 후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표적화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시킬 수 있다: B 세포의 CD20 표면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를 환자에게 투여한다. 이들 항-CD20 항체는 (표면상으로는) 정상 B 세포와 악성 B 세포 둘 다의 CD20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CD20 표면 항원과 결합된 항체는 종양성 (신생) B 세포의 파괴와 고갈을 유발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종양을 파괴시킬 수 있는 능력을 지닌 화학제 또는 방사성 표지를 항-CD20 항체와 접합시켜, 상기 작용제가 종양성 B 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과는 무관하게, 1차적인 목표는 종양을 파괴시키는 것이고; 구체적인 접근법은 활용되고 있는 특정한 항-CD20 항체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므로, CD20 항원을 표적화하는데 이용 가능한 접근법은 상당히 다양할 수 있다.
리툭시마브 [rituximab (RITUXAN®)] 항체는 CD20 항원에 대항하여 유도되고 유전 공학적으로 처리시킨 키메라 뮤린/인간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리툭시마브는 1998년 4월 7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36,137호 (Anderson et al.)에서 "C2B8"로서 지칭된 항체이다. 리툭시마브는 재발되거나 난치성의 저 악성도 또는 소포성이고 CD20-양성인 B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시험관내 작용 기전 연구 결과, 리툭시마브는 인간 보체와 결합하고, 보체-의존성 세포독성 (CDC)을 통하여 림프계 B 세포주를 용해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참고: Reff et al. Blood 83(2): 435-445 (1994)]. 부가적으로, 이는 항체-의존성 세포성 세포독성 (ADCC)을 알아보기 위한 검정에서 상당한 활성을 지니고 있다. 보다 최근에는, 리툭시마브가 삼중 수소 처리된 티미딘 혼입 검정에서 항증식 효과를 나타내고 세포소멸을 직접적으로 유도시키지만, 기타 항-CD19 및 항-CD20 항체는 그렇치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 Maloney et al. Blood 88 (10):637a (1996)]. 리툭시마브와 화학요법제 및 독소 간의 상승 작용이 또한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리툭시마브는 약물-내성 인간 B-세포 림프종 세포주가 독소루비신, CDDP, VP-16, 디프테리아 독소, 및 리신 (ricin)의 세포독성 효과에 감작하도록 한다 [참고: Demidem et al. Cancer Chemotherapy & Radiopharmaceuticals 12(3): 177-186 (1987)]. 생체내 예비임상 연구 결과, 리툭시마브가 아마도 보체- 및 세포-매개형 공정을 통하여, 시노몰구스 원숭이(cynomolgus monkeys)의 말초혈, 림프절 및 골수로부터 B 세포를 고갈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 Reff et al. Blood 83(2): 435-445 (1994)].
리툭시마브는 매주 375 mg/㎡ 용량을 4회분 투여하여, 재발되거나 난치성의 저 악성도 또는 소포성 CD20+ B 세포 NHL 환자를 치료하는 것으로 1997년 11월에 미국에서 승인되었다. 2001년 4월에는 식품 의약국 (FDA)이 저 악성도 NHL의 치료에 대한 부가의 청구 사항, 즉 재치료 (매주 4회분 용량을 이용함) 및 부가의 투여 섭생 (매주 8회분 용량을 이용함)을 승인하였다. 300,000명 이상의 환자들이 리툭시마브를 단일 요법으로서 치료받고 있거나, 또는 면역억제제 또는 화학요법제와 병용해서 치료받고 있다. 환자들은 또한, 2년 정도 리툭시마브를 유지 요법으로서 치료받고 있다 [참고: Hainsworth et al. J Clin Oncol 21: 1746-51 (2003); Hainsworth et al. J Clin Oncol 20: 4261-7 (2002)].
리툭시마브는 또한, B 세포와 자가항체가 질병 병리생리학에서 일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각종 비-악성 자가면역 질환에 연구되어 왔다 [참고: Edwards et al., Biochem Soc. Trans. 30:824-828 (2002)]. 리툭시마브는, 예를 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 (RA) [참고: Leandro et al., Ann. Rheum. Dis. 61:883-888 (2002); Edwards et al., Arthritis Rheum., 46 (Suppl. 9): S46 (2002); Stahl et al., Ann. Rheum. Dis., 62 (Suppl. 1): OP004 (2003); Emery et al., Arthritis Rheum. 48(9): S439 (2003)], 루푸스 [참고: Eisenberg, Arthritis. Res. Ther. 5/4:157-159 (2003); Leandro et al. Arthritis Rheum. 46: 2673-2677 (2002); Gorman et al., Lupus, 13: 312-316 (2004)], 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참고: D'Arena et al., Leuk. Lymphoma 44: 561-562 (2003); Stasi et al., Blood, 98: 952-957 (2001); Saleh et al., Semin. Oncol., 27 (Supp 12):99-103 (2000); Zaia et al., Haematolgica, 87: 189-195 (2002); Ratanatharathom et al., Ann. Int. Med., 133:275-279 (2000)], 진성 적혈구계 무형성증 [참고: Auner et al., Br. J. Haematol., 116: 725-728 (2002)]; 자가면역성 빈혈 [참고: Zaja et al., Haematologica 87:189-195 (2002) (erratum appears in Haematologica 87: 336 (2002)], 저온 응집소 질환 [참고: Layios et al., Leukemia, 15: 187-8 (2001); Berentsen et al., Blood, 103: 2925-2928 (2004); Berentsen et al., Br. J. Haematol., 115: 79-83 (2001); Bauduer, Br. J. Haematol., 112: 1083-1090 (2001); Damiani et al., Br. J. Haematol., 114: 229-234 (2001)], 중증 인슐린 저항성의 유형 B 증후군 [참고: Coll et al., N. Engl. J. Med., 350: 310-311 (2004)], 혼합 한랭글로불린혈증 [참고: DeVita et al., Arthritis Rheum. 46 Suppl. 9: S206/S469 (2002)], 중증 근무력증 [참고: Zajaet al., Neurology, 55: 1062-63 (2000); Wylam et al., J. Pediatr., 143: 674-677 (2003)], 베게너 육아종증 (Wegener's granulomatosis) [참고: Specks et al., Arthritis & Rheumatism 44: 2836-2840 (2001)], 난치성 심상성 천포창 (pemphigus vulgaris) [참고: Dupuy et al., Arch Dermatol., 140: 91-96 (2004)], 피부근염 [참고: Levine, Arthritis Rheum., 46 (Suppl. 9): S1299 (2002)], 쇼그렌 증후군 [참고: Somer et al., Arthritis & Rheumatism, 49: 394-398 (2003)], 활동성 유형-II 혼합 한랭글로불린혈증 [참고: Zaja et al., Blood, 101: 3827-3834 (2003)], 심상성 천포창 [참고: Dupay et al., Arch. Dermatol., 140: 91-95 (2004)], 자가면역성 신경병증 [참고: Pestronk et al.,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74: 485-489 (2003)], 종양연관성 안진전-간대성 근경련증 (paraneoplastic opsoclonus-myoclonus) 증후군 [참고: Pranzatelli et al. Neurology 60 (Suppl. 1) P05.128:A395 (2003)], 및 재발-차도 다발성 경화증 (RRMS) [참고: Cross et al. (abstract) "Preliminary results from a phase II trial of rituximab in MS" Eigh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s Committees for Research and Treatment in Multiple Sclerosis, 20-21 (2003)]의 징후 및 증상을 잠재적으로 경감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제II상 연구 (WA16291)를 류마티스성 관절염 (RA) 환자에게서 수행하여, 리툭시마브의 안전성과 효능에 관한 48주 추적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참고: Emery et al. Arthritis Rheum 48(9):S439 (2003); Szczepanski et al. Arthritis Rheum 48(9):S121 (2003)]. 총 161명 환자를 균등하게 무작위로 분류하여 다음 4가지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메토트렉세이트, 리툭시마브 단독, 리툭시마브 + 메토트렉세이트, 및 리툭시마브 + 시클로포스파미드 (CTX). 리툭시마브의 치료 섭생은 1일 및 15일 째에 1 그램을 정맥내 투여하는 것이다. 리툭시마브를 대부분의 RA 환자에게 주입하는 것을 대부분의 환자들은 잘 견뎌내는데, 이러한 제1 주입 동안 환자의 36%가 한 가지 이상의 불리한 사건을 경험한다 (플라시보를 투여한 환자의 경우에는 30%가 경험함). 전반적으로 대다수의 불리한 사건들은 중증도 면에서 약하거나 적당한 (중간) 수준인 것으로 간주되며, 모든 처리군들 간에 잘 균형을 이루었다. 48주 동안 상기 4가지 처리군에 대해 총 19개의 중증의 불리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리툭시마브/CTX 처리군에서 약간 더 자주 발생하였다. 감염 발생률은 모든 처리군 간에 잘 균형을 이루었다. 이러한 RA 환자 집단에서의 평균 중증 감염률은 매년 환자 100명당 4.66명인데, 이는 지역 밀착형 (community-based) 역학적 연구에서 보고된 RA 환자들 중에 입원을 요하는 감염률 (매년 환자 100명당 9.57명) 보다는 낮다 [참고: Doran et al., Arthritis Rheum. 46: 2287-2293 (2002)].
자가면역성 신경병증 [Pestronk et al., 상기 참고], 안진전-간대성 근경련증 증후군 [Pranzatelli et al., 상기 참고] 및 RRMS [Cross et al., 상기 참고]를 포함한, 소수의 신경 장애 환자에게서 보고된 리툭시마브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종양학 또는 RA에서 보고된 바와 유사하였다. 현재 진행 중인 연구자들의 후원 하에 RRMS [Cross et al., 상기 참고] 환자에게서 리툭시마브를 인터페론-베타 (IFN-β) 또는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와 병용한 시험 (IST)에서는, 치료받은 환자 10명 중의 1명이, 리툭시마브를 처음 주입한 후 적당한 수준의 발열과 경직을 경험한 후에 밤새 관찰하기 위해 입원시킨 반면, 나머지 9명의 환자들은 4회 주입 섭생을 완료하였는데, 불리한 사건은 전혀 보고되지 않았다.
CD20 항체 및 CD20-결합성 분자에 관한 특허 및 특허 공개공보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미국 특허 제5,776,456호, 제5,736,137호, 제5,843,439호, 제6,399,061호 및 제6,682,734호 뿐만 아니라 US 2002/0197255, US 2003/0021781, US 2003/0082172, US 2003/0095963, US 2003/0147885 (Anderson et al.); 미국 특허 제6,455,043호 및 WO 2000/09160 (Grillo-Lopez, A.); WO 2000/27428 (Grillo-Lopez and White); WO 2000/27433 (Grillo-Lopez and Leonard); WO 2000/44788 (Braslawsky et al.); WO 2001/10462 (Rastetter, W.); WO 2001/10461 (Rastetter and White); WO 2001/10460 (White and Grillo-Lopez); US 2001/0018041, US 2003/0180292, WO 2001/34194 (Hanna and Hariharan); US 2002/0006404 및 WO 2002/04021 (Hanna and Hariharan); US 2002/0012665, WO 2001/74388 및 6,896,885B5 (Hanna, N.); US 2002/0058029 (Hanna, N.); US 2003/0103971 (Hariharan and Hanna); US 2005/0123540 (Hanna et al.), US 2002/0009444 및 WO 2001/80884 (Grillo-Lopez, A.); WO 2001/97858, US 2005/0112066 및 미국 특허 제6,846,476호 (White, C.); US 2002/0128488 및 WO 2002/34790 (Reff, M.); WO 2002/060955 (Braslawsky et al.); WO 2002/096948 (Braslawsky et al.); WO 2002/079255 (Reff and Davies); 미국 특허 제6,171,586호 및 WO 1998/56418 (Lam et al.); WO 1998/58964 (Raju, S.); WO 1999/22764 (Raju, S.); WO 1999/51642 및 미국 특허 제6,194,551호, 제6,242,195호, 제6,528,624호, 및 제6,538,124호 (Idusogie et al.); WO 2000/42072 (Presta, L.); WO 2000/67796 (Curd et al.); WO 2001/03734 (Grillo-Lopez et al.); US 2002/0004587 및 WO 2001/77342 (Miller and Presta); US 2002/0197256 (Grewal, I.); US 2003/0157108 (Presta, L.); 미국 특허 제6,565,827호, 제6,090,365호, 제6,287,537호, 제6,015,542호, 제5,843,398호, 및 제5,595,721호 (Kaminski et al.); 미국 특허 제5,500,362호, 제5,677,180호, 제5,721,108호, 제6,120,767호, 제6,652,852호 및 제6,893,625호 (Robinson et al.); 미국 특허 제6,410,391호 (Raubitschek et al.); 미국 특허 제6,224,866호 및 WO OO/20864 (Barbera-Guillem, E.); WO 2001/13945 (Barbera-Guillem, E.); WO 2000/67795 (Goldenberg); US 2003/0133930 및 WO 2000/74718 (Goldenberg and Hansen); US 2003/0219433 및 WO 2003/68821 (Hansen et al.); W0 2004/058298 (Goldenberg and Hansen); WO 2000/76542 (Golay et al.); WO 2001/72333 (Wolin and Rosenblatt); 미국 특허 제6,368,596호 (Ghetie et al.); 미국 특허 제6,306,393호 및 US 2002/0041847 (Goldenberg, D. ); US 2003/0026801 (Weiner and Hartmann); WO 2002/102312 (Engleman, E.); US 2003/0068664 (Albitar et al.); WO 2003/002607 (Leung, S.); WO 2003/049694, US 2002/0009427, 및 US 2003/0185796 (Wolin et al.); WO 2003/061694 (Sing and Siegall); US 2003/0219818 (Bohen et al.); US 2003/0219433 및 WO 2003/068821 (Hansen et al.); US 2003/0219818 (Bohen et al.); US 2002/0136719 (Shenoy et al.); WO 2004/032828 (Wahl et al.); 및 WO 2002/56910 (Hayden-Ledbetter). 또한, 미국 특허 제5,849,898호 및 EP 330,191 (Seed et al.); EP 332,865A2 (Meyer and Weiss); 미국 특허 제4,861,579호 (Meyer et al.); US 2001/0056066 (Bugelski et al.); WO 1995/03770 (Bhat et al.); US 2003/0219433 Al (Hansen et al.); WO 2004/035607 (Teeling et al.); WO 2004/056312 (Lowman et al.); US 2004/0093621 (Shitara et al.); WO 2004/103404 (Watkins et al.); WO 2005/000901 (Tedder et al.); US 2005/0025764 (Watkins et al.); WO 2005/016969 (Carr et al.), US 2005/0069545 (Carr et al.); WO 2005/014618 (Chang et al.); US 2005/0079174 (Barbera-Guillem and Nelson); US 2005/0106108 (Leung and Hansen); WO 2005/044859 및 US 2005/0123546 (Umana et al.); 및 미국 특허 제6,897,044호 (Braslawski et al.)을 참고할 수 있다.
리툭시마브를 이용한 치료에 관한 공개문헌에는 다음 문헌이 포함된다 [참고: Perotta and Abuel, "Response of chronic relapsing ITP of 10 years duration to rituximab" Abstract # 3360 Blood 10(1) (part 1-2): p. 88B (1998); Perotta et al., "Rituxa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Blood, 94: 49 (abstract) (1999); Matthews, R., "Medical Heretics" New Scientist (7 April, 2001); Leandro et al., "Clinical outcome in 22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reated with B lymphocyte depletion" Ann Rheum Dis, supra; Leandro et al., "Lymphocyte depletion in rheumatoid arthritis: early evidence for safety, efficacy and dose response" Arthritis and Rheumatism 44 (9): S370 (2001); Leandro et al., "An open study of B lymphocyte depletion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rthritis and Rheumatism, 46:2673-2677 (2002) (여기서는, 2주의 기간 동안에 각 환자에게 리툭시마브 500-mg 주입 2회, 시클로포스파미드 750-mg 주입 2회 및 고투여량의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를 실시하였고, 처치받은 환자 중 2명에서는 각각 제7 개월 및 제8 개월에 재발하였으며, 이들은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한 재치료를 받았음); "Successful long-term treatment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ith rituximab maintenance therapy" Weide et al., Lupus, 12: 779-782 (2003) (여기서는, 환자에게 리툭시마브 처치 (375 mg/㎡ x 4, 1주 간격으로 반복)를 실시하고 추가의 리툭시마브 투여를 5 내지 6개월마다 실시한 후에 리툭시마브 375 mg/㎡을 사용한 유지 요법을 3개월 마다 실시하였으며, 또다른 무반응 SLE 환자에게는 리툭시마브를 이용한 치료가 성공적이었고, 매 3개월마다 유지 요법을 실시하였음; 두 환자 모두가 리툭시마브 요법에 잘 반응하였음); Edwards and Cambridge, "Sustained improvement in rheumatoid arthritis following a protocol designed to deplete B lymphocytes" Rheumatology 40: 205-211 (2001); Cambridge et al., "B lymphocyte deplet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serial studies of immunological parameters" Arthritis Rheum., 46 (Suppl. 9): S 1350 (2002); Edwards et al., "B-lymphocyte depletion therapy in rheumatoid arthritis and other autoimmune disorders" Biochem Soc. Trans., supra; Edwards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rituximab, a B-cell targeted chimeric monoclonal antibody: 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trial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and Rheumatism 46 (9): 197 (2002); Edwards et al., "Efficacy of B-cell-targeted therapy with rituximab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N Engl. J. Med. 350: 2572-82 (2004); Pavelka et al., Ann. Rheum. Dis. 63:(Sl):289-90 (2004); Emery et al., Arthritis Rheum. 50(S9):S659 (2004); Levine and Pestronk, "IgM antibody-related polyneuropathies: B-cell depletion chemotherapy using rituximab" Neurology 52: 1701-1704 (1999); DeVita et al., "Efficacy of selective B cell blockade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 Rheum 46:2029-2033 (2002); Hidashida et al. "Treatment of DMARD-refractory rheumatoid arthritis with rituximab." Presented at the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Oct 24-29; New Orleans, LA 2002; Tuscano, J. "Successful treatment of infliximab-refractory rheumatoid arthritis with rituximab" Presented at the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Oct 24-29; New Orleans, LA 2002; "Pathogenic roles of B cells in human autoimmunity; insights from the clinic" Martin and Chan, Immunity 20: 517-527 (2004); Silverman and Weisman, "Rituximab Therapy and Autoimmune Disorders, prospects for anti-B cell therapy", Arthritis and Rheumatism, 48: 1484-1492 (2003); Kazkaz and Isenberg, "Anti B cell therapy (rituximab)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4: 398-402 (2004); Virgolini and Vanda, "Rituximab in autoimmune diseases",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58: 299-309 (2004); Klemmer et al., "Treatment of antibody mediated autoimmune disorders with a AntiCD20 monoclonal antibody Rituximab", Arthritis And Rheumatism, 48: (9) 9,S (SEP), page: S624-S624( 2003); Kneitz et al., "Effective B cell depletion with rituximab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Immunobiology, 206: 519-527 (2002); Arzoo et al., "Treatment of refractory antibody mediated autoimmune disorders with an anti-CD20 monoclonal antibody (rituximab)"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61 (10), p922-4 (2002) Comment in Ann Rheum Dis. 61: 863-866 (2002); "Future Strategies in Immunotherapy" by Lake and Dionne, in Burger's Medicinal Chemistry and Drug Discovery (2003 by John Wiley & Sons,Inc.) Article Online Posting Date: January 15, 2003 (Chapter 2 " Antibody-Directed Immunotherapy"); Liang and Tedder, Wiley Encyclopedia of Molecular Medicine, Section: CD20 as an Immunotherapy Target, article online posting date: 15 January, 2002 entitled "CD20"; Appendix 4A entitled "Monoclonal Antibodies to Human Cell Surface Antigens" by Stockinger et al., eds: Coligan et al., in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2003 John Wiley & Sons, Inc) Online Posting Date: May, 2003; Print Publication Date: February, 2003; Penichet and Morrison, "CD Antibodies/molecules: Definition; Antibody Engineering" in Wiley Encyclopedia of Molecular Medicine Section: Chimeric, Humanized and Human Antibodies; posted online 15 January, 2002; Specks et al. "Response of Wegener's granulomatosis to anti-CD20 chimeric monoclonal antibody therapy" Arthritis & Rheumatism 44: 2836-2840 (2001); online abstract submission and invitation Koegh et al., "Rituximab for Remission Induction in Severe ANCA-Associated Vasculitis: Report of a Prospective Open-Label Pilot Trial in 10 Patients",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Session Number: 28-100, Session Title: Vasculitis, Session Type: ACR Concurrent Session, Primary Category: 28 Vasculitis, Session 10/18/2004 (<www.abstractsonline.com/viewer/SearchResults.asp>); Eriksson, "Short-term outcome and safety in 5 patients with ANCA-positive vasculitis treated with rituximab", Kidney and Blood Pressure Research, 26: 294 (2003); Jayne et al., "B-cell depletion with rituximab for refractory vasculitis" Kidney and Blood Pressure Research, 26: 294 (2003); Jayne, poster 88 (11th International Vasculitis and ANCA workshop), 2003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Stone and Specks, "Rituximab Therapy for the Induction of Remission and Tolerance in ANCA-associated Vasculitis", in the Clinical Trial Research Summary of the 2002-2003 Immune Tolerance Network, <www.immunetolerance.org/research/autoimmune/trials/stone.html>; Leandro et al., "B cell repopulation occurs mainly from naive B cells in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rthritis Rheum., 48 (Suppl 9):S1160 (2003)].
추가로 다음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Looney "B cells as a therapeutic target in autoimmune diseases other than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logy, 44 Suppl 2: iil3-iil7 (2005); Chambers and Isenberg, "Anti-B cell therapy (rituximab)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Lupus 14(3): 210-214 (2005); Edelbauer et al., "Rituximab in childhoo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efractory to conventional immunosuppression Case report" Pediatr. Nephrol. 20(6): 811-813 (2005); D'Cruz and Hughes, "The treatment of lupus nephritis" BMJ 330(7488):377-378 (2003); Looney, "B cell-targeted therapy in diseases other than rheumatoid arthritis" J. Rheumatol. Suppl. 73: 25-28; discussion 29-30 (2005); Sfikakis et al, "Remission of proliferative lupus nephritis following B cell depletion therapy is preceded by down-regulation of the T cell costimulatory molecule CD40 ligand: an open-label trial" Arthritis Rheum. 52(2): 501-513 (2005); Silverman, "Anti-CD20 therapy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 step closer to the clinic" Arthritis Rheum. 52(2): 371-7 (2005), Erratum in: Arthritis Rheum. 52(4): 1342 (2005); Ahn et al, "Long-term remission from life-threatening hypercoagulable state associated with lupus anticoagulant (LA) following rituximab therapy" Am. J. Hematol 78(2): 127-129 (2005); Tahir et al, "Humanized anti-CD20 monoclonal antibody in the treatment of severe resistant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 patient with antibodies against rituximab" Rheumatology, 44(4): 561-562 (2005), Epub 2005 Jan 11; Looney et al, "Treatment of SLE with anti-CD20 monoclonal antibody" Curr. Dir. Autoimmun. 8: 193-205 (2005); Cragg et al, "The biology of CD20 and its potential as a target for mAb therapy" Curr. Dir. Autoimmun. 8: 140-174 (2005); Gottenberg et al, "Tolerance and short term efficacy of rituximab in 43 patients with systemic autoimmune diseases" Ann. Rheum. Dis. 64(6): 913-920 (2005) Epub 2004 Nov 18; Tokunaga et al, "Down-regulation of CD40 and CD80 on B cells in patients with life-threatening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fter successful treatment with rituximab" Rheumatology 44(2): 176-182 (2005), Epub 2004 Oct 19]. 리툭시마브 연구자가 후원하는, 쇼그렌 증후군과 관계가 있는 임상 시험에서, 몇 가지 부류의 혈청병-유사 증후군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어느 한 가지 이론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항체의 키메라 특성 및/또는 사이토킨 방출을 유발시키는 B-세포의 세포소멸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추가로,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BAFF 수준이 상승 하면, 항-세포소멸 경향이 유발될 수 있는데, BAFF 수준 증가는 고감마글로불린혈증과 상관이 있고, B-세포 사이토킨 수준이 상승한다. 또한, CD20 길항제를 사용하여 안과 장애, 예를 들어 쇼그렌 안구 합병증를 치료하는 것에 관한 US 2005/0053602 (2005년 3월 10일자로 공개됨) 뿐만 아니라 문헌 WO 2003/014294; US 2005/0070689 (2005년 3월 31일자로 공개됨); US 2003/0095967 (2003년 5월 22일자로 공개됨); US 2005/0095243 (2005년 5월 5일자로 공개됨); 및 WO 2005/005462 (2005년 1월 20일자로 공개됨)을 참고할 수 있다.
현재, 쇼그렌 증후군의 근거가 되는 원인들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치료법이 없으며, 질병 완화 항류마티스약 (DMARDs)도 쇼그렌 증후군 치료용으로 승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요법은 증상을 개선시키고, 합병증 [예: 치아 우식증 (dental caries), 구강 캔디다증 (Candida), 또는 각막 손상]을 예방하며, 질병 진행을 예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림프종 (림프절의 종양) 발생 위험이 약간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들 구조물의 지속적인 종창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쇼그렌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이들 질환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을 필요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효능있는 투여 섭생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여, 쇼그렌 증후군 대상체에게서 안전하고도 적극적인 치료 섭생을 제공해 주는 CD20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된 바와 같다. 제1 국면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CD20 항체와 항말라리아제를 환자에게 투여하여, 시각 아날로그 등급 (VAS) 측면에서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 중 2가지 이상을 기저 수준 (baseline)에 비해 약 30% 이상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국면에서, 본 발명은
CD20 항체를 포함하는 용기; 항말라리아제를 포함하는 용기; 및 환자에서의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대한 지침서를 수반하는 패키지 삽입물 (이러한 지침서는 시각 아날로그 등급 (VAS) 측면에서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 중 2가지 이상을 기저 수준에 비해 약 30% 이상 개선시키는데 유효한 양의 CD20 항체 및 항말라리아제를 환자에게 투여할 것을 지시함)
을 포함하는 제조품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국면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제3 약물을 환자에게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데, 여기서 CD20 항체가 제1 약물이고, 항말라리아제가 제2 약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3 약물이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질병 완화 항류마티스약 (DMARD),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 사이토킨 길항제,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 또는 호르몬이다. 또다른 국면에서는, CD20 항체를 투여하기 전에 환자가 재발하였다. 추가 국면에서는, CD20 항체를 투여하기 전에 환자가 재발하지 않았다. 또한 추가의 바람직한 국면에서는, 상기 증후군이 2차 쇼그렌 증후군이다.
추가 국면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CD20 항체를 특정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한 다음,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제2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음), 상기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최후 국면의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CD20 항체를 특정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약 0.5 내지 4 그램의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한 다음, 약 0.5 내지 4 그램의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제2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고, 각 항체 노출은 약 1회 내지 4회 용량의 항체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용량의 항체로서 또는 2회 또는 3회 분리된 용량의 항체로서 대상체에게 제공됨), 상기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최후 국면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제2 약물을 초기 노출 및/또는 나중 노출과 함께 투여하는데, CD20 항체가 제1 약물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제2 약물이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질병 완화 항류마티스약 (DMARD),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 사이토킨 길항제,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 또는 호르몬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제2 약물이 항말라리아제 단독이거나 항말라리아제와 스테로이드의 병용물이거나, 또는 스테로이드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스테로이드를 초기 노출과 함께 투여하지만, 제2 노출과는 함께 투여하지 않거나 또는 초기 노출과 함께 사용된 것보다 적은 양으로 투여된다.
상기 최후 국면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대상체를 기존에 CD20 항체 로 치료한 적이 전혀 없고/없거나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CD20 항체 이외의 기타 약물을 대상체에게 전혀 투여하지 않는다.
상기 최후 국면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대상체가 상승된 수준의 항핵 항체 (ANA), 항류마티스양 인자 (RF) 항체, 쇼그렌 관련 항원 A 또는 B (SS-A 또는 SS-B)에 대한 항체, 중심절 단백질 B (CENP B) 또는 중심절 단백질 C (CENP C)에 대한 항체, ICA69에 대한 자가항체, 또는 이들 항체의 둘 이상의 조합물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S-A 및 SS-B에 대한 항체가 항-Ro/SS-A 항체, 항-La/SS-A 항체, 항-La/SS-B 항체 또는 항-Ro/SS-B 항체이다.
부가적으로, 추가 국면에서, 본 발명은
(a) CD20 항체를 포함하는 용기; 및
(b) 특정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에 관한 지침서를 수반하는 패키지 삽입물 (이러한 지침서는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다음,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데 유효한 양의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데, 이러한 제2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냄)
을 포함하는 제조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키지 삽입물에 특정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에 관한 지침서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지침서는 약 0.5 내지 4 그램의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다음, 약 0.5 내지 4 그램의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데 유효한 양의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데, 이러한 제2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고, 각 항체 노출은 약 1회 내지 4회 용량의 항체로서, 바람직하게는 단일 용량의 항체로서, 또는 2회 또는 3회 분리된 용량의 항체로서 대상체에게 제공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원에서의 치료는 바람직하게, 대상체에 대한 편의성 (예를 들어, 시간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다음 표준 치료법의 부작용을 가능한 한 많이 피하기 위해, 상기 대상체에 대해 통상적인 표준 치료법인 면역억제제 또는 화학요법제 등의 제2 또는 제3 약물의 과도한 양을 공동-투여, 전-투여 또는 후-투여해야 하는 필요성을 감소 또는 최소화시키거나 없애준다.
도 1A는 뮤린 2H7의 경쇄 가변 도메인 (VL)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1), 인간화 2H7.v16 변이체의 경쇄 가변 도메인 (VL)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2), 및 인간 카파 경쇄 아군 I의 경쇄 가변 도메인 (VL)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3)을 비교하는 서열 정렬이다. 2H7 및 hu2H7.vl6의 VL의 CDRs은 다음과 같다: CDR1 (서열 4), CDR2 (서열 5), 및 CDR3 (서열 6).
도 1B는 뮤린 2H7의 중쇄 가변 도메인 (VH)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7), 인간화 2H7.v16 변이체의 중쇄 가변 도메인 (VH)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8), 및 중쇄 아군 III의 인간 컨센서스 서열의 중쇄 가변 도메인 (VH)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9)을 비교하는 서열 정렬이다. 2H7 및 hu2H7.vl6의 VH의 CDRs은 다음과 같다: CDR1 (서열 10), CDR2 (서열 11), 및 CDR3 (서열 12).
도 1A 및 도 1B에서, 각 쇄 중의 CDR1, CDR2, 및 CDR3은 표시된 바와 같이 골격 영역 FR1 내지 FR4에 의해 플랭킹되어, 사각 괄호 ([]) 안에 봉입되어 있다. 2H7은 뮤린 2H7 항체를 지칭한다. 두 서열 열 사이의 별표는 두 서열 간의 상이한 위치를 나타낸다. 잔기 넘버링은 문헌 [참고: Kabat et al. Sequence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에 따르고, 삽입물은 a, b, c, d, 및 e로서 제시된다.
도 2는 성숙한 2H7.v16 L 쇄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13)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성숙한 2H7.v16 H 쇄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14)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성숙한 2H7.v31 H 쇄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 15)을 도시한 것이다. 2H7.v31의 L 쇄는 2H7.v16에 대해서와 동일하다.
도 5는 카바트 (Kabat) 가변-도메인 잔기 넘버링 및 Eu 불변-도메인 잔기 넘버링을 사용한, 성숙한 2H7.v16 및 2H7.v511 경쇄 (각각 서열 13 및 16)의 정렬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카바트 가변-도메인 잔기 넘버링 및 Eu 불변-도메인 잔기 넘버링을 사용한, 성숙한 2H7.v16 및 2H7.v511 중쇄 (각각 서열 14 및 17)의 정렬을 도시한 것이다.
I. 정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쇼그렌 증후군"은 면역 세포가 눈물과 타액을 생성시키는 선 (샘)을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이러한 질환의 특징적인 증상은 구내 건조증 및 안구 건조증이다. 또한, 쇼그렌 증후군은 피부, 코, 및 질 건조증을 유발시킬 수 있고, 신장, 혈관, 폐, 간, 췌장 및 뇌를 포함한 기타 신체 기관에 침범할 수 있다. 쇼그렌 증후군은 원발성 질환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으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류마티스성 질환, 예를 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루푸스, 다발성 근염, 피부 경화증, 및 자가면역성 간염, 림프종, 예를 들어 비호지킨 림프종, 및 내분비계 질환, 예를 들어 갑상선염을 포함한 기타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이 있고/있거나 이에 부차적인 2차 질환 ("2차 쇼그렌 증후군")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쇼그렌 증후군"은 무슨 병기든지 간에 (이에는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과 2차 쇼그렌 증후군 둘 다가 포함됨), 어떤 증상이 명백하든지 간에 (단, 진단은 이루어져야 함) 모든 쇼그렌 증후군에 적용된다.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진단에는 다음에 기재된 것들이 포함된다. 또한, 전신 증상을 나타내는 대상체 뿐만 아니라 전신 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건성 증상을 나타내는 대상체가 또한 포함된다.
"B 세포"는 골수 내에서 성숙하는 림프구이고, 이에는 타고난 본래의 B 세포, 기억 B 세포, 또는 효과기 B 세포 (혈장 세포)가 포함된다. 본원에서의 B 세포는 정상 또는 비-악성 B 세포일 수 있다.
본원에서의 "B-세포 표면 마커" 또는 "B-세포 표면 항원"은 이와 결합하는 길항제를 이용하여 표적화시킬 수 있는 B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된 항원이다. 예시되는 B-세포 표면 마커에는 CD10, CD19, CD20, CD21, CD22, CD23, CD24, CD37, CD40, CD53, CD72, CD73, CD74, CDw75, CDw76, CD77, CDw78, CD79a, CD79b, CD80, CD81, CD82, CD83, CDw84, CD85 및 CD86 백혈구 표면 마커가 포함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문헌 (The Leukocyte Antigen Facts Book, 2nd Edition. 1997, ed. Barclay et al. Academic Press, Harcourt Brace & Co., New York)을 참고할 수 있다]. 기타 B-세포 표면 마커에는 RP105, FcRH2, B-세포 CR2, CCR6, P2X5, HLA-DOB, CXCR5, FCER2, BR3, Btig, NAG14, SLGC16270, FcRHl, IRTA2, ATWD578, FcRH3, IRTAl, FcRH6, BCMA, 및 239287이 포함된다. 특히 관심있는 B-세포 표면 마커는 포유류의 기타 비-B-세포 조직과 비교해서 B 세포 상에 우선적으로 발현되고, 전구체 B 세포와 성숙한 B 세포 둘 다 상에서 발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B-세포 표면 마커는 CD20 및 CD22이다.
"CD20" 항원, 또는 "CD20"은 말초혈 또는 림프계 기관으로부터 B 세포의 90% 초과 표면 상에서 발견되는, 분자량이 대략 35 kD인 비-당화 (non-glycosylated) 인단백질이다. CD20은 정상 B 세포 뿐만 아니라 악성 B 세포 상에도 존재하지만, 줄기 세포 상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당해 분야의 문헌에 보고된 CD20에 대한 다른 명칭에는 "B-림프구-제한된 항원" 및 "Bp35"가 포함된다. CD20 항원은, 예를 들어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참고: Clark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1766 (1985)].
BL-CAM 또는 Lyb8로서 공지되기도 한 "CD22" 항원, 또는 "CD22"은 분자량이 약 130 (환원된 형태) 내지 140 kD (환원되지 않은 형태)인 유형 1 통합 막 당단백질이다. 이는 B-림프구의 세포질과 세포막 둘 다에서 발현된다. CD22 항원은 CD19 항원과 대략 동일한 단계에서 B-세포 림프구 분화 초기에 나타난다. 기타 B-세포 마커와는 달리, CD22 막 발현은 성숙한 B-세포 (CD22+)와 혈장 세포 (CD22-) 사이에 포함된 후기 분화 단계로 제한된다. CD22 항원은, 예를 들어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참고: Wilson et al. J. Exp. Med. 173:137 (1991) and Wilson et al. J. Immunol. 150:5013 (1993)].
"길항제"는 B 세포 상의 CD20과의 결합시, 포유류 내의 B 세포를 파괴 또는 고갈시키고/시키거나, 예를 들어 B 세포에 의해 유발된 체액성 반응을 저하 또는 방지시킴으로써 한 가지 이상의 B 세포 기능을 방해하는 분자이다. 길항제는 바람직하게, 이들로 처리된 포유류에서 B 세포를 고갈시킬 수 있다 (즉, 순환성 B 세포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음). 이러한 고갈은 각종 기전, 예를 들어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 (ADCC) 및/또는 보체-의존성 세포독성 (CDC), B 세포 증식 억제, 및/또는 B 세포 사멸 유도 (예를 들어, 세포소멸을 통하여 이루어짐)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길항제에는 세포독성제와 임의로 접합 또는 융합되는, CD20과 결합하는 소분자 길항제, 항체, 합성 또는 본래 서열 펩티드, 및 면역부착인자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길항제는 항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의 "항체 길항제"는 B 세포 상의 B 세포 표면 마커와의 결합시, 포유류 내의 B 세포를 파괴 또는 고갈시키고/시키거나, 예를 들어 B 세포에 의해 유발된 체액성 반응을 저하 또는 방지시킴으로써 한 가지 이상의 B 세포 기능을 방해하는 항체이다. 항체 길항제는 바람직하게, 이들로 처리된 포유류에서 B 세포를 고갈시킬 수 있다 (즉, 순환성 B 세포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음). 이러한 고갈은 각종 기전, 예를 들어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 (ADCC) 및/또는 보체-의존성 세포독성 (CDC), B 세포 증식 억제, 및/또는 B 세포 사멸 유도 (예를 들어, 세포소멸을 통하여 이루어짐)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용어 "항체"는 가장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2개 이상의 본래 항체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 (예: 이중-특이적 항체), 및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항체 단편이 포함된다.
"항체 단편"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항원 결합성 영역을 포함하는, 본래 항체의 일부를 포함한다. 항체 단편의 예에는 Fab, Fab', F(ab')2, 및 Fv 단편; 디아보디 (diabody); 선형 항체; 단일 쇄 항체 분자; 및 항체 단편(들)으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가 포함된다.
본원의 목적상, "본래 항체"는 중쇄-가변 및 경쇄-가변 도메인 뿐만 아니라 Fc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항체"는 B 세포 표면 마커와의 결합시, 포유류 내의 B 세포를 파괴 또는 고갈시키고/시키거나, 예를 들어 B 세포에 의해 유발된 체액성 반응을 저하 또는 방지시킴으로써 한 가지 이상의 B 세포 기능을 방해하는 분자이다. 이러한 항체는 바람직하게, 이들로 처리된 포유류에서 B 세포를 고갈시킬 수 있다 (즉, 순환성 B 세포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음). 이러한 고갈은 각종 기전, 예를 들어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 (ADCC) 및/또는 보체-의존성 세포독성 (CDC), B 세포 증식 억제, 및/또는 B 세포 사멸 유도 (예를 들어, 세포소멸을 통하여 이루어짐)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B-세포 표면 마커가 CD20이므로,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항체는 CD20과 결합하는 항체, 또는 "CD20 항체"이다.
CD20 항체의 예에는 현재 "리툭시마브"("RITUXAN®")로 불리우는 "C2B8" [참고: 미국 특허 제5,736,137호]; "Y2B8" 또는 "이브리투모마브 티욱세탄 (Ibritumomab Tiuxetan)" (ZEVALIN®)로 명명된 이트륨-[90]-표지된 2B8 뮤린 항체 (공급처: IDEC Pharmaceuticals, Inc.) [참고: 미국 특허 제5,736,137호; 1993년 6월 22일자로 기탁 번호 HB11388로 ATCC에 기탁된 2B8]; "131I-B1" 또는 "요오드 I131 토시투모마브 (tositumomab)" 항체 (BEXXAR™) (공급처: Corixa)를 생성시키기 위해 131I로 임의로 표지시킨 뮤린 IgG2a "B1" (또한, "토시투모마브"로 불리우기도 함) [참고: 미국 특허 제5,595,721호]; 뮤린 모노클로날 항체 "lF5" [참고: Press et al. Blood 69 (2): 584-591 (1987)] 및 그의 변이체 (이에는 "골격 패치되거나" 또는 인간화 1F5가 포함됨) [참고: W0 03/002607, Leung, S.; ATCC 기탁번호 HB-96450]; 뮤린 2H7 및 키메라 2H7 항체 [참고: 미국 특허 제5,677,180호]; 인간화 2H7; B-세포의 세포막 중의 CD20 분자를 표적으로 한 완전한 인간 고 친화성 항체인 HUMAX-CD20™ 항체 (공급처: Genmab, Denmark) [참고: Glennie and van de Winkel, Drug Discovery Today 8: 503-510 (2003) and Cragg et al, Blood 101: 1045-1052 (2003)]; WO 04/035607 (Teeling et al.)에 제시된 인간 모노클로날 항체; AME-133™ 항체 (공급처: Applied Molecular Evolution); A20 항체 또는 그의 변이체, 예를 들어 키메라 또는 인간화 A20 항체 (각각 cA20, hA20) [참고: US 2003/0219433, Immunomedics]; 및 모노클로날 항체 L27, G28-2, 93-1B3, B-C1 또는 NU-B2 (공급처: International Leukocyte Typing Workshop) [참고: Valentine et al., In: Leukocyte Typing III (McMichael, Ed., p. 440, Oxford University Press (1987))]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CD20 항체는 키메라, 인간화 또는 인간 CD20 항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리툭시마브, 인간화 2H7, 키메라 또는 인간화 A20 항체 (공급처: Immunomedics), 및 HUMAX-CD20™ 인간 CD20 항체 (Genmab)이다.
본원에서의 용어 "리툭시마브" 또는 "리툭산 (RITUXAN®)"은 CD20 항원에 대항하여 유도되고 미국 특허 제5,736,137호에서 "C2B8"로 명명된, 유전공학적으로 처리시킨 키메라 뮤린/인간 모노클로날 항체, 및 CD20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그의 단편을 지칭한다.
순전히 본원의 목적상, 그리고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인간화 2H7"은 인간화 CD20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성 단편을 지칭하는데, 이러한 항체는 생체 내에서 영장류 B 세포를 고갈시키는데 유효하고, 그의 H-쇄 가변 영역 (VH) 내에, 항-인간 CD20 항체로부터의 서열 12의 적어도 CDR H3 서열 (도 1B)과, 실질적으로 인간 중쇄 아군 III (VHIII)의 인간 컨센서스 골격 (FR) 잔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항체가 서열 10의 H 쇄 CDR H1 서열 및 서열 11의 CDR H2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열 4의 L 쇄 CDR L1 서열, 서열 5의 CDR L2 서열, 서열 6의 CDR L3 서열, 및 실질적으로 인간 경쇄 아군 I (VI)의 인간 컨센서스 골격 (FR) 잔기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VH 영역은 인간 IgG 쇄 불변 영역에 연결될 수 있고, 이 영역은, 예를 들어 IgGl 또는 IgG3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항체가 서열 8의 VH 서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v16)을 포함하고, 또한 서열 2의 VL 서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v16)을 임의로 포함하는데, 이는 H 쇄 내에 D56A 및 N100A의 아미노산 치환물을 갖고 L 쇄 내에 S92A의 아미노산 치환물을 가질 수 있다 (v96).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열 13 및 14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과 중쇄 아미노산 서열을 각각 포함하는 본래 항체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는 항체가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열 13 및 15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과 중쇄 아미노산 서열을 각각 포함하는 2H7.v31이다. 본원의 항체는 Fc 영역 내에, ADCC 및/또는 CDC 활성을 개선시켜 주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물이 S298A/E333A/K334A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열 15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2H7.v31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이들 항체 모두는 Fc 영역 내에, CDC 활성을 저하시키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어도 치환물 K322A를 포함한다 [참고: 미국 특허 제6,528,624B1호 (Idusogie et al.)].
바람직한 인간화 2H7은 가변 경쇄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1
및 가변 중쇄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2
을 포함하는 본래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이다.
인간화 2H7 항체가 본래 항체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이 경쇄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3
및 중쇄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4
또는 중쇄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5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2H7 버젼 16에 기초한 변이체의 V 영역이 다음 표에 나타낸 아미노산 치환 위치를 제외하고는, v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것이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2H7 변이체는 v16과 동일한 L 쇄를 가질 것이다.
2H7 V 버젼 중쇄 (VH) 변화 경쇄 (VL) 변화 Fc 변화
31 - - S298A, E333A, K334A
96 D56A, N100A S92A
114 D56A, N100A M32L,S92A S298A, E333A, K334A
115 D56A, N100A M32L,S92A S298A, E333A, K334A, E356D, M358L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 및 "ADCC"는 Fc 수용체 (FcRs)를 발현하는 비특이적 세포독성 세포 [예: 천연 킬러 (NK) 세포, 호중구, 및 대식 세포]가 표적 세포 상의 결합된 항체를 인식한 다음, 연속해서 이러한 표적 세포의 용해를 유발시키는 세포-매개된 반응을 지칭한다. ADCC를 매개하는데 있어 주요 세포인 NK 세포는 FcγRIII 만을 발현하는 반면, 단구는 FcγRI, FcγRII 및 FcγRIII를 발현한다. 조혈 세포 상에서의 FcR 발현은 문헌 [참고: Ravetch and Kinet, Annu. Rev. Immunol 9: 457-92 (1991)]의 464면의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관심있는 분자의 ADCC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관내 ADCC 검정,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00,362호 또는 제5,821,337호에 기재된 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검정에 유용한 효과기 세포에는 말초혈 단핵 세포 (PBMC) 및 천연 킬러 (NK) 세포가 포함된다. 또다른 한편 또는 부가적으로, 관심있는 분자의 ADCC 활성은 생체 내에서, 예를 들어 문헌 [참고: Clynes et al. PNAS (USA) 95: 652-656 (199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물 모델에서 평가할 수 있다.
"인간 효과기 세포"는 하나 이상의 FcRs를 발현하고 효과기 기능을 수행하는 백혈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가 적어도 FcγRIII를 발현하고 ADCC 효과기 기능을 수행한다. ADCC를 매개하는 인간 백혈구의 예에는 말초혈 단핵 세포 (PBMC), 천연 킬러 (NK) 세포, 단구, 세포독성 T 세포 및 호중구가 포함되는데, PBMCs 및 NK 세포가 바람직하다.
"Fc 수용체" 또는 "FcR"은 항체의 Fc 영역과 결합하는 수용체를 기재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FcR은 본래 서열 인간 FcR이다. 더우기, 바람직한 FcR은 IgG 항체와 결합하는 것이고 (감마 수용체), 이에는 FcγRI, FcγRII 및 FcγRIII 아부류의 수용체가 포함되는데, 이에는 이들 수용체의 대립 유전자성 변이체 및 대체 스플라이싱된 형태 또한 포함된다. FcγRII 수용체에는 FcγRIIA ("활성화 수용체") 및 FcγRIIB ("억제성 수용체")가 포함되는데, 이는 그의 세포질성 도메인에 있어서 주로 상이한 유사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활성화 수용체 FcγRIIA는 그의 세포질성 도메인 내에 면역수용체 티로신-기재 활성화 모티프 (ITAM)를 함유한다. 억제성 수용체 FcγRIIB는 그의 세포질성 도메인 내에 면역수용체 티로신-기재 억제 모티프 (ITIM)를 함유한다 [참고: Daeron, Annu. Rev. Immunol. 15: 203-234 (1997)]. FcRs는 다음 문헌에 고찰되었다 [참고: Ravetch and Kinet, Annu. Rev. Immunol 9: 457-492 (1991); Capel et al. Immunomethods 4: 25-34 (1994); and de Haas et al. J. Lab. Clin. Med. 126: 330-41 (1995)]. 기타 FcRs는 앞으로 확인될 것을 포함하여, 본원의 용어 "FcR"에 포괄된다. 상기 용어에는 또한, 모계 IgGs를 태아에게 전이시키는데 책임이 있는 신생아 수용체 FcRn이 포함된다 [참고: Guyer et al., J. Immunol. 117: 587 (1976) and Kim et al., J. Immunol. 24: 249 (1994)].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또는 "CDC"는 보체의 존재 하에서 표적을 용해시킬 수 있는 분자의 능력을 지칭한다. 보체 활성화 경로는 보체 시스템의 제1 성분 (Clq)을, 동족 항원과 복합체를 형성한 분자 (예: 항체)와 결합시킴으로써 개시시킨다. 보체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예를 들어 문헌 [참고: Gazzano-Santoro et al., J. Immunol. Methods 202: 163 (1996)]에 기재된 바와 같은 CDC 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성장 억제성" 항체는 이러한 항체와 결합하는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의 증식을 방지 또는 저하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항체는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 내에서 B 세포의 증식을 방지 또는 저하시킬 수 있다.
"세포소멸을 유도시키는" 항체는 표준 세포소멸 검정, 예를 들어 아넥신 V의 결합, DNA의 단편화, 세포 수축, 내형질 세망의 확장, 세포 단편화 및/또는 막 소포 (세포소멸체로 불리움)의 형성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B 세포의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을 유도시키는 것이다.
"본래 항체"는 통상적으로, 2개의 동일한 경쇄 (L)와 2개의 동일한 중쇄 (H)로 구성된, 약 150,000 달톤의 이종-사량체성 당단백질이다. 각 경쇄는 하나의 공유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중쇄에 연결되는 반면, 디설파이드 연쇄 수는 상이한 면역글로불린 이소형의 중쇄들 간에 다양하다. 각 중쇄 및 경쇄는 또한, 규칙적으로 이격된 쇄내 디설파이드 브릿지를 갖는다. 각 중쇄는 한 말단에 가변 도메인 (VH)에 이어 수 많은 불변 도메인을 갖는다. 각 경쇄는 한 말단에 가변 도메인 (VL)을 갖고, 그의 다른 말단에 불변 도메인을 갖는다. 경쇄의 불변 도메인은 중쇄의 제1 불변 도메인과 정렬되고, 경쇄 가변 도메인은 중쇄의 가변 도메인과 정렬된다. 특정한 아미노산 잔기가 경쇄 가변 도메인과 중쇄 가변 도메인 간의 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용어 "가변"은 가변 도메인의 특정 부분이 항체들 간의 서열에 있어 광범위하게 상이하고, 이러한 부분은 특정한 각 항체가 그의 특정한 항원에 대한 특이성과 결합을 위해 사용된다는 사실을 지칭한다. 그러나, 가변성이 항체의 가변 도메인 전반에 걸쳐 균등한 수준으로 분포되지는 않는다. 이는 경쇄 가변 도메인과 중쇄 가변 도메인 둘 다 내에 초가변 영역으로 불리우는 3가지 절편에 집중되어 있다. 가변 도메인의 보다 고도로 보존된 부분이 골격 영역 (FRs)으로 지칭된다. 본래 중쇄 및 경쇄의 가변 도메인은 각각 4개의 FRs을 포함하는데, 이는 β-시트 구조를 연결하고 몇몇 경우에는 이러한 β-시트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루프를 형성하는, 3개의 초가변 영역에 의해 연결된 β-시트 입체 배치를 상당 부분 채택하고 있다. 각 쇄 내의 초가변 영역은 상기 FRs에 의해 아주 근접하게 함께 결합되어 있고, 다른 쇄로부터의 초가변 영역은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 형성에 기여한다 [참고: 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 불변 영역은 항원에 대한 항체 결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지만, 각종의 효과기 기능, 예를 들어 항체-의존성 세포성 세포독성 (ADCC)에 있어서의 항체 참여를 나타낸다.
항체를 파파인 분해시키면, "Fab" 단편으로 불리우는 2개의 동일한 항원 결합성 단편 (각각은 단일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짐)과 잔류성 "Fc" 단편 (이의 명칭은 용이하게 결정화될 수 있는 그의 능력을 반영함)이 생성된다. 펩신 처리하면, 2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갖고 항원과 여전히 가교 결합할 수 있는 F(ab')2 단편이 생성된다.
"Fv"는 완전한 항원 인식 및 항원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최소 항체 단편이다. 이러한 영역은 1개의 중쇄 가변 도메인과 1개의 경쇄 가변 도메인이 단단하게 비공유적으로 연합된 이량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입체 배치에서는, 각 가변 도메인의 3개 초가변 영역이 VH-VL 이량체 표면 상에 항원 결합 부위를 명백히 규정하도록 상호 작용한다. 집합적으로, 6개 초가변 영역이 항체에 항원 결합 특이성을 부여해 준다. 그러나, 전체 결합 부위 보다는 낮은 친화도이긴 하지만, 심지어 단일 가변 도메인 (또는 특정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3개의 초가변 영역 만을 포함하는 Fv의 절반)도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Fab 단편은 또한, 경쇄의 불변 도메인과, 중쇄의 제1 불변 도메인 (CH1)을 함유한다. Fab' 단편은 항체 힌지 (hinge) 영역으로부터의 1개 이상 시스테인을 포함한 중쇄 CH1 도메인의 카복시 말단에 수 개의 잔기를 부가한다는 점에서 Fab 단편과 상이하다. Fab'-SH는 불변 도메인의 시스테인 잔기(들)가 1개 이상의 자유 티올기를 보유하고 있는, Fab'에 대한 본원의 명칭이다. F(ab')2 항체 단편은 본래에는, 그들 사이에 힌지 시스테인을 갖는 Fab' 단편 쌍으로서 생성되었다. 항체 단편의 기타 화학적 커플링물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모든 척추동물 종으로부터의 항체 (면역글로불린)의 "경쇄"는 그들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기초하여, 2가지 명백한 별개 유형 [카파 (κ) 및 람다 (λ)로 지칭됨] 중의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그들 중쇄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서, 항체는 상이한 부류로 지정될 수 있다. 5가지 주요 부류의 본래 항체: IgA, IgD, IgE, IgG, 및 IgM이 있고, 이들 중의 몇 가지는 아부류 (이소형), 예를 들어 IgGl, IgG2, IgG3, IgG4, IgA, 및 IgA2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상이한 부류의 항체에 상응하는 중쇄 불변 도메인은 각각 α, δ, ε, γ 및 μ로 명명된다. 상이한 부류의 면역글로불린의 소단위체 구조 및 3차원적 입체 배치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단일 쇄 Fv" 또는 "scFv" 항체 단편은 항체의 VH 및 VL 도메인을 포함하는데, 이들 도메인은 단일 폴리펩티드 쇄 내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Fv 폴리펩티드는 scFv가 항원 결합을 위해 목적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VH 및 VL 도메인 사이에 폴리펩티드 링커를 추가로 포함한다. scFv 고찰에 대해서는 다음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Pluckthun in The Pharmacology of Monoclonal Antibodies, vol. 113, Rosenburg and Moore eds., Springer-Verlag, New York, pp. 269-315 (1994)].
용어 "디아보디"는 2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갖는 작은 항체 단편을 지칭하는데, 이들 단편은 동일한 폴리펩티드 쇄 내에 경쇄 가변 도메인 (VL)과 연결된 중쇄 가변 도메인 (VH)을 포함한다 (VH - VL). 동일한 쇄 상에서 두 도메인 간에 짝짓기를 허용하기에는 너무 짧은 링커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도메인을 또다른 쇄의 상보적 도메인와 짝짓기시킴으로써, 2개의 항원-결합 부위를 창출시킨다. 디아보디는, 예를 들어 다음 문헌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었다 [참고: EP 404,097; WO 93/11161; and Holling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 6444-6448 (1993)].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모노클로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질적 항체 집단, 즉 집단을 차지하고 있는 개개의 항체가, 모노클로날 항체 생성 동안 유발될 수도 있는 가능한 변이체 (이러한 변이체는 일반적으로 미량으로 존재함)를 제외하고는 동일하고/하거나 동일한 에피토프와 결합하는 집단으로부터 수득한 항체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상이한 결정기 (에피토프)에 대항하여 유도된 상이한 항체를 포함하는 폴리클로날 항체 제제와는 달리, 각각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항원 상의 단일 결정기에 대항하여 유도된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그의 특이성 이외에도, 기타 면역글로불린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채로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수식어 "모노클로날"은 실질적으로 동질적 항체 집단으로부터 수득되는 바와 같은 항체의 형질을 지시하고, 특별한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추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는 문헌 [참고: Kohler et al., Nature, 256:495 (1975)]에 최초로 기재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만들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DNA 방법 [참고: 미국 특허 제4,816,567호]에 의해 만들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또한, 예를 들어 문헌 [참고: Clackson et al., Nature, 352:624-628 (1991) and Marks et al., J. Mol.Biol., 222:581-597 (1991)]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여 파아지 (phage)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원에서의 모노클로날 항체에는 구체적으로, 중쇄 및/또는 경쇄 일부가 특별한 종으로부터 유래되거나 특별한 항체 부류 또는 아부류에 속하는 항체 내의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이와 상동성인 반면, 나머지 쇄(들)은 또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되거나 또다른 항체 부류 또는 아부류에 속하는 항체 내의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이와 상동성인 "키메라" 항체 (면역글로불린)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상기 항체의 단편이 포함된다 [참고: 미국 특허 제4,816,567호; 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 6851-6855 (1984)]. 본원에서 관심있는 키메라 항체에는 비-인간 영장류 [예: 구세계 원숭이, 예를 들어 개코 원숭이 (baboon), 붉은털 원숭이 (rhesus) 또는 시노몰구스 원숭이]로부터 유래된 가변 도메인 항원 결합성 서열 및 인간 불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영장류화" 항체가 포함된다 [참고: 미국 특허 제5,693,780호].
"인간화" 형태의 비-인간 (예: 뮤린) 항체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키메라 항체이다. 대부분의 경우,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의 초가변 영역으로부터의 잔기를 목적하는 특이성, 친화성 및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비-인간 종 (공여자 항체), 예를 들어 마우스, 랫트, 토끼 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초가변 영역으로부터의 잔기로 대체시킨 인간 면역글로불린 (수용자 항체)이다. 몇몇 경우에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골격 영역 (FR) 잔기를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로 대체시킨다. 더우기,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 항체 또는 공여자 항체에서 발견되지 않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변형은 항체 성능을 추가로 정련시키기 위해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1개 이상, 전형적으로는 2개의 가변 도메인을 실질적으로 모두 포함할 것이며, 여기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초가변 루프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에 상응하고,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FRs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것인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FR 치환물은 제외된다. 인간화 항체는 임의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전형적으로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불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것이다. 추가의 상세 내역에 대해서는 다음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Jones et al., Nature, 321: 522-525 (1986); Reichmann et al., Nature, 332: 323-329 (1988); and Presta, Curr. Op. Struct. Biol. 2: 593-596 (1992)].
본원에 사용된 경우의 용어 "초가변 영역"은 항원 결합에 책임이 있는 항체의 아미노산 잔기를 지칭한다. 초가변 영역은 "상보성 결정 영역" 또는 "CDR"로부터의 아미노산 잔기 [예를 들면, 경쇄 가변 도메인 내의 잔기 24-34 (L1), 50-56 (L2) 및 89-97 (L3); 및 중쇄 가변 도메인 내의 잔기 31-35 (Hl), 50-65 (H2) 및 95-102 (H3); 참고: 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 및/또는 "초가변 루프"로부터의 아미노산 잔기 [예를 들면, 경쇄 가변 도메인 내의 잔기 26-32 (L1), 50-52 (L2) 및 91-96 (L3); 및 중쇄 가변 도메인 내의 잔기 26-32 (H1), 53-55 (H2) 및 96-101 (H3); 참고: Chothia and Lesk, J. Mol. Biol. 196: 901-917 (1987)]를 포함한다. "골격" 또는 "FR" 잔기는 본원에 규정된 바와 같은 초가변 영역 잔기 이외의 가변 도메인 잔기이다.
"순수한(naked) 항체"는 이종 분자, 예를 들어 세포독성 부분 또는 방사성표지와 접합되지 않은 항체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음)이다.
"분리된" 항체는 그의 천연 환경의 특정 구성분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환경으로부터 격리 및/또는 회수시킨 것이다. 그의 천연 환경의 오염 성분은 항체에 대한 진단적 또는 치료적 용도를 방해할 수도 있는 물질인데, 이에는 효소, 호르몬, 및 기타 단백질성 또는 비-단백질성 용질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항체를 (1) 로리 (Lowry) 방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항체의 95 중량%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초과로 정제시키거나, (2) 스피닝 컵 시퀘네이터 (spinning cup sequenator)의 사용에 의해 N-말단 또는 내부 아미노산 서열의 15개 이상 잔기를 수득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정제시키거나, 또는 (3) 쿠마시 블루, 또는 바람직하게는 은 염색 (silver stain)을 이용하여 환원성 또는 비환원성 조건 하에 SDS-PAGE에 의해 균질하도록 정제할 것이다. 분리된 항체에는 재조합 세포 내의 계내 항체가 포함되는데, 이는 항체의 천연 환경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분리된 항체는 한 가지 이상의 정제 단계에 의해 제조할 것이다.
본원에서의 "대상체"는 예를 들어, 쇼그렌 증후군에 걸린 것으로 새로이 진단되든지, 기존에 쇼그렌 증후군으로 진단되었는데 새로이 재발 (돌발)되었든지 간에 쇼그렌 증후군에 걸린 것으로 진단되었거나; 쇼그렌 증후군의 한 가지 이상 징후, 증상 또는 기타 적응증을 경험하고 있거나 경험한 적이 있거나; 또는 쇼그렌 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있는,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치료에 적격한 인간 대상체 (환자 포함)이다. 상기 대상체는 기존에 CD20 항체로 치료한 적이 있거나 이렇게 치료한 적이 없다.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적격한 대상체는 임의로는, 자가항체를 탐지하기 위한 검정 (여기서는, 자가항체 생성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고, 바람직하게는 정량적으로 평가함)을 사용하여 스크리닝하거나 또는 침윤성 CD20 세포의 수준 상승을 알아보기 위해 혈액에서와 같이 스크리닝한 적이 있는 대상체로서 확인될 수 있다. 쇼그렌 증후군과 연관된 자가항체의 예에는 항핵 항체 (ANA), 항류마티스양 인자 (RF) 항체, 쇼그렌 관련 항원 A 또는 B (SS-A 또는 SS-B)로 지칭된 단백질에 대한 항체, 예를 들어 항-Ro/SS-A 항체, 항-La/SS-A 항체, 항-La/SS-B 항체 및 항-Ro/SS-B 항체, 중심절 단백질 B (CENP B) 또는 중심절 단백질 C (CENP C)에 대한 항체, ICA69에 대한 자가항체, 또는 이들 항체의 둘 이상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본원에서의 "환자"는 예를 들어, 쇼그렌 증후군에 걸린 것으로 새로이 진단되든지, 기존에 쇼그렌 증후군으로 진단되었는데 현재 재발 (돌발)되었든지 간에, 쇼그렌 증후군의 한 가지 이상 징후, 증상 또는 기타 적응증을 경험하고 있거나 경험한 적이 있는,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치료에 적격한 인간 대상체이다. 상기 환자는 기존에 CD20 항체로 치료한 적이 있거나 이렇게 치료한 적이 없을 수 있다.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적격한 환자는 임의로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자가항체를 탐지하기 위한 검정 (여기서는, 자가항체 생성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고, 바람직하게는 정량적으로 평가함)을 사용하여 스크리닝하거나 또는 침윤성 CD20 세포의 수준 상승을 알아보기 위해 혈액에서와 같이 스크리닝한 적이 있는 환자로서 확인될 수 있다.
쇼그렌 증후군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에게 몇 가지 진단 시험을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시험에는 안구와 구내를 임상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포함된다. 안구 건조증을 시험하기 위해 안과 전문의는 널리 허용되고 있는 다음 2가지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1. 쉬르머 시험: 이는 종이 조각 (쉬르머 조각으로서 지칭됨)을 안구에 놓아두기 전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부터 안구를 넘버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조각은 5분에 걸쳐 일어나는 습윤 양을 측정한다. 5 mm 미만의 습윤은 안구 건조증의 강력한 지표이다. 이러한 시험은 100% 정확하지 않으므로, 진단 (원인 분석)이 여전히 논쟁거리인 경우에는 다시 수행해야 한다. 2. 로즈-벤갈 (Rose-Bengal) 염료 시험: 이는 손상되고/염증을 일으킨 각막 부위를 염색한다.
구내 건조증은 타액 생성이 감소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타액선 분비율을 측정함으로써 검사할 수 있다. 몇몇 환자에서는, 림프구가 이하선 (귀밑샘) 또는 악하선 (턱밑샘) 내로 침윤되어 통증과 종창이 유발된다. 구강 건조증과 연관된 타액선 파괴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아래 입술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생검을 취하여 얼마나 많은 수의 (존재한다면) 타액선이 남아있고 존재하는 염증성 침윤물 유형을 보여주는 확실한 진단을 확립할 수 있다. 긍정적인 결과는 쇼그렌 증후군 진단과 일치하는 특징적인 염증 특징을 나타내었다. 구내 건조증과 안구 건조증는 타액선 파괴와, 분비를 제어하는 신경 신호 중단 둘 다로부터 비롯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쇼그렌 증후군의 초기 단계에서는, 환자가 "기초" 분비 저하로 인해 밤 동안과 식사 사이에 최대의 건조증을 경험하지만, 건조된 음식을 여전히 어려움없이 섭취할 수는 있다. "건조증"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음식을 섭취하고 삼키는 데에 보다 많은 유동체를 필요로 한다. 타액 분비 감소로 인해, 치주 질환과 구강 효모 감염증 (예: 칸디다증)에 걸리기 쉽다. 양념을 넣은 음식과 알코올에 대한 중증의 감수성이 흔한 호소증상이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필수 오일, 예를 들어 유게놀 (eugenol)을 함유하는 구강 세척제와 치아 제품을 감내할 수 없게 된다.
쇼그렌 증후군이 안구와 구내에 특징적으로 침범하긴 하지만,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침범할 수 있다. 관절과 근육 통증이 흔히 존재한다. 몇몇 경우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RA),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SLE) 또는 SLE-유사 질환에 기인된다. 이들 후자의 진단은, 예를 들어 혈액 시험과 관절 X선에 의해 확증한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근육과 관절 통증이 쇼그렌 증후군에 기인된다.
피로는 흔히 발병하는 또다른 증상이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이는 쇼그렌 증후군 환자의 20% 이하에서 발생할 수 있음), 빈혈 (관절 통증용 약물, 예를 들어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또는 나프록센을 섭취함으로써 비롯되는 혈액 손실 뿐만 아니라 혈액 세포 생성 저하로 인해 발병됨), 및 불량한 수면 패턴 (특히, 낮 동안에 다량의 유동체를 섭취함으로 인해 밤에 화장실을 자주 가기 때문에 나타남)은 배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기억력 및 집중력 저하가 종종 일어나는데, 이는 면역계에 의해 염증성 물질이 방출되기 때문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수면 패턴 장애에 기인할 수도 있다. 피부 발진, 폐 염증, 종창성 림프절, 및 기타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아쿠아포린, 예를 들어 아쿠아포린 5 (AQP5)을 정량화하는 것이 상기 증후군을 진단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특정 대상체의 "치료 (처치)"는 치료적 처치와 예방적 조치 둘 다를 지칭한다.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는 이미 쇼그렌 증후군을 나타내는 대상체 뿐만 아니라 쇼그렌 증후군을 예방하고자 하는 대상체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원의 대상체는 쇼그렌 증후군에 걸린 것으로 진단될 수 있거나 또는 쇼그렌 증후군에 걸릴 것으로 예측되거나 걸리기 쉽다. 대상체의 치료에는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환자의 "치료"는 치료적 처치를 지칭한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쇼그렌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이다.
쇼그렌 증후군의 "증상"은 대상체 또는 환자가 경험하고 질병의 지표인, 구조, 기능 또는 감각 면에서 정상적인 것으로부터 일탈되거나 병적인 모든 현상이다.
"유효량"이란 표현은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효한 항체 또는 길항제의 양을 지칭한다.
"항체 노출"은 약 1일 내지 약 5주 간에 걸쳐 투여된 1회 이상 용량에서 본원에서의 항체와 접촉하거나 이에 노출되는 것을 지칭한다. 이들 용량은 1회로 제공하거나 또는 노출 전 기간에 걸쳐 고정되거나 불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4주 동안 매주 1회 투여하거나 2회 용량을 약 13일 내지 17일 간격으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초기 및 후기 항체 노출은 본원에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서로 일정 시간 간격을 둘 수 있다.
"초기 노출로부터" 또는 이전의 노출로부터 일정 시간까지 투여 또는 제공되지 않는 노출이란, 1회분 이상 용량을 해당 노출시 투여하는 경우에는, 제2 또는 나중 노출에 대한 시간이 이전 노출로부터의 용량이 투여된 시점으로부터 측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회분 용량이 초기 노출시 투여된 경우에는, 제1회분 또는 제2회분 용량을 초기 노출 내에서 투여한 시점으로부터 측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2 노출이 제공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3회분 용량이 투여된 경우에는, 제1회분, 제2회분 또는 제3회분 용량을 초기 노출 내에서 투여한 시점으로부터 제2 노출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초기 노출로부터" 또는 이전 노출로부터는 제1회분 용량 투여 시점으로부터 측정된다.
보조 요법을 위해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면역억제제"는 본원에서 치료하고자 하는 포유류의 면역계를 억제하거나 은폐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에는 사이토킨 생성을 억제하거나, 자기 항원 발현을 하향 조절 또는 억제시키거나, 또는 MHC 항원을 은폐시키는 물질이 포함될 것이다. 이러한 작용제의 예에는 2-아미노-6-아릴-5-치환된 피리미딘 [참고: 미국 특허 제4,665,077호];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s); 강시클로비르 (ganciclovir), 타크롤리무스 (tacrolimus),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를 들어 코르티솔 또는 알도스테론, 소염제, 예를 들어 시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 5-리폭시게나제 억제제, 또는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퓨린 길항제, 예를 들어 아자티오프린 또는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MMF); 알킬화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브로모크립틴; 다나졸; 다프손; 글루타르알데히드 (미국 특허 제4,120,64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MHC 항원을 은폐시킴); MHC 항원 및 MHC 단편에 대한 항-개체특이형 (anti-idiotypic) 항체; 시클로스포린 A;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사체, 예를 들어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 및 덱사메타손; 디히드로폴레이트 리덕타제 억제제,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 (경구 또는 피하); 항말라리아제, 예를 들어 클로로퀸 및 히드록시클로로퀸; 설파살라진; 레플루노미드; 사이토킨 또는 사이토킨 수용체 항체, 예를 들어 항-인터페론-알파, -베타, 또는 -감마 항체, 항종양 괴사 인자 (TNF)-알파 항체 [인플릭시마브 또는 아달리무마브 (adalimumab)], 항-TNF-알파 면역부착인자 (에탄에르셉트), 항TNF-베타 항체, 항-인터루킨-2 (IL-2) 항체 및 항-IL-2 수용체 항체, 항-인터루킨-6 (IL-6) 수용체 항체 및 길항제; 항-LFA-1 항체, 예를 들어 항-CD11a 및 항-CD18 항체; 항-L3T4 항체; 이종 항-림프구 글로불린; 범-T 항체, 바람직하게는 항-CD3 또는 항-CD4/CD4a 항체; LFA-3 결합성 도메인을 함유하는 가용성 펩티드 [참고: WO 90/08187 (1990년 7월 26일자로 공개됨)]; 스트렙토키나제; 전환 성장 인자-베타 (TGF-베타); 스트렙토도르나제; 숙주로부터의 RNA 또는 DNA; FK506; RS-61443; 클로람부실; 데옥시스페르구알린; 라파마이신; T-세포 수용체 [참고: Cohen et al., 미국 특허 제5,114,721호]; T-세포 수용체 단편 [참고: Offner et al., Science, 251: 430-432 (1991); WO 1990/11294; Ianeway, Nature, 341: 482 (1989); and WO 91/01133]; BAFF 길항제, 예를 들어 BAFF 항체 및 BR3 항체; 항-CD40 수용체 또는 항-CD40 리간드 (CD154); 및 T-세포-수용체 항체 [참고: EP 340,109], 예를 들어 T10B9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몇몇 바람직한 면역억제제에는 시클로포스파미드, 클로람부실, 아자티오프린 또는 메토트렉세이트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세포독성제"는 세포의 기능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하거나 세포의 파괴를 유발시키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 용어에는 방사성 동위원소 (예: At211, I131, I125, Y90, Re186, Re188, Sm153, Bi212, P32, 및 Lu의 방사성 동위원소), 화학요법제, 및 독소, 예를 들어 세균, 진균,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효소적 활성 독소 또는 소분자 독소, 또는 그의 단편이 포함된다.
"화학요법제"는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화학적 화합물이다. 화학요법제의 예에는 알킬화제, 예를 들어 티오테파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CYTOXAN®); 알킬 설포네이트, 예를 들어 부설판, 임프로설판 및 피포설판; 아지리딘, 예를 들어 벤조도파, 카르보쿠온, 메투레도파, 및 우레도파; 에틸렌이민 및 메틸라멜라민, 예를 들어 알트레타민, 트리에틸렌멜라민, 트리에틸렌포스포르아미드, 트리에틸렌티오포스포르아미드 및 트리메틸롤로멜라민; 아세토게닌 (특히, 불라타신 및 불라타시논); 델타-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드로나비놀, MARINOL®); 베타-라파콘; 라파콜; 콜키신; 베툴린산; 캄프토테신 [합성 유사체 토포테칸 (HYCAMTIN®), CPT-11 (이리노테칸, CAMPTOSAR®), 아세틸캄프토테신, 스코폴렉틴, 및 9-아미노캄프토테신 포함]; 브리오스타틴; 칼리스타틴; CC-1065 (그의 아도젤레신, 카르젤레신 및 비젤레신 합성 유사체 포함); 포도필로톡신; 포도필린산; 테니포시드; 크립토피신 (특히 크립토피신 1 및 크립토피신 8); 돌라스타틴; 두오카르마이신 (합성 유사체 KW-2189 및 CBl-TMl 포함); 엘레우테로빈; 판크라티스타틴; 사르코딕티인; 스폰지스타틴; 질소 머스타드, 예를 들어 클로람부실, 클로르나파진, 콜로포스파미드, 에스트라무스틴, 이포스파미드, 메클로르에타민, 메클로르에타민 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멜팔란, 노벰비킨, 페네스테린, 프레드니무스틴, 트로포스파미드, 우라실 머스타드; 니트로스우레아, 예를 들어 카르무스틴, 클로로조토신, 포테무스틴, 로무스틴, 니무스틴, 및 라님무스틴; 항생제, 예를 들어 엔디인 (enediyne) 항생제 [예를 들어, 칼리케아미신, 특히 칼리케아미신 감마1I 및 칼리케아미신 오메가I1 (참고: Agnew, Chem Intl. Ed. Engl. 33: 183-186 (1994)); 디네미신 (디네미신 A 포함); 에스페라미신; 뿐만 아니라 네오카르지노스타틴 발색단 및 관련 색단백질 엔디인 항생제 발색단], 아클라시노마이신, 악티노마이신, 아우트라마이신, 아자세린, 블레오마이신, 칵티노마이신, 카라비신, 카르미노마이신, 카르지노필린, 크로모마이시니스, 닥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데토루비신, 6-디아조-5-옥소-L-노르루이신, 독소루비신 (ADRIAMYCIN®, 모르폴리노-독소루비신, 시아노모르폴리노-독소루비신, 2-피롤리노-독소루비신, 독소루비신 HCl 리포솜 주사체 (DOXIL®) 및 데옥시독소루비신 포함), 에피루비신, 에소루비신, 이다루비신, 마르셀로마이신, 미토마이신 (예: 미토마이신 C), 미코페놀산, 노갈라마이신, 올리보마이신, 페플로마이신, 포트피로마이신, 푸로마이신, 쿠엘라마이신, 로도루비신, 스트렙토니그린, 스트렙토조신, 투베르시딘, 우베니멕스, 지노스타틴, 조루비신; 항대사제,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 젬시타빈 (GEMZAR®), 테가푸르 (UFTORAL®), 카페시타빈 (XELODA®), 에포틸론 및 5-플루오로우라실 (5-FU); 엽산 유사체, 예를 들어 데노프테린, 메토트렉세이트, 프테로프테린, 트리메트렉세이트; 퓨린 유사체,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 6-머캅토퓨린, 티아미프린, 티오구아닌; 피리미딘 유사체, 예를 들어 안시타빈, 아자시티딘, 6-아자우리딘, 카르모푸르, 시타라빈, 디데옥시우리딘, 독시플루리딘, 에노시타빈, 플록수리딘; 항부신제, 예를 들어 아미노글루테티미드, 미토탄, 트릴로스탄; 엽산 보충물, 예를 들어 프롤린산; 아세글라톤; 알도포스파미드 글리코시드; 아미노레불린산; 에닐우라실; 암사크린; 베스트라부실; 비산트렌; 에다트락세이트; 데포파민; 데메콜신; 디아지쿠온; 엘포르니틴; 엘리프티늄 아세테이트; 에토글루시드; 질산갈륨; 히드록시우레아; 렌티난; 로니다이닌; 마이탄시노이드, 예를 들어 마이탄신 및 안사미토신; 미토구아존; 미톡산트론; 모피단몰; 니트라에린; 펜토스타틴; 페나메트; 피라루비신; 로속산트론; 2-에틸히드라지드; 프로카르바진; PSK® 다당류 복합체 (공급처: JHS Natural Products, Eugene, OR); 라족산; 리족신; 시조피란; 스피로게르마늄; 테누아존산; 트리아지쿠온; 2,2',2"-트리클로로트리에틸아민; 트리코테센 (특히, T-2 독소, 베라쿠린 A, 로리딘 A 및 안구이딘); 우레탄; 빈데신 (ELDISINE®, FILDESIN®); 다카르바진; 만노무스틴; 미토브로니톨; 미토락톨; 피포브로만; 가시토신; 아라비노시드 ("Ara-C"); 티오테파; 탁소이드,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 (TAXOL®), 파클리탁셀 (ABRAXANE™)의 알부민-공학 처리시킨 나노입자 제형 및 독세탁셀 (TAXOTERE®); 클로람부실; 6-티오구아닌; 머캅토퓨린; 메토트렉세이트; 백금 유사체,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 및 카르보플라틴; 빈블라스틴 (VELBAN®); 백금; 에토포시드 (VP-16); 이포스파미드; 미톡산트론; 빈크리스틴 (ONCOVIN®); 옥살리플라틴; 류코보빈; 비노렐빈 (NAVELBINE®); 노반트론; 에다트렉세이트; 다우노마이신; 아미노프테린; 이반드로네이트;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RFS 2000; 디플루오로메틸오르니틴 (DMFO); 레티노이드 (예: 레티노산); 및 상기 언급된 제제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 산 또는 유도체 뿐만 아니라 상기 제제의 2가지 이상 병용물, 예를 들어 CHOP (이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및 프레드니솔론의 병용 요법에 대한 약어임), 및 FOLFOX (이는 5-FU 및 류코보빈과 병용된 옥살리플라틴 (ELOXATIN™)을 이용한 치료 섭생에 대한 약어임)이 포함된다.
상기 정의에는 또한, 암의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호르몬의 효과를 조절, 감소, 차단 또는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고, 종종 전신성 치료 형태인 항호르몬제가 포함된다. 이들은 호르몬 자체일 수 있다. 이의 예에는 항에스트로겐제 및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제 조정제 (SERMs)가 포함되는데, 예를 들어 타목시펜 (NOLVADEX® 타목시펜 포함), 랄록시펜 (EVISTA®), 드롤록시펜, 4-히드록시타목시펜, 트리옥시펜, 케옥시펜, LY117018, 오나프리스톤 및 토레미펜 (FARESTON®); 항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수용체 하향 조절제 (ERDs); 에스트로겐 수용체 길항제, 예를 들어 풀베스트란트 (FASLODEX®); 난소를 저해하거나 난소의 활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작용제, 예를 들어 황체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 (LHRH) 작동제, 예를 들어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LUPRON® 및 ELIGARD®),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부세렐린 아세테이트 및 트리프테렐린; 항안드로겐제, 예를 들어 플루타미드, 닐루타미드 및 비칼루타미드; 및 부신에서의 에스트로겐 생성을 조절하는 효소 아로마타제를 억제하는 아로마타제 억제제, 예를 들어 4(5)-이미다졸, 아미노글루테티미드,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MEGASE®), 엑세메스탄 (AROMASIN®), 포르메스탄, 파드로졸, 보로졸 (RIVISOR®), 레트로졸 (FEMARA®) 및 아나스트로졸 (ARIMIDEX®)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화학요법제의 정의에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예를 들어 클로드로네이트 (예: BONEFOS® 또는 OSTAC®), 에티드로네이트 (DIDROCAL®), NE-58095, 졸레드론산/졸레드로네이트 (ZOMETA®), 알렌드로네이트 (FOSAMAX®), 파미드로네이트 (AREDIA®), 틸루드로네이트 (SKELID®), 또는 리세드로네이트 (ACTONEL®); 뿐만 아니라 트록사시타빈 (1,3-디옥솔란 뉴클레오시드 시토신 유사체);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특히 이상한 세포 증식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신호 전달 경로에 있어 유전자, 예를 들어 PKC-알파, Ralf, H-Ras 및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EGF-R)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백신, 예를 들어 THERATOPE® 백신 및 유전자 요법 백신, 예를 들면, ALLOVECTIN® 백신, LEUVECTIN® 백신 및 VAXID® 백신; 토포이소머라제 1 억제제 (LURTOTECAN®); rmRH (예: ABARELIX®); 라파티니브 디토실레이트 (GW572016으로서 공지되기도 한 ErbB-2 및 EGFR 이중 티로신 키나제 소분자 억제제); COX-2 억제제, 예를 들어 셀레콕시브 (CELEBREX®; 4-(5-(4-메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 벤젠설폰아미드); 및 이들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 산 또는 유도체가 포함된다.
용어 "사이토킨"은 또다른 세포 상에서 세포간 매개인자로서 작용하는 하나의 세포 집단에 의해 방출된 단백질에 대한 일반적 용어이다. 이러한 사이토킨의 예는 림포카인, 모노카인; 인터루킨 (ILs), 예를 들어 IL-1, IL-1α,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1, IL-12, IL-15 (PROLEUKIN® rIL-2 포함); 종양 괴사 인자, 예를 들어 TNF-α 또는 TNF-β; 및 기타 폴리펩티드 인자 [이에는 LIF 및 kit 리간드 (KL)가 포함된다]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사이토킨에는 천연 공급원 또는 재조합 세포 배양물로부터의 단백질, 및 본래 서열 사이토킨의 생물학적 활성 등가물, 예를 들어 합성적으로 생성된 소분자 실재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유도체 및 염이 포함된다.
용어 "호르몬"은 관을 지닌 선상 기관에 의해 일반적으로 분비되는 폴리펩티드 호르몬을 지칭한다. 이러한 호르몬에 포함되는 것은 특히, 예를 들어 성장 호르몬, 예를 들면 인간 성장 호르몬, N-메티오닐 인간 성장 호르몬, 및 소의 성장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인슐린; 프로인슐린; 렐락신; 에스트라디올; 호르몬-대체 요법; 안드로겐, 예를 들어 칼루스테론, 드로모스타놀론 프로피오네이트, 에피티오스타놀, 메피티오스탄, 또는 테스토락톤; 프로렐락신; 당단백질 호르몬, 예를 들어 난포 자극 호르몬 (FSH),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및 황체형성 호르몬 (LH); 프롤락틴; 태반 락토겐; 마우스 성선자극호르몬 관련 펩티드; 성선자극호르몬-방출성 호르몬; 인히빈; 악티빈; 뮐러의 억제성 물질; 및 트롬보포이에틴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호르몬에는 천연 공급원 또는 재조합 세포 배양물로부터의 단백질, 및 본래 서열 호르몬의 생물학적 활성 등가물, 예를 들어 합성적으로 생성된 소분자 실재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유도체 및 염이 포함된다.
용어 "성장 인자"는 성장을 증진시키는 단백질을 지칭하고, 이에는, 예를 들어 간 성장 인자;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신경 성장 인자, 예를 들어 NGF-β; 혈소판-유래된 성장 인자; 전환 성장 인자 (TGFs), 예를 들어 TGF-α 및 TGF-β;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 및 -II;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골유도성 인자; 인터페론, 예를 들어 인터페론-α, -β 및 -γ; 및 집락 자극 인자 (CSFs), 예를 들어 대식세포-CSF (M-CSF); 과립구-대식세포-CSF (GM-CSF); 및 과립구-CSF (G-CSF)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성장 인자에는 천연 공급원 또는 재조합 세포 배양물로부터의 단백질, 및 본래 서열 성장 인자의 생물학적 활성 등가물, 예를 들어 합성적으로 생성된 소분자 실재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유도체 및 염이 포함된다.
용어 "인테그린"은 세포가 세포외 매트릭스와 결합할 수 있게 해주고 세포외 매트릭스와 반응할 수 있게 해주는 수용체 단백질을 지칭하고, 이는 각종 세포성 기능, 예를 들어 상처 치유, 세포 분화, 종양 세포의 귀소, 및 세포소멸에 관여한다. 이들은 세포-세포외 매트릭스 및 세포-세포 상호 작용에 관여하는 큰 계열의 세포 부착 수용체의 일부이다. 기능적 인테그린은 비-공유적으로 결합되는, 알파 및 베타로 지칭되는 2개의 막관통 당단백질 소단위체로 이루어진다. 알파 소단위체는 모두, 서로에 대한 몇몇 상동성을 공유하고 있는데, 이는 베타 소단위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수용체는 항상 1개의 알파 쇄와 1개의 베타 쇄를 함유하고 있다. 이의 예에는 알파6베타l, 알파3베타l, 알파7베타l, LFA-1 등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인테그린에는 천연 공급원 또는 재조합 세포 배양물로부터의 단백질, 및 본래 서열 인테그린의 생물학적 활성 등가물, 예를 들어 합성적으로 생성된 소분자 실재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유도체 및 염이 포함된다.
본원의 목적상, "종양 괴사 인자-알파 (TNF-알파)"는 문헌 [참고: Pennica et al., Nature, 312: 721 (1984) or Aggarwal et al., JBC, 260: 2345 (198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 TNF-알파 분자를 지칭한다.
본원에서의 "TNF-알파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TNF-알파와의 결합과 그의 활성 중화를 통하여, TNF-알파의 생물학적 기능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작용제이다.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고려된 TNF 억제제의 예는 에탄에르셉트 (ENBREL®), 인플릭시마브 (REMICADE®), 및 아달리무마브 (HUMIRA™)이다.
"질병 완화 항류마티스약" 또는 "DMARDs"의 예에는 히드록시클로로퀸, 설파살라진, 메토트렉세이트, 레플루노미드, 에탄에르셉트, 인플릭시마브 (+ 경구 및 피하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D-페니실라민, 금 염 (경구), 금 염 (근육내), 미노사이클린, 시클로스포린 (시클로스포린 A 및 국소 시클로스포린 포함), 스타필로코쿠스성 (staphylococcal) 단백질 A 면역흡착제 (그의 염 및 유도체 포함) 등이 포함된다.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또는 "NSAIDs"의 예는 아스피린, 아세틸살리실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인도메타신, 술린닥, 톨메틴 (그의 염 및 유도체 포함) 등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또는 톨메틴이다.
본원에서의 "인테그린 길항제 또는 항체"의 예에는 LFA-1 항체, 예를 들어 에팔리주마브 [efalizumab (RAPTIVA®); Genentech으로부터 시판중임], 또는 알파 4 인테그린 항체, 예를 들어 나탈리주마브 [natalizumab (ANTEGREN®); Biogen으로부터 입수 가능함], 또는 디아자사이클릭 페닐알라닌 유도체 [참고: WO 2003/89410], 페닐알라닌 유도체 [참고: WO 2003/70709, WO 2002/28830, WO 2002/16329 및 WO 2003/53926],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참고: WO 2003/10135], 엔아민 유도체 [참고: WO 2001/79173], 프로파노산 유도체 [참고: WO 2000/37444], 알카노산 유도체 [참고: WO 2000/32575], 치환된 페닐 유도체 [참고: 미국 특허 제6,677,339호 및 제6,348,463호], 방향족 아민 유도체 [참고: 미국 특허 제6,369,229호], ADAM 디스인테그린 도메인 폴리펩티드 [참고: US 2002/0042368], 알파v베타3 인테그린에 대한 항체 [참고: EP 633945], 아자-브릿지된 바이사이클릭 아미노산 유도체 [참고: WO 2002/02556] 등이 포함된다.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는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예를 들어 필로카르핀 및 필로카프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세비멜린 (EVOXAC®), 브롬헥신 (bromhexine), RESTASIS® (시클로스포린 안과용 에멀젼), 디쿠아포솔, 퓨린작동성 수용체 작동제, 무스카린성 작동제, 부교감신경흥분제, 시스테아민 점안제 [참고: Kaiser-Kupfer et al., Arch Ophthalmol., 108(5): 689-693 (1990)], REFRESH ENDURA® 윤활성 점안제, 및 그들의 제약 염 및 유도체이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천연 발생적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효과를 모방하거나 증대시키는 스테로이드의 일반적 화학 구조를 지닌 몇 가지 합성 또는 천연 발생적 물질 중의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합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예에는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포함), 덱사메타손 또는 덱사메타손 트리암시놀론, 히드로코르티손 및 베타메타손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또는 덱사메타손이다.
"항말라리아제"는 말라리아를 치료하기 위한 (말라리아의 예방 포함) 작용제이고, 이는 예를 들어, 쇼그렌 증후군의 전신성 합병증, 예를 들면 관절염, 피로 및 피부 발진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작용제에는,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로퀸, 클로로퀸, LARIUM™, 메플로퀸, 메플로퀸 히드로클로라이드, MEPHAQUINE™, 프리마퀸 - ATABRINE™, 메파크린, 퀴나크린, 퀴나크린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퀴닌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로클로로퀸 또는 클로로퀸, 가장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클로로퀸 (예를 들어, 브랜드명 PLAQUENIL®)이다.
본원에 사용된 경우의 용어 "BAFF", "BAFF 폴리펩티드", "TALL-1" 또는 "TALL-1 폴리펩티드", 및 "BLyS"는 "본래 서열 BAFF 폴리펩티드" 및 "BAFF 변이체"를 포괄한다. "BAFF"는 다음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의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펩티드에 대해 제시된 명칭이다:
인간 BAFF 서열 (서열 16)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6
마우스 BAFF 서열 (서열 17)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7
및 본래의 BAFF의 생물학적 활성을 지니고 있는, 그의 동족체 및 단편 및 변이체. BAFF의 생물학적 활성은 B 세포 생존 증진, B 세포 성숙 증진 및 BR3에 대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BAFF의 변이체는 바람직하게는, BAFF 폴리펩티드의 본래 서열과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률이 80% 이상 또는 100% 까지의 모든 연속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일 것이다.
"본래 서열" BAFF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유래된 상응하는 BAFF 폴리펩티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BAFF는 푸린-유형 프로테아제에 의해 세포 표면으로부터 절단시킨 후 가용성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본래 서열 BAFF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수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용어 "본래 서열 BAFF 폴리펩티드" 또는 "본래의 BAFF"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펩티드의 천연 발생적 절단 또는 분비된 형태 (예: 세포외 도메인 서열), 천연 발생적 변이체 형태 (예: 대체 스플라이싱된 형태) 및 천연 발생적 대립유전자성 변이체가 포괄된다. 용어 "BAFF"에는 다음 문헌에 기재된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참고: Shu et al, J. Leukocyte Biol, 65:680 (1999); GenBank Accession No. AF136293; WO 1998/18921 (1998년 5월 7일자로 공개됨); EP 869,180 (1998년 10월 7일자로 공개됨); WO 1998/27114 (1998년 6월 25일자로 공개됨); WO 1999/12964 (1999년 3월 18일자로 공개됨); WO 1999/33980 (1999년 7월 8일자로 공개됨); Moore et al, Science, 285:260-263 (1999); Schneider et al, J. Exp. Med., 189:1747-1756 (1999) and Mukhopadhyay et al, J. Biol. Chem., 274:15978-15981 (1999)].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BAFF 길항제"는 가장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고, 이에는 (1) 본래 서열 BAFF 폴리펩티드와 결합하거나 또는 BR3의 본래 서열과 결합하여 BAFF 폴리펩티드와의 BR3 상호작용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차단시키고; (2) 본래 서열 BAFF 활성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차단, 억제 또는 중화시키는 모든 분자가 포함된다.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차단시키고자 하는 BAFF 수용체가 BR3 수용체이다. 본래의 BAFF 활성은 특히, B 세포 생존 및/또는 B 세포 성숙을 증진시킨다. 한 가지 양태에서, BAFF 활성을 억제, 차단 또는 중화시키면, B 세포 수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BAFF 길항제는 BAFF 폴리펩티드의 한 가지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 내에서 부분적 또는 완전히 차단, 억제 또는 중화시킬 것이다. 한 양태에서는, 생물학적 활성 BAFF가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 내에서 다음 사건들 중의 하나 또는 조합 사건을 증진시켜 준다: B 세포 생존 증가, IgG 및/또는 IgM의 수준 증가, 혈장 세포의 수 증가, 및 NF-κb2/100을 비장 B 세포 중에서 p52 NF-κb로 프로세싱시켜 줌 [참고: 예를 들어, Batten, M et al., J. Exp. Med. 192: 1453-1465 (2000); Moore, et al., Science 285: 260-263 (1999); Kayagaki, et al., Immunity 17: 515-524 (2002)].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BAFF 길항제는 BAFF 신호전달을 시험관내 또는 생체 내에서 부분적 또는 완전히 차단, 억제 또는 중화시키기 위해 직접 또는 간접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AFF 길항제는 BAFF와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가 BR3에 대한 BAFF 결합을 입체적으로 방해하도록 인간 BAFF의 잔기 162-275 및/또는 이들 잔기 중에서 162, 163, 206, 211, 231, 233, 264 및 265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이웃하는 잔기를 포함하는 인간 BAFF의 영역 내에서 결합하는 BAFF 항체가 고려된다 (상기 잔기 번호는 서열 16을 지칭함). 또다른 예에서는, 직접적인 결합제가 BAFF와 결합하는 BAFF 수용체의 일정 부분, 예를 들어 본래의 BAFF와 결합하는 BAFF 수용체의 세포외 도메인, 또는 그의 단편 및 변이체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이다. 또다른 예에서, BAFF 길항제에는 다음 서열식 I의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의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Xl-C-X3-D-X5-L-X7-X8-X9-X10-Xll-Xl2-C-Xl4-Xl5-Xl6-Xl7 (서열식 I) (서열 18) [여기에서, X1, X3, X5, X7, X8, X9, X10, X11, Xl2, Xl4, X15 및 Xl7은 시스테인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이고; X16은 L, F, I 및 V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이며;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식 I의 가장 C-말단 시스테인 C에 대한 C-말단 및 가장 N-말단 시스테인 C에 대한 N-말단의 7개 아미노산 잔기 내에 시스테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 양태에서, 서열식 I의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는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2개의 Cs; L과 X7 사이에 선회 중심을 갖는 유형 I 베타 선회 구조의 입체 형태를 형성하는 X5LX7X8을 갖고; X8의 2면각 파이에 대한 양성 값을 갖는다. 한 양태에서, X10은 W, F, V, L, I, Y, M 및 비-극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X10은 W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X3은 M, V, L, I, Y, F, W 및 비-극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X5는 V, L, P, S, I, A 및 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X7은 V, T, I 및 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X8은 R, K, G, N, H 및 D-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X9는 H, K, A, R 및 Q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X11은 I 또는 V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X12는 P, A, D, E 및 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X16은 L이다. 한 가지 구체적 양태에서, 서열식 I의 서열은 ECFDLLVRAWVPCSVLK (서열 19), ECFDLLVRHWVPCGLLR (서열 20), ECFDLLVRRWVPCEMLG (서열 21), ECFDLLVRSWVPCHMLR (서열 22), ECFDLLVRHWVACGLLR (서열 23) 및 QCFDRLNAWVPCSVLK (서열 24)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서열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BAFF 길항제가 서열 19, 20, 21, 22 및 23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다른 예에서, BAFF 길항제에는 다음 서열식 II의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Xl-C-X3-D-X5-L-V-X8-X9-W-V-P-C-Xl4-Xl5-L-Xl7 (서열식 II) (서열 25) [여기에서, X1, X3, X5, X8, X9, Xl4, X15 및 Xl7은 시스테인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이고;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식 II의 가장 C-말단 시스테인 C에 대한 C-말단 및 가장 N-말단 시스테인 C에 대한 N-말단의 7개 아미노산 잔기 내에 시스테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 양태에서, 서열식 II의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는 2개의 Cs 사이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갖고, L과 X7 사이에 선회 중심을 갖는 유형 I 베타 선회 구조를 형성하는 X5LVX8의 입체 형태를 갖고; X8의 2면각 파이에 대한 양성 값을 갖는다. 서열식 II의 또다른 양태에서, X3은 M, A, V, L, I, Y, F, W 및 비-극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이다. 서열식 II의 또다른 양태에서, X5는 V, L, P, S, I, A 및 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서열식 II의 또다른 양태에서, X8은 R, K, G, N, H 및 D-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서열식 II의 또다른 양태에서, X9는 H, K, A, R 및 Q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추가 양태에서, 그의 세포외 도메인 또는 BAFF-결합성 단편 또는 BAFF-결합성 변이체가 유래되는 BAFF 수용체는 TACI, BR3 또는 BCMA이다. 또다른 한편, BAFF 길항제는 그의 BAFF 결합성 영역에서 본래 서열 BR3의 세포외 도메인과 결합하여 시험관내, 계내 또는 생체 내에서 BR3에 대한 BAFF 결합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 억제 또는 중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간접 길항제는 다음에 규정되는 바와 같이 (서열 26) 인간 BR3의 잔기 23-38을 포함하는 BR3의 특정 영역 또는 이들 잔기의 이웃하는 영역 내에서 결합하는 항-BR3 항체이므로, BAFF에 대한 인간 BR3의 결합이 입체적으로 장애된다.
몇몇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BAFF 길항제에는 본래의 BAFF와 결합하는 BAFF 수용체의 세포외 도메인, 또는 그의 단편 및 변이체를 포함하는 BAFF 항체 및 면역부착인자가 포함된다. 추가 양태에서, 그의 세포외 도메인 또는 BAFF-결합성 단편 또는 BAFF-결합성 변이체가 유래되는 BAFF 수용체는 TACI, BR3 또는 BCMA이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면역부착인자가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은 서열식 I 또는 서열식 II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데, 이에는 서열 19, 20, 21, 22, 23, 및 24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이 포함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BAFF 길항제는 BAFF 폴리펩티드 또는 BR3 폴리펩티드와 10O nM 이하의 결합 친화도로 결합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BAFF 길항제는 BAFF 폴리펩티드 또는 BR3 폴리펩티드와 10 nM 이하의 결합 친화도로 결합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BAFF 길항제는 BAFF 폴리펩티드 또는 BR3 폴리펩티드와 1 nM 이하의 결합 친화도로 결합한다.
본원에 사용된 경우의 용어 "BR3", "BR3 폴리펩티드" 또는 "BR3 수용체"는 "본래 서열 BR3 폴리펩티드" 및 "BR3 변이체" (이는 본원에 추가로 정의됨)를 포괄한다. "BR3"은 다음 아미노산 서열 및 그의 동족체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에 대해 제공된 명칭이다:
본래의 BAFF와 결합하는 인간 BR3 서열 (서열 26)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8
및 그의 변이체 또는 단편. 본 발명의 BR3 폴리펩티드는 각종 공급원, 예를 들어 인간 조직 유형, 또는 또다른 공급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용어 BR3에는 WO 02/24909 및 WO 2003/14294에 기재된 BR3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본래 서열" BR3 폴리펩티드 또는 "본래의 BR3"은 천연 상태로부터 유래된 상응하는 BR3 폴리펩티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래 서열 BR3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수단에 의해 생성시킬 수 있다. 용어 "본래 서열 BR3 폴리펩티드"는 구체적으로, 이러한 폴리펩티드의 천연 발생적으로 절단되거나, 가용성 또는 분비된 형태 (예: 세포외 도메인 서열), 천연 발생적 변이체 형태 (예: 대체 스플라이싱된 형태) 및 천연 발생적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BR3 폴리펩티드에는 인간 BR3 (서열 26)의 아미노산 잔기 1 내지 184의 연속되는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BR3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BR3 "세포외 도메인" 또는 "ECD"는 막관통 도메인과 세포질 도메인이 실질적으로 없는 BR3 폴리펩티드의 형태를 지칭한다. ECD 형태의 BR3에는 인간 BR3의 아미노산 1 내지 77, 2 내지 62, 1 내지 61, 7 내지 71, 23 내지 38 및 2 내지 63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본래의 BAFF와 결합하는 상기 언급된 ECD 형태의 인간 BR3, 및 그의 변이체 및 단편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인 BAFF 길항제를 고려한다.
미니-BR3은 BR3의 BAFF-결합성 도메인의 26-잔기 코어 영역이다: 즉 아미노산 서열 TPCVPAECFD LLVRHCVACG LLRTPR (서열 27).
"BR3 변이체"는 본래 서열, 완전한 길이의 BR3 또는 BR3 ECD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률이 약 80% 이상인 BR3 폴리펩티드를 의미하고, 이는 본래 서열 BAFF 폴리펩티드와 결합된다. 임의로, BR3 변이체에는 단일 시스테인 풍부 도메인이 포함된다. 이러한 BR3 변이체 폴리펩티드에는, 예를 들어 완전한 길이의 아미노산 서열의 N- 및/또는 C-말단에서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내부 도메인 내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부가 또는 결실된 BR3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본래 서열 BAFF 폴리펩티드와 결합하는 BR3 ECD의 단편이 또한 고려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BR3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인간 BR3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명시된 단편 (예: ECD)과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률이 약 80% 이상, 약 81% 이상, 약 82% 이상, 약 83% 이상, 약 84% 이상, 약 85% 이상, 약 86% 이상, 약 87% 이상, 약 88% 이상, 약 89% 이상, 약 90% 이상, 약 91% 이상, 약 92% 이상, 약 93% 이상, 약 94% 이상, 약 95% 이상, 약 96% 이상, 약 97% 이상, 약 98% 이상, 또는 약 99% 이상일 것이다. BR3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본래의 BR3 폴리펩티드 서열을 포괄하지 않는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BR3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길이가 약 10개 이상의 아미노산, 약 20개 이상의 아미노산, 약 30개 이상의 아미노산, 약 40개 이상의 아미노산, 약 50개 이상의 아미노산, 약 60개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약 70개 이상의 아미노산이다.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원에서의 BAFF 길항제는 BAFF와 결합하는 BR3, TACI 또는 BCMA의 일부를 포함하는 면역부착인자, 또는 BAFF와 결합하는 그의 변이체이다. 기타 양태에서는, BAFF 길항제가 BAFF 항체이다. "BAFF 항체"는 BAFF와 결합하는 항체이고, 바람직하게는 "BAFF" 정의 하에 본원에 기재된 인간 BAFF 서열 (서열 16)의 잔기 162-275를 포함하는 인간 BAFF의 특정 영역 내에서의 BAFF와 결합하는 항체이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BAFF 길항제가 BR3 항체이다. "BR3 항체"는 BR3과 결합하는 항체이고, 바람직하게는 "BR3" 정의 하에 본원에 기재된 인간 BR3 서열 (서열 26)의 잔기 23-38을 포함하는 인간 BR3의 특정 영역 내에서의 BR3과 결합하는 항체이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지칭된 인간 BAFF 및 인간 BR3의 아미노산 위치는 "BAFF" 및 "BR3" 정의 하에 본원에 기재된 인간 BAFF 및 인간 BR3 (각각 서열 16 및 26) 하에서의 서열 넘버링에 따른다.
BAFF-결합성 폴리펩티드 또는 BAFF 항체의 기타 예는, 예를 들어 다음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WO 2002/092620, WO 2003/014294, Gordon et al., Biochemistry 42(20):5977-5983 (2003), Kelley et al. J Biol Chem. 279(16): 16727-16735 (2004), WO 1998/18921, WO 2001/12812, WO 2000/68378 and WO 2000/40716].
"패키지 삽입물"은 적응증, 활용, 투여량, 투여, 금기사항, 패키지된 제품과 병용될 기타 치료 제품, 및/또는 이러한 치료 제품의 사용과 관련한 경고에 관한 정보를 함유하고 있는, 치료 제품의 상업적 패키지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지침서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물"은 쇼그렌 증후군 또는 그의 증상 또는 부작용을 치료하기 위한 활성약이다.
"시각 아날로그 등급" 또는 "VAS"는 연속치 전 범위에 걸쳐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특징적이거나 심적인 측정치이며, 직접 측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양은 통증 양이 전혀 없는 것에서부터 극도 량의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연속치 전 범위에 걸쳐 있다. 환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스펙트럼은 연속적인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환자의 통증이 불연속적으로 갑자기 도약하지 않고, 통증이 전혀 없거나, 약한 수준, 중간 수준 및 중증 수준으로 분류되어 제안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원적인 연속체 개념을 포착하여 VAS를 고안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명백히 고도로 주관적이기 때문에, 이들 등급은 개개인 내에서의 변화를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의미를 가지며, 한 시점에서 특정 개개인 그룹 전반에 걸쳐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의미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VAS 측면에서 기저 수준에 비해 개선되었다는 것은, 치료 전에 이러한 등급 측면에서 자신의 기저 수준 측정치에 비해 개개 환자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지칭한다. 한 양태에서는, 작동적으로 VAS가 수평선이고, 길이가 10 mm이며, 각 말단에 워드 디스크립터 (word descriptor)에 의해 고정된다. 환자는 상기 선 위에 환자 자신이 현재 상태를 어떻게 느끼고 인식하는지를 점으로 표시한다. VAS 스코어는 종종, 상기 선의 좌측 말단에서부터 환자가 표시한 지점까지 수 밀리미터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VAS 등급을 제시하는 기타 많은 방식이 있는데, 이에는 여분의 디스크립터를 이용한 선과 수직선이 포함된다. 문헌 [참고: Wewers & Lowe,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3: 227-236 (1990)]에는 VAS에 관한 유익한 토의가 제공된다 [참고: Gould et 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0: 697-706 (2001)]. 상기 등급 측면에서의 건조증 마커는 쇼그렌 증후군 증상으로서 발생하는 바와 같은 안구 건조증 또는 구내 건조증, 또는 이들의 조합 증상이다. 상기 등급 측면에서의 피로 마커는 힘과 에너지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나약함, 피곤함, 및 쇼그렌 증후군 증상으로서의 기타 형태의 피로이고, 상기 등급 측면에서의 관절 통증 마커는 쇼그렌 증후군 증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관절 통증 또는 하나 이상의 관절에 침범하는 관절통, 예를 들어 관절염의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바와 같은, 특정 관절 (에: 무릎 관절, 손가락 관절, 허리, 발목 등)의 강직 또는 염증이다.
II. 치료 (처치)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길항제, 바람직하게는 항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CD20 항체) 및 항말라리아제의 유효량을 치료에 적격한 환자에게 투여하여, VAS 측면에서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의 3가지 측정치 중 2가지 이상을 기저 수준에 비해 약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50% 이상)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치료에 적격한 환자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자가 건조증과, 관절 통증 또는 피로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있어 기저 수준으로부터의 개선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항말라리아제가 히드록시클로로퀸이고, 기타 약물,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가 전혀 제공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기저 수준에 비해 개선된다는 것이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의 3가지 모두가 개선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효량은 CD20 항체는 사용하지 않고 항말라리아제만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조군 치료에 비해 개선을 제공해준다.
바람직한 항말라리아제는 히드록시클로로퀸 또는 클로로퀸, 가장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클로로퀸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항체 (바람직하게는 CD20 항체)의 유효량을 치료에 적격한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4 그램,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3.5 그램,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2.5 그램)의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다음,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4 그램,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3.5 그램,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2.5 그램)의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제2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 (바람직하게는 약 20주 내지 30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치료에 적격한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제2 항체 노출은 초기 항체 노출 후 대상체를 CD20 항체로 치료하는 다음 차례이므로, 초기 노출과 제2 노출 사이에는 어떠한 CD20 항체 치료나 노출도 개입되지 않는다. 치료에는, 예를 들어 본원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은 한 가지 이상의 1차 및/또는 2차 효능 종말점을 충족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CD20 항체를 투여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4 그램,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3.5 그램,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2.5 그램)의 제3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3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46주 내지 60주 (바람직하게는 약 46주 내지 55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6주 내지 52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초기 노출로부터 적어도 약 70주 내지 75주까지는 추가의 항체 노출이 전혀 제공되지 않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초기 노출로부터 약 74주 내지 80주까지는 추가의 항체 노출이 전혀 제공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한 가지 이상의 항체 노출은 대상체에게 단일 용량의 항체로서, 또는 1회 내지 4회 분리된 용량의 항체로서 (예를 들어, 제1회분 용량과 제2회분 용량으로 구성되거나, 제1회분, 제2회분 또는 제3회분 용량으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제1회분, 제2회분, 제3회분 또는 제4회분 용량으로서 구성됨) 제공될 수 있다. 각 항체 노출에 이용된 특정한 용량 수 (1회, 2회 또는 3회 이상 이든지 간에)는, 예를 들어 치료받는 쇼그렌 증후군의 유형, 이용된 항체의 유형, 제2 약물이 다음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용되는지의 여부, 이용된 제2 약물의 유형, 얼마나 많은 제2 약물이 이용되는지의 여부 및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에 좌우된다. 분리된 용량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나중 용량 (예: 제2회분 용량 또는 제3회분 용량)을 이전 용량 투여 시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약 1일 내지 20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일 내지 16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4일 내지 16일 후에 투여한다. 분리된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일 내지 4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 약 1일 내지 20일의 기간 (예를 들어, 6일 내지 18일의 기간) 내에 투여한다. 이러한 하나의 국면에서는, 분리된 용량을 대략 매주 투여하는데, 제2회분 용량은 제1회분 용량 투여로부터 대략 1주 후에 투여하고, 제3회분 용량 또는 후속 용량은 제2회분 용량 투여로부터 대략 1주 후에 투여한다. 이러한 항체의 분리된 용량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5 그램,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75 내지 1.3 그램이다.
한 양태에서는, 대상체에게 약 3회 이상의 항체 노출, 예를 들어 약 3 내지 60회 노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40회 노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20회 노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노출을 각각 약 24주 간격으로 투여한다. 한 양태에서는, 각 항체 노출을 단일 용량의 항체로서 제공한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각 항체 노출을 분리된 용량의 항체로서 제공한다. 그러나, 모든 항체 노출이 단일 용량 또는 분리된 용량으로서 제공될 필요는 없다.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약 2 내지 3 그램의 CD20 항체를 초기 노출로서 투여한다. 약 3 그램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초기 노출로서 약 1 그램의 CD20 항체를 약 3주 동안 매주 투여한다. 약 2 그램의 CD20 항체를 초기 노출로서 투여하는 경우에는, 초기 노출로서 약 1 그램의 CD20 항체를 약 2주 내에 투여한 다음, 또다른 약 1 그램의 항체를 투여한다. 바람직한 국면에서는,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6개월 째에 이루어지고, 약 2 그램의 양으로 투여된다. 또다른 바람직한 국면에서는,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6개월 째에 이루어지고, 약 1 그램의 항체를 약 2주 내에 투여한 다음, 또다른 약 1 그램의 항체를 투여한다. 바람직하게는, 항말라리아제를 CD20 항체와 함께 대상체에게 투여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또다른 한편, 스테로이드 (예: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초기 항체 노출과 함께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국면에서는, 스테로이드를 제2 노출과 함께 투여하지 않거나 제2 노출과 함께 투여하지만, 초기 투여와 함께 사용된 것보다 적은 양으로 투여된다. 스테로이드를 제3 또는 나중 노출과 함께 투여하지 않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원에 제시된 본 발명의 모든 방법에서, CD20 또는 B-세포 표면 마커 항체는 순수한 항체이거나 또는 또다른 분자, 예를 들어 세포독성제 (예: 방사성 화합물)와 접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CD20 항체는 키메라, 인간화 또는 인간 CD20 항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리툭시마브, 인간화 2H7 (예를 들어, 서열 2 및 8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함), 키메라 또는 인간화 A20 항체 (공급처: Immunomedics), 및 HUMAX-CD20™ 인간 CD20 항체 (젠마브: Genmab)이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리툭시마브 또는 인간화 2H7이다.
또한, 쇼그렌 증후군이 어떠한 단계 (병기)일 수도 있지만,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쇼그렌 증후군이 2차 쇼그렌 증후군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쇼그렌 증후군이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이다.
한 양태에서는,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기존에 면역억제제와 같은 약물(들)로 치료한 적이 결코 없고/없거나 기존에 B-세포 표면 마커에 대한 항체 (예: CD20 항체)로 치료한 적이 결코 없다. 추가의 국면에서는, 환자가 쇼그렌 증후군에 재발되었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환자가 쇼그렌 증후군에 재발되지 않았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기존에 약물(들)로 치료한 적이 있고/있거나 기존에 상기 항체로 치료한 적이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CD20 항체가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유일한 약물이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CD20 항체가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들 중의 하나이다. 추가의 양태에서는, 대상체가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앓고 있지 않다. 또한 추가의 양태에서는, 대상체가 다발성 경화증을 앓고 있지 않다. 추가의 양태에서는, 대상체가 루푸스 또는 ANCA-관련 혈관염을 앓고 있지 않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대상체가 쇼그렌 증후군 이외의 자가면역 질환을 앓고 있지 않다. 가장 나중에 언급한 것에 관해 설명하자면, 본원에서의 "자가면역 질환"은 개개인 자신의 조직 또는 기관이나 그의 공동-분리물 또는 발현으로부터 유발되고 이에 대항하여 유도된 질병 또는 장애, 또는 이로부터 비롯되는 질환이다. 한 양태에서는, 상기 질환이 정상적인 신체 조직 및 항원과 반응성인 항체가 B 세포에 의해 생성됨으로써 비롯되거나 이에 의해 악화되는 질환을 지칭한다. 기타 양태에서는, 자가면역 질환이 자기 항원 (예: 핵 항원)으로부터의 에피토프에 대해 특이적인 자가항체의 분비와 관련이 있는 질환이다.
본원의 방법 모두에서는,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길항제 또는 항체 (예: CD20 항체)와 함께, 유효량의 또다른 약물, 예를 들어 세포독성제,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사이토킨, 사이토킨 길항제 또는 항체, 성장 인자, 호르몬, 인테그린, 인테그린 길항제 또는 항체를 투여할 수 있다. 항말라리아제를 이용하기도 하는 본원의 제1 방법에서는, 이러한 약물이 제3 약물로 지칭되는데, 여기서는 CD20 항체 등의 길항제 (또는 길항제, 예를 들어 항체의 조합물)가 제1 약물이고, 항말라리아제가 제2 약물이다. 항체를 다중 노출로 투여하는 본원의 제2 방법에서는, 상기 약물이 제2 약물로 지칭되는데, 여기서는 상기 항체가 제1 약물이다.
이러한 부가의 약물의 예에는 화학요법제, 인터페론 부류 약물, 예를 들어 인터페론-알파 (공급처: Amarillo Biosciences, Inc.), IFN-베타-la (REBIF® 및 AVONEX®) 또는 IFN-베타-lb (BETASERON®), 올리고펩티드, 예를 들어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 (COPAXONE®), 세포독성제 [예를 들어, 미톡산트론 (NOVANTRONE®), 메토트렉세이트, 시클로포스파미드, 클로람부실 및 아자티오프린], 피록시캄 (FELDENE®), 진통 특성과 해열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감마 글로불린), 림프구-고갈 요법 [예: 미톡산트론, 시클로포스파미드, CAMPATH™ 항체, 항-CD4, 클라드리빈, 자기반응성 B-세포의 Ig 수용체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되는 탈면역시킨 자기반응성 항원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도메인을 수반한 폴리펩티드 구조물 (WO 2003/68822), 전신 조사, 골수 이식], 인테그린 길항제 또는 항체 [예: LFA-1 항체, 예를 들어 에팔리주마브/RAPTIVA® (공급처: Genentech), 또는 알파 4 인테그린 항체, 예를 들어 나탈리주마브/ANTEGREN® (공급처: Biogen), 또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기타],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은, 쇼그렌 증후군과 관계되거나 이에 부차적인 증상 (예: 건조증, 종창, 실금, 통증, 피로)을 치료하는 약물,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예를 들어 저용량 프레드니손, 덱사메타손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를 들어,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을 포함한 관절 주사를 통함)], 비-림프구-고갈성 면역억제 요법 (예: MMF 또는 시클로스포린), "스타틴" 부류의 콜레스테롤 저하성 약물 [이에는 세리바스타틴 (BAYCOL™), 플루바스타틴 (LESCOL™), 아토르바스타틴 (LIPITOR™), 로바스타틴 (MEVACOR™), 프라바스타틴 (PRAVACHOL™), 및 심바스타틴 (ZOCOR™)이 포함된다], 에스트라디올, 테스토스테론 (임의로는 상승된 투여량; 참고: Stuve et al. Neurology 8:290-301 (2002)], 안드로겐, 호르몬-대체 요법, TNF 억제제 (이는 피로 또는 쇼그렌 증후군의 기타 증상을 치료하는데 적어도 유용할 수 있음), DMARD,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것을 포함한 항말라리아제, NSAID, 혈장분리반출술 (plasmapheresis), 레보티록신, 시클로스포린 A, 소마타스타틴 유사체, 사이토킨, 항-사이토킨 길항제 또는 항체, 항대사제, 면역억제제, 재활 수술, 방사성요오드, 갑상선절제술, BAFF 길항제, 예를 들어 BAFF 또는 BR3 항체 또는 면역부착인자, 항-CD40 수용체 또는 항-CD40 리간드 (CD154), 항-IL-6 수용체 길항제/항체, 또다른 B-세포 표면 길항제 또는 항체, 예를 들어 인간화 2H7 또는 기타 인간화 또는 인간 CD20 항체 (리툭시마브를 수반함)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부가의 약물에는 또한, 기타 유형의 치료, 예를 들어 유전자 요법, 예를 들면, 쇼그렌 증후군으로 인해 손상된 타액선을 복구하기 위해 환자의 두경부암 치료를 위한 인간 유전자 전이 연구가 포함된다.
상기 약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는 수분-대체 요법, 예를 들어 건조증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점안제, 화학요법제, 세포독성제, 항-인테그린, 감마 글로불린, 항-CD4, 클라드리빈, 코르티코스테로이드, MMF, 시클로스포린, 스타틴 부류의 콜레스테롤 저하성 약물, 에스트라디올, 테스토스테론, 안드로겐, 호르몬-대체 약물, TNF 억제제, DMARD, NSAID (예를 들어, 근골격계 증상을 치료하기 위함), 레보티록신, 시클로스포린 A, 소마타스타틴 유사체, 사이토킨 길항제 또는 사이토킨-수용체 길항제, 항대사제, 항말라리아제, BAFF 길항제, 예를 들어 BAFF 항체 또는 BR3 항체, 특히 BAFF 항체, 면역억제제, 및 또다른 B-세포 표면 마커 항체, 예를 들어 리툭시마브와 인간화 2H7 또는 기타 인간화 CD20 항체의 병용물이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한 상기 약물은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BAFF 길항제, 예를 들어 BAFF 또는 BR3 항체, DMARD, 수분 대체 요법,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NSAID, 사이토킨 길항제, 분비성 작동제 또는 호르몬, 또는 그들의 병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로이드,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 NSAID 또는 면역억제제, 또는 그들의 병용물이다. DMARD, 예를 들어 항말라리아제는, 예를 들면, 관절 통증, 피부 발진 및 모발 손실을 경감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는, 예를 들어 보다 중증의 합병증, 예를 들면, 혈관염 또는 신경계 병발, 및 기관-치명적 질환을 수반하는 몇몇 대상체에게 요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NSAIDS 및 항말라리아제가 실패한 경우), 이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또는 덱사메타손 등의 스테로이드가 포함된다. 분비성 작동제, 예를 들어, SALAGEN® 필로카르핀 히드로클로라이드, EVOXAC® 세비멜린 또는 브롬헥신, 또는 그의 제약 염은 구내 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한 제2 약물로서 유용하고, 디쿠아포솔, REFRESH ENDURA® 윤활성 점안제, 세비멜린, 시스테아민 점안제, 및 시클로스포린 안과용 에멀젼은 안구 건조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NSAIDs는, 예를 들어 관절 통증, 종창, 근육통, 발열을 경감시키는데 유용하고, 이에는 아스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및 톨메틴이 포함된다. 면역억제제는, 예를 들어 주요 장기 병발을 수반한 (주요 장기가 연루된) 극히 활동성인 질병에 요구될 수 있으며, 이에는 시클로포스파미드 (CYTOXAN®), 클로람부실, 아자티오프린 (IMURAN®), 및 메토트렉세이트가 포함된다. BAFF 길항제는 효능을 위해 CD20 항체와 병용해서 유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DMARDs, NSAIDs이고, 보다 중증의 합병증에 대해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사이토킨 길항제, 또는 호르몬이 보다 바람직하고, NSAID,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억제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제2 약물에 대해 또한 바람직한 것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또다른 제2 약물과 병용되는 항말라리아제이다.
한 가지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제2 또는 제3 약물이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바람직하게는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또는 덱사메타손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테로이드는, 스테로이드로 치료한 환자에게 CD20 항체를 투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 것보다 적은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특히 바람직한 국면에서는, 제2 또는 제3 약물이 구내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로카르핀 히드로클로라이드, 세비멜린 또는 브롬헥신, 또는 그의 제약 염이거나,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 예를 들어 디쿠아포솔, 시스테아민 점안제, REFRESH ENDURA® 윤활성 점안제, 세비멜린, 및 시클로스포린 안과용 에멀젼이다.
또다른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제2 또는 제3 약물이 NSAID,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또는 톨메틴이다.
추가의 특히 바람직한 국면에서는, 제2 또는 제3 약물이 면역억제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포스파미드, 클로람부실, 아자티오프린 또는 메토트렉세이트이다.
이들 제2 또는 제3 약물 모두는 서로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CD20 항체와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표현 "제2 약물" 또는 "제3 약물"은 그것이 각각, 제1 또는 제2 약물 이외의 유일한 약물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또는 제3 약물이 한 가지 약물일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약물의 한 가지 이상을 구성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이들 제2 및 제3 약물은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앞서 사용된 바와 동일한 투여량과 투여 경로로 사용하거나, 또는 지금까지 이용되어온 투여량의 약 1 내지 99%로 사용한다. 이러한 제2 또는 제3 약물을 반드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로써 유발되는 부작용을 없애거나 저하시키기 위해, 특히 항체를 이용한 초기 투여를 벗어난 후속 투여에서 CD20 항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보다 더 낮은 양으로 이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약물을 항체 노출과 함께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이를 어떠한 노출과도 함께, 예를 들어 단지 1회 노출과 함께 투여하거나, 또는 1회 이상 노출과 함께 투여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제2 약물을 초기 노출과 함께 투여한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제2 약물을 초기 및 제2 노출과 함께 투여한다. 또한 추가의 양태에서는, 제2 약물을 모든 노출과 함께 투여한다.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를 초기 노출시킨 후, 부작용을 일으키는 작용제, 예를 들어 프레드니손 및 시클로포스파미드를 대상체에게 노출시키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작용제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이를 없앤다.
제2 약물 및/또는 제3 약물의 병용 투여에는 별개의 제형 또는 단일 제약 제형을 사용하여 공동-투여 (동시 투여)하는 것과, 어느 한 순서로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포함되는데, 양 활성제 (또는 모든 활성제) (약물)가 그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동시에 발휘하는 데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본원의 항체 또는 길항제는 적합한 모든 수단, 예를 들어 비경구, 국소, 피하, 복강내, 폐내, 비내 및/또는 병변내 투여에 의해 투여한다. 비경구 주입에는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또는 피하 투여가 포함된다. 수막강내 투여가 또한 고려된다 [참고: US 2002/0009444, Grillo-Lopez, A concerning intrathecal delivery of a CD20 antibody]. 또한, 항체 또는 길항제는 펄스 주입 (예를 들어, 항체 또는 길항제 용량을 감소시키면서 투여함)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맥내 주입한다.
항체를 다중 노출시키는 경우, 각 노출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각 노출이 정맥내 투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각 노출이 피하 투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노출이 정맥내 투여와 피하 투여 둘 다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 양태에서는, CD20 항체를 정맥내 푸쉬 또는 거환이 아닌 느린 정맥내 주입제로서 투여한다.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예를 들면, 프레드니손 또는 메틸프레드니솔론 (예: 약 80 내지 120 mg 정맥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mg 정맥내)을, CD20 항체 주입하기 대략 30분 전에 투여한다. CD20 항체는, 예를 들어 전용선을 통하여 주입한다.
CD20 항체에 대한 복수회 용량 노출의 초기 용량에 대해, 또는 노출이 단지 1회 용량 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단일 용량에 대해서는, 상기 주입을 시간당 약 50 mg의 속도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약 30분 마다 시간당 약 50 mg의 속도에서 시간당 최대 약 400 mg으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대상체가 주입과 관계된 반응을 일으킨다면, 이러한 주입 속도는, 예를 들어 현재 주입 속도의 절반으로, 예를 들어 시간당 100 mg에서 시간당 50 mg으로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용량의 CD20 항체 (예를 들어, 약 1000-mg 총 용량)의 주입을 약 255분 (4시간 15분)에 완료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입을 시작하기 약 30분 내지 60분 전에 예방적 처치를 위해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 (예: 약 1 g) 및 디펜히드라민 HCl (예: 약 50 mg 또는 유사한 작용제의 등가 용량)을 대상체에게 구강 투여한다.
1회 이상 주입 (용량)의 CD20 항체를 제공하여 총 노출을 달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주입 양태에서 제2 또는 후속 CD20 항체 주입을 초기 주입 속도 보다 높은 속도, 예를 들어 시간당 약 100 mg으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속도는 약 30분 마다 시간당 약 100 mg의 속도에서 시간당 최대 약 400 mg으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대상체가 주입과 관계된 반응을 일으킨다면, 이러한 주입 속도는 상기 주입 속도의 절반으로, 예를 들어 시간당 100 mg에서 시간당 50 mg으로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또는 후속 용량의 CD20 항체 (예를 들어, 약 1000-mg 총 용량)의 주입을 대략 195분 (3시간 15분)에 완료한다.
상기 항체의 생성, 변형 및 제형화 방법에 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III. 항체 생성
본 발명의 방법 및 제조품은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항체, 특히 CD20과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거나 이를 혼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항체의 생성 방법이 본원에 기재된다.
항체(들) 생성을 위해 또는 항체(들) 스크리닝을 위해 사용될 CD20 항원은, 예를 들어 목적하는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가용성 형태의 CD20 또는 그의 일부일 수 있다. 또다른 한편 또는 부가적으로, 그들의 세포 표면에 CD20을 발현하는 세포를 사용하여 항체(들)을 생성시키거나 이에 대해 스크리닝할 수 있다. 항체를 생성시키는데 유용한 기타 형태의 CD20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음 설명은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된 항체를 생성하기 위한 기술을 예시한 것이다.
(i) 폴리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는 관련 항원 및 아쥬반트를 수회 피하 (sc) 또는 복강내 (ip) 주사함으로써 동물에게서 생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관능성 또는 유도체화제, 예를 들어 말레이미도벤조일 설포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시스테인 잔기를 통한 접합),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리신 잔기를 통함), 글루타르알데히드, 석신산 무수물, SOCl2 또는 R1N=C=NR (여기서, R 및 R1은 상이한 알킬기임)를 사용하여, 면역시키고자 하는 종에서 면역원성인 단백질, 예를 들어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keyhole limpet hemocyanin), 혈청 알부민, 소의 티로글로불린 또는 대두 트립신 억제제에 관련 항원을 접합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토끼 또는 마우스에 대한) 100 ㎍ 또는 5 ㎍의 단백질 또는 접합체를 3 용적의 프로인트 완전 아주반트와 합하고, 이 용액을 다중 부위에 피내 주사함으로써, 동물을 항원, 면역원성 접합체 또는 유도체에 대항하여 면역시킨다. 1개월 후, 프로인트 완전 아주반트 중의 펩티드 또는 접합체 본래 양의 1/5 또는 1/10을 다중 부위에 피하 주사함으로써, 상기 동물을 추가 면역시킨다. 7 내지 14일 후에, 상기 동물을 출혈시키고, 혈청을 대상으로 하여 항체 역가에 대해 검정한다. 역가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동물을 추가 면역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항원의 접합체이긴 하지만, 상이한 단백질과 접합되고/되거나 상이한 가교결합 시약을 통하여 접합된 접합체를 이용하여 동물을 추가 면역시킨다. 접합체를 재조합 세포 배양물 내에서 단백질 융합물로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백반 등의 응집제를 적합하게 사용하여 면역 반응을 증강시킨다.
(ii) 모노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질적 항체 집단, 즉 집단을 차지하고 있는 개개의 항체가, 모노클로날 항체 생성 동안 유발될 수도 있는 가능한 변이체 (이러한 변이체는 일반적으로 미량으로 존재함)를 제외하고는 동일하고/하거나 동일한 에피토프와 결합하는 집단으로부터 수득한다. 따라서, 수식어 "모노클로날"은 항체의 형질이 별개의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의 혼합물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모노클로날 항체는 문헌 [참고: Kohler et al., Nature, 256: 495 (1975)]에 최초로 기재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DNA 방법 [참고: 미국 특허 제4,816,567호]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에서는, 마우스 또는 기타 적당한 숙주 동물, 예를 들어 햄스터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면역시켜, 면역을 위해 사용된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시키거나 생성시킬 수 있는 림프구를 유도시킨다. 또다른 한편, 림프구를 시험관 내에서 면역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적합한 융합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여, 림프구를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켜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형성시킨다 [참고: Goding, Monoclonal Antibodies: Principles and Practice, pp. 59-103 (Academic Press, 1986)].
이로써 제조된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시딩하고, 바람직하게는 융합되지 않은 모 골수종 세포의 성장 또는 생존을 억제하는 한 가지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적합한 배양 배지에서 성장시킨다. 예를 들어, 모 골수종 세포에 효소 히포크산틴 구아닌 포스포리보실 트랜스퍼라제 (HGPRT 또는 HPRT)가 결여된 경우에는, 하이브리도마에 대한 배양 배지가 전형적으로, HGPRT-결핍성 세포의 성장을 방지시키는 물질인 히포크산틴, 아미노프테린 및 티미딘 (HAT 배지)를 포함할 것이다.
바람직한 골수종 세포는 효율적으로 융합시켜 주고, 선별된 항체 생산 세포에 의한 안정한 고수준의 항체 생성을 뒷받침해주며, HAT 배지 등의 배지에 민감한 세포이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골수종 세포주는 뮤린 골수종 세포주, 예를 들어 공급처 [Salk Institute Cell Distribution Center, San Diego, California USA]로부터 입수 가능한 MOPC-21 및 MPC-11 마우스 종양으로부터 유래된 것; 및 공급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aryland USA]로부터 입수 가능한 SP-2 또는 X63-Ag8-653 세포이다. 인간 골수종 및 마우스-인간 이종-골수종 세포주 또한, 인간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참고: Kozbor, J. Immunol., 133: 3001 (1984); Brodeur et al.,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51-63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7)].
하이브리도마 세포가 성장하고 있는 배양 배지를 대상으로 하여, 항원에 대항하여 유도된 모노클로날 항체의 생성에 대해 검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의해 생성된 모노클로날 항체의 결합 특이성은 면역침전법, 또는 시험관내 결합 검정, 예를 들어 방사성 면역검정 (RIA) 또는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ELISA)에 의해 결정한다.
모노클로날 항체의 결합 친화성은, 예를 들어 문헌 [참고: Munson et al., Anal. Biochem., 107: 220 (1980)]의 스캐챠드 (Scatchard) 분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목적하는 특이성, 친화성, 및/또는 활성의 항체를 생성시키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확인한 후, 제한 희석 과정에 의해 클론을 아클로닝시킨 다음, 표준 방법에 의해 성장시킬 수 있다 [참고: Goding, Monoclonal Antibodies: Principles and Practice, pp. 59-103 (Academic Press, 1986)].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배양 배지에는, 예를 들어 D-MEM 또는 RPMI-1640 배지가 포함된다. 또한,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동물 중에서 복수 (ascites) 종양으로서 생체 내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클론에 의해 분비된 모노클로날 항체를, 통상적인 면역글로불린 정제 과정, 예를 들어 단백질 A-세파로스, 히드록실아파타이트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투석 또는 친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배양 배지, 복수액 또는 혈청으로부터 적합하게 격리시킨다.
모노클로날 항체를 암호화하는 DNA는 통상적인 과정 (예를 들면, 뮤린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사용함)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분리 및 서열 분석한다.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이러한 DNA의 바람직한 공급원으로서 제공된다. 일단 분리되면, DNA를 발현 벡터 내로 위치시킨 다음, 숙주 세포, 예를 들어 이. 콜라이 (E. coli) 세포, 원숭이 COS 세포, 중국산 햄스터 난소 (CHO) 세포, 또는 골수종 세포 (이들은 면역글로불린 단백질을 생산하지 않음) 내로 형질감염시켜 재조합 숙주 세포에서 모노클로날 항체의 합성을 획득할 수 있다. 항체를 암호화하는 DNA를 세균 내에서 재조합 발현시키는 것에 관한 고찰 문헌에는 다음 문헌이 포함된다 [참고: Skerra et al., Curr. Opinion in Immunol., 5: 256-262 (1993) and Pluckthun, Immunol. Revs., 130: 151-188 (1992)].
추가의 양태에서는,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문헌 [참고: McCafferty et al., Nature, 348:552-554 (1990)]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된 항체 파아지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문헌 [참고: Clackson et al., Nature, 352: 624-628 (1991) and Marks et al., J. Mol. Biol., 222: 581-597 (1991)]에는 파아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뮤린 및 인간 항체를 각각 분리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후속 공개 문헌에는 매우 큰 파아지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조합 감염 및 생체내 재조합 [참고: Waterhouse et al., Nuc. Acids. Res., 21: 2265-2266 (1993)] 뿐만 아니라 연쇄 셔플링 [참고: Marks et al., Bio/Technology, 10: 779-783 (1992)]에 의해 고 친화성 (nM 범위) 인간 항체를 생성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기술은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전통적인 모노클로날 항체 하이브리도마 기술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체 방안이다.
DNA는, 예를 들어, 상동성 뮤린 서열 대신 인간 중쇄 및 경쇄 불변 도메인을 암호화 서열로 치환시키거나 [참고: 미국 특허 제4,816,567호; 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 6851 (1984)], 또는 면역글로불린 암호화 서열에 비-면역글로불린 폴리펩티드에 대한 암호화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유 결합시킴으로써 변형시킬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비-면역글로불린 폴리펩티드를 항체의 불변 도메인 대신 사용하거나, 또는 항체의 하나의 항원 결합 부위의 가변 도메인 대신 사용하여,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지닌 하나의 항원 결합 부위와, 상이한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지닌 또다른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키메라 2가 항체를 창출시킨다.
(iii) 인간화 항체
비-인간 항체를 인간화시키는 방법이 당해 분야에 보고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화 항체가 비-인간 공급원으로부터 도입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다. 이들 비-인간 아미노산 잔기는 종종 "유입 (import)" 잔기로서 지칭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유입" 가변 도메인으로부터 취한다. 인간화는 필수적으로, 인간 항체의 상응하는 서열을 초가변 영역 서열로 대체함으로써, 다음 문헌의 방법에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참고: Winter and co-workers (Jones et al., Nature, 321: 522-525 (1986); Riechmann et al., Nature, 332: 323-327 (1988); Verhoeyen et al, Science, 239: 1534-1536 (1988)]. 따라서, 이러한 "인간화" 항체는 실질적으로 덜한 본래의 인간 가변 도메인을 비-인간 종으로부터의 상응하는 서열로 대체시킨 키메라 항체 [참고: 미국 특허 제4,816,567호]이다. 실제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전형적으로, 몇몇 초가변 영역 잔기와 가능하게는 몇몇 FR 잔기를 설치류 항체 내의 유사한 부위로부터의 잔기로 대체시킨 인간 항체이다.
인간화 항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쇄 및 중쇄의 인간 가변 도메인의 선택이 항원성을 저하시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소위 "최량 적합 (best-fit)" 방법에 따르면, 설치류 항체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공지된 인간 가변 도메인 서열의 전체 라이브러리에 대항하여 스크리닝한다. 이때, 설치류의 서열에 가장 근접한 인간 서열을 인간화 항체에 대한 인간 골격 영역 (FR)으로서 허용한다 [참고: Sims et al., J. Immunol., 151: 2296 (1993); Chothia et al., J. Mol. Biol., 196: 901 (1987)]. 또다른 방법은 경쇄 또는 중쇄 가변 영역의 특정한 아군의 모든 인간 항체의 컨센서스 서열로부터 유래된 특별한 골격 영역을 이용한다. 동일한 골격을 여러 개의 상이한 인간화 항체에 사용할 수 있다 [참고: Cart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9: 4285 (1992); Presta et al., J. Immunol., 15-1 :2623 (1993)].
항원에 대한 고 친화성과 기타 바람직한 생물학적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항체로 인간화시키는 것이 추가로 중요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모 서열과 인간화 서열의 3차원적 모델을 이용하여 모 서열과 각종 개념적 인간화 생성물의 분석 공정에 의해 인간화 항체를 제조한다. 3차원적 면역글로불린 모델은 시판되고 있으며,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선택된 후보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추정상의 3차원적 입체 형태 구조를 예시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입수 가능하다. 이들 디스플레이를 검사하여, 후보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기능에 있어 잔기의 예상 역할을 분석할 수 있는데, 즉 후보 면역글로불린이 그의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FR 잔기를 선별하고, 이를 수용자로부터 유입 서열과 합하여, 목적하는 항체 특징, 예를 들면, 표적 항원(들)에 대한 증가된 친화성을 달성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초가변 영역 잔기는 항원 결합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직접적이면서도 가장 실재적으로 관여한다.
(iv) 인간 항체
인간화에 대한 대체 방안으로서, 인간 항체를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역시 내인성 면역글로불린 생성의 부재 하에 완전한 레퍼토리의 인간 항체를 생성시킬 수 있는 트랜스제닉 (transgenic) 동물 (예: 마우스)를 생산하는 것이 현재 가능하다. 예를 들어, 키메라 및 생식세포계 돌연변이체 마우스에서 항체 중쇄 연결 영역 (JH) 유전자의 동형접합성 결실로 인해, 내인성 항체 생성이 완전히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생식세포계 돌연변이체 마우스에서 인간 생식세포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어레이를 전이시키면, 항원 챌린지시 인간 항체가 생성될 것이다 [참고: 예를 들어, Jakobovit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 2551 (1993); Jakobovits et al., Nature, 362: 255-258 (1993); Bruggermann et al., Year in Immuno., 7: 33 (1993); 및 미국 특허 제5,591,669호, 제5,589,369호 및 제5,545,807호].
또다른 한편, 파아지 디스플레이 기술 [참고: McCafferty et al., Nature 348: 552-553 (1990)]을 사용하여, 면역시키지 않은 공여자로부터의 면역글로불린 가변 (V) 도메인 유전자 레퍼토리로부터 인간 항체 및 항체 단편을 시험관 내에서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항체 V 도메인 유전자를 필라멘트상 박테리오파아지, 예를 들어 M13 또는 fd의 주요 또는 소수의 외피 단백질 유전자 내로 동일 프레임 내에서 클로닝시키고, 파아지 입자 표면 상에서 기능적 항체 단편으로서 디스플레이한다. 필라멘트상 입자는 파아지 게놈의 단일 가닥 DNA 카피 (copy)를 함유하기 때문에, 항체의 기능적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선별하게 되면, 이들 특성을 나타내는 항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선별할 수 있다. 따라서, 파아지는 B 세포의 특성들 중의 몇 가지 특성을 모방한다. 파아지 디스플레이는 각종 포맷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고찰은, 예를 들어 다음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Johnson, Kevin S. and Chiswell, David J., Current Opinion in Structural Biology 3: 564-571 (1993)]. V-유전자 절편의 몇 가지 공급원을 파아지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문헌 [참고: Clackson et al., Nature, 352 : 624-628 (1991)]에서는 면역시킨 마우스의 비장으로부터 유래된 V 유전자의 작은 무작위 조합 라이브러리로부터 항옥사졸론 항체의 다양한 어레이를 분리하였다. 면역시키지 않은 인간 공여자로부터의 V 유전자 레퍼토리를 구축할 수 있고, 다양한 항원 (자기 항원 포함) 어레이에 대한 항체는 본질적으로, 문헌 [참고: Marks et al., J. Mol. Biol. 222: 581-597 (1991), 또는 Griffith et al., EMBO J. 12: 725-734 (1993)]에 기재된 기술에 따라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565,332호 및 제5,573,905호 참고].
인간 항체는 시험관내 활성화 B 세포에 의해 생성시킬 수도 있다 [참고: 미국 특허 제5,567,610호 및 제5,229,275호].
(v) 항체 단편
항체 단편을 생성시키기 위한 각종 기술이 개발되었다. 전통적으로, 이들 단편은 본래의 항체를 단백질 분해적 분해시킴으로써 유도되었다 [참고: 예를 들어, Morimoto et al., Journal of Biochemical and Biophysical Methods 24: 107-117 (1992) and Brennan et al., Science, 229: 81 (1985)]. 그러나, 이들 단편은 현재, 재조합 숙주 세포에 의해 직접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 단편은 상기 논의된 항체 파아지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다른 한편, Fab'-SH 단편을 이. 콜라이로부터 직접 회수하고, 이를 화학적으로 커플링시켜 F(ab')2 단편을 형성시킬 수 있다 [참고: Carter et al., Bio/Technology 10: 163-167 (1992)]. 또다른 접근법에 따르면, F(ab')2 단편을 재조합 숙주 세포 배양물로부터 직접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항체 단편을 생성시키기 위한 기타 기술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기타 양태에서는 선택되는 항체가 단일 쇄 Fv 단편 (scFv)이다 [참조: WO 93/16185; 미국 특허 제5,571,894호; 및 제5,587,458호]. 항체 단편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41,87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선형 항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선형 항체 단편은 단일-특이적 또는 이중-특이적일 수 있다.
(vi) 이중-특이적 항체
이중-특이적 항체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지닌 항체이다. 예시되는 이중-특이적 항체는 CD20 항원의 2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항체는 CD20과 결합할 수 있고, 제2의 B-세포 표면 마커와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또다른 한편, 항-CD20-결합성 암을, B 세포에 대한 세포성 방어 기전에 집중하도록, 백혈구 상의 촉발성 분자, 예를 들어 T-세포 수용체 분자 (예: CD2 또는 CD3), 또는 IgG에 대한 Fc 수용체 (FcγR), 예를 들면 FcγRI (CD64), FcγRII (CD32) 및 FcγRIII (CD16)와 결합하는 암과 합할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를 사용하여 세포독성제를 B 세포에 국재시킬 수도 있다. 이들 항체는 CD20-결합성 암과, 세포독성제 (예: 사포린, 항인터페론-α, 빈카 알카로이드, 리신 A 쇄, 메토트렉세이트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 합텐)와 결합하는 암을 보유하고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완전한 길이의 항체 또는 항체 단편 (예: F(ab')2 이중-특이적 항체)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의 제조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완전한 길이의 이중-특이적 항체의 전통적인 생성 방법은 2개의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을 동시 발현시키는 것에 기초하는데, 상기 2개의 쇄는 상이한 특이성을 갖는다 [참고: Millstein et al., Nature, 305: 537-539 (1983)].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의 무작위 분류로 인해, 이들 하이브리도마 [쿠아드로마 (quadromas)]는 10개의 상이한 항체 분자의 잠재적 혼합물을 생성시키는데, 이들 중에서 1개 만이 정확한 이중-특이적 구조를 갖는다.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단계에 의해 통상 수행되는, 상기 정확한 분자의 정제는 다소 성가시고, 생성물 수율도 낮다. 유사한 과정이 문헌 [참고: WO 93/08829, 및 Traunecker et al., EMBO J., 10: 3655-3659 (1991)]에 기재되어 있다.
상이한 접근법에 따르면, 목적하는 결합 특이성 (항체-항원 결합 부위)을 지닌 항체 가변 도메인을 면역글로불린 불변 도메인 서열과 융합시킨다. 이러한 융합은 바람직하게, 힌지, CH2, 및 CH3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중쇄 불변 도메인과 이루어진다. 융합물 중의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는, 경쇄 결합에 필요한 부위를 함유하는 제1 중쇄 불변 영역 (CH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역글로불린 중쇄 융합물과, 경우에 따라 면역글로불린 경쇄를 암호화하는 DNA를 별개의 발현 벡터 내로 삽입하고, 적합한 숙주 유기체 내로 공동-형질감염시킨다. 이는 구축에 사용된 3가지 폴리펩티드 쇄의 불균등한 비율이 최적의 수율을 제공해주는 경우의 양태에서, 3가지 폴리펩티드 단편의 상호 비율을 조정하는데 있어서 큰 융통성을 제공해준다. 그러나, 2가지 이상의 폴리펩티드 쇄를 균등한 비율로 발현시키는 것이 고 수율을 가져다 주거나, 또는 이들 비율이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은 경우에, 2가지 또는 3가지 모두의 폴리펩티드 쇄에 대한 암호화 서열을 하나의 발현 벡터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근법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이중-특이적 항체가 하나의 암 중에 제1의 결합 특이성을 지닌 하이브리드 면역글로불린 중쇄와, 다른 암 중에 하이브리드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 (제2의 결합 특이성을 제공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비대칭 구조가 목적하는 이중-특이적 화합물을 불필요한 면역글로불린 쇄 조합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촉진시키는데, 이는 이중-특이적 분자의 단지 절반에만 면역글로불린 경쇄가 존재하는 것이 용이한 격리 방식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WO 94/04690에 기재되어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를 생성시키기 위한 추가의 상세 내역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Suresh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21: 210 (1986)]을 참고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731,168호에 기재된 또다른 접근법에 따르면, 한 쌍의 항체 분자 간의 계면을 공학적으로 처리하여, 재조합 세포 배양물로부터 회수되는 이종-이량체의 비율 (%)을 최대화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은 항체 불변 도메인의 CH3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제1 항체 분자의 계면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작은 아미노산 측쇄를 보다 큰 측쇄 (예: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으로 대체시킨다. 큰 측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대상성 "강(cavity)"은, 큰 아미노산 측쇄를 보다 작은 것 (예: 알라닌 또는 트레오닌)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제2 항체 분자의 계면 상에서 창출시킨다. 이는 기타 불필요한 최종 생성물, 예를 들어 동종-이량체에 비해 이종-이량체의 수율을 증가시켜 주는 기전을 제공한다.
이중-특이적 항체에는 가교결합되거나 "이종-접합체" 항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이종-접합체 내의 항체들 중의 하나를 아비딘에 커플링시킬 수 있고, 다른 것은 바이오틴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예를 들어 면역계 세포를 불필요한 세포에 대해 표적화시키고 [참고: 미국 특허 제4,676,980호], HIV 감염을 치료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참조: WO 91/00360, WO 92/200373, 및 EP 03089]. 이종-접합체 항체는 편리한 모든 가교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수 많은 가교결합 기술과 함께 미국 특허 제4,676,980호에 기재되어 있다.
항체 단편으로부터 이중-특이적 항체를 생성시키는 기술 또한 당해 분야의 문헌에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는 화학적 연쇄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문헌 [참조: Brennan et al, Science, 229: 81 (1985)]에는 본래의 항체를 단백질 분해적으로 절단시켜 F(ab')2 단편을 생성시키는 과정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단편을 디티올 착화제 나트륨 아비산염의 존재 하에 환원시켜 근접한 디티올을 안정화시키고 분자간 디설파이드 형성을 방지시킨다. 이어서, 생성된 Fab' 단편을 티오니트로벤조에이트 (TNB) 유도체로 전환시킨다. 이어서, 머캅토에틸아민으로 환원시킴으로써, Fab'-TNB 유도체들 중의 하나를 Fab'-티올로 재전환시키고, 이를 등몰량의 다른 Fab'-TNB 유도체와 혼합하여 이중-특이적 항체를 형성시킨다. 이로써 생성된 이중-특이적 항체를, 효소를 선택적으로 고정화시키기 위한 작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재조합 세포 배양물로부터 이중-특이적 항체 단편을 직접적으로 제조 및 분리하기 위한 각종 기술이 또한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루이신 지퍼를 사용하여 이중-특이적 항체를 생성시켰다 [참고: Kostelny et al., J. Immunol., 148 (5): 1547-1553 (1992)]. Fos 및 Jun 단백질로부터의 루이신 지퍼 펩티드를 유전자 융합에 의해 2개의 상이한 항체의 Fab' 부분에 연결시켰다. 항체 동종-이량체를 힌지 영역에서 환원시켜 단량체를 형성시킨 다음, 재산화시켜 항체 이종-이량체를 형성시켰다. 이러한 방법은 항체 동종-이량체를 생성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도 있다. 문헌 [참조: Holling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 6444-6448 (1993)]에 기재된 "디아보디" 기술은 이중-특이적 항체 단편을 제조하기 위한 대체 기전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단편은 동일한 쇄 상에서 두 도메인 간에 짝짓기를 허용하기에는 너무 짧은 링커에 의해 경쇄 가변 도메인 (VL)에 연결된 중쇄 가변 도메인 (VH)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편의 VH 및 VL 도메인을 또다른 단편의 상보적 VL 및 VH 도메인과 짝짓기시킴으로써, 2개의 항원-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단일 쇄 Fv (sFv) 이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이중-특이적 항체 단편을 제조하기 위한 또다른 전략이 또한 보고되었다 [참고: Gruber et al., J. Immunol, 152: 5368 (1994)].
2 원자가 이상을 갖는 항체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삼중 특이적 항체를 제조할 수 있다 [참고: Tutt et al. J. Immunol. 147: 60 (1991)].
IV. 항체의 접합체 및 기타 변형물
본원의 방법에 사용된 방법 또는 제조품에 포함된 항체는 임의로 세포독성제와 접합시킨다. 예를 들어, (CD20) 항체를 WO 2004/032828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물에 접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항체-세포독성제 접합체를 생성시키는데 유용한 화학요법제는 상기 언급되었다.
항체와 하나 이상의 소분자 독소, 예를 들어 칼리케아미신, 마이탄신 [참고: 미국 특허 제5,208,020호], 트리코텐 및 CC1065가 또한 본원에 고려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항체를 1개 이상의 마이탄신 분자와 접합시킨다 (예를 들어, 항체 분자당 약 1 내지 약 10개의 마이탄신 분자). 마이탄신은, 예를 들어 May-SS-Me로 전환시킬 수 있고, 이는 May-SH3로 환원시킬 수 있으며 변형된 항체와 반응시켜 [참고: Chari et al. Cancer Research 52: 127-131(1992)] 마이탄시노이드-항체 접합체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다른 한편으론, 항체를 1개 이상의 칼리케아미신 분자와 접합시킨다. 칼리케아미신 계열의 항생제는 이중 가닥 DNA 절단물을 피코몰 이하 농도로 생성시킬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칼리케아미신의 구조적 유사체에는 γ1 I, α2 I, α3 I, N-아세틸-γ1 I, PSAG 및 θI 1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 Hinman et al., Cancer Research, 53: 3336-3342 (1993), Lode et al., Cancer Research, 58: 2925-2928 (1998)].
사용될 수 있는 효소적 활성 독소 및 그의 단편에는 디프테리아 A 쇄, 디프테리아 독소의 비-결합성 활성 단편, 외독소 A 쇄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로부터 유래됨], 리신 A 쇄, 아브린 A 쇄, 모데신 A 쇄, 알파-사르신, 알레우리테스 포르디이 (Aleurites fordii) 단백질, 디안틴 단백질, 피톨라카 아메리카나 (Phytolaca americana) 단백질 (PAPI, PAPII, 및 PAP-S),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momordica charantia) 억제제, 쿠르신 (curcin), 크로틴 (crotin), 사파오나리아 오피시날리스 (sapaonaria officinalis) 억제제, 겔로닌, 미토겔린, 레스트릭토신, 페노마이신, 에노마이신 및 트리코테센이 포함된다 [참고: 예를 들어, WO 93/21232 (1993년 10월 28일자로 공개됨)].
본 발명은 추가로, 핵산분해 활성을 지닌 화합물 (예: 리보뉴클레아제 또는 DNA 엔도뉴클레아제, 예를 들어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 DNase)와 접합된 항체를 고려한다.
각종 방사성 동위원소가 방사성접합된 항체 생성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이의 예에는 At211, I131, I125, Y90, Re186, Re188, Sm153, Bi212, P32, 및 Lu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포함된다.
각종 이관능성 단백질 커플링제, 예를 들어 N-석신이미딜-3-(2-피리딜디티올)프로피오네이트 (SPDP), 석신이미딜-4-(N-말레이미도메틸)시클로헥산-1-카복실레이트, 이미노티올란 (IT), 이미도에스테르의 이관능성 유도체 (예를 들어, 디메틸 아디피미데이트 HCl), 활성 에스테르 (예: 디석신이미딜 수베레이트), 알데히드 (예: 글루타르알데히드), 비스-아지도 화합물 [예: 비스 (p-아지도벤조일)헥산디아민], 비스-디아조늄 유도체 [예: 비스-(p-디아조늄벤조일)-에틸렌디아민], 디이소시아네이트 (예: 톨리엔 2,6-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비스-활성 불소 화합물 (예: 1,5-디플루오로-2,4-디니트로벤젠)을 사용하여, 항체와 세포독성제의 접합체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신 면역독소를 문헌 [참고: Vitetta et al., Science. 238: 1098 (198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탄소-14-표지된 1-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질-3-메틸디에틸렌 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MX-DTPA)이, 방사성뉴클레오티드를 항체에 접합시키기 위한 킬레이트제의 한 예이다 [참고: WO 94/11026]. 이러한 링커는 세포에서 세포독성 약물의 방출을 촉진시켜 주는 "절단 가능한 링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불안정 링커, 펩티다제-민감성 링커, 디메틸 링커 또는 디설파이드 함유 링커 [참고: Chari et al., Cancer Research, 52: 127-131 (1992)]를 사용할 수 있다.
또다른 한편으론, 항체와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예를 들어 재조합 기술 또는 펩티드 합성에 의해 만들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는, 항체를 종양 예비표적화에 활용하기 위해 "수용체" (예: 스트렙타비딘)에 접합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항체-수용체 접합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한 다음, 제거제 (clearing agent)를 사용하여 결합되지 않은 접합체를 순환시 제거하고, 이어서 세포독성제 (예: 방사성뉴클레오티드)와 접합되는 "리간드" (예: 아비딘)을 투여한다.
프로드럭 (prodrug)을 활성 항암 약물로 전환시켜 주는 프로드럭-활성화 효소 (예: 펩티딜 화학요법제; 참고: W0 81/01145)에 본 발명의 항체를 접합시킬 수도 있다 [참고: 예를 들어, WO 88/07378 및 미국 특허 제4,975,278호].
이러한 접합체의 효소 성분에는, 프로드럭이 그의 보다 활성인 세포독성 형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프로드럭 상에서 작용할 수 있는 모든 효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효소에는 포스페이트-함유 프로드럭을 자유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설페이트-함유 프로드럭을 자유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아릴설파타제; 비-독성 5-플루오로시토신을 항암 약물인 5-플루오로우라실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시토신 데아미나제; 펩티드-함유 프로드럭을 자유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세라티아 프로테아제, 더모리신, 서브틸리신, 카복시펩티다제 및 카텝신 (예: 카텝신 B 및 L); D-아미노산 치환체를 함유하는 프로드럭을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D-알라닐카복시펩티다제; 당화 프로드럭을 자유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탄수화물-절단성 효소, 예를 들어 β-갈락토시다제 및 뉴라미니다제; β-락탐으로 유도체화시킨 약물을 자유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β-락타마제; 및 그들의 아민 질소에서 페녹시아세틸 또는 페닐아세틸기로 각각 유도체화시킨 약물을 자유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페니실린 아미다제, 예를 들어 페니실린 V 아미다제 또는 페니실린 G 아미다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다른 한편, 당해 분야에서 "아브자임 (abzyme)"으로서 공지되기도 한, 효소적 활성을 지닌 항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프로드럭을 자유 활성 약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참고: 예를 들어, Massey, Nature, 328: 457-458 (1987)]. 아브자임을 종양 세포 집단에 전달하기 위하여, 항체-아브자임 접합체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상기 논의된 이종-이관능성 가교결합 시약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소를 항체에 공유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다른 한편, 본 발명의 효소의 적어도 기능적 활성 부분과 연결된, 본 발명의 항체의 적어도 항원 결합성 영역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참고: Neuberger et al., Nature, 312: 604-608 (1984)].
항체의 기타 변형물이 본원에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항체를 각종 비단백질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 중의 하나와 연결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PEG 분자와 연결된 항체 단편, 예를 들어 Fab'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리포솜으로서 제형화할 수도 있다. 항체를 함유하는 리포솜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문헌 [참고: Epstei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3688 (1985); Hwa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7:4030 (1980); 미국 특허 제4,485,045호 및 제4,544,545호; 및 WO 1997/38731 (1997년 10월 23일자로 공개됨)]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순환 시간이 증강된 리포솜이 미국 특허 제5,013,556호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유용한 리포솜은 포스파티딜콜린, 콜레스테롤 및 PEG-유도체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G-PE)을 포함하는 지질 조성물을 사용하는 역상 증발 방법에 의해 생성시킬 수 있다. 리포솜은 한정된 공극 크기의 필터를 통하여 압출시켜 목적하는 직경을 갖는 리포솜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항체의 Fab' 단편을 디설파이드 쇄간 반응을 통하여 문헌 [참고: Martin et al., J. Biol. Chem. 257:286-288 (198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리포솜에 접합시킬 수 있다. 화학요법제가 리포솜 내에 임의로 함유된다 [참고: Gabizon et al., J. National Cancer Inst. 81(19): 1484 (1989)].
본원에 기재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형(들)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항체의 결합 친화성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는 적당한 뉴클레오티드 변화를 항체 핵산 내로 도입하거나, 또는 펩티드 합성에 의해 제조한다. 이러한 변형에는, 예를 들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내의 잔기로부터의 결실, 및/또는 잔기 내로의 삽입 및/또는 잔기의 치환이 포함된다. 모든 결실, 삽입 및 치환 조합을 만들어 최종 구조물에 도달시키는데, 단 이러한 최종 구조물은 목적하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아미노산 변화가 항체의 해독 후 프로세스를 변경시킬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당화 부위의 수 또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돌연변이를 위한 바람직한 위치인 항체의 특정 잔기 또는 영역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방법은 문헌 [참고: Cunningham and Wells, Science 244: 1081-1085 (1989)]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알라닌 스캐닝 돌연변이 유발"인데, 여기서는 특정 잔기, 또는 표적 잔기 군을 확인하고 (예를 들어, arg, asp, his, lys, 및 glu 등의 전하를 띤 잔기), 이를 중성 또는 음전하를 띤 아미노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라닌 또는 폴리알라닌)으로 대체시켜, 상기 아미노산과 항원 간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어서, 이러한 치환물에 대한 기능적 민감도를 입증하는 아미노산 위치는 치환 부위에 추가의 또는 기타 변이체를 도입함으로써 정련시킨다. 따라서, 아미노산 서열 변이를 도입하기 위한 부위가 예정되긴 하였지만, 돌연변이 자체의 특성이 예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소정의 부위에서의 돌연변이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ala 스캐닝 또는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을 표적 코돈 또는 영역에서 수행하고, 발현된 항체 변이체를 대상으로 하여 목적하는 활성에 대해 스크리닝한다.
아미노산 서열 삽입물에는 단일 또는 다중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내 삽입물 뿐만 아니라 1개 잔기부터 수 백개 잔기를 함유하는 폴리펩티드까지 길이의 아미노- 및/또는 카복실-말단 융합물이 포함된다. 말단 삽입물의 예에는 N-말단 메티오닐 잔기를 수반한 항체, 또는 세포독성 폴리펩티드와 융합된 항체가 포함된다. 항체 분자의 기타 삽입형 변이체에는 항체의 N- 또는 C-말단과 효소, 또는 항체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폴리펩티드와의 융합물이 포함된다.
또다른 유형의 변이체는 아미노산 치환형 변이체이다. 이들 변이체에서는 항체 분자 내의 1개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상이한 잔기로 대체시켰다. 항체의 치환형 돌연변이 유발을 위한 가장 관심있는 부위에는 초가변 영역이 포함되지만, FR 변경물도 또한 고려된다. 보존적 치환이 "바람직한 치환물"이란 표제 하에 표 1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치환으로 인해 생물학적 활성 상의 변화가 이루어진다면, 표 1에서 "예시 치환물"로 명명되거나 아미노산 부류와 관련하여 다음에 추가로 기재되는 바와 같은 보다 실재적인 변화를 도입하고 생성물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5366866-PCT00009
항체의 생물학적 특성 면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변형은 (a) 치환 부위에서 폴리펩티드 주쇄의 구조를, 예를 들어 시트 또는 나선 입체 형태로 유지시키는데 대한 그의 효과, (b) 표적 부위에서 분자의 전하 또는 소수성을 유지시키는데 대한 그의 효과, 또는 (c) 측쇄의 벌크를 유지시키는데 대한 그의 효과 면에서 상당히 상이한 치환을 선택함으로써 달성한다. 아미노산은 그들의 측쇄 특성 면에서의 유사성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다 [참고: A. L. Lehninger, in Biochemistry, second ed., pp. 73-75, Worth Publishers, New York (1975)]:
(1) 비-극성: Ala (A), Val (V), Leu (L), Ile (I), Pro (P), Phe (F), Trp (W), Met (M)
(2) 전하를 띠지 않은 극성: Gly (G), Ser (S), Thr (T), Cys (C), Tyr (Y), Asn (N), Gln (Q)
(3) 산성: Asp (D), Glu (E)
(4) 염기성: Lys (K), Arg (R), His (H)
또다른 한편, 천연 발생적 잔기는 공통의 측쇄 특성을 기초로 하여 다음 군으로 나눌 수 있다:
(1) 소수성: 노르루이신, Met, Ala, Val, Leu, Ile;
(2) 중성 친수성: Cys, Ser, Thr, Asn, Gln;
(3) 산성: Asp, Glu;
(4) 염기성: His, Lys, Arg;
(5) 쇄 배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 Gly, Pro;
(6) 방향족: Trp, Tyr, Phe.
비-보존적 치환은 이들 부류 중의 하나의 구성원을 또다른 부류의 구성원으로 교환시키는 것을 수반할 것이다.
항체의 적당한 입체 형태를 유지하는데 관여하지 않은 시스테인 잔기는 일반적으로 세린으로 치환시켜 분자의 산화적 안정성을 개선시키고 이상한 가교결합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역으로 말하면, 시스테인 결합(들)을 항체에 가하여 그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항체가 Fv 단편 등의 항체 단편인 경우).
특히 바람직한 유형의 치환형 변이체는 모 항체의 하나 이상의 초가변 영역 잔기를 치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로써 생성된 추가의 개발을 위해 선택된 변이체(들)는, 이들을 생성시킨 모 항체와 비교해서 개선된 생물학적 특성을 지닐 것이다. 이러한 치환형 변이체를 생성시키기 위한 편리한 방식은 파아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친화 돌연변이 방법이다. 간략하게 언급하면, 몇 가지 초가변 영역 부위 (예를 들어, 6 내지 7개 부위)를 돌연변이시켜 각 위치에 가능한 모든 아미노산 치환물을 생성시킨다. 이로써 생성된 항체 변이체를, 각 입자 내에 패키지된 M13의 유전자 III 생성물에 대한 융합물로서 필라멘트상 파아지 입자로부터 1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파아지-디스플레이된 변이체를 대상으로 하여,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그들의 생물학적 활성 (예: 결합 친화성)에 대해 스크리닝한다. 변형시키기 위한 후보 초가변 영역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알라닌 스캐닝 돌연변이 유발을 수행하여 항원 결합성에 상당히 기여하는 초가변 영역 잔기를 확인할 수 있다. 또다른 한편, 또는 부가적으로, 항원-항체 복합체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여 항체와 항원 간의 접촉점을 확인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잔기 및 이와 이웃하는 잔기는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된 기술에 따라서 치환시키기 위한 후보이다. 이러한 변이체가 일단 생성되면, 변이체 패널을 대상으로 하여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크리닝하고, 한 가지 이상 관련 검정에서 탁월한 특성을 지닌 항체를 추가 개발을 위해 선별할 수 있다.
항체의 또다른 유형의 아미노산 변이체는 항체의 본래의 당화 패턴을 변경시킨다. 이러한 변경에는 항체에서 발견된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부분을 결실시키고/시키거나 항체에 존재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당화 부위를 부가하는 것이 포함된다.
폴리펩티드의 당화는 전형적으로, N-연결 또는 O-연결된다. N-연결된이란 탄수화물 부분을 아스파라긴 잔기의 측쇄에 부착시킨 것을 지칭한다. 트리펩티드 서열 아스파라긴-X-세린 및 아스파라긴-X-트레오닌 (여기서, X는 프롤린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임)은 탄수화물 부분을 아스파라긴 측쇄에 효소적 부착시키기 위한 인식 서열이다. 따라서, 이들 트리펩티드 서열 중의 어느 하나가 폴리펩티드에 존재하는 것은 잠재적 당화 부위를 창출시켜 준다. O-연결된 당화는 당 N-아세틸갈락토사민, 갈락토스 또는 크실로스 중의 하나를 히드록시아미노산, 가장 통상적으로는 세린 또는 트레오닌에 부착시키는 것을 지칭하지만, 5-히드록시프롤린 또는 5-히드록시리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당화 부위를 항체에 부가하는 것은 (N-연결된 당화 부위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된 트리펩티드 서열 중의 하나 이상를 함유하도록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변경은 하나 이상의 세린 또는 트레오닌 잔기를 본래의 항체 서열에 부가하거나, 또는 이들 잔기에 의해 치환시킴으로써 만들 수 있다 (O-연결된 당화 부위의 경우).
항체가 Fc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착된 탄수화물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의 Fc 영역에 부착된 푸코스가 결여된 성숙한 탄수화물 구조를 지닌 항체가 문헌 [참고: US 2003/0157108 (Presta, L.)]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US 2004/0093621 (Kyowa Hakko Kogyo Co., Ltd.)을 참고할 수 있다]. 항체의 Fc 영역에 부착된 탄수화물 내에 이등분 N-아세틸글루코사민 (GlcNAc)을 갖는 항체가 다음 문헌에 인용되었다 [참고: WO 2003/011878 (Jean-Mairet et al.) 및 미국 특허 제6,602,684호 (Umana et al.)]. 항체의 Fc 영역에 부착된 올리고당류 내에 하나 이상의 갈락토스 잔기를 갖는 항체가 문헌 [참고: WO 1997/30087 (Patel et al.)]에 보고되었다. 그의 Fc 영역에 부착된 변경된 탄수화물을 수반한 항체에 관해서 다음 문헌을 또한 참고할 수 있다 [참고: WO 1998/58964 (Raju, S.) and WO 1999/22764 (Raju, S.)].
본원에서 바람직한 당화 변이체는 Fc 영역을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Fc 영역에 부착된 탄수화물 구조물에 푸코스가 결여된다. 이러한 변이체는 개선된 ADCC 기능을 지니고 있다. 임의로는, Fc 영역이 ADCC를 추가로 개선시키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물을 그 내부에 추가로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Fc 영역의 위치 298, 333, 및/또는 334 (Eu 잔기 넘버링에 따름)에서의 치환물을 포함한다. "탈푸코실화" 또는 "푸코스-결핍성" 항체와 관련된 공개 문헌의 예에는 다음 문헌이 포함된다 [참고: US 2003/0157108; WO 2000/61739; WO 2001/29246; US 2003/0115614; US 2002/0164328; US 2004/0093621; US 2004/0132140; US 2004/0110704; US 2004/0110282; US 2004/0109865; WO 2003/085119; WO 2003/084570; WO 2005/035586; WO 2005/035778; WO 2005/053742; Okazaki et al. J. Mol. Biol. 336: 1239-1249 (2004); and Yamane-Ohnuki et al. Biotech. Bioeng. 87: 614 (2004)]. 탈푸코실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의 예에는 단백질 푸코실화에 있어 결핍성인 Lecl3 CHO 세포 [참고: Ripka et al. Arch. Biochem. Biophys. 249: 533-545 (1986); US 2003/0157108 A1, Presta, L; and WO 2004/056312 A1, Adams et al., especially at Example 11], 및 녹아웃 (knockout) 세포주, 예를 들어 알파-1,6-푸코실트랜스퍼라제 유전자, FUT8, 녹아웃 CHO 세포 [참고: Yamane-Ohnuki et al. Biotech. Bioeng. 87: 614 (2004)]가 포함된다.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이들 방법에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의 분리 방법 (천연 발생적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의 경우), 또는 앞서 제조된 변이체 또는 항체의 비-변이체 버젼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매개된 (또는 부위-지시된) 돌연변이 유발, PCR 돌연변이 유발 및 카세트 돌연변이 유발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항체의 항원-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 (ADCC) 및/또는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CDC)를 증강시키도록 효과기 기능 측면에서 본 발명의 항체를 변형시키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이는 항체의 Fc 영역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물을 도입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다른 한편, 또는 부가적으로, 시스테인 잔기를 Fc 영역 내로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영역 내에 쇄간 디설파이드 결합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생성된 동종-이량체성 항체는 개선된 내재화 능력 및/또는 증가된 보체-매개성 세포 사멸 및 항체-의존성 세포성 세포독성 (ADCC)을 지닐 수 있다 [참고: Caron et al., J. Exp Med. 176: 1191-1195 (1992) and Shopes, B. J. Immunol. 148: 2918-2922 (1992)]. 항종양 활성이 증강된 동종-이량체성 항체는 다음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종-이관능성 가교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참고: Wolff et al., Cancer Research 53: 2560-2565 (1993)]. 또다른 한편, 이중 Fc 영역을 갖도록 항체를 공학처리함으로써, 증강된 보체 용해성과 ADCC 능력을 지니도록 할 수 있다 [참고: Stevenson et al., Anti-Cancer Drug Design 3:219-230 (1989)].
WO 2000/42072 (Presta, L.)에는 인간 효과기 세포의 존재 하에 개선된 ADCC 기능을 지닌 항체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항체는 그의 Fc 영역에 아미노산 치환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개선된 ADCC를 수반한 항체가 Fc 영역의 위치 298, 333, 및/또는 334에 치환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변경된 Fc 영역이, 이들 위치 중의 1개, 2개 또는 3개에서의 치환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인간 IgGl Fc 영역이다.
변경된 Clq 결합성 및/또는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CDC)을 지닌 항체가 WO 1999/51642, 미국 특허 제6,194,551B1호, 제6,242,195B1호, 제6,528,624B1호 및 제6,538,124호 (Idusogie et al.)에 기재되어 있다. 이 항체는 그의 Fc 영역의 아미노한 위치 270, 322, 326, 327, 329, 313, 333, 및/또는 334 중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아미노산 치환물을 포함한다.
항체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39,27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재이용 (salvage) 수용체 결합성 에피토프를 항체 (특히, 항체 단편) 내로 혼입시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재이용 수용체 결합성 에피토프"는 IgG 분자의 생체내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데 책임이 있는 IgG 분자 (예: IgGl, IgG2, IgG3, 또는 IgG4)의 Fc 영역의 에피토프를 지칭한다. 그의 Fc 영역에 치환물을 갖고 혈청 반감기가 증가된 항체가 또한 WO 2000/42072 (Presta, L.)에 기재되어 있다.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의 기능적 항원-결합 부위를 갖는, 공학적으로 처리시킨 항체가 또한 고려된다 [참고: US 2002/0004587 Al, Miller et al.].
V. 제약 제형 (제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된 항체의 치료적 제형은, 목적하는 순도를 지닌 항체를 임의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 [참고: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A. Ed. (1980)]와 혼합하여, 동결건조된 제형 또는 수성 용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해 제조한다.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는 이용된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비독성이고, 이에는 완충제, 예를 들어 인산염, 시트레이트 및 기타 유기 산; 항산화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및 메티오닌; 방부제 (예: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페놀, 부틸 또는 벤질 알코올; 알킬 파라벤, 예를 들면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소르시놀; 시클로헥산올; 3-펜탄올; 및 m-크레솔); 저분자량 (약 10개 미만 잔기) 폴리펩티드; 단백질, 예를 들어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 예를 들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아르기닌 또는 리신; 단당류, 이당류 및 기타 탄수화물, 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 킬레이트제, 예를 들어 EDTA; 당, 예를 들어 슈크로스, 만니톨, 트레할로스 또는 솔비톨; 염 형성 반대-이온, 예를 들어 나트륨; 금속 착물 (예: Zn-단백질 착물);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TWEEN™, PLURONICS™ 또는 PEG가 포함된다.
예시되는 항-CD20 항체 제형은 W0 98/56418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공개공보에는 2 내지 8℃ 하의 저장시 최소 2년의 저장 수명을 갖는, 40 mg/ml 리툭시마브, 25 mM 아세테이트, 150 mM 트레할로스, 0.9% 벤질 알코올, 0.02% 폴리솔베이트 20 (pH 5.0)를 포함하는 반복투여용 액상 제형이 기재되어 있다. 관심있는 또다른 항-CD20 제형은 9.0 mg/ml 염화나트륨 중의 10 mg/ml 리툭시마브, 7.35 mg/ml 나트륨 시트레이트 이수화물, 0.7 mg/ml 폴리솔베이트 80, 및 멸균성 주사용 수 (pH 6.5)를 포함한다.
피하 투여용으로 적응시킨 동결건조된 제형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267,958호 (Andya et al.)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동결건조된 제형은 적합한 희석제를 사용하여 고 단백질 농도가 되도록 재구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재구성된 제형은 본원에서 치료하고자 하는 포유류에게 피하 투여할 수 있다.
결정화 형태의 항체가 또한 고려된다 [참고: 예를 들어, US 2002/0136719Al (Shenoy et al.)].
본원의 제형은 필요한 만큼의 한 가지 이상의 활성 화합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제2 또는 제3 약물), 바람직하게는 서로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보적 활성을 지닌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약물의 유형과 유효량은, 예를 들어 제형에 존재하는 항체의 양, 및 대상체의 임상 파라미터에 좌우된다. 바람직한 상기 약물은 상기 언급되어 있다.
활성 성분을, 예를 들어 액적형성 (coacervation) 기술 또는 계면 중합에 의해 제조된 미소캡슐, 예를 들어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젤라틴 미소캡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소캡슐; 콜로이드상 약물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리포솜, 알부민 미소구, 마이크로에멀젼, 나노-입자 및 나노-캡슐); 또는 매크로에멀젼 내에 포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어 문헌 [참고: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A. Ed. (1980)]에 기재되어 있다.
지속 방출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지속 방출 제제의 적합한 예에는 상기 항체를 함유하는 고형 소수성 중합체의 반투과성 매트릭스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매트릭스는 성형품, 예를 들어 필름 또는 미소캡슐 형태이다. 지속 방출 매트릭스의 예에는 폴리에스테르, 히드로겔 [예를 들어, 폴리(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락티드 [참고: 미국 특허 제3,773,919호], L-글루탐산과 γ에틸-L-글루타메이트의 공중합체, 비분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분해성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예를 들어 LUPRON DEPOT™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및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주사용 미소구), 및 폴리-D-(-)-3-히드록시부티르산이 포함된다.
생체내 투여에 사용하고자 하는 제형은 멸균성이어야만 한다. 이는 멸균성 여과 막을 통하여 여과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된다.
VI. 제조품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언급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는 제조품이 제공된다.
한 국면에서는, 이러한 제조품이 (a)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길항제 (예: 상기 마커와 결합하는 항체, 예를 들어 CD20 항체)를 포함하는 용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용기가 상기 길항제 또는 항체와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함); (b) 항말라리아제를 포함하는 용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용기가 상기 항말라리아제와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함); 및 (c) 환자에서의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대한 지침서를 수반하는 패키지 삽입물 (이러한 지침서는 시각 아날로그 등급 (VAS) 측면에서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 중 2가지 이상을 기저 수준에 비해 약 30% 이상 개선시키는데 유효한 양의 상기 항체 또는 길항제 및 항말라리아제를 환자에게 투여할 것을 지시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본원의 제조품이 제3 약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길항제 또는 항체가 제1 약물이고 항말라리아제가 제2 약물이며, 상기 제조품이 이러한 제3 약물을 유효량으로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것에 관한 지침서를 패키지 삽입물 상에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제3 약물은 상기 언급된 것 중의 어느 것일 수 있고, 예시되는 제3 약물로는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사이토킨 길항제 또는 호르몬이 있다. 바람직한 제3 약물은 상기 언급된 것이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스테로이드이다.
또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은 (a) B-세포 표면 마커와 결합하는 항체 (예: CD20 항체)를 포함하는 용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용기가 상기 항체와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함); 및 (b) 특정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에 관한 지침서를 수반하는 패키지 삽입물 (이러한 지침서는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한 다음,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데 유효한 양의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데, 이러한 제2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냄)을 포함하는 제조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대상체에게서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에 관한 지침서를 상기 패키지 삽입물에 제공하는데, 이러한 지침서는 약 0.5 내지 4 그램의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한 다음, 약 0.5 내지 4 그램의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데 유효한 양의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데, 이러한 제2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고, 각 항체 노출은 약 1회 내지 약 4회 용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단일 용량의 항체로서 또는 2회 또는 3회 분리된 용량의 항체로서 대상체에게 제공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국면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본원의 제조품이 제2 약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CD20 항체가 제1 약물이고, 상기 제조품은 이러한 제2 약물을 유효량으로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치료하는 것에 관한 지침서를 패키지 삽입물 상에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제2 약물은 상기 언급된 것 중의 어느 것일 수 있고, 예시되는 제2 약물로는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사이토킨 길항제 또는 호르몬이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항말라리아제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국면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본원의 제조품이 제3 약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러한 제3 약물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치료하는 것에 관한 지침서를 패키지 삽입물 상에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3 약물이 상기 바람직한 것으로서 언급된 것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테로이드이다.
이들 국면 모두에서, 패키지 삽입물은 상기 용기와 연합되거나 그 위에 존재한다. 적합한 용기에는, 예를 들어 병, 바이알, 주사기 등이 포함된다. 용기는 각종 재료,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용기는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효한 조성물을 보유하고 있거나 이를 함유하고, 멸균성 유입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는 피하 주사 바늘에 의해 뚫을 수 있는 마개를 갖는 정맥내 용제 봉지 또는 바이알일 수 있음). 조성물 내의 한 가지 이상 활성제가 상기 길항제 또는 항체이다.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해당 조성물이 치료에 적격한 환자 또는 대상체에게서, 길항제 또는 항체 및 제공되는 기타 약물의 투여량과 투여 간격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을 이용하여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품은 제약상 허용 가능한 희석 완충제, 예를 들어 제균성 주사용 수 (BWFI), 인산염 완충 식염수, 링거액 및/또는 덱스트로스 용액을 포함하는 부가의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품은 상업적 및 사용자 측면에서 바람직한 기타 물질, 예를 들어 기타 완충제, 희석제, 충진제, 바늘 및 주사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 내역은 다음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본 명세서 내의 모든 인용 문헌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실시예 1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리툭시마브의 효능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한 가지 이상의 전신 질환 증상을 나타내는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적극적인 징후 및 증상 치료를 위해, 플라시보와 비교한 리툭시마브 (MABTHERA®/RITUXAN®)의 효능과 안전성의 탁월함을 평가하였다. 쇼그렌 증후군 환자를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로 분류하기 위해 PvR을 사용하였다.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대 2차 쇼그렌 증후군의 비는 대략 1:1이었는데 [참고: Thomas et al. British J Rheumatol 1998;37:1069-76 (1998)], 이는 원발성 쇼그렌의 비율이 대략 56% (95% CI, 45%-64%)라는 것을 시사한다.
리툭시마브 (1000 mg x 2)를 정맥내 히드로클로로퀴논 (HQ) + 스테로이드와 함께 1일 및 15일 째에 2개 초기 용량으로 정맥내 투여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섭생을, 리툭시마브 대신 리툭시마브 플라시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섭생과 비교하였는데, 두가지 연구 지류 간에 1:1 무작위를 이용하고, 한 지류당 약 48명의 환자가 참여하였다 (총 96명 환자). 이와 같이 리툭시마브에 의거한 섭생은 현재 주의 표준에 도전하였고, 스테로이드 및 그의 공지된 독성에 대한 환자 노출을 제한하였으며, 개선된 총체적인 임상 이점을 입증해주었다. 1년 간의 시험 기간 전반에 걸쳐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질병 활성, 부가의 면역억제제 사용, 스테로이드 활용 및 안전성 사건에 대해 모니터링하였는데, 본 시험의 1차 효능 종말 점은 3개월 째에 측정하였고 1년까지 추적하였다. 어느 쪽이 나중에 일어나든지 간에, 리툭시마브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후 12개월 까지 또는 B 세포를 정상 수준으로 회수할 때 까지는 안전성 추적이 요구된다.
1차 목표는 1차 효능 종말점 [이는 VAS (건조증, 피로, 관절 통증)에 있어서의 개선이다]을 달성하고 미리 지정된 부작용이 없는 환자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1차 종말점은 3가지 VAS 등급 (건조증, 피로, 관절 통증) 중 2가지가 기저 수준에 비해 약 30% 이상 개선된 것으로 정의된다.
2차 종말점은 침윤물, 생검, MRI, 및 항-SSA/Ro/항-SSB/La 항체의 존재와 같은 탐구적 방법 뿐만 아니라 타액 신티그래피, 로즈 벤갈, 개개의 VAS, TJC, SF-36, ESR, 및 고글로불린혈증이다.
상기 제시된 프로토콜에서 리툭시마브 (또는 리툭시마브 대신 인간화 2H7)를 환자에게 투여하면, 쇼그렌 증후군의 한 가지 이상 징후, 증상 또는 기타 적응증이 대조군에 비해 경감될 것으로 예상 및 예측된다.
제II상
특히, 제II상 연구의 경우에는 3개월 째의 결과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예상되었다:
예상 1차 종말점:
· VAS에 있어서의 반응률 (건조증, 피로, 관절 통증의 3가지 중 2가지): 기저 수준에 비해 약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5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60% 초과이고, 예상되는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30%이다.
예상 2차 종말점:
· 타액 분비: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예상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5%임)
· 쉬르머 시험: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예상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5%임)
· 압통 관절 계수치 (TJC):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예상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30%임)
· MOS 단기 형태-36 (SF-36):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예상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30%임)
· 적혈구 침강률 (ESR): 환자의 약 40% 초과 내지 50%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예상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0%임)
· 고글로불린혈증: 환자의 약 32% 내지 4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예상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0%임)
· 탐구적 종말점: 침윤물/생검 = 약 30%; Ro/La 자가항체.
주입 반응:
· 중증 약 < 1% 내지 <5%, 치명적이지 않음
감염/SAE
· 감염 또는 SAEs에 있어서 상당하거나 제어하기 쉬운 증가가 전혀 없다
HACA
· 약 < 3% 내지 < 12% (임상적 관련성이 낮음)
제III상
제III상 연구의 경우에는 6개월 째의 결과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예상되었다:
예상 1차 종말점:
· VAS에 있어서의 반응률 (건조증, 피로, 관절 통증의 3가지 중 2가지) 또는 제II상으로부터의 객관적인 측정치: 기저 수준에 비해 약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60% 초과이고, 예상되는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30%이다.
2차 종말점 :
· 타액 분비: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5%임)
· 쉬르머 시험: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5%임)
· 제II상 결과에 따라서, 다음 중의 1 내지 2가지가 부가되었다:
· 타액 신티그래피: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5%임)
· TJC: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30%임)
· SF-36: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30%임)
· ESR: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플라 시보 반응율은 약 20%임)
· 고글로불린혈증: 환자의 약 32% 내지 4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0%임)
· 로즈 벤갈: 환자의 약 40% 내지 50% 초과가 임상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플라시보 반응율은 약 25%임)
· 탐구적 종말점: 침윤물/생검/MRI = 약 30%; Ro/La 자가항체, 특이적 기관 병발, 예를 들어 혈관염, 폐, 신장을 평가함.
주입 반응:
· 중증 약 < 1% 내지 <5%, 치명적이지 않음
감염/SAE
· 감염 또는 SAEs에 있어서 상당하거나 제어하기 쉬운 증가가 전혀 없다
HACA
· 약 < 3% 내지 < 12% (임상적 관련성이 낮음)
실시예 2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리툭시마브의 효능 및 안전성에 관한 재치료 연구
본 연구는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성인 대상체에게서, 플라시보와 비교한 리툭시마브 (MABTHERA®/RITUXAN®)의 효능과 안전성의 탁월함을 평가하였다. 리툭시마브 (1000 mg x 3)를 정맥내 히드로클로로퀴논 (HQ) 및 프레 드니손과 함께 1일, 8일 및 15일 째에 3개 초기 용량으로 정맥내 투여한 다음, 6개월 째에 1 g을 2회 투여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섭생을, 리툭시마브 플라시보 + 동일한 용량의 HQ 및 프레드니손과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리툭시마브에 의거한 섭생은 현재 주의 표준에 도전하였고, 개선된 총체적인 임상 이점을 입증해주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50주의 연구 기간 전반에 걸쳐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질병 활성, 부가의 면역억제제 사용, 병 재발 (돌발), 프레드니손 활용 및 안전성 사건에 대해 모니터링하였다. 본 시험의 1차 효능 종말점은 50주 째에 측정하였고, 효능 측정치는 환자 치료 또는 기타 연구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던 독특한 조사 평가인이 평가하였다. 어느 쪽이 나중에 일어나든지 간에, 리툭시마브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후 12개월 까지 또는 B 세포를 정상 수준으로 회수할 때 까지는 안전성 추적이 요구된다.
1차 목표는 1차 효능 종말점을 달성하고 미리 지정된 부작용이 없는 환자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1차 종말점은 VAS 측면에서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 중 2가지 이상이 대상체의 기저 수준에 비해 30% 이상 개선된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시험에 사용하기 위한, 예상되고 바람직한 제II상 및 제III상 1차 및 2차 종말점에 대해서는 실시예 1를 참고할 수 있다.
실험 지류에 1000 mg의 제1 정맥내 리툭시마브/플라시보 주입물을 0일 째에 투여하고, 8일 째에 제2 주입을 하며 15일 째에 제3 주입을 수행하였다. 이들 대상체에게 3일 및 18일 째에 정맥내 프레드니손 및 HQ (750 mg/㎡)의 2개 초기 용량을 투여하였다. 모든 대상체에게 1000 mg의 제2 리툭시마브/플라시보 주입물을 24 주 및 26주 째에 각각 14일 간격으로 정맥내 투여하였다.
B-세포 계수치 (CD19)는 기저 수준에서, 리툭시마브/플라시보의 각 과정이 끝날 무렵에, 그리고 본 연구 전반에 걸쳐 그 후 4주 마다 평가하였다. 모든 B-세포 계수치는 후원자가 지정한 중앙 실험실에서 수행하였다. B-세포 고갈은 스크리닝시 기저 수준 값으로부터의 CD19+ B 세포의 ≥95% 고갈 또는 ≤5 CD19+ B 세포/㎕로서 정의하였다. 50주가 끝날 무렵, 플라시보 리툭시마브 또는 활성 리툭시마브를 투여한 대상체가 B-세포 회수를 나타내면, 이의 연구 참여를 완료시켰다. 리툭시마브를 투여한 대상체가 B-세포 회수를 나타내지 않는다면, 이는 어느 쪽이 먼저 일어나든지 간에, 리툭시마브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후 12개월 동안 또는 B 세포를 회수할 때 까지 추적할 것이다. 사이트는 대상체를 대상으로 한 추적을 지속해야만 하는지에 관해 정보를 줄 것이지만, 대상체에게 플라시보를 투여하였는지 아니면 리툭시마브를 투여하였지는데 관한 정보는 주지 않을 것이다.
50주 째에 미리 지정된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확증된 임상 반응의 1차 종말점에 도달한 대상체에게, 14개월 및 17개월 째에 시클로포스파미드 또는 플라시보 정맥내 HQ를 투여하였다. 상기 투여를 중단한 대상체를 포함한 모든 대상체를 대상으로 하여, 리툭시마브/플라시보를 마지막으로 주입한 후 50주 동안 또는 B-세포 계수치를 회수할 때까지 관찰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1차 결과는 리툭시마브로 효과적이고도 안전하게 재치료할 수 있는 대상체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1000 mg 용량의 리툭시마브 또는 플라시보 등가물을 0일, 8일 및 15일 째에 정맥내 투여하고, 24주 및 26주 째에 다시 투여하였다. 기저 수준 면역억제 요법시 새로운 병 발생 또는 병의 재발 (돌발)을 경험한 대상체를 등록하였다. 기저 수준 면역억제제에는 항말라리아제, 프레드니손, 히드록시클로로퀸,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또는 MMF가 포함될 수 있다. MTX, AZA 또는 MMF와 같은 기저 수준 약물들은 시험 시작시 과다-면역억제를 방지하기 위해 중단하였다. 등록하기 전 3개월 이내에 시클로포스파미드 요법을 적용한 대상체는 배제할 것이다.
상기 제시된 프로토콜에서 대상체에게 리툭시마브 또는 인간화 2H7을 투여하면, 쇼그렌 증후군의 한 가지 이상 징후, 증상 또는 기타 적응증이 대조군에 비해 경감될 것으로 예상 및 예측된다. 약 48주 내지 54주 째에 CD20 항체 2 g을 한번에 모두 투여하거나 또는 1 그램의 양으로 약 14일 내지 16일에 걸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프레드니손 및/또는 기타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그 다음 1년 동안에도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또한 예상된다. 따라서, CD20 항체를 초기에 약 2주 기간 내에 투여한 다음, 대략 4개월 내지 8개월 경에 또다른 치료를 한 후, 초기 치료로부터 대략 1년이 지난 시점 (용량 1회분을 투여한 시점으로부터 측정함)에 또다른 치료를 한 다음, 초기 치료로부터 대략 2년 째에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성공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되는데, 각 치료에 대해 약 1 그램을 2 내지 4회 투여하거나, 함께 투여하거나, 대략 매주 투여하거나, 또는 약 2 내지 4주에 걸쳐 대략 격주로 투여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차례 치료 (재치료)를 수행하는 프로토콜은 부작용이 거의 또는 전혀 없으면서 수 년동안 성공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3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전신성 쇼그렌 증후군 대상체에게서 리툭시마브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재치료 연구
본 연구는 제II상/제III상 시험을 위한 등록시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대상체에게서 플라시보와 비교한, 프레드니손 및 HQ가 부가된 리툭시마브 (MABTHERA®/RITUXAN®)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2주 째에 대상체에게 리툭시마브 및 HQ와 플레드니손 또는 플라시보를 무작위로 투여하였다. 50주의 연구 기간 전반에 걸쳐 대상체를 대상으로 하여, 질병 활성, 부가의 면역억제제 사용, 병 재발 (돌발), 프레드니손 활용 및 안전성 사건에 대해 모니터링하였다. 본 시험의 1차 효능 종말점은 50주 째에 측정하였고, 효능 측정치는 환자 치료 또는 기타 연구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던 독특한 조사 평가인이 평가하였다. 어느 쪽이 나중에 일어나든지 간에, 리툭시마브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후 12개월 까지 또는 B 세포를 정상 수준으로 회수할 때 까지는 안전성 추적이 요구된다.
1차 목표는 플라시보에 비해, 50주에 걸쳐 쇼그렌 증후군 대상체에게서 징후, 증상 또는 기타 적응증을 개선시키는 리툭시마브의 효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험에 사용하기 위한, 예상되고 바람직한 제II상 및 제III상 1차 및 2차 종말점에 대해서는 실시예 1를 참고할 수 있다.
승낙한 대상체는 적격성을 결정하기 위해 14일 까지 지속되는 스크리닝 기간에 참여하였다. 대상체는 28일 동안 1일 경구 프레드니손 0.4 mg/kg 내지 1.0 mg/kg으로 치료하였다. 적격한 대상체를 1:1 비율로 무작위로 골라, 50주 치료 및 관찰 기간 동안 리툭시마브 1000 mg을 정맥내 2회 (1일 및 15일째) 투여하고 프레드니손 및 HQ를 부가하여 투여하였다. 제1 리툭시마브/플라시보 주입은 0일 째에 일어났고, 제2 주입은 15일±1일 째에 일어났다. 독성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 한은, 본 연구 동안에 면역억제제 약물 상의 변화는 허용되지 않았고, 의학적으로 모니터링하기에 앞서 면역억제제 약물의 양을 조금씩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요청이 논의되어야만 한다. 질병 활성 증가를 나타내지 않는 모든 대상체에 대해서는, 24주 및 26주 째에 리툭시마브 또는 플라시보를 후속 주입 투여하였는데, 이는 격주로 2회분을 투여한 것이다. 리툭시마브 치료 과정은 최소 16주 간격을 두어야만 한다.
환자를 12개월 동안 매월 평가하였다. B-세포 계수치는 기저 수준에서, 리툭시마브/플라시보 주입의 각 과정이 끝날 무렵에, 그리고 치료/관찰 기간 전반에 걸쳐 그 후 4주 마다 평가하였다. 모든 B-세포 계수치는 중앙 실험실에서 수행하였고, 의사는 B-세포 계수치에 관한 내용을 전혀 알지 못한다. B-세포 고갈은 스크리닝시 기저 수준 값으로부터의 CD19+ B 세포의 ≥95% 고갈 또는 ≤5 CD19+ B 세포/㎕로서 정의하였다. 50주가 끝날 무렵, 리툭시마브 플라시보 또는 리툭시마브를 투여한 대상체가 B-세포 회수를 나타내면, 이의 연구 참여를 완료시켰다. 리툭시마브를 투여한 대상체가 50주 째에 B-세포 회수를 나타내지 않는다면, 이는 어느 쪽이 먼저 일어나든지 간에, 리툭시마브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후 6개월 동안 또는 B 세포를 회수할 때 까지 관찰하였다. 1차 효능 결과 측정치는 50주 째에 BILAG 스코어의 기저 수준이 배제된 곡선 하의 시간-조정된 면적이다.
1000 mg 용량의 리툭시마브 또는 플라시보 등가물을 0일 및 15일 째에 정맥내 투여하였다. 연구 요원은 리툭시마브를 어떻게 적절히 투여하는 지에 관해 교육받았다. 대상체는 연구자의 판단 하에 특히 그들의 제1 주입에 대해 관찰하기 위해 입원시킬 수 있다. 리툭시마브는 면밀한 지시 하에 투여해야만 하고, 완전한 소생 시설을 즉시 이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상기 제시된 프로토콜에서 대상체에게 리툭시마브 또는 인간화 2H7을 투여하면, 쇼그렌 증후군의 한 가지 이상 징후, 증상 또는 기타 적응증이 대조군에 비해 경감될 것으로 예상 및 예측된다. 약 48주 내지 54주 째에 CD20 항체 2 g을 한번에 모두 투여하거나 또는 1 그램의 양으로 약 14일 내지 16일에 걸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프레드니손 및/또는 기타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그 다음 1년 동안에도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또한 예상된다. 따라서, CD20 항체를 초기에 약 2주 기간 내에 투여한 다음, 대략 4개월 내지 8개월 경에 또다른 치료를 한 후, 초기 치료로부터 대략 1년이 지난 시점 (용량 1회분을 투여한 시점으로부터 측정함)에 또다른 치료를 한 다음, 초기 치료로부터 대략 2년 째에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성공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되는데, 각 치료에 대해 약 1 그램을 2 내지 4회 투여하거나, 함께 투여하거나, 대략 매주 투여하거나, 또는 약 2 내지 4주에 걸쳐 대략 격주로 투여한다. 이와 같이 여러 차례 치료 (재치료)를 수행하는 프로토콜은 부작용이 거의 또는 전혀 없으면서 수 년동안 성공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CD20 항체는 덜 중증의 증상을 나타내는 쇼그렌 증후군 환자, 예를 들어 약한 수준의 전신성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를 치료하는데 유효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여기서는 1차 종말점이 VAS 측면에서 피로, 만성 통증 또는 건조증 중의 한 가지 이상을 기저 수준에 비해 30% 이상 개선시켜줄 것이고/이거나 환자에게 치료 전에 히드록시클로로퀸 및/또는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을 수반하지 않고/않거나 이러한 약물을 CD20 항체를 이용한 치료 동안 놓아둘 필요가 없다. 실시예 1에 언급된 예상되고 바람직한 1차 및 2차 제II상 및 제III상 종말점이 상기 시험에 사용될 것인데, 단 1차 종말점의 경우에는, 효능을 나타내기 위해 단지 한 가지의 VAS 인자 만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실시예 4
중간 수준 내지 중증의 전신성 쇼그렌 증후군 대상체에게서 리툭시마브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별개의 재치료 연구
리툭시마브를 6개월 간격이 아닌 1년 간격으로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투여 및 기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일한 유형의 환자를 초기에 리툭시마브로 치료한 다음, 치료를 개시한지 1년 후에 리툭시마브로 재치료한 경우에, 실시예 3 결과가 성공적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덜 중증의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게 대해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가 예상될 것이다.
실시예 5
본원에 유용한 인간화 2H7 변이체
본원 목적상 유용한 것은 다음 CDR 서열들 중의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를 포함하는 인간화 2H7 항체이다:
CDR L1 서열 RASSSVSYXH [여기서, X는 M 또는 L이다 (서열 18)], 예를 들어 서열 4 (도 1A),
서열 5의 CDR L2 서열 (도 1A),
CDR L3 서열 QQWXFNPPT [여기서, X는 S 또는 A이다 (서열 19)], 예를 들어 서열 6 (도 1A),
서열 10의 CDR H1 서열 (도 1B),
CDR H2 서열 AIYPGNGXTSYNQKFKG [여기서, X는 D 또는 A이다 (서열 20)], 예를 들어 서열 11 (도 1B), 및
CDR H3 서열 VVYYSXXYWYFDV [여기서, 위치 6에서의 X는 N, A, Y, W, 또는 D이고, 위치 7에서의 X는 S 또는 R이다 (서열 21)], 예를 들어 서열 12 (도 1B).
상기 CDR 서열은 일반적으로, 인간 가변 경쇄 및 가변 중쇄 골격 서열,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인간 경쇄 카파 아군 I (VLκI)의 인간 컨센서스 FR 잔기, 및 실질적으로 인간 중쇄 아군 III (VHIII)의 인간 컨센서스 FR 잔기 내에 존재한다 [참고: WO 2004/056312 (Lowman et al.)].
가변 중쇄 영역은 인간 IgG 쇄 불변 영역에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영역은 예를 들어, IgG1 또는 IgG3 (본래 서열 및 비-본래 서열 불변 영역 포함)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항체가 위치 56, 100 및/또는 100a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물(들), 예를 들어 가변 중쇄 도메인 중의 D56A, N100A, 또는 N100Y, 및/또는 SlOOaR; 및 위치 32 및/또는 92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물(들), 예를 들어 가변 경쇄 도메인 중의 M32L 및/또는 S92A를 임의로 포함하는, 서열 2의 가변 경쇄 도메인 서열 (v16,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또한 임의로 포함하는, 서열 8의 가변 중쇄 도메인 서열 (v16,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가 서열 13 또는 16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과, 서열 14, 15, 17, 또는 22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본래 항체이고, 서열 22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바람직한 인간화 2H7 항체는 오크렐리주마브 (ocrelizumab) (공급처: Genentech, Inc.)이다.
본원의 항체는 Fc 영역 내에, ADCC 활성을 개선시키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이 중쇄 잔기의 Eu 넘버링을 이용하여 위치 298, 333, 및 334에서 이루어진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S298A, E333A, 및 K334A이다 [참고: 미국 특허 제6,737,056호 (L. Presta)].
이들 항체 모두는 Fc 영역 내에, FcRn 결합성 또는 혈청 반감기를 개선시키는 하나 이상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쇄 위치 434에서의 치환, 예를 들어 N434W을 포함한다 [참고: 미국 특허 제,737,056 (L. Presta)].
이들 항체 모두는 Fc 영역 내에, CDC 활성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위치 326에서의 하나 이상의 치환, 바람직하게는 K326A 또는 K326W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 미국 특허 제6,528,624호 (Idusogie et al.)].
몇몇 바람직한 인간화 2H7 변이체는 서열 2의 가변 경쇄 도메인 및 서열 8의 가변 중쇄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데, 이에는 Fc 영역 (존재한다면)에서의 치환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것, 및 NIOOA; 또는 D56A 및 N100A; 또는 D56A, N100Y, 및 S100aR의 서열 8에서의 변경을 수반한 가변 중쇄 도메인과, M32L; 또는 S92A; 또는 M32L 및 S92A의 서열 2에서의 변경을 수반한 가변 경쇄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이 포함된다.
2H7.v16의 가변 중쇄 도메인 중의 M34는 항체 안정성의 잠재적 공급원으로서 확인되었고, 이는 치환을 위한 또다른 잠재적 후보이다.
본 발명의 각종의 몇몇 바람직한 양태를 요약해 보면, 2H7.v16에 기초한 변이체의 가변 영역은 다음 표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치환 위치를 제외하고는, v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2H7 변이체는 v16과 동일한 경쇄를 갖는다.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0
한 가지 바람직한 인간화 2H7은 2H7.v16 가변 경쇄 도메인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1
및 2H7.v16 가변 중쇄 도메인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2
을 포함한다.
인간화 2H7.v16 항체가 본래 항체인 경우, 이는 경쇄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3
및 서열 14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다음 중쇄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4
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인간화 2H7 항체는 2H7.v511 가변 경쇄 도메인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5
및 2H7.v511 가변 중쇄 도메인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6
을 포함한다.
인간화 2H7.v511의 성숙한 경쇄 및 중쇄 각각을 인간화 2H7.v16의 성숙한 경쇄 및 중쇄와 정렬시킨 도 5 및 6을 참고할 수 있다.
인간화 2H7.v31 항체가 본래 항체인 경우, 이는 경쇄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7
및 서열 15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다음 중쇄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07015366866-PCT00018
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바람직한 양태는 항체가 서열 2 및 8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 2H7인 것이다. 본원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는 항체가 서열 23 및 24 중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 2H7인 것이다.
SEQUENCE LISTING WARNING: SEQ_ID 112590 feature X had a comment<223> that was longer than 56. It may not print entire line. File can be submitted okay, but for printing you can manually add in returns to get it to print, or you can break up the feature into multiple features so the comments are shorter. <110> Genentech, Inc., Hitraya, Elena <120> METHOD F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130> P2149R1 PCT <140> PCT/US2005/026027 <141> 2005-07-21 <150> US 60/590,302 <151> 2004-07-22 <160> 36 <210> 1 <211> 10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 Gln Ile Val Leu Ser Gln Ser Pro Ala Ile Leu Ser Ala Ser Pro 1 5 10 15 Gly Glu Lys Val Thr Met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20 25 30 Tyr Met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Ser Ser Pro Lys Pro 35 40 45 Trp Ile Tyr Ala Pro Ser Asn Leu Ala Ser Gly Val Pro Ala Arg 50 55 6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Ser Tyr Ser Leu Thr Ile Ser 65 70 75 Arg Val Glu Ala Glu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80 85 90 Ser Phe Asn Pro Pro Thr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Leu 95 100 105 Lys Arg <210> 2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2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1 5 10 15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20 25 30 Tyr Met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Pro 35 40 45 Leu Ile Tyr Ala Pro Ser Asn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50 55 6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65 70 75 Ser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80 85 90 Ser Phe Asn Pro Pro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95 100 105 Lys Arg <210> 3 <211> 10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1 5 10 15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Ser Ile Ser 20 25 30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35 40 45 Leu Leu Ile Tyr Ala Ala Ser Ser Leu Glu Ser Gly Val Pro Ser 50 55 60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65 70 75 Ser Ser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80 85 90 Tyr Asn Ser Leu Pro Trp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95 100 105 Ile Lys Arg <210> 4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4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Met His Ala Pro Ser Asn Leu 1 5 10 15 Ala Ser Gln Gln Trp Ser Phe Asn Pro Pro Thr 20 25 <210> 5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5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Met His Ala Pro Ser Asn Leu 1 5 10 15 Ala Ser Gln Gln Trp Ser Phe Asn Pro Pro Thr 20 25 <210> 6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6 Arg Ala Ser Gln Ser Ile Ser Asn Tyr Leu Ala Ala Ala Ser Ser 1 5 10 15 Leu Glu Ser Gln Gln Tyr Asn Ser Leu Pro Trp Thr 20 25 <210> 7 <211> 122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7 Gln Ala Tyr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Val Arg Pro Gly 1 5 10 15 Ala Ser Val Lys Met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20 25 30 Ser Tyr Asn Met His Trp Val Lys Gln Thr Pro Arg Gln Gly Leu 35 40 45 Glu Trp Ile Gly Ala Ile Tyr Pro Gly Asn Gly Asp Thr Ser Tyr 50 55 60 Asn Gln Lys Phe Lys Gly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65 70 75 Ser Ser Thr Ala Tyr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80 85 90 Ser Ala Val Tyr Phe Cys Ala Arg Val Val Tyr Tyr Ser Asn Ser 95 100 105 Ty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Thr Gly Thr Thr Val Thr Val 110 115 120 Ser Ser <210> 8 <211> 1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8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1 5 10 15 Gly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Tyr Thr Phe Thr 20 25 30 Ser Tyr Asn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35 40 45 Glu Trp Val Gly Ala Ile Tyr Pro Gly Asn Gly Asp Thr Ser Tyr 50 55 60 Asn Gln Lys Phe Lys Gly Arg Phe Thr Ile Ser Val Asp Lys Ser 65 70 75 Lys Asn Thr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80 85 90 Th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Val Val Tyr Tyr Ser Asn Ser 95 100 105 Ty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110 115 120 Ser Ser <210> 9 <211> 11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9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1 5 10 15 Gly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20 25 30 Ser Tyr Ala Met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35 40 45 Glu Trp Val Ala Val Ile Ser Gly Asp Gly Gly Ser Thr Tyr Tyr 50 55 60 Ala Asp Ser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65 70 75 Lys Asn Thr Leu Th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80 85 90 Th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Gly Arg Val Gly Tyr Ser Leu 95 100 105 Tyr Asp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0 115 <210> 10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10 Gly Tyr Thr Phe Thr Ser Tyr Asn Met His Ala Ile Tyr Pro Gly 1 5 10 15 Asn Gly Asp Thr Ser Tyr Asn Gln Lys Phe Lys Gly Val Val Tyr 20 25 30 Tyr Ser Asn Ser Tyr Trp Tyr Phe Asp Val 35 40 <210> 11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11 Gly Tyr Thr Phe Thr Ser Tyr Asn Met His Ala Ile Tyr Pro Gly 1 5 10 15 Asn Gly Asp Thr Ser Tyr Asn Gln Lys Phe Lys Gly Val Val Tyr 20 25 30 Tyr Ser Asn Ser Tyr Trp Tyr Phe Asp Val 35 40 <210> 12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12 Gly Phe Thr Phe Ser Ser Tyr Ala Met Ser Val Ile Ser Gly Asp 1 5 10 15 Gly Gly Ser Thr Tyr Tyr Ala Asp Ser Val Lys Gly Gly Arg Val 20 25 30 Gly Tyr Ser Leu Tyr Asp Tyr 35 <210> 13 <211> 2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13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1 5 10 15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20 25 30 Tyr Met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Pro 35 40 45 Leu Ile Tyr Ala Pro Ser Asn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50 55 6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65 70 75 Ser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80 85 90 Ser Phe Asn Pro Pro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95 100 105 Lys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110 115 120 Asp Glu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125 130 135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140 145 150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155 160 165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170 175 180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185 190 195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200 205 210 Gly Glu Cys <210> 14 <211> 45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14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1 5 10 15 Gly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Tyr Thr Phe Thr 20 25 30 Ser Tyr Asn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35 40 45 Glu Trp Val Gly Ala Ile Tyr Pro Gly Asn Gly Asp Thr Ser Tyr 50 55 60 Asn Gln Lys Phe Lys Gly Arg Phe Thr Ile Ser Val Asp Lys Ser 65 70 75 Lys Asn Thr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80 85 90 Th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Val Val Tyr Tyr Ser Asn Ser 95 100 105 Ty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110 115 120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125 130 135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140 145 150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155 160 165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170 175 180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185 190 195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200 205 210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215 220 225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230 235 240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245 250 255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260 265 270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275 280 285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290 295 300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305 310 315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320 325 330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335 340 345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350 355 360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365 370 375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380 385 390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395 400 405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410 415 420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425 430 435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440 445 450 Gly Lys <210> 15 <211> 45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15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1 5 10 15 Gly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Tyr Thr Phe Thr 20 25 30 Ser Tyr Asn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35 40 45 Glu Trp Val Gly Ala Ile Tyr Pro Gly Asn Gly Asp Thr Ser Tyr 50 55 60 Asn Gln Lys Phe Lys Gly Arg Phe Thr Ile Ser Val Asp Lys Ser 65 70 75 Lys Asn Thr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80 85 90 Th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Val Val Tyr Tyr Ser Asn Ser 95 100 105 Ty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110 115 120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125 130 135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140 145 150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155 160 165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170 175 180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185 190 195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200 205 210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215 220 225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230 235 240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245 250 255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260 265 270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275 280 285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290 295 300 Tyr Asn Ala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305 310 315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320 325 330 Lys Ala Leu Pro Ala Pro Ile Ala Ala Thr Ile Ser Lys Ala Lys 335 340 345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350 355 360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365 370 375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380 385 390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395 400 405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410 415 420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425 430 435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440 445 450 Gly Lys <210> 16 <211> 28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6 Met Asp Asp Ser Thr Glu Arg Glu Gln Ser Arg Leu Thr Ser Cys 1 5 10 15 Leu Lys Lys Arg Glu Glu Met Lys Leu Lys Glu Cys Val Ser Ile 20 25 30 Leu Pro Arg Lys Glu Ser Pro Ser Val Arg Ser Ser Lys Asp Gly 35 40 45 Lys Leu Leu Ala Ala Thr Leu Leu Leu Ala Leu Leu Ser Cys Cys 50 55 60 Leu Thr Val Val Ser Phe Tyr Gln Val Ala Ala Leu Gln Gly Asp 65 70 75 Leu Ala Ser Leu Arg Ala Glu Leu Gln Gly His His Ala Glu Lys 80 85 90 Leu Pro Ala Gly Ala Gly Ala Pro Lys Ala Gly Leu Glu Glu Ala 95 100 105 Pro Ala Val Thr Ala Gly Leu Lys Ile Phe Glu Pro Pro Ala Pro 110 115 120 Gly Glu Gly Asn Ser Ser Gln Asn Ser Arg Asn Lys Arg Ala Val 125 130 135 Gln Gly Pro Glu Glu Thr Val Thr Gln Asp Cys Leu Gln Leu Ile 140 145 150 Ala Asp Ser Glu Thr Pro Thr Ile Gln Lys Gly Ser Tyr Thr Phe 155 160 165 Val Pro Trp Leu Leu Ser Phe Lys Arg Gly Ser Ala Leu Glu Glu 170 175 180 Lys Glu Asn Lys Ile Leu Val Lys Glu Thr Gly Tyr Phe Phe Ile 185 190 195 Tyr Gly Gln Val Leu Tyr Thr Asp Lys Thr Tyr Ala Met Gly His 200 205 210 Leu Ile Gln Arg Lys Lys Val His Val Phe Gly Asp Glu Leu Ser 215 220 225 Leu Val Thr Leu Phe Arg Cys Ile Gln Asn Met Pro Glu Thr Leu 230 235 240 Pro Asn Asn Ser Cys Tyr Ser Ala Gly Ile Ala Lys Leu Glu Glu 245 250 255 Gly Asp Glu Leu Gln Leu Ala Ile Pro Arg Glu Asn Ala Gln Ile 260 265 270 Ser Leu Asp Gly Asp Val Thr Phe Phe Gly Ala Leu Lys Leu Leu 275 280 285 <210> 17 <211> 30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7 Met Asp Glu Ser Ala Lys Thr Leu Pro Pro Pro Cys Leu Cys Phe 1 5 10 15 Cys Ser Glu Lys Gly Glu Asp Met Lys Val Gly Tyr Asp Pro Ile 20 25 30 Thr Pro Gln Lys Glu Glu Gly Ala Trp Phe Gly Ile Cys Arg Asp 35 40 45 Gly Arg Leu Leu Ala Ala Thr Leu Leu Leu Ala Leu Leu Ser Ser 50 55 60 Ser Phe Thr Ala Met Ser Leu Tyr Gln Leu Ala Ala Leu Gln Ala 65 70 75 Asp Leu Met Asn Leu Arg Met Glu Leu Gln Ser Tyr Arg Gly Ser 80 85 90 Ala Thr Pro Ala Ala Ala Gly Ala Pro Glu Leu Thr Ala Gly Val 95 100 105 Lys Leu Leu Thr Pro Ala Ala Pro Arg Pro His Asn Ser Ser Arg 110 115 120 Gly His Arg Asn Arg Arg Ala Phe Gln Gly Pro Glu Glu Thr Glu 125 130 135 Gln Asp Val Asp Leu Ser Ala Pro Pro Ala Pro Cys Leu Pro Gly 140 145 150 Cys Arg His Ser Gln His Asp Asp Asn Gly Met Asn Leu Arg Asn 155 160 165 Ile Ile Gln Asp Cys Leu Gln Leu Ile Ala Asp Ser Asp Thr Pro 170 175 180 Thr Ile Arg Lys Gly Thr Tyr Thr Phe Val Pro Trp Leu Leu Ser 185 190 195 Phe Lys Arg Gly Asn Ala Leu Glu Glu Lys Glu Asn Lys Ile Val 200 205 210 Val Arg Gln Thr Gly Tyr Phe Phe Ile Tyr Ser Gln Val Leu Tyr 215 220 225 Thr Asp Pro Ile Phe Ala Met Gly His Val Ile Gln Arg Lys Lys 230 235 240 Val His Val Phe Gly Asp Glu Leu Ser Leu Val Thr Leu Phe Arg 245 250 255 Cys Ile Gln Asn Met Pro Lys Thr Leu Pro Asn Asn Ser Cys Tyr 260 265 270 Ser Ala Gly Ile Ala Arg Leu Glu Glu Gly Asp Glu Ile Gln Leu 275 280 285 Ala Ile Pro Arg Glu Asn Ala Gln Ile Ser Arg Asn Gly Asp Asp 290 295 300 Thr Phe Phe Gly Ala Leu Lys Leu Leu 305 <210> 1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220> <221> X <222> 1, 3, 5, 7-12, 14, 15, 17 <223> X = any amino acid except cysteine <220> <221> X <222> 16 <223> X = an amino acid selected fromthe group consisting of L, F, I and V <400> 18 Xaa Cys Xaa Asp Xaa Leu Xaa Xaa Xaa Xaa Xaa Xaa Cys Xaa Xaa 1 5 10 15 Xaa Xaa <210> 19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19 Glu Cys Phe Asp Leu Leu Val Arg Ala Trp Val Pro Cys Ser Val 1 5 10 15 Leu Lys <210> 20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20 Glu Cys Phe Asp Leu Leu Val Arg His Trp Val Pro Cys Gly Leu 1 5 10 15 Leu Arg <210> 21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21 Glu Cys Phe Asp Leu Leu Val Arg Arg Trp Val Pro Cys Glu Met 1 5 10 15 Leu Gly <210> 22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22 Glu Cys Phe Asp Leu Leu Val Arg Ser Trp Val Pro Cys His Met 1 5 10 15 Leu Arg <210> 23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23 Glu Cys Phe Asp Leu Leu Val Arg His Trp Val Ala Cys Gly Leu 1 5 10 15 Leu Arg <210> 24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24 Gln Cys Phe Asp Arg Leu Asn Ala Trp Val Pro Cys Ser Val Leu 1 5 10 15 Lys <210> 25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220> <221> Unsure <222> 1, 3, 5, 8, 9, 14, 15, 17 <223> any amino acid, except cysteine <400> 25 Xaa Cys Xaa Asp Xaa Leu Val Xaa Xaa Trp Val Pro Cys Xaa Xaa 1 5 10 15 Leu Xaa <210> 26 <211> 18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6 Met Arg Arg Gly Pro Arg Ser Leu Arg Gly Arg Asp Ala Pro Ala 1 5 10 15 Pro Thr Pro Cys Val Pro Ala Glu Cys Phe Asp Leu Leu Val Arg 20 25 30 His Cys Val Ala Cys Gly Leu Leu Arg Thr Pro Arg Pro Lys Pro 35 40 45 Ala Gly Ala Ser Ser Pro Ala Pro Arg Thr Ala Leu Gln Pro Gln 50 55 60 Glu Ser Val Gly Ala Gly Ala Gly Glu Ala Ala Leu Pro Leu Pro 65 70 75 Gly Leu Leu Phe Gly Ala Pro Ala Leu Leu Gly Leu Ala Leu Val 80 85 90 Leu Ala Leu Val Leu Val Gly Leu Val Ser Trp Arg Arg Arg Gln 95 100 105 Arg Arg Leu Arg Gly Ala Ser Ser Ala Glu Ala Pro Asp Gly Asp 110 115 120 Lys Asp Ala Pro Glu Pro Leu Asp Lys Val Ile Ile Leu Ser Pro 125 130 135 Gly Ile Ser Asp Ala Thr Ala Pro Ala Trp Pro Pro Pro Gly Glu 140 145 150 Asp Pro Gly Thr Thr Pro Pro Gly His Ser Val Pro Val Pro Ala 155 160 165 Thr Glu Leu Gly Ser Thr Glu Leu Val Thr Thr Lys Thr Ala Gly 170 175 180 Pro Glu Gln Gln <210> 27 <211> 26 <212> PRT <213> Homo sapien <400> 27 Thr Pro Cys Val Pro Ala Glu Cys Phe Asp Leu Leu Val Arg His 1 5 10 15 Cys Val Ala Cys Gly Leu Leu Arg Thr Pro Arg 20 25 <210> 28 <211> 2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28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1 5 10 15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20 25 30 Tyr Leu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Pro 35 40 45 Leu Ile Tyr Ala Pro Ser Asn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50 55 6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65 70 75 Ser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80 85 90 Ala Phe Asn Pro Pro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95 100 105 Lys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110 115 120 Asp Glu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125 130 135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140 145 150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155 160 165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170 175 180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185 190 195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200 205 210 Gly Glu Cys <210> 29 <211> 45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29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1 5 10 15 Gly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Tyr Thr Phe Thr 20 25 30 Ser Tyr Asn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35 40 45 Glu Trp Val Gly Ile Tyr Pro Gly Asn Gly Ala Thr Ser Tyr Asn 50 55 60 Gln Lys Phe Lys Gly Arg Phe Thr Ile Ser Val Asp Lys Ser Lys 65 70 75 Asn Thr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80 85 90 Ala Val Tyr Tyr Cys Ala Arg Val Val Tyr Tyr Ser Tyr Arg Tyr 95 100 105 Trp Tyr Phe Asp Val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110 115 120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125 130 135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140 145 150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155 160 165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170 175 180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185 190 195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200 205 210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Asp 215 220 225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230 235 240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245 250 255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260 265 270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275 280 285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290 295 300 Asn Ala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305 310 315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Ala 320 325 330 Ala Leu Pro Ala Pro Ile Ala Ala Thr Ile Ser Lys Ala Lys Gly 335 340 345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350 355 360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365 370 375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380 385 390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395 400 405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410 415 420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425 430 435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440 445 450 Lys <210> 30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220> <221> Unsure <222> 9 <223> wherein X is M or L <400> 30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Xaa His 5 10 <210> 3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220> <221> Unsure <222> 4 <223> wherein X is S or A <400> 31 Gln Gln Trp Xaa Phe Asn Pro Pro Thr 5 <210> 32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220> <221> Unsure <222> 8 <223> wherein X is D or A <400> 32 Ala Ile Tyr Pro Gly Asn Gly Xaa Thr Ser Tyr Asn Gln Lys Phe 1 5 10 15 Lys Gly <210> 3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220> <221> Unsure <222> 6 <223> wherein X is N, A, Y, W, or D <220> <221> Unsure <222> 7 <223> wherein X is S or R <400> 33 Val Val Tyr Tyr Ser Xaa Xaa Tyr Trp Tyr Phe Asp Val 5 10 <210> 34 <211> 45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34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1 5 10 15 Gly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Tyr Thr Phe Thr 20 25 30 Ser Tyr Asn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35 40 45 Glu Trp Val Gly Ala Ile Tyr Pro Gly Asn Gly Ala Thr Ser Tyr 50 55 60 Asn Gln Lys Phe Lys Gly Arg Phe Thr Ile Ser Val Asp Lys Ser 65 70 75 Lys Asn Thr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80 85 90 Th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Val Val Tyr Tyr Ser Tyr Arg 95 100 105 Ty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110 115 120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125 130 135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140 145 150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155 160 165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170 175 180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185 190 195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200 205 210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215 220 225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230 235 240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245 250 255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260 265 270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275 280 285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290 295 300 Tyr Asn Ala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305 310 315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320 325 330 Ala Ala Leu Pro Ala Pro Ile Ala Ala Thr Ile Ser Lys Ala Lys 335 340 345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350 355 360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365 370 375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380 385 390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395 400 405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410 415 420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425 430 435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440 445 450 Gly <210> 35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35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1 5 10 15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20 25 30 Tyr Leu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Pro 35 40 45 Leu Ile Tyr Ala Pro Ser Asn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50 55 6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65 70 75 Ser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80 85 90 Ala Phe Asn Pro Pro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95 100 105 Lys Arg <210> 36 <211> 1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is synthesized <400> 36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1 5 10 15 Gly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Tyr Thr Phe Thr 20 25 30 Ser Tyr Asn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35 40 45 Glu Trp Val Gly Ala Ile Tyr Pro Gly Asn Gly Ala Thr Ser Tyr 50 55 60 Asn Gln Lys Phe Lys Gly Arg Phe Thr Ile Ser Val Asp Lys Ser 65 70 75 Lys Asn Thr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80 85 90 Th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Val Val Tyr Tyr Ser Tyr Arg 95 100 105 Ty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110 115 120 Ser Ser

Claims (121)

  1. 시각 아날로그 등급(Visual Analogue Scale)에서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 중 2가지 이상을 기저 수준(baseline)에 비해 약 30% 이상 개선시키는 유효량의 CD20 항체와 항말라리아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의 쇼그렌 증후군 치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저 수준에 비해 개선되는 것이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의 3가지 모두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CD20 항체는 사용하지 않고 항말라리아제만을 투여하는 대조군 치료법에 비해 개선시키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말라리아제가 히드록시클로로퀸 또는 클로로퀸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말라리아제가 히드록시클로로퀸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20 항체를 제1 약물이라고 하 고 항말라리아제를 제2 약물이라고 할 때 유효량의 제3 약물을 투여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질병 완화 항류마티스약 (DMARD),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 사이토킨 길항제, 분비성 작동제, 또는 호르몬인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스테로이드,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 또는 면역억제제인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스테로이드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가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또는 덱사메타손인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를, 환자에게 스테로이드를 처치하고 CD20 항체는 투여하지 않는 경우의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투여 하는 것인 방법.
  13.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분비성 작동제가 필로카르핀 히드로클로라이드, 세비멜린, 브롬헥신, 디쿠아포솔, 시스테아민 점안제, 윤활성 점안제, 시클로스포린 안과용 에멀젼 또는 이들의 제약 염인 방법.
  15.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NSAID가 아스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또는 톨메틴인 방법.
  17.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면역억제제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면역억제제가 시클로포스파미드, 클로람부실, 아자티오프린 또는 메토트렉세이트인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가 기존에 CD20 항체 처치를 받은 적이 없는 것인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에서 쇼그렌 증후군이 재발된 것인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순수한(naked) 항체인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또다른 분자에 접합된 것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분자가 세포독성제인 방법.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정맥내 투여되는 것인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 투여되는 것인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리툭시마브(rituximab)인 방법.
  27.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서열 2 및 8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 2H7인 방법.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가 상승된 수준의 항핵 항체 (ANA), 항류마티스양 인자 (RF) 항체, 쇼그렌 관련 항원 A 또는 B (SS-A 또는 SS-B)에 대한 항체, 중심절 단백질 B (CENP B) 또는 중심절 단백질 C (CENP C)에 대한 항체, ICA69에 대한 자가항체, 또는 이들 항체의 둘 이상의 조합물을 갖는 것인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SS-A 및 SS-B에 대한 항체가 항-Ro/SS-A 항체, 항-La/SS-A 항체, 항-La/SS-B 항체 또는 항-Ro/SS-B 항체인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쇼그렌 증후군이 2차 쇼그렌 증후군인 방법.
  31. (a) CD20 항체를 포함하는 용기;
    (b) 항말라리아제를 포함하는 용기; 및
    (c) 환자에서의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대한 지침을 수반하며, 상기 지침은 시각 아날로그 등급에서 건조증, 피로 및 관절 통증 중 2가지 이상을 기저 수준에 비해 약 30% 이상 개선시키는데 유효한 양의 상기 항체 및 항말라리아제를 환자에게 투여할 것을 지시하는 것인 패키지 삽입물
    을 포함하는 제조품.
  32. 제31항에 있어서, CD20 항체를 제1 약물이라고 하고 항말라리아제를 제2 약물이라고 할 때 제3 약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패키지 삽입물 상에 상기 제3 약물을 사용한 환자 치료에 대한 지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품.
  33. 제32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사이토킨 길항제, 또는 호르몬인 제조품.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스테로이드인 제조품.
  35. 유효량의 CD20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후에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2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 것인, 대상체에서의 쇼그렌 증후군 치료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20주 내지 30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 것인 방법.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4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 것인 방법.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항체 노출 및 제2 항체 노출이 각각 약 0.5 내지 4 g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인 방법.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항체 노출 및 제2 항체 노출이 각각 약 1.5 내지 3.5 g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인 방법.
  40. 제35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항체 노출 및 제2 항체 노출이 각각 약 1.5 내지 2.5 g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인 방법.
  41. 제35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CD20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제3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3 노출은 초기 노출로부터 약 46주 내지 60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 것인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제3 항체 노출이 약 0.5 내지 4 g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인 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제3 항체 노출이 약 1.5 내지 3.5 g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인 방법.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항체 노출이 약 1.5 내지 2.5 g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인 방법.
  45.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46주 내지 55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 것인 방법.
  46. 제4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노출로부터 적어도 약 70주 내지 75주까지는 추가의 항체 노출이 제공되지 않는 것인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초기 노출로부터 약 74주 내지 80주까지는 추가의 항체 노출이 제공되지 않는 것인 방법.
  48. 제35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항체 노출이 대상체에게 단일 용량의 항체로서 제공되는 것인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각 항체 노출이 대상체에게 단일 용량의 항체로서 제공되는 것인 방법.
  50. 제35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항체 노출이 대상체에게 분리된 용량의 항체로서 제공되는 것인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각 항체 노출이 분리된 용량의 항체로서 제공되는 것인 방법.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분리된 용량이 약 2회 내지 4회 용량인 방법.
  53. 제50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된 용량이 약 2회 내지 3회 용량인 방법.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분리된 용량이 제1회분 용량과 제2회분 용량으로 구성되는 것인 방법.
  55.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분리된 용량이 제1회분 용량, 제2회분 용량 및 제3회분 용량으로 구성되는 것인 방법.
  56. 제50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중 용량이 이전 용량의 투여 시점으로부터 약 1일 내지 20일 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57. 제50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중 용량이 이전 용량의 투여 시점으로부터 약 6일 내지 16일 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58. 제50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중 용량이 이전 용량의 투여 시점으로부터 약 14일 내지 16일 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59. 제50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된 용량이 총 약 1일 내지 4주의 기간 내에서 투여되는 것인 방법.
  60. 제50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된 용량이 총 약 1일 내지 25일의 기간 내에서 투여되는 것인 방법.
  61. 제50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된 용량이 대략 매주 투여되고, 이때 제2회분 용량은 제1회분 용량의 투여로부터 약 1주 후에 투여되고, 임의의 제3회분 용량 또는 나중 용량은 이전 용량의 투여로부터 약 1주 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62. 제50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의 각 분리된 용량이 약 0.5 내지 1.5 g인 방법.
  63. 제5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의 각 분리된 용량이 약 0.75 내지 1.3 g인 방법.
  64. 제35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4 내지 20회의 항체 노출이 투여되는 것인 방법.
  65. 제3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20 항체를 제1 약물이라고 할 때 유효량의 제2 약물을 항체 노출과 함께 투여하는 것인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초기 노출과 함께 투여되는 것인 방법.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초기 노출 및 제2 노출과 함께 투여되는 것인 방법.
  68.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모든 노출과 함께 투여되는 것인 방법.
  69. 제6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질병 완화 항류마티스약 (DMARD),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 사이토킨 길항제,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 또는 호르몬인 방법.
  70. 제65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항말라리아제인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항말라리아제가 히드록시클로로퀸 또는 클로로퀸인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항말라리아제가 히드록시클로로퀸인 방법.
  73. 제70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또다른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74. 제65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스테로이드,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 또는 면역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5. 제65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스테로이드를 포함 하는 것인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방법.
  77. 제75항 또는 제76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가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또는 덱사메타손인 방법.
  78.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를, 대상체에게 스테로이드를 처치하고 CD20 항체는 투여하지 않는 경우의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79. 제65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구내 건조증 또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분비성 작동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분비성 작동제가 필로카르핀 히드로클로라이드, 세비멜린, 브롬헥신, 시클로스포린 안과용 에멀젼, 윤활성 점안제, 시스테아민 점안제, 디쿠아포솔 또는 이들의 제약 염인 방법.
  81. 제65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약물 (NSAID)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NSAID가 아스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또는 톨메틴인 방법.
  83. 제65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면역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4. 제83항에 있어서, 면역억제제가 시클로포스파미드, 클로람부실, 아자티오프린 또는 메토트렉세이트인 방법.
  85. 제65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초기 노출과 함께 투여되는 것인 방법.
  86. 제85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제2 노출과는 함께 투여되지 않거나, 또는 초기 노출과 함께 사용된 양보다 적은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87. 제35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노출로서 약 2 내지 3 g의 CD20 항체가 투여되는 것인 방법.
  88. 제87항에 있어서, 초기 노출로서 약 1 g의 CD20 항체가 약 3주 동안 매주 투 여되는 것인 방법.
  89. 제87항 또는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6개월 째에 이루어지고, 약 2 g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90. 제87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6개월 째에 이루어지고, 약 1 g의 항체가 투여된 후 약 2주 내에 또다른 약 1 g의 항체가 투여되는 것인 방법.
  91. 제87항에 있어서, 초기 투여로서, 약 1 g의 CD20 항체가 투여된 후 약 2주 내에 또다른 약 1 g의 항체가 투여되는 것인 방법.
  92. 제91항에 있어서,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6개월 째에 이루어지고, 약 2 g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93. 제91항 또는 제92항에 있어서,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6개월 째에 이루어지고, 약 1 g의 항체가 투여된 후 약 2주 내에 또다른 약 1 g의 항체가 투여되는 것인 방법.
  94. 제87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항말라리아제가 초 기 노출 전 또는 초기 노출과 함께 투여되는 것인 방법.
  95. 제94항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96. 제95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가 제2 노출과는 함께 투여되지 않거나, 또는 초기 노출과 함께 사용된 양보다 적은 양으로 제2 노출과 함께 투여되는 것인 방법.
  97. 제95항 또는 제96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가 제3 노출 또는 이후의 노출과는 함께 투여되지 않는 것인 방법.
  98. 제35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기존에 CD20 항체 처치를 받은 적이 없는 것인 방법.
  99. 제35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순수한 항체인 방법.
  100. 제35항 내지 제9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또다른 분자에 접합된 것인 방법.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분자가 세포독성제인 방법.
  102. 제35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정맥내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3. 제102항에 있어서, 각 항체 노출마다 항체가 정맥내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4. 제35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5. 제104항에 있어서, 각 항체 노출마다 항체가 피하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6. 제35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20 항체 이외에는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어떠한 약물도 대상체에게 투여하지 않는 것인 방법.
  107. 제35항 내지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리툭시마브인 방법.
  108. 제35항 내지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서열 2 및 8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 2H7인 방법.
  109. 제35항 내지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서열 23 및 24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 2H7인 방법.
  110. 제35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상승된 수준의 항핵 항체 (ANA), 항류마티스양 인자 (RF) 항체, 쇼그렌 관련 항원 A 또는 B (SS-A 또는 SS-B)에 대한 항체, 중심절 단백질 B (CENP B) 또는 중심절 단백질 C (CENP C)에 대한 항체, ICA69에 대한 자가항체, 또는 이들 항체의 둘 이상의 조합물을 갖는 것인 방법.
  111. 제110항에 있어서, SS-A 및 SS-B에 대한 항체가 항-Ro/SS-A 항체, 항-La/SS-A 항체, 항-La/SS-B 항체 또는 항-Ro/SS-B 항체인 방법.
  112. 제35항 내지 제1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쇼그렌 증후군이 2차 쇼그렌 증후군인 방법.
  113. (a) CD20 항체를 포함하는 용기; 및
    (b) 대상체에서의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대한 지침을 수반하며, 상기 지침은 초기 항체 노출을 제공한 후에 제2 항체 노출을 제공하는데 유효한 양의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할 것과, 이때 상기 제2 노출이 초기 노출로부터 약 16주 내지 54주까지는 제공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것인 패키지 삽입물
    을 포함하는 제조품.
  114. 제113항에 있어서, 초기 항체 노출 및 제2 항체 노출 각각이 0.5 내지 4 g의 양으로 제공되는 제조품.
  115. 제113항 또는 제114항에 있어서, 각 항체 노출이 대상체에게 약 1회 내지 4회 용량으로서 제공되는 제조품.
  116. 제113항 내지 제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항체 노출이 대상체에게 단일 용량의 항체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2회 또는 3회의 분리된 용량의 항체로서 제공되는 제조품.
  117. 제113항 내지 제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20 항체를 제1 약물이라고 할 때 제2 약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패키지 삽입물 상에 상기 제2 약물을 사용한 대상체 치료에 대한 지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품.
  118. 제117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화학요법제, 면역억제제, 세포독성제, 인테그린 길항제, 사이토킨 길항제, 또는 호르몬인 제조품.
  119. 제117항 또는 제118항에 있어서, 제2 약물이 항말라리아제인 제조품.
  120. 제117항 내지 제1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러한 제3 약물을 사용한 대상체 치료에 대한 지침을 패키지 삽입물 상에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품.
  121. 제120항에 있어서, 제3 약물이 스테로이드인 제조품.
KR1020077004071A 2004-07-22 2005-07-21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방법 Withdrawn KR20070036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030204P 2004-07-22 2004-07-22
US60/590,302 2004-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187A true KR20070036187A (ko) 2007-04-02

Family

ID=3550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071A Withdrawn KR20070036187A (ko) 2004-07-22 2005-07-21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20060062787A1 (ko)
EP (1) EP1781378A2 (ko)
JP (1) JP2008507555A (ko)
KR (1) KR20070036187A (ko)
CN (1) CN101027100A (ko)
AR (1) AR050354A1 (ko)
AU (1) AU2005267028A1 (ko)
BR (1) BRPI0513100A (ko)
CA (1) CA2573359A1 (ko)
IL (1) IL180371A0 (ko)
MX (1) MX2007000748A (ko)
MY (1) MY154992A (ko)
NZ (1) NZ552433A (ko)
RU (1) RU2007106722A (ko)
TW (1) TW200618809A (ko)
WO (1) WO2006012508A2 (ko)
ZA (1) ZA20070090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452A (ko) * 2012-11-09 2014-05-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 나노입자 융합 하이드로젤의 용도
US10001477B2 (en) 2012-11-09 2018-06-19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Use of protein nanoparticle based hydrog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44644C (en) * 1999-05-07 2017-08-22 Genentech, Inc. Use of rituximab to treat pemphigus
US20020058029A1 (en) * 2000-09-18 2002-05-16 Nabil Hanna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using B cell depleting/immunoregulatory antibody combination
SG160348A1 (en) 2003-11-05 2010-04-29 Glycart Biotechnology Ag Cd20 antibodies with increased fc receptor binding affinity and effector function
US9492400B2 (en) * 2004-11-04 2016-11-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ated controlled release polymer particles as efficient oral delivery vehicles for biopharmaceuticals
DOP2006000029A (es) * 2005-02-07 2006-08-15 Genentech Inc Antibody variants and uses thereof. (variantes de un anticuerpo y usos de las mismas)
US9267937B2 (en) * 2005-12-15 2016-02-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 for screening particles
CA2648099C (en) 2006-03-31 2012-05-29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System for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EP2019691B1 (en) 2006-05-15 2020-08-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lymers for functional particles
US20110052697A1 (en) * 2006-05-17 2011-03-03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Aptamer-Directed Drug Delivery
US9381477B2 (en) * 2006-06-23 2016-07-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fluidic synthesis of organic nanoparticles
US20100144845A1 (en) * 2006-08-04 2010-06-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ligonucleotide systems for targeted intracellular delivery
WO2008147456A2 (en) * 2006-11-20 2008-12-0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rug delivery systems using fc fragments
BRPI0720434A2 (pt) * 2006-12-22 2014-01-07 Sigma Tau Ind Farmaceuti Gel útil para liberação de fármacos oftálmicos
EP2134830A2 (en) * 2007-02-09 2009-12-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scillating cell culture bioreactor
WO2008124632A1 (en) * 2007-04-04 2008-10-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mphiphilic compound assisted nanoparticles for targeted delivery
WO2008124634A1 (en) * 2007-04-04 2008-10-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lymer-encapsulated reverse micelles
EP1987839A1 (en) * 2007-04-30 2008-11-05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Cytotoxic anti-LAG-3 monoclonal antibody and its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rgan transplant rejection and autoimmune disease
MX350501B (es) 2007-10-12 2017-09-07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Nanotecnologia de vacuna.
TW201438738A (zh) 2008-09-16 2014-10-16 Genentech Inc 治療進展型多發性硬化症之方法
US8277812B2 (en) 2008-10-12 2012-10-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mmunonanotherapeutics that provide IgG humoral response without T-cell antigen
US8343498B2 (en) 2008-10-12 2013-01-0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djuvant incorporation in immunonanotherapeutics
US8591905B2 (en) * 2008-10-12 2013-11-26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Nicotine immunonanotherapeutics
US8343497B2 (en) 2008-10-12 2013-01-01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Targeting of antigen presenting cells with immunonanotherapeutics
WO2010047681A1 (en) * 2008-10-24 2010-04-29 Bridge Pharma, Inc. Treating xerophthalmia with norketotifen
WO2010059894A1 (en) * 2008-11-21 2010-05-27 Bridge Pharma, Inc. Ocular formulations of norketotifen
WO2010075249A2 (en) 2008-12-22 2010-07-01 Genentech, Inc. A method f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with b-cell antagonists
WO2010104696A1 (en) * 2009-03-11 2010-09-16 Invitrx,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keratoconjunctivitis sicca
AR078161A1 (es) 2009-09-11 2011-10-19 Hoffmann La Roche Formulaciones farmaceuticas muy concentradas de un anticuerpo anti cd20. uso de la formulacion. metodo de tratamiento.
TW201129384A (en) 2010-02-10 2011-09-01 Immunogen Inc CD20 antibodies and uses thereof
AU2013215332A1 (en) 2012-01-31 2014-09-04 Genentech, Inc. Anti-Ig-E M1' antibodies and methods using same
MA38498B1 (fr) 2013-03-15 2018-11-30 Glaxosmithkline Ip Dev Ltd Protéines de liaison anti-lag-3
US11240613B2 (en) * 2014-01-30 2022-02-01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implant
AR104368A1 (es) 2015-04-03 2017-07-19 Lilly Co Eli Anticuerpos biespecíficos anti-cd20- / anti-baff
PL3344654T3 (pl) 2015-09-02 2021-05-17 Immutep S.A.S. Przeciwciała anty-lag-3
EP3569617A1 (en) * 2018-05-18 2019-11-20 Trion Research GmbH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use in treating epstein- barr virus positive patients with reactivation phenomenon- associated diseases
WO2020227341A1 (en) * 2019-05-06 2020-11-12 9 Meters Biopharm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US20210196652A1 (en) * 2019-12-27 2021-07-01 Meshaberase, LLC Use of cysteamine and derivatives thereof to treat dysfunctional tear syndrome (dts)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0030A (en) * 1940-08-31 1945-02-20 Texas Co Conversion of hydrocarbons
US4690905A (en) * 1983-11-16 1987-09-01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Of Yeshiva University, A Division Of Yeshiva University Method for removal of human antibodies to native DNA from serum
US6893625B1 (en) * 1986-10-27 2005-05-17 Royalty Pharma Finance Trust Chimeric antibody with specificity to human B cell surface antigen
IL85035A0 (en) * 1987-01-08 1988-06-30 Int Genetic Eng Polynucleotide molecule,a chimeric antibody with specificity for human b cell surface antigen,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methods utilizing the same
US5506126A (en) * 1988-02-25 1996-04-09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Rapid immunoselection cloning method
US4861579A (en) * 1988-03-17 1989-08-29 American Cyanamid Company Suppression of B-lymphocytes in mammals by administration of anti-B-lymphocyte antibodies
MX9204374A (es) * 1991-07-25 1993-03-01 Idec Pharma Corp Anticuerpo recombinante y metodo para su produccion.
US5565332A (en) * 1991-09-23 1996-10-15 Medical Research Council Production of chimeric antibodies - a combinatorial approach
US5573905A (en) * 1992-03-30 1996-11-12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Encoded combinatorial chemical libraries
US7744877B2 (en) * 1992-11-13 2010-06-29 Biogen Idec Inc. Expression and use of anti-CD20 Antibodies
DE69303494T2 (de) * 1992-11-13 1997-01-16 Idec Pharma Corp Therapeutische verwendung von chimerischen und markierten antikörper gegen menschlichen b lymphozyt beschränkter differenzierung antigen für die behandlung von b-zell-lymphoma
US5736137A (en) * 1992-11-13 1998-04-07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Therapeutic application of chimeric and radiolabeled antibodies to human B lymphocyte restricted differentiation antigen for treatment of B cell lymphoma
US5595721A (en) * 1993-09-16 1997-01-21 Coulter Pharmaceutical, Inc. Radioimmunotherapy of lymphoma using anti-CD20
IL114909A (en) * 1994-08-12 1999-10-28 Immunomedics Inc Immunoconjugates and humanized antibodies specific for b-cell lymphoma and leukemia cells
US20010056066A1 (en) * 1996-07-26 2001-12-27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immune cell mediated systemic diseases
WO1998026086A1 (en) * 1996-12-11 1998-06-18 University Of Florida Nove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US6306393B1 (en) * 1997-03-24 2001-10-23 Immunomedics, Inc. Immunotherapy of B-cell malignancies using anti-CD22 antibodies
US6171586B1 (en) * 1997-06-13 2001-01-09 Genentech, Inc. Antibody formulation
US6368596B1 (en) * 1997-07-08 2002-04-0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omoconjugates of antibodies which induce growth arrest or apoptosis of tumor cells
US6242195B1 (en) * 1998-04-02 2001-06-05 Genentech, Inc. Methods for determining binding of an analyte to a receptor
US6528624B1 (en) * 1998-04-02 2003-03-04 Genentech, Inc. Polypeptide variants
US6194551B1 (en) * 1998-04-02 2001-02-27 Genentech, Inc. Polypeptide variants
EP1946775A3 (en) * 1998-08-11 2008-08-06 Biogen Idec Inc. Combination therapies for B-cell lymphomas comprising administration of anti-CD20 antibody
US6224866B1 (en) * 1998-10-07 2001-05-01 Biocrystal Ltd. Immunotherapy of B cell involvement in progression of solid, nonlymphoid tumors
HK1041811A1 (zh) * 1998-11-09 2002-07-26 Idec药物公司 接受bmt或pbsc移植患者的抗cd20嵌合抗體治療
US6737056B1 (en) * 1999-01-15 2004-05-18 Genentech, Inc. Polypeptide variants with altered effector function
US20030095967A1 (en) * 1999-01-25 2003-05-22 Mackay Fabienne BAFF, inhibitors thereof and their use in the modulation of B-cell response and treatment of autoimmune disorders
US6897044B1 (en) * 1999-01-28 2005-05-24 Biogen Idec, Inc. Production of tetravalent antibodies
EP1035172A3 (en) * 1999-03-12 2002-11-27 Fuji Photo Film Co., Ltd. Azomethine compound and oily magenta ink
CA2375912C (en) * 1999-06-09 2014-03-11 Immunomedics, Inc. Immunotherapy of autoimmune disorders using antibodies which target b-cells
DE19930748C2 (de) * 1999-07-02 2001-05-17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EPROM- und DRAM-Grabenspeicherzellbereichen auf einem Chip
AU6929100A (en) * 1999-08-23 2001-03-19 Biocrystal Limite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munotherapy of b cell involvement in promotion ofa disease condition comprising multiple sclerosis
US20020028178A1 (en) * 2000-07-12 2002-03-07 Nabil Hanna Treatment of B cell malignancies using combination of B cell depleting antibody and immune modulating antibody related applications
EP1229935A1 (en) * 1999-11-08 2002-08-14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Treatment of b cell malignancies using anti-cd40l antibodies in combination with anti-cd20 antibodies and/or chemotherapeutics and radiotherapy
US20020006404A1 (en) * 1999-11-08 2002-01-17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Treatment of cell malignancies using combination of B cell depleting antibody and immune modulating antibody related applications
IL151906A0 (en) * 2000-03-24 2003-04-10 Chiron Corp Methods of therapy for non-hodgkin's lymphoma using a combination of an antibody to cd20 and interleukin-2
US20030185796A1 (en) * 2000-03-24 2003-10-02 Chiron Corporation Methods of therapy for non-hodgkin's lymphoma
EP1283722A1 (en) * 2000-03-31 2003-02-19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Combined use of anti-cytokine antibodies or antagonists and anti-cd20 for the treatment of b cell lymphoma
ES2528794T3 (es) * 2000-04-11 2015-02-12 Genentech, Inc. Anticuerpos multivalentes y usos de los mismos
WO2001080884A1 (en) * 2000-04-25 2001-11-01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Intrathecal administration of rituximab for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s
AU2001268363B2 (en) * 2000-06-20 2006-08-17 Biogen Idec Inc. Treatment of B cell associated diseases
PT1296714E (pt) * 2000-06-22 2009-10-15 Coley Pharm Gmbh Combinação de cpg e anticorpos dirigidos contra cd19, cd20, cd22 ou cd40 para o tratamento ou prevenção do cancro
US20020058029A1 (en) * 2000-09-18 2002-05-16 Nabil Hanna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using B cell depleting/immunoregulatory antibody combination
US20030103971A1 (en) * 2001-11-09 2003-06-05 Kandasamy Hariharan Immunoregulatory antibodies and uses thereof
AU2002250352C1 (en) * 2001-04-02 2009-04-30 Genentech, Inc. Combination therapy
CA2453995A1 (en) * 2001-08-03 2003-02-20 Genentech, Inc. Tacis and br3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US7718387B2 (en) * 2001-09-20 2010-05-1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asuring circulating therapeutic antibody, antigen and antigen/antibody complexes using ELISA assays
ATE430580T1 (de) * 2001-10-25 2009-05-15 Genentech Inc Glycoprotein-zusammensetzungen
US20040093621A1 (en) * 2001-12-25 2004-05-13 Kyowa Hakko Kogyo Co., Ltd Antibody composition which specifically binds to CD20
CA2476166C (en) * 2002-02-14 2011-11-15 Immunomedics, Inc. Anti-cd20 antibodies and fusion proteins thereof and methods of use
US20030180292A1 (en) * 2002-03-14 2003-09-25 Idec Pharmaceuticals Treatment of B cell malignancies using anti-CD40L antibodies in combination with anti-CD20 antibodies and/or chemotherapeutics and radiotherapy
US20030219818A1 (en) * 2002-05-10 2003-11-27 Bohen Sean P.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termining neoplastic disease responsiveness to antibody therapy
BRPI0316779B8 (pt) * 2002-12-16 2023-02-28 Genentech Inc Anticorpo anti-cd20 humano ou fragmento de ligação ao antígeno do mesmo, seus usos, composição, artigo manufaturado e formulação líquida
US20040126665A1 (en) * 2002-12-26 2004-07-01 Luying Sun Gel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40202658A1 (en) * 2003-04-09 2004-10-14 Genentech, Inc. Therapy of autoimmune disease in a patient with an inadequate response to TNF-alpha inhibitor
AR044388A1 (es) * 2003-05-20 2005-09-07 Applied Molecular Evolution Moleculas de union a cd20
PL2272868T4 (pl) * 2003-06-05 2016-07-29 Genentech Inc Terapia skojarzona zaburzeń B-komórkowych
JP2007500844A (ja) * 2003-07-29 2007-01-18 ジェネン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ヒト抗cd20抗体のアッセイとその用途
US8147832B2 (en) * 2003-08-14 2012-04-03 Merck Patent Gmbh CD20-binding poly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05023302A2 (en) * 2003-08-29 2005-03-17 Genentech, Inc. Anti-cd20 therapy of ocular disorders
SG160348A1 (en) * 2003-11-05 2010-04-29 Glycart Biotechnology Ag Cd20 antibodies with increased fc receptor binding affinity and effector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452A (ko) * 2012-11-09 2014-05-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 나노입자 융합 하이드로젤의 용도
US10001477B2 (en) 2012-11-09 2018-06-19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Use of protein nanoparticle based hydro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13100A (pt) 2007-10-23
US20070014797A1 (en) 2007-01-18
CN101027100A (zh) 2007-08-29
ZA200700904B (en) 2008-10-29
MY154992A (en) 2015-08-28
MX2007000748A (es) 2007-03-28
IL180371A0 (en) 2007-06-03
NZ552433A (en) 2009-10-30
RU2007106722A (ru) 2008-08-27
CA2573359A1 (en) 2006-02-02
WO2006012508A2 (en) 2006-02-02
TW200618809A (en) 2006-06-16
AU2005267028A1 (en) 2006-02-02
JP2008507555A (ja) 2008-03-13
WO2006012508A3 (en) 2006-06-08
EP1781378A2 (en) 2007-05-09
AR050354A1 (es) 2006-10-18
US20060062787A1 (en)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6187A (ko)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 방법
JP6306070B2 (ja) 進行型多発性硬化症の治療方法
TWI433682B (zh) Cd20抗體於治療多發性硬化症之用途及用於該用途之物品
RU2411956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васкулита
US20070025988A1 (en) Method for Treating Lupus
KR20070122543A (ko) 항-cd20 항체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ibd)의 치료방법
JP2008501706A5 (ko)
KR20070122497A (ko) Cd20 항체로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방법
JP2023123521A (ja) 多発性硬化症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
KR20070035555A (ko) 루푸스의 치료 방법
HK1103669A (en) Method of treating sjorgren&#39;s syndrome
HK1107823A (en) Method for treating vasculitis
MX2007003857A (en) Method for treating vascul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