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88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885A
KR20070035885A KR1020050090811A KR20050090811A KR20070035885A KR 20070035885 A KR20070035885 A KR 20070035885A KR 1020050090811 A KR1020050090811 A KR 1020050090811A KR 20050090811 A KR20050090811 A KR 20050090811A KR 20070035885 A KR20070035885 A KR 20070035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error diffusion
bits
image processing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885A/ko
Priority to CNA2006101394449A priority patent/CN1924970A/zh
Publication of KR2007003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을 개선하여 계조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고 하프톤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공간적인 오차 확산과 시간적인 오차 확산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현하는 영상의 계조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되는 하프톤 방식으로 디더링 방법과 공간적 오차 확산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디더링 방법이나 공간적 오차 확산 방법은 모두 특정한 계조나 화면 표시 상태에서 고유의 무늬가 발생하게 되어 표시 품질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빛을 시간적으로 축적하여 휘도를 느끼는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하여 시간적 오차 확산 방식을 도입한 후 특정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플리커링은 공간적 오차 확산 방식을 접목시켜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적 오차 확산이나 디더링을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특정 무늬 및 시간적 오차 확산을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플리커링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더 마스크에 의한 디더 패턴을 보인 예.
도 2는 종래의 오차 확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종래의 오차 확산을 위한 블록도.
도 4는 시간적으로 오차를 확산시키는 블록도.
도 5는 데이터 입력 포멧의 예.
도 6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하프톤 방식을 보인 블록도들.
도 8내지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하프톤 방식을 보인 블록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양자화 블록 11: 오차 필터
21: 오차 필터 30, 40, 50, 60: 디더부
31, 42, 52, 61: 시간적 오차 확산부 32, 41, 51, 62: 공간적 오차 확산부
53, 54, 63, 64: 가중치 부여부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을 개선하여 계조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고 하프톤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공간적인 오차 확산과 시간적인 오차 확산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FT 액정표시소자(LCD), 유기 EL, FED 등과 함께 차세대 표시 소자로 각광을 받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sama Display Panel:PDP)소자는 격벽(barrier rib)에 의해 격리된 방전 셀 내에서 He + Xe,또는 Ne + Xe 가스의 방전시에 발생하는 147nm 의 자외선이 R,G,B 의 형광체를 여기 시켜 그 형광체가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돌아갈 때의 에너지 차에 의한 발광현상을 이용하는 표시소자이다. 상기 PDP 표시소자는 단순구조에 의한 제작의 용이성, 고휘도 및 고발광 효율, 메모리 기능, 높은 비선형성, 160°이상의 광시야각 등의 특성으로 40˝이상의 대형표시소자 시장을 점유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미 102" 급 제품도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CRT나 LCD 등과 같이 광을 아날로그방식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계조를 얻는 방식이 아니라 온 오프할 수 있는 방전 셀의 매트릭스 어레이를 이용하여 광 펄스의 수를 변조하는 것으로 계조를 표현하기 때문에 곡선 휘도 특성(CRT, LCD)이 아닌 선형 휘도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PDP의 계조 표현방법은 일종의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DP의 휘도는 펄스 수에 따라 선형으로 변화하지만 우리의 시각이 인지하는 정도는 비선형적이기 때문에 저계조 영역에서 계조를 표현할 때 노이즈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DP에서는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역감마 보정하고 있다. 역감마 보정은 실제 휘도가 원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작업으로 정확한 계조 표현을 위한 하프톤 보정 전에 실시된다. 일반적으로, PDP는 영상 데이터를 크게 역감마 보정, 하프톤 보정을 거쳐 서브 필드에 매핑을 실시한 후 화면에 표시한다.
PDP의 목표 휘도는 소정 단계의 계조값이 각각 다른 휘도값으로 표현되는데, 일반적으로 61단계(0~60), 256단계(0~255) 등이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휘도값을 이용한다 할지라도 실제 휘도는 상기 61 혹은 256 등의 많은 계조값이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서브 필드로 정의된 몇가지 휘도값으로 표현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8~15가지 정도의 휘도값(서브 필드의 수)이 사용된다. 따라서, PDP에서 역감마 보정이 수행될 때 어두운 영역에서 충분한 계조 표현을 할 수 없게 되어 영상이 뭉쳐 보이는 의사윤곽(Contuor Noise)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PDP의 부족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하여 디더링 (dithering) 방법 및 오차 확산(error diffusion) 방법 등의 하프톤(half tone) 방법이 역감마 보정 후 적용된다. 먼저, 오차 확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간단한 디더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2×2 디더링 마스크(도 1a)를 적용할 경우의 디더 패턴들(도 1b~도 1f)을 예시한 것이다. 즉, 디더링 방법은 각 픽셀(pixel)의 계조값을 디더 마스크(410)의 특정 문턱(threshold)값과 비교하여 자리 올림(carry) 발생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이다. 이때, 자리 올림이 발생된 픽셀에 대하여 온(on)을, 그렇지 않은 픽셀에 대하 여 오프(off)를 시킴으로써 부족한 계조 표현력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디더링 방법은 정지된 영상이나 균일한 값을 가지는 지역에 대해 디더 패턴이 보이게 되고, 플레임 별로 다른 방식의 디더링 패턴이 적용되는 PDP의 복수 디더 마스크 적용 방식에서는 픽셀이 움직이는 경우 저계조 및 고계조 구분없이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며, 대각선 방향으로 한 픽셀씩 움직일 경우에는 수직선 디더 노이즈가 발생된다. 또한, 자리올림(캐리)을 발생시킬 때 문턱값보다 얼마나 큰지 작은지를 나타내는 오차의 정도는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
도 2는 공간적인 오차 확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이러한 오차 확산을 수행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하프톤 방식의 일종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 확산 방법은 해당 픽셀이 양자화(Quantization)될 때 발생하는 오차를 이웃하는 픽셀에 영향을 주게 함으로써 버려지는 오차에 대한 보정을 공간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오차 확산 방법은 이웃하는 픽셀들 a, b, c, d에서 발생한 각각의 오차값에 특정한 계수를 곱한다. 이후, 상기 계수를 곱한 오차값들을 i 값에 더한 후 양자화를 실시한다. 그 다음, 상기 양자화로 발생하는 오차값을 다시 라인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를 매 픽셀마다 반복하는 방법이다. 상기 오차값에 곱하는 특정한 계수인 오류 가중치들은 그 합이 1이 되며, 주로 좌→우, 우→하 방향으로 처리하고 그 문턱값은 계조 단계의 중간값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 확산 블록은 공간적인 피드백 루틴을 반복적 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목표 휘도에 가장 근사한 휘도값을 맵핑하여 출력한다. 또한, 도 3에서, 동작하는 과정은 아래의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5054845331-PAT00001
여기서, n은 현재 프레임(frame)을 나타내며, F(i,j)는 상기 역감마 보정후 입력되는 계조값이다. Q블록(10)은 양자화 블록이고, B(i,j)는 양자화된 계조값이다. E(i,j)는 양자화에서 발생되는 오차값이며, f(i,j)는 역감마 보정후 입력되는 계조값에 양자화 오차값을 더한 값이다. 즉, f(i,j)는 현재 프레임에서의 F(i,j)에 이웃하는 픽셀에서의 오차값에 오차 필터인 H블록(11)에서 오차 확산 계수 h(i,j)를 곱하여 더한 값이다.
한편, 상기 오차 확산 방법은 이웃한 픽셀에 대한 상기 오차 확산 계수가 일정하게 설정되어 라인마다 그리고 프레임마다 반복됨에 따라 일정한 오차 확산 계수로 인하여 균일한 계조 영역에서 오차 확산 무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현하는 영상의 계조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되는 하프톤 방식으로 디더링 방법과 공간적 오차 확산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디더링 방법이나 공간적 오차 확산 방법은 모두 특정한 계조나 화면 표시 상태에서 고유의 무늬가 발생하게 되어 표시 품질을 악화시키는 문제점 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빛을 시간적으로 축적하여 휘도를 느끼는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하여 시간적 오차 확산 방식을 도입한 후 특정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플리커링은 공간적 오차 확산 방식을 접목시켜 해소하도록 하는 것으로 플리커링과 특정 무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소수 부분을 소정의 비트들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비트 단위의 신호를 시간적인 오차 확산 및 공간적인 오차 확산으로 각각 구분하여 수행하며, 이들 중 하나의 오차 확산을 수행한 후 얻어지는 캐리를 다른 오차 확산 수행시 더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간적인 오차 확산 방법은 이전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양자화 오차를 새로운 프레임의 입력 데이터에 합산 한 후 이를 양자화하여 출력하면서, 상기 양자화에 따른 오차를 새롭게 얻는 방식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차 확산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2가지 오차 확산을 수행한 후 얻어지는 캐리 및 상기 분할된 비트들 중 오차 확산이 수행되지 않은 비트들에 대해 디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적인, 시간적 오차 확산을 수행할 입력들 혹은 오차 확산을 수행한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적용될 시간적 오차 확산을 수행할 블록도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적인 오차 확산을 수행하는 블록도와 유사하게 궤환적인 방식으로 오차를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상기 도 4의 동작 과정은 다음의 수학식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112005054845331-PAT00002
여기서, n은 현재 프레임(frame)을 나타내며, F(i,j)는 역감마 보정후 입력되는 계조값으로 간단히 영상 데이터라 할 수 있다. Q블록(20)은 양자화 블록이고, B(i,j)는 양자화된 계조값이다. E(i,j)는 양자화에서 발생되는 오차값이며, f(i,j)는 역감마 보정후 입력되는 계조값에 양자화 오차값을 더한 값이다. 즉, f(i,j)는 현재 프레임에서의 F(i,j)에 이전 프레임에서 발생된 양자화 오차를 1프레임 지연 블록(21)을 통해 지연시킨 후 더한 것이다. 상기 지연 블록(21)의 지연 스탭은 조절될 수 있으나, 1프레임 지연만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시간적 오차 확산 블록도에서 E(i,j)가 시간적인 오차를 의미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주목할만한 특징을 가지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에서 발생된 오차이다. 즉, 일반적인 오차 확산이 공간적인 오차를 인접한 픽셀로 분산하는 방식인 반면, 시간적인 오차는 이전 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현재 프레임에서 수용하고, 현재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오차는 다시 다음 프레임에 적용되므로, 오차가 시간에 따라 누적되게 되어 그 오차의 크기에 관계없이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지 영상이나 균일한 계조를 가지는 영역에 대한 양자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나 양자화 값이 같으므로 공간 오차 확산과 같이 특정한 무늬가 발생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단순히 시간적으로 오차를 확산시키는 경우, 전제 화면에서 같은 계조를 가지는 화면이 반복하여 나타나거나, 정지 영상이 나타나는 시점에서 시간적으로 축적되는 오차가 전체화면에 대해 같은 값을 가지는 경우라면 화면에 플리커링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화면에서 상당 부분이 소수만을 가지는 계조값을 표현한다면 동시에 캐리가 발생하여 화면 전체의 밝기가 원하지 않는 계조로 표현되는 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적으로 오차를 확산시키는 단일 방법 만을 적용할 경우 특정한 경우에서 플리커 잡음이 발생되어 공간적 오차 확산에 의한 무늬 발생보다 더욱 화면 품질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시간적 오차 확산 방법에 기존의 공간적 오차 확산 방법을 접목시켜 보다 향상된 하프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디더(dither) 방식을 더 적용하도록 하여 다양한 공간과 시간으로 오차 확산을 분산하여 각각의 방법에서 발생되는 캐리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실제 얻어지는 최종 캐리가 시간과 공간으로 불규칙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한번에 많은 영역에 대한 캐리가 발생하여 계조가 급작스럽게 변화되지 않도록 하면서 균일한 계조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 규칙적이지 않은 캐리를 발생시켜 고정된 무늬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적용될 역감마 보정된 영상 데이터(계조값)의 포멧을 보이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비트의 정수부 부분과, 소정 비트의 소수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소수부 부분은 양자화시 오차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오차 확산이나 디더에 의해 캐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수 부분이 n 비트(도시된 경우에는 7비트)라 할때, 이를 i, j, k 비트로 분할하여 각각의 비트별로 상이한 하프톤 기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만일, 적용될 하프톤 기법이 공간적 오차 확산법과 시간적 오차 확산법이라면 2개의 단위 비트로 분할(예를 들어, 4비트는 공간적 오차 확산에 적용, 3비트는 시간적 오차 확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적용될 하프톤 기법이 공간적, 시간적 오차 확산법 및 디더법이라면 3개의 단위 비트로 분할(예를 들어, 2비트는 디더법, 3비트는 공간적 오차 확산법, 2비트는 시간적 오차 확산법)하여 각각의 하프톤 방식에 적용하도록 한다. 이를 상호 연계하는 방법으로는 한 종류의 하프톤 방식을 통해 제공되는 캐리를 다른 종류의 하프톤 방식의 입력 신호에 가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소수부를 분산하여 제공하더라도 균일하게 오류가 확산된 최종 단일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들로서, 하프톤 방식으로 디더법, 시간적 오차 확산법, 공간적 오차 확산법을 사용하며, 소수 부분의 데이터를 각각 i비트, j비트, k 비트로 분리하여 각각 적용하는 방식을 보인 것이다.
도 6을 보면, 입력되는 계조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역감마 보정된 값)의 소수 부분을 각각 i비트, j비트, k비트로 구분하여 k비트 부분을 공간적 오차 확산 블록(32)을 통해 처리하고, 상기 공간적 오차 확산 블록(32)의 출력인 캐리를 j비트 부분을 처리하는 시간적 에러 확산 블록(31)의 입력으로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시간적 에러 확산 블록(31)의 출력인 캐리를 i비트 부분을 처리하는 디더 블록(30)의 입력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캐리가 분산 반영된 소수 부분의 양자화 값을 디더부(30)의 출력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기 i,j,k 값은 서로 바뀔 수 도 있으며, 다양한 비트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공간적 에러 확산 블록(41)과 시간적 에러 확산 블록(42)의 위치가 상기 도 6의 경우와 상반되게 배치된 경우로서, 출력은 디더 블록(40)에서 제공되며 그 출력으로 제공되는 소수 부분의 캐리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서 불규칙하게 분산되게 된다.
즉, 공간적 에러 확산 방법과 시간적 에러 확산 방법이 상호 관련되면서 적용되는 경우라면 모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3차원적인 에러 확산(공간 에러 확산에 의한 2차원 방식에 시간 에러 확산에 따른 새로운 방향이 더해졌으므로 3차원적인 에러 확산이라 칭할 수 있음)에 의해 플리커 발생과 고정된 무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오차 확산을 통해 얻어지는 캐리를 다른 오차 확산이나 디더를 수행할때 적용하기 위해서 일종의 오차 확산 처리 순서가 결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위 비트에 대한 오차 확산을 먼저 수행하고, 그 결과인 캐리를 상위 비트에 대한 오차 확산이나 디더링을 수행할때 더 적용하도록 하는 처리 순서 규칙을 따른다.
도 8내지 도 9는 상기 도 6내지 도 7과 같이 공간적 에러 확산 블록(51, 62)과 시간적 에러 확산 블록(52, 61) 및 디더(50, 60)를 한 종류의 블록에서 출력되는 캐리 정보가 다른 종류의 블록 입력에 제공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시간적 에러 확산 블록과 공간적 에러 확산 블록의 배치를 상호 변경한 2가지 경우이며, 이때, 각 블록에 입력으로 제공되는 소수부 특정 단위 비트 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하거나 각 블록의 출력인 캐리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8의 경우, 공간적 오차 확산 블록(51)에 제공되는 j비트 데이터에 가중치 블록(53)을 적용하고, k비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간적 오차 확산 블록(52)의 캐리 출력에 가중치 블록(54)을 적용하여 그 값을 상기 공간적 오차 확산 블록(51)에 제공하는 경우이며, 도 9의 경우는 j비트 데이터에 가중치 블록(63)을 적용하여 시간적 오차 확산 블록(61)에 제공하고, k비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공간적 오차 확산 블록(62)의 캐리 출력에 가중치 블록(64)을 적용하여 그 값을 상기 시간적 오차 확산 블록(61)에 제공하는 경우이다.
상기 경우들은 공간적 오차 확산 블록, 시간적 오차 확산 블록 및 디더 블록 을 모두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가중치 블록을 적용한 경우이며, 디더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공간적 오차 확산 블록과 시간적 오차 확산 블록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는데 주의한다.
예를 들어, 소수 부분이 7비트인 경우 하위 3비트에 대해 공간적 오차 확산을 실시하고, 상위 4비트에 대해 시간적 오차 확산을 실시하면서 상기 공간적 오차 확산에 의해 얻어진 캐리를 상기 시간적 오차 확산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플리커의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 상기 공간적 오차 확산은 지그제그(ZigZag) 방식에 의한 오차 확산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반대로 입력 비트를 할당하여 처리할 수도 있으나, 먼저 하위 비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오차 확산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상위 비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오차 확산을 실시할때 적용하도록 하는 처리 순서는 지켜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 부분의 비트 수는 1비트 이상이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은 빛을 시간적으로 축적하여 휘도를 느끼는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하여 시간적 오차 확산 방식을 도입한 후 특정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플리커링은 공간적 오차 확산 방식을 접목시켜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적 오차 확산이나 디더링을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특정 무늬 및 시간적 오차 확산을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플리커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소수 부분을 소정의 비트들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비트 단위의 신호를 시간적인 오차 확산 및 공간적인 오차 확산으로 각각 구분하여 수행하며, 이들 중 하나의 오차 확산을 수행한 후 얻어지는 캐리를 다른 오차 확산 수행시 더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인 오차 확산 방법은 이전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양자화 오차를 새로운 프레임의 입력 데이터에 합산 한 후 이를 양자화하여 출력하면서, 상기 양자화에 따른 오차를 새롭게 얻는 방식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오차 확산을 수행한 후 얻어지는 캐리를 다른 오차 확산 수행시 더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오차 확산의 입력에 상기 캐리를 합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오차 확산을 수행한 후 얻어지는 캐리를 다른 오차 확산 수행시 더 적용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수 부분을 비트 단위로 분할했을 때 그 위치 순서에 따라 하위 비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차 확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이용하여 상위 비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차 확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확산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2가지 오차 확산을 수행한 후 얻어지는 캐리 및 상기 분할된 비트들 중 오차 확산이 수행되지 않은 비트들에 대해 디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들을 분할하는 단계는 사용될 하프톤 방식의 종류와 동일한 숫자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인, 시간적 오차 확산을 수행할 입력들 혹은 오차 확산을 수행한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KR1020050090811A 2005-09-28 2005-09-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KR20070035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11A KR20070035885A (ko) 2005-09-28 2005-09-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CNA2006101394449A CN1924970A (zh) 2005-09-28 2006-09-22 等离子体显示装置的图像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11A KR20070035885A (ko) 2005-09-28 2005-09-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885A true KR20070035885A (ko) 2007-04-02

Family

ID=3781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811A KR20070035885A (ko) 2005-09-28 2005-09-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35885A (ko)
CN (1) CN19249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0202A1 (zh) * 2009-06-30 2011-01-06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半色调抖动算法
US9105226B2 (en) * 2013-01-20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patio-temporal error diffusion for imaging devices
CN105282398B (zh) * 2014-11-06 2018-07-06 宏祐图像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适应时域空域3d抖动处理方法
KR101696609B1 (ko) * 2015-10-26 2017-01-16 주식회사 홍익기술 디스플레이 패널 보정방법 및 보정모듈
CN109389958B (zh) * 2018-12-12 2020-07-07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显示装置
CN113436087B (zh) * 2021-06-04 2023-05-23 暨南大学 一种图像二值化及显示方法、存储介质和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4970A (zh)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6400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gray level in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419216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画像処理方法
US77387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by combining error diffusion and another dithering
KR2007003588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
KR2005006021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EP1580715A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suitable therefor
US77295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KR1006462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1006072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처리 장치
JP2006520916A (ja) 表示装置の表示用映像データ処理の方法及び装置
KR2005007644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1007388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EP16196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by combining error diffusion and dithering
KR1006583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07058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상처리 방법
KR1005799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2006009120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
KR1006255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2006000439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1006255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06125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EP16196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by combining error diffusion and another dithering
KR1005946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100577764B1 (ko) 다중 레벨 노이즈를 이용한 에러 확산 패턴 무늬의 개선방법 및 장치
KR1006583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